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717B1 -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717B1
KR102258717B1 KR1020210053855A KR20210053855A KR102258717B1 KR 102258717 B1 KR102258717 B1 KR 102258717B1 KR 1020210053855 A KR1020210053855 A KR 1020210053855A KR 20210053855 A KR20210053855 A KR 20210053855A KR 102258717 B1 KR102258717 B1 KR 10225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burner
log burner
complexing agen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광희
Original Assignee
권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광희 filed Critical 권광희
Priority to KR102021005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7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5Lo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6Firelighters or wicks, as additive to a sol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0Coating of a fuel as a whole or of a fue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og burner.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log burner (1)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having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center, wherein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10)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stacked above the first log burner (1) and having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center thereof. In the air hole (20), an inclined body (62) having a tapered left and right wide shap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or removed and reused is provided. At the left end thereof, a rectangular fixing groove (63)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body. At the right end thereof, a plurality of air control dampers having air control plates (61)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combustion holes can be plac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ccordingly, a maximum burning time can be extended by selectively stacking log burners in succession as necessary.

Description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이 형성되며,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최대 연소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hole of a certain depth is formed from an upper center to a lower direction, an air hol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in which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absorb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A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layer is formed and coated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n a solid form at room tempera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and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vertically to extend the maximum combustion time. will be.

장작, 숯, 연탄, 석탄, 코크스 등의 고형연료는 액체, 기체연료보다 발화점이 높아 쉽게 착화되지 않지만 착화 된 이후에는 장시간 동안 연소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캠핑, 온실, 비닐하우스, 농장 등에서 연료로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Solid fuels such as firewood, charcoal, briquettes, coal, and coke are not easily ignited because they have higher ignition points than liquid and gaseous fuels, but after they are ignited, they are burned for a long time and are inexpensive. It is being used a lot.

최근에는 통나무 자체에 착화하여, 통나무 상부 면에 조리 기구를 직접적 올려놓고 연소구멍을 통해 올라오는 화력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통나무를 이용한 일회용 버너(log burner, candle log, stump stove 등)가 등장하여 캠핑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single-use burner (log burner, candle log, stump stove, etc.) that uses logs for cooking by igniting the log itself and using the heat rising through the combustion hole by placing cooking utensils directly on the top surface of the log has appeared. It is used for purposes such as camping.

이러한 고형연료는 착화되기까지 충분한 열량이 공급되어야 하고, 또한 이들 고형 연료는 통상 실외에 노출되거나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될 경우 연료 자체에 많은 습기가 포함되어 있어 착화되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될 뿐만 아니라, 초기 착화 시에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가스가 생성되어 방출되므로 고형연료를 착화시키는 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특히 참나무 등과 같이 송진 성분이 없는 통나무의 경우 초기 착화가 더 어려워 통나무 버너의 재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실정이고, 사용 후기에는 휘발유를 뿌려도 잘 착화가 안 된다는 올라올 정도로 착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송진과 같이 초기 착화를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된 소나무 등을 많이 사용하며, 이 경우 송진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se solid fuels must be supplied with sufficient heat to be ignited, and when these solid fuels are usually exposed to the outdoors or stored in a humid place, the fuel itself contains a lot of moisture, so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be ignited. In the initial ignition, since various harmful gases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generated and released, there i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igniting solid fu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gs without rosin components, such as oak, it is difficult to ignite in the early stage,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 material for a log burn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igni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well ignited even if gasoline is sprayed in the later stages of use. Therefore, pines, etc. containing a material that can help initial ignition, such as rosins, are often used,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soot or odor generated when the rosins burn is generated.

또한 통나무 버너에 연소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불씨가 올라오는 상부 부분부터 먼저 연소되어 조리 기구를 올려놓아야 하는 상부 부분이 먼저 소실되거나 연소구멍의 일 측에만 착화가 되어 일 측의 통나무 버너 자체의 형태가 무너지고 타 측은 남아있게 되어 지지 구조가 파괴됨으로써 버너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연소되지 않은 부분은 버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또는 공기구멍 부분이 먼저 연소되고 형태가 무너지면서 외부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화력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burning in the log burner, the upper part where the embers are directly burned is first burned, and the upper part where the cooking utensils should be placed is first burned out, or only one side of the combustion hole is ignited, and the shape of the log burner itself on one side is reduced. It collapses and the other side remains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destroy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burner loses its function and the unburned part is thrown away, or the air hole part is burned first and the shape collapses,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resulting in weak thermal power.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oss.

기존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59호(2016.04.05)에서는 통나무 버너에 공기 흡입구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 공기 흡입구에 불연재인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연소방지 링을 설치하였으며, 연소구에 복수의 연소 보조구 및 배기구를 추가로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버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연소방지 링을 구비하여, 공기 흡입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다른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으며, 착화를 용이하기 위해 파라핀 등의 가연성 물질을 충전하거나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심지를 사용하는 등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개시는 없다.As an existing technolog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459 (2016.04.05) has a log burner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air intakes, and a combustion prevention ring made of non-combustible metal, etc., is installed in the air intake. A log burner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bustion auxiliary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additionally installed, and th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air inlet by having a combustion prevention ring, but it solves the above other problems. There is no suggestion of a method, and a configuration such as filling a combustible material such as paraffin to facilitate ignition or using a wick to facilitate combustion is proposed, but there is no disclosure of a specific and efficient method.

실험결과 고체 파라핀을 코팅한 형태의 경우 코팅된 외부 면에서만 파라핀이 빠르게 연소되고 통나무에 적절하게 착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액체 파라핀을 충전 시킨 경우 착화는 잘 이루어지지만 보관 과정에서 하루만 지나도 액체 파라핀이 공기 중으로 소실되어 착화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case of the solid paraffin-coated form,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raffin burned quickly only on the coated outer surface and the log was not properly ignited. Liquid paraffin was lost to the air, resulting in a problem of losing the function of ignition.

