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58Y1 -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 Google Patents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58Y1
KR200496958Y1 KR2020220002716U KR20220002716U KR200496958Y1 KR 200496958 Y1 KR200496958 Y1 KR 200496958Y1 KR 2020220002716 U KR2020220002716 U KR 2020220002716U KR 20220002716 U KR20220002716 U KR 20220002716U KR 200496958 Y1 KR200496958 Y1 KR 200496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older
auxiliary battery
fixing part
batt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7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220002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5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실시예는 스마트폰에 자기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 상에 체결된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에 체결된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한 탈부착 가능한 홀더 장치; 를 포함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e a secondary battery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martphone by magnetic force and transmits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A detachable holder device having a detachable bracket for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or a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fastened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본 고안은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최근들어 고품질 영상 및 고음질 음악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TV, 영화. 유튜브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듣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데, 장시간동안 휴대단말기를 손으로 들고 있음에 따라 손목 및 팔에 통증이 유발되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화질의 증가 및 사용 프로그램의 증가에 따라 배터리 전력이 소모가 커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휴대단말기를 시청하기 위한 적적할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140806호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502738호에서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를 제안하였다. 다만, 종래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 및 거치 기능만 가지고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전력을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3007호는 논슬립 그립톡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1386호는 모바일 기기용 보조배터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893호는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립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를 스마트폰에 부착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충전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 그립톡을 사용하는데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무선충전장치에서 그립톡을 분리한다고 하여도 그립톡만을 독자적으로 스마트폰에 부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결국 무선충전장치와 그립톡을 함께 사용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Recently, a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that provide high-quality video and high-quality music has increased, TV and movies are available through portable terminals. The time to watch YouTube or listen to music is increasing. At this time, in order to watch the video, the mobile terminal must be held by hand, and pain is induced in the wrist and arm as the mobile terminal is held in the han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as the picture quality of portable terminals increases and the number of programs used increases, battery power consumption is high, so that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cannot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relation to this, various types of cradle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at an appropriate angle for viewing have been introduced, and prior art related to such a mobile terminal cradle has been disclosed under the name of a portable terminal cradle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0806. there is. In additio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02738 proposed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 prior art has only a carrying and station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us has limitations in terms of managing battery charging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53007 discloses a non-slip grip talk,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2341386 discloses an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mobile devices. No. 10-2019-0073893 discloses an auxiliary battery that can be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However, in order to use GripTalk, the entire device must be attached to a smartphone and used, so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using GripTalk in a situation where charging is not required. In addition, even if the Griptalk is sepa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the Griptalk cannot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the smartphone, so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Griptalk must be used together.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14080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0806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50273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273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300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530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41386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4138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89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3893

본 고안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홀더 고정부 및 보조 배터리 장치에 설치된 홀더 고정부에 혼용 가능하고 이들 각각에 탈부착 가능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which can be mixed with a holder fixing part installed in a smartphone and a holder fixing part installed in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has a holder device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each of them.

실시예는 스마트폰에 자기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 상에 체결된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에 체결된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한 탈부착 가능한 홀더 장치; 를 포함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e a secondary battery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martphone by magnetic force and transmits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A detachable holder device having a detachable bracket for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or a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fastened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comprising a.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장치와 탈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과 자기력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ncludes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detachably attached to a case and the holder device and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and magnetic force on a rear surface of the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in a coupled stat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may provide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다른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상기 전면 케이스에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의 관리 및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내장된 기판,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커넥터의 체결을 위해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접속부, 상기 스마트폰과의 자기적인 결합을 위한 자력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case includes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unit accommodated in the front case,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unit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operates the battery. A board with a built-in processor for managing charging power and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 connection part installed on the board for fastening an external connector to charge the batter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magnetic coupling with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ncluding a magnetic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다른 측면에서, 상기 후면 케이스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링턱을 포함하고, 후면 커버에는 상기 링턱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자력제공부를 수납하는 자력제공부 수용홀 및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둘러싸여 위치한 전력전달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력제공부는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부로 노출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side, the rear case includes a rear cover and a ring tuck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formed by the ring tuck and accommodating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A power transmission unit receiving groove located surrounded by is formed, and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is detachable and detachable from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expo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receiving hole when inserted in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receiving hole A type auxiliary battery device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 및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에 모두 고정 체결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형성된 브라켓 돌출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형성된 브라켓 턱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턱돌출부의 끝단에는 브라켓 턱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돌출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 또는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의 가장자리는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에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 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bracket is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fixed and fastened to both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and the bracket includes a bracket plate, a bracket protrusion formed on an edge region of the bracket plate, the A bracket protrusion formed on one area of an edge of the bracket plate, a bracket protrus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bracket protrusion, and a bracket groove for inserting the holder fixing part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protrusion.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n which an edge of the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or the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is inserted into a bracket groove for inserting the holder fixing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chin, and fastened with the bracket. can include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에 상기 홀더 장치의 체결 여부에 따라 상기 자기력을 제어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may provide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according to whether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기능과 홀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holder function of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홀더 고정부에도 탈부착 가능하고, 스마트폰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보조 배터리 장치 상의 홀더 고정부에도 탈부착 가능한 가용성이 높은 홀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lder device with high availability that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holder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detachable to the holder fixing part o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홀더 장치 사이의 체결 구조 및 보조 배터리용 홀더 고정부와 홀더 장치 사이의 체결 구조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일반 홀더용 기능 또는 무선충전기능을 구비한 홀더 기능으로 혼용 가능한 홀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equally design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holder fixing part for smartphone and the holder device and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holder fixing part for auxiliary battery and the holder devi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general holder function or a holder function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 holder device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can be provided.

또한, 본 고안은 홀더 장치와 홀더 고정부 사이의 간편하고 안정적인 고정 체결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손쉽게 홀더 장치를 홀더 고정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holder device to the holder fixing part by applying a simple and stabl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holder device and the holder fixing part.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 장치로부터 홀더 장치를 분리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용도로만 보조 배터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separating the holder device from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can be used only for charging a smartphone.

또한, 본 고안은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자력제공부를 삽입하여 후면 커버의 외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 장치가 스마트폰에 자기적으로 부착된 경우 자력제공부와 스마트폰의 후면 케이스 사이에 마감 커버가 존재하도록 하여 강한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조 배터리 장치를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 장치에 연결된 홀더 장치만을 파지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에 보조 배터리 장치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so that it is expo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whe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smartphone, it is closed between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and the rear case of the smartphone. Strong magnetic force can be maintained by allowing the cover to exist, and 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smartphone, and stable coupling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to the smartphone even when holding only the holder device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let this be maintained.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 장치의 후면 가운데 영역이 홈이 형성되어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가 해당 홈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보조 배터리 장치의 후면이 스마트폰에 완전 밀착되도록 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와 스마트폰의 자기적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so that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smartphon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the smartphone are magnetically attached. bon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홀더 장치와 보조 배터리 장치의 체결 여부에 따라서 자력제공부의 자기력을 제어함으로써 홀더 장치와 보조 배터리 장치를 모두 사용할 때 사용자가 홀더 장치를 파지하는 경우 자기력을 증가시켜 보조 배터리 장치가 스마트폰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 배터리 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 자기력을 감소시켜 배터리의 충전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holder devic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fastened, so that when the holder devic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both used, the magnetic force is increased when the user grips the holder devic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sm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 of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by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phone and reducing the magnetic force when only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used.

