KR102259987B1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9987B1 KR102259987B1 KR1020190147035A KR20190147035A KR102259987B1 KR 102259987 B1 KR102259987 B1 KR 102259987B1 KR 1020190147035 A KR1020190147035 A KR 1020190147035A KR 20190147035 A KR20190147035 A KR 20190147035A KR 102259987 B1 KR102259987 B1 KR 1022599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beverage
- fluid supply
- supply unit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 홀더; 캡슐 홀더의 상부에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캡슐 홀더에 수납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상부칼날부재가 구비되는 유체공급 유닛; 및 유체공급 유닛이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때,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어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캡슐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beverage.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beverage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a capsule holder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containing capsules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s;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holder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and supplies a fluid to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mmodating capsul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nd an upper blade member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mmodating capsule is provided fluid supply unit; And when the fluid supply unit supplies the fluid to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and rises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after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finished,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is attached to the fluid supply unit to prevent it from rising togethe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sule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for pressing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의 추출후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that can prevent the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rom being attached to a fluid supply unit and rising together after the beverage is extracted.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종래부터 커피로 대표되는 음료 공급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 공급 장치는 크게, 인스턴트 커피 분말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 분말을 녹임으로써 커피를 공급하는 혼합식인 종래의 전형적인 커피 자동 판매기, 볶은 원두의 분말을 거름망에 넣고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식인 종래의 전형적인 커피 메이커, 볶은 원두의 분말을 필터에 담고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농축 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머신, 볶은 원두의 분말을 넣어 밀봉한 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특허문헌 1과 같은 캡슐식 커피 머신 등으로 대별된다.Conventionally, a beverage supply device represented by coffee has been widely used. Such a coffee supply device is largely a mixed-type typical coffee vending machine that supplies coffee by supplying hot water to instant coffee powder and melting coffee powder, a drip coffee extracting coffee by putting powder of roasted beans into a sieve and supplying hot water A typical coffee maker in the prior art, an espresso machine that extracts concentrated coffee by putting powder of roasted beans in a filter and supply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and a patent document that extracts coffee by supplying hot water to a sealed capsule containing powder of roasted beans It is roughly divided into capsule-type coffee machines, such as those in 1.
종래 캡슐식 커피 머신의 경우, 유체공급 유닛의 상부칼날이 캡슐을 관통하고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커피의 추출이 끝난 후 상승할 때 캡슐의 상측이 상부칼날에 걸려 상부칼날과 함께 상승하거나, 유체공급 유닛의 실링 표면과 캡슐 사이에 잔존하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과 함께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psule coffee machine, when the upper blade of the fluid supply unit penetrates the capsule and supplies fluid to the capsule to rise after coffee extraction is finished,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is caught by the upper blade and rises together with the upper blade, or flu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sule rises together with the fluid supply unit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remaining between the sealing surface of the supply unit and the capsul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의 추출후 유체공급 유닛이 상승할 때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beverage from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that can prevent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from being attach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rising together when the fluid supply unit rises after extraction of the beverage To provide an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의 상부에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되는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상부칼날부재가 구비되는 유체공급 유닛; 및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캡슐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a capsule holder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containing capsules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s; The upper blade is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sule holder so as to be relatively elevating with respect to the capsule holder, and supplies a fluid to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nd an upper blade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for containing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a fluid supply unit provided with a member; and when the fluid supply unit descends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to supply a fluid to th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for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nd rises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after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finished,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sule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to press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in order to prevent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is attach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rises together.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receiving capsule is provided.
또한, 상기 캡슐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바디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sule pressing member, the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press the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an elastic member conta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fluid supply unit, respectively,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그리고, 상기 돌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rim of the body portion to pressurize the capsule containing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accommodated and seated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th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outside the body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또한, 상기 결합부는 후크결합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후크결합구조의 양측에는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는, 상기 후크결합구조의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 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with a hook coupling structure, and anti-rotation grooves or anti-rot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coupling structure, and the fluid supply unit corresponds to the anti-rotation grooves or anti-rotation protrusions of the hook coupling structure. An anti-rotation protrusion or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작동 전 상기 캡슐가압부재가 상기 상부칼날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nd,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luid supply unit, the capsul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 blade member.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체공급 유닛 사이에 설치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슐 홀더에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경보 발생, 세척 및 작동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fluid supply unit is relatively lowered in a state where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is not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generating an alarm, washing and stopping operation At least one can be controlled to be implem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is attached to the fluid supply unit to rise together.
