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144B1 -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144B1
KR102257144B1 KR1020207003463A KR20207003463A KR102257144B1 KR 102257144 B1 KR102257144 B1 KR 102257144B1 KR 1020207003463 A KR1020207003463 A KR 1020207003463A KR 20207003463 A KR20207003463 A KR 20207003463A KR 102257144 B1 KR102257144 B1 KR 10225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unit
drx parameter
pdcch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534A (ko
Inventor
츠아훙 웨이
츠밍 처우
Original Assignee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272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571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및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제1 유닛은 밀리초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가짐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DRX OPERATION AND CONFIGURATION IN NEW RADIO"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7년 8월 1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544,181호(대리인 정리 번호 US71709(이하 "US71709 출원"으로서 지칭됨))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US71709 출원의 개시내용은 이로써 본 출원에 참조에 의해 완전히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특정하게는, 불연속적 수신 동작들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LTE)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들의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들) 사이에 불연속적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이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DRX 동안, UE는 그의 RF 모듈을 스위치 오프하고 및/또는 데이터 송신들 사이의 제어 채널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기지국의 구성 및 실제 트래픽 패턴에 기초하여 미리 구성된 ON/OFF 사이클들에 의해 제어 채널(예를 들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기지국은 DRX 온 듀레이션 타이머(drx-onDurationTimer),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 DRX 재송신 타이머(drx-RetransmissionTimer), DRX 긴 사이클 시작 오프셋(drx-LongCycleStartOffset), DRX 짧은 사이클(drx-ShortCycle), DRX 짧은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 및 왕복 시간 타이머(Round-Trip Time Timer, RTT Timer)와 같은 DRX 구성 파라미터들 및 타이머들을 구성하여 UE에 송신할 수 있다.
차세대(예를 들어, 5 세대(5G) 새로운 무선(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데이터 스케줄링에 대한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프레임 구조들을 형성하고 제어 채널들을 할당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설계들을 도입하였으며, 여기서 프레임 구조에서의 모든 요소들이 고정된 시간 유닛을 갖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차세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한 유연한 DRX 동작들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서,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방법이 기술되는데, 방법은: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를 포함하고; 제1 유닛은 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다.
제1 양태의 일 구현에 따르면,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의 결정은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유닛은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는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및 제2 DRX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가 DRX 동작의 ON 사이클 동안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UE는 DRX 동작의 이전 ON 사이클 동안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제2 DRX 파라미터를 적용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는 PDCCH 또는 GC(group common)-PDCCH를 통해 UE에 의해 수신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PDCCH 또는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한다.
제1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DRX 파라미터는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UE에 의해 수신된다.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UE는 제2 DRX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subcarrier), 서브 대역(sub-band), 또는 BWP를 모니터링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서,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UE)가 설명되고, UE는: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고 -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구성된 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밀리초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다.
제2 양태의 일 구현에 따르면,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의 결정은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및 제2 DRX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가 DRX 동작의 ON 사이클 동안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UE는 DRX 동작의 이전 ON 사이클 동안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제2 DRX 파라미터를 적용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는 PDCCH 또는 GC-PDCCH를 통해 UE에 의해 수신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PDCCH 또는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한다.
제2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DRX 파라미터는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UE에 의해 수신된다.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UE는 제2 DRX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 또는 BWP를 모니터링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에서,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위한, 기지국에 의한 방법이 기술되고, 이 방법은, 기지국의 송신 회로에 의해,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기지국의 송신 회로에 의해,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를 포함하고, 제1 유닛은 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다.
제3 양태의 일 구현에 따르면,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의 결정은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유닛은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는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및 제2 DRX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는 PDCCH 또는 GC-PDCCH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고;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PDCCH 또는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1 DRX 파라미터는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들, 또는 BWP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제3 양태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제2 DRX 파라미터는 주기적으로 또는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재구성가능하다.
예시적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어볼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최상으로 이해된다. 다양한 특징들이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고,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들은 논의의 명료성을 위해 임의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어 채널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GC-PDCCH 자원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PDCCH 자원에 대한 CORESET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고정된 타이밍 유닛들을 갖는 요소들 및 스케일링가능 타이밍 유닛들을 갖는 요소들을 갖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2-스테이지 DRX 동작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어 채널 모니터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RTT Timer 및 관련 동작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DRX 동작을 위한 UE에 의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DRX 동작을 위한 기지국에 의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노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구현들에 관한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도면들 및 그 동반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구현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들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변형들 및 구현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생길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도면들 중에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의 도면 및 예시는 일반적으로 비례에 맞게 되어 있지 않고, 실제의 상대적 치수들에 대응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해의 일관성 및 용이함의 목적을 위하여, 유사한 특징들은 (일부 예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시적인 도면들에서의 번호들에 의해 식별된다. 그러나, 상이한 구현들에서의 특징들은 다른 면들에서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것으로만 좁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설명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현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각각 지칭할 수 있는 문구들 "하나의 구현에서" 또는 "일부 구현들에서"를 이용한다. 용어 "결합된"은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반드시 물리적 접속들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이용될 때, "포함하지만, 반드시 그에 제한되지는 않음"을 의미하고; 이는 구체적으로 이렇게 설명된 조합, 그룹, 시리즈 및 등가물에서의 개방형 포함 또는 멤버쉽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설명 및 비제한 목적을 위하여, 기능적인 엔티티들, 기법들, 프로토콜들, 표준 등과 같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설명된 기술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다른 예들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들, 기술들, 시스템, 아키텍처 등의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한 세부사항들로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임의의 네트워크 기능(들) 또는 알고리즘(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즉시 인식할 것이다. 설명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일 수 있는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메모리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처리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범용 컴퓨터들은 대응하는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설명된 네트워크 기능(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범용 컴퓨터들은 ASIC(applications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들 중 일부가 컴퓨터 하드웨어상에 설치되고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지향하지만, 펌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된 대안적 예시적인 구현들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D 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자기 카세트(magnetic cassette)들,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magnetic disk storage),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동등한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LTE-Advanced) 시스템, 또는 LTE-어드밴스드 프로(LTE-Advanced Pro) 시스템)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 및 네트워크를 향한 접속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적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를 포함한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확립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CN(core network),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GC(Next-Generation Core), 5GC(5G Core Network), 또는 인터넷)와 통신한다.
