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671A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671A
KR20180005671A KR1020177033835A KR20177033835A KR20180005671A KR 20180005671 A KR20180005671 A KR 20180005671A KR 1020177033835 A KR1020177033835 A KR 1020177033835A KR 20177033835 A KR20177033835 A KR 20177033835A KR 20180005671 A KR20180005671 A KR 2018000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dcch
subframe
cell
downlink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유끼 시메자와
나오끼 구사시마
쇼이찌 스즈끼
알바로 루이즈 델가도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UE)이며,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효율적인 통신을 실현하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표준화 프로젝트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통신 방식이나 리소스 블록이라고 불리는 소정의 주파수·시간 단위의 유연한 스케줄링의 채용에 의해, 고속의 통신을 실현시킨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이후, E-UTRA라고 칭함)의 표준화가 행하여졌다.
또한, 3GPP에서는,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고, E-UTRA에 대하여 호환성의 향상을 갖는 Advanced E-UTRA의 검토를 행하고 있다. E-UTRA에서는, 기지국 장치가 거의 동일한 셀 구성(셀 사이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통신 시스템이었지만, Advanced E-UTRA에서는, 서로 다른 구성의 기지국 장치(셀)이 동일한 에어리어에 혼재하고 있는 네트워크(이종 무선 네트워크,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를 전제로 한 통신 시스템의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E-UTRA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도 불리며, Advanced E-UTRA는 LTE-Advanced라고도 불린다. 또한, LTE는, LTE-Advanced를 포함한 총칭으로 할 수도 있다.
이종 네트워크와 같이, 셀 반경이 큰 셀(매크로셀)과, 셀 반경이 매크로 셀보다도 작은 셀(소 셀, 스몰 셀)이 배치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매크로 셀과 스몰 셀에 동시에 접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기술 및 듀얼 커넥티비티(DC) 기술이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한편, 비특허문헌 2에서, 라이선스 보조 액세스(LAA; Licensed-Assisted Access)가 검토되어 있다. LAA에서는, 예를 들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 이용하고 있는 비할당 주파수 대역(Unlicensed spectrum)이 LTE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비할당 주파수 대역이 세컨더리 셀(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로서 설정된다. LAA로서 사용되고 있는 세컨더리 셀은, 할당 주파수 대역(Licensed spectrum)에서 설정되는 프라이머리 셀(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의해, 접속, 통신 및/또는 설정에 대해서 어시스트된다. LAA에 의해, LTE에서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대역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LAA는, 소정의 오퍼레이터간에서 공유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shared spectrum)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무선 통신에서의 지연(레이턴시)은, 안전·안심을 목적으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LAA를 사용하는 LTE 및 종래의 할당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LTE도 포함하는 LTE에서도, 그 지연을 더욱 삭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Release 12), 3GPP TS 36.213 V 12.4.0(2014-12). RP-141664, Ericsson, Qualcomm, Huawei, Alcatel-Lucent, "Study on Licensed-Assisted Access using LTE," 3GPP TSG RAN Meeting #65, September 2014.
