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25B1 -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 Google Patents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25B1
KR102259525B1 KR1020210013870A KR20210013870A KR102259525B1 KR 102259525 B1 KR102259525 B1 KR 102259525B1 KR 1020210013870 A KR1020210013870 A KR 1020210013870A KR 20210013870 A KR20210013870 A KR 20210013870A KR 102259525 B1 KR102259525 B1 KR 10225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ing chamber
firing
fir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길
Original Assignee
송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길 filed Critical 송인길
Priority to KR102021001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41Chamber type furnaces specially adapted for burning bricks or pott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83Chamber type furnaces with means for circulating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2017/0091Series of chambers, e.g. associated in thei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소성실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소성실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된 도어를 통해 안정적으로 화기를 배출하며 도자기기물의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Pottery kiln with double doors}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소성실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소성실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된 도어를 통해 안정적으로 화기를 배출하며 도자기기물의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가마는 제작된 기물의 고성 및 용융 등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도자기 가마는 하나의 소성실에서 초벌구이와 재벌구이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종래의 도자기 기물 제조방식을 살펴보면, 먼저 성형작업을 거쳐 건조된 도자기 기물이 소성실의 내부로 반입된 후 약 800~850℃ 가열된 온도에서 초벌구기가 이루어진 후,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한 뒤 다시 소성실의 내부로 반입시켜 약 1200~1350℃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재벌구이가 수행된다.
이때, 하나의 소성실을 이용하여 초벌구이와 재벌구이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초벌구이에 적당한 온도를 가열하는 데에는 대략 5시간이 소요되고, 재벌구이에 적당한 온도를 가열하는 데에는 대략 6~7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초벌구이와 재벌구이 사이에 도자기 기물에 유악을 도포하기 위해 소성실을 개방함에 따라 내부온도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재 가열하기 위한 시간 및 연료가 소모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이중 구조 가마"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복수 개의 소성 공간을 제공하는 이중 구조 가마를 제공하기 위해, 화구로부터 열기가 제공되는 제 1소성부와, 상기 제 1소성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2소성부와, 상기 제 1, 2소성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2소성부를 연통시켜 상기 열기가 제 1소성부로부터 제 2소성부로 제공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소성실 및 상기 연결부에 일측이 연통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소성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도(煙道) 및 상기 제 2소성부와 상기 연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소성부로부터 상기 제 2소성부로 제공되는 열기 또는 상기 제 1소성부로부터 상기 연도로 제공되는 열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도자기 기물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열 손실 및 자원의 낭비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가스의 배출량이 감소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단순히 공급된 화기를 순차적으로 순환시켜 배출하나, 제 1소성부 및 제 2소성부의 도어를 개폐시 한번에 뜨거운 화기가 배출되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를 개폐하여도 화기가 순환되어 제1 소성부와 제2소성부의 화기가 배출되어 내부온도가 하강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988호(2014.10.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기물의 초벌 및 재벌구이가 이루어지는 소성실의 상,하단에서 개폐되는 이중도어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화기를 최소화하면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도자기기물을 반출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의 도어를 먼저 개방한 후, 상단도어를 개방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화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화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된 소성실에서 유동하는 화기를 차단하여 내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시 소성실 외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에 배치된 제1소성부와, 우측에 배치된 제2소성부가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소성부와 상기 제2소성부를 연결하여 화기가 유동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소성실; 상기 소성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성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부; 상기 소성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소성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부;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를 상기 소성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는 상기 소성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는 상기 소성실의 상단부분에 배치된 상단도어와 상기 소성실의 하단부분에 배치된 하단도어가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소성실의 상기 소성부의 좌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1화기홀이 형성되며, 유입된 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굴뚝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소성실은 상의 소성부 우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2화기홀이 형성되며, 유입된 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굴뚝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소성실의 중앙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상단도어 및 상기 하단도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성실의 