또한, 본 고안은 벨로우즈 타입의 홀더 장치 외에도 고리 타입의 홀더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어 고리 타입의 홀더 장치를 보조 배터리 장치에 체결하거나, 스마트폰에 직접 체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홀더 장치 외에 카드 수납부를 적용하여 카드 수납부를 보조 배터리 장치에 체결하거나, 스마트폰에 직접 체결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편의 장치를 스마트폰에 직접 적용하거나 보조 배터리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a ring-type holder device in addition to the bellows-type holder device, so that the ring-type holder device may be coupled to an auxiliary battery device or directly coupled to a smartphone. In addition to the holder device, the card storage unit may be applied to fasten the card storage unit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or directly to the smartphone. As suc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can be applied directly to a smartphone or used together with an auxiliary battery device,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탑그립부와 바디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4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탑그립부와 바디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5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와 바텀그립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5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와 바텀그립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6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텀그립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6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텀그립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7a는 홀더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7b는 홀더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8a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8b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9a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후면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9b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후면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보조 배터리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1a는 홀더 장치가 보조 배터리 장치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 장치가 기준 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홀더 고정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홀더 장치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 제1 홀더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제2 홀더 고정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스마트폰, 제2 홀더 고정부가 설치된 스마트폰 케이스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12c는 스마트폰의 자력 위치 영역과 무선 충전 수신 코일 위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a는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스마트폰에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스마트폰의 제2 홀더 고정부에 홀더 장치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 타입 홀더 장치와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스마트폰과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스마트폰과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에서 케이스와 이에 결합된 제3 홀더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와 제3 홀더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로부터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 및 제3 홀더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및 케이스에 결합된 제3 홀더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3 홀더 고정부의 일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4는 제3 홀더 고정부의 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제3 홀더 고정부와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disassembled state of the top grip part and the body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n disassembled state of the top grip part and the body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n exploded state of the body and the bottom grip of the holder device,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of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body and the bottom grip of the holder devic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grip part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engaged, and FIG. 6B is a bottom grip part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is released.
7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holder device,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device.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 front case, and an auxiliary battery part in an exploded state, and FIG. 8B is a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 front case, and an auxiliary battery.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n exploded stat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unit and the rear case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assembled,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unit and the rear case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assembled.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FIG. 10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FIG. 11A i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shows that the holder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holder device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FIG. 11B is the holder device It shows that it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nd a second holder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second holder fixing part is install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12c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ocation area of a magnetic field and a location area of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of a smart phone.
Figure 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ure 13b i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It is a perspective view from
Figure 14a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ure 14b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second holder fixing portion of the smartphone.
15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ing type holder device,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15B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ard storage unit,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llustrates a case and a third holder fixing unit coupled thereto in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device and a third hold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ver unit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device and a third hold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and a third hold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shows one surface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and FIG. 24 shows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25 illustrates that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and the bracket are fastened to each other.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equipped with a holder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및 홀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and a holder device 200.

홀더 장치(200)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lder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from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제1 홀더 고정부(110,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130), 보조 배터리부(150) 및 후면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a front case 130, an auxiliary battery unit 150, and a rear case 170.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마감 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losing cover 190 .

홀더 장치(200)는 탑그립부(210), 바디부(230), 바텀그립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device 200 may include a top grip part 210 , a body part 230 , and a bottom grip part 250 .

- 탑그립부, 바디부- Top grip part, body part

도 4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탑그립부와 바디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4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탑그립부와 바디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disassembled state of the top grip part and the body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n disassembled state of the top grip part and the body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홀더 장치(200)를 구성하는 탑그립부(210) 및 바디부(230)에서 탑그립부(210)는 탑플레이트(211) 및 탑링턱(2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in the top grip part 210 and the body part 230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200, the top grip part 210 may include a top plate 211 and a top ring chin 212. there is.

탑플레이트(211)는 원판 형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op plate 211 may have a disk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플레이트(211)의 전면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front surface of the top plate 211 may be configured as a flat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플레이트(21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탑플레이트(211)를 파지할 때 편안한 파지감을 위하여 탄성 재질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various embodiments, an elastic material may be ad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op plate 211 for a comfortable grip when the user grips the top plate 21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탑링턱(212)은 탑플레이트(21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11)가 원판 형상이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탑링턱(212)은 링 형태르 가질 수 있고, 탑플레이트(211)의 반지름보다 작은 길이의 탑플레이트(21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지름을 가진 링 형태의 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p ring chin 2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211 . When the top plate 211 has a disk shape, the top ring jaw 212 may have a ring shape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has a radius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top plate 211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top plate 211. It can be composed of a ring-shaped jaw with

탑링턱(212)에는 적어도 하나의 탑링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탑링돌기(213)는 탑플레이트(211)의 후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탑링턱(21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top ring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on the top ring chin 212 . The top ring protrusion 213 may have a protrusion shap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top ring chin 212 toward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211 .

탑링돌기(213)는 일종의 후크 역할을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디부(2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op ring protrusion 213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body part 230 to be described later by serving as a kind of hook.

바디부(230)는 바디링(231), 벨로우즈부(232) 및 체결링후크(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230 may include a body ring 231 , a bellows part 232 and a fastening ring hook 233 .

바디링(231)은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디링(231)의 반지름은 탑플레이트(211)의 후면의 반지름보다는 작고 탑링턱(212)의 반지름보다는 크게 구성되어 탑그립부(210)와 바디부(230)가 서로 체결될 때, 탑링턱(212)은 바디링(23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body ring 231 may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and the radius of the body ring 231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211 and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top ring chin 212, so that the top grip portion 210 and When the body parts 2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top ring chin 21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ring 231 .

바디링(231)에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탑링돌기 수용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탑링돌기 수용홀(234)의 개수는 탑링돌기(21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탑그립부(210)와 바디부(230)가 서로 체결될 때, 탑링턱(212)은 바디링(231)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탑링돌기(213)는 탑링돌기 수용홀(234)에 삽입되면서 탑그립부(210)와 바디부(230)는 서로 체결되어 탑그립부(210)가 바디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top ring protrusion accommodating hole 234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ring 231 . The number of top ring protrusion accommodating holes 234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op ring protrusions 213 . When the top grip part 210 and the body part 2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op ring protrusion 212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ring 231 while the top ring protrusion 213 is inserted into the top ring protrusion accommodating hole 234 to top the top ring protrusion 234. The grip part 210 and the body part 2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op grip part 210 can be fixed to the body part 230 .

