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50B1 -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50B1
KR102258250B1 KR1020190154034A KR20190154034A KR102258250B1 KR 102258250 B1 KR102258250 B1 KR 102258250B1 KR 1020190154034 A KR1020190154034 A KR 1020190154034A KR 20190154034 A KR20190154034 A KR 20190154034A KR 102258250 B1 KR102258250 B1 KR 10225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inlet
enclosure
unit
environ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케이웨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웨더(주) filed Critical 케이웨더(주)
Priority to KR102019015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공기 유입부 및 제2 공기 유입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의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습기 제어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습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실외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 센서;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센서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펌프; 및 상기 제2 공기 유입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 를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DEVICE FOR SENSING OUTDOOR ENVIRONMENTS INFORMATION}
본 발명은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실외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미세 먼지의 농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날이 증가하고 있다. 초미세 먼지는 인체에 유입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최근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미세먼지를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수도권에는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뉴욕의 두 배 정도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위험성으로 서울 지역의 초미세먼지 일 평균농도가 10㎍/㎥ 증가하면 사망 발생 위험이 0.44% 증가하며, 65세 이상 고령자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은 1.75%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즉, 하루 단위로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증가해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며, 임산부 1천500명을 4년에 걸쳐 추적 조사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10㎍/㎥ 상승할 경우,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최대 16%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의 기술들은 실내의 세먼지 등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의 예로 공개특허 10-2016-0019577호(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2016년 2월 22일)가 있다.
위의 공개특허에서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송신하며, 송신된 측정 결과를 화면 및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실내의 공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실외의 공기질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실외는 실내에 비하여 오염물질이 더 다양하고 농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며, 먼지와 습기의 유입이 많아 장치 내에 먼지가 적층되어 정확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뿐만 아니라 빛 공해와 관련된 추가적인 실외 환경 정보를 감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조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실외 환경 정보를 종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공기 유입부 및 제2 공기 유입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의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습기 제어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습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실외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 센서,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센서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펌프, 및 상기 제2 공기 유입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 공기가 통과하는 스프링형 관, 상기 스프링형 관 외측에 배치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조도 및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광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감지부는, 상기 외함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투명 덮개, 및 상기 투명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도 및 자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는, 상면이 막힌 제1 상부갓, 상기 제1 상부갓의 하측으로 배열되며, 상면이 개방된 다수의 제1 하부갓들, 상기 제1 상부갓과 상기 제1 하부갓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실외 공기를 상기 습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튜브 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 유입부는, 상면이 막힌 제2 상부갓, 상기 제2 상부갓의 하측으로 배열되며, 상면이 개방된 다수의 제2 하부갓들, 및 상기 제2 상부갓과 상기 제2 하부갓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습도 센서는,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은,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체, 및 상기 다수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메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풍속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센서, 및 실외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에 형성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 및 상기 외함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 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조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실외 환경 정보를 종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기 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 유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공기 유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 유입부 및 제2 공기 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1)는 외함(10), 제1 공기 유입부(20), 제2 공기 유입부(30), 습기 제어부(50), 미세먼지 센서(60), 유량 펌프(70), 및 온습도 센서(8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함(10)은 습기 제어부(50), 미세먼지 센서(60), 및 유량 펌프(70)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부는 별도의 개폐 도어(11)를 통하여 개폐될 수 있다.
외함(10)의 경우 외부 충격을 견디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함(10)에는 별도의 배기구(150) 및 흡기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배기구(150) 및 흡기구(160)는 외함(10)의 일측면(예를 들어, 좌측면)에 함께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기구(150) 및 흡기구(160)의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외함(10)의 내부에서는 배기팬(170)이 배기구(150) 측에 추가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함(10)의 내부에서는 필터(180)가 흡기구(160) 측에 추가 설치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다.