중앙부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잠금부재와, 상기 소성실의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양측면에 상기 잠금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잠금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성실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와 교차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의 개폐시 상기 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부와 대응하는 유동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바가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소성실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이 상기 소성실의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상기 소성실 사이에서 상기 누름판의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을 상기 소성실과 이격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는 가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는, 상기 상단도어의 내면에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된 제1단열부재와, 상기 하단도어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1단열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2단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성실의 양측 및 상부 외면에 설치된 냉각관과, 상기 상기 냉각관의 끝단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냉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소성실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의 개폐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따르면, 도자기기물의 초벌 및 재벌구이가 이루어지는 소성실의 상,하단에서 각각 개폐가능한 상단도어 및 하단도어의 이중도어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화기를 최소화하면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도자기기물을 반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단도어를 먼저 개방한 후, 상단도어를 개방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화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화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시 연결부를 차단하여 제1소성부 및 제2소성부로 유동하는 화기를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도가지기물을 반출할 수 있으며, 소설실의 내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시 소성실 외부에 냉각수가 순환하여 외부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성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단열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성실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단열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소성실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소성실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된 도어를 통해 안정적으로 화기를 배출하며 도자기기물의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단에 배치된 도어를 통해 화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도가자기기물을 용이하게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소성실(10), 제1도어부(20), 제2도어부(30) 및 고정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성실(10)은 좌측에 배치된 제1소성부(11)와, 우측에 배치된 제2소성부(14)가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를 연결하여 화기가 유동하는 연결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부(20)는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성부(11)를 개폐한다.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소성부(14)를 개폐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를 상기 소성실(1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소성실(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는 상기 소성실(10)의 상단부분에 배치된 상단도어(TD)와 상기 소성실(10)의 하단부분에 배치된 하단도어(BD)가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양측에 제1 및 제2 소성부(10)가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소성부(10)에 제1 및 제2 도어부(20,30)가 각각 배치되어 개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도어부(20,30)는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소성실(10)의 상단과 하단부분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소성실(10)의 화기 배출을 최소화 하며, 용이하게 도자기기물을 반입 및 반출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소성실(10)은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가 양측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소성부(11)의 상기 소성실(10)의 좌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1화기홀(12)이 형성되며, 유입된 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굴뚝(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소성부(14)은 상기 소성실(10) 우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2화기홀(15)과 유입된 화기를 배출하는 제2굴뚝(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에는 성형된 도자기기물이 반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화기홀(12,15)을 통해 공급되는 화기에 의해 가열되어 초벌 및 재벌구이의 작업이 수행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제1 및 제2 소성부(1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자기기물이 반입 및 반출한다.
이러한 상기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는 상호 대칭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소성부(10)에 결합되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의 이중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어부(20)는 상기 상단도어(TD)와 상기 하단도어(BD)가 상기 제1소성부(11)에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제1도어부(20)와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소성부(14)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는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를 통해 하단과 상단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성실(10) 내면에는 세라믹 울, 내화벽돌, 단열벽돌 등을 통해 단열이 이루어져, 내부로 유입된 화기가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소성실(10)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를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41) 및 