또한 기존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7429호(2016.12.23.)에서는 고형연료용 착화제를 개시하면서, 구체적으로 고형 상태의 파라핀 왁스(Paraffin Wax)를 용기(Vessel)에 담아 45℃~65℃의 열을 가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파라핀으로 상(Phase) 변화시키는 파라핀 용융 단계와, 상기 파라핀 용융단계를 통해 상 변화된 액상의 파라핀에 크기 60mmㅧ90mmㅧ15mm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을 10분 동안 침지하여 섬유판의 공극 사이로 파라핀이 침투하도록 하는 섬유판 침지 단계와, 상기 섬유판 침지 단계를 통해 파라핀이 공극 사이로 스며든 섬유판을 용기에서 꺼내어 상온에서 1일 이상 건조시켜 착화제를 완성하는 섬유판 건조단계로 구성되는 고형연료 착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파라핀 왁스의 녹는점은 47℃(녹는점 약 47℃에서 64℃)로서 47℃ 이하의 온도로 내려가면 응고되기 때문에 공극 사이로 충분히 왁스가 침투하기 전에 응고가 일어날 수 있고, 파라핀이 응고되지 않더라도 10분 침지로는 충분한 침투가 일어나기 어려울 뿐 아니라(24시간 이상 침지가 필요함) 파라핀을 침지시키려는 나무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파라핀의 분자구조상 극성의 차이가 존재하여 잘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상기 중밀도 섬유판과 대비할 때 통나무의 경우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내부에 수분함유율이 더 높아 액체 착화연료를 흡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실제 착화 과정에서도 용융시킨 파라핀에 침지 시킨 후 응고시킨 경우 액체 착화제와 비교하여 점화력이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as an existing technology,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7429 (December 23, 2016) discloses a complexing agent for solid fuels, and specifically puts paraffin wax in a solid state in a vessel at 45°C. A paraffin melting step of changing the phase into liquid paraffin by applying heat of ~65°C, and a medium density fiberboard having a size of 60mm×90mm×15mm on the liquid paraffin phase-changed through the paraffin melting step. , MDF) is immersed for 10 minutes to allow paraffin to penetrate through the pores of the fiberboard, and the fiberboard immersed through the fiberboard immersion step to remove the fiberboard from the container and dry it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 day to remove the complexing agent. It proposes a solid fuel complexing agent composed of a drying step of the finished fiberboar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owever, since the melting point of paraffin wax is 47°C (melting point about 47°C to 64°C), it solidifies when it goes down to a temperature of 47°C or less, so solidification may occur before the wax penetrates sufficiently between the pores. Even if the paraffin does not solidify, Not only is it difficult to sufficiently penetrate with 10 minutes immersion (it is necessary to immerse for more than 24 hours), and when the tree to be immersed in paraffin contains mois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olarity due to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paraffin, so that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well. . In particular, when compared to the medium-density fiberboard, the log has a relatively high density and a higher moisture content inside, making it difficult to absorb liquid ignited fuel.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gnition power is weak compared to the liquid complexing agent when solidified after being immersed in melted paraffin even in the actual ignition proces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1366호(2020. 07. 30)에서는 공기구멍의 개선과 받침대, 손잡이 끝 등을 부가하고, 연소구멍의 개선으로 신속한 점화, 화염 가이드의 부가로 인하여 불꽃의 확산 등 사용상의 편리성과 연소의 원활화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개선된 통나무 버너를 개시하고 있으나 내부 형태가 복잡하여 가공이 어렵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주지는 못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41366 (2020. 07. 30), improvement of the air hole, support, and the tip of the handle were add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mbustion hole was used for rapid ignition, and the spread of flame due to the addition of a flame guide. Although an improved log burner has been disclo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nvenience and smooth combustion, the internal shape is complicated and processing is difficult, and the above problems have not been effectively solved.

또한, 종래의 통나무 버너는 1개를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로서 오랜 시간 연소될 수 없고, 연소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특별한 대책이 없었으며, 1개가 완전히 연소한 후 다시 새로운 통나무 버너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장해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사용자가 연소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새로운 통나무 버너를 사용하고 다시 착화과정이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og burner is a type that uses one alone, so it cannot be burned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no special measure to extend the combustion time, and a new log burner is used again after one is completely burned. Although it is being us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d to use a new log burner while watching the combustion process from the side and go through the ignition process agai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59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45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74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74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136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41366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켜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고른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고체 코팅제로 코팅하여,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최소화하며, 통나무 버너의 상부 또는 한쪽 부분만 연소되어 형태가 무너지거나 일부분이 남는 문제를 통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allow even combustion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by absorb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nd coating with a solid coating agent to minimize the loss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nd only the top or one part of the log burn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og burner that can minimize the waste of resources due to the problem of being burned out of shape or leaving a part of it.

또한, 복수 개의 통나무 버너를 수직상으로 적층시켜 최대 연소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og burner capable of extending the maximum combustion time by stacking a plurality of log burners vertically.

또한, 본 발명은 공기 구멍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절 댐퍼를 구비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 burner having an air conditioning damper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air hole.

그리고 본 발명은 통나무버너 내부를 안정적으로 착화되게 할 수 있는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 burner capable of stably igniting the interior of the log bur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바닥과 접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는 제1통나무버너(1); 및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고,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2)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3)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 공기조절 댐퍼가 구비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g burner,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the combustion hole 10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first log burner 1 having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10; And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g burner (1) and having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In 20),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or removed and reused, and a tapered left narrow right light-shaped inclined body 62 and a rectangular fixing groove 63 at the left end are formed along the inclined body, and the right end There is provided a log burner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damper in which the air conditioning plate 61 is formed.

이때, 상기 통나무 버너에는,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g burner includes the first log burner (1) so that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in a stacked state are vertically stacked and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And a fixing hold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log burner 2 or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2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in which a liquid complexing agent is absorb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coated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n a solid form at room temperatur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The first coating layer 4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액체 착화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에틸알코올이고, 상기 고체 착화제는 파라핀 왁스, 밀납, 대두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be paraffin oil or ethyl alcohol, and the solid complexing agen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affin wax, beeswax, soybean wax, and carnauba wax.

또한, 공기조절 댐퍼에는 가요성 금속 재질의 날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damp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lexible metal blade.

또한, 상기 연소구멍(10)의 상부 또는 공기구멍(20)에 삽입하여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탄성체 손잡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handle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air by being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hole 10 or the air hole 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wick 31 exposed to the air hole 20, the wick 31 contains a liquid complexing agent and the wick 31 A solid complexing agent may be coated on the outside.

또한, 상기 공기구멍의 내측 상기 심지의 상하부분에는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착화제를 더 구비되고, 액체파라핀이 침투되어 있는 착화제는 상기 심지와 접촉되는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lexing agent composed of one or more of activated carbon, lightning coal, or charcoal is further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ck inside the air hole, and the complexing agent into which the liquid paraffin is penetrated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wick. can do.

또한, 통나무 버너는 심지(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에 심지(31)가 촘촘하게 감겨진 착화심지지지틀을 추가로 구비하고, 통나무 버너의 연소구멍(10) 내부 일면에는 착화심지지지틀을 공기구멍(20)을 통해 삽입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 burner further includes an ignition core support frame in which the wick 31 is tightly wound at one end to fix the wick 31, and an ignition core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combustion hole 10 of the log burner. A fixing hol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by inserting it through the air hole 2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통나무버너에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의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 burn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U-shaped or C-shaped shape. Can be.