제1 공기 유입부(20)와 제2 공기 유입부(30)는 외함(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유입부(20)와 제2 공기 유입부(30)는 외함(10)의 외부 상측면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습기 제어부(50)는 외함(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공기 유입부(20)로부터 유입된 실외 공기의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분이 다량 함유된 실외 공기를 미세먼지 측정에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습기 제거부(50)를 통해 실외 공기의 수분을 감소시켜 미세먼지 센서(60)로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60)는 외함(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습기 제어부(50)로부터 전달된 실외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센서(60)는 레이저 광 산란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PM1.0, PM2.5, PM10 등의 미세먼지에 대한 실시간 농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유량 펌프(70)는 외함(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공기 유입부(20)로부터 미세먼지 센서(60)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유량 펌프(70)는 실외 공기의 유입 유량을 0.8L/min ~ 2.0L/min으로 제어 가능하며, 실외 공기의 유입 유량은 실외 환경의 변화 및 외부 제어 등을 통하여 변경 가능하다.
온습도 센서(80)는 제2 공기 유입부(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실외 미세먼지 농도, 실외 온도, 및 실외 습도뿐만 아니라, 그 외 실외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광 감지부(40), 소음 센서(90), 진동 센서(100), 풍향풍속계(11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광 감지부(40)는 외함(10)에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조도 및 자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소음 센서(90)는 실외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외함(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센서(100)는 실외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외함(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풍향풍속계(110)는 실외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일례로 외함(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1)는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 모듈(1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외함(10)의 내부에 위치하며, 각종 센서 등으로부터 측정된 실외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미세먼지 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실외 미세먼지 농도, 온습도 센서(80)에 의해 측정된 실외 온도 및 실외 습도, 광 감지부(40)에 의채 측정된 실외 조도 및 실외 자외선 세기, 소음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실외 소음, 진동 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실외 진동, 풍향풍속계(110)에 의해 측정된 실외 풍향 및 실외 풍속 등을 수신하여, 수신된 실외 환경 정보를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실외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면을 통해 실외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수집된 실외 환경 정보를 별도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실외 환경 정보를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기 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기 제거부(50)는 몸체부(51), 스프링형 관(52), 히터부(53), 제습제(5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로, 내부에 스프링형 관(52) 및 제습제(55)를 수용할 수 있다.
스프링형 관(52)은 몸체부(51)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튜브 관(210)과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튜브 관(210)은 제1 공기 유입부(20)와 습기 제어부(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일례로 튜브 관(210)의 일단은 제1 공기 유입부(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튜브 관(210)의 타단은 습기 제어부(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습제(55)는 스프링형 관(5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몸체부(51)와 스프링형 관(52) 사이에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제(55)는 실리카겔(silica g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기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스프링형 관(52)을 통과하며, 제습제(55)에 의해 수분이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수분이 제거 또는 감소된 실외 공기는 별도의 관(211)을 통해 미세먼지 센서(6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습제(55)의 경우 사용 경과에 따라 수분이 포화되어 수분 흡수를 더 이상 못하게 되므로, 히터부(53)는 제습제(55)로 열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제습제(55)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일례로, 히터부(53)는 열을 제습제(55)로 제공하는 열원 코일부(53b)와 상기 열원 코일부(53b)로 전류를 제공하는 전원부(53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히터부(53)는 65℃ ~ 75℃의 온도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 감지부(40)는 몸체부(41), 투명 덮개(42), 조도 및 자외선 센서(4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는 외함(10)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1)는 공기 유입부(20, 30)와 함께 외함(10)의 외부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투명 덮개(42)는 몸체부(41)의 말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도 및 자외선 센서(43)는 투명 덮개(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몸체부(41)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D)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도 및 자외선 센서(43)는 별도의 지지부(45) 상에 배치 가능하다.
