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00B1 - Hold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Hold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7400B1 KR102257400B1 KR1020200101423A KR20200101423A KR102257400B1 KR 102257400 B1 KR102257400 B1 KR 102257400B1 KR 1020200101423 A KR1020200101423 A KR 1020200101423A KR 20200101423 A KR20200101423 A KR 20200101423A KR 102257400 B1 KR102257400 B1 KR 102257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plate
- plate
- holder
- strap
- fixed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파지하거나,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technology for allowing a user to hold or mount a portable terminal is disclosed.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이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커지고, 배터리의 용량이 커지면서 한 손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스마트폰 본체 또는 케이스에 다양한 부착물을 붙여서 사용하는 방식의 홀더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홀더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돌출부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martphones become popular, technology that can stably grip them is required. In particular, as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increases an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hold it with one hand. To this end, holders of a method of attaching various attachments to a smartphone body or case have been developed in the related art. Such a holder allows a user to use by inserting a finger or by holding a protrusion.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6445호(2018년 5월 3일 등록)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치 각도를 360도 방향에서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 패드를 구비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장착되는 회전 지지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고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고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6445 (registered on May 3, 2018)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having a mounting angle in a 360-degree direction. , A fixing member having an adhesive pad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the bottom, a rotation member rotatably fitted to the fixing member, a rotation support member mounted on the rotation member, the edge of the rotation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 member mounted on the part and movable left and right or vertically.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고리부재가 회전하면서 홀더의 기능 및 거치대의 기능을 하지만 그 두께가 두꺼워 휴대하기 어렵고, 차량용 거치대 등에 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ile the ring member rotates, it functions as a holder and a holder, but its thickness is thick, so it is difficult to carry it, and it is difficult to mount it on a vehicle holder.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홀더의 두께를 얇게 하여 휴대단말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휴대단말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o minimize exposure from the portable terminal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holder.
또한, 고정판과 가동판이 서로 결합시 스트랩을 노출시키고, 서로 분리시 휴대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trap is exposed, and when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판과 가동판을 탈착시킬 수 있어 반복 사용에 따른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단말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minimize the decrease in the coupling force caused by repeated use by detaching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using a magnet.
또한, 스트랩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외력이 가해져야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랩을 일정한 길이로 인출하여 휴대단말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by applying a friction force to the surface of the strap so that it can be withdrawn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는 일측이 휴대단말에 부착되며,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탈착되며,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동판과, 일정한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이 하나의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동판의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된 상태로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having one side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pair of first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and a pair of fixing plates detached from the fixing plate an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2 A movable plate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nd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n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is the other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t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and includes a strap for uniformly limiting an angle at which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또한, 일측이 상기 가동판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판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and the oth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fixed plate.
또한, 상기 고정판은 일측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이 상기 거치홈에 걸려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may have a mou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movable plate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hooked to the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가동판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이 상기 가동판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able plate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the strap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vable plate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또한, 상기 가동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자성결합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gnetic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따라, 홀더의 두께를 얇게 하여 휴대단말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exposure from the portable terminal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holder.
또한, 고정판과 가동판이 서로 결합시 스트랩을 노출시키고, 서로 분리시 휴대단말을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trap is exposed, and when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판과 가동판을 탈착시킬 수 있어 반복 사용에 따른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can be detached using a magn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decrease in coupling force caused by repeated use.