본 출원에서, UE는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 또는 디바이스, 사용자 통신 무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UE는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모바일 폰,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서,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휴대용 무선 장비일 수 있다. UE는 신호들을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셀로부터 수신하고 그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UMTS에서와 같은 NB(node B), LTE-A에서와 같은 eNB(evolved node B), UMTS에서와 같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GSM/GERAN에서와 같은 BSC(base station controller), 5GC와 관련하여 E-UTRA 기지국에서와 같은 NG-eNB, 5G-RAN에서와 같은 차세대 노드 B(gNB), 및 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셀 내에서 무선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기지국은 네트워크에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UE를 서빙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음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종종 2G로서 지칭됨),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GRP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본적인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초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종종 3G로서 지칭됨), HSPA(high-speed packet access), LTE, LTE-A, eLTE(evolved LTE), NR(New Radio, 종종 5G로서 지칭됨), 및/또는 LTE-A Pro. 그러나, 본 출원의 범위는 위에서 언급된 프로토콜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기지국은 셀들의 동작들을 지원한다. 각각의 셀은 셀의 무선 커버리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UE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셀(종종 서빙 셀로 지칭됨)은 셀의 무선 커버리지 내에서 하나 이상의 UE를 서빙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각각의 셀은 다운링크 및 선택적으로 업링크 패킷 송신들을 위해 셀의 무선 커버리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다운링크 및 선택적으로 업링크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나 이상의 UE와 통신할 수 있다. 셀은 ProSe(proximity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한 SL(sidelink)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다른 셀들과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높은 신뢰성,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낮은 레이턴시 요건들을 충족시키면서, eMBB, mMTC, 및 URLLC와 같은 다양한 차세대 통신 요건들을 수용하는 유연한 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3GPP에서 합의된 바와 같은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은 NR 파형에 대한 베이스라인으로서 서빙할 수 있다. 적응적 서브캐리어 간격, 채널 대역폭, 및 CP(Cyclic Prefix)와 같은 스케일링가능 OFDM 수비학(numerology)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2개의 코딩 방식이 NR에 대하여 고려된다: (1) LDPC(low-density parity-check) 및 (2) 폴라 코드(Polar Code). 코딩 방식 적응은 채널 조건들 및/또는 서비스 응용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 NR 프레임의 송신 시간 간격 TX에서, 다운링크(DL) 송신 데이터, 보호 기간(guard period), 및 업링크(UL) 송신 데이터가 적어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또한 고려되는데, 여기서 DL 송신 데이터, 보호 기간, UL 송신 데이터의 제각기 부분들도 또한, 예를 들어, NR의 네트워크 다이내믹스에 기초하여 구성가능하다. 게다가, 사이드링크 자원은 ProSe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NR 프레임에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3GPP 논의 하에서,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은 셀 내의 UE들 모두에 대한 PDCCH들뿐만 아니라 셀 내의 UE들 중 일부에 대한 GC-PDCCH들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어 채널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100)에서, 제어 구역(102)은 적어도 하나의 PDCCH(예를 들어, PDCCH(108))를 포함한다. 본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GC-PDCCH(예를 들어, GC-PDCCH(104))는 또한 제어 구역(102)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GC-DCCH(들)는 다른 제어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GC-PDCCH(104)는 화살표(120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가 PDCCH(108)를 디코딩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GC-PDCCH CORESET(106)는 화살표(120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가 데이터 구역(112)에서 데이터(114)를 직접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PDCCH CORESET(110)는 화살표(120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가 데이터 구역(112)에서 하나 이상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 channel)를 통해 데이터(116)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GC-PDCCH(예를 들어, GC-PDCCH(104))는 셀에서의 UE들의 그룹에 대한 제어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슬롯 포맷 관련 정보 및 슬롯/심볼 포맷 표시자/정보(SFI)를 포함한다. SFI는 슬롯 당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심볼들의 수,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수, 및/또는 슬롯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이 GC-PDCCH CORESET(106) 및 PDCCH CORESET(110)가 제각기 GC-PDCCH(104) 및 PDCCH(108)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또 다른 구현에서, GC-PDCCH CORESET(106) 및 PDCCH CORESET(110)는 UE로 하여금 제각기 GC-PDCCH(104) 및 PDCCH(108)를 위치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자원(예를 들어, 시간 및 주파수)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GC-PDCCH CORESET(106) 및 PDCCH CORESET(110)는 제각기 GC-PDCCH(104) 및 PDCCH(108)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 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동작들은 eLTE 네트워크들에서의 것보다 더 유연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E-특정적 CORESET 구성들을 통해 UE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거동을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CORESET 구성은 UE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제어 채널 내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특정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들), 및/또는 UE가 블라인드 디코딩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GC-PDCCH 또는 PDCCH에서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GC-PDCCH CORESET 구성 및 PDCCH CORESET 구성을 각각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에는 도면(200A)에서 GC-PDCCH(204)에 대한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GC-PDCCH CORESET 구성(203)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b에서, UE에는 PDCCH(208)에 대한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PDCCH CORESET 구성(207)이 제공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GC-PDCCH CORESET 구성(203)과 PDCCH CORESET 구성(207) 양쪽 모두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GC-PDCCH CORESET 구성(203)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는 반면, PDCCH CORESET 구성(207)은 GC-PDCCH CORESET(예를 들어, 도 1의 GC-PDCCH CORESET(106))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고정된 타이밍 유닛들을 갖는 요소들 및 스케일링가능 타이밍 유닛들을 갖는 요소들을 갖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30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서브캐리어들/대역폭 부분들(BWP들)/서브 대역들은 상이한 슬롯 길이들을 가지며 기지국(예를 들어, g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UE는 다중의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 각각은 서브프레임 내의 상이한 슬롯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면(30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BWP(330)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BWP(340)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BWP(330)의 슬롯 길이(332)는 BWP(340)의 슬롯 길이(342)와 상이하다. 또 다른 구현에서, UE는 기지국에 의해 단일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서브프레임1 내지 서브프레임n은 각각 고정된 시간 유닛, 예를 들어, 밀리초(ms)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는 고정된 시간 길이(지속기간)를 가질 수 있는 반면, BWP(330) 및 BWP(340)에서의 슬롯 길이(지속기간)는 각각의 슬롯 길이가, 예를 들어,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을 가지므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cross slot scheduling)을 지원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은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PD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한 슬롯과는 상이한 슬롯에서 PDSCH 수신을 수행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2가지 유형의 시간 유닛인, 고정 시간 유닛들(fixed time units, FTU들), 및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들(scalable time units, STU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들에서, 서브프레임들, 프레임들 및 하이퍼 프레임들은 FTU들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슬롯들 및 심볼들은 STU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은 1ms의 고정된 시간 길이(지속기간)를 가질 수 있고, 프레임은 10ms의 고정된 시간 길이(지속기간)를 가질 수 있고, 하이퍼 프레임은 10240ms인 1024개 프레임의 고정된 시간 길이(지속기간)를 가질 수 있다. (e)LTE 네트워크와 상이하게, 5G NR 네트워크에서의 슬롯 길이(지속기간)는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 중에서의 심볼 길이의 차이로 인해 정적 값이 아닐 수 있다. 슬롯 내에 포함되는 심볼들의 수는 구성가능하거나 스케일링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슬롯의 경우에, 더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캐리어상의 슬롯은 더 긴 심볼 길이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더 긴 슬롯 길이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더 높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캐리어상의 슬롯은 더 짧은 심볼 길이, 따라서 더 짧은 슬롯 길이를 초래할 수 있다.