또한, 캡슐가압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캡슐 홀더가 장착되지 않을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레임으로 손을 넣는 경우 상부칼날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 wound on the user's hand by the upper blade member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into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capsule holder is not mounted.
또한, 캡슐가압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칼날부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upper blade member from which the capsule pressing member rises or descen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캡슐가압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캡슐가압부재가 캡슐을 가압하고 있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도시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유체공급 유닛이 하강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 유체공급 유닛이 하강하여 상부칼날부재가 캡슐의 상측을 관통한 모습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 유체공급 유닛이 상승하며 캡슐가압부재가 캡슐을 가압하여 상부칼날부재로부터 캡슐이 분리되는 모습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캡슐 홀더에 캡슐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of the capsule pressing member of FIG. 4 viewed from the upper side, wherein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pressing the capsul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i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i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before the fluid supply unit is lowered.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uid supply unit descends following FIG. 8 and the upper blade member penetrates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uid supply unit rises following FIG. 9 and the capsul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capsule to separate the capsule from the upper blade member.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not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in FIG. 8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coupled' or 'connected' refers to a case in which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re directly coupled or directly connected, as well as when one member is indirectly coupled to another member through a joint member, or indirectly. Including cases connected to
이하, 커피 분말이 수용되어 있는 캡슐에 가압된 유체를 분사하여 커피 추출액을 얻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캡슐의 내부에는 커피 분말 외에도 찻잎이나, 건조 식물, 곡물 등, 가압된 유체로 우려내기에 적합한 재료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이외의 재료가 충전된 캡슐로부터 추출액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obtaining a coffee extract by spraying a pressurized fluid into the capsule in which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nside of the capsule contains coffee. In addition to powder, materials suitable for brewing into a pressurized fluid, such as tea leaves, dried plants, grains, etc., may be filled.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n extract from a capsule filled with a material other than coffe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캡슐가압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캡슐가압부재가 캡슐을 가압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도시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 과정에서 캡슐가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a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pressing member in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a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the capsule pressing member of FIG. 4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pressing the capsule, and FIG. 6 is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sule pressing member separat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nd FIG. 7 is a view in which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in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the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n the beverage extraction process These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10)는, 프레임(100)과, 캡슐 홀더(200)와, 캡슐가압부재(300)와, 유체공급 유닛(400)과, 스크류(500)와, 모터(600)를 포함한다.1 to 10 , an
프레임(100)에는 캡슐 홀더(200)와, 캡슐가압부재(300)와, 유체공급 유닛(400)과, 스크류(500)와, 모터(600)가 설치된다. A
캡슐 홀더(20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넣거나 빼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홀더(200)는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지만 캡슐 홀더(200)와 프레임(10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캡슐 홀더(200)가 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100)의 내벽에는 도시 생략된 래치 스위치가 설치되어 캡슐 홀더(200)가 푸쉬인 및 푸쉬아웃 방식으로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캡슐 홀더(200)에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700, 이하, 캡슐이라고 한다)이 수납되며, 캡슐(70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하부칼날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체공급 유닛(400)의 유체공급 본체(410)가 하강하여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의 상측을 관통하면 캡슐 홀더(200)에 삽입된 하부칼날부재(210)가 캡슐(700)의 하측을 관통한다. The
그리고, 유체공급 본체(410)와 상부칼날부재(420)를 통해 캡슐(700)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며, 예를 들어, 캡슐(700)에 수용된 커피 분말에 유체가 분사되어 혼합되면 커피 추출액이 하부칼날부재(210)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된 캡슐(700)의 하부구멍을 통해 유출된다. And, the fluid is supplied into the