LAA에서는, 비할당 주파수 대역 또는 공유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 그 주파수 대역은 다른 시스템 및/또는 다른 오퍼레이터와 공유하게 된다. 그러나, LTE는, 할당 주파수 대역 또는 비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할당 주파수 대역 또는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종래의 LTE를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LAA를 사용하는 LTE 및 종래의 할당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LTE도 포함하는 LTE에 있어서, 무선 통신에서의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할당 주파수 대역, 비할당 주파수 대역 또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셀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UE)이며,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서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UE)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서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UE)의 통신 방법이며,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서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UE)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서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2)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1개의 RB 페어에서의 EREG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제1 부분 서브 프레임에 사용되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부분 서브 프레임에 사용되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기지국, 노드 B, eNB(eNodeB))와 단말 장치(단말, 이동국, 유저 장치, UE(User equipment))가, 셀에서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셀룰러 시스템)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하향 링크에 관한 설명은, 노멀 셀에서의 하향 링크 및 LAA 셀에서의 하향 링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명은, 노멀 셀에서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LAA 셀에서의 풀 서브 프레임 및 LAA 셀에서의 부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EUTRA 및 Advanced EUTRA에서 사용되는 주된 물리 채널, 및 물리 시그널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채널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매체를 의미하고, 물리 채널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매체를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물리 채널은 신호와 동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채널은, EUTRA 및 Advanced EUTRA에 있어서, 이후 추가, 또는 그 구조나 포맷 형식이 변경 또는 추가될 가능성이 있는데, 변경 또는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EUTRA 및 Advanced EUTRA에서는, 물리 채널 또는 물리 시그널의 스케줄링에 대해서 무선 프레임을 사용해서 관리하고 있다. 1 무선 프레임은 10ms이며, 1 무선 프레임은 10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1 서브 프레임은 2 슬롯을 포함한다(즉, 1 서브 프레임은 1ms, 1 슬롯은 0.5ms임). 또한, 물리 채널이 배치되는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로서 리소스 블록을 사용해서 관리하고 있다. 리소스 블록이란, 주파수 축을 복수 서브 캐리어(예를 들어 12 서브 캐리어)의 집합을 포함하는 일정한 주파수 영역과, 일정한 송신 시간 간격(1 슬롯)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하향 링크는 OFDM 액세스 방식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에서는, PDCCH, EPDCCH,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등이 할당된다. 하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은, 하향 링크의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 페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하향 링크의 RB 페어는, 하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 등의 단위이며, 미리 정해진 폭의 주파수대(RB 대역폭) 및 시간대(2개의 슬롯=1개의 서브 프레임)를 포함한다. 1개의 하향 링크의 RB 페어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하는 2개의 하향 링크의 RB(RB 대역폭×슬롯)를 포함한다. 1개의 하향 링크의 RB는,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 영역에서는, 통상의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경우에는 7개, 통상보다도 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경우에는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주파수 영역에서 1개의 서브 캐리어, 시간 영역에서 1개의 OFDM 심볼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라고 칭한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단말 장치 식별자,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변조 방식, 부호화율, 재송 파라미터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나의 요소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에서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기재하고 있지만, CC마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규정되고,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CC간에서 거의 동기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는, 동기 시그널(Synchronization Signals)이나 물리 통지 정보 채널이나 하향 링크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가 배치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는, PDCCH와 동일한 송신 포트로 송신되는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S),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측정에 사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일부의 PDSCH와 동일한 송신 포트로 송신되는 단말 고유 참조 신호(URS: UE-specific RS), EPDCCH와 동일한 송신 포트로 송신되는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S) 등이 있다. 또한, CRS가 배치되지 않는 캐리어이어도 된다. 이때 일부의 서브 프레임(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 중의 1번째와 6번째의 서브 프레임)에,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트래킹용 신호로서, CRS의 일부의 송신 포트(예를 들어 송신 포트 0만) 또는 전부의 송신 포트에 대응하는 신호와 마찬가지의 신호(확장 동기 시그널이라 칭함)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PDSCH와 동일한 송신 포트로 송신되는 단말 고유 참조 신호는, PDSCH에 관련지어지는 단말 고유 참조 신호 또는 DMRS라고도 불린다. 또한, EPDCCH와 동일한 송신 포트로 송신되는 복조용 참조 신호는,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라고도 불린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는, 검출 신호(DS: Discovery Signal)가 배치되어도 된다.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설정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DMTC(Discovery signal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가 셋업(설정)된다. DMTC Occasion은 6밀리 초이며, 연속하는 6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그 단말은, DMTC Occasion 외의 서브 프레임에 DS가 송신되지 않는다고 상정한다.