바디링(231)에는 벨로우즈부(232)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벨로우즈부(232)의 타측에는 체결링후크(233)가 연결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ellows part 232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ring 231 . Also, a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ellows part 232 .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디링(231)과 벨로우즈부(23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부(232)와 체결링후크(233)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디링(231), 벨로우즈부(232) 및 체결링후크(233)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body ring 231 and the bellows portion 2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bellows portion 232 an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body ring 231, the bellows portion 232, an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다양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부(232)는 바디링(231)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면서 바디링(231)에 체결되고 바디링(231)은 벨로우즈부(232)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bellows part 232 is fastened to the body ring 23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ring 231, and the body ring 231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the bellows part 232 is fixed. It can be.

다양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부(232)는 탄성재질의 고무로 구성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벨로우즈부(232)는 바디링(231)과 인접한 일측에서 체결링후크 측의 타측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bellows portion 232 may be made of elastic rubber and may have a stepped shape as a whole. That is, the bellows portion 232 may be formed stepwise from one side adjacent to the body ring 231 to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ring hook side.

또한, 벨로우즈부(232)는 바디 내측 공간(235)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bellows part 232 has a space 235 inside the body.

탑그립부(210)가 바디부(23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탑그립부(210)를 바디부(230)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벨로우즈부(232)는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바디 내측 공간(235)이 축소되고 벨로우즈부(232)는 납작하게 폴딩될 수 있다. 반대로, 탑그립부(210)가 바디부(23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탑그립부(210)가 바디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탑그립부(210)는 당기는 경우 벨로우즈부(232)는 탄성적으로 압축이 해제되면서 바디 내측 공간(235)이 확대되고 벨로우즈부(232)는 본래의 형태가 될때까지 펼쳐질 수 있다.When the top grip part 210 is pressed toward the body part 230 in a state in which the top grip part 210 is fastened to the body part 230, the bellows part 232 is elastically compressed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body 235 This is reduced and the bellows portion 232 can be folded flat. Conversely, when the top grip part 210 pulls the top grip part 21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art 230 in a state where the top grip part 210 is fastened to the body part 230, the bellows part 232 elastically As the compression is released, the space inside the body 235 expands, and the bellows part 232 can be unfolded until i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체결링후크(233)는 벨로우즈부(232)의 타측에 연결되고,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링후크(233)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턱은 체결링후크(233)가 후술하는 바텀그립부(250)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The fastening ring hook 23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ellows part 232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This jaw allows the fastening ring hook 233 to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grip part 250 to be described later.

- 바디부, 바텀그립부- Body part, bottom grip part

도 5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와 바텀그립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5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와 바텀그립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n exploded state of the body and the bottom grip of the holder device,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of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body and the bottom grip of the holder devic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바텀그립부(250)는 바텀링(251) 및 체결링후크결합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a and 5b. The bottom grip part 250 may include a bottom ring 251 and a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

바텀그립부(250)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ottom grip part 250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텀그립부(250)는 체결링후크(233)에 체결되어 바디부(230)와 서로 결합할 수 있다.The bottom grip part 25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art 230 by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hook 233 .

바텀링(251)의 내측에는 체결링후크결합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링후크결합부(252)의 중앙 영역은 체결링후크(233)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영역의 중심에는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A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may be formed inside the bottom ring 251 . A central region of the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ortion 252 protrudes towar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and a fasten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region.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에는 체결링후크(233)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링후크(233)가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에 삽입되어 체결링후크(233)의 외주면의 돌출된 턱은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을 관통하여 체결링후크결합부(252)의 후면 상에 걸리면서 체결링후크(233)는 체결링후크결합부(252)에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 The locking ring hook 23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and the protruding chi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ring hook 233 penetrates the lock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to form a lock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While being cau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ortion 252.

체결링후크(233)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체결링후크 수용홀(253) 또한 원형 홀 형상을 가짐에 따라 체결링후크(233)가 체결링후크결합부(252)에 체결되면 체결링후크결합부(252)는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링후크(233)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탑그립부(210) 또는 바디부(230)를 회전하는 경우 이에 연결된 체결링후크(233)는 체결링후크결합부(252)는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As the fastening ring hook 233 ha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fastening ring hook receiving hole 253 also has a circular hole shape, when the fastening ring hook 233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the fastening ring hook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art 252 is fixe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is rotatable. That is, when the top grip part 210 or the body part 230 is rotate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connected thereto becomes rotatable while the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is fixed.

바텀링(251)과 체결링후크결합부(252)의 사이 공간에는 전면 수용공간(25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텀링(251)의 후면 중앙 영역에는 후면 수용공간(255)이 형성될 수 있다.A front accommodating space 254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bottom ring 251 and the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 In addition, a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ring 251 .

후술하는 제1 홀더 고정부(110)가 후면 수용공간(255)에 삽입되면, 제1 홀더 고정부(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전면 수용공간(254)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can be positioned on the front accommodating space 254.

-- 바텀그립부, 제1 홀더 고정부Bottom grip part, first holder fixing part

도 6a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텀그립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6b는 홀더 장치를 구성하는 바텀그립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grip part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engaged, and FIG. 6B is a bottom grip part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is release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홀더 고정부(110)는 홀더 고정플레이트(111) 및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더 고정플레이트(111)는 바텀그립부(250)의 후면 수용공간(255)에 삽입된 후,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양측 일부 영역은 전면 수용공간(254)에 삽입되어 바텀그립부(250)의 전면으로 노출되면서 바텀그립부(25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텀그립부(250)를 기준 위치에서 90로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 후에 바텀그립부(250)의 후면 수용공간(255)에 홀더 고정플레이트(111)를 삽입한 후, 바텀그립부(250)를 기준 위치로 다시 복귀 시키면,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양측 일부 영역은 전면 수용공간(254)에 삽입되면서 바텀그립부(250)와 홀더 고정플레이트(111)는 상호 고정 체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may include a holder fixing plate 111 and a front case coupling jaw 112 . After the holder fixing plate 111 is inserted into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of the bottom grip part 250, partial areas on both sides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are inserted into the front accommodating space 254 to form the bottom grip part 250. It can be fastened to the bottom grip part 250 while being exposed to the front. In various embodiments, after the bottom grip part 250 is rotated left or right by 90 degre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holder fixing plate 111 is inserted into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of the bottom grip part 250, and then the bottom grip part 250 )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while partial regions on both sides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are inserted into the front accommodating space 254, the bottom grip part 250 and the holder fixing plate 111 can be fixedly fastened to each other.

다양한 실시예에서, 홀더 고정플레이트(111)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텀그립부(250)를 기준 위치에서 90로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후면 수용공간(255)과 홀더 고정플레이트(11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홀더 고정플레이트(111)가 후면 수용공간(255) 상에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홀더 고정플레이트(111)가 후면 수용공간(255) 상에 삽입된 후에 바텀그립부(250)를 기준 위치로 다시 복귀 시키면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양측 일부 영역(타원형 형상일 경우 장축 방향의 양측 영역)은 후면 수용공간(255) 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면 수용공간(254) 상에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텀그립부(250)는 제1 홀더 고정부(110)와 고정체결 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holder fixing plate 111 may have an overall elliptical shape. An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grip part 250 is rotated left or right at 90 degre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and the holder fixing plate 111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der fixing plate 111 is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it becomes a state in which it can be inserted. In addition, when the bottom grip part 250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fter the holder fixing plate 111 is inserted into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some areas on both sides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in the case of an oval shape, in the long axis direction) Both sides)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accommodating space 254 while rot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accommodating space 255, and thus the bottom grip part 250 can be fixedly engaged with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후면에는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은 후술하는 전면 케이스(1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front case coupling jaw 1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 The front case coupling jaw 11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130 to be described later.