유체공급 유닛(400)은 캡슐 홀더(200)에 수납되는 캡슐(700)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공급 유닛(400)은 모터(600)와 스크류(500)에 의해 캡슐 홀더(20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즉, 모터(600)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500)가 회전하면 스크류(500)에 결합된 유체공급 유닛(400)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유체공급 유닛(400)에는 스크류(50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스크류 관통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도 3을 참조하면, 유체공급 유닛(400)에는 유체공급 본체(410)와, 상부칼날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공급 본체(410)는 유체가 제공되는 유입부(9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유입부(900)를 통해 유체공급 본체(410)로 유입된 유체가 캡슐(700)로 공급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상부칼날부재(420)는 유체공급 본체(4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캡슐(700)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의 상측을 관통하면 유체공급 본체(4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관통된 구멍을 통해 캡슐(70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부칼날부재(420)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이동홀(4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을 관통하면 유체공급 본체(4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부칼날부재(420)의 유체이동홀(440)을 따라 캡슐(7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상부칼날부재(420)에는 별도의 유체이동홀(44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부칼날부재(420)는 캡슐(700)을 관통하는 역할만 수행하고, 유체공급 본체(410)의 하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체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상부칼날부재(420)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된 캡슐(700) 상측의 구멍으로 유입될 수 있다.Here, the
스크류(500)는 유체공급 유닛(4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유체공급 유닛(400)을 승강시킨다. 스크류(500)의 외주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상부 중앙에는 모터(600)에 연결되는 연결축(610)이 삽입되는 연결축 삽입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500)는 유체공급 유닛(400)에 형성된 스크류 관통홀(430)에 삽입되고, 연결축 삽입홈(510)에 연결축(610)이 삽입되어, 모터(600)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The
모터(600)는 스크류(500)를 정역 회전시킨다. 즉, 모터(600)는 제어부(810)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600)로서 스크류(500)에 결합되어 스크류(500)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다.The
캡슐가압부재(300)는 유체공급 유닛(400)에 결합되어 캡슐(700)을 가압한다. 종래 캡슐식 커피 머신의 경우 유체공급 유닛의 상부칼날이 캡슐을 관통하고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상승할 때, 예를 들어, 캡슐의 상측이 상부칼날에 걸려 상부칼날과 함께 상승하거나, 유체공급 유닛의 실링 표면과 캡슐 사이에 잔존하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캡슐이 유체공급 유닛과 함께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링 표면과 캡슐 사이에 물이 잔존하는 것은, 특히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을 관통하고, 유체공급 본체(410)의 하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체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상부칼날부재(420)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된 구멍으로 미처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지만, 유체이동홀(440)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칼날부재(42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캡슐(700) 내부에 유입된 물이 캡슐 내부 압력에 의해 상부칼날부재(420)와 관통된 구멍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옴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The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700)은 캡슐가압부재(300)가 구비되어 캡슐(700)을 가압하므로, 음료의 추출 후 유체공급 유닛(400)이 상승할 때 캡슐(700)이 유체공급 유닛(400)에 부착되어 유체공급 유닛(400)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aw
캡슐가압부재(300)는 바디부(310)와, 돌출부(320)와, 결합부(330)와, 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310)의 중심부에는 중공(311)이 형성된다. 바디부(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디부(310)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4 , a hollow 3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바디부(310)에는 안착홈(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310)의 안착홈(312)에는 탄성부재(340, 도 8 참조)가 수용되어 안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310)의 내측에는 중공(311)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320)가 형성되고, 돌출부(320)가 형성된 위치에서 바디부(310)의 외측에는 안착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40)가 수용되는 안착홈(312)으로부터 가장 근접하도록 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A
이와 같이, 돌출부(320)가 안착홈(312)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면 탄성부재(340)로부터의 최대 탄성력이 돌출부(320)로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돌출부(320)와 안착홈(31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슐(700)의 재질 등에 따라 돌출부(320)와 안착홈(312)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돌출부(320)는 바디부(310)로부터 중공(311)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캡슐(700)을 가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부(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0)가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유체공급 유닛(400)의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을 관통하고 캡슐(700)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상승할 때, 캡슐(700)이 상부칼날부재(420)에 부착되어 상부칼날부재(420)와 함께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돌출부(320)는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캡슐(700)의 상측을 계속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돌출부(320)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The