어떤 셀에 있어서, DS(DS Occasion)는, 연속하는 소정수의 서브 프레임의 시간 기간(DS 기간)을 포함한다. 그 소정수는, FDD(Frame structure type1)에 있어서 1 내지 5이며, TDD(Frame structure type 2)에 있어서 2 내지 5이다. 그 소정수는,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DS 기간 또는 그 설정은, DMTC(Discovery signal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라고도 불린다. 단말은, 그 DS가,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미터 dmtc-Periodicity로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마다 송신(맵핑, 발생)하고 있다고 상정한다. 또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단말은 이하의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S의 존재를 상정한다.
(1) 그 DS 기간에서의 모든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과 모든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DwPTS 내의, 안테나 포트 0의 CRS.
(2) FDD에 있어서, 그 DS 기간의 최초의 서브 프레임 내의 PSS. TDD에 있어서, 그 DS 기간의 2번째의 서브 프레임 내의 PSS.
(3) 그 DS 기간의 최초의 서브 프레임 내의 SSS.
(4) 그 DS 기간의 제로 개 이상의 서브 프레임 내의 비제로 전력 CSI-RS. 그 비제로 전력 CSI-RS는 RRS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다.
단말은, 설정된 DS에 기초하여 측정을 행한다. 그 측정은, DS에서의 CRS, 또는 DS에서의 비제로 전력 CSI-RS를 사용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DS에 관한 설정에 있어서, 복수의 비제로 전력 CSI-RS를 설정할 수 있다.
LAA 셀에서의 DS 및 DMTC는, FDD에서의 DS 및 DMTC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A 셀에 있어서, DS 기간은, FDD와 마찬가지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이며, 그 DS 기간의 최초의 서브 프레임 내에 PSS가 존재한다. 또한, LAA 셀에서의 DS는, 노멀 셀에서의 DS와 상이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LAA 셀에서의 DS는, CRS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LAA 셀에서의 DS는, 주파수 방향으로 시프트할 수 있는 PSS 및 SSS를 포함한다.
또한, LAA 셀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이, DS Occasion 내의 서브 프레임 또는 DMTC Occasion 내의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할 수 있다. 그 제어 정보는, LAA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제어 정보는, 그 LAA 셀에서의 주파수, 부하, 혼잡도, 간섭, 송신 전력, 채널의 전유 시간, 및/또는 송신 데이터에 관한 버퍼의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은, DS Occasion 내의 DMRS로 복조 또는 검출할 수 있다. 즉,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은, DS Occasion 내의 DM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DS Occasion 내의 DMRS는,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지는 DMRS(복조 참조 신호)이며, PDSCH 또는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은, PDSCH 또는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과는 상이하게 생성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은, 슬롯 번호(서브 프레임 번호),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을 초기값으로 해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PDS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는 셀 식별자(셀 ID) 또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제2 파라미터는 DCI에 의해 부여되는 0 또는 1이다. 또한, 제2 파라미터는 DCI에 의해 부여되지 않을 경우, 0으로 고정된다.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는 EPDCCH 세트마다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제2 파라미터는 2로 고정된다.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그 LAA 셀의 셀 식별자, 또는 DS Occasion 내의 비제로 전력 CSI-RS에 대응하는 셀 식별자이다.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 있어서, 제2 파라미터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되는 값 또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다. 제2 파라미터가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경우, PDSCH 또는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서 사용되는 제2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0,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값, 또는 PDSCH 또는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서 사용되는 제2 파라미터와 상이한 값(예를 들어, 3)이다. 제2 파라미터가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제2 파라미터는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에 고유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은, DS Occasion 내의 CRS로 복조 또는 검출할 수 있다. 즉,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은, DS Occasion 내의 C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또한, DS Occasion 내의 C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은, 그 제어 신호 및/또는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지는 DMRS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계열에서 설명한 제1 파라미터 및/또는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향 링크는 SC-FDMA 방식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에서는,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PUCCH 등이 할당된다. 또한, PUSCH이나 PUCCH의 일부에, 상향 링크 참조 신호(상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가 할당된다. 상향 링크의 무선 프레임은, 상향 링크의 RB 페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상향 링크의 RB 페어는, 상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 등의 단위이며, 미리 정해진된 폭의 주파수대(RB 대역폭) 및 시간대(2개의 슬롯=1개의 서브 프레임)를 포함한다. 1개의 상향 링크의 RB 페어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하는 2개의 상향 링크의 RB(RB 대역폭×슬롯)를 포함한다. 1개의 상향 링크의 RB는,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한다. 시간 영역에서는, 통상의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경우에는 7개, 통상보다도 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경우에는 6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나의 CC에서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기재하고 있지만, CC마다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규정된다.
