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137B1 -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 Google Patents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137B1
KR102258137B1 KR1020190065514A KR20190065514A KR102258137B1 KR 102258137 B1 KR102258137 B1 KR 102258137B1 KR 1020190065514 A KR1020190065514 A KR 1020190065514A KR 20190065514 A KR20190065514 A KR 20190065514A KR 102258137 B1 KR102258137 B1 KR 10225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membrane
anode
end plate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9009A (en
Inventor
한지형
황교식
정남조
양승철
김찬수
최지연
김한기
남주연
좌은진
박순철
정해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137B1/en
Publication of KR2020013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2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carbon or oxygen or hydrogen and other elements; 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only elements other than carbon, oxygen or hydrogen
    • H01M8/227Dialytic cells or batteries; Reverse electrodialysis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liquid, soli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는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이 반복하여 적층된 셀이 다수개 배치된 셀 스택, 상기 셀 스택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외곽 용액 공급용 스페이서 및 차폐 멤브레인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스택,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일 말단에 제공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가 놓여지고 상기 애노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애노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타 말단에 제공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가 놓여지고 상기 캐소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캐소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애노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이다.A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cluding an open end plate without using an electrode spacer is provided.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t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is a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repeatedly with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 spacer for supplying an outermost solution and a shielding membran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A membrane stack, an ano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mbrane stack, a first end plate on which the an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form an anode chamber , A cathod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stack, a second end plate on which the cath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cath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constitute a cathode chamber. And, the first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a plurality of pillars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 pillar The upper surface of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Description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tial generator with open end plate{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본 기재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이하 RE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 저항으로부터 간섭 받지 않고 높은 전력을 유지하고, 차폐 멤브레인 주변의 급격한 pH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escription relates to a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tial power generator (hereinafter, RED) including an end plate, and more particularly, it maintains high power without interference from bubble resistance and suppresses rapid pH change around the shielding membrane. It relates to a RED comprising an open end plate.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REVERSE ELECTRODIALYSIS, RED)는 열 오염이나 CO2 방출없이 염도 차이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지속 가능형 에너지 시스템이다. RED에서 생성된 이론적인 에너지는 1m3의 해수가 같은 양의 강물과 혼합될 때 1.7 MJ로 추정된다. RED 스택에서 양이온교환막 (CEM)과 음이온교환막 (AEM) 사이에 공급 용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스페이서가 장착되며, 이러한 셀이 반복되어 적층된다. 양이온과 음이온이 농도 차이로 인해 이온 교환막을 통해 확산되면서 생성된 멤브레인 전압이 전극에서의 전기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멤브레인 전압은 셀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수백 개의 셀 수를 갖는 대용량 RED는 수십 볼트의 전압을 생성한다. 도 1은 종래의 논문이나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RED의 개략도이다. REVERSE ELECTRODIALYSIS (RED) is a sustainable energy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ity from salinity differences without thermal pollution or CO 2 emission. The theoretical energy generated in RED is estimated to be 1.7 MJ when 1 m 3 of seawater is mixed with the same amount of river water. In the RED stack, a spacer that guides the flow of the feed solution is mounted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EM), and these cells are repeatedly stacked.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ions diffuse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du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the generated membrane voltag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t the electrode. The membrane voltag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ells, so a large RED with hundreds of cells produces a voltage of tens of volts.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D disclosed in a conventional paper or patent.

종래의 RED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양이온 교환막(CEM)과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셀 스택(10)과 셀 스택(10)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외곽 공급 용액(OFS, Outermost Feed Solution)을 공급하기 위한 멤브레인 스페이서(20), 개스킷(22) 및 차폐 멤브레인막(30)이 제공되어 멤브레인 스택(40)을 형성한다. 차폐 멤브레인막(30)과 메쉬형의 애노드(50) 또는 메쉬형의 캐소드(60) 사이에 각각 전극 스페이서(40)가 놓여지고 전극(50)과 외부 노드(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80)가 삽입된 엔드 플레이트(70)에 의해서 최종 밀페가 되면 애노드(anode) 챔버(55) 및 캐소드(cathode) 챔버(65)가 완성된다. Conventional RED is a cell stack 10 in which unit cells composed of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AEM) that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are repeatedly stacked, and the outermost supply solution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10, respectively. A membrane spacer 20, a gasket 22 and a shielding membrane 30 for supplying (OFS, Outermost Feed Solution) are provided to form a membrane stack 40. Each electrode spac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30 and the mesh-type anode 50 or the mesh-type cathode 60, an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50 and an external node (not shown) ( When the 80 is finally sealed by the inserted end plate 70, the anode chamber 55 and the cathode chamber 65 are completed.

종래의 RED의 경우, 공급 용액은 전극 스페이서(40)와 메쉬 전극(50 또는 60)의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진 좁은 유로를 통해서 흐른다. 좁은 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지나가기 때문에 가역적인 산화환원 반응 외에, 물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경우 국부적인 pH 변화가 매우 커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D, the supply solution flows through a narrow flow path made of a porous structure of the electrode spacer 40 and the mesh electrode 50 or 60. Since the fluid passes through a narrow flow path, in addition to the reversible redox reaction, when a water redox reaction occurs, a local pH change may be very large.

구체적으로, RED의 애노드 챔버(55)의 애노드(50)에서는 화학식 1과 같이 물의 산화 반응에 의해 수소 이온, 전자 및 산소가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anode 50 of the anode chamber 55 of the RED, hydrogen ions, electrons, and oxygen may be generated by an oxidation reaction of water as shown in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H2O → 2H+ +2e- + 1/2O2 (애노드) H 2 O → 2H + + 2e - + 1 / 2O 2 ( anode)

애노드(50)에서 생성된 전자가 부하(미도시)를 거쳐 캐소드 챔버(65)의 캐소드(60)로 공급되면 캐소드(60)에서는 화학식 2과 같이 물의 환원 반응에 의해 수소 및 수산화 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electrons generated in the anode 50 are supplied to the cathode 60 of the cathode chamber 65 through a load (not shown), hydrogen and hydroxide ions may be generated in the cathode 60 by a reduction reaction of water as shown in Formula 2. have.

[화학식 2][Formula 2]

2H2O + 2e- → H2↑ + 2OH- (캐소드)2H 2 O + 2e- → H 2 ↑ + 2OH- (cathode)

따라서, 애노드 챔버(55)에서는 수소 이온으로 인해 pH가 감소하고 캐소드 챔버(65)에서는 수산화 이온으로 인해 pH가 증가한다. Accordingly, in the anode chamber 55, the pH decreases due to hydrogen ions, and in the cathode chamber 65, the pH increases due to hydroxide ions.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의 변화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노드(60)와 차폐 멤브레인(30)에서 일어나는 페리시안화물(ferricyanide)의 청색 반응으로 확인할 수 있다. 페리시안화물(ferricyanide)/페로시안화물(ferrocyanide)는 전극 용액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pH가 감소하면 전극용액으로 사용되는 페리시안화물은 분해되어 분해되지 않은 다른 페리시안화물과 결합하여 파란색의 침전물을 형성한다. The rapid change in pH due to the narrow flow path can be confirmed by a blue reaction of ferricyanide occurring in the anode 60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as illustrated in FIG. 2. Ferricyanide/ferrocyanide is a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solution. When the pH decreases, the ferricyanide used as the electrode solution is decomposed and combined with other ferricyanide that has not been decomposed to form a blue precipitate.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노드(60)와 애노드쪽 차폐 멤브레인(30)의 거의 전체가 파랗게 변한 것으로부터 좁은 유로로 인해 pH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그 결과 청색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pH of the anode 60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on the anode side have turned blue, and thus the pH is rapidly decreased due to the narrow flow path, and as a result, a blue reaction occurs.

