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24B1 - Multi hand car - Google Patents

Multi hand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24B1
KR102259524B1 KR1020200147285A KR20200147285A KR102259524B1 KR 102259524 B1 KR102259524 B1 KR 102259524B1 KR 1020200147285 A KR1020200147285 A KR 1020200147285A KR 20200147285 A KR20200147285 A KR 20200147285A KR 102259524 B1 KR102259524 B1 KR 10225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ar
auxiliary support
frame
support par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서영
한성현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양서영
이준서
한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서영, 이준서, 한성현 filed Critical 양서영
Priority to KR102020014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05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discrete positions, e.g. in extreme exten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4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box-shaped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hand car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comprising: a support frame provided with a wheel at a lower portion and a handle on an upper portion; a main support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a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loaded with an object on an upper surface;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Description

멀티 핸드 카{MULTI HAND CAR}Multi-hand car {MULTI HAND CAR}

본 발명은 멀티 핸드 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hand car.

일반적으로 핸드 카는 다양한 물건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손잡이와 바퀴가 달린 메일 프레임과,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a hand car is one of means for conveniently transporting various goods by loading, and may be composed of a mail frame having a handle and wheels, and a loading plate on which the goods are loaded.

그러나, 일반적인 핸드 카는 하나의 적재판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적재판에 결합된 바구니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깨지거나 뭉개져 훼손이 쉽게 발생하는 상품과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단단한 포장재질을 포함하는 상품을 함께 적재판에 놓거나 바구니에 담으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상품의 파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a general hand car has a single loading plate or includes a basket coupled to the loading plate, products that are easily damaged by being broken or crushed and products containing hard packaging materials such as glass and plastic are included toge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 to products with relatively weak strength occurred when placed on a loading plate or put in a basket.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상품을 서로 다른 위치에 적재하거나 담아 운반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의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means for loading or carrying goods having different strengths in different posi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상품과 강도가 강한 상품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핸드 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load or store easily broken or damaged goods and strong goods, respectively,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loading efficiency and storage efficiency. We would like to provide a multi-hand car tha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는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멀티 핸드 카로서,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메인 받침부; 및 상기 메인 받침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보조 받침부를 포함한다.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hand car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comprising: a support frame provided with wheels at a lower portion and a handl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a main support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on which an object is loaded;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립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직립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직립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a pair of upright frame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pair of the upright frames;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upright frame and mov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right frame.

또한, 상기 직립 프레임은,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righ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직립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구비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를 상기 직립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upright frame; And 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rovided with the body,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body to the upright frame.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disposed to surround a partial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and includes an elastic body connecting the body and the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보조 받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힌지 결합되되, 상기 메인 받침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 또는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part, doedoe hin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part or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조 받침부는, 저면부 및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접이수단이 구비되어,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olding means on the bottom and side portions, so that it can be unfolded to have a space for loading good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핸드 카는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상품과 강도가 강한 상품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ad or store easily broken or damaged products and products with strong strength, respectivel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loading efficiency, and storage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의 보조 받침부가 펼쳐지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briefly explaining 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of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nother ca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which are specified. will,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의 보조 받침부가 펼쳐지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briefly explaining 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ide of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part of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unfold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는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멀티 핸드 카로서, 지지 프레임(100), 메인 받침부(200) 및 보조 받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 a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hand car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and includes a support frame 100 , a main support part 200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30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지지 프레임(100)은 하부에 바퀴(500)가 구비되고, 상부에 손잡이(400)가 구비된다.The support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wheel 500 at a lower portion, and a handle 4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또한, 지지 프레임(10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립 프레임(110), 한 쌍의 직립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20), 상기 직립 프레임(110)에 결합되되, 상기 직립 프레임(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결부(1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00 is coupled to a pair of upright frames 110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art 120 connecting the pair of upright frames 110, and the upright frame 11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20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right frame 110 .

상기 직립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가진 원통 형상 및 사각막대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pright fram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have any on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a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직립 프레임(110)은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111)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right fram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상기 제 1 연결부(120)는 직립 프레임(110)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한 쌍의 직립 프레임(11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직립 프레임(110) 사이에 1개의 제 1 연결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right frame 110, is formed to connect the pair of upright frames 110, between the pair of upright frames 1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formed in the , but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if necessary.

더하여, 상기 제 1 연결부(1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400)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handle 40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so that a user can provide a frictional force to his or her hand.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직립 프레임(110)에 결합되되, 직립 프레임(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coupled to the upright frame 110 , and may be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right frame 110 .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보조 받침부(300)와 직립 프레임(1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받침부(300)와 힌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connect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and the upright frame 110 , and is hinge-coupled to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

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상기 보조 받침부(300)가 상기 직립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allow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right frame 110 .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직립 프레임(11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에 구비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131)를 상기 직립 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3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body 131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pright frame 110 and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body 131 , and the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body 131 .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132 for fixing to the upright frame (110).