또한, 스트랩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외력이 가해져야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랩을 일정한 길이로 인출하여 휴대단말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friction force to the surface of the strap so that it can be withdrawn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ngle at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can be adjusted by drawing the strap to a certain leng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동판이 고정판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동판이 전개되어 휴대단말을 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고정판의 거치홈에 가동판이 걸려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movable plate is detached from the fixed plate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by deploying a movable plate in th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ovable plate is caught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fixed plate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urther including a magnetic part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urther including a pressing unit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precedent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follows the definition when it is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동판이 고정판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동판이 전개되어 휴대단말을 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고정판의 거치홈에 가동판이 걸려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movable plate is detached from a fixed plate in th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It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ovable plate is deployed 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1 to mount the mobile terminal, and FIG. 4 is for explaining that the movable plate is caught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fixed plate 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FIG. 1 It is an exemplary diagram.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100)는 고정판(110), 가동판(120) 및 스트랩(130)을 포함한다.1 to 4, a holder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고정판(110)은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휴대단말(10)에 부착된다. 고정판(11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1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각종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휴대단말(10)의 본체 또는 케이스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110)은 일측이 휴대단말(10)에 부착되고, 타측이 가동판(120)과 탈부착된다.The
또한, 고정판(110)은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관통공(111)은 후술하는 스트랩(13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관통공(111)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관통공(111)을 통해 삽입된 스트랩(130)의 양단은 고정판(110)의 접착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단말(10)과 고정판(110) 사이에 스트랩(130)의 양단이 위치하여 접착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고정판(110)에는 연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동판(120)과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부(112)는 고정판(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동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2)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은 연결부(112)에 의해 서로 분리시에도 가동판(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타측으로 벌어지면서 단면이 '∧'자 형상으로 유지되고, 휴대단말(10)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된다.In addition, a
또한, 고정판(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113)은 가동판(120)의 일측이 걸릴 수 있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이 걸려지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동판(120)은 고정판(110)에 결합시에는 일체가 되고, 분리시에는 일측이 거치홈(113)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홈(113)은 복수로 형성되어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유지되면서 휴대단말(10)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113 may be formed in the
가동판(120)은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판(110)과 탈착된다. 가동판(12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1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각종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판(120)은 고정판(11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동판(120)은 고정판(110)과 결합시에도 그 두께가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차량의 거치대에 거치시에도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가동판(120)은 고정판(110)과 끼움결합, 나사결합, 슬라이딩결합, 자성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동판(120)은 고정판(110)과 단면이 '∧'자 형상으로 위치하여 휴대단말(10)을 거치할 수 있다.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은 결합시 그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연결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The
또한, 가동판(120)은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관통공(121)은 후술하는 스트랩(13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관통공(121)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가동판(120)은 스트랩(13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130)은 가동판(120)이 고정판(110)과 단면이 '∧'자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스트랩(130)은 일정한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스트랩(130)은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랩(130)의 일단이 하나의 제2 관통공(121)과 제1 관통공(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된다. 스트랩(130)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제2 관통공(121)과 제1 관통공(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된다. 스트랩(130)은 가동판(120)의 일측이 고정판(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 형상으로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한다.The
이 경우, 스트랩(130)의 양단은 고정판(110)의 접착부위에 함께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트랩(13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1 관통공(111) 보다 큰 크기의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스트랩(130)이 제1 관통공(111)을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판(110)에는 스트랩(130)의 양단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판(110)의 안착홈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스트랩(130)의 양단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또한, 스트랩(130)은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이 결합하여 일체로 되는 경우에는 가동판(120)의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노출된다. 이러한 스트랩(130)은 사용자가 휴대단말(1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의 역할을 한다. 가동판(120)이 고정판(110)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정판(110)과 단면이 '∧'자 형상으로 위치하면 가동판(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고정판(110), 가동판(120) 및 스트랩(130)이 '△'형상으로 위치하게 되어 휴대단말(10)을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또한, 스트랩(13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1개 이상 들어갈 수 있으며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단말(10)을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혹은 그 반대로 회전하여 보는 경우 스트랩(130)의 줄꼬임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스트랩(130)을 넉넉하게 사용하면서 회전시에는 이를 자연스럽게 비틀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스트랩(130)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는 일종의 판 부재로 철재,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는 서로 연결되며, '∧'자 형상으로 스트랩(13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가동판(120)이 이동하여 고정판(110)과 '∧'자 형상으로 위치하는 경우, 스트랩(130)을 그에 대응하여 쉽게 '∧'자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가동판(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용 홀더(100)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스트랩(130)의 외표면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걸림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기(133)는 실리콘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가동판(120)이 고정판(110)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단말(10)을 거치하는 경우, 가동판(12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133)는 제1 관통공(111)과 제2 관통공(121)에 걸려지면서 고정판(110)과 가동판(120)가 휴대단말(10)의 무게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걸림돌기(133)는 도트패턴 또는 줄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locking