도 3은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의 감소로 인해 애노드쪽 스페이서(40)가 부식된 것을 보여준다.3 shows that the spacer 40 on the anode side is corroded due to a rapid decrease in pH due to the narrow flow path.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높은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셀 스택을 구성하는 셀 수를 수백 개 이상으로 증대시키기 시작하면서 RED에서 발생하는 물 전기 분해로 인해서 기포(2)가 형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기포(2)로 인해 기포 저항(bubble resistance)이 발생한다. 특히 다공성 전극 스페이서(40)를 사용하는 경우 다공성 전극 스페이서(40)의 기공 내부에 기포가 삽입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를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RED의 출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in order to generate a high voltage, the number of cells constituting the cell stack is increased to more than a few hundred, and bubbles 2 are formed due to water electrolysis occurring in the RED, and thus generated bubbles ( 2), resulting in bubble resistance. In particular, when the porous electrode spacer 40 is used, bubbles are inserted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electrode spacer 40 to further increase the problem of increasing resistance. As a result,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put of the RED is deteriorated occurs.

한편, 애노드 챔버(55)와 캐소드 챔버(65)에 공급되는 전극용액으로 페리시안화물(ferricyanide)/페로시안화물(ferrocyanide)을 포함하는 전극 용액을 사용할 경우 이들 산화환원종이 셀 스택(1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RED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폐 멤브레인막(30)으로 양이온교환막(CEM)을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온교환막 배치에 따라 캐소드 챔버(65)와 인접한 부분의 최외곽 공급 용액(Outermost Feed Solution, OFS)으로는 해수(SEA WATER)가, 애노드 챔버(55) 부분으로는 최외곽 공급 용액(OFS)으로 담수(RIVER WATER)가 공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ctrode solution containing ferricyanide/ferrocyanide is used as an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55 and the cathode chamber 65, these redox papers are transferred to the cell stack 10. In order to prevent movement, the RED may be equipped with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s the shielding membrane 30 as illustrated in FIG. 4.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seawater (SEA WATER) is used as the outermost feed solution (OFS)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cathode chamber 65, and the outermost feed solution (OFS) is used as the anode chamber 55. Freshwater (RIVER WATER) can be supplied

그런데 RED의 OFS로 공급되는 해수에는 다가 이온(Mg2 +, Ca2 + 등)이 많이 섞여 있어서 다가 이온이 양이온교환막(CEM)을 통하여 캐소드 챔버(65) 내로 이동한 후 캐소드 챔버(65) 내의 수산화이온(OH-)과 반응하여 침전물(Mg(OH)2 또는 Ca(OH)2)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RED의 장기 구동시 이러한 무기 파울링(inorganic fouling)(80)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전극 용액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고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RED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생성된 침전물은 캐소드(60)를 구성하는 메쉬 타입의 전극, 전극 스페이서의 포러스한 구조, 그리고 차폐 멤브레인막 표면에 형성된다. 도 5는 침전물이 끼어 있는 메쉬 타입의 전극 사진을 나타낸다. 그 결과 캐소드 챔버(65) 내에서 전극 용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서 압력이 올라가게 되고 전기화학적 활성을 띄는 전극의 표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되어 출력이 저하된다.However,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OFS of RED contains a lot of polyvalent ions (Mg 2 + , Ca 2 +, etc.), so the polyvalent ions move into the cathode chamber 65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nd It may produce a precipitate (Mg (OH) 2 or Ca (OH) 2) by reaction with - hydroxyl ion (OH). In addition, when the RED is operated for a long time, such inorganic fouling 80 continuously proceeds to prevent the smooth flow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o cause a pressure loss,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RED. The generated precipitate is formed on the mesh-type electrode constituting the cathode 60, the porous structure of the electrode spacer, and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rane film. 5 shows a photograph of a mesh-type electrode in which a precipitate is sandwiched. As a result, since the electrode solution does not flow smoothly in the cathode chamber 65, the pressure rises, and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exhibiting electrochemical activity gradually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output.

한편, 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노드 챔버(55)와 캐소드 챔버(65)에 공급되는 전극용액으로 Fe2 +/3+ 산화환원종(Redox couple)을 포함하는 전극 용액을 사용할 경우 이들 산화환원종이 셀 스택(1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폐 멤브레인막(30)은 음이온교환막(AE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 스택(40) 구조(stack configuration)에서는 캐소드 챔버(65) 부분의 OFS로는 담수가, 애노드 챔버(55) 부분의 OFS로는 해수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 6에 개시된 스택 구조 대비 캐소드 챔버(65) 쪽에서 발생하는 다가 이온 침전 문제는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나 음이온교환막(AEM)의 선택비가 완벽하게 100%가 아니기 때문에 애노드 챔버(55) 쪽의 OFS인 해수로부터 다가 양이온이 애노드 챔버(55) 쪽으로 넘어오고 이렇게 넘어온 다가 양이온이 전극 용액의 순환에 의해서 캐소드 챔버(65) 쪽으로 이동해서 침전물이 여전히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캐소드 챔버(65)에서 물 환원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산화이온(OH-)이 차폐 멤브레인막(30)을 통과하여 OFS의 다가 이온(Ca2 +, Mg2 +) 과 만나서 침전물을 형성한다. 또한, RED의 장기 구동시 이들 침전물은 무기 파울링(inorganic fouling)(80)이 되어 RED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when an electrode solution containing Fe 2 +/3+ redox couple is used as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55 and the cathode chamber 65, these In order to prevent the redox species from moving to the cell stack 10, the shielding membrane layer 30 may be formed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AEM). In such a structure of the membrane stack 40, fresh water is used as the OFS of the cathode chamber 65, and seawater is used as the OFS of the anode chamber 55. Therefore, the polyvalent ion precipitation problem occurring in the cathode chamber 65 side compared to the stack structure disclosed in FIG. 6 may be relatively reduced, but the selectivity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EM) is not completely 100%. The polyvalent cation from the OFS seawater passes to the anode chamber 55, and the polyvalent cation moves toward the cathode chamber 65 by the circulation of the electrode solution, so that a precipitate may still be generated. Then, the cathode hydroxide ions produced in the chamber 65, the water reduction reaction (OH -) to pass through the shielding membrane film 30 should meet the multivalent ions (Ca 2 +, Mg 2 +) in the OFS form a precipitate. In addition, when the RED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hese deposits become inorganic fouling 80, which lowers the efficiency of the RED.

최근까지 연구 개발되어 발표된 선행 문헌들은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 변화로 인한 캐소드, 애노드 또는 차폐 멤브레인의 손상, 다가 이온 침전물에 의한 캐소드, 애노드, 또는 전극 스페이서의 손상 및 기포 저항으로 인한 전력감소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또한, 무기 파울링 생성에 대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Prior literature that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until recently is a problem of power reduction due to damage to cathode, anode or shielding membrane due to rapid pH change due to narrow flow path, damage to cathode, anode, or electrode spacer due to polyvalent ion deposits, and bubble resistance. Did not file. Also, it does not present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generating weapon fouling.

본 개시는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 변화를 해소하기 위한 엔드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nd plate for solving a sudden change in pH due to a narrow flow path, and a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tial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기포 저항을 해소하기 위한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e differential power generator for solving bubble resistance.

본 개시는 다가 이온에 의한 침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reverse electrodialysis salt differential power generator for solving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caused by polyvalent ions.

실시예들에 따른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는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N개(N은 100 이상) 적층된 셀 스택, 상기 셀 스택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외곽 용액 공급용 스페이서 및 차폐 멤브레인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스택,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일 말단에 제공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가 놓여지고 상기 애노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애노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타 말단에 제공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가 놓여지고 상기 캐소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캐소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애노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이다.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open end plate.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a cell stack in which N unit cells consisting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N is 100 or more) are stacked, and a spacer for supplying an outermost solution and a shielding membrane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Membrane stack formed by stacking the same, an ano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mbrane stack, the an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anode to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constitute an anode chamber. A first end plate, a cathod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stack, the cath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th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a second end plate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constitute a cathode chamber. Includes an end plate, wherein the first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s is formed on one surface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기타 본 발명의 측면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s of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실시예들에 따른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의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는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개방 공간을 포함하여 전극 용액의 물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기포와 전극 용액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열린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포로 인한 기포 저항 문제와 급격한 pH 변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The open end plate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open spaces without using an electrode spacer to allow free movement of bubbles generated by the water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he electrode solution. Since it provides a path, it is possible to easily solve the problem of bubble resistance and rapid pH change due to bubbles.