이 때, 상기 체결수단(132)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의 막대기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132)은 일단에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구 형상의 손잡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13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rod. 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132 may further include a spherical handle portion (not shown)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at one end.

더하여,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상기 체결수단(132)의 외주면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몸체(131)와 상기 체결수단(132)을 연결하는 탄성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133 that is disposed to surround a partial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132 , and connects the body 131 and the fastening means 132 . .

한편, 탄성체(133)의 선단은 상기 체결수단(132)의 외주면과 고정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몸체(131)의 내주면과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133)는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body 13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132 , and the rear e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1 , and the elastic body 133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s coupled to

더하여, 상기 탄성체(133)는 사용자가 상기 통공에 삽입된 체결수단(132)을 잡아당겼을 때, 압축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잡아당겨진 체결수단(132)이 다시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133 may be a compression spring capable of resisting compressive stress when the user pulls the fastening means 13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ccordingly, the fastening means pulled by the user ( 132)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be inserted back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메인 받침부(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이 적재된다.The main support part 2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00 , and an objec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상기 메인 받침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2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제 2 연결부(130)와 힌지 결합되되, 상기 메인 받침부(2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 또는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한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is hinge-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of the support frame 100 , and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 horizontal to the main support part 200 .

또한,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저면부 및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접이수단이 구비되어,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olding means on the bottom and side parts, so that it can be unfolded to have a space for loading things.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접이식 상자로, 상면이 개방된 경질의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되며, 내측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s a foldable box, provided in the form of a hard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items may be formed therein.

더하여,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폴리 플로필렌, 폴리 카보네이트 및 ABS 수지와 같은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보조 받침부(300)의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면인 저면부와 측면부는 내측으로 부드럽게 접힐 수 있도록 연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s provided including a synthetic resin of a hard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olycarbonate, and ABS resin,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that are folded or unfolded surfaces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300 are the inner sid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 soft manner so that it can be folded gently.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에서 보조 받침부(300)의 높이 조절방식에 대해 설명한다.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a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n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한 쌍의 직립 프레임(110)은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111)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직립 프레임(110)은 제 2 연결부(13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상기 직립 프레임(110)의 관통공(111)과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몸체(131)에 구비된 통공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11)과 상기 통공에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체결수단(132)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0, a pair of upright frames 110 of the support frame 100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upright frame 11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the through hole 111 of the upright fram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 )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body 131 coincides with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means 132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through hole to be fitted. can

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130)와 힌지 결합되는 보조 받침부(300)는 복수 개의 관통공(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된다.Accordingly,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hinged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fix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

더하여, 사용자는 상기 체결수단(132)을 당겨 상기 직립 프레임(110)의 관통공(111)으로부터 상기 체결수단(132)을 분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 다른 관통공(111)과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몸체(131)에 구비된 통공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시킨다.In addition, the user pulls the fastening means 132 to separate the fastening means 132 from the through-holes 111 of the upright frame 110, and the other through-holes 111 and the first 2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body 131 of the connection part 130 ar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이후, 사용자가 상기 체결수단(132)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체(133)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체결수단(132)이 다른 관통공(111)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fastening means 132 , the fastening means 132 may be inserted into another through hole 111 to be fitt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33 .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는 보조 받침부(300)가지지 프레임(100)의 일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보조 받침부(300)를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로 이동시켜 결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물건을 서로 다른 위치에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받침부(300)를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로 이동시켜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받침부(300)와 메인 받침부(200)를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보관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one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s moved to the support frame 100 . When combined by moving it upward, object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stored in different positions, and when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and combine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 300) and the main support unit 2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so that the ease of storage can be ensured.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에서 보조 받침부(300)의 형상변화에 대해 설명한다.Again,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in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평소에는 상기 메인 받침부(200)의 상측에 상기메인 받침부(20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main support part 200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200 .

만약, 사용자가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싣는 경우나 서로 다른 물건을 층층이 쌓아 싣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받침부(300)를 상기 메인 받침부(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If, when the user puts an easy-to-fall object or when stacking different objects layer by layer,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part 200 .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보조 받침부(300)의 정면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보조 받침부(300)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된 접이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천장부가 개방된 형태의 빈 공간이 마련된 접이식 상자의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pulls the front of the auxiliary support 300, the auxiliary support 300 through the fold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300 has an open ceiling. It can be unfolded in the shape of a folding box with an empty space provided.