또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에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에는, 상부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log burner (1), either one of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is selected and installed, and , In the second log burner 2,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의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에는, 중심부분 일측에 ㄷ자 형태의 이동손잡이(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one handle 52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log burner 1, a U-shaped moving handle 53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연소구멍(10)은 상기 공기구멍(2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f the combustion holes 1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s 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바닥과 접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는 제1통나무버너(1); 및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g burner, the combustion hole 10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the combustion hole 10 is on one side. A first log burner (1) having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first log burner (1); And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g burner (1) and having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in which a liquid complexing agent including a surfactant is absorb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10),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coated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n a solid form at room temperatur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It provides a log burner in which the coating layer 40 is formed.

이때, 상기 통나무 버너에는,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g burner includes the first log burner (1) so that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in a stacked state are vertically stacked and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And a fixing hold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log burner 2 or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2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액체 착화제에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wt% 내지 5wt%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contain 0.1 wt% to 5 wt% of a surfactant based on the total weight.

또한, 상기 액체 착화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에틸알코올이고, 상기 고체 착화제는 파라핀 왁스, 밀납, 대두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be paraffin oil or ethyl alcohol, and the solid complexing agen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affin wax, beeswax, soybean wax, and carnauba wax.

또한, 상기 연소구멍(10)의 상부 또는 공기구멍(20)에 삽입하여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탄성체 손잡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handle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air by being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hole 10 or the air hole 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wick 31 exposed to the air hole 20, the wick 31 contains a liquid complexing agent and the wick 31 A solid complexing agent may be coated on the outside.

또한, 상기 공기구멍의 내측 상기 심지의 상하부분에는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착화제를 더 구비되고, 액체파라핀이 침투되어 있는 착화제는 상기 심지와 접촉되는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lexing agent composed of one or more of activated carbon, lightning coal, or charcoal is further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ck inside the air hole, and the complexing agent into which the liquid paraffin is penetrated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wick. Can be.

또한, 통나무 버너는 심지(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에 심지(31)가 촘촘하게 감겨진 착화심지지지틀을 추가로 구비하고, 통나무 버너의 연소구멍(10) 내부 일면에는 착화심지지지틀을 공기구멍(20)을 통해 삽입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 burner further includes an ignition core support frame in which the wick 31 is tightly wound at one end to fix the wick 31, and an ignition core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combustion hole 10 of the log burner. A fixing hol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by inserting it through the air hole 2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통나무버너에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의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 burn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U-shaped or C-shaped shape. Can be.

또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에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에는, 상부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log burner (1), either one of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is selected and installed, and , In the second log burner 2,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의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에는, 중심부분 일측에 ㄷ자 형태의 이동손잡이(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one handle 52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log burner 1, a U-shaped moving handle 53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연소구멍(10)은 상기 공기구멍(2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f the combustion holes 1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s 20.

한편, 상기 통나무 버너는, 복수 개가 적층될 경우 각 층별로, 참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log burners are stacked, each layer may be composed of one selected from oak, birch, and pine.

또한, 상기 제1통나무버너(1)는 소나무로 구성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는 참나무 또는 자작나무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g burner 1 may be made of pine, and the second log burner 2 may be made of oak or bir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나무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연소구멍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일정 시간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고체 착화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 내부 면에 투입하여 연소구멍 내부 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통나무의 일 측면에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나무 버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forming a combus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log to the lower direction, and absorb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combustion hole for a predetermined time by filling the combustion hole with a liquid complexing agent. After remov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heating and melting the solid complexing agent, putting it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to co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and forming an air hol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on one side of the log.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g burner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액체 착화제가 연소구멍 내부 면에 고르게 흡수되어 착화가 용이하면서도 통나무 버너 연소구멍의 일부 면에만 착화되어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evenly absorbed into the interio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so that ignition is eas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of the log burner from being collapsed by igniting only a portion of the combustion hole of the log burner.

또한 통나무 버너는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연소구멍이 동일 수직선상에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나무 버너를 연속해서 적층시켜 최대 연소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og burners are vertically stacked and the combustion holes are arranged to be placed on the same vertical line, the maximum combustion time can be extended by selectively stacking log burners as needed.

또한 복수 개로 적층될 경우 각 층별로 다양한 수종의 나무로 구성할 수 있고, 휴발성이 있는 나무는 착화에 유리하도록 하단에 배치하고, 상측으로는 오래 연소가 가능하고 연소 시 특유의 고유한 향을 낼 수 있는 수종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ultiple layers are stacked, each layer can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trees, and trees with volatile properties are placed at the bottom to facilitate ignition, and on the upper side, they can be burned for a long time and have a unique scent when burning. Various atmospheres can be created by arranging the species that can be produced.

또한 고체 착화제 코팅을 통해 흡수된 액체 착화제가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ed through the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can be prevented from disappearing into the air, and external air can be blocked through the handle 50 to more efficiently prevent the liquid complexing agent from disappearing.

액체 착화제를 공기구멍 전체 면이 아닌 하부의 일정 부분에만 흡수시켜 조리기구 들을 거치하는 상부 면이 먼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 중에도 양쪽에 있는 손잡이를 활용하여, 통나무 버너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absorbed in only a certain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air hole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s from being lost first, and even during cooking, the position of the log burner can be moved by using the handles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심지를 이용하여, 손쉽게 착화가 가능하며, 심지는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키고 고체 착화제로 코팅한 형태로서 고체 착화제의 착화 시간 지연의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The wick can be easily ignited, and the wick absorbs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nd is coated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t compensates for the problem of delaying the ignition time of the solid complexing agent and prevents the loss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have.

공기조절 댐퍼를 탈 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의 세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이후 공기조절 댐퍼를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By allowing the air conditioning damp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intensity of the fire can be controlled and the air conditioning damper can be reused later, thereby reducing waste of resources.