실시예들에 따른 역전기투석 염분차발전장치는 최적화된 스택 구조(stack configuration)를 포함하여 다가 이온에 의한 침전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tial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optimized stack configuration to effectively solve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caused by polyvalent ions.

도 1은 종래의 RED에서 발생하는 기포로 인한 저항 증가와 급격한 pH 변화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의 감소로 인해 페리시안화물의 청색 반응이 일어난 캐소드와 차폐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좁은 유로에 의한 급격한 pH의 감소로 인하여 부식된 전극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전극용액으로 페리시안화물/페로시안화물 산화환원종을 사용하는 조건에서다가이온의 침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RED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다가 이온의 침전물이 끼어 있는 메쉬 타입 전극의 사진이다.
도 6은 전극용액으로 Fe2 +/3+ 산화환원종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다가이온의 침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RED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사용된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사용된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서 기포 저항이 제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pH 변화가 억제됨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꼴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RED를 구성하는 최외곽 공급 용액(OFS)과 차폐 멤브레인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RED를 구성하는 최외곽 공급 용액(OFS)과 차폐 멤브레인의 다른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RED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최외곽 용액(OFS)과 전극 용액(ES)을 각각 달리한 조합에 대해서 출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최대 출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캐소드 한쪽만 사용한 경우와 캐소드와 애노드 모두에 사용한 경우의 최대 출력을 비교예의 최대 출력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Pmax에서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RED와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유속(flow rate)과 출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BPM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으로 적용할 경우 BPM이 생성하는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CEM, AEM, BPM을 각각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을 적용한 후 침전상태를 확인한 SEM사진이다.
도 22 및 도 23은 캐소드의 면적을 감소시킬 경우 적정 면적을 알아보기 위한 면적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due to an increase in resistance and a sudden change in pH due to bubbles occurring in a conventional RED.
2 is a photograph showing a cathode and a shielding membrane in which a blue reaction of ferricyanide occurs due to a rapid decrease in pH due to a narrow flow path.
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lectrode spacer corroded due to a rapid decrease in pH due to a narrow flow path.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D for explaining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of polyvalent ions under the condition of using ferricyanide/ferrocyanide redox species as an electrode solution.
5 is a photograph of a mesh-type electrode in which a precipitate of polyvalent ions is sandwiched.
6 is a schematic diagram of RED for explaining the precipitation of polyvalent ions under the condition of using Fe 2 +/3+ redox species as an electrode solution.
7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RED including an open en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lan view of the open end plate used in FIG. 7.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bubble resistance is removed by the end plate used in FIG. 7.
10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a change in pH is suppressed when an open en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used.
11 is a plan view of a rhombic end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n outermost feed solution (OFS) and a shielding membrane constituting the RED together with an open end plate.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combination of an outermost feed solution (OFS) and a shielding membrane constituting the RED together with an open end plate.
14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n open 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output for a combination of different outermost solution (OFS) and electrode solution (ES) in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16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maximum output after removing the electrode spacer from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 17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aximum output of the case where only one of the cathode is used and the case where the open end plate is used for both the cathode and the anode with the maximum output of the comparative example.
18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value at Pmax.
19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low rate and an output (W) in the 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20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resistance generated by BPM when BPM is applied as a shielding membrane for a cathode.
FIG. 21 is a SEM photograph of CEM, AEM, and BPM after applying a shielding membrane for a cathode, respectively, and confirming a precipitation state.
22 and 23 are graphs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rea and an output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area when the area of the cathode is reduced.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의 일부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에 사용된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사용된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서 기포 저항이 제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7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RED including an open en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plan view of the open end plate used in FIG. 7, and FIG. 9 is a bubble resistance by the end plate used in FIG. 7.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what is removed.

도 7을 참조하면, 음이온 교환막(AEM)과 양이온 교환막(CEM)의 셀이 N개 적층된 셀 스택(110)과 셀 스택(110)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 외곽 공급 용액(OFS, outermost feed solution)을 공급하기 위한 멤브레인 스페이서(120), 개스킷(122) 및 차폐 멤브레인(130)이 제공되어 멤브레인 스택(140)을 형성한다. 차폐 멤브레인(130)과 애노드(150) 또는 캐소드(160)가 직접 접촉을 하도록 놓여지고, 애노드(150) 또는 캐소드(160)와 외부 노드(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80)가 삽입된 엔드 플레이트(170)에 의해서 최종 밀페가 되면 각각의 애노드(anode) 챔버(155) 및 캐소드(cathode) 챔버(165)가 형성됨과 동시에 RED가 완성된다. Referring to FIG. 7, an outermost feed solution (OFS) is supplied to the cell stack 110 in which N cell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EM)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re stacked, and the outermost feed solution (OFS) on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110. A membrane spacer 120, a gasket 122 and a shielding membrane 130 for supplying) are provided to form the membrane stack 140.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anode 150 or the cathode 160 are placed in direct contact, and a connector 180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150 or cathode 160 and an external node (not shown) is inserted. When the final sealing is achieved by the end plate 170, each of the anode chambers 155 and the cathode chambers 165 are formed, and the RED is completed at the same tim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170)는 엔드 플레이트(170)의 상, 하 양 말단 쪽에 전극 용액(ES, electrode solution)의 입구(inlet)(171)와 출구(outlet)(172)을 포함한다. 엔드 플레이트(170)의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176)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174)가 형성되어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구성한다. RED를 조립시 높은 압력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필라(174)의 상면은 애노드(150) 또는 캐소드(160)와 직접 접촉한다. 애노드(150) 또는 캐소드(160)와 직접 접촉하는 필라(174)들은 멤브레인 스택(140)과 엔드 플레이트(170)를 체결시 높은 압력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7 and 8, the end plat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nlet 171 and an outlet of an electrode solution (ES)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nd plate 170. Include (outlet)(172). One surface of the end plate 1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74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176 to constitute the open end plate 170. When the RED is assembled under high pressure,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174 directly contacts the anode 150 or the cathode 160. The pillars 174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150 or the cathode 160 serve to support high pressure when fastening the membrane stack 140 and the end plate 170.

다수의 개방 공간(176)은 전극 용액의 물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기포(도 1의 2 참조)와 전극 용액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열린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급격한 pH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RED는 차폐 멤브레인(130)과 애노드(150) 또는 차폐 멤브레인(130)과 캐소드(160) 사이에 전극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전극 스페이서(도 1의 40 참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포(도 1의 2 참조)로 인한 기포 저항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open spaces 176 provide an open path through which bubbles generated by the water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de solution (see 2 in FIG. 1) and the electrode solution can move freely, rapid pH change can be suppressed. And, unlike the prior art, the 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electrode spacer through which an electrode solution can flow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anode 150 or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cathode 160 (see 40 in FIG. 1). Do not use. Since the electrode spacer is not used, the problem of bubble resistance due to bubbles (see 2 in FIG. 1) can be easily solved.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라(174)가 없는 완전 개방형 부분(176)에서는 전극 용액의 유동 경로(화살표 4)에 따라 유체가 움직인다. 그런데,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170)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체 흐름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급격한 pH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RED에서는 좁은 유로로 인해서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에 물 산화환원반응이 진행될수록 애노드 챔버 쪽은 pH가 낮아지고 캐소드 챔버쪽은 pH가 높아진다. 반면, 일 실시예 따른 경우에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극 용액의 유동 흐름이 원활하기 때문에 전극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더라도 급격한 pH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As illustrated in FIG. 9, in the completely open portion 176 without the pillar 174, the fluid moves along the flow path (arrow 4) of the electrode solution.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end plat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fluid flow is not disturbed, a sudden change in pH can be suppressed. 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since the flow of the fluid is obstructed by the narrow flow path, the pH of the anode chamber decreases and the pH of the cathode chamber increases as the water redox reaction proceed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since the open end plate 170 is used, the flow of the electrode solution is smooth, so even if the electrode reaction continues to occur, a sudden change in pH does not occur.

