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90B1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90B1
KR102258390B1 KR1020150002960A KR20150002960A KR102258390B1 KR 102258390 B1 KR102258390 B1 KR 102258390B1 KR 1020150002960 A KR1020150002960 A KR 1020150002960A KR 20150002960 A KR20150002960 A KR 20150002960A KR 102258390 B1 KR102258390 B1 KR 10225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user
schedule
register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663A (ko
Inventor
이지은
홍호택
이현주
김윤정
설유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계정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공유 가능한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을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방송 콘텐츠의 시청 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GE}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DTV, IPTV 와 같은 전자 기기는, 기존의 고유한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그리고 시기 적절하게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케쥴러에 등록되어 있는 일정 정보에 기반하여, 일정 정보와 관련된 방송 콘텐츠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한 방송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케쥴러에 연동되는 방송 콘텐츠의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방송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 콘텐츠가 일정 정보와 함께 등록된 스케쥴러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의 이용 상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계정이 등록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실행 가능한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예약 시간, 방송 콘텐츠 타이틀(title), 방송 콘텐츠의 종류, 상기 방송 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방송 콘텐츠가 잠금 모드에서 등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의 일정 편집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 중,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에 대해 잠금 모드 식별자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일정을 조절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 케이블 방송 콘텐츠, 위성 방송 콘텐츠, VOD(Video on demand) 방송 콘텐츠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방송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와 연관된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추천된 방송 콘텐츠 중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에 연동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일정에 방송 수신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 중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단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연관된 단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관심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시청한 방송 콘텐츠의 이력 정보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에 이용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고,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력 정보에 통합하여 상기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일정 정보가 등록된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상기 스케쥴러에 연동되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자동으로 온(on)되도록 하여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스케쥴러와 연동시킨 사용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자동으로 녹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일정에 다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등록된 일정에 자동으로 녹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EPG(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EPG 중 특정 방송 콘텐츠를 상기 스케쥴러에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에 등록되는 일정과 방송 콘텐츠별는 타인과 공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스케쥴러에 연동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표지를 상기 스케쥴러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다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계정을 등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과 공유 가능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정보와 개인의 일정 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방송 콘텐츠의 시청 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케쥴러에 등록되어 있는 일정 정보에 기반하여, 일정 정보와 관련된 방송 콘텐츠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한 방송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케쥴러에 연동되는 방송 콘텐츠의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방송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콘텐츠가 일정 정보와 함께 등록된 스케쥴러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의 이용 상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콘텐츠 캘린더에 방송 콘텐츠가 등록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콘텐츠 캘린더를 실행결과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개인일정과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이 중복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 시청 일정이 설정된 스케쥴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의 일정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서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캘린더에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추가하고자 하는 일정에 다른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에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상황을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스케쥴러를 연동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방송 콘텐츠 이용에 대한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전자 기기에서 스케쥴러의 일정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에 등록된 방송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 및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전자 기기(100), 서버(10),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20),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PC,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 고정형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TV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DTV(Digital 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국(20)은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방송국(20)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서버(10)를 경유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전자 기기(100)와 연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자는 서버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100)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로 다양한 웹 서비스 기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방송국(20)으로부터 지상파 방송 콘텐츠, 케이블 방송 콘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서버(10)로부터 VOD(Video On Demand) 방송 콘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100)는 소정의 방송 위성(BS:Broadcasting Satellite) 위성 방송(SB:Satellite Broadcasting)을 수신하여 위성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100)는 IPTV일 수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전자 기기(100)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스케쥴러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1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200a,200b,…,200n)와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에서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일정 정보를 등록한 후, 전자 기기(100)에서 상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특정 일정 정보가 등록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전자 기기(100)를 제어하는 리모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전자 기기(100)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70)는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80) 및 명령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와 디스플레이부(1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동부(170)와 디스플레이부(150)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저장부(120),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1)와 복조부(112)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구비하면서 튜너(111)와 복조부(112)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복조부(112)는 튜너(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1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50)에 영상을 출력하고, 사운드 출력부(160)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전자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에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2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20)는 제어부(18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전자 기기(10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와의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향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80)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전자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는 전자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출력하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전원 공급부(230), 메모리(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위치 정보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en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저가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3)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메모리(240)는 제어부(2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에서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방송 콘텐츠의 시청 예약 정보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된 전자 기기(100)에서도 상기 스케쥴러의 등록 정보 등이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와 TV(100)는 공동된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으며, 두 기기에서의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동기화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계정을 등록할 수 있다(S10).