잠금판(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소성실(10)의 중앙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성실(10)의 중앙부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소성실(10)의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양측면에 상기 잠금부재(41)가 삽입되는 고정턱(4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잠금판(42)은 상기 소성실(10)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에 맞춰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에 각각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의 상기 상단도어(TD)에 각각 형성된 상기 잠금부재(41)는 상단에 위치한 상기 잠금판(42)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의 상기 하단도어(BD)의 각각 형성된 상기 잠금부재(41)는 하단에 위치한 상기 잠금판(4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잠금판(42)은 상기 소성실(10)에서 돌출된 끝단에서 양측면으로 돌출된 고정턱(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에서 상기 잠금판(42)의 동일선상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턱(42a)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소성부(11) 및 상기 제2소성부(14)에 설치된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를 각각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도어(TD)의 내면에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된 제1단열부재와, 상기 하단도어(BD)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1단열부재(21)가 안착되는 안착홈(H)이 형성된 제2단열부재(3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단도어(TD)의 상기 제1단열부재(21)는 하단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상기 하단도어(BD)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하단도어(BD)의 상기 제2단열부재(31)는 상기 제1단열부재(21)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안착홈(H)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단도어(BD)를 먼저 개방한 후, 상기 상단도어(TD)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상단도어(TD)와 상기 하단도어(BD) 사이의 틈으로 화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소성실(10)의 내부 열기가 하단부터 배출한 후, 상단을 배출하면서 안정적으로 도자기기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단열부재(31)는 세라믹 울, 내화벽돌, 단열벽돌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성실(10)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기가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17)와 교차되는 가이드홈(18)과, 상기 가이드홈(18)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폐시 상기 연결부(17)를 개폐하는 개폐수단(5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가이드홈(18)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결부(17)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화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51), 누름판(52), 탄성부재(53) 및 가압판(54)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앞서, 상기 가이드홈(18)은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17)를 관통되어 후면방향으로 함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1)는 상기 가이드홈(1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부(17)와 대응하는 유동홈(5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홈(18)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바(5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51)는 상기 가이드홈(1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부(17)에 대응하는 유동홈(51a)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누름판(52)은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이 상기 소성실(10)의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어 상기 연결바(51b)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누름판(52)은 중앙부분은 상기 가이드부재(51)의 전면으로 노출된 타측과 연결되며 "
Figure 112021012549536-pat00001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누름판(52)의 단면형상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51)를 상기 가이드홈(18)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판(52)은 상기 소성실(10)의 전면 배치되되, 상기 잠금판(42)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1)의 위치에 의해 상기 누름판(52)이 상기 잠금판(42)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누름판(52)에 상기 잠금판(42)의 삽입되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누름판(52)과 상기 소성실(10) 사이에서 상기 누름판(52)의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52)을 상기 소성실(10)과 이격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누름판(52)의 양측단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52)과 상기 소성실(10)을 이격시켜 상기 가이드부재(51)가 상기 소성실(10)의 외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판(54)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5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판(54)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부(20)는 상기 누름판(52)의 일측단을 가압하고,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누름판(52)의 타측단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성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화기가 전도되어 외면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냉각관(60), 체크밸브(61) 및 조절수단(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냉각관(60)은 상기 소성실(10)의 양측 및 상부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61)는 상기 냉각관의 끝단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냉각수의 유입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수단(62)은 상기 소성실(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폐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61)를 조절한다.