도 3에서, BWP(330)에서의 슬롯 길이(332)가 3개의 심볼이라면, 심볼이 STU이므로, BWP(330)에서의 슬롯의 실제 시간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UE는 BWP(330)에서의 심볼의 스케일링가능 길이를 3으로 곱할 수 있다. 유사하게, BWP(340)에서의 슬롯 길이(342)가 3개의 심볼이라면, 심볼이 STU이므로, BWP(340)에서의 슬롯의 실제 시간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UE는 BWP(340)에서의 심볼의 스케일링가능 길이를 3으로 곱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BWP(340)에서의 심볼의 스케일링가능 길이는 BWP(330)에서의 심볼의 스케일링가능 길이보다 길 수 있고, 그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WP(340)에서의 슬롯 길이(342)의 실제 시간 지속기간이 BWP(330)에서의 슬롯 길이(332)의 실제 시간 지속기간보다 더 길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400)에서, 슬롯 당 심볼 길이 및 심볼들의 수에 좌우되어,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들의 수도 가변적이다. 따라서, DRX 동작 내에서의 GC-PDCCH 및/또는 PDCCH 모니터링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유들로 인해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상의 유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들에서, DRX 동작은 GC-PDCCH 및 CORESET가 지원될 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섹션들에서,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DRX 동작의 하기 사례들이 논의될 것이다: DRX 구성, DRX 동작, RTT 타이머 구성, 재송신 타이머 구성 및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
사례 1: DRX 구성
사례 1의 다양한 구현들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gNB)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DRX 구성(DRX-Config)을 UE에 제공할 수 있다. DRX-Config는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DL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함), drx-LongCycleStartOffset, drx-ShortCycle, drx-ShortCycleTimer, 및 RTT Timer(예를 들어, drx-HARQ-RTT-TimerDLdrx-HARQ-RTT-TimerUL)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DRX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DRX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e)LTE 네트워크들에서 정의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차이점들은 이들 파라미터들 각각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유닛들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심볼들, 슬롯들, PDCCH 모니터링 기간들, 또는 특정 길이 유닛들일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은 심볼, 슬롯, PDCCH 모니터링 기간, 또는 밀리초의 분수로(예를 들어, 1/2ms, 1/4ms, 1/8ms, 1/16ms, 1/32ms 등) 하나 이상의 DRX 파라미터(예를 들어, drx-onDuration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기타 등등)를 구성할 수 있다.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타이밍 유닛들 및 그의 스케일링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DRX 파라미터들이 FTU들로 구성되는 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들에서,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동적 프레임 구조들에 대한 더 정밀하고 유연한 DRX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2-스테이지 DRX 메커니즘이 설명된다.
2-스테이지 DRX 메커니즘에서, 기지국은 DRX 파라미터들을 FTU(들)를 갖는 파라미터들 및 STU(들)를 갖는 파라미터들로 분류하고, FTU들(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 프레임들 또는 하이퍼 프레임들) 및 STU들(예를 들어, 슬롯들 또는 심볼들)을 갖는 이들 2개의 카테고리의 DRX 파라미터들을 제각기 구성한다. 기지국은 슬롯들 또는 심볼들일 수 있는 UE-특정적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들)(예를 들어, STUUE)을 또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DRX 파라미터들은 또한 그들의 사용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사용은 DRX ON/OFF 사이클(예를 들어,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ShortCycleTimer 및/또는 drx-LongCycleStartOffset, 기타 등등)에 관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은 데이터 (재)송신(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기타 등등)에 관련될 수 있다. 분류의 약어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파라미터 분류 약어
약어 정의
STU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 예를 들어, 슬롯 및 심볼은 STU이다.
FTU 고정 시간 유닛;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프레임 및 하이퍼 프레임.
STUUE UE-특정적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 gNB에 의해 구성된 슬롯들 및 심볼들의 수.
PWF FTU를 가진 파라미터; PWF는 PWFC 및 PWFT를 포함한다.
PWFC FTU를 가진 ON/OFF 사이클 관련 파라미터 (즉,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및/또는 drx-LongCycleStartOffset).
PWFT FTU를 갖는 데이터 (재)송신 관련 파라미터 (즉,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예를 들어, drx-HARQ-RTT-TimerDLdrx-HARQ-RTT-TimerUL) 및 drx-RetransmissionTimer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DLdrx-RetransmissionTimerUL)).
PWS STU 또는 STUUE를 가진 파라미터; PWS는 PWSC 및 PWST를 포함한다.
PWSC STU 또는 STUUE를 가진 ON/OFF 사이클 관련 파라미터 (즉,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및/또는 drx-LongCycleStartOffset).
PWST STU 또는 STUUE를 가진 데이터 (재)송신 관련 파라미터 (즉,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예를 들어, drx-HARQ-RTT-TimerDLdrx-HARQ-RTT-TimerUL) 및 drx-RetransmissionTimer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DLdrx-RetransmissionTimerUL)).
drx-ShortCycleTimer의 유닛이 어떤 데이터 도착도 발생하지 않은 얼마나 많은 짧은 DRX 사이클들이 있는지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파라미터, drx-ShortCycleTimer는 타이밍 유닛에게 불규칙적/비주기적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drx-ShortCycleTimer의 값=3일 때, 유닛은 짧은 DRX 사이클들의 수(예를 들어, 3 사이클)이다. 따라서, 파라미터, drx-ShortCycleTimer는 FTU들 및 STU들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례 1.1에서, 기지국은 PWFC를 구성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FC를 UE에 제공한다. UE는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하고, 이어서 각각의 슬롯(들)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PWST를 수신하기 위한 미리 구성된 슬롯(들) 내의 제어 구역(예를 들어, GC-PDCCH 또는 PDCCH)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UE-특정적 DCI 콘텐츠(예를 들어, UE의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됨)는 그것이 등장할 때 PWST 구성을 표시할 수 있다. UE-특정적 DCI는 임의의 ON 사이클 동안 발생할 수 있고, PWST 구성은 UE-특정적 DCI가 수신될 때 UE에 의해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ON 사이클이 시작되고, 이후 PWST 구성을 나타내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한다. 그 후, UE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예를 들어, 타이머를 시작하는 것)를 적용한다. 기지국은 ON 사이클 내에서 PWST 구성들을 변경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나중 구성은 어느 하나가 등장할 때 이전 구성을 덮어쓰기할 수 있다.
사례 1.2에서, 사례 1.1과 유사하게, 기지국은 DRX 동작 전에 PWFC를 구성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FC를 UE에 제공한다. UE는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하고, 이어서 각각의 슬롯(들)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PWST를 수신하기 위한 미리 구성된 슬롯(들) 내의 제어 구역(예를 들어, GC-PDCCH 또는 PDCCH)을 모니터링한다. 사례 1.1과는 달리, 사례 1.2에서의 기지국은 현재의 ON 사이클 내에서 STU(들)를 갖는 PWSC를 갖는 ON/OFF 사이클 관련 파라미터들의 또 다른 특정 세트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며, 여기서 PWSC는 PWFC의 현재 ON 사이클 내에서 사용된다.