또한, 숯과 같은 착화제를 공기구멍의 안쪽에 구비하여 통나무 내부가 연소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착화제의 불꽃이 굴뚝효과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정작 장시간 소요되는 통나무 버너 내부에는 착화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igniting agent such as charcoal inside the air hole so that the inside of the log can be burned, the flame of the existing igniting agent is leaked to the outside due to the chimney effect, so that the inside of the log burner that takes a long time is not ignited.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의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의 사시도.
도 2는 복수 개의 통나무 버너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이 구비된 모습의 통나무 버너 분해 사시도.
도 3은 액체 착화제의 흡수 위치와 고체 착화제의 코팅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심지가 설치된 모습의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손잡이가 설치된 모습의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연소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의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g burner in which a plurality of stacked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g burner in the form provided with a fixing holding means for fixing a plurality of log burners to each oth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ption position of a liquid complexing agent and a coating position of a solid complexing ag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g burner in which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wick is installed.
5 to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log burner in which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handle is install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g burner having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in a stacked form hav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ho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 first item, a second item and/or a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possible items.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limit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the specified ord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바닥과 접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는 제1통나무버너(1)(1) 및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고,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3)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4)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 공기조절 댐퍼가 구비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ure 1,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g burner, the combustion hole 10 is disposed at the botto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the combustion hole 10 is on one side. A first log burner (1) (1) having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first log burner (1) are stacked upward, and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is formed. I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to be formed, and the air hole (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o be fixed or removed and reused, and the tapered left narrow right light-shaped inclined body (63) and A log burner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damper in which a rectangular fixing groove 64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body at the left end and an air control plate 61 is formed at the right end is provided.

연소구멍(10)은 내부에서 통나무가 연소하면서 불씨가 올라오는 구멍을 의미하며, 통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을 원통형으로 가정했을 때 상부 면은 개방되고 하부 면은 막힌 형태이다.The combustion hole 10 refers to a hole in which embers rise as the log burns inside. Assuming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log is cylindrical,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is closed.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크게 제1통나무버너(1)와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first log burner (1) and a second log burner (2) stacked above the first log burner (1).

즉, 상기 제1통나무버너(1)에는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og burner 1 may have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10 may be formed on one side thereof. have.

또한, 상기 제2통나무버너(2)에는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ly the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og burner 2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또한, 상기 제2통나무버너(2)는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되 제1통나무버너(1)와 제2통나무버너(2)의 연소구멍(10)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놓이도록 연통되게 적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og burner (2) is at least one stacked above the first log burner (1)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but the combustion hole (10) of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 May be stacked to be in communication so that they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는 공기조절 댐퍼(60)가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 댐퍼(60)에는 가요성 금속 재질의 날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날개를 통나무 외부면 굴곡에 맞게 구부려 통나무 외부면에 고정할 수 있다.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damper 6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hole 20 to be fixed or removed and reused.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 wing made of a flexible metal material, and the wing may be bent to fit the curv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g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g.

이때, 날개 양 끝단에 후크가 존재하는 경우 통나무에 후크를 삽입하거나 또는 날개에 하나 이상의 홈이 존재하는 경우 못이나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기조절 댐퍼(6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hooks exist at both ends of the wing,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is not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by inserting the hook into the log or fixing it using a nail or piece, etc., if there is more than one groove on the wing. Can be avoided.

공기조절 댐퍼(60)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일정 면적이 개방된 두 개의 판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공기조절 댐퍼(60)는 공기구멍(20)에 삽입되는 부분이 좁고 공기 접촉부분(외부면)이 넓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개방되는 면적 차이를 높여 공기의 유입 또는 차단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is reusable,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open area in the form of rotating two plates with a certain area open can be used, and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is in the air hole 20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narrow and the air contact portion (outer surface) is provided in a wide form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open area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inflow or blocking of air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공기조절 댐퍼(60)는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2)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3)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has an inclined body 62 of a tapered left and right beam shape, and a rectangular fixing groove 63 formed at the left end thereof along the inclined body, and an air control plate 61 formed at the right end thereof.

공기조절판(61)은 부채꼴 형상의 공기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공기구멍의 크기나 갯수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The air control plate 61 has a plurality of fan-shaped air holes, so that the inflow of air can be controlled by the size or number of air holes.

바람직하게는 공기조절판(61)의 상부에 공기조절판과 동일한 형상의 공기조절회전판(미도시)을 회전되게 결합하여 공기조절회전판의 공기구멍이 공기조절판(61)의 공기구멍을 개폐하는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조절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an air control rotary plate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ir control plate is rot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control plate 61, so that the air hole of the air control plate 61 opens and closes the air hole of the air control plate 61. The inflow of air can be controlled.

상술한 구성의 공기조절 댐퍼(60)는 통나무의 공기구멍(20)에 삽설고정하여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air hole 20 of the log and operates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flow.

이를 위하여 통나무 공기구멍(20)의 유입구도 테이핑면을 구성하고, 유입구 안쪽에는 공기조절 댐퍼(60)의 고정홈(63)으로 삽설되어 공기조절 댐퍼의 일측을 고정하는 목공용 T자형 타카핀(70)을 타정기로 고정하여 사용한다.To this end, the inlet of the log air hole 20 also constitutes a taping surface, and inside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3 of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to fix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amper T-shaped taka pin 70 for woodworking. ) Is fixed with a tablet press.

이때 타카핀(70)은 공기조절 댐퍼(60)의 경사몸체(62)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통나무에 고정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taka pin 70 should be fixed to the lo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body 62 of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즉, 공기조절 댐퍼(60)를 공기구멍(2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공기조절 댐퍼(60)의 좌협부분이 공기구멍(20)으로 삽입되게 하면서 동시에 고정홈(63)으로 타카핀(70)의 헤드부분이 끼워지게 조립하면서 공기구멍의 유입구의 테이핑면과 공기조절 댐퍼(60)의 경사몸체(62)가 밀착될 때까지 억지끼움하면, 타카핀(70)의 헤드에 고정홈(63)이 고정되면서, 공기조절 댐퍼(60)가 공기구멍(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사용 후에는 분리된 공기조절 댐퍼(60)를 재사용하면 된다.That is, in order to couple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to the air hole 20, the left narrow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is inserted into the air hole 20, and at the same time, the taka pin 7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3. When assembling so that the head part is fitted, the fixing groove 63 is fixed to the head of the taka pin 70 when the taping surface of the air hole inlet and the inclined body 62 of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air conditioning damper 60 is coupled to the air hole (20). After use, the separated air conditioning damper 60 can be reused.

한편, 상기 통나무 버너에는,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og burner,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in a stacked state are vertically stacked to be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And a fixing holding means 100 for fixing the second log burner 2 or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2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provid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지수단(100)은 통나무 버너의 외주면 형태에 따라 링 형태의 링부(110) 및 상기 링부(110)의 테두리에서 상측과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xed holding means 100 includes a ring 110 in a ring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g burner, and a vertical portion 120 erected vertically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from the rim of the ring part 110. It may include.

상기 링부(110)는 통나무 버너의 외주면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폐쇄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 사이에 위치된다.The r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closed ring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g burner, and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or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It is located between the log burners (2).