돌출부(3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돌출부(320)는 바디부(3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캡슐(7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32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plurality of
결합부(330)는 유체공급 유닛(400)에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30)는 후크결합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30)는 도 4에서와 같이 후크돌기로 마련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유체공급 유닛(400)에 형성된 결합돌기(46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공급 유닛(400)에 결합돌기(460)가 아닌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한편, 결합부(330)는 후크홈(미도시)으로 마련될 수 있고, 유체공급 유닛(400)에 후크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결합부(330)의 후크홈(미도시)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330)가 후크돌기로 마련되는 경우 후크돌기의 양측에는 회전방지홈(350)이 형성될 수 있고, 도 6을 참조하면, 유체공급 유닛(400)에 회전방지돌기(4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유체공급 유닛(400)의 회전방지돌기(450)가 결합부(330)인 후크돌기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방지홈(350)에 결합되어 캡슐가압부재(300)가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Here,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또는, 결합부(330)인 후크돌기의 양측에 회전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유체공급 유닛(400)에 회전방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돌기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미도시)가 유체공급 유닛(400)의 회전방지홈(미도시)에 결합되어 캡슐가압부재(3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nti-rotation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rotrusion, which is the
탄성부재(340)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체 또는 쇼크 업소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바디부(310)에 형성된 안착홈(312)에 안착되며(도 8 참조), 바디부(310)와, 유체공급 유닛(400)의 유체공급 본체(410)에 각각 접촉되어 캡슐가압부재(300)의 바디부(310)와, 바디부(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도 8을 참조하면, 캡슐(700)이 캡슐 홀더(200)에 수납되어 있고, 유체공급 유닛(400)이 하강하기 전, 캡슐(700)로부터 이격되어 캡슐(700)의 상측에 대기 중이다. 이때, 탄성부재(340)는 팽창된 상태다. Referring to FIG. 8 , the
도 9를 참조하면, 유체공급 유닛(40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하강하며, 유체공급 유닛(400)에 구비된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의 상측을 관통한다. 이때, 탄성부재(340)는 바디부(310)의 안착홈(312)에 수용된 채 상측이 유체공급 유닛(400)의 유체공급 본체(41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유체공급 본체(410)가 하강하면 탄성 수축된다. 이에 의해, 유체공급 본체(410)의 하강하는 힘이 탄성부재(340)에 전달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이 바디부(310)에 형성된 돌출부(320)로 전달되어 돌출부(320)가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한다. 즉, 유체공급 본체(410)의 하강하는 힘이 탄성부재(340)를 거쳐 돌출부(320)가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으로 변환된다.Referring to FIG. 9 , the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 추출이 끝난 후 유체공급 유닛(400)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상승하면, 이때 탄성부재(340)가 팽창되므로 돌출부(320)로 전달되는 탄성력이 점점 감소되지만 탄성부재(340)의 탄성 수축력은 여전히 적정 범위에서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돌출부(320)는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공급 유닛(400)이 상승하더라도 캡슐(700)이 유체공급 유닛(400)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캡슐가압부재(300)가 구비되어 유체공급 유닛(400)의 작동 전 캡슐가압부재(300)의 바디부(310)가 상부칼날부재(42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캡슐 홀더(2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레임(100)으로 손을 넣는 경우 상부칼날부재(420)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프레임(100)으로 손을 넣는 경우 캡슐가압부재(300)의 바디부(310)에 사용자의 손이 먼저 닿게 되므로 상부칼날부재(420)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8 , the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캡슐 홀더(200)에 캡슐(700)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10)를 작동하는 경우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in FIG. 11 , a countermeasure is required for a case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10)는, 근접 센서(800)와, 제어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10)는 전술한 모터(60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81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근접 센서(800)는 프레임(100)과, 유체공급 유닛(400)의 유체공급 본체(4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10)는 근접 센서(8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캡슐 홀더(200)에 캡슐(700)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유체공급 유닛(400)이 하강하는 경우 캡슐 홀더(200)에 캡슐(700)이 수납된 경우에 비해 유체공급 유닛(400)이 더 많이 하강할 것이므로, 근접 센서(800)가 이러한 유체공급 유닛(400)의 하강 정도를 센싱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810)로 전송한다. 8 to 11 , the
그리고, 제어부(810)는 캡슐 홀더(200)에 캡슐(700)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로 유체공급 유닛(400)이 하강한다는 신호를 근접 센서(80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에는, 장치에서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캡슐 홀더(200) 등의 내부를 세척하거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Then, when the
여기서, 경보 발생은 다양한 소리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모니터 등의 표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다면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Here, the alarm generation may be a display such as various sounds or a visually recognizable moni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ethod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user can recognize it.