한편, 사용자는 펼쳐진 보조 받침부(300)의 정면부를 가압하면, 상기 보조 받침부(300)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된 접이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 받침부(300)는 플랫한 형상으로 접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front part of the expanded auxiliary support part 300 ,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is folded into a flat shape through the fold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and side parts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300 . can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는 보조 받침부(300)가 접이수단을 통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unit 300 can be unfolded or folded through the folding means, it is possible to maximize convenience in us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핸드 카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The multi-hand c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abov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specified by combining or 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지 프레임
200: 메인 받침부
300: 보조 받침부
100: support frame
200: main support
300: auxiliary support

Claims (7)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멀티 핸드 카로서,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메인 받침부; 및
상기 메인 받침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보조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받침부는,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면인 저면부와 측면부는 내측으로 부드럽게 접힐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마련되고,
저면부 및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접이수단이 구비되어,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펼쳐지되,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정면부를 잡아당기면, 저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된 접이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 받침부는 천장부가 개방된 형태의 빈 공간이 마련된 접이식 상자의 형상으로 펼쳐지는 멀티 핸드 카.
As a multi-hand car to load and transport goods,
a support frame provided with a wheel at the lower portion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 main support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on which an object is loaded; and
Doedo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including an auxiliary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The auxiliary support part,
It is provided to include a synthetic resin of a hard material, and the bottom and side parts, which are the folded or unfolded surfaces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are provided with a soft synthetic resin so that they can be gently folded inward,
At least one fold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ottom and side parts, and unfolds to have a space for loading things, and when the front part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is pulled, the auxiliary support part is A multi-hand car that unfolds in the shape of a folding box with an open ceiling and empty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립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직립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직립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멀티 핸드 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frame is
a pair of upright frame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pair of the upright frames; and
Doedoe coupled to the upright frame, the multi-hand car including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right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프레임은,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멀티 핸드 카.
The method of claim 2,
The upright frame is
A multi-hand car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직립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구비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를 상기 직립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핸드 카.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upright frame; and
The multi-hand car including a fastening mean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rovided with the body and fixing the body to the upright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멀티 핸드 카.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multi-hand car disposed to surround a partial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and including an elastic body connecting the body and the fasten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힌지 결합되되, 상기 메인 받침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 또는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멀티 핸드 카.
The method of claim 5,
The auxiliary support part,
A multi-hand car that is hinge-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 horizontal to the main support part.
삭제delete
KR1020200147285A 2020-11-06 2020-11-06 Multi hand car KR102259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85A KR102259524B1 (en) 2020-11-06 2020-11-06 Multi hand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85A KR102259524B1 (en) 2020-11-06 2020-11-06 Multi hand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24B1 true KR102259524B1 (en) 2021-06-02

Family

ID=7637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285A KR102259524B1 (en) 2020-11-06 2020-11-06 Multi hand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2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48Y1 (en) * 2002-08-31 2002-11-18 김민경 Handcart for goods transport
DE10159706A1 (en) * 2001-12-05 2003-06-18 Drueke Claudia Collapsible transport cart has hinges, hinge bushes, and axle, to pivot wheels and additional wheels into space within frame, for space-saving stowage
KR200431219Y1 (en) * 2006-08-26 2006-11-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Hand car
WO2012071590A2 (en) * 2010-11-26 2012-05-31 Cartable, Inc. Multi-functional collapsible wheeled apparatus
KR101507963B1 (en) * 2013-12-04 201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KR20200053956A (en)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두리인텍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9706A1 (en) * 2001-12-05 2003-06-18 Drueke Claudia Collapsible transport cart has hinges, hinge bushes, and axle, to pivot wheels and additional wheels into space within frame, for space-saving stowage
KR200295648Y1 (en) * 2002-08-31 2002-11-18 김민경 Handcart for goods transport
KR200431219Y1 (en) * 2006-08-26 2006-11-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Hand car
WO2012071590A2 (en) * 2010-11-26 2012-05-31 Cartable, Inc. Multi-functional collapsible wheeled apparatus
KR101507963B1 (en) * 2013-12-04 201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KR20200053956A (en)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두리인텍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3690B (en) Collapsible box
US20060249404A1 (en) Transparent travel hatbox
US6938789B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KR102259524B1 (en) Multi hand car
US1126760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a fold down multiple cavity divider
CA2959825A1 (en) Nestable hamper with multi-segmented lid
JP6814340B1 (en) suitcase
JP6712195B2 (en) Partition of container
KR102417237B1 (en) Foldable folding box with its own resilience on the inner side
KR101815280B1 (en) Packing Box
KR20120079311A (en) Storage box
KR200495761Y1 (en) Hinged Type Integral Bag
KR101277459B1 (en) Foldable container
GB2462099A (en) Luggage with a collapsible frame
CN209931707U (en) Foldable traveling case
CN114727691A (en) Folding bag
CN218704828U (en) Packing carton of box cover integral type
KR101643596B1 (en) Box with cushioner and tensioner
CN218143314U (en) Finished anti-collision transfer device for corrugated boards
JP3236640U (en) Delivery box
TWM546374U (en) Device to be folded and stored easily
JPH09328162A (en) Container for transport of thin plate
JPH04124919U (en) Container with foldable stand
KR20150129547A (en) Movable storage apparatus
JP3204930U (en) Business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