즉, 조도 및 자외선 센서(43)가 몸체부(41)의 말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하거나 그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몸체부(41)에 의해 외부 광의 입사각이 제한되어 외부 조도 및 자외선 세기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도 및 자외선 센서(43)를 몸체부(41)의 말단부 대비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광의 입사각을 광범위하게 구현할 있어 기존 대비 외부 조도 및 자외선 세기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투명 덮개(42)는 기존의 평평한 형상이 아닌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덮개(42)의 상단부는 반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덮개(42)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 유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 유입부(20)는 제1 상부갓(21), 다수의 제1 하부갓들(22), 제1 필터부(27), 및 튜브 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갓(21)은 상면이 막힌 형태를 가지며, 윗쪽에 비해 아랫쪽의 직경이 더 크도록 측면이 경사지고 상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갓들(22)은 제1 상부갓(21)의 하측으로 다수가 배열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갓들(22) 역시 윗쪽에 비해 아랫쪽의 직경이 더 크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갓(21)과 제1 하부갓들(22) 사이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될 있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제1 상부갓(21)과 제1 하부갓들(22)의 측면은 하부측 직경이 상부측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되도록 경사진 구조이므로, 제1 공기 유입부(20)를 측면에서 봤을 때 통기구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1 상부갓(21)과 제1 하부갓들(22)은 체결기재(25)를 통하여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 필터부(27)는 외부로부터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설치되며, 제1 상부갓(21)과 제1 하부갓들(22)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필터부(27)는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27b)가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체(27a)와 상기 다수의 개구부(27b)에 위치하는 메쉬 필터(27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필터(27c)는 35 ~ 45 메쉬 사이즈(mesh size)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 관(210)은 제1 필터부(27)를 통과한 실외 공기를 습기 제어부(5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튜브 관(210)의 일단은 제1 필터부(27)의 내부에 위치하고, 튜브 관(210)의 타단은 습기 제어부(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공기 유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공기 유입부(30)는 제2 상부갓(31), 다수의 제2 하부갓들(32), 및 제2 필터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갓(31)은 상면이 막힌 형태를 가지며, 윗쪽에 비해 아랫쪽의 직경이 더 크도록 측면이 경사지고 상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갓들(32)은 제2 상부갓(31)의 하측으로 다수가 배열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하부갓들(32) 역시 윗쪽에 비해 아랫쪽의 직경이 더 크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부갓(31)과 제2 하부갓들(32) 사이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될 있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제2 상부갓(31)과 제2 하부갓들(32)의 측면은 하부측 직경이 상부측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되도록 경사진 구조이므로, 제2 공기 유입부(30)를 측면에서 봤을 때 통기구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2 상부갓(31)과 제2 하부갓들(32)은 체결기재(35)를 통하여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부(37)는 포화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정확한 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2 상부갓(31)과 제2 하부갓들(32)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필터부(37)는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37b)가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체(37a)와 상기 다수의 개구부(37b)에 위치하는 메쉬 필터(37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필터(37c)는 1400 ~ 1600 메쉬 사이즈(mesh size)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온습도 센서(80)는 제2 필터부(37)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 유입부 및 제2 공기 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공기 유입부(20')의 제1 상부갓(21)은 제1 하부갓들(22)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갓(21)의 직경(R1)은 제1 하부갓들(22)의 직경(R2)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부갓들(22)의 보호가 가능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 유입부(30')의 제2 상부갓(31)은 제2 하부갓들(32)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부갓(31)의 직경(R3)은 제2 하부갓들(32)의 직경(R4)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하부갓들(32)의 보호가 가능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10: 외함
20: 제1 공기 유입부 30: 제2 공기 유입부
40: 광 감지부 50: 습기 제어부
60: 미세먼지 센서 70: 유량 펌프
80: 온습도 센서 90: 소음 센서
100: 진동 센서 110: 풍향풍속계
120: 제어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통신 모듈

Claims (10)

  1.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공기 유입부 및 제2 공기 유입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의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습기 제어부;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습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실외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 센서;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센서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펌프; 및
    상기 제2 공기 유입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는,
    상면이 막힌 제1 상부갓;
    상기 제1 상부갓의 하측으로 배열되며, 실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다수의 제1 하부갓들; 및
    상기 제1 상부갓과 상기 제1 하부갓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기 유입부는,
    상면이 막힌 제2 상부갓;
    상기 제2 상부갓의 하측으로 배열되며, 실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다수의 제2 하부갓들; 및