그리고, 근접 센서(80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And,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유체공급 유닛(400)이 스크류(500)와 모터(600)에 결합되어 하강하면 유체공급 유닛(400)의 유체공급 본체(410)에 결합된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측으로 이동하여 캡슐(700)의 상측 부분을 관통한다. 8 and 9, when the
이때, 캡슐 홀더(200)에는 하부칼날부재(2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캡슐(700)은 캡슐 홀더(200)에 수납되므로 유체공급 유닛(400)이 하강하여 상부칼날부재(420)가 캡슐(700)의 상측을 관통하면 하부칼날부재(210)가 캡슐(700)의 하측을 관통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유체공급 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캡슐(700)로 이동하여 캡슐(700) 내부에 수용된 커피 분말과 혼합되며, 커피 음료는 캡슐 홀더(200)에 형성된 음료 추출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The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이때, 캡슐가압부재(300)의 돌출부(320)는 바디부(31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캡슐(700)을 가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부(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0)가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음료 추출이 완료되어 유체공급 유닛(400)이 상승할 때 캡슐가압부재(300)의 돌출부(320)가 계속해서 캡슐(700)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캡슐(700)의 상측이 상부칼날부재(420)에 부착되어 캡슐(700)이 상부칼날부재(420)와 함께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And, when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and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체공급 유닛(400)이 모터(600)와 스크류(500)에 의해 승강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레버를 작동하여 수동으로 유체공급 유닛(400)을 승강시키는 구조의 음료 추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캡슐 홀더(200)가 상하 방향에서 고정되어 있고 유체공급 유닛(400)이 승강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유체공급 유닛(400)이 상하 방향에서 고정되어 있고 캡슐 홀더(200)가 승강하는 구조, 나아가 유체공급 유닛(400)과 캡슐 홀더(200) 모두가 승강 가능한 구조의 음료 추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캡슐 홀더(200)가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캡슐 홀더가 프레임에 분리불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의 음료 추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scope of the claims.
10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100 : 프레임 200 : 캡슐 홀더
210 : 하부칼날부재 220 : 음료 추출구
300 : 캡슐가압부재 310 : 바디부
311 : 중공 312 : 안착홈
320 : 돌출부 330 : 결합부
340 : 탄성부재 350 : 회전방지홈
400 : 유체공급 유닛 410 : 유체공급 본체
420 : 상부칼날부재 430 : 스크류 관통홀
440 : 유체이동홀 450 : 회전방지돌기
460 : 결합돌기 500 : 스크류
510 : 연결축 삽입홈 600 : 모터
610 : 연결축 700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
800 : 근접 센서 810 : 제어부10: A device for extracting beverages from the capsules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s
100: frame 200: capsule holder
210: lower blade member 220: beverage outlet
300: capsule pressing member 310: body part
311: hollow 312: seating groove
320: protrusion 330: coupling part
340: elastic member 350: rotation prevention groove
400: fluid supply unit 410: fluid supply body
420: upper blade member 430: screw through hole
440: fluid movement hole 450: rotation prevention projection
460: coupling protrusion 500: screw
510: connection shaft insertion groove 600: motor
610: connecting shaft 700: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800: proximity sensor 810: control unit
Claims (8)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의 상부에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되는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상부칼날부재가 구비되는 유체공급 유닛; 및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캡슐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바디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하강하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에 전달된 후 상기 탄성부재를 거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의 상측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frame;
a capsule holder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accommodating capsules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s;
The upper blade is moun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hold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and supplies a fluid to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accommodating capsul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nd an upper blade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a fluid supply unit provided with a member; and
When the fluid supply unit descends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to supply a fluid to th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for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nd rises relative to the capsule holder after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finished, the beverage In order to prevent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ing attach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rising together, it includes a capsule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to press th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for beverage,
The capsule pressing member,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in the cente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press the beverage raw material accommodating capsule;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and an elastic member conta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fluid supply unit, respectively,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After the descending force of the fluid supply unit is transmitted to the elastic member, the protrusion through the elastic member is converted into a force for pressing the upper rim of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 from the beverage contain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A device for dispensing beverages.