또한, 상기 수직부(120)는 상기 링부(110)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 개가 수직으로 세워져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1통나무버너(1) 또는 제2통나무버너(2)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인접한 제1통나무버너(1) 또는 제2통나무버너(2)를 상호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지수단(100)은 통나무 버너가 연소되더라도 형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ertical part 120 is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og burner 1 or the second log burner 2 which are vertically erec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ing part 110 and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adjacent first log burner 1 or the second log burner 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be fixed. At this time, the fixed holding means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maintain the mold even if the log burner is burn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는데 이는 액체 착화제를 연소구멍(10)에 채운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제거하는 방법으로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킬 수 있다. 충분한 양의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액체 착화제를 연소구멍(10)에 채운 후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는 액체 착화제의 소실이나 외부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후술할 탄성체 손잡이로 연소구멍(10) 및 공기구멍(20)을 막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3, in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absorbing a liquid complexing agen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which fills the combustion hole 10 with a liquid complexing agent. The liquid complexing agent can be absorbed by removing i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In order to absorb a sufficient amount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fter a period of about 24 to 48 hours has passed after filling the combustion hole 10 with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storage process,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air hole 20 with an elastic hand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minimize the loss of liquid complexing agent or external contamination.

고체 착화제 코팅은 액체 착화제가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며, 초기에 액체 착화제에 직접 점화되어 지나치게 빠르게 화력이 세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가진다(고체 착화제의 경우 액체 착화제에 비해 착화가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소구멍(10)의 상부 및 공기구멍(20)에는 탈착 할 수 있는 탄성체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여,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is mainly aimed at prevent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from disappearing into the air, and also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from being ignited directly at the initial stage and causing excessive heat build-up (in the case of a solid complexing agent, liquid The ignition is relatively delayed compared to the complexing agen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air hole 20 ar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detachable elastic handle,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기존의 통나무 버너의 경우 불이 연소구멍(10) 상단 부분으로 올라오면서 통나무 전체적인 형태에서 상부 면이 먼저 연소되어 소실됨으로 인해 조리기구 등을 올려놓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을 연소구멍(10)의 내부면의 일부인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만 형성시켜 상부 면이 먼저 연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og burn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cooking utensils, etc., cannot be placed due to the burning of the upper surface first in the overall shape of the log as the fire rises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hole 10. Therefore,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may be formed only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which is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not burned first.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에서 액체 착화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에틸알코올이고, 고체 착화제는 파라핀 왁스, 밀납, 대두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파라핀 오일 및 에틸알코올 모두 열효율이 좋은 액체 착화제로서 활용이 가능하나 파라핀 오일의 경우 천연 성분으로서 연소 시 냄새나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be paraffin oil or ethyl alcohol, and the solid complexing agen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affin wax, beeswax, soybean wax, and carnauba wax. Both paraffin oil and ethyl alcohol can be used as liquid complexing agents with good thermal efficiency, but paraffin oil has the advantage of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without generating odor or soot as a natural ingredient as a natural component.

액체 착화제에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wt% 내지 5wt% 포함될 수 있다. 0.1wt% 미만인 경우 계면활성제의 효과가 미비하며, 5wt% 이상인 경우 액체 착화제의 착화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란 극성(친수성) 부분과 무극성(친유성/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서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모여 미셀을 형성하여 무극성을 안쪽으로 극성을 바깥으로 해 무극성 부위에 모이는 물질들을 끌어안는 듯한 느낌으로 물에 녹는다. 장작을 건조시키더라도 일정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장작 내부는 극성을 띠게 된다.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contain a surfactant in an amount of 0.1 wt%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If it is less than 0.1wt%, the effect of the surfactant is insufficient, and if it is more than 5wt%, the complexing power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may be weakened. Surfactant is a compound that has a polar (hydrophilic) part and a non-polar (lipophilic/hydrophobic) part at the same time, and the surfactant molecules gather to form micelles, making the non-polar inwardly polarized outward, as if to hold the substances collected in the non-polar part. It dissolves in water with a feeling. Even if the firewood is dried, it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so the inside of the firewood becomes polar.

반면, 액체 착화제는 오일 성분과 같이 무극성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극성이 차이로 인해 액체 착화제가 장작 내부로 흡수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미셀을 형성하여 이러한 극성이 다른 물질이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계면활성제를 넣는다고 바로 미셀이 되진 않고 일정 임계 미셀 농도 및 임계 미셀 온도를 넘겨야 미셀이 형성된다. 계면활성제는 공지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솔빌라이저 (Solubilizer), 쟁탄검(Xanthan Gum), 이멀시화잉왁스 (Emulsifying Wax), 붕사 (Borax), 몬타노브 왁스(vegetable montannov wax), 올리브유화왁스(PEG O/W), 올리브리퀴드, LES(술포석시네이트),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P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most liquid complexing agents have non-polarity like oil components, absorption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to the firewood may be hindered due to this difference in polarity. Surfactants form micelles to help materials of different polarities to be mixed. When surfactants are added, micelles do not become micelles immediately, and micelles are formed only when a certai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critical micelle temperature are exceeded. Surfactants may be known compounds, but preferably natural surfactants such as cocobetain, lecithin, solbilizer, xanthan gum, emulsifying wax, borax ( Borax), vegetable montannov wax, olive oil wax (PEG O/W), olive liquid, LES (sulfosuccinate), alkyl polyglucoside (APG), and the like may be used.

납은 녹는점이 62~63℃로서 상대적으로 높아 유통과정에서 고온에 의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곰팡이나 세균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밀납 자체의 향기가 유통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악취를 희석해주는 효과도 가진다. 카나우바 왁스 또한 천연 유래 물질로서 녹는점이 62??64℃이므로 여름철 등 유통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용융이나 형태 변형에 강하다.Lead has a relatively high melting point of 62~63℃, so it can prevent melting due to high temperatures during distribution, and can act as a natural preservative to prevent mold and bacteria from occurring in an environment with high humidity, as well as beeswax itself. It also has the effect of diluting the odor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Carnauba wax is also a naturally derived material and has a melting point of 62??64℃, so it is resistant to melting or shape deformation by high temperatures during distribution, such as in summer.