상기 전자 기기(100)는 TV일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TV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상기 TV와 연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TV 또는 본인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계정을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히 개인 일정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 외에 상기 TV를 통해 방영(재생) 가능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등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은 도 1에 도시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서 해당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는 댁내에 함께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일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 외에 친구관계일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본인의 계정을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하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일정 정보들이 각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상기 공유되는 일정은 개인일정을 제외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일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20).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S30).
상기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리스트가 구분되도록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시간 순서로 정렬된 리스트일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리스트에 상기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이 시간대 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콘텐츠 캘린더에 방송 콘텐츠가 등록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캘린더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캘린더 공유자)가 상기 콘텐츠 캘린더를 통해 특정 시간에 원하는 방송 콘텐츠의 시청 예약을 등록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User1, User2, User 3, User 4)가 특정 날짜에 하루동안 등록한 방송 콘텐츠 시청 예약 일정을 나타내는 리스트(CL)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개별적인 계정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계정을 통해 콘텐츠 캘린더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 1)는 제1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콘텐츠 캘린더에 접속하여 6시와 15시에 TV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을 등록하였으며, 제2 사용자(User 2)는 제2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콘텐츠 캘린더에 접속하여 13시에 VOD 시청 예약을 등록한 것이다. 제3 사용자(User 3) 및 제4 사용자(User 4)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각 콘텐츠 캘린더에 접속하여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을 등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캘린더는 개인의 일정 정보와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캘린더를 통한 방송 콘텐츠 등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가 개별적인 계정을 통해 콘텐츠에 캘린더에 접속하여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등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콘텐츠를 TV를 통해 시청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방송 콘텐츠의 예약 정보는 상기 TV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개인 일정 정보는 공유될 필요성이 크지 않으므로, 공유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TV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계정에 의한 접속이 아니더라도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캘린더는 년(Year), 월(Month), 일(Day)별로 정렬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콘텐츠 캘린더를 실행결과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APP1,APP2,APP3,Caleder)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기기(100) 외에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실행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200)와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200)에서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일정을 등록하는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도 동기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b 내지 도 6c는 소정의 계정을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는 개별 계정을 미리 등록하여, 계정을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전자 기기(100)는,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기 위한 계정 입력란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정이 입력되기 전에는 아무런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은 개인 일정 정보와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일정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0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등록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일정 정보만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고, 개인 일정 정보는 계정 입력을 통해 제공되도록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개인 일정 정보는 가족 구성원들에 공유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개인일정과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이 중복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은, 도 6b 내지 도 6c에서 제2 사용자(User 2)의 계정을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경우,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16)과 함께 제2 사용자(User 2)의 개인 일정 정보(15)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16)는 제2 사용자(User 2) 외에 캘린더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 일정 정보 또한 표시된다. 그러나 개인 일정 정보(15)는 제2 사용자(User 2)의 일정 정보만 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16)은 방송 콘텐츠의 타이틀, 시간 정보, 방송 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3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User 2)는 본인이 등록한 방송 콘텐츠(B1,B2)외에 타인(User 1, User 3, User 4)이 등록한 방송 콘텐츠 또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16)은 등록된 타인과 공유가 가능하므로, 방송 콘텐츠 일정의 편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등록한 방송 콘텐츠를 제2 사용자가 삭제하거나, 예약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인이 등록한 방송 콘텐츠가 타인에 의해 수정되지 못하도록 방송 콘텐츠 예악 시 잠금 모드를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 2)가 등록한 제2 방송 콘텐츠(B2)의 경우, 잠금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등록된 것으로서, 잠금 모드 아이콘(32)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과 개인 일정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과 개인 일정이 중복되는지 여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과 개인 일정이 겹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인 일정,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16)이 미리 등록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User 2)는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과 중복되게 개인 일정 정보를 캘린더에 등록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시간대에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 일정이 중복되더라도 캘린더 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a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 2)의 개인 일정 정보 중 제1 스케쥴(S1)과 제2 스케쥴(S2)은 제2 사용자(User 2)가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 일정 정보와 일정이 겹칠 수 있다. 