이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전극과 엔드플레이트의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다. 급격한 pH 변화가 억제된다는 것은 페리시안화물(Ferricyanide)의 블루 반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필라(174)가 위아래 없는 완전 개방형 부분(화살표 표시 영역)은 청색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필라(174)가 위아래 있는 부분(원 표시 영역)은 기포가 필라(174) 아래쪽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만큼 필라(174) 위아래 공간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느려지고 pH 변화가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청색 반응이 일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can be seen from the photographs of the electrode and the end plate shown in FIG. 10.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blue reaction of ferricyanide that abrupt pH change is suppressed. A blue reaction does not occur in a completely open part (arrow display area) in which the pillars 174 are not above and below.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ars 174 (circle display areas), the time for the air bubbles to stay below the pillars 174 becomes longer. As such, it can be seen that in the space above and below the pillar 174, the flow of the fluid is slowed and the pH change is relatively large, so that a blue reaction partially occurs.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RED는 차폐 멤브레인(130)과 애노드(150) 또는 차폐 멤브레인(130)과 캐소드(160) 사이에 전극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전극 스페이서(도 1의 40 참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종래와 같이 전극 스페이서(도 1의 40 참조)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는 애노드(도 1의 50 참조) 또는 캐소드(도 1의 60 참조) 안쪽에 있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RED의 내부 저항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 스페이서(도 1의 40 참조)에 삽입되는 기포 저항이 내부 저항에 영향을 주게 되고 결국 RED의 출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RED는 전극 스페이서를 포함하지 않고 차폐 멤브레인(130)과 애노드(150) 또는 차폐 멤브레인(130)과 캐소드(160)가 직접 접촉을 한다. 내부 저항에 포함되는 기포 저항은 애노드(140)와 캐소드(160) 사이에 존재했을 때에만 고려되는데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통해서 흐르는 기포들은 애노드(150) 또는 캐소드(160)의 외곽에 존재하기 때문에 RED 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7, the 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electrode spacer through which an electrode solution may flow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anode 150 or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cathode 160 (40 in FIG. 1 ). Reference) is not used. 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ode spacer (see 40 in FIG. 1) as in the prior art, it is a component inside the anode (see 50 in FIG. 1) or the cathode (see 60 in FIG. 1), so it is involved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RED. Therefore, the bubble resistanc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spacer (refer to 40 in FIG. 1) affects the internal resistance and eventually lowers the output of the RED. Accordingly, the 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n electrode spacer, and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anode 150 or the shielding membrane 130 and the cathode 160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e bubble resistance included in the internal resistance is considered only when it exists between the anode 140 and the cathode 160, and the bubbles flowing through the open end plate 170 exist outside the anode 150 or the cathode 160. Therefore, it does not affect the RED power.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꼴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라(174) 바닥쪽 부분에서의 유체 및 기포의 머무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마름모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극 반응으로 발생된 기체들은 자유롭게 확산되어 전극 용액의 출구(172) 쪽으로 배출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 포집된 수소 가스는 다른 플랫폼에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수소 가스를 필요로 하는 다른 플랫폼은 연료 전기, 수소 충전 스테이션 등 다양한 플랫폼이 적용될 수 있다.11 is a plan view of a rhombic end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1, in order to reduce the retention time of fluid and air bubbles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pillar 174, it may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rhombus shape. Gases generated by the electrode reaction are freely diffuse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172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he collected hydrogen gas may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tform and used as necessary. Other platforms that require hydrogen gas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tforms such as fuel electricity and hydrogen charging stations.

도 12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와 함께 RED를 구성하는 최외곽 공급 용액(OFS)과 차폐 멤브레인(130)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RED에서와 마찬가지로 다가 이온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외곽 공급 용액(OFS)은 모두 담수를 적용한다. 담수로는 강물(river water) 또는 수돗물(tap water)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가 이온 함량이 더 적은 수돗물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다가 이온 함량이 작은 담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기 스케일링이 그리고 다가 이온 침전 반응이 일어나는 캐소드 챔버(165)로 다가 양이온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캐소드 챔버(165)쪽 차폐 멤브레인(130)은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구성한다. 애노드쪽 OFS의 염소 이온(Cl-)이 전극용액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애노드 챔버(155)쪽 차폐 멤브레인(130)은 양이온 교환막(CEM)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애노드 챔버(155)에서 독성물질인 염화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캐소드 쪽의 OFS는 해수 대비 다가 양이온이 적은 담수를 사용하고 차폐 멤브레인은 AEM을 사용하고 OFS도 담수를 사용하는 도 6(a)의 구성이 보다 적합함을 알 수 있다.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the outermost supply solution (OFS) constituting the RED together with the open end plate 170 and the shielding membrane 130. As in the RED shown in Figs. 4 to 6, fresh water is applied to all the outermost feed solutions (OFS) in order to prevent precipitation of polyvalent ions. As fresh water, river water or tap water may be applied, and tap water having a lower polyvalent ion content may be more preferable. Since fresh water with a small polyvalent ion content is used, the shielding membrane 130 on the cathode chamber 165 side is an anion exchange membrane ( AEM). The shielding membrane 130 on the anode chamber 155 side is formed of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to prevent the chlorine ions (Cl −) of the OFS on the anode side from passing to the electrode solu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chlorinated gas, which is a toxic substance, in the anode chamber 155.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of FIG. 6(a) in which the OFS on the cathode side uses fresh water with less polyvalent cations compared to seawater, and the shielding membrane uses AEM, and the OFS also uses fresh water is more suitable.

도 13은 바이폴라 멤브레인(BPM)(130)을 캐소드 챔버(165) 쪽 차폐 멤브레인(130)으로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BPM(130)은 물 분리(water splitting)가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양이온교환막(132)은 애노드(150)를 마주보도록 하고 음이온교환막(134)은 캐소드(160)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13 shows a case in which the bipolar membrane (BPM) 130 is applied as the shielding membrane 130 toward the cathode chamber 165. The BPM 130 is arranged so that water splitting can occur. Specifically,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132 faces the anode 15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134 faces the cathode 160.