동기 시그널은, 3종류의 프라이머리 동기 시그널과, 주파수 영역에서 엇갈리게 배치되는 31종의 부호를 포함하는 세컨더리 동기 시그널을 포함하고, 프라이머리 동기 시그널과 세컨더리 동기 시그널의 신호 조합에 따라, 기지국 장치를 식별하는 504가지의 셀 식별자(물리 셀 ID(Physical Cell Identity; PCI))와, 무선 동기를 위한 프레임 타이밍이 나타내어진다. 단말 장치는, 셀 서치에 의해 수신한 동기 시그널의 물리 셀 ID를 특정한다.
물리 통지 정보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은, 셀 내의 단말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어 파라미터(통지 정보(시스템 정보); System information)를 통지(설정)할 목적으로 송신된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서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가 셀 내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통지되고, 물리 통지 정보 채널에서 통지되지 않는 통지 정보는, 통지된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의해 통지 정보를 통지하는 레이어 3 메시지(시스템 인포메이션)가 송신된다.
통지 정보로서, 셀 개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셀 글로벌 식별자(CGI; Cell Global Identifier), 페이징에 의한 대기 에어리어를 관리하는 트래킹 에어리어 식별자(TAI; Tracking Area Identifier), 랜덤 액세스 설정 정보(송신 타이밍 타이머 등), 당해 셀에서의 공통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 주변 셀 정보, 상향 링크 액세스 제한 정보 등이 통지된다.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은, 그 용도에 따라 복수의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셀 고유 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는, 셀마다 소정의 전력으로 송신되는 파일럿 시그널이며,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이다. 단말 장치는, 셀 고유 RS를 수신함으로써 셀마다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셀 고유 RS와 동시에 송신되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의 복조를 위한 참조용 신호로서도 셀 고유 RS를 사용한다. 셀 고유 RS에 사용되는 계열은, 셀마다 식별 가능한 계열이 사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은 하향 링크의 전파로 변동의 추정에도 사용된다. 전파로 변동의 추정에 사용되는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을 채널 상태 정보 레퍼런스 시그널(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CSI-RS)이라고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되는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은, UE specific Reference Signals(U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또는 Dedicated RS(DRS)라고 칭해지며, 확장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복조할 때의 채널의 전파로 보상 처리를 위해서 참조된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각 서브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몇 가지의 OFDM 심볼(예를 들어 1 내지 4 OFDM 심볼)에서 송신된다. 확장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PDSCH)이 배치되는 OFDM 심볼에 배치되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이다. PDCCH 또는 EPDCCH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의 스케줄링에 따른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나, 송신 전력의 증감의 조정량을 지시하는 정보를 통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간단히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이라고 기재했을 경우, 특별히 명기가 없으면, PDCCH와 EPDCCH의 양쪽의 물리 채널을 의미한다.