- 홀더 장치- holder device

도 7a는 홀더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7b는 홀더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7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holder device,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device.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홀더 장치(200)는 탑그립부(210)를 누르는 경우 바디부(230)가 압축되면서 탑그립부(210)와 바텀그립부(250)는 서로 가까워지게 위치하고, 탑그립부(210)를 당기는 경우 바디부(230)의 압출이 해제되면서 탑그립부(210)와 바텀그립부(250)는 서로 멀어지게 된다.7A and 7B, in the holder device 200, when the top grip part 210 is pressed, the body part 230 is compressed, and the top grip part 210 and the bottom grip part 250 are positioned close to each other, and the top grip part When the 210 is pulled, the extrusion of the body 230 is released, and the top grip 210 and the bottom grip 2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제1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 보조 배터리부- First holder fixing part, front case, auxiliary battery part

도 8a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8b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홀더 고정부, 전면 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 front case, and an auxiliary battery part in an exploded state, and FIG. 8B is a first holder fix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 front case, and an auxiliary battery.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n exploded state.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130)는 보조 배터리부(150)를 수용하는 전면 커버(131)로 구성되고, 전면 커버(131)의 전면 중앙 영역에는 결합턱 수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 the front case 130 includes a front cover 131 accommodating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and a coupling chin receiving groove 132 is formed in the central front area of the front cover 131. can be formed.

결합턱 수용홈(132)에는 제1 홀더 고정부(110)의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이 삽입되어 제1 홀더 고정부(110)가 전면 커버(131)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The front case coupling jaw 112 of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jaw receiving groove 132 and the first holder fixing unit 110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ront cover 131 .

전면 커버(131)의 일측면에는 제1 수용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131)의 일측면에는 제2 버튼 수용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버튼 수용홀(133, 134)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A first accommodating hole 13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31 . In various embodiments, a second button accommodating hole 13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31 . In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button accommodating holes 133 and 134 may b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전면 커버(131)의 하측면에는 단자 수용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A terminal accommodating hole 135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31 .

전면 커버(131)의 후면부에는 보조 배터리부(150)의 삽입을 위한 배터리 수용공간(136)이 형성될 수 있다.A battery accommodating space 136 for inserting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31 .

보조 배터리부(150)는 배터리 수용공간(136)에 수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136 .

보조 배터리부(150)는 배터리(151) 및 기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52)은 배터리(151)와 연결되어 배터리(151)의 충전 전력의 관리 및 스마트폰(7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may include a battery 151 and a substrate 152 . The board 152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51 to control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51 and charging of the smart phone 70 .

기판(152)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152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기판(152)에는 접속부(153)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부(150)가 전면 커버(131)의 배터리 수용공간(136)에 삽입되면 접속부(153)는 단자 수용홀(135)에 삽입될 수 있다.A connection portion 153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152 . When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136 of the front cover 131, the connection part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hole 135.

접속부(153)는 커넥터(미도시)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기판(152)은 접속부(153)에 커넥터가 연결되면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51)를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nector 153 is configured to allow connection of a connector (not shown), and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3, the board 152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charge the battery 151. can control.

제1 버튼(154)은 보조 배터리부(150)가 전면 커버(131)의 배터리 수용공간(136)에 삽입되면 제1 버튼 수용홀(133)에 삽입되어 전면 커버(1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버튼(155)은 보조 배터리부(150)가 전면 커버(131)의 배터리 수용공간(136)에 삽입되면 제2 버튼 수용홀(134)에 삽입되어 전면 커버(1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button 154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tton accommodation hole 133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31 when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on space 136 of the front cover 131. can The second button 15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utton receiving hole 134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31 when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on space 136 of the front cover 131. can

배터리(151)의 후면에는 자력제공부(156)가 설치될 수 있다.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151 .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력제공부(156)는 복수의 자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자력부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자력을 띨 수 있는 어떤 구성이든 가능하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ic force units. Here, the magnetic part may be a magnet, but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exhibiting magnetic force may be used.

복수의 자력부는 서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띠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agnetic force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circular band shape as a whole.

복수의 자력부는 스마트폰(70)에 내장된 자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ic units may be arrang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magnetic units built into the smart phone 70 .

전력전달부(157)는 복수의 자력부에 의해 둘러싸여 배터리(151)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wer transfer unit 157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151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magnetic units.

전력전달부(157)는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될 수 있다.The power transfer unit 157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coil.

전력전달부(157)는 전체적으로 원형 타입의 형상을 가진 무선 충전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7 may be composed of a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 circular shape as a whole.

전력전달부(157)는 기판(152) 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어 배터리(151)로부터의 전력을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transfer unit 157 may be controlled by a processor on the board 152 to output power from the battery 151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부(150)에는 차폐 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자력제공부(156)로부터의 자기력에 의한 무선 충전 전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shielding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wireless charging power by magnetic force from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

기판(152)에 실장된 프로세서는 제1 버튼(154)의 입력에 의한 명령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거나 무선 충전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ounted on the board 152 may transmit wireless charging power for wireless charging or stop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power in response to receiving a command signal by an input of the first button 154 .

기판(152)에 실장된 프로세서는 제2 버튼(155)의 입력에 의한 명령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초기 세팅값을 리셋하여 초기화할 수 있다.The processor mounted on the substrate 152 may be initialized by resetting an initial setting value in response to receiving a command signal through an input of the second button 155 .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131)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42)의 일측면에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부(150)가 전면 케이스(130)에 삽입되면 표시부는 복수의 홀에 매칭되어 위치할 수 있고 표시부는 전면 케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52)의 프로세서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배터리 충전 상태, 배터리 충전량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31 . Also, a display un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42 . When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front case 130 , the display unit may be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display un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ase 130 . Also, the processor of the substrate 152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battery charge state and a battery charge amount.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력제공부(156)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력제공부(156)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기판(152)의 프로세서는 전자석을 제어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석을 제어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보조 배터리 장치(100)와 스마트폰(70)의 상호간의 자기적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The processor of the substrate 152 may control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 The processor may increase the magnetic coupling force betwee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and the smart phone 70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력제공부(156)가 전자석으로 구성된 경우, 프로세서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홀더 장치(200)의 접속을 감지하면 전자석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is composed of an electromagnet, the processor ma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 when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holder device 200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력제공부(156)가 전자석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경우, 프로세서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홀더 장치(200)의 접속을 감지하면 전자석을 구동하여 자력제공부(156)의 자력을 증가시키고,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서 홀더 장치(200)의 분리를 감지하면 전자석의 구동을 중단하여 영구자석의 자기력만으로 보조 배터리 장치(100)와 스마트폰(70)이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is composed of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when the processor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holder device 200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the processor drives the electromagnet to generate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When the magnetic force is increased and the separation of the holder device 200 from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is detected, the driving of the electromagnet is stopped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and the smartphone 70 are magnetically coupled only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can be made