한편, 보관상에서 생기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향(라벤더,장미,라일락 등)과 여름철 장기보관시 곰팡이균 증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스프레이를 외부, 공기구멍 및 연소구멍에 분사하거나 도포하여, 악취 발생 등 추가적인 문제점을 방지하거나 라벤더,장미,라일락 추출물을 고체 착화제 용융 시에 첨가하여 악취 발생 등 추가적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odors generated during storage, natural scents (lavender, rose, lilac, etc.) and antibacterial spray are sprayed or applied to the outside, air holes and combustion holes to prevent the growth of mold bacteria during long-term storage in summer. Additional problems such as occurrence may be prevented, or additional problems such as odor generation may be prevented by adding lavender, rose, and lilac extracts when the solid complexing agent is melted.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심지(31)를 활용하여, 초기에 안전하고 쉽게 착화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심지(31)에 고체 파라핀 등 고체 착화제를 코팅한(용융 한 고체 착화제에 심지(31)를 함침 한 후 꺼내어 다시 응고시키는 방식) 경우 착화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심지(31)에 액체 파라핀(파라핀 오일)을 흡수시킨 후 심지(31)에 착화를 한 경우 매우 빠르게 심지(31)를 통한 착화가 되었다.Referring to FIG. 4,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ck 3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air hole 20, and the wick By using (31), it is safe and easy to ignite in the early stage. Specifically, the wick 31 may be provided such that a liquid complexing agent is contained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wick 31. In the case of coating the wick 31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such as solid paraffin (a method of impregnating the wick 31 in the molten solid complexing agent and then taking it out and solidifying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gnition was delayed. When paraffin (paraffin oil) was absorbed and ignited on the wick 31, it was ignited through the wick 31 very quickly.

다만, 액체 착화제의 경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중으로 상당 시간이 경과하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착화의 효율성이 높은 액체 착화제를 사용하면서도 이러한 착화제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체 착화제로 코팅을 한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liquid complexing agent,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disappears aft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 air, so while using a liquid complexing agent with high ignition efficiency, coating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s applied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complexing agent. will b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31)를 공기구멍(2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심지(31) 끝 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렵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휘어진 형태로서 원하는 부분(액체 착화제가 충분히 흡수된 부분에)에 심지(31)를 통해 착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통나무 버너는 심지(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심지(31)와 결합된 착화심지 지지틀을 추가로 구비하고, 통나무 버너의 연소구멍(10) 내부 일면에는 상기 착화심지 지지틀을 공기구멍(20)을 통해 삽입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된 형태로 구비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inserting the wick 31 into the air hole 20,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art where the end of the wick 31 abuts, and it is a desired part (liquid Difficulty occurred in igniting through the wick 31 (in the part where the complexing agent was sufficiently absorbed). Therefore, the log burner further includes an ignition wick support frame coupled with the wick 31 so as to fix the wick 31, and the ignition wick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one surface inside the combustion hole 10 of the log burner. It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fixing hol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by inserting through 20) is formed to solve this problem.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화제를 사용한 일례로서, 공기구멍의 내부에 통나무 버너 내부의 안정적인 착화를 위하여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과 같은 연소성이 있는 재질로 된 착화제를 더 구비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as an example of using the igniting ag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igniting agent made of a combustible material such as activated carbon, lightning coal, or charcoal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ir hole for stable ignition of the interior of the log burner.

이러한 착화제는 공기구멍 초입에서 성냥등으로 착화가 되어서 연소실안에서 착화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착화심지 지지틀을 사용함과 동시에 착화심지 지지틀의 내측 단부에는 심지(31)가 촘촘하게 감겨지도록 구성하여 지속적인 착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se ignition agents are ignited with matches at the beginning of the air hole, so that the ignition wick support frame is used to facilitate igni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wick 31 is formed to be tightly wound around the inner end of the ignition wick support frame to continue ignition. Can be done.

또한, 액체착화제 증발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착화심지 지지틀에 감겨진 심지에는 천연밀랍 등으로 재차 코팅하여 열량을 증대시켜 착화제나 액체파라핀이 흡수되어 있는 착화제가 안정적으로 착화되게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ress evaporation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the wick wound around the ignition wick support frame is coated again with natural beeswax to increase the amount of heat so that the complexing agent or the complexing agent in which liquid paraffin is absorbed is stably ignited.

즉, 통나무버너 내부의 착화를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액체, 고체 등의 착화제는 그 불꽃이 굴뚝효과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장시간 소요되는 통나무 버너 내부에는 착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과 같은 착화제를 공기구멍의 안쪽에 구비하여 통나무 내부가 연소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at is, igniting agents such as liquids and solids used to assist the ignition of the inside of the log burner have a problem that the flame is leaked to the outside due to the chimney effect and is not ignited inside the log burner, which takes a long time.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lexing agent such as activated carbon, lightning coal, or charcoal is provided inside the air hole so that the inside of the log can be burned.

바람직하게는 착화제 사이에 심지(31)가 개재되어 착화제의 연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ck 31 is interposed between the complexing agents to facilitate combustion of the complexing agent.

또한, 공기구멍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된 심지(31)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착화제를 적층하되, 상부의 착화제는 하부의 착화제보다 크기를 크게 하고, 또한 심지(31) 인근에는 액체파라핀이 침투된 착화제를 배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착화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lexing agents are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ased on the wick 31 fixed at one side inside the air hole, but the upper complexing agent is larger than the lower complexing agent, and liquid paraffin near the wick 31 By disposing the permeated complexing agent, it is possible to make it more easily ignited.

또한, 심지 상부의 착화제는 숯 충진시에 효과적인 숯의 착화 및 원할한 통나무에 착화와 연소시에 필요한 원할한 산소공급 및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위하여는 적당한 직경 1.5cm~2cm 크기의 조각난 숯으로 착화용 심지 윗부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gniting agent at the top of the wick is fragmented charcoal with a suitable diameter of 1.5cm to 2cm for the effective ignition of charcoal when filling the charcoal and the smooth supply of oxygen necessary for ignition and combustion of the log and emission of generated carbon dioxide. It is preferable to laminate it on the upper part of the wick for ignition.

이러한 착화심지 지지틀은 액체착화제 흡수 및 친환경을 고려하여 착화에 도움이 되는 나무젖가락과 같은 연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Such an ignition wick support frame may use a combustion material such as a wooden chopstick, which is helpful in ignition in consideration of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ption and environment-friendliness.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통나무는 참나무일 수 있으며, 송진과 같이 초기 착화를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된 소나무 등을 사용하는 경우 송진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향이 좋고 그을음 등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짐에도 참나무가 통나무 버너로 사용되지 못한 것은 초기 착화가 어렵기 때문인데 본 발명은 연소구멍(10) 내부에 충분한 양의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켰으므로 안정적인 착화 및 연소가 가능하다.The lo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ak tree, and when a pine tree containing a material that can help initial ignition such as rosin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in which soot or odor occurs when the rosin burns. have. The reason that oak was not used as a log burner even though it had the advantage of good scent and soot does not occur is because initial ignition is difficult, but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 sufficient amount of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combustion hole 10, so it is stable ignition. And combustion is possible.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의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를 포함하는 손잡이(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to 6,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rotate on both sides of the upper or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made in a U-shape or C-shape A handle 50 including one handle 5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손잡이(50)는 연소 중에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5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는 20cm 이상으로 길게 형성하여 손잡이(50)가 뜨겁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손잡이(52)를 하단으로 내려놓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통나무 버너 하단 부분에 손잡이(52)의 파지하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손잡이(52)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50)는 통나무 버너에 홈을 형성하여 후크 형태로 손잡이(50) 끝단을 거는 형태로 고정하여 상하로 손잡이(52)가 이동 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50 has a length of 20 cm or more in a direc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50 so as to be able to move even during combustion so that the handle 50 is not hot. Even when not in use, the handle 52 is lowered so that the gripping portion of the handle 52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g burner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52 from increasing. The handle 50 may form a groove in the log burner and fix the handle 50 to the end of the handle 50 in the form of a hook to move the handle 52 up and d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상기 연소구멍(10)은 상기 공기구멍(2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f the combustion holes 1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s 20.