BPM(130)에서 만들어지는 OH- 이온은 캐소드(160) 쪽으로 향하고, H+ 이온은 애노드(150) 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OFS의 pH가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OFS에 포함되어 있는 다가 이온들은 전하 중립성(charge neutrality)와 BPM의 양전하(positive charge) 때문에 전극 용액 쪽으로 이동하기 힘들다. 전극 용액 쪽에서 만들어지는 OH- 이온들도 전하 중립성(charge neutrality)와 BPM의 음전하(negative charge) 때문에 OFS쪽으로 이동하기 힘들다. 결과적으로 캐소드(Cathode)의 물 환원반응에 의해 전극 계면의 pH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BPM(130)의 물 분리(water splitting)가 일어나는 조건하에서 전극 용액의 OH- 이온과 OFS의 다가 이온의 크로스오버(crossover)를 최소화하여 전극 표면 또는 이온교환막 표면에서의 다가이온 침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OH- ions produced in the BPM 130 are directed toward the cathode 160, and the H+ ions are directed toward the anode 150. Therefore, the pH of OFS can be kept low. Multivalent ions contained in OFS are difficult to move toward the electrode solution due to charge neutrality and positive charge of BPM. The OH- ions produced in the electrode solution are also difficult to move toward OFS due to charge neutrality and negative charge of BPM. As a result, even if the pH of the electrode interface is kept high due to the water reduction reaction of the cathode, the crossover between the OH- ions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he polyvalent ions of the OFS ( crossover) can minimize the precipitation of polyions on the electrode surface or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의 일부 개략도이다. 14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RED including an open end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음이온 교환막(AEM)과 양이온 교환막(CEM)으로 이루어진 단위 셀(unit cell)이 N개 적층된 셀 스택(110)과 셀 스택(110)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 외곽 공급 용액(OFS, outermost feed solution)을 공급하기 위한 멤브레인 스페이서(120) 및 애노드용 차폐 멤브레인(130A)과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이 제공되어 멤브레인 스택(140)을 형성한다. 애노드(150)는 애노드용 차폐 멤브레인(130A)과 직접 접촉을 하도록 놓여지고, 캐소드(160)는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과 직접 접촉을 하도록 놓여진다. The outermost feed solution (OFS) is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110 and cell stack 110 in which N unit cells consisting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AEM)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are stacked. A membrane spacer 120 for supplying ), a shielding membrane 130A for an anode, and a shielding membrane 130C for a cathode are provided to form the membrane stack 140. The anode 150 is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hielding membrane 130A for the anode, and the cathode 160 is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hielding membrane 130C for the cathode.

애노드(150)와 외부 노드(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80)가 삽입된 엔드 플레이트(170)에 의해서 최종 밀폐가 되면 애노드(anode) 챔버(155)가 형성된다. 애노드 챔버(155)에서는 기포의 발생으로 인한 pH의 급격한 감소가 주된 원인이므로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적용한다.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의 상, 하 양 말단 쪽에 전극 용액(ES, electrode solution)의 입구(inlet)(171)와 출구(outlet)(172)을 포함한다. 도 7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는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176)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174)가 형성되어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구성한다. RED를 조립시 높은 압력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필라(174)의 상면은 애노드(150)와 직접 접촉한다. 애노드(150)와 직접 접촉하는 필라(174)들은 멤브레인 스택(140)과 엔드 플레이트(170)를 체결시 높은 압력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connector 180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150 and an external node (not shown) is finally sealed by the inserted end plate 170, the anode chamber 155 is formed. In the anode chamber 155, an open end plate 170 as illustrated in FIG. 7 is applied because the main cause is a rapid decrease in pH due to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It includes an inlet 171 and an outlet 172 of an electrode solution (ES)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 end plate 170. As described in FIG. 7, the open end plate 1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74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176 on one side to constitute the open end plate 170. When assembling the RED,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174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150 because it is assembled under high pressure. The pillars 174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150 serve to support high pressure when fastening the membrane stack 140 and the end plate 170.

다수의 개방 공간(176)은 전극 용액의 물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기포와 전극 용액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열린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급격한 pH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달리 애노드용 차폐 멤브레인(130A)과 애노드(150) 사이에 전극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전극 스페이서(도 1의 40 참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포로 인한 기포 저항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애노드용 차폐 멤브레인(130A)은 양이온교환막(CEM)인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plurality of open spaces 176 provide an open path through which bubbles generated by the water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he electrode solution can freely move, rapid pH change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an electrode spacer (see 40 in FIG. 1) through which an electrode solution may flow between the anode shielding membrane 130A and the anode 150 is not used. Since the electrode spacer is not used, the bubble resistance problem caused by bubbles can be easily sol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elding membrane 130A for the anode is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캐소드 챔버(165)에서는 다가 이온의 침전이 기포의 생성보다 중요한 이슈이므로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을 양이온교환막(132)과 음이온교환막(134)을 포함하는 BPM으로 형성한다. 캐소드 챔버(165)에서도 애노드 챔버(155)와 마찬가지로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17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cathode chamber 165, since precipitation of polyvalent ions is more important than the generation of bubbles,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130C is formed of a BPM including a cation exchange membrane 132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134.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n end plate 170 can be applied to the cathode chamber 165 as well as the anode chamber 155.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을 구성하는 BPM은 물 분리(water splitting)가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양이온교환막(132)은 애노드(150)를 마주보도록 하고 음이온교환막(134)은 캐소드(160)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The BPM constituting the shielding membrane 130C for the cathode is arranged so that water splitting can occur. Specifically,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132 faces the anode 15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134 faces the cathode 160.

BPM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으로 적용하면 BPM(130C)에서 만들어지는 OH- 이온은 캐소드(160) 쪽으로 향하고, H+ 이온은 애노드(150) 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OFS의 pH가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OFS에 포함되어 있는 다가 이온들은 전하 중립성(charge neutrality)와 BPM의 양전하(positive charge) 때문에 전극 용액 쪽으로 이동하기 힘들다. 전극 용액 쪽에서 만들어지는 OH- 이온들도 전하 중립성(charge neutrality)와 BPM의 음전하(negative charge) 때문에 OFS쪽으로 이동하기 힘들다. 결과적으로 캐소드(Cathode)의 물 환원반응에 의해 전극 계면의 pH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BPM의 물 분리(water splitting)가 일어나는 조건하에서 전극 용액의 OH- 이온과 OFS의 다가 이온의 크로스오버(crossover)를 최소화하여 다가이온 침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BPM is applied as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130C, OH- ions produced in the BPM 130C are directed toward the cathode 160 and H+ ions are directed toward the anode 150. Therefore, the pH of OFS can be kept low. Multivalent ions contained in OFS are difficult to move toward the electrode solution due to charge neutrality and positive charge of BPM. OH- ions made in the electrode solution are also difficult to move toward OFS due to charge neutrality and negative charge of BPM. As a result, even if the pH of the electrode interface is kept high due to the water reduction reaction of the cathode, the crossover between the OH- ions of the electrode solution and the polyvalent ions of the OFS is prevented under the condition that water splitting of BPM occurs. By minimizing, the polyion precipitation phenomenon can be minimized.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을 BPM으로 형성할 경우 BPM이 고가이므로 가능한 작은 크기의 B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PM의 크기가 감소하면 BPM과 접촉하는 캐소드의 면적 또한 작아져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험 결과에 따르면 캐소드(160)의 최소 면적이 멤브레인 스택(140)을 구성하는 이온교환막(양이온교환막 또는 음이온교환막)의 면적 대비 60%일 경우 출력 변화가 거의 없이 RED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캐소드(160)의 면적을 이온교환막(CEM 또는 AEM)의 면적 대비 최소 60%의 크기까지 감소시키고 BPM(130C)의 면적도 캐소드(160)의 면적과 동일하게 하여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캐소드(160)의 사용가능한 면적 범위는 이온교환막의 면적 대비 60~100% 가 될 수 있다. When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130C is formed of BPM, since BPM is expensive, it is preferable to use a BPM of as small a size as possible. As the size of the BPM decreases, the area of the cathode in contact with the BPM must also decreas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below, when the minimum area of the cathode 160 is 60%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cation exchange membrane or anion exchange membrane) constituting the membrane stack 140, the RED can be driven with little change in output. have. Accordingly, the size of the cathode 160 can be reduced to at least 60%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CEM or AEM), and the area of the BPM 130C is also the same as the area of the cathode 160, thereby reducing the size. . That is, the usable area range of the cathode 160 may be 60 to 100%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이 경우, 엔드 플레이트(170)와 BPM으로 이루어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을 통해 전극(캐소드) 용액이 누출(leak)될 염려를 방지하기 위해서 OFS 공급용 멤브레인 스페이서(120)와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 사이에 추가 멤브레인(138)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추가 멤브레인(138)으로는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할 수 있다.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의 양이온 교환막(132) 옆에 바로 추가 멤브레인(138)으로 양이온교환막(CEM)을 접촉시키면 물 분리(water splitting)에 의해 형성된 양성자(proton)가 양이온교환막(138)까지 원활하게 확산하여 스택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양성자가 BPM으로 이루어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130C)으로부터 원활하게 빠져나가야 물 분리도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FS supply membrane spacer 120 and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to prevent the risk of leakage of the electrode (cathode) solution through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130C made of the end plate 170 and BPM. An additional membrane 138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130C). As the additional membrane 138, a cation exchange membrane may be used. Wh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is contacted with an additional membrane 138 immediately next to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132 of the shielding membrane for the cathode (130C), protons formed by water splitting are transferred to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138. It can spread smoothly and move inside the stack. Water separation can also occur effectively when the protons smoothly escape from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130C made of BPM.