도 5는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urther including a magnetic part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100)는 자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140)는 고정판(110) 또는 가동판(120)의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판(110)이 철판이면 자성부(140)는 가동판(120)에 형성되고, 가동판(120)이 철판이면 자성부(140)는 고정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140)는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을 자성결합을 하도록 하여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정판(110)과 가동판(120)을 탈착하여도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1 to 5, the holder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자성부(140)는 가동판(12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고정판(110)에 가동판(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거치대에 자성결합으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차량용 거치대에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6은 도 1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에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urther including a pressing unit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홀더(100)는 가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50)는 가동판(12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50)는 제2 관통공(121)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형성된다. 가압부(150)는 'O'자 형태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150)는 제2 관통공(121)을 통과하는 스트랩(130)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150)는 스트랩(130)이 일정한 길이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압부(150)는 내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스트랩(130)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외력이 가해져야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트랩(130)을 일정한 길이로 인출하여 휴대단말(10)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1 to 6, the holder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휴대단말용 홀더
110 : 고정판
111 : 제1 관통공
112 : 연결부
113 : 거치홈
120 : 가동판
121 : 제2 관통공
130 : 스트랩
131 : 제1 지지부
132 : 제2 지지부
133 : 걸림돌기
140 : 자성부
150 : 가압부100: holder for mobile terminal
110: fixed plate
111: first through hole
112: connection
113: mounting groove
120: movable plate
121: second through hole
130: strap
131: first support
132: second support
133: stumbling block
140: magnetic part
150: pressurization part
Claims (5)
상기 고정판과 탈착되며,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동판; 및
일정한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이 하나의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동판의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된 상태로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홀더.A fixing plate having one side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pair of first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ovable plate detachable from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formed in a strip shape of a certain length,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n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through the other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to be fixed And a strap for uniformly limiting an angle at which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일측이 상기 가동판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판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xed plate.
상기 고정판은 일측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이 상기 거치홈에 걸려지면서 연결되는 휴대단말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plate has a mou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connected while the movable plate is hooked to the mounting groove.
상기 가동판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이 상기 가동판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휴대단말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ovable plate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the stra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vable plate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상기 가동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자성결합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plate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1423A KR102257400B1 (en) | 2020-08-12 | 2020-08-12 | Holder for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1423A KR102257400B1 (en) | 2020-08-12 | 2020-08-12 | Holder for mobil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7400B1 true KR102257400B1 (en) | 2021-05-27 |
Family
ID=7613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1423A KR102257400B1 (en) | 2020-08-12 | 2020-08-12 | Holder for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74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2654B1 (en) * | 2023-03-31 | 2023-05-15 | 여창기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7175U (en) * | 2013-01-18 | 2013-12-13 | 윤임식 |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KR20190097834A (en) * | 2018-02-13 | 2019-08-21 | 이구호 |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
KR20200000400U (en) * | 2018-08-10 | 2020-02-19 | 손성현 | Smartphone strap with stand function |
-
2020
- 2020-08-12 KR KR1020200101423A patent/KR1022574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7175U (en) * | 2013-01-18 | 2013-12-13 | 윤임식 |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KR20190097834A (en) * | 2018-02-13 | 2019-08-21 | 이구호 |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
KR20200000400U (en) * | 2018-08-10 | 2020-02-19 | 손성현 | Smartphone strap with stand func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2654B1 (en) * | 2023-03-31 | 2023-05-15 | 여창기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32309B1 (en) |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200483203Y1 (en) |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 |
US8616422B2 (en) | Cantilevered snap fit case | |
US7108544B2 (en) | Cord retainer | |
US20220345560A1 (en) |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 |
US10171122B2 (en) | Hand strap for electronic apparatus | |
KR101705820B1 (en) | Magic holder | |
KR101191867B1 (en) | Case of mobile phone | |
US9848692B1 (en) | Attaching loop member to mount printing device on belt-like member worn by user | |
JP2018503314A (en) | Suppor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2257400B1 (en) | Holder for mobile device | |
JP3233853U (en) | Portable strap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s | |
WO2017111422A1 (en) | Magic strap | |
KR200496958Y1 (en) |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 |
US7664255B2 (en) | Hands free aural device holder | |
KR101280783B1 (en) |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
KR102259520B1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
KR20210087794A (en) | Detachable ring handle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 |
KR101543532B1 (en) | Holder for controling angle of mobile device | |
JPH10200614A (en) | Apparatus mounting device | |
KR102462473B1 (en) | Loss prevention apparatus of the mobile phone accessory | |
KR102536053B1 (en) | Potable Holder | |
US20020141572A1 (en) | Detachable shoulder rest apparatus for telephone handsets | |
KR20140134204A (en) | Adhesive type goods cradle | |
KR101489095B1 (en) | Safty Case for Cellular phone with earphone faste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