즉, 제1통나무버너(1)의 하나의 공기구멍(20)은 복수 개의 연소구멍(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공기구멍(2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착화되면 복수 개의 연소구멍(10)을 통해 불이 나올 수 있는 것으로, 화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소구멍(10)은 구멍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That is, one air hole 20 of the first log burner 1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combustion holes 10, and when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 20 to be ignited, the plurality of combustion holes 10 ) Through which fire can come out, and the effect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firepower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mbustion holes 1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of the holes.

한편,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제1통나무버너(1)와 제2통나무버너(2) 복수 개가 적층될 경우 각 층별로, 참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통나무 버너는 다양한 수종의 나무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나무에 따라 휴발성 여부 및 연소 시 발생하는 탄내의 성질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나무의 여러가지 특성을 고려하여 제1통나무버너(1) 및 제2통나무버너(2)를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are stacked may be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oak, birch, and pine for each layer. In other words, each log burner can be applied by selecting various types of wood,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wood, and the nature of the burn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may vary. Therefore, the first log burner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log burne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wood.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휴발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소나무류는 착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통나무 버너를 적층하는데 있어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제1통나무버너(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나무류는 송진 성분 때문에 그을음이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제1통나무버너(1)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나무류로 구성된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2통나무버너(2)는 참나무 또는 자작나무 등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since pin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olatile substances can be ignited well,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log burner with the first log burner 1 disposed at the bottom when stacking the log burners. That is, since pines have a characteristic that a lot of soot is generated due to the pine resin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stacked above the first log burner 1 composed of pines ( 2) It is preferable to arrange oak or birch.

따라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는 소나무로 구성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는 참나무 또는 자작나무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og burner 1 may be made of pine, and the second log burner 2 may be made of oak or birch.

예를 들어, 상단에 배치되는 제2통나무버너(2)는 상대적으로 착화 진행이 더딘 참나무로 구성할 경우에는 연소구멍(10)으로 올라오는 불꽃이 은은하게 오래 지속되면서 연소가 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log burner 2 disposed at the top is made of oak whose ignition progress is relatively slow, the flame coming up through the combustion hole 10 can be burned with a soft long-lasting duration.

이처럼, 제1통나무버너(1) 및 제2통나무버너(2)는 나무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종이 혼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최초 착화는 용이하고 고객이 선호하는 특유의 연소향을 느낄 수 있으며 연소 진행은 최대한 천천히 이루어짐으로써 최대 연소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are composed of a mixture of various tree species in consideration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ree, so that the initial ignition is easy and the customer can feel the characteristic combustion flavor preferred by the customer. In addition, the combustion proceeds as slowly as possible, so that the maximum combustion time can be exten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통나무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을 형성하는 단계, 연소구멍(10)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10)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고체 착화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10) 내부 면에 투입하여 연소구멍(10) 내부 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통나무의 일 측면에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orming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log to the lower direction, filling the combustion hole 10 with a liquid complexing agent to absorb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n absorb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combustion hole 10. Removing the complexing agent, heating and melting the solid complexing agent, putting it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to co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combustion hole 10 on one side of the log It may include forming the air hole 20 to be connected.

고체 착화제는 코팅의 용도이므로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10) 내부에 투입하고 충분한 면적에 고루 코팅된 경우 다시 굳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구멍(20)은 연소과정에서 거의 마지막까지 공기구멍(20)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기능을 유지해야 하므로 조기에 연소되지 않도록 착화제가 흡수 또는 코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액체 착화제를 흡수 시킨 이후 고체 착화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모두 거친 이후에 공기구멍(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olid complexing agent is used for coating, it is preferable to melt it and then insert it into the combustion hole 10 and remove it before hardening again if it is evenly coated on a sufficient area. Since the air hole 20 should maintain its fun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air hole 20 almost until the end of the combustion process, the complexing agent should not be absorbed or coated so as not to be burned ear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ir hole 20 after all the steps of coating the solid complexing agent after absorb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의 제조방법은 연소구멍(10)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10)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액체 착화제는 연소구멍(10)의 전체 부피 중 90% 이하를 채워 흡수 시킨 후 제거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통나무 버너의 상부 면이 연소하여 조기에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나무 버너의 높이가 30~50cm 정도임을 감안할 때 상부 3~5cm 정도는 착화제가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조기 연소를 막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통나무 버너의 무게를 고려할 때 손잡이(50)부를 상부에서 최소 2~3cm 아래 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의 연소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og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moving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fter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filled in the combustion hole 10 to absorb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n the combustion hole 10,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used in the combustion hole 10. ) May be filled and absorbed by less than 90% of the total volume, and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log burner is burned to prevent premature collapse of its shape.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log burner is about 30 to 50 cm,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ignition from being absorbed in the upper 3 to 5 cm, and when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log burner, the handle 50 is at least 2 from the top. It is important to slow the combustion of the upper part in this way, since it must be fixed by a method such as forming a groove in the lower part of ~3cm.