홀더 장치(200)와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접속을 감지하는 방법은, 프로세스가 제1 버튼(154) 및/또는 제2 버튼(155)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결합턱 수용홈(132)에 마련된 감지부(미도시)가 제1 홀더 고정부(110)의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이 결합턱 수용홈(132)에 삽입을 감지한 경우, 제1 홀더 고정부(110)의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전면에 마련된 감지부(미도시)가 홀더 고정플레이트(111)의 후면 수용공간(255)에 삽입을 감지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A method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lder device 200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is, when the process receives a command signal from the first button 154 and/or the second button 155, the coupling jaw receiving groove ( When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132) detects that the front case coupling jaw 112 of the first holder fix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jaw receiving groove 132, the first holder fixing unit 110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may detect insertion into the rear receiving space 255 of the holder fixing plate 111 at least one of the cases.

- 보조 배터리부, 후면 케이스- Auxiliary battery part, rear case

도 9a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후면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9b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후면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타측 사시도이다.9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unit and the rear case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assembled,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unit and the rear case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disassembled.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후면 케이스(170)는 전면 케이스(130)와 결합되어 전면 케이스(130)와 함께 하나의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 the rear case 170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case 130 to form one case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30 .

전면 케이스(130)에 보조 배터리부(150)가 삽입된 후에 후면 케이스(170)는 전면 케이스(130)에 체결될 수 있다.After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front case 130 , the rear case 170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case 130 .

후면 케이스(170)는 후면 커버(171) 및 후면 커버 링턱(1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case 170 may include a rear cover 171 and a rear cover ring tuck 172 .

후면 커버(171)에는 자력제공부 수용홀(173)이 형성될 수 있다. 자력제공부 수용홀(173)은 자력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케이스(170)가 전면 케이스(130)에 체결될 때 복수의 자력부에 대응하는 후면 커버(171)의 위치 상에 복수의 자력제공부 수용홀(173)이 형성될 수 있다.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3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171 .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receiving holes 173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magnetic force units. In addition, when the rear case 170 is fastened to the front case 130, a plurality of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s 173 may be formed on positions of the rear cover 17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agnetic force units.

후면 케이스(170)가 전면 케이스(130)에 체결되면, 복수의 자력부는 자력제공부 수용홀(17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rear case 170 is fastened to the front case 130, the plurality of magnetic part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accommodating hole 173.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자력부는 조립된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서 마감 커버(190)의 전면에 접촉할 수 있는 깊이로 자력제공부 수용홀(173)에 삽입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magnetic parts may be inserted in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receiving hole 173 at a depth that can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190 in the assembled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

후면 케이스(170)의 전면부에는 전력전달부(157)를 수납하는 전력전달부 수용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mmodating groove 174 accommoda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7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ase 170 .

후면 커버(171)의 전면은 전면 커버(131)와 마주하고 후면 커버(171)의 후면의 중앙 영역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후면 커버 링턱(172)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 링턱(17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에 의해서, 전면 케이스(130)와 후면 케이스(17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부(150)의 일부 영역인 전력전달부(157)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171 faces the front cover 131, and a rear cover ring tuck 172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171. A second holder fix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5 may be form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rear cover ring chin 172 . In a state where the front case 130 and the rear case 170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holder fix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5, a part of the auxiliary battery unit 150 is surround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7. Area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보조 배터리 장치- Auxiliary battery device

도 10a는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보조 배터리 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10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FIG. 10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도 11a는 홀더 장치가 보조 배터리 장치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 장치가 기준 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홀더 고정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홀더 장치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 제1 홀더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11A i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shows that the holder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holder device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FIG. 11B is the holder device It shows that it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도 10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130)와 후면 케이스(170)가 결합하고, 후면 케이스(170)에 마감 커버(190)가 부착됨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12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 커버(190)에는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 커버(190)가 후면 케이스(170)에 부착되면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과 마감 커버(190)의 중앙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은 하나의 홀을 형성한다.10A to 11B, as the front case 130 and the rear case 170 are combined and the closing cover 190 is attached to the rear case 170, one case 120 may be formed. . Also,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lder fix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5 is formed in the finish cover 190 . Therefore, when the finish cover 190 is attached to the rear case 170, the hole formed on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accommodating hole 175 and the finish cover 190 forms one hole.

전면 케이스(130)의 전면에는 제1 홀더 고정부(110)가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0 .

제1 홀더 고정부(110)에는 홀더 장치(200)가 체결될 수 있다.The holder device 2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

홀더 장치(200)를 기준 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한 후에 홀더 장치(200)를 제1 홀더 고정부(110)에 체결한 후에 홀더 장치(200)를 다시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면 홀더 장치(200)는 제1 홀더 고정부(110)에 체결됨으로써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After the holder device 200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holder device 200 is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and then, when the holder device 200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holder device ( 200)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by being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또한,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스마트폰(70)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경우 제2 홀더 고정부(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에 의해 노출된 케이스(120)는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하게 들어간 홈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스마트폰(70)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경우 제2 홀더 고정부(30)는 해당 홈에 수납될 수 있어,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스마트폰(70)이나 스마트폰 케이스(5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70 by magnetic force, the case exposed by the second holder fix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175 to accommodate the second holder fixing portion 30 ( 120) forms a concave groove formed inwardly.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70 by magnetic force,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groov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70. However, it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smartphone case 50.

- 스마트폰, 스마트폰 케이스, 제2 홀더 고정부- Smartphone, smartphone case, second holder fixing part

도 12a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제2 홀더 고정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스마트폰, 제2 홀더 고정부가 설치된 스마트폰 케이스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c는 스마트폰의 자력 위치 영역과 무선 충전 수신 코일 위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nd a second holder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case in which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is install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FIG. 12c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ocation area of a magnetic field and a location area of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of a smart phone.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스마트폰(70)에는 제2 홀더 고정부(30,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스마트폰(70)의 후면에는 제2 홀더 고정부(30)가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70)에 체결되는 스마트폰 케이스(50)에 제2 홀더 고정부(30)가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A to 12C , a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may be attached to the smartphone 70 . In detail,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phone 70 .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attached to the smart phone case 50 fastened to the smart phone 70 .