사례 1.3에서, 기지국은 PWFC를 구성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FC를 UE에 제공한다. 기지국은 또한 UE에 대해 다중의 PWST의 세트를 구성하고 또한 다중의 PWST의 세트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세트에는 특정 인덱스 값(예를 들어, PWST 인덱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3가지 타입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면, 기지국은 3개의 타입의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3개의 PWST 세트를 UE에 제공한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현재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다중의 PWST의 세트 중 하나를 적용한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다중의 PWST의 세트 내에서, PWST 세트 중 하나는 디폴트 PWST 세트가 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사례 1.4에서, 기지국은 PWSC 및 PWST의 다중의 세트를 구성하고, 이들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한다. PWSC 또는 PWST의 각각의 세트는 특정 타입의 프레임 구조에 대응한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현재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PWSC 또는 PWST의 다중의 세트 중 하나를 적용한다.
사례 1.5에서, 기지국은 PWFC 및 PWST의 다중의 세트를 구성하고, 이들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한다. 각각의 PWFC 또는 PWST 세트는 특정 타입의 프레임 구조에 대응한다.
사례 1.6에서, 기지국은 PWST를 구성하고, DRX 동작 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ST를 UE에 제공한다. 기지국은 또한 UE에 대해 다중의 PWFC의 세트를 구성하고, DRX 동작 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다중의 PWFC의 세트를 UE에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세트에는 특정 인덱스 값(예를 들어, PWFC 인덱스)이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PWFC 세트는 한 타입의 프레임 구조에 대응한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현재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다중의 PWFC의 세트 중 하나를 적용한다.
사례 1.7에서, 기지국은 PWF 및 PWS 둘 모두를 구성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 이들을 UE에 제공한다. PWF 및 PWS를 갖는 DRX 파라미터 구성을 수신한 후에, UE는 현재 프레임 구조를 참조함으로써(예를 들어, 슬롯 길이 또는 심볼 길이를 참조함으로써) PWST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X 슬롯들로 UE에 대해 drx-InactivityTimer을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이 발생할 때, UE는 drx-InactivityTimer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현재 슬롯 길이의 X배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UE가, 얼마나 많은 서브 대역들/수비학들/BWP들/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그의 송신에 적용되는지에 관계없이 RRC 엔티티 당 하나의 구성을 유지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것은 어떠한 UL/DL 데이터 송신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UE는 서브프레임, 프레임 또는 하이퍼 프레임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PWFC에 기초하여 DRX ON/OFF 스위칭만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데이터 송신 및/또는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UE는 PWSC에 의해 대응하는 타이머(들)(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및/또는 drx-RetransmissionTimer)를 트리거링할 수 있고, 기지국에 의해 현재 구성/할당된 심볼 또는 슬롯의 길이의 시간 유닛들에 기초하여 이들 타이머들을 카운트할 수 있다.
사례 2: DRX 동작들
사례 1의 다양한 구현들에 대해, 2-스테이지 DRX 동작 상세 사항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1: 사례 1.1의 DRX 동작들
사례 2.1에서, 사례 1.1의 2-상태 DRX 동작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1.A에서, 기지국이 PWFC만을 구성하고, DRX 동작 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FC를 UE에 제공할 때, UE는 PWST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예를 들어, PWFC에 의해 구성된 ON 사이클이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고, PWST를 나타내지 않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있을지라도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RTT Timerdrx-RetransmissionTimer는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발생할 때에라도 적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에서, UE-특정적 DCI가 PWST 없이 수신될 때, UE는 이전 ON 사이클에서 수신된 또는 대응하는 drx-InactivityTimer, RTT Timerdrx-RetransmissionTimer를 활성화하기 위해 과거에 수신된 PWST를 적용할 수 있다.
사례 2.1.B에서, 사례 2.1.A와 유사하게, PWFC는 기지국에 의해 UE에 구성되고, UE는 PWST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PWST를 갖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적용한다(예를 들어, 타이머를 시작한다). PWST의 또 다른 세트를 나타내는 또 다른 UE-특정적 DCI가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drx-Inactivity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길 때에만,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재시작한다.
사례 2.1.C에서, 사례 2.1.B와 유사하게, PWFC는 기지국에 의해 UE에 구성되고, UE는 PWST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PWST를 나타내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적용한다(예를 들어, 타이머를 시작한다). PWST의 또 다른 세트를 나타내는 또 다른 UE-특정적 DCI가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가장 최신의 PWST에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재시작한다.
사례 2.1.D에서, 사례 2.1.B 및 사례 2.1.C와 유사하게, 업데이트된 PWST가 UE에 의해 수신되고, 그리고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가장 최신의 PWST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RTT Timer가 실행되는 동안 발생할 때, UE는 RTT Timer를 재시작하거나, 또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RTT 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더 긴 경우에만 RTT Timer를 재시작한다.
사례 2.1.E에서, 기지국은 디폴트 PWST를 UE에 구성한다. UE가 임의의 추가적 PWST를 수신하지 못할 때, UE는 디폴트 PWST를 적용한다.
사례 2.1.F에서, 사례 1.1에 대해, PWFC는 기지국에 의해 UE에 구성되고, UE는 PWST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PWST를 나타내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서브캐리어/BP/서브 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적용한다(예를 들어, 타이머를 시작한다). 그 다음, 또 다른 PWST의 세트를 나타내는 또 다른 UE-특정적 DCI가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또 다른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한다. 그 후, UE는 가장 최신의 PWST에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또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drx-Inactivity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더 긴 경우에만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재시작한다.
사례 2.1.G에서, 사례 1.2에 대해,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 각각은 PWST 구성들의 동일한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및/또는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 중 하나에서 발생할 때, UE는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의 슬롯 길이의 시간 유닛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타이머(들)(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및/또는 drx-RetransmissionTimer)를 카운트한다. 서브캐리어들/BWP들/서브 대역들 모두는 동일한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및/또는 drx-RetransmissionTimer를 유지한다는 점을 유의한다. 따라서, 사례 2.1.F와 유사하게, PWFC는 기지국에 의해 UE에 구성되고, UE는 PWST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PWST를 나타내는 UE-특정적 DCI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수비학의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할 때, UE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n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적용한다(예를 들어, 타이머를 시작한다). 그 다음, 또 다른 UE-특정적 DCI는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또 다른 서브캐리어/BP/서브 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발생한다. 그 다음, UE는 가장 최신의 PWST에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또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drx-Inactivity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더 긴 경우에만 (N+M)번째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수비학의 m개의 심볼/슬롯을 더한 것에서 drx-InactivityTimer를 재시작한다(예를 들어,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사례 2.1.H에서, 사례 2.1.F와 유사하게, 또 다른 PWST가 제2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상에서 수신되고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이전 PWST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RTT Timer가 실행되는 동안 제2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상에서 발생할 때, UE는 RTT Timer를 재시작하거나, 또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RTT 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더 긴 경우에만 RTT Timer를 재시작한다.