    상기 제2 상부갓과 상기 제2 하부갓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는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터부에 포함된 메쉬 필터의 메쉬 사이즈는 상기 제2 필터부에 포함된 메쉬 필터의 메쉬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습기 제어부는,
    실외 공기가 통과하는 스프링형 관;
    상기 스프링형 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형 관을 통과하는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부와 상기 스프링형 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상기 스프링형 관으로 공급하는 튜브 관; 및
    상기 스프링형 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형 관을 통과한 실외 공기를 상기 미세먼지 센서로 공급하는 별도의 관; 을 더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조도 및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광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부는,
    상기 외함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투명 덮개; 및
    상기 투명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도 및 자외선 센서; 를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은,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체; 및
    상기 다수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상기 메쉬 필터; 를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실외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풍속계; 를 더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실외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센서; 및
    실외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 형성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 및
    상기 외함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 측에 설치되는 배기팬; 을 더 포함하는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KR1020190154034A 2019-11-27 2019-11-27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KR10225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34A KR102258250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34A KR102258250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50B1 true KR102258250B1 (ko) 2021-05-31

Family

ID=7615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34A KR102258250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293A (ko) * 2020-06-15 2021-12-22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KR102351615B1 (ko) * 2021-07-22 2022-01-14 주식회사 에어위드 공기질 센서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376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성림 휴대용 실내공기 측정 장치
KR20100138327A (ko) * 2009-06-25 2010-12-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진계측기의 공기 유입 안정화를 위한 정밀측정용 커버
KR101168948B1 (ko) * 2010-10-22 2012-08-02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채취 및 측정 시스템
KR20160101493A (ko) * 2015-02-17 2016-08-25 김중구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223907A (ja) * 2015-05-29 2016-12-28 富士通株式会社 測定装置および測定システム
KR200484803Y1 (ko) * 2016-05-04 2017-10-26 케이웨더(주) 다기능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KR101832100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63205A (ko) * 2017-11-29 2019-06-07 최병윤 공기질 측정 장치
KR200489704Y1 (ko) * 2019-01-21 2019-07-25 주식회사 엠에이티 공기질 측정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376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성림 휴대용 실내공기 측정 장치
KR20100138327A (ko) * 2009-06-25 2010-12-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진계측기의 공기 유입 안정화를 위한 정밀측정용 커버
KR101168948B1 (ko) * 2010-10-22 2012-08-02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채취 및 측정 시스템
KR20160101493A (ko) * 2015-02-17 2016-08-25 김중구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223907A (ja) * 2015-05-29 2016-12-28 富士通株式会社 測定装置および測定システム
KR200484803Y1 (ko) * 2016-05-04 2017-10-26 케이웨더(주) 다기능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KR101832100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63205A (ko) * 2017-11-29 2019-06-07 최병윤 공기질 측정 장치
KR200489704Y1 (ko) * 2019-01-21 2019-07-25 주식회사 엠에이티 공기질 측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293A (ko) * 2020-06-15 2021-12-22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KR102378687B1 (ko) 2020-06-15 2022-03-25 이노디지털(주)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KR102351615B1 (ko) * 2021-07-22 2022-01-14 주식회사 에어위드 공기질 센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250B1 (ko) 실외 환경 정보 감지 장치
KR102157179B1 (ko)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CN104964891B (zh) 免清洗颗粒物浓度的检测方法及采样装置和采样设备
CN205861657U (zh) 多参数空气品质采集器
KR102466768B1 (ko) 환기 청정기
KR200484803Y1 (ko) 다기능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US8749789B2 (en) Gas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KR102033045B1 (ko) 지능형 환기 청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4023A (ko) 복합 환경 센서
US10816445B2 (en) Particle sensor and particle sensing method
KR20210040898A (ko) 지능형 환기 청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7528702U (zh) 密闭式智能熏气系统
CN112683604B (zh) 一种压力测量法的等速取样装置
CN206772769U (zh) 粉尘浓度检测装置及设有粉尘浓度检测装置空气净化设备
TWI393885B (zh) 風速測量裝置
CN214010715U (zh) 一种建筑模型室内自然通风测试装置
CN210401146U (zh) 带自清洁功能的颗粒物检测装置
CN205786221U (zh) 一种pm2.5检测装置
CN209673143U (zh) 一种民用大气环境监测系统
CN108120659A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和方法
KR20200091325A (ko) 지능형 환기 청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9525334U (zh) 一种空气质量传感器保护装置
CN109781183A (zh) 一种民用大气环境监测系统
WO2020010893A1 (zh) 空气质量检测装置及其应用
RU218729U1 (ru) Анализатор паров этанола в выдыхаемом воздух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