스마트폰(70)에는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내장되고, 무선 충전 수신 코일이 내장될 수 있다.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는 자력 위치 영역(71)에 대응하여 스마트폰(70)의 내부에 위치하고, 무선 충전 수신 코일은 무선 충전 수신 코일 위치 영역(72)에 대응하여 스마트폰(7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70 may have a built-in device for providing magnetic force and a built-in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A device that provides magnetic force is located inside the smart phone 70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location area 71,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is located inside the smart phone 70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location area 72. can be located

무선 충전 수신 코일 위치 영역(72)에 의해 둘러싸인 홀더 위치 영역(73) 상에는 제2 홀더 고정부(3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홀더 위치 영역(73) 상에 제2 홀더 고정부(30)가 부착되거나, 스마트폰(70)에 스마트폰 케이스(50)가 체결된 경우 홀더 위치 영역(73)에 대응하는 스마트폰 케이스(50)의 영역 상에 제2 홀더 고정부(30)가 체결될 수 있다.A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attached to the holder location area 73 surrounded by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location area 72 . That is, when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is attached to the holder location area 73 or the smartphone case 50 is fastened to the smartphone 70, the smartphone cas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location area 73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fastened to the area of 50 .

-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equipped with a smartphone and a holder device

도 13a는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스마트폰에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Figure 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ure 13b i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It is a perspective view from

도 12c,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는 스마트폰(70)의 후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C , 13A and 13B , th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having a holder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70 .

도 9b에 도시된 자력제공부(156)는 스마트폰(70)에 내장된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와의 인력을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는 스마트폰(70)의 후면부에 체결될 수 있다.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shown in FIG. 9B is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having a holder device by a magnetic force that generates an attraction with a device that provides magnetic force built into the smartphone 70 It can be fastened to the rear part of the smart phone 70.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가 스마트폰(50)에 체결되면 도 9b에 도시된 자력제공부(156)는 자력 위치 영역(71)과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전력전달부(157)의 무선 충전 송신 코일은 무선 충전 수신 코일 위치 영역(72)과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홈(175)에는 제2 홀더 고정부(30)가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having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smartphone 50,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56 shown in FIG. 9B may be positioned facing the magnetic force location area 71,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7 may be located facing the wireless charging reception coil location area 72 . In addition,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175 shown in FIG. 10B.

-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 Smartphone and holder device

도 14a는 스마트폰과 홀더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스마트폰의 제2 홀더 고정부에 홀더 장치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Figure 14a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ure 14b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second holder fixing portion of the smartphone.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홀더 장치(200)는 단독으로 제2 홀더 고정부(30)에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 the holder device 200 may be independently fastened to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

제1 및 제2 홀더 고정부(110, 30)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장치(200)를 제2 홀더 고정부(30)에 체결하는 방식은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이 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older fixing parts 110 and 30 may have the same shape. Accordingly, a method of fastening the holder device 200 to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may be a metho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도 1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 타입 홀더 장치와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스마트폰과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5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ing type holder device,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5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는 링 타입 홀더 장치(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A , a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for a smartphone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ring type holder device 300 .

링 타입 홀더 장치(300)는 고리 형상의 고리가 바텀그립부(25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리는 바텀그립부(25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ring-type holder device 300 , a ring-shaped ring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grip part 250 . In various embodiments, the ring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grip part 250 .

바텀그립부(250)는 제1 홀더 고정부(110)에 체결됨으로 링 타입 홀더 장치(300)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체결될 수 있다.Since the bottom grip part 250 is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 the ring type holder device 300 can be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

도 1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부와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스마트폰과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5B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ard storage unit,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b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홀더 장치가 아닌 카드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드 수납부(500)는 바텀그립부(25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드 수납부(500)는 바텀그립부(25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B ,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ard storage unit 500 instead of a holder device. The card storage unit 500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grip unit 250 . In various embodiments, the card storage unit 5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grip unit 250 .

바텀그립부(250)는 제1 홀더 고정부(110)에 체결됨으로 카드 수납부(500)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체결될 수 있다. 카드 수납부(500)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bottom grip part 250 is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 the card storage part 500 can be fastened to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 The card storage unit 500 may be of a sliding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다른 실시예- another embodiment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echnical features overlapping those of the embodiment of FIG. 1 will be omitted.

제3 홀더 고정부는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로 지칭할 수 있고, 제4 홀더 고정부는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으로 지칭할 수 있다.The third holder fixing part may be referred to as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and the fourth holder fixing part may be referred to as a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도 16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20)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및 홀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16 to 25, a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20 having a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and a holder device 200. .

홀더 장치(200)는 탑그립부(210), 바디부(230), 브라켓(700)을 포함할 수 있고, 탑그립부(210)를 커버하는 커버부(2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0a)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holder device 200 may include a top grip part 210 , a body part 230 , and a bracket 700 , and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210a covering the top grip part 210 . The cover part 210a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grip, but is not limited thereto.

후면 커버(171)에는 자력제공부 수용홀(173) 및 제3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커버(171)에는 보조 자석 수용홈(170b)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자석 수용홈(170b)에는 보조 자석(170a)이 삽입될 수 있다. 보조 자석(170a)은 스마트폰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ar cover 171 may have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3 and a third holder fixing unit accommodating hole 175a. In addition, an auxiliary magnet accommodating groove 170b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171 . An auxiliary magnet 170a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magnet receiving groove 170b. Auxiliary magnet (170a)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mart phone.

또한, 후면 커버(171)와 마감커버(190) 사이에 도시된 보조 마감 커버(190a)는 제3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a)을 커버하며 후면 커버(171)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마감 커버(190)가 후면 케이스(170)에 부착되면 제3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a)과 마감 커버(190)의 중앙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은 하나의 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홀은 보조 마감 커버(190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losing cover 190a shown between the rear cover 171 and the closing cover 190 covers the third holder fix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175a and may be attached on the rear cover 171. When the finish cover 190 is attached to the rear case 170, the hole formed on the central area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receiving hole 175a and the finish cover 190 forms one hole, and this hole forms an auxiliary finish. It may be covered by the cover 190a.

홀더 장치(200)와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제3 홀더 고정부(610)는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고, 일면은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케이스(12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홀더 장치(200)는 홀더 장치(200)를 구성하는 브라켓(700)의 체결 시스템에 의해서 제3 홀더 고정부(610)와 체결될 수 있다.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through which the holder device 200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s a whole, and one side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20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can be attached to The holder device 200 may be fastened to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by the fastening system of the bracket 700 constituting the holder device 200 .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홀더 고정부(610)의 일면에는 접착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n adhesive means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

제3 홀더 고정부(6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제4 홀더 고정부(미도시)는 스마트폰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더 장치(200)를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설치된 제3 홀더 고정부(610)에 체결하거나, 스마트폰에 부착된 제4 홀더 고정부에 바로 체결할 수 있다.A fourth holder fixing part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may be attached to a smart phone. Therefore, the user can fasten the holder device 200 to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installed i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or directly fasten it to the fourth holder fixing part attached to the smartphone.