즉, 상기 냉각관(60)은 상기 소성실(10)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크밸브(61)를 통해 외부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시키되, 상기 체크밸브(61)는 상기 조절수단(62)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62)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방시 상기 체크밸브(61)를 개방시켜 냉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체크밸브(61)를 폐쇄하여 냉각수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수단(62)은 상기 누름판(52) 및 상기 탄성부재(53)와 동일한 구조를 통해 상기 체크밸브(61)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조절수단(62)은 "
Figure 112021012549536-pat00002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성실(10)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양측단에 탄성체를 통해 상기 소성실(10)의 외측을 향해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62)의 중앙부분은 상기 체크밸브(61)와 연결되어 가압시 상기 체크밸브(61)를 폐쇄하고, 이격시 상기 체크밸브(61)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상단에는 상기 조절수단(62)의 양측단을 가압하여 상기 체크밸브(61)를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수단(62)은 상기 개폐수단과 동일한 작동방식을 통해 상기 체크밸브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가 닫히면 상기 냉각관(6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차단하여 순환을 방지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 개방되면 냉각수가 유입되어 순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소성실(10)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방시 냉각수가 순환되어 외부온도를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소성실(1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소성부(11)에는 상기 제1도어부(20)가 상기 제2소성부(14)에는 상기 제2도어부(30)가 각각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도어부(30)는 상기 상단도어(TD)와 상기 하단도어(BD)로 구성된 이중도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단도어(TD)와 상기 하단도어(BD)는 상기 제1단열부재(21) 및 상기 제2단열부재(31)를 통해 상기 하단도어(BD) 개방 후, 상기 상단도어(TD)가 개방시켜 상기 소성실(10)의 화기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자기기물을 반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성실(10)을 화기에 온도를 조절하여 반입된 도자기기물의 초벌 및 재벌구이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소성부(11) 및 상기 제2소성부(14)는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가 개방되면 화기가 유동되고, 이중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수단을 통해 화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개폐수단(50)을 통해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가 전부 닫치면 상기 연결부(17)를 개방하여 화기가 유동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 중 어느 하난 또는 양측이 다 개방되면 상기 연결부(17)를 막아 화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51)는 상기 가이드홈(18)에 삽입되면 상기 유동홈(51a)과 상기 연결부(17)가 일치하여 상기 연결부(17)를 개방하며, 상기 가이드부재(51)가 상기 가이드홈(18)의 전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동홈(51a)이 상기 연결부(17)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부(17)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제1 및 제2도어부(30)가 동시에 닫힌 경우, 상기 연결부(17)를 개방하고, 이중 하나 또는 양측이 개방된 경우 상기 연결부(17)를 폐쇄하여 화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부(20)는 상기 누름판(52)의 상단을 가압하고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누름판(52)의 하단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52)은 상기 소성실(10)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1)가 상기 가이드홈(18)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유동홈(51a)과 상기 연결부(17)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기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누름판(52)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상기 소성실(10)과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1)는 상기 가이드홈(18)을 따라 외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유동홈(51a)은 상기 연결부(17)에서 이탈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1)를 통해 상기 연결부(17)를 폐쇄하여 화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가 동시에 개방된 경우, 상기 누름판(52)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상기 소성실(10)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52)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가 동시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 중 하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면 상기 연결부(17)를 차단하여 화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상기 제1소성실(10) 및 상기 제2소성실(10)을 순환하는 화기를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도자기기물을 반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성실(10) 외부에 설치된 상기 냉각관(60)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조절수단(62)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소성실(10) 외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수단(62)은 상기 개폐수단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상기 소성실(10)과 밀착 또는 이격되어 상기 체크밸브(61)를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냉각관(60)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외부온도는 낮추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 닫히면 상기 냉각관에 공급되는 냉각수를 차단하여 상기 소성실(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의 상기 하단도어(BD)는 상기 개폐수단을 가압하여, 화기가 상기 제1 및 제2 소성부(10)를 상호 유동하는 것을 개폐하며, 상기 상단도어(TD)는 상기 체크밸브를 조절하여 냉각수의 순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성실(10)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20,30)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여도, 한번에 화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및 제2 소성부(10)의 화기를 유지하여 재 가열시 시간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발생되는 화기를 편리하게 냉각하여 고온의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소성실 11: 제1소성부 12: 제1화기홀
13: 제1굴뚝 14: 제2소성부
15: 제2화기홀 16: 제2굴뚝
17: 연결부 18: 가이드홈
20: 제1도어부 21: 제1단열부재
30: 제2도어부 31: 제2단열부재
40: 고정수단 41: 잠금부재 42: 잠금판
42a: 고정턱
50: 개폐수단 51: 가이드부재 51a: 유동홈
51b: 연결바 52: 누름판
53: 탄성부재 54: 가압판