경우 2.1.I에서, 사례 2.1.G와 유사하게, RTT Timer가 실행 중인 동안 제2 서브캐리어/BWP/서브 대역상에서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발생할 때, UE는 RTT Timer를 재시작하거나, 또는 가장 최신의 PWST에 의해 트리거링될 필요가 있는 RTT Timer의 만료가 이전의 것보다 더 긴 경우에만 RTT Timer를 재시작한다.
사례 2.2: 사례 1.2의 DRX 동작들
사례 2.2에서, 사례 1.2의 2-상태 DRX 동작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2.A에서, 기지국이 PWFC만을 구성하고, 그리고 DRX 동작 이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PWFC(예를 들어, 도 5의 PWFC 사이클(502))를 UE에 제공할 때, UE는 PWST 및/또는 PWSC(예를 들어, PWST 및/또는 도 5의 PWSC 패턴(504))를 수신하기 위해 PWFC에 기초하여 매 ON 사이클마다 웨이크업한다. 예를 들어, UE가 ON 사이클 동안 PWSC를 수신할 때, UE는 PWFC의 ON 사이클 내에서 DRX를 수행하기 위해(예를 들어, PWFC에서의 설정을 무시함) PWST 및/또는 PWSC 구성(들)을 추종한다. 다시 말하면, PWFC의 ON 사이클의 지속기간 내에서, UE가 수행할 필요가 있는 정확한 ON/OFF 스위칭은 도 5의 도면(500)에서의 UE의 전체적 DRX 동작 패턴(5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SC(예를 들어, ON/OFF 사이클 관련 파라미터 구성의 특정 세트)에 기초한다.
사례 2.2.A에서, 기지국은 고정된 시간 유닛으로 거친 ON/OFF 사이클을 구성하고, 시간 의존 슬롯 길이 구성 및 동적으로 구성가능한 프레임 구조(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수)에 따라 스케일링가능 시간 유닛(들)을 갖는 상세한 ON/OFF 사이클들을 추가로 할당한다. DRX의 제2 스테이지에 대한 ON/OFF 사이클 관련 파라미터들의 특정 세트는 ON/OFF 관련 타이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디코딩 에러가 제2 스테이지 구성에 의해 구성된 ON 사이클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면, UE는 제2 스테이지의 구성으로 그리고 현재적으로 심볼 또는 슬롯 길이의 시간 유닛으로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및/또는 drx-RetransmissionTime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사례 2.2.B에서, 기지국은 또한 DRX 동작 전에 디폴트 PWST 및/또는 PWSC를 UE에 구성할 수 있다. UE가 임의의 추가 PWST를 수신하지 못할 때, UE는 디폴트 PWST 및/또는 PWSC를 적용한다.
사례 2.3: 사례 1.3의 DRX 동작들
사례 2.3에서, 사례 1.3의 2-상태 DRX 동작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3.A에서, 기지국은 PWST의 다중 세트를 UE에 구성하고, PWST의 다중 세트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하며, 여기서 PWST의 각각의 세트는 특정 인덱스 값(예를 들어, PWST 인덱스)으로 명시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 후에, GC-PDCCH 또는 PDCCH상의 UE-특정적 DCI는 PWFC에 의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내에서 또는 특정한 미리 구성된 시간 기간 내에서 적용될 PWST의 특정한 세트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표시한다. PWST 세트 인덱스는 PWFC에 기초하여 각각의 ON 사이클의 제1 슬롯 또는 특정 슬롯(RRC 시그널링을 통해 표시됨)에서 PDCCH 및/또는 GC-PDCCH의 CORESET 내에서 기지국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또는 UE-특정적 DCI를 통해 PWST의 세트(들)의 인덱스(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표시도 없다면, UE는 PWFC에만 기초하여 DRX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는 어떠한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drx-RetransmissionTimer도 트리거링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사례 2.3.B에서, 기지국은 PWST 중 어느 세트가 PWFC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ON 사이클 내에서 또는 특정한 미리 구성된 시간 기간 내에서 UE에 의해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 구조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채널)을 통해 PWST 매핑 테이블에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UE는 구성된 서브 대역/BWP의 수비학/TT에 따라 적절한 PWST 세트를 적용한다.
사례 2.3.C에서, 기지국은 또한 디폴트 PWST를 UE에 구성할 수 있다. UE가 임의의 추가적 PWST를 수신하지 못할 때, UE는 디폴트 PWST를 적용한다.
사례 2.3.D에서, 어떤 디폴트 PWST도 DRX 동작 이전에 UE에 구성되지 않는다면, UE는 PWFC에만 기초하여 DRX를 동작시킬 수 있는데, 이는 어떠한 drx-InactivityTimer, RTT Timer, 및 drx-RetransmissionTimer도 트리거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례 2.4: 사례 1.4의 DRX 동작들
사례 2.4에서, 사례 1.4의 2-상태 DRX 동작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4.A에서, 기지국은 PWSC 및 PWST의 다중 세트를 구성하고, 이들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한다. 기지국은 UE에게 PWSC 및 PWST 중 어느 세트가 RRC 시그널링, UE-특정적 DCI, GC-PDCCH 또는 PDCCH를 통해 적용되는지를 명시적으로 나타낸다.
사례 2.4.B에서, 기지국은 PWSC 및 PWST의 다중 세트를 구성하고, 이들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한다. 기지국은 PWSC 및/또는 PWST 중 어느 세트가 UE에 의해 적용되는지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 구조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채널)을 통해 PWSC 및 PWST 매핑 테이블에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UE는 구성된 서브 대역/BWP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적절한 PWSC 및/또는 PWST의 세트를 적용한다.
사례 2.4.C에서, 기지국은 PWSC 및 PWST의 디폴트 세트를 UE에 구성한다. UE가 사례 1.2에서와 같이 프레임 구조들이 서로 상이한 다중 BWP로 구성될 때, UE는 PWSC 및 PWST의 디폴트 세트를 적용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UE는 메인/프라이머리 BWP의 프레임 구조, 제1 구성된 BWP, 최장 슬롯 길이를 갖는 BWP 또는 최단 슬롯 길이를 갖는 BWP에 기초하여 PWSC 및 PWST의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사례 2.5: 사례 1.5의 DRX 동작들
사례 2.5에서, 사례 1.5의 2-상태 DRX 동작들은, "PWSC" 및 "PWST"가 제각기 "PWFC" 및 "PWST"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사례들 2.4.A, 2.4.B, 및 2.4.C와 동일한 동작들을 따르는 3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사례 2.6: 사례 1.6의 DRX 동작들
사례 2.6에서, 사례 1.6의 2-상태 DRX 동작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사례 2.6.A에서, 기지국은 PWFC 중 어느 세트가 UE에 의해 적용될 것인지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 구조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채널)을 통해 PWFC 매핑 테이블에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그 후, UE는 구성된 서브 대역/BWP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적절한 PWFC 세트를 적용한다.