추가 멤브레인(138)의 경우 x로 표시된 영역(190)이 캐소드 챔버(165)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다가 이온에 의한 침전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가 이온에 의한 침전 문제를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membrane 138, since the region 190 indicated by x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athode chamber 165, it can be free from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by polyvalent ions, thereby fundamentally reducing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by polyvalent 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들을 제시하나, 하기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esent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험예 : 오픈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 제조Experimental Example: RED manufacturing including open end plate

100개의 셀을 가지는 대용량 RED 시스템의 셀 스택은 양이온 교환막 (CEM-Type 1, Fujifilm, Netherlands)과 음이온 교환막 (AEM-Type 1, Fujifilm)으로 구성하였다. 각 막의 유효 면적은 453.6cm2 (43.2 x 10.5 cm2)이 되도록 하였다. 두께가 0.1mm인 PTFE(Polytetrafluoroethyelene) 가스켓과 나일론 스페이서를 양이온 교화막과 음이온 교환막 사이에 삽입해서 셀 스택을 완성하였다. The cell stack of the large-capacity RED system with 100 cells consisted of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Type 1, Fujifilm, Netherlands)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AEM-Type 1, Fujifilm). Each film was such that the effective area is 453.6cm 2 (43.2 x 10.5 cm 2 ). A 0.1mm thick PTFE (Polytetrafluoroethyelene) gasket and a nylon spacer were inserted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complete the cell stack.

셀 스택을 사이에 두고 양 말단에 최외곽 용액이 공급되는 스페이서와 가스킷, 차폐 멤브레인, 전극 및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오픈형 엔드 플레이트를 적층한 후 압력을 가하여 실링하여 RED를 완성하였다. A spacer, a gasket, a shielding membrane, an electrode, and an open end plate illustrated in FIG. 7 were stacked on both ends of the cell stack, and then sealed by applying pressure to complete the RED.

오픈형 엔드 플레이트는 두께 5㎝의 아크릴로 제조하였으며, 필라의 높이는 5mm, 가로는 12mm, 세로는 9mm 가 되도록 하였다. 전극으로는 유효 면적이 453.6 cm2 (43.2 x 10.5 cm2)인 Ti 메쉬 전극을 사용하였다. The open end plate was made of acrylic with a thickness of 5 cm, and the height of the pillar was 5 mm, the width was 12 mm, and the length was 9 mm. As an electrode, a Ti mesh electrode having an effective area of 453.6 cm 2 (43.2 x 10.5 cm 2) was used.

비교예: 폐쇄형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 제조Comparative Example: RED Manufacturing Including Closed End Plate

폐쇄형 엔드 플레이트(도 1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RED 시스템을 구성할 때 실험예와 달리 차폐 멤브레인과 전극 사이에 다공성 전극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RED를 구성하고 백금 (Pt)코팅된 Ti 메쉬 전극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험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RED를 제조하였다. When configuring the RED system including the closed end plate (end plate in Fig. 1), unlike the experimental example, a porous electrode spacer was inserted between the shielding membrane and the electrode to construct the RED, and a platinum (Pt) coated Ti mesh electrode was used. Except that it was used, RE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perimental example.

성능 측정Measure performance

실시예에 따른 OFS로 인공 해수는 수돗물에 NaCl염 (대한민국 대정)을 용해하여 사용하였고, 담수(강물)로는 수돗물을 사용하였다. 공급 용액은 0.75 cm/s의 유속으로 2 개의 연동 펌프를 사용하여 공급하였다. 전극 용액 (ES)으로 100 mM NaCl을 수돗물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하여 발전을 진행한 후 성능을 측정하였다. With OFS according to the example, artificial seawater was used by dissolving NaCl salt (Daejeong, Korea) in tap water, and tap water was used as fresh water (river water). The feed solution was fed using two peristaltic pumps at a flow rate of 0.75 cm/s. The performance was measured after power generation was performed using a solution in which 100 mM NaCl was dissolved in tap water as an electrode solution (ES).

Potentiostat (ZIVE SP2, WonaTech,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40 mV s-1의 스캔 속도로 전류 - 전력 (I-P) 곡선을 측정했다. The current-power (IP) curve was measured with a scan rate of 40 mV s -1 using a Potentiostat (ZIVE SP2, WonaTech, Korea).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최외곽 용액(OFS)과 전극 용액(ES)을 각각 달리한 조합에 대해서 출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1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output for a combination of different outermost solution (OFS) and electrode solution (ES) in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전극 용액이 인공 해수(전도도가 50mS/cm)인 경우 최외곽 용액(OFS)의 전도도에 상관없이 높은 출력이 측정된다. 그런데, 최외곽 용액(OFS)과 전극 용액이 모두 수돗물(tap water)인 경우 출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OFS(sea)/ES(sea)를 기준으로 OFS(river)/ES(river)의 출력이 16% 정도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전극 시스템에 대한 가정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전극 스페이서에서의 기포 저항때문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de solution is artificial seawater (conductivity is 50mS/cm), a high output is measured regardless of the conductivity of the outermost solution (OFS). However, when both the outermost solution (OFS) and the electrode solution are tap water, the output decreases significantly, so that the output of OFS(river)/ES(river) is based on OFS(sea)/ES(sea). It decreased by about 16%. As such,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reason that the result opposite to the assumption for a general electrode system is due to the bubble resistance in the electrode spacer.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최대 출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16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maximum output after removing the electrode spacer from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한 결과 출력이 가장 높은 값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회복된 값은 OFS(sea)/ES(sea)인 조건에서의 최대출력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전극 스페이서의 구조로 인하여 생성된 기포에 의한 저항이 전체 저항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removing the electrode spacers,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is restored to the highest value. It can be seen that the recovered value is the same as the maximum output under the condition of OFS(sea)/ES(sea). From this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due to bubbles genera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spacer has a very large influence on the total resistance.

아래 표 1을 보면,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한 경우 내부저항이 18ohm으로 계산되었다. 반면,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한 경우, 내부 저항이 12ohm으로 30%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below, when an electrode spacer was used, the internal resistance was calculated as 18 ohm.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 spacers are remove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decreases by about 30% to 12 ohms.