즉, 제1 스케줄(S1)은 제1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B1)과 겹치고, 제2 스케쥴(S2)은 제2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B2)과 겹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겹치는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다른 일정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이 겹치는 경우, 일정 변경을 위한 팝업 메시지(P1,P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 2)에 의해 등록된 제1 스케줄(S1)이 제1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B1)과 적어도 일부의 시간대가 겹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팝업 메시지 P1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스케줄(S1)을 변경할지, 상기 제1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B1)을 변경할지, 일정 중복에 관계없이 현재 일정대로 계속 진행할지 여부를 지의하여 제2 사용자(User 2)의 선택에 의해 캘린더 일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팝업 메시지 P2의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도 7b는 제2 사용자(User 2)의 계정으로 캘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지만, 제4 사용자(User 4)의 계정으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는 경우, 이와는 다른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8a를 참조하면, 도 6b 내지 도 6c에서 제4 사용자(User 4)의 계정이 입력되면,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지만, 개인 일정 정보의 경우, 제4 사용자(User 4)가 등록한 개인 일정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a에서 제4 사용자(User 4)의 개인 일정(S3)은 제2 사용자(User 2)가 등록한 방송 콘텐츠 시청 일정(B2)과 시간대가 겹칠 수 있다. 즉, 제4 사용자(User 4)가 19시에 TV 시청 일정을 개인 일정에 등록되어 있지만, 상기 19시에는 제2 사용자(User 2)가 특정 방송 콘텐츠의 시청 예약이 등록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타인이 등록한 방송 콘텐츠 예약일정과 일정이 중복됨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P3)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 메시지(P3)를 통해 일정 변경 메뉴가 선택되면, 제4 사용자(User 4)는 19시의 개인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User 2)가 등록한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잠금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4 사용자(User 4)가 자유롭게 일정을 변경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팝업 메시지(P3)를 통해 제2 사용자(User 2)에게 메시지 보내기 메뉴가 선택되면, 제2 사용자(User 2)의 단말기로 방송 스케줄 예약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100).
전자 기기(100)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로서,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은 개인의 일정 정보를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히 개인의 다이어리 역할 뿐 아니라, IPTV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스케쥴링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스케쥴링은, 특정 방송 콘텐츠의 시청 예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PTV에서 실행되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스케쥴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IPTV에서의 스케쥴러 또한 대응되도록 업데이트된다.
한편, 상기 IPTV를 사용하는 자가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스케쥴러를 공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합 계정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이 4명인 경우, 상기 4명의 가족 구성원은 상기 통합 계정에 의해 IPTV에서 상기 스케쥴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명의 가족 구성원은 각각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통합 계정에 의해 상기 스케쥴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족 구성원 4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IPTV(100)와 무선 연결이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다.
제어부(180)는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과 관련된 방송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S110).
상기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과 관련된 방송 콘텐츠는, 등록된 일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일상, 최근 관심사 등을 분석하고, 사용자 맞춤형의 방송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외부의 서버(도 1의 10), 방송국(도 1의 20)으로부터 수신된 EPG 데이터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전자 기기(10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방송 콘텐츠일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추천된 방송 콘텐츠 중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연동하여 등록할 수 있다(S120).
상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고, 상기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와 구분되는 영역에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는 캘린더 중 특정 날짜, 특정 시간에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등록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연동된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 즉,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면 해당 방송 콘텐츠가 방영될 수 있다.
S110 에서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에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단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11). 제어부(180)는 해당 단어를 인식하고(S113), 해당 단어와 관련된 방송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115).
스케쥴러는 시간 단위, 주 단위, 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 등으로 구분하여 일정이 등록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등록되는 일정은 텍스트로 등록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특정 일정에 등록된 상기 텍스트가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등록된 일정이 "호주 여행"인 경우, 제어부(180)는 텍스트를 인식한다. 즉, 제어부(180)는, "호주", "여행", "호주 여행"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식된 단어에 기초하여 EGP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단어와 일치하는 또는 유사한 타이틀을 갖는 방송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어부(180)는 검색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117).