사례 2.6.B에서, 기지국은 또한 DRX 동작 전에 디폴트 PWFC를 UE에 구성할 수 있다. UE가 임의의 추가적 PWSC를 수신하지 못할 때, UE는 디폴트 PWFC를 적용한다.
사례 3: 제어 채널 모니터링
사례 3은 단일 스테이지 또는 2 스테이지 DRX 구성들을 위해 UE의 DRX ON 사이클들 동안 UE에 의한 GC-PDCCH 및/또는 PDCCH 모니터링의 구현들을 포함한다. 사례 3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gNB)은, 하나 이상의 DRX ON 사이클 내에서, UE가 모든 GC-PDCCH들 및/또는 PDCCH들, 단지 하나 이상의 GC-PDCCH 및/또는 PDCCH 내에서의 구성된 GC-PDCCH CORESET(들) 및/또는 PDCCH CORESET(들), 또는 단지 특정 GC-PDCCH 및/또는 PDCCH 경우(들)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낸다. GC-PDCCH/PDCCH 경우는 GC-PDCCH/PDCCH가 발생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예를 들어, 영역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이 수 개의 슬롯을 포함하므로,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 수 개의 GC-PDCCH 및/또는 PDCCH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PDCCH 경우 모니터링 표시를 위한 몇 가지 구현이 있다.
사례 3.1에서,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GC-PDCCH를 통해 PDCCH 경우를 UE에 표시한다. 기지국은, UE가 모든 GC-PDCCH 및/또는 PDCCH 경우들; 단지 하나 이상의 GC-PDCCH 및/또는 PDCCH 내에서의 구성된 GC-PDCCH CORESET(들) 및/또는 PDCCH CORESET(들); 또는 단지 DRX ON 사이클, 다중의 DRX ON 사이클, 각각의 DRX ON 사이클, 또는 특정한 시간 기간 동안 특정 GC-PDCCH 및/또는 PDCCH 경우(들)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사례 3.2에서, 기지국은 PDCCH(들)를 통해 PDCCH 경우를 UE에 나타낸다. 기지국은 UE가 모든 PDCCH 경우들; 단지 하나 이상의 PDCCH 내에서의 구성된 PDCCH CORESET들; 또는 단지 특정 PDCCH 경우(들)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를 하나 이상의 DRX ON 사이클 내에 (또는 각각의 DRX ON 사이클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레거시 LTE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UE는 DRX 동작들을 위해 그의 ON 사이클(들)의 전체 지속기간 동안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된다.
본 출원의 구현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 이상의 CORESET 구성을 UE에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CORESET 구성 내에서, 기지국은 블라인드 디코딩 오버헤드를 회피하도록 GC-PDCCH 및/또는 PDCCH 모니터링을 위해 GC-PDCCH 및/또는 PDCCH의 특정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들을 UE에 할당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도 6의 도면(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GC-PDCCH 또는 PDCCH)의 나머지 부분들의 모니터링은 UE에 의해 스킵될 수 있다.
사례 4: RTT Timer 길이 구성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RTT Timer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UE가 ON 사이클 동안에 발생한 데이터 디코딩 에러를 갖는다면, UE는 RTT Timer를 셋업한다. RTT Timer가 만료하기 전에, UE는, 어떤 다른 추가적인 데이터 송신도 필요하지 않을 때, 구성된 대로 그것의 DRX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UE가 ON 사이클이 만료될 때 ON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RTT Timer 길이는 재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왕복 시간을 나타낸다. (e)LTE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UE가 UL/DL 스위칭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데이터 송신에 대한 타이밍 스케일링이 1ms 서브프레임(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 기초를 가지므로 RTT Timer는 고정된 길이(예를 들어, 8ms)를 갖는다. 그러나,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TTI 길이가 더 이상 1ms의 정수배가 아니므로, 기지국과 UE 사이의 데이터 송신은 상이한 TTI 길이들을 갖는 무선 자원들을 통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들에 따르면, TTI는 슬롯 또는 미니 슬롯의 시간 유닛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UE는 더 높은 레벨의 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각각의 UE에 대해, RTT Timer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E에 대해, 각각의 데이터 재송신에 대한 RTT Timer의 길이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음의 구현들은 차세대(예를 들어, 5G NR)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RTT Timer의 카운팅 및 유지를 수반한다.
사례 4.1에서, UE가 네트워크에 소속될 때, UE는 그의 능력을 네트워크에 보고할 필요가 있다. UE의 능력 보고 동안, UE는 얼마나 빨리 UE가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디코딩을 완료하고 대응하는 확인응답(ACK/NACK)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그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포함한다. 보고는 능력의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들에 기초할 수 있다. UE의 보고에 기초하여, RTT Timer는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정보를 위해, 데이터 처리 능력은 기지국에 의해 고지되는 정확한 시간 길이(지속기간), 심볼들의 수, 슬롯들의 수, 서브프레임들의 수, 또는 참조 TTI 길이의 수에 기초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되고 및/또는 브로드캐스팅되는 매핑 테이블에 따라 그것의 데이터 처리 능력 레벨(들)을 단순히 보고할 수 있다. 매핑 테이블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또는 상기와 같은 유닛(들) 리스트)을 여러 레벨들로 카테고리화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UE는 실질적으로 제로 또는 제로 대기 시간이 URLLC 서비스들에 대한 그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사례 4.2에서, 각각의 데이터 송신 및 각각의 UE에 대한 RTT Timer의 길이에 대한 적절한 구성들을 갖기 위해,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대응하는 무선 자원의 TTI 길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각각의 스케줄링된 무선 자원의 TTI 길이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에 대한 RTT Timer의 길이는 그에 따라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이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또는 주기적으로 RTT Timer의 길이를 조정하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도 1에 도시된 물리 제어 채널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슬롯 포맷 관련 정보는 UE에 의해 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 그리고 대응하는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GC-PDCCH에 포함될 수 있다. GC-PDCCH 또는 PDCCH 내에서, 기지국은 UE에 대한 RTT Timer의 길이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RTT Timer의 길이는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이전 서브 섹션에서 도입된) UE의 능력,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그리고 장래의 재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TTI 길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몇몇 구성 절차들이다.
사례 4.2.A에서, 하나의 구성 절차에서,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기지국은 L1/L2 스케줄링 정보 내의 인덱스/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 및 수신된 인덱스/시퀀스에 기초하여, UE는 RTT Timer 길이가 얼마나 긴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표시되는 RTT Timer의 길이는 시간의 정확한 값 또는 TTI들,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수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TTI들/슬롯들/심볼들의 경우에, UE는 RTT Timer의 정확한 길이를 알아내기 위해 GC-PDCCH 또는 PDCCH에서 SFI 또는 일부 관련 무선 자원 포맷 표시를 더 참조할 수 있다.