캐소드 및 애노드에서의 OFSOFS at cathode and anode 전극 용액 (ES)Electrode solution (ES) 폐쇄형
엔드플레이트
Closed
End plate
전극 스페이서가 없는 폐쇄형 엔드플레이트Closed end plate without electrode spacers
강물River 강물River 18ohm18ohm 12.05ohm12.05ohm

도 17은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캐소드 한쪽만 사용한 경우와 캐소드와 애노드 모두에 사용한 경우의 최대 출력을 비교예의 최대 출력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전극 스페이서가 없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가 캐소드에 있고 전극 스페이서가 있는 밀폐형 엔드 플레이트가 애노드에 있을 경우 P_max는 70W로 증가했다. 전극 스페이서가 없는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가 캐소드와 애노드 모두에 있을 경우 P_max는 거의 80W에 이르렀다. 이로부터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적용할 경우 OFS(sea)/ES(sea)일 경우의 출력과 비슷한 최대 출력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극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기포 저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출력의 OFS(sea)/ES(sea)의 경우에는 다가 이온 침전 문제 및 좁은 유로 인한 pH 변화로 인한 문제가 생성되지만 실시예(OFS(river)/ES(river) +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다가 이온 침전 문제와 pH 변화로 인한 RED 구성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8은 Pmax에서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캐소드와 애노드 모두 개방형 엔드 플레이트를 적용한 경우의 전류 값이 캐소드와 애노드 모두 밀폐형 엔드 플레이트를 적용한 경우 대비 25 %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Fig. 17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aximum output of the case where only one of the cathode is used and the case where the open end plate is used for both the cathode and the anode with the maximum output of the comparative example. P_max increased to 70W when an open end plate without electrode spacers is on the cathode and a sealed end plate with electrode spacers is on the anode. When an open end plate without electrode spacers was present at both the cathode and anode, the P_max reached nearly 80W.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electrode spacer is removed and the open end plate is applied, a maximum output similar to the output in the case of OFS(sea)/ES(sea) is measur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bubble resistance can be completely removed by removing the electrode spacer and using the open end pla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OFS(sea)/ES(sea) of the same output, a problem due to a polyvalent ion precipitation problem and a pH change due to a narrow flow path is generated, but the embodiment (OFS(river)/ES(river) + open end plate) In this case, there are no polyvalent ion precipitation problems and damage to the RED components due to pH changes. 18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value at Pmax.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value when the open end plate is applied to both the cathode and the anode is 25% higher than when the closed end plate is applied to both the cathode and anode.

아래 표 2에는 각각의 경우의 내부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Table 2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s in each case.

캐소드 및 애노드에서의 OFSOFS at cathode and anode 전극 용액 (ES)Electrode solution (ES) 폐쇄형
엔드플레이트
Closed
End plate
개방형
엔드플레이트
Open type
End plate
강물River 강물River 1818 12.7912.79 강물River 해수sea water 14.714.7 12.6812.68

표 2의 결과로부터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는 개방형 엔드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저항값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전극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는 개방형 엔드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기포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when an open end plate that does not use an electrode spacer is us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bubble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when an open end plate that does not use an electrode spacer is used.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RED와 비교예에 따른 RED에서 유속(flow rate)과 출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3은 넷트 파워(net power)를 계산하여 기재한 것이다. 19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low rate and an output (W) in the 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able 3 shows the net power calculated and described.

밀폐형 엔드플레이트Sealed end plate 개방형 엔드플레이트Open end plate Flow rate(cm/S)Flow rate(cm/S) Net Power (W)Net Power (W) Net Power Density(W/m2)Net Power Density(W/m 2 ) Flow rate(cm/S)Flow rate(cm/S) Net Power (W)Net Power (W) Net Power Density(W/m2)Net Power Density(W/m 2 ) 0.740.74 35.1035.10 0.3870.387 0.820.82 50.7650.76 0.5590.559

도 19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오픈형 엔드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밀폐형 엔드 플레이트 대비 네트 파워가 44%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BPM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으로 적용할 경우 BPM이 생성하는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rom the results of Fig. 19 and Table 3,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open end plate is used, the net power is increased by 44% compared to the closed end plate. 20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resistance generated by BPM when BPM is applied as a shielding membrane for a cathode.

도 1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을 BPM을 형성한 경우와 CEM으로 형성할 경우에 대해서 각각 저항을 바꿔가면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 후 작성한 전류-전력 곡선(i-p curve)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BPM을 사용했을 때 출력이 AEM을 사용하였을 경우 대비 약 7% 정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PM에서의 물 분리(water splitting)이 일어나는 최소한의 전압 약 600 mV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100 셀에서 만들어지는 막 전압에서 물 분리(water splitting)가 발생하는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이 빠진다. 그만큼 전극에 걸리는 실제 전압 (stack voltage)는 약간 작아지고 출력도 감소한다. 수백 셀로 이루어진 대형 RED 스택에서는 막 전압이 훨씬 크기 때문에 BPM에서 필요한 전압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대형 스택에서는 BPM 저항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BPM을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으로 적용하여 다가 이온의 침전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BPM 저항으로 인한 출력 저하 문제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4, a current-power curve (ip curve) created after measuring voltage and current while changing resistance for the case of forming a BPM and a case of forming a CEM for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is shown in FIG. 20 Is shown in. Referring to FIG. 20, it can be seen that when BPM is used, the output is reduced by about 7% compared to when AEM is used. Since a minimum voltage of about 600 mV at which water splitting occurs in the BPM is additionally required, the required minimum voltage at which water splitting occurs is subtracted from the membrane voltage produced at 100 cells. As a result, the actual stack voltage across the electrode becomes slightly smaller and the output decreases. In a large RED stack of hundreds of cells, the film voltage is much larger, so the proportion of the voltage required by the BPM can be very small. Therefore, the BPM resistor can be neglected in a large stack.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if the BPM is applied as a shielding membrane for the cathode to solve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of polyvalent ions, there is no problem of output degradation due to BPM resistance.

캐소드용 차폐 멤브레인을 AEM으로 형성한 경우, CEM으로 형성한 경우, BPM으로 형성한 경우 각각에 대해서 OFS를 해수(2mS/cm)로 적용하고 전류-전력 곡선(i-p curve)을 연속 10번 측정한 후 각 차폐 멤브레인의 양쪽 면에서의 침전상태를 SEM과 EDS를 통해 확인 비교했다. When the cathode shielding membrane is formed of AEM, CEM, and BPM, OFS is applied in seawater (2mS/cm) and the current-power curve (ip curve) is measured 10 times in a row. Afterwards, the precipitation conditions on both sides of each shielding membrane were confirmed and compared through SEM and EDS.

그 결과가 아래 표 4 내지 표 6에 기재되어 있다.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4 to 6 below.

Element
Element
CEM front(캐소드쪽)CEM front (cathode side) CEM back(애노드쪽)CEM back (anode side)
Weight%Weight% Atomic%Atomic% Weight%Weight% Atomic%Atomic% CC 21.2721.27 29.0529.05 39.3239.32 47.9447.94 NN 12.9312.93 13.5213.52 OO 54.2454.24 55.6055.60 35.0935.09 32.1132.11 NaNa 1.691.69 1.211.21 2.922.92 1.861.86 MgMg 15.6415.64 10.5510.55 1.141.14 0.680.68 SS 6.456.45 3.303.30 8.158.15 3.723.72 CaCa 0.700.70 0.290.29 0.460.46 0.170.17 TOTTOT 99.9999.99 100100 100.01100.01 100100

Element
Element
AEM front(캐소드쪽)AEM front (cathode side) AEM back(애노드쪽)AEM back (anode side)
Weight%Weight% Atomic%Atomic% Weight%Weight% Atomic%Atomic% CC 65.9965.99 73.8773.87 NN 9.829.82 9.439.43 5.565.56 7.757.75 OO 16.2916.29 13.6913.69 56.5156.51 68.9968.99 MgMg 7.877.87 6.326.32 AlAl 1.001.00 0.720.72 SiSi 0.220.22 0.100.10 1.411.41 0.980.98 ClCl 7.687.68 2.912.91 27.6527.65 15.2315.23 TOTTOT 100100 100100 100100 99.9999.99

Element
Element
BPM front(캐소드쪽)BPM front (cathode side) BPM back(애노드쪽)BPM back (anode side)
Weight%Weight% Atomic%Atomic% Weight%Weight% Atomic%Atomic% CC 33.9933.99 54.2654.26 84.0284.02 89.4589.45 OO 23.1323.13 27.7127.71 10.8210.82 8.648.64 NaNa 1.611.61 1.341.34 MgMg 0.200.20 0.100.10 SS 4.294.29 2.562.56 0.420.42 0.170.17 ClCl 21.4821.48 11.6211.62 4.544.54 1.641.64 SnSn 15.5115.51 2.502.50 TOTTOT 100.01100.01 99.9999.99 100100 100100

표 4 내지 표 6의 결과와 도 21을 참조하면, CEM의 경우에는 앞면(front, 캐소드쪽)에 AME의 경우에는 뒷면(back, 애노드쪽)에 다량의 침전물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BPM의 경우에는 뒷면(back, 애노드쪽)에 아주 소량의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PM을 적용함으로써 다가 이온에 의한 침전 현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ables 4 to 6 and FIG. 21,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CEM, a large amount of precipit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front, cathode side) and the back side (back, anode side) in the case of AM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PM, it can be seen that a very small amount of sediment is formed on the back side (anode sid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by applying BPM, precipitation due to polyvalent ions can be greatly reduced.