브라켓(700)은 브라켓 플레이트(711), 브라켓 돌출부(712), 브라켓 턱돌출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브라켓 플레이트(711)는 전체적으로 원형 타입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racket 700 may include a bracket plate 711 , a bracket protrusion 712 , and a bracket jaw protrusion 713 . In detail, the bracket plate 711 may be of a circular ty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브라켓 플레이트(711)의 중심 영역에는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이 형성되고, 체결링후크 수용홀(253)에는 체결링후크(233)가 삽입될 수 있다.A fasten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racket plate 711 , and the fastening ring hook 233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

브라켓 플레이트(711)의 가장자리 일 영역인 제1 영역에는 브라켓 돌출부(712)가 형성될 수 있다.A bracket protrusion 712 may be formed in a first region that is an edge region of the bracket plate 711 .

제3 홀더 고정부(610)과 서로 마주하는 브라켓 플레이트(711)의 일면에는 브라켓 돌출부(712)가 제3 홀더 고정부(61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bracket protrusion 7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plate 711 facing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

브라켓 돌출부(7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내측면을 따라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715)이 형성될 수 있다.A bracket groove 715 for inserting the holder fixing part may be formed along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cket protrusion 712 .

브라켓 플레이트(711)의 가장자리 일 영역이고 제1 영역과는 다른 제2 영역에는 브라켓 턱돌출부(713)가 형성될 수 있다.A bracket jaw protrusion 713 may be formed in a second region that is an edge region of the bracket plate 711 and is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브라켓 턱돌출부(713)는 브라켓 플레이트(611)의 가장자리의 제2 영역을 브라켓 턱돌출부(713)의중심 영역을 향해 양 갈래로 소정의 깊이로 절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턱돌출부(713)는 브라켓 플레이트(6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방(제3 홀더 고정부를 향하거나 제3 홀더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유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racket jaw protrusion 713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region of the edge of the bracket plate 611 toward the central region of the bracket jaw projection 713 in both directions to a predetermined depth. Accordingly, the bracket jaw protrusion 713 may be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racket plate 611. there is.

브라켓 턱돌출부(713)의 끝단에는 브라켓 턱(714)이 형성될 수 있다.A bracket jaw 714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bracket jaw protrusion 713 .

브라켓 턱(714)은 브라켓 턱돌출부(713)로부터 제3 홀더 고정부(610)를 향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racket jaw 714 may protrude from the bracket jaw protrusion 713 toward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3 홀더 고정부(610)는 브라켓 플레이트(711)의 제2 영역을 통해 브라켓 플레이트(711)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3 홀더 고정부(610)가 브라켓 턱(714)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브라켓 턱돌출부(713)는 뒤로 휘어지면서 제3 홀더 고정부(610)는 브라켓(700) 상에 삽입되고, 제3 홀더 고정부(610)의 가장자리 일 영역은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715) 상에 삽입되며, 브라켓 턱(714)이 제3 홀더 고정부(610)의 가장자리 또 다른 일 영역을 지지하면서 제3 홀더 고정부(610)와 브라켓(700)은 고정 체결될 수 있다.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may be inserted onto the bracket plate 711 through the second region of the bracket plate 711 . At this time, the bracket protruding part 713 is bent backwar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racket jaw 714 by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and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is inserted onto the bracket 700, One area of the edge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fixing part insertion bracket groove 715, while the bracket jaw 714 supports another area of the edge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and the bracket 700 may be fixedly coupled.

브라켓(700)은 제3 고정 홀더부(610)와 분리하고자 할 때 제3 홀더 고정부(6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브라켓 턱돌출부(713)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브라켓 턱돌출부(713)를 휘어 브라켓 턱(714)이 제3 홀더 고정부(610)의 일 영역의 지지를 해제하고, 브라켓(7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 홀더 고정부(610)와 브라켓(700)을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7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third fixing holder 610,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cket protruding portion 71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holder fixing portion 610 to bend the bracket protruding portion 713.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and the bracket 700 can be separated by releasing the support of one region of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by the bracket jaw 714 and moving the bracket 700 upward. there is.

스마트폰에 체결된 제4 홀더 고정부(미도시)는 제3 홀더 고정부(6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전술한 매커니즘에 따라 홀더 장치(200)를 제4 홀더 고정부에 체결할 수 있다.Since the fourth holder fixing part (not shown) fastened to the smartphone has the same shape as the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the holder device 200 can be fastened to the fourth holder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

이상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고안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chang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고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componen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fiel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10)
제2 홀더 고정부(30)
스마트폰 케이스(50)
스마트폰(70)
보조 배터리 장치(100)
제1 홀더 고정부(110)
홀더 고정플레이트(111)
전면 케이스 결합턱(112)
케이스(120)
전면 케이스(130)
전면 커버(131)
결합턱 수용홈(132)
제1 버튼 수용홀(133)
제2 버튼 수용홀(134)
단자 수용홀(135)
배터리 수용공간(136)
보조 배터리부(150)
배터리(151)
기판(152)
접속부(153)
제1 버튼(154)
제2 버튼(155)
자력제공부(156)
전력전달부(157)
후면 케이스(170)
후면 커버(171)
후면 커버 링턱(172)
자력제공부 수용홀(173)
전력전달부 수용홈(174)
제2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
제3 홀더 고정부 수용홀(175a)
마감 커버(190)
보조 마감 커버(190a)
홀더 장치(200)
탑그립부(210)
커버부(210a)
탑플레이트(211)
탑링턱(212)
탑링돌기(213)
바디부(230)
바디링(231)
벨로우즈부(232)
체결링후크(233)
탑링돌기 수용홀(234)
바디 내측 공간(235)
바텀그립부(250)
바텀링(251)
체결링후크결합부(252)
체결링후크 수용홀(253)
전면 수용공간(254)
후면 수용공간(255)
링 타입 홀더 장치(300)
카드 수납부(500)
제3 홀더 고정부(610)
브라켓(700)
브라켓 플레이트(711)
브라켓 돌출부(712)
브라켓 턱돌출부(713)
브라켓 턱(714)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715)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10) having a holder device
Second holder fixing part (30)
Smartphone Case(50)
Smartphone(70)
Auxiliary battery device (100)
First holder fixing part 110
Holder fixing plate (111)
Front case coupling jaw (112)
case(120)
Front Case(130)
Front cover(131)
Combined jaw receiving groove (132)
First button receiving hole (133)
Second button accommodating hole (134)
Terminal receiving hole (135)
Battery accommodation space (136)
Auxiliary battery unit (150)
Battery(151)
Substrate(152)
Connection (153)
First button (154)
Second button (155)
Magnetic power supply unit (156)
power transmission unit (157)
Rear Case(170)
Back cover(171)
Rear cover ring tuck(172)
Magnetic power supply unit accommodation hall (173)
Power transmission unit receiving groove (174)
Second holder fixing part accommodating hole 175
Third holder fixing part accommodating hole 175a
Finish Cover(190)
Secondary closing cover (190a)
holder device (200)
Top grip part (210)
cover part 210a
Top plate(211)
Top ring tuck(212)
Top ring protrusion (213)
body part 230
body ring(231)
Bellows part (232)
fastening ring hook(233)
Top ring protrusion accommodating hole (234)
Space inside the body (235)
Bottom grip part (250)
Bottom Ring(251)
Fastening ring hook coupling part (252)
Fastening ring hook accommodating hole (253)
Front receiving space (254)
Rear receiving space (255)
Ring type holder device (300)
Card storage unit (500)
Third holder fixing part 610
Bracket(700)
Bracket Plate(711)
Bracket protrusion (712)
Bracket jaw protrusion (713)
Bracket Jaw(714)
Bracket groove for inserting the holder fixing part (715)