사례 4.2.B에서, 또 다른 구성 절차에서, 사례 4.2.A와 유사하게, 차이점은 인덱스/시퀀스, 정확한 값, 및/또는 TTI들/슬롯들/심볼들의 수가 각각의 UE에 독립적으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대응하는 매핑 테이블들, SFI, 및/또는 관련 무선 자원 포맷 표시들이 또한 참조를 위해 필요하다.
사례 4.2.C에서, 또 다른 구성 절차에서, 기지국은 RTT Timer의 길이의 몇몇 레벨들을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L1/L2 스케줄링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대해 레벨들을 단지 표시한다.
기지국에 의해 표시된 RTT Timer의 길이는 전체 HARQ 프로세스(동일 데이터의 추가 재송신)에 대해 재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기지국은 각각의 재송신에 대해 RTT Timer의 길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도 8a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라, DRX 동작을 위한 UE에 의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800A)이다. 본 구현에서, 흐름도(800A)는 액션들(802 및 804)을 포함한다. 액션(802)에서, UE는, 그의 수신 회로를 사용하여,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는데,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액션(804)에서, UE는, 그의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수신하는데,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밀리초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유닛의 제1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고정되고,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스케일링가능하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의 결정은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DRX 파라미터는 표 1에 도시된 PWFC 또는 PWFT와 같은 FTU를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표 1에 도시된 PWSC 또는 PWST와 같은 STU를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가 스케일링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DRX 파라미터가 DRX 동작의 ON 사이클 동안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UE는 DRX 동작의 이전 ON 사이클 동안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제2 DRX 파라미터를 적용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PDCCH 또는 GC-PDCCH를 통해 UE에 의해 수신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PDCCH 또는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DRX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 UE에 의해 수신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UE는 제2 DRX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들, 또는 BWP들을 모니터링한다.
도 8b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라 DRX 동작을 위한 기지국에 의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800B)이다. 본 구현에서, 흐름도(800B)는 액션들(822 및 824)을 포함한다. 액션(822)에서, 기지국은, 그의 송신 회로를 사용하여,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제공하는데,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액션(824)에서, 기지국은, 그의 송신 회로를 사용하여,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RRC 구성을 제공하는데,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밀리초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고,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유닛의 제1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고정되고,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스케일링가능하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의 결정은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DRX 파라미터는 표 1에 도시된 PWFC 또는 PWFT와 같은 FTU를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표 1에 도시된 PWSC 또는 PWST와 같은 STU를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가 스케일링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PDCCH 또는 GC-PDCCH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유닛의 제2 시간 길이(지속기간)는 PDCCH 또는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DRX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들, 또는 BWP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DRX 파라미터는 기지국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재구성가능하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노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900)는 송수신기(920), 프로세서(926), 메모리(928), 하나 이상의 프레젠테이션 컴포넌트(934),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936)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900)는 RF 스펙트럼 대역 모듈, 기지국 통신 모듈, 네트워크 통신 모듈, 및 시스템 통신 관리 모듈, 입력/출력(I/O) 포트들, I/O 컴포넌트들, 및 전원(도 9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버스(940)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노드(90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UE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송신기(또는 송신 회로)(922) 및 수신기(또는 수신 회로)(924)를 갖는 송수신기(920)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파티셔닝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송수신기(920)는 이용가능한, 비-이용가능한, 및 신축적으로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및 슬롯 포맷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상이한 유형들의 서브프레임들 및 슬롯들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920)는 데이터 및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드(900)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노드(9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들,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들 양자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들(digital versatile disks, DVD)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전파된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신 매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서의 다른 데이터를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들을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것과 같은 그러한 방식으로 설정 또는 변경된 그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메모리(928)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인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8)는 착탈식, 비착탈식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인 메모리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solid-state memory), 하드 드라이브(hard drive),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disc drive), 및 등등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928)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926)로 하여금,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932)(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명령어들(932)은 프로세서(926)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노드(900)로 하여금(예를 들어, 컴파일링되고 실행될 때)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926)는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컨트롤러, ASIC,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26)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26)는 메모리(928)로부터 수신된 데이터(930) 및 명령어들(932), 및 송수신기(920), 기저대역 통신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통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926)는 안테나(936)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수신기(920)에, 코어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해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송신될 정보를 또한 처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레젠테이션 컴포넌트들(934)은 데이터 표시들을 사람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제시한다. 예시적인 프레젠테이션 컴포넌트들(934)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스피커, 인쇄 컴포넌트, 진동 컴포넌트, 및 등등을 포함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에서 설명된 개념들을 그 개념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욱이, 개념들이 특정한 구현들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 개념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에 있어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설명된 구현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구현들로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재배열들, 수정들, 및 대체들이 가능하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9)

  1. 불연속적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방법으로서,
    상기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상기 UE의 수신 회로에 의해,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함 -; 및
    상기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밀리초 단위를 갖고, 상기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가 상기 DRX 동작의 ON 사이클 동안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UE는 상기 DRX 동작의 이전 ON 사이클 동안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제2 DRX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GC(group common)-PDCCH를 통해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상기 PDCCH 또는 상기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는 상기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상기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 또는 BWP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11.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로서,
    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회로는,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을 수신하고 -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RRC 구성을 수신하고 -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함 -;
    상기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은 밀리초 또는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고, 상기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 UE.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UE.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되는 UE.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하는 UE.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가 상기 DRX 동작의 ON 사이클 동안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UE는 상기 DRX 동작의 이전 ON 사이클 동안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제2 DRX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UE.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GC(group common)-PDCCH를 통해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상기 PDCCH 또는 상기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하는 UE.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는 상기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상기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상기 UE에 의해 수신되는 UE.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 또는 BWP를 모니터링하는 UE.
  20. 기지국에 의해 불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의 송신 회로에 의해,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1 유닛을 갖는 제1 DRX 파라미터를 구성함 -;
    상기 기지국의 송신 회로에 의해,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RRC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구성은 제2 유닛을 갖는 제2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제1 지속기간은 고정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스케일링가능함 -; 및
    상기 제2 DRX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대역폭 부분(BWP)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밀리초 단위를 갖고, 상기 제2 유닛은 슬롯 또는 심볼 단위를 갖는 방법.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각각의 구성된 BWP에 대한 미리 구성된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및 BWP 표시자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스케일링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서브밀리초 단위를 갖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DRX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drx-onDurationTimer, drx-ShortCycle, drx-LongCycleStartOffset,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 drx-RetransmissionTimerD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UL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GC(group common)-PD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제2 지속기간은 상기 PDCCH 또는 상기 GC-PDCCH에서의 무선 자원 포맷 표시 또는 슬롯/심볼 포맷 정보(SFI)에 추가로 기초하는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파라미터는 상기 DRX 동작의 ON/OFF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재구성가능하고, 상기 DRX 동작의 하나 이상의 ON 사이클 동안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서브 대역, 또는 BWP에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방법.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X 파라미터는 주기적으로 또는 각각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재구성가능한 방법.