단말 장치는, 하향 링크 데이터나 상위층 제어 정보인 레이어 2 메시지 및 레이어 3 메시지(페이징, 핸드 오버 커맨드 등)를 송수신하기 전에, 자장치앞으로의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모니터)하고, 자장치앞으로의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송신 시에는 상향 링크 그랜트, 수신 시에는 하향 링크 그랜트(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 불리는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를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상술한 OFDM 심볼에서 송신되는 것 이외에,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대하여 개별(dedicated)로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영역에서 송신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서 송신된 하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확인 응답(HARQ-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ement 또는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이나 하향 링크의 전파로(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상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무선 리소스 요구,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SI는, 수신 품질 지표(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표(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프리코딩 타입 지표(PTI: Precoding Type Indicator), 랭크 지표(RI: Rank Indicator)를 포함하고, 각각 적합한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 적합한 PMI의 타입, 적합한 랭크를 지정하기(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각 Indicator는, Indication이라고 표기되어도 된다. 또한, CQI 및 PMI에는, 1개의 셀 내의 모든 리소스 블록을 사용한 송신을 상정한 와이드 밴드 CQI 및 PMI와, 1개의 셀 내의 일부가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서브 밴드)을 사용한 송신을 상정한 서브 밴드 CQI 및 PMI로 분류된다. 또한, PMI는, 1개의 PMI로 1개의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을 표현하는 통상의 타입의 PMI 이외에, 제1 PMI와 제2 PMI의 2종류의 PMI를 사용해서 1개의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을 표현하는 타입의 PMI가 존재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하향 링크 데이터 외에, 페이징이나 물리 통지 정보 채널에서 통지되지 않는 통지 정보(시스템 인포메이션)를 레이어 3 메시지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의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서 나타내어진다.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OFDM 심볼 이외의 OFDM 심볼에 배치되어 송신된다. 즉,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1 서브 프레임 내에서 시분할 다중되어 있다.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주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CSI나 ACK/NACK 등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 외에, 상위층 제어 정보인 레이어 2 메시지 및 레이어 3 메시지를 단말 장치로부터 기지국 장치에 통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와 마찬가지로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의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서 나타내어진다.
상향 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상향 링크 참조 신호; Uplink Reference Signal, 상향 링크 파일럿 신호, 상향 링크 파일럿 채널이라고도 불림)은, 기지국 장치가,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및/또는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PUSCH)을 복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기지국 장치가, 주로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다. 또한, 사운딩 참조 신호에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Periodic SRS)와,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시되었을 때 송신되는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Aperiodic SRS)가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은, 프리앰블 계열을 통지(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채널이며, 가드 타임을 갖는다. 프리앰블 계열은, 복수의 시퀀스에 의해 기지국 장치에 정보를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64종류의 시퀀스가 준비되어 있을 경우, 6비트의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나타낼 수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은, 단말 장치의 기지국 장치에의 액세스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SR에 대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미설정 시의 상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 요구를 위해서, 또는,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기지국 장치의 수신 타이밍 윈도우에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송신 타이밍 조정 정보(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커맨드라고도 불림)를 기지국 장치에 요구 등을 하기 위해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사용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해서 랜덤 액세스 수순의 개시를 요구할 수도 있다.
레이어 3 메시지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의 RRC(무선 리소스 제어)층에서 주고받는 제어 평면(CP(Control-plane, C-Plane))의 프로토콜로 취급되는 메시지이며, RRC 시그널링 또는 RRC 메시지와 동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평면에 대하여, 유저 데이터(상향 링크 데이터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취급하는 프로토콜을 유저 평면(UP(User-plane, U-Plane))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물리층에서의 송신 데이터인 트랜스포트 블록은, 상위층에서의 C-Plane의 메시지와 U-Plane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그 이외의 물리 채널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각 주파수의 통신 가능 범위(통신 에어리어)는 셀로서 간주된다. 이때,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통신 에어리어는 주파수마다 각각 상이한 넓이,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커버하는 에어리어가 주파수마다 상이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의 종별이나 셀 반경의 크기가 상이한 셀이, 동일한 주파수 및/또는 상이한 주파수의 에어리어에 혼재해서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종 네트워크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는, 셀 내를 통신 에어리어로 간주해서 동작한다. 단말 장치가, 어떤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는, 비무선 접속 시(비통신 중)에는 셀 재선택 수순, 무선 접속 시(통신 중)에는 핸드 오버 수순에 의해 다른 적절한 셀로 이동한다. 적절한 셀이란,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의 액세스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금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셀이면서, 또한 하향 링크의 수신 품질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셀을 나타낸다.