1: 제1통나무버너 2: 제2통나무버너
10: 연소구멍 20: 공기구멍
30: 액체 착회제 흡수층 31: 심지
40: 고체 착화제 코팅층 50, 51, 52: 손잡이
53: 이동손잡이 60: 공기조절 댐퍼
61: 공기조절판 62: 경사몸체
63: 고정홈 70: 타카핀
100: 고정유지수단 110: 링부
120: 수직부
1: First log burner 2: Second log burner
10: combustion hole 20: air hole
30: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1: wick
40: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layer 50, 51, 52: handle
53: movable handle 60: air conditioning damper
61: air control plate 62: inclined body
63: fixing groove 70: taka pin
100: fixed holding means 110: ring portion
120: vertical part

Claims (18)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바닥과 접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는 제1통나무버너(1); 및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고,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2)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3)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 공기조절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In the log burner,
The first log is disposed at the botto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certain depth is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10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Burner 1;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that is stacked on the first log burner (1) and has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In the air hole 20,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or removed and reused, and a tapered left narrow right light-shaped inclined body 62 and a rectangular fixing groove 63 at the left end are formed along the inclined body. And,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ntrol damper is provided with an air control plate 61 formed at the right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 버너에는,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The log burner includes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in a stacked state so that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are vertically stacked and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log burner (2) or a fixing holding mean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2)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in which the liquid complexing agent is absorb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layer coated with a solid complexing agent in a solid form at room tempera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40)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wick 31 exposed to the air hole 20,
The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ck (31) contains a liquid complexing agent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wick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버너에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의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og burner,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U-shape or a C-shap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에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에는,
상부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log burner (1),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is select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log burner (2),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re install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의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에는, 중심부분 일측에 ㄷ자 형태의 이동손잡이(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6,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log burner (1), a movement handle 53 in the form of a U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멍(10)은 상기 공기구멍(2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combustion holes (1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s (20).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바닥과 접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는 제1통나무버너(1); 및
상기 제1통나무버너(1)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통나무버너(2);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In the log burner,
The first log is disposed at the botto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certain depth is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nd an air hole 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ole 10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Burner 1;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log burner (2) that is stacked on the first log burner (1) and has a combustion hole (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direction,
A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in which a liquid complexing agent including a surfactant is absorb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in a solid form at room temperature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omplexing agent absorbing layer 30.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complexing agent coating layer 40 is 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 버너에는,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가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나무버너(1)와 상기 제2통나무버너(2)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통나무버너(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9,
The log burner includes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in a stacked state so that the first log burner (1) and the second log burner (2) are vertically stacked and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log burner (2) or a fixing holding mean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log burners (2)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착화제에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wt% 내지 5wt%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The log bur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liquid complexing agent contains 0.1 to 5 wt% of a surfactant based on the total weight. 제 9 항에 있어서,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9,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hole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wick 31 exposed to the air hole 20,
The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ck (31) contains a liquid complexing agent and a solid complexing agent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wick (3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버너에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의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log burner,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U-shape or a C-shape.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에는,
상부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 또는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에는,
상부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first log burner (1),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r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is select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log burner (2),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ndles 5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re install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의 상부 양 측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손잡이(52)에는, 중심부분 일측에 ㄷ자 형태의 이동손잡이(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3,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handle 52 coupled to be rota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log burner (1), a movement handle 53 in the form of a U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멍(10)은 상기 공기구멍(2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9,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combustion holes (1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s (2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 버너는,
복수 개가 적층될 경우 각 층별로, 참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log burner,
When a plurality of pieces are stacked, each layer is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selected from oak, birch, pin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나무버너(1)는 소나무로 구성되고,
상기 제2통나무버너(2)는 참나무 또는 자작나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log burner (1) is composed of pine,
The second log burner (2) is a lo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ak or birch.
KR1020210053855A 2021-04-26 2021-04-26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58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55A KR102258717B1 (en) 2021-04-26 2021-04-26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55A KR102258717B1 (en) 2021-04-26 2021-04-26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717B1 true KR102258717B1 (en) 2021-05-28

Family

ID=7614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55A KR102258717B1 (en) 2021-04-26 2021-04-26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7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96B1 (en) * 2021-08-13 2021-12-17 권광희 Wide type log burners with air intake control
KR20220164137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firewood for campin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54A1 (en) * 2007-06-29 2010-08-05 Alfons Schiller Fuel for Heating an Appliance for Grilling
KR20110122039A (en) * 2010-05-03 2011-11-09 김복동 Fuel production method using palm fruit
KR101278624B1 (en) * 2012-11-20 2013-06-25 이상용 Log disposable burn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473459Y1 (en) 2013-04-25 2014-07-04 박춘서 Log burner
KR20150040044A (en) * 2013-10-04 2015-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ybrid coal using hydrophilic bio-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23521B1 (en) * 2014-12-25 2015-06-03 경상남도 Porous woods Sparklog Using Frankincense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47429A (en) 2015-06-15 2016-12-23 권순용 The complexing agent for the solid fuel
KR20190094649A (en)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Firewood which is easily ignit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KR102141366B1 (en) 2019-12-11 2020-08-05 박재형 Log burn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54A1 (en) * 2007-06-29 2010-08-05 Alfons Schiller Fuel for Heating an Appliance for Grilling
KR20110122039A (en) * 2010-05-03 2011-11-09 김복동 Fuel production method using palm fruit
KR101278624B1 (en) * 2012-11-20 2013-06-25 이상용 Log disposable burn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473459Y1 (en) 2013-04-25 2014-07-04 박춘서 Log burner
KR20150040044A (en) * 2013-10-04 2015-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ybrid coal using hydrophilic bio-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23521B1 (en) * 2014-12-25 2015-06-03 경상남도 Porous woods Sparklog Using Frankincense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47429A (en) 2015-06-15 2016-12-23 권순용 The complexing agent for the solid fuel
KR20190094649A (en)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Firewood which is easily ignit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KR102141366B1 (en) 2019-12-11 2020-08-05 박재형 Log burn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2020.01.20 [발명의 명칭].로그테일의 통나무버너(https://blog.naver.com/nova750/22177848387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37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firewood for camping
KR102624321B1 (en) * 2021-06-04 2024-01-16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firewood for camping
KR102339396B1 (en) * 2021-08-13 2021-12-17 권광희 Wide type log burners with air intak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717B1 (en)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953033B1 (en) Combustible fuel source
US5226405A (en) Ignition platform and fuel component for kindling a fire
US4485584A (en) Ignitable fuel and fire starting composition
US5244472A (en) Preparation of chemically dried cellulosic fuel
US11162043B2 (en) Combustible log torch
US6508849B1 (en) Fire starter as sole fuel to quickly ignite a log of wood
US8597381B2 (en) Compact fire log
US8647399B2 (en) Fire starter
US3759675A (en) Fire kind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53942B2 (en) Burner for household or recreational use
CA2157001C (en) Fire star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MXPA02008441A (en) A diffuser.
US20160075961A1 (en) Charcoal chimney
KR102258716B1 (en) 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747494B2 (en) Auto-combustible torch
KR102254733B1 (en) Eco-friendly firewood which is easily ignit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US20050023714A1 (en) Absorbent and time release material
US6740135B2 (en) Fire log system
US9187705B2 (en) Easy lighting charcoal briquettes with wood shavings
KR20150117952A (en) Solid fuel use an oa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3157819B1 (en) Solid fuel
KR102039646B1 (en) Charco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harcoal
US20050005508A1 (en) Environmentally safe fire starter
JP3243202U (en) igni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