KR1020207003463A 2017-08-11 2018-08-10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257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4181P 2017-08-11 2017-08-11
US62/544,181 2017-08-11
PCT/CN2018/099893 WO2019029682A1 (en) 2017-08-11 2018-08-10 DEVICES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NEW RADI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534A KR20200021534A (ko) 2020-02-28
KR102257144B1 true KR102257144B1 (ko) 2021-05-26

Family

ID=6527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463A KR102257144B1 (ko) 2017-08-11 2018-08-10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531385B2 (ko)
EP (1) EP3665965A4 (ko)
JP (1) JP6938809B2 (ko)
KR (1) KR102257144B1 (ko)
CN (1) CN110999413B (ko)
MX (1) MX2020001526A (ko)
WO (1) WO2019029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04302A2 (pt) * 2017-09-07 2020-09-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recepção descontínua, dispositivo terminal e dispositivo de rede
US11115156B2 (en) * 2017-11-22 2021-09-07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s among multiple bandwidth parts
US10834717B2 (en) * 2018-03-16 2020-11-10 Intel Corporation Interrupted transmission indication for new radio (NR)
US11082154B2 (en) * 2018-05-09 2021-08-03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monitors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CN110839248B (zh) * 2018-08-17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方法及设备
CN110876188B (zh) * 2018-08-31 2020-09-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设备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
KR20210081331A (ko) * 2018-09-26 2021-07-01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버스트 송신 방법 및 장치
RU2770462C1 (ru) 2018-09-26 2022-04-18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ейшн Оф Америка Сигнал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и разработка процедуры
CN109496453B (zh) * 2018-10-17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时器调整方法及装置
WO2020077629A1 (zh) * 2018-10-19 2020-04-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非连续接收配置方法及装置
CN109983822B (zh) * 2019-02-18 2023-06-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Drx定时器的运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229022B2 (en) * 2019-03-2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ation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ssignment in power saving mode
CN111436165B (zh) * 2019-03-27 2022-06-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配置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1756499A (zh) * 2019-03-29 2020-10-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调整带宽部分计时器的方法、终端以及存储介质
CN112312526A (zh) * 2019-08-01 2021-02-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装置到装置通信监测功率节省的方法和设备
CN111836408B (zh) * 2019-08-28 2022-09-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模式切换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2543442B (zh) * 2019-09-20 2022-08-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续接收参数配置方法及设备
EP4075917A4 (en) * 2019-12-13 2023-05-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RX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PROCESSING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DEVICE
US20210195579A1 (en) * 2019-12-23 2021-06-24 Qualcomm Incorporated Pdcch monitoring reduction for reduced-capability user equipments
EP4115676A4 (en) * 2020-03-17 2023-10-18 MediaTek Inc METHOD FOR ADJUSTING MONITORING OF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N 5G NEW RADIO (NR)
CN113543235A (zh) * 2020-04-14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Drx模式的确定方法及通信装置
WO2022088013A1 (en) * 2020-10-30 2022-05-05 Qualcomm Incorporated Non-periodic session schedul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s
WO2022140977A1 (zh) * 2020-12-28 2022-07-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drx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24090188A1 (ja) * 2022-10-26 2024-05-0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2881A (zh) * 2011-08-10 2013-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方法及系统
WO2016197366A1 (zh) * 2015-06-11 2016-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rx实现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510A (ja) * 2005-05-11 2006-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CN101483891B (zh) * 2008-01-08 2012-12-05 株式会社Ntt都科摩 对用户设备设置激活期起始点的方法及装置
CN101562889B (zh) * 2008-04-16 2011-04-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调度下行通信资源的方法及基站设备
KR20120028367A (ko) * 2009-06-15 2012-03-2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 캐리어 집적을 위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시스템
CN102118768A (zh) * 2010-01-04 2011-07-0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载波聚合系统中控制载波通信状态的方法及装置
CN102932882B (zh) 2011-08-10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方法及系统
US20130301501A1 (en) * 2012-05-09 2013-1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mtc long drx cycle/sleep lengths
CN104604157B (zh) * 2012-07-09 2017-10-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非连续接收操作上的上行链路传输的方法和设备
US9578675B2 (en) * 2012-07-11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0993A1 (en) 2012-07-12 2014-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yc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833833B (zh) * 2012-08-27 2015-02-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Drx周期配置方法、设备及系统
US10237882B2 (en) * 2013-06-26 2019-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WO2015182742A1 (ja) * 2014-05-30 2015-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70135150A1 (en) * 2014-07-01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drx configuration
US10455503B2 (en) * 2014-10-21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967838B2 (en) * 2014-11-21 2018-05-08 Apple Inc. Network synchronization for system configuration exchanges
JP6401854B2 (ja) * 2015-03-03 2018-10-1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方法、無線端末及びプロセッサ
KR20180005671A (ko) * 2015-05-15 2018-01-1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WO2017078299A1 (en) * 2015-11-06 2017-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of drx timers for multiple repeti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7115109A1 (en) * 2015-12-29 2017-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stage reception monitoring
WO2017184850A1 (en) *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Physical channels in new radio
EP3473053A1 (en) * 2016-06-17 2019-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ft discontinuous reception (soft drx)
US10602567B2 (en) * 2016-08-12 2020-03-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for a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and processing time
JP6840857B2 (ja) * 2017-03-23 2021-03-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下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ユーザ機器
US11122612B2 (en) * 2017-06-15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al channel mapping to grant fre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2881A (zh) * 2011-08-10 2013-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方法及系统
WO2016197366A1 (zh) * 2015-06-11 2016-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rx实现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8809B2 (ja) 2021-09-22
US11096122B2 (en) 2021-08-17
KR20200021534A (ko) 2020-02-28
US10531385B2 (en) 2020-01-07
US20190053159A1 (en) 2019-02-14
EP3665965A1 (en) 2020-06-17
CN110999413B (zh) 2023-06-23
CN110999413A (zh) 2020-04-10
JP2020527917A (ja) 2020-09-10
US20200077337A1 (en) 2020-03-05
EP3665965A4 (en) 2021-05-05
WO2019029682A1 (en) 2019-02-14
MX2020001526A (es)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144B1 (ko) 새로운 무선에서의 불연속적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11764906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s among multiple bandwidth parts
US1193733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707925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针对机器型通信用户设备的寻呼的方法和设备
US20210368479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source selection approach adaptation
WO2020224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panel control
WO2021233392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US11800523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onfiguring PUCCH resources
WO2022083770A1 (en) Method of monitor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rel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