도 22 및 도 23은 캐소드의 면적을 감소시킬 경우 적정 면적을 알아보기 위한 면적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22 and 23 are graphs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rea and an output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area when the area of the cathode is reduced.

막 스택을 면적이 440.84㎠ 인 이온교환막으로 구성하고 캐소드의 면적을 각각 257.5㎠, 250㎠, 219.6㎠, 61㎠ 으로 다르게 하고 출력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The membrane stack was composed of an 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n area of 440.84 cm2, and the areas of the cathode were changed to 257.5 cm2, 250 cm2, 219.6 cm2, and 61 cm2, respectively, and the change in output was confi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2 and 23.

도 22 및 도 23으로부터 이온교환막의 면적 대비 58%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캐소드를 사용할 경우 출력 감소율이 3% 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셀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극 저항 기여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면적이 작아지더라도 출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온교환막 면적 대비 최소 60%의 면적의 캐소드를 사용할 경우 출력 저하는 거의 없으며, BPM의 사용 면적을 그 만큼 줄일 수 있어서 RED의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from FIGS. 22 and 23 that the output reduction rate is only 3% when a cathod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58%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used. This is because the contribution of electrode resistance decreases as the number of cells increases, so that the output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area decrease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when a cathode with an area of at least 60%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used, there is little reduction in output, and the area of use of BPM can be reduced by that amount,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RED.

상기에서는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현되는 형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experimental example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plementation form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natural that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s.

Claims (11)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N개(N은 100 이상) 적층된 셀 스택, 상기 셀 스택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외곽 용액 공급용 스페이서 및 차폐 멤브레인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스택;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일 말단에 제공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가 놓여지고 상기 애노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애노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타 말단에 제공되는 캐소드; 및
상기 캐소드가 놓여지고 상기 캐소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캐소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애노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캐소드와 인접하는 상기 차폐 멤브레인은 음이온 교환막이고,
상기 애노드와 인접하는 상기 차폐 멤브레인은 양이온 교환막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A cell stack in which N unit cells consisting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N is 100 or more) are stacked, and a spacer for supplying an outermost solution and a shielding membran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An ano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mbrane stack;
A first end plate on which the anode is place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form an anode chamber;
A cathod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stack; And
And a second end plate on which the cath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cath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constitute a cathode chamber,
The first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open sp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illar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The shielding membrane adjacent to the cathode is an anion exchange membrane,
The shielding membrane adjacent to the anode is a cation exchange membra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는 각각 상기 차폐 멤브레인과 직접 접촉하는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hode and the anode, respectively,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hielding membra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캐소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캐소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cathode cha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s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illar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thod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공급 용액은 담수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most supply solution is fresh water reverse electric 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N개(N은 100 이상) 적층된 셀 스택, 상기 셀 스택의 양쪽 외곽에 각각 최외곽 용액 공급용 스페이서 및 차폐 멤브레인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스택;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일 말단에 제공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가 놓여지고 상기 애노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애노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멤브레인 스택의 타 말단에 제공되는 캐소드;및
상기 캐소드가 놓여지고 상기 캐소드와 외부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택과 함께 적층되어 캐소드 챔버를 구성하는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애노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캐소드와 인접하는 상기 차폐 멤브레인은 바이폴라 멤브레인이고,
상기 바이폴라 멤브레인의 양이온교환막은 상기 애노드를 마주보고,
상기 바이폴라 멤브레인의 음이온교환막은 상기 캐소드를 마주보는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A cell stack in which N unit cells consisting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N is 100 or more) are stacked, and a spacer for supplying an outermost solution and a shielding membran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cell stack;
An ano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mbrane stack;
A first end plate on which the anode is place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form an anode chamber;
A cathod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stack; and
And a second end plate on which the cathode is place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cathode and an external node is inserted,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membrane stack to constitute a cathode chamber,
The first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open sp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illar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The shielding membrane adjacent to the cathode is a bipolar membrane,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of the bipolar membrane faces the anode,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f the bipolar membrane is a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generator facing the cathod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의 최소 면적은 상기 셀 스택을 구성하는 이온교환막의 면적 대비 60~100%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inimum area of the cathode is 60-100% of th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constituting the cell stack.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상기 바이폴라 멤브레인은 동일 면적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athode and the bipolar membrane are the same area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인접하는 상기 차폐 멤브레인은 양이온 교환막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hielding membrane adjacent to the anode is a cation exchange membran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공급 용액은 담수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outermost supply solution is fresh water reverse electric dialysis salinity difference power generation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캐소드 챔버에 공급되는 전극 용액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일면에는 다수의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필라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의 상면은 상기 캐소드와 직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인 역전기 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end plat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cathode cha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s to provide a plurality of open sp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illar Is an end pl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thode.
KR1020190065514A 2019-06-03 2019-06-03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KR102258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14A KR102258137B1 (en) 2019-06-03 2019-06-03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14A KR102258137B1 (en) 2019-06-03 2019-06-03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09A KR20200139009A (en) 2020-12-11
KR102258137B1 true KR102258137B1 (en) 2021-05-28

Family

ID=737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14A KR102258137B1 (en) 2019-06-03 2019-06-03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1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848B1 (en) * 2020-12-31 2022-12-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ED stack capable of electrode replacement during operation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44B1 (en) * 2017-03-06 2018-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ower generator using the salinity gradient with red stack cel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954A (en) * 2015-11-16 2017-05-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having enhanced maximum power density with ultra-thin ion exchange membra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44B1 (en) * 2017-03-06 2018-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ower generator using the salinity gradient with red stack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09A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137B1 (en)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opentype endplate
US10801117B2 (en) Ion exchange membranes, electrochemical systems, and methods
Chen et al. Sustainable water desalination and electricity generation in a separator coupled stacked microbial desalination cell with buffer free electrolyte circulation
US7008709B2 (en) Fuel cell having optimized pattern of electric resistance
KR101906544B1 (en) Power generator using the salinity gradient with red stack cell
Shehab et al. Enhanced water desalination efficiency in an air-cathode stacked microbial electrodeionization cell (SMEDIC)
CN110199055B (en) Anode, anode for water electrolysis, electrolysis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10767270B2 (en) Electrode for an ozone generator
DE19953614A1 (en) Fuel cell system
EP3623501A1 (en) Carbon dioxide electrolytic device
Han et al. Reverse electrodialysis (RED) using a bipolar membrane to suppress inorganic fouling around the cathode
Han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water electrolysis driven by high membrane voltage of reverse electrodialysis
KR102015064B1 (en)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serially connected heterogeneous reverse electrodialysis
JP5341547B2 (en) Water electrolysis system
Han Experimental visualization of leakage current in reverse electrodialysis and its effect on inorganic scaling
KR101431636B1 (en) Salinity gradient electric generating device with high efficiency
JP5332196B2 (en) Microbial power generation method and microbial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101863186B1 (en) Solid salt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JP5140123B2 (en) Water electrolysis system
Han et al. Asymmetrical electrode system for stable operation of a large-scale reverse electrodialysis (RED) system
US9831517B2 (en) Unit cell of solid oxide fuel cell, stack using the unit cel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unit cell and the stack
KR100827929B1 (en) Electrolytic cell
JP2971780B2 (en) Spiral electrolysis cell
JP7082002B2 (en) Electrolytic cell and how to use it
KR20180046192A (en)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and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