상기 돌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edge of the body portion to extract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pressurizing the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accommodated and seated.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for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por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상기 결합부는 후크결합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후크결합구조의 양측에는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는, 상기 후크결합구조의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 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in a hook coupling structure,
Rotation prevention grooves or rotation prevention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coupling structure,
The fluid supply unit, the anti-rotation groove or anti-rotation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anti-rotation protrusion of the hook coupling structure is formed to extract a beverage from a beverage raw material contain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작동 전 상기 캡슐가압부재가 상기 상부칼날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luid supply unit, the capsule pressing member is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 blade member.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체공급 유닛 사이에 설치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슐 홀더에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경보 발생, 세척 및 작동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The control unit, when the fluid supply unit is relatively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containing capsule is not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a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o perform at least one of alarm generation, washing, and operation stop A device for extracting beverages from capsules containing raw materi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35A KR102259987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35A KR102259987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10A KR20210059510A (en) | 2021-05-25 |
KR102259987B1 true KR102259987B1 (en) | 2021-06-02 |
Family
ID=7614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7035A KR102259987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998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1391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KR20230111388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8280B2 (en) * | 2003-02-07 | 2009-07-01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Extraction module with a linear closure for the preparation of pressurized beverages from capsule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4004314B4 (en) * | 2004-01-28 | 2014-05-15 | Tchibo Gmbh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chine |
ITFI20070028A1 (en) * | 2007-02-07 | 2008-08-08 | Saeco Ipr Ltd | INFUSION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DRINKS FROM SINGLE-DOSE CAPSULES WITH A CAPSULES CENTERING DEVICE. |
CN201727359U (en) | 2010-05-07 | 2011-02-02 |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 Extraction mechanism of coffee capsule |
KR102292859B1 (en) * | 2014-09-12 | 2021-08-25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with coffee brewing function having sensor for sensing capsule hold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983339B1 (en) * | 2017-07-20 | 2019-05-28 | 정우연 | Beverage maker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7035A patent/KR1022599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8280B2 (en) * | 2003-02-07 | 2009-07-01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Extraction module with a linear closure for the preparation of pressurized beverages from capsule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1391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KR20230111388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KR102633794B1 (en)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KR102633793B1 (en)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10A (en) | 202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28345B1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 |
EP1700548B2 (en) | Beverage production system | |
US7059239B2 (en)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FI84225C (en) | ANORDINATION FOR EXTRAHERING AV EN SATSPATRON. | |
JP5902681B2 (en) |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by applying centrifugal force | |
KR102259987B1 (en)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
EP1890579B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 |
RU2380999C2 (en) | System of coffee-making machine and portion capsule | |
EP2451323B1 (en) | Funnel-shaped filter for a moka and moka | |
EP3089635B1 (en) | Beverage machine | |
US5964142A (en) | Coffee dispensing device | |
KR102259986B1 (en)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
KR20130121182A (en) | Beverage/food product preparation systems | |
WO2012001106A2 (en) | Programming connector for beverage capsules, beverage capsules and kit of capsules and programming connectors | |
EP1753328B1 (en) | Device for producing a brew of an aromatic vegetable substance and cartridge containing said aromatic vegetable substance | |
KR101880391B1 (en) | Low temperature espresso extractor | |
KR102419517B1 (en) | Coffee drink brewing device | |
KR101489809B1 (en) | The automatic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mart extracting device | |
JP2014050578A (en) | Beverage extractor | |
CN208610620U (en) | A kind of capsule coffee machine | |
WO2021101456A1 (en) | Reusable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