Claims (7)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를 가진 스마트폰의 후면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홀더 장치;
상기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와 자기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에 설치된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 전송을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에 자기력으로 결합한 경우 상기 홀더 장치는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홀더 장치를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휴대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서로 분리된 경우 상기 홀더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홀더 장치를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휴대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자기적으로 결합 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과 마주하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일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의 수용을 위한 홈이 형성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 holder devic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from a holder fixing part for a smartphon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a smart phone having a device for providing magnetic force or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mart phone;
An auxiliary battery devic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evice that provides magnetic force and magnetic force and transmits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and
Including;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installed i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Whe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to transmit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to hold the holder device to carry the smartphone. do,
When the smartphon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holder device is fastened to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to hold the holder device to carry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and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re magnetically coupled,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ar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each other.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상기 전면 케이스에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의 관리 및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내장된 기판,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커넥터의 체결을 위해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접속부, 상기 스마트폰과의 자기적인 결합을 위한 자력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ncludes a case,
the case is
Including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battery unit accommodated in the front case,
The auxiliary battery part
A battery, a boar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having a built-in processor for managing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 connection part installed on the board for fastening an external connector to charge the batter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ncluding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for magnetic coupling with the smartphon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phon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링턱을 포함하고,
후면 커버에는 상기 링턱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자력제공부를 수납하는 자력제공부 수용홀 및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둘러싸여 위치한 전력전달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력제공부는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부로 노출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rear case
A rear cover and a ring tuck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cover,
The back cover is formed with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formed by the ring tuck and accommodating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mmodating groove surrounded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When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it is expo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장치는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 및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에 모두 고정 체결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형성된 브라켓 돌출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형성된 브라켓 턱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턱돌출부의 끝단에는 브라켓 턱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돌출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 또는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의 가장자리는 홀더 고정부 삽입 브라켓 홈에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 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device includes a bracket detachable to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or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The bracket is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fixed and fastened to both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The bracket includes a bracket plate, a bracket protrusion formed on an edge area of the bracket plate, and a bracket jaw protrusion formed on an edge area of the bracket plate,
A bracket ja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racket jaw protrusion,
A holder fixing part insertion bracket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protrusion,
The edge of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or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fixing part insertion bracket groove, supported by the bracket jaw, and fastened with the bracket.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설치된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홀더 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보조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자력을 제공하는 장치와 자기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홀더 장치가 탈부착 가능한 보조 배터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하는 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 장치와 탈부착되는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부는 상기 전면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후면 커버 링턱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에는 상기 후면 커버 링턱에 의해 형성되어 자력제공부를 수납하는 자력제공부 수용홀 및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둘러싸여 위치한 전력전달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력제공부는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제공부 수용홀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부로 노출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과 자기력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 커버 링턱에 의해 둘러싸인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에 직접 체결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에 설치된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스마트폰용 홀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 장치용 홀더 고정부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A device for providing magnetic force is built-in smart phone or a smartphone holder fixing unit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smart phone and detachable holder device; and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unit that transmits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smart phone and is detachable with a device for provid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smart phone and an auxiliary battery device in which the holder device is detachable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front case,
A rear case coupled to the front case and
A holder fixing part for a battery device installed on the front case and detachable from the holder device,
The auxiliary battery unit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case,
The rear case includes a rear cover and a rear cover ring tuck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The rear cover has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formed by the rear cover ring chin and accommodating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mmodating groove surrounded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ccommodating hole,
When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accommodating hole, it is exposed to the rear part of the rear cover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accommodating hole,
A groove surrounded by the rear cover ring tuck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to accommodate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for the battery device such that the holder device is directly fastened to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smartphone or fastened to the holder fixing part for the battery device installed i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The holder fixing part is composed of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a holder device.
KR2020220002716U 2022-11-21 2022-11-21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KR2004969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716U KR200496958Y1 (en) 2022-11-21 2022-11-21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716U KR200496958Y1 (en) 2022-11-21 2022-11-21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58Y1 true KR200496958Y1 (en) 2023-06-20

Family

ID=8694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716U KR200496958Y1 (en) 2022-11-21 2022-11-21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5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007B1 (en) * 2023-11-29 2024-05-24 주식회사 씨큐앤비 Smart one-pass grip key
KR102690901B1 (en) * 2024-01-15 2024-08-06 주식회사 대한몰 Smartphone grip, grip removable portable battery and smartphone accessor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06B1 (en) 2010-11-23 2012-05-03 원혜숙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140043566A (en) * 2012-09-24 2014-04-10 박진병 Smart phone holder
KR101502738B1 (en)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KR20170043866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Smartphone case built in a wireless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KR20190073893A (en) 2017-12-19 2019-06-27 최주호 Auxiliary battery combinable to mobile terminal
KR20210153007A (en) 2021-11-29 2021-12-16 이상윤 Non slip tok
KR102341386B1 (en) 2021-06-08 2021-12-21 주식회사 엠포유 An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06B1 (en) 2010-11-23 2012-05-03 원혜숙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140043566A (en) * 2012-09-24 2014-04-10 박진병 Smart phone holder
KR101502738B1 (en)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KR20170043866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Smartphone case built in a wireless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KR20190073893A (en) 2017-12-19 2019-06-27 최주호 Auxiliary battery combinable to mobile terminal
KR102341386B1 (en) 2021-06-08 2021-12-21 주식회사 엠포유 An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mobile devices
KR20210153007A (en) 2021-11-29 2021-12-16 이상윤 Non slip to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007B1 (en) * 2023-11-29 2024-05-24 주식회사 씨큐앤비 Smart one-pass grip key
KR102690901B1 (en) * 2024-01-15 2024-08-06 주식회사 대한몰 Smartphone grip, grip removable portable battery and smartphone accessor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958Y1 (en)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US10610004B1 (en) Multipurpose holder
US1069836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1705819B1 (en) Magic push
US10459236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earbud holder
KR10150273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US20180012691A1 (e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68736B2 (en) Coup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40042041A1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case
KR101705820B1 (en) Magic holder
US11184989B2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81213A (en) Protecting cover
US11330093B2 (en)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KR101832625B1 (en) Rotatable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over having the same
US10098430B2 (en) Protection cover
US20020014535A1 (en) Memory card and card socket
KR101753520B1 (en) A smartphone cradle
US2016028601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thereof
KR102074577B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built-in chip
CN101711103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90043045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with accessory attaching on back cover of portable device
KR102689095B1 (en) Smartphone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holder device
KR101920667B1 (en) Mobile phone case for charging device
KR101717968B1 (en) Modules for attaching to a smart-phone
WO2021247751A1 (en)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