검색된 방송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180)는 검색된 방송 콘텐츠를 등록된 일정과의 연관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주 여행"을 안내하는 방송 콘텐츠가 우선 순위로 정렬되고, "호주"에 대한 방송 콘텐츠, "여행"에 대한 방송 콘텐츠가 후 순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S119).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개인 일정과 방송 콘텐츠 시청 일정이 설정된 스케쥴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스케쥴러는 사용자의 개인 일정 정보(S1,S2) 및 콘텐츠 시청 예약 정보(C1,C2,C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송 콘텐츠(C1)는 외부 서버(도 1의 1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공되는 VOD 방송 콘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는 10시에 상기 VOD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일정을 등록한 것이다. 물론, 이 경우, 10시가 되면 전자 기기(100)는 자동으로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VOD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VOD 콘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방송 콘텐츠(C2)와 제3 방송 콘텐츠(C3)는 VOD 콘텐츠가 아닌, 지상파 방송 콘텐츠로서, 11시에 실시간으로 해당 방송이 방영되는 콘텐츠이다.
또한, 제1 개인 일정 정보(S1)는 01시에 프라하 여행 계획을 세우는 일정 정보이고, 제2 개인 일정 정보(S2)는 치과 치료를 받을 일정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스케쥴러는 단순히 개인의 일정만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시청 일정까지 등록함으로써, 정해진 일정에 등록된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스케쥴러 공유 설정을 위한 아이콘(71),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쥴러는 미리 설정되는 그룹 구성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은 스케쥴러를 공유함으로써, 가족 구성원 중 누가 어떤 방송 콘텐츠를 어떤 시간에 시청예약을 하였는지, 스케쥴러를 보고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서 도면 부호 31은 일정을 등록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홍길동"은 본인의 휴대폰에서 2014년 10월 27일 10시에 [VOD]"우리 아기 백일"이라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것으로 예약하여 등록한 경우, 등록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인디케이터가 해당 일정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IPTV(100)에서 상기 스케쥴러가 제공되는 경우, 가족 구성원들은 구성원 중 "홍길동"이 특정 시간에 특정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것으로 예약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인과 공유되는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 정보는 타이에 의해 편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시간이 제1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것으로 일정 등록을 한 상황에서,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정보를 삭제하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시간에 제2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정보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11에서, 도면 부호 32는 특정 개인이 등록한 일정 정보를 타인이 편집할 수 없도록 잠금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잠금 모드 아이콘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의 일정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개인 일정 정보(S1)은 "프라하 여행 계획 세우기"로 등록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하여, 일정에 등록된 단어를 인식하여, 해당 단어와 연관된 방송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EPG 데이터 베이스로 또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연관된 방송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개인 일정 정보(S1)에서 "프라하", "여행", "계획" 등의 단어를 인식하고 해당 단어와 연관된 방송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상기 검색 결과, "프라하의 연인"(41), "세계도시탐험(프라하편)(42)", "프라하 음악 기행(43)", "걸어서 세계속으로(프라하)(44)" 등의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서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7에서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41,42,43,44)중 특정 방송 콘텐츠(44)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추가하기 위한 팝업창(5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50)은, 방송 콘텐츠 제목(51)이 자동으로 표시되며, 일정 종류 선택창(52), 기기 종류 선택창(53), 날짜 선택창(54), 시간 선택창(55)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창들을 제공한다.
일정 종류 선택창(52)은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현재 시점에서 시청할 지, 시청 예약할지, 외부의 다른 전자 기기에 다운로드 할지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다.
기기 종류 선택창(52)은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어떤 기기에서 시청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자 기기(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TV, 특정 휴대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날짜 선택창(54) 및 시간 선택창(55)은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재생될 시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다.
한편, 상기 팝업창(50)은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44)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캘린더에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케쥴러는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단위가 포함된 월별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날짜 선택창(54)에서 10월 5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10월 5일에 해당하는 란에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44a)가 태깅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썸 네일 이미지(44a)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바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스케쥴러의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됨으로써, 특정 정보가 선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은 추천된 방송 콘텐츠를 추가하고자 하는 일정에 다른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스케쥴러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대에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시간대에 다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57)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추가하고자 하는 방송 시청 예약을 녹화 예약으로 전환(58)하여 스케쥴러에 등록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80)는 예약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시간대에, 추가되도록 제안할 수도 있다.