또한,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는, 캐리어·애그리게이션에 의해 복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주파수대)의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를 집약(애그리게이트, aggregate)해서 하나의 주파수(주파수 대역)와 같이 취급하는 기술을 적용해도 된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상향 링크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은 동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주파수 대역폭이 20MHz인 컴포넌트 캐리어를 5개 집약했을 경우, 캐리어·애그리게이션이 가능한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는, 이들을 100MHz의 주파수 대역폭이라 간주해서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집약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연속한 주파수이어도, 모두 또는 일부가 불연속이 되는 주파수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밴드가 800MHz대, 2GHz대, 3.5GHz대일 경우,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가 800MHz대, 별도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2GHz대, 또한 별도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3.5GHz대에서 송신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동일 주파수대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집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 장치의 수신 가능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20MHz)보다도 좁은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5MHz나 10MHz)이어도 되고, 집약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상이해도 된다. 주파수 대역폭은, 후방 호환성을 고려해서 종래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 중 어느 하나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셀의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후방 호환성이 없는 컴포넌트 캐리어(캐리어 타입)를 집약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할당하는(설정하는, 추가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와 동일하거나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리소스 요구를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의 설정이 행하여지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당해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셀 고유 접속되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이라 불린다. 또한, 프라이머리 셀 이외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셀은,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이라 불린다. 단말 장치는, 프라이머리 셀에서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통지 정보의 갱신의 검출, 초기 액세스 수순, 보안 정보의 설정 등을 행하는 한편, 세컨더리 셀에서는 이것들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활성화(Activation) 및 불활성화(Deactivation)의 제어가 적용되지 않지만(즉, 반드시 활성화하고 있다고 간주됨), 세컨더리 셀은 활성화 및 불활성화라는 상태(state)를 갖고, 이들 상태의 변경은, 기지국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지정되는 것 이외에,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상태가 변경된다.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을 합쳐서 서빙 셀(재권 셀)이라고 칭한다.
또한, 캐리어·애그리게이션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주파수 대역)를 사용한 복수의 셀에 의한 통신이며, 셀·애그리게이션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단말 장치는, 주파수마다 릴레이국 장치(또는 리피터)를 통해서 기지국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는, 릴레이국 장치로 치환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가 해당 기지국 장치에서 통신 가능한 에어리어인 셀을 주파수마다 관리한다. 1개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을 관리하고 있어도 된다. 셀은,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에어리어의 크기(셀 사이즈)에 따라서 복수의 종별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셀은 매크로 셀과 스몰 셀로 분류된다. 또한, 스몰 셀은, 그 에어리어의 크기에 따라 펨토 셀, 피코 셀, 나노 셀로 분류된다. 또한, 단말 장치가 어떤 기지국 장치와 통신 가능할 때, 그 기지국 장치의 셀 중, 단말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셀은 재권 셀(Serving cell)이며, 그 밖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셀은 주변 셀(Neighboring cell)이라 불린다.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캐리어·애그리게이션이라고도 칭함)에 있어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은, 1개의 프라이머리 셀과 1개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구축 프로시저가 행하여진 서빙 셀, 커넥션 재구축 프로시저를 개시한 서빙 셀, 또는 핸드 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이라고 지시된 셀이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오퍼레이션한다. 커넥션이 (재)구축된 시점, 또는 그 후에 세컨더리 셀이 설정되어도 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오퍼레이션한다. 또한, 커넥션은, RRC 커넥션이라 불려도 된다. CA를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1개의 프라이머리 셀과 1개 이상의 세컨더리 셀로 집약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가 사용된다. LAA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은 할당 주파수가 설정되고(사용되고), 세컨더리 셀 중 적어도 1개는 비할당 주파수가 설정된다. 비할당 주파수가 설정되는 세컨더리 셀은, 할당 주파수가 설정되는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로부터 어시스트된다. 예를 들어, 할당 주파수가 설정되는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은, 비할당 주파수가 설정되는 세컨더리 셀에 대하여 RRC의 시그널링, MAC의 시그널링, 및/또는 PDCCH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 및/또는 제어 정보의 통지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로부터 어시스트되는 셀은 LAA 셀이라고도 불린다. LAA 셀은,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과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집약(어시스트)될 수 있다. 또한, LAA 셀을 어시스트하는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은 어시스트 셀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할당 주파수가 설정되는 셀은 노멀 셀(종래의 셀)이라고도 불리며, 노멀 셀에서의 서브 프레임은 노멀 서브 프레임(종래의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노멀 서브 프레임은,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노멀 서브 프레임은, LAA 셀에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과 구별해서 설명된다.