60: 냉각관 61: 체크밸브 62: 조절수단
TD: 상단도어 BD: 하단도어 H: 안착홈

Claims (6)

  1. 좌측에 배치된 제1소성부(11)와, 우측에 배치된 제2소성부(14)가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소성부(11)와 상기 제2소성부(14)를 연결하여 화기가 유동하는 연결부(17)가 형성된 소성실(10);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성부(11)를 개폐하는 제1도어부(20);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소성부(14)를 개폐하는 제2도어부(30);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를 상기 소성실(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소성실(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는 상기 소성실(10)의 상단부분에 배치된 상단도어(TD)와 상기 소성실(10)의 하단부분에 배치된 하단도어(BD)가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제1소성부(11)의 상기 소성실(10)의 좌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1화기홀(12)이 형성되며, 유입된 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굴뚝(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소성부(14)는 상의 소성실(10) 우측하단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제2화기홀(15)이 형성되며, 유입된 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굴뚝(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소성실(10)의 중앙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상단도어(TD) 및 상기 하단도어(BD)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성실(10)의 중앙부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잠금부재(41)와,
    상기 소성실(10)의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양측면에 상기 잠금부재(41)가 삽입되는 고정턱(42a)이 형성된 잠금판(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17)와 교차되는 가이드홈(18)과,
    상기 가이드홈(18)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폐시 상기 연결부(17)를 개폐하는 개폐수단(50)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가이드홈(1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부(17)와 대응하는 유동홈(5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홈(18)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바(51b)가 형성된 가이드부재(51)와,
    상기 소성실(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이 상기 소성실(10)의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어 상기 연결바(51b)와 연결되는 누름판(52)과,
    상기 누름판(52)과 상기 소성실(10) 사이에서 상기 누름판(52)의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52)을 상기 소성실(10)과 이격시키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5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는 가압판(5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상단도어(TD)의 내면에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된 제1단열부재(21)와,
    상기 하단도어(BD)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1단열부재(21)가 안착되는 안착홈(H)이 형성된 제2단열부재(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10)의 양측 및 상부 외면에 설치된 냉각관(60)과,
    상기 냉각관(60)의 끝단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냉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체크밸브(61)와,
    상기 소성실(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20) 및 상기 제2도어부(30)의 개폐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61)를 조절하는 조절수단(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KR1020210013870A 2021-02-01 2021-02-01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KR10225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70A KR102259525B1 (ko) 2021-02-01 2021-02-01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70A KR102259525B1 (ko) 2021-02-01 2021-02-01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25B1 true KR102259525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870A KR102259525B1 (ko) 2021-02-01 2021-02-01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589A (ko) * 2004-03-09 2005-09-14 한성석 도어 잠금장치
KR20070058394A (ko) * 2007-04-23 2007-06-08 이원길 황토항아리를 이용한 간접가열방식 훈제불가마장치
KR20110004769A (ko) * 2009-07-08 2011-01-14 계영수 이중구조 가마
KR20120057990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74988Y1 (ko) 2013-04-17 2014-10-28 계영수 이중 구조 가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589A (ko) * 2004-03-09 2005-09-14 한성석 도어 잠금장치
KR20070058394A (ko) * 2007-04-23 2007-06-08 이원길 황토항아리를 이용한 간접가열방식 훈제불가마장치
KR20110004769A (ko) * 2009-07-08 2011-01-14 계영수 이중구조 가마
KR20120057990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74988Y1 (ko) 2013-04-17 2014-10-28 계영수 이중 구조 가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6002C (en) Kilns for processing ceramics and methods for using such kilns
KR102259525B1 (ko) 이중도어를 구비한 도자기가마
KR101148382B1 (ko) 이중구조 가마
CN201212049Y (zh) 自动加热淬火真空气氛炉
CN215524179U (zh) 一种耐热板可替换的电窑炉
ITMI951919A1 (it) Mattone di parete refrattario per un canale del fumo di un forno a camere anulare aperto
KR100392990B1 (ko) 이중 도자기 가마
KR102259545B1 (ko) 화기 순환이 가능한 이중구조 가마
KR200474988Y1 (ko) 이중 구조 가마
JP3263847B2 (ja) セラミックス焼成炉
KR102259543B1 (ko) 이중가마의 높이조절장치
US20110115137A1 (en) Retort Furnace for Heat Treating Metal Workpieces
JP2019109018A (ja) 自己伸長性を有する成型物
KR101796458B1 (ko) 장작 가마의 댐퍼
CN216770156U (zh)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智能隧道窑
WO2004038315A1 (ja) 連続式焼成炉
JP2020186298A (ja) コークス炉の乾燥方法
US20190086150A1 (en) Dental furna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dental furnace
CN213021045U (zh) 一种用于烧壳的节能焙烧炉
KR960010019B1 (ko) 롤러노상로
JP2006258398A (ja) 素焼き室を備えた陶芸窯
JP2004163094A (ja) 移動式焼成炉とその焼成炉を用いた移動式焼成炉装置、及びその装置の使用方法
KR19990036108A (ko) 가열방법및장치
CN211012509U (zh) 烟道机构及节能烧结炉
KR200449086Y1 (ko) 도자기 소성용 가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