한편, IPTV(100)의 경우, 방송 시청 예약과 관련된 메뉴가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예약 관련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대에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예약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간 내에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스케쥴러와 상기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예약 관련 메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 예약이 동일한 시간대에 중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여, 예약된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할 때, 동일한 시간대에 중복 예약이 설정되었음을 팝업 창(50)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나중에 예약된 방송 콘텐츠는 자동으로 녹화 예약으로 전환되어 처리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에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상황을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스케쥴러에 복수의 방송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 예약 스케쥴을 팝업창(60)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6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공되거나, 일정한 주기 마다 자동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팝업창에는 시간 정보(61),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62) 및 예약자 정보(6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케쥴러를 공유하는 사용자들은 구성원 중 누가, 어떤 방송을, 언제 시청할지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방송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EPG 데이터 베이트, 혹은 VOD 방송 데이터 편성표 등으로부터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를 내 폴더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Wish List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Wish List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중 특정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일정을 제안하는 팝업창(65)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안을 수용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안된 일정에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의 방송 콘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73은 공유 가능한 타인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제어부(180)는 공유 아이콘(71)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스케쥴러를 공유할 친구 정보(67)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한다. 제어부(180)는, 공유하기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공유 상대방 단말기(200)로 방송 콘텐츠 시청 일정을 공유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 상기 메시지는 시청 버튼, 예약 녹화 버튼을 포함하고 있어, 공유 대상 상대방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즉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예약 녹화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공유 대상 상대방의 스케쥴러에 수신된 방송 콘텐츠가 추가되어, 예약 녹화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공유 상대방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공유 상대방의 스케쥴러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에서 시청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스케쥴링된 시간이 도리하면,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를 통해 특정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공유 상대방 또한,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8을 통해 스케쥴러가 공유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가 스케줄러에 새로운 방송 콘텐츠를 추가하는 경우, 공유 상대방에게 알림이 제공됨으로써, 스케쥴러가 업데이트되었음을 공유 상대방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스케쥴러를 연동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IPTV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과 연동시킴으로써,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시청한 입력 정보가 스케쥴러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면 부호 72는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여 제공할 수 있는 타 애플리케이션과 스케쥴러를 연동시키기 위한 아이콘이다. 상기 아이콘(72)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에 다운로드 되어 있는 방송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팝업창(80)에 제공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과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애플리케이션들 마다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방송 콘텐츠 시청과 관련된 히스토리를 하나의 스케쥴러에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방송 시청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방송 콘텐츠를 제공(추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방송 콘텐츠 이용에 대한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방송 시청 패턴을 고려하여, 방송 콘텐츠의 등록을 추천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전자 기기에서 스케쥴러의 일정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일정이 등록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리스트는 방송 콘텐츠 예약 정보(C1,C2) 및 일정 예약 정보(S1,S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콘텐츠를 예약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31)과, 타인에 의한 편집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모드 설정 아이콘(32)이 일정 리스트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스케쥴러에 등록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일정 리스트 중 원하는 시간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선택된 시간대에 일정을 등록하기 위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은, 시간 설정창(33), 방송 콘텐츠 소스 선택창(34), 비밀 모드 설정(35), 잠금 모드 설정(36), 공유 설정(37)을 위한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설정창(33)은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작시간과 재생 완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창이다. 방송 콘텐츠 소스 선택창(34)은 TV에 내장된 방송 콘텐츠, VOD 방송 콘텐츠, TV에 내장된 다른 콘텐츠 등을 선택하기 위한 창이다.