LAA 셀은,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과 듀얼 커넥티비티에 의해 집약(어시스트)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듀얼 커넥티비티의 기본 구조(아키텍쳐)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2)(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1), 기지국 장치(2-2))와 동시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를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2-1)는 매크로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2-2)는 스몰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2)에 속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해서 동시에 접속하는 것을 듀얼 커넥티비티라고 칭한다. 각 기지국 장치(2)에 속하는 셀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운용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주파수에서 운용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캐리어·애그리게이션은, 복수의 셀을 하나의 기지국 장치(2)가 관리하고, 각 셀의 주파수가 상이하다는 점이 듀얼 커넥티비티와 상이하다. 환언하면, 캐리어·애그리게이션은, 하나의 단말 장치(1)와 하나의 기지국 장치(2)를, 주파수가 상이한 복수의 셀을 통해서 접속시키는 기술인 것에 반해, 듀얼 커넥티비티는, 하나의 단말 장치(1)와 복수의 기지국 장치(2)를, 주파수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복수의 셀을 통해서 접속시키는 기술이다.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2)는, 캐리어·애그리게이션에 적용되는 기술을 듀얼 커넥티비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2)는,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의 할당, 활성화/불활성화 등의 기술을 듀얼 커넥티비티에 의해 접속되는 셀에 대하여 적용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는, MME와 SGW와 백본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MME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대응하는 상위의 제어국 장치이며, 단말 장치(1)의 이동성 관리나 인증 제어(보안 제어) 및 기지국 장치(2)에 대한 유저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 등을 갖는다. SGW는, Serving Gateway(S-GW)에 대응하는 상위의 제어국 장치이며, MME에 의해 설정된 단말 장치(1)에의 유저 데이터의 경로에 따라서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등을 갖는다.
또한,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와 SGW의 접속 경로는, SGW 인터페이스라 불린다. 또한,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와 MME의 접속 경로는, MME 인터페이스라 불린다. 또한, 기지국 장치(2-1)와 기지국 장치(2-2)의 접속 경로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라 불린다. SGW 인터페이스는, EUTRA에서 S1-U 인터페이스라고도 불린다. 또한, MME 인터페이스는, EUTRA에서 S1-MME 인터페이스라고도 불린다. 또한, 기지국 인터페이스는, EUTRA에서 X2 인터페이스라고도 불린다.
듀얼 커넥티비티를 실현하는 아키텍쳐의 일례를 설명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1)와 MME는, 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1)와 SGW는, SGW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1)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기지국 장치(2-2)에 MME, 및/또는 SGW와의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환언하면, 기지국 장치(2-2)는, 기지국 장치(2-1)를 경유해서 MME, 및/또는 SGW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듀얼 커넥티비티를 실현하는 별도의 아키텍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1)와 MME는, 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1)와 SGW는, SGW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2-1)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기지국 장치(2-2)에 MME와의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환언하면, 기지국 장치(2-2)는, 기지국 장치(2-1)를 경유해서 MME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2)는, SGW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SGW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2)와 MME가, 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직접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듀얼 커넥티비티란,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마스터 기지국 장치(MeNB: Master eNB)와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SeNB: Secondary eNB))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 장치가 소비하는 오퍼레이션이다. 바꾸어 말하면, 듀얼 커넥티비티는, 단말 장치가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RRC 접속을 행하는 것이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RRC 접속(RRC_CONNECTED) 상태이면서, 또한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적어도 S1-MME에 접속되어, 코어 네트워크의 모빌리티 앵커의 역할을 하는 기지국 장치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라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추가의 무선 리소스를 제공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가 아닌 기지국 장치를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라 칭한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에 관련되는 서빙 셀의 그룹을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ell Group),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에 관련되는 서빙 셀의 그룹을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셀 그룹은 서빙 셀 그룹이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은 MCG에 속한다. 또한, SCG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에 상당하는 세컨더리 셀을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Primary Secondary Cell)이라고 칭한다. 또한, pSCell을 스페셜 셀이나 스페셜 세컨더리 셀(Special SCell: Special Secondary Cell)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스페셜 SCell(스페셜 SCell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에는, PCell(PCell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의 기능의 일부(예를 들어, PUCCH를 송수신하는 기능 등)가 서포트되어도 된다. 또한, pSCell에는, PCell의 일부 기능만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SCell에는, PDCCH를 송신하는 기능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또한, pSCell에는, CSS 또는 USS와는 상이한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PDCCH 송신을 행하는 기능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USS와는 상이한 서치 스페이스는, 사양으로 규정된 값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서치 스페이스, C-RNTI와는 상이한 RNTI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서치 스페이스, RNTI와는 상이한 상위 레이어로 설정되는 값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서치 스페이스 등이다. 또한, pSCell은, 항상 기동의 상태이어도 된다. 또한, pSCell은, PUCCH를 수신할 수 있는 셀이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e Radio Bearer)는, MeNB와 SeNB로 개별로 할당되어도 된다. 한편,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Signalling Radio Bearer)는 MeNB에만 할당되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MCG와 SCG 또는 PCell과 pSCell에서는, 각각 개별로 duplex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MCG와 SCG 또는 PCell과 pSCell에서, 동기되지 않아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MCG와 SCG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타이밍 조정을 위한 파라미터(TAG: Timing Advancce Group)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는, 각 CG 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상향 링크 송신이 가능하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MCG 내의 셀에 대응하는 UCI는, MeNB(PCell)에만 송신하고, SCG 내의 셀에 대응하는 UCI는, SeNB(pSCell)에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CI는 SR, HARQ-ACK, 및/또는 CSI이다. 또한, 각각의 UCI의 송신에 있어서, PUCCH 및/또는 PUSCH를 사용한 송신 방법은 각각의 셀 그룹에서 적용된다.
프라이머리 셀에서는, 모든 신호가 송수신 가능하지만, 세컨더리 셀에서는, 송수신할 수 없는 신호가 있다. 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는 프라이머리 셀에서만 송신된다. 또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셀간에서, 복수의 TAG(Timing Advance Group)가 설정되지 않는 한, 프라이머리 셀에서만 송신된다. 또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프라이머리 셀에서만 송신된다. 또한,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프라이머리 셀에서만 송신된다.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서는, 프라이머리 셀에서 송수신 가능한 신호가 송수신된다. 예를 들어, PUCCH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PRACH는, 복수의 TAG가 설정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PBCH이나 MIB가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에서는, RLF(Radio Link Failure)가 검출된다. 세컨더리 셀에서는, RLF가 검출되는 조건이 갖추어져도 RLF가 검출되었다고 인식하지 않는다.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서는, 조건을 충족하면 RLF가 검출된다.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RLF가 검출된 경우,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의 상위층은, 프라이머리 셀의 상위층에 RLF가 검출된 것을 통지한다. 프라이머리 셀에서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나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행해도 된다. 세컨더리 셀에서는, 프라이머리 셀과 동일한 DRX를 행해도 된다.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MAC의 설정에 관한 정보/파라미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셀 그룹의 프라이머리 셀/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과 공유하고 있다. 일부 파라미터(예를 들어, sTAG-Id)는 세컨더리 셀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일부 타이머나 카운터가,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어도 된다. 세컨더리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타이머나 카운터가 설정되어도 된다.
LAA 셀에 듀얼 커넥티비티가 적용되는 경우의 일례에서, MCG(기지국 장치(2-1