또한, 비밀 모드 설정(35)은 일정을 등록한 사용자만이 스케쥴러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스케쥴러를 비밀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잠금 모드 설정(36)은 일정을 등록한 사용자 외에 타인에 의해 등록된 일정이 편집되지 못하도록 등록된 일정을 잠금 모드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공유 설정(37)은 등록되는 스케쥴러를 미리 정해진 타인과 공유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타인은 가족 구성원, 또는 친구로 사전에 공유 설정 과정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방송 콘텐츠를 추가하고자 하는 시간대가 일정 시간대와 적어도 일부 시간이 중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 예약과 관련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이 겹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스케쥴러가 등록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전자 기기(100)는 스케쥴러 애플리케이션이 동기화되므로, 전자 기기(100)는 상기 등록된 스케쥴러를 기초로 하여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는, 10시에 시청 예약한 VOD 방송 콘텐츠(C1)부터 시작하여, 11시에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C2)를 재생한다. 그런 후 00시부터 02시 30분 까지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하여 스케쥴러에 등록된 일정이 없으므로 전자 기기(100)는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그런 후 02시30분에 등록된 방송 콘텐 시청 일정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자동으로 온(on)되어, 등록된 방송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에 등록된 방송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TV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것으로 스케쥴러를 등록한 사용자가, TV 시청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는 스케쥴러에 등록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단말의 위치가 TV를 시청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200)에서 시청하도록 스케쥴러의 일정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께, 상기 TV에서는 자동으로 녹화가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서버
20: 방송국
100: 전자 기기(TV)
200: 이동 단말기

Claims (13)

  1.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계정이 등록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실행 가능한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방송 콘텐츠가 잠금 모드에서 등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의 일정 편집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은,
    예약 시간, 방송 콘텐츠 타이틀(title), 방송 콘텐츠의 종류, 상기 방송 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 예약 일정 중,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에 대해 잠금 모드 식별자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일정을 조절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 케이블 방송 콘텐츠, 위성 방송 콘텐츠, VOD(Video on demand) 방송 콘텐츠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방송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와 연관된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추천된 방송 콘텐츠 중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에 연동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일정에 방송 수신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 중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단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시청한 방송 콘텐츠의 이력 정보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에 이용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고,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력 정보에 통합하여 상기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계정을 등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입력되어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일정과 상기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방송 콘텐츠의 예약 일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방송 콘텐츠가 잠금 모드에서 등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제1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일정 편집 기능은 비활성화된 채 표시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50002960A 2015-01-08 2015-01-0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25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960A KR102258390B1 (ko) 2015-01-08 2015-01-0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960A KR102258390B1 (ko) 2015-01-08 2015-01-0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63A KR20160085663A (ko) 2016-07-18
KR102258390B1 true KR102258390B1 (ko) 2021-06-01

Family

ID=5667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960A KR102258390B1 (ko) 2015-01-08 2015-01-0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9147A1 (en) * 2020-06-04 2023-06-29 Lg Electronics Inc. Server and system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689A (ja) * 2003-06-02 2004-12-24 Sharp Corp 録画再生装置
JP2010074557A (ja) * 2008-09-18 2010-04-02 Toshiba Corp テレビ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80B1 (ko) * 2004-09-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스케쥴 관리 기능과 방송 예약 기능을 구비하는단말의 스케쥴 관리 및 방송 예약 연동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689A (ja) * 2003-06-02 2004-12-24 Sharp Corp 録画再生装置
JP2010074557A (ja) * 2008-09-18 2010-04-02 Toshiba Corp テレビ受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63A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6520B (zh) 交互式媒体指南应用程序的配置文件的管理
CN101682708B (zh) 用于指派内容的目的地的用户定义的规则
ES2423915T3 (es) Administración de perfiles para aplicaciones de guía de multimedia interactiva
US91251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EP244976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scheduling across multiple devices
CN101385342B (zh) 用于管理内容的系统和方法
US201301708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anaging recording settings based on a geographical location of a user
US2012016714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facilitate preselection of programming preferences
JP2019165474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を介してメディアアセット消費活動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またはシステム
CN101690211A (zh) 个人化交互媒体指南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JP2012533928A (ja) メディアアセットイベントの転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914859B2 (ja) カレンダ予定とメディアアセット伝送時間との間の重複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462200B2 (ja) 番組表配信装置、番組配信装置、番組表受信端末、番組表送受信システム、番組表配信方法、番組表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022436A (ko) 지리적 콘텐츠 제약에도 불구하고 재생목록의 미디어에 대한 연속적인 액세스를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459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ess to media assets based on a projected location of a user
JP2015122800A (ja) 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番組項目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128824A (ko) 미디어 자산을 효율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6160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및 서브리스트 제공방법, 및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11979625B2 (en) Dynamic scheduling of content
GB253530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ccess to media assets
KR10225839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WO2014084803A1 (en) Event management for television programming
JP2015115708A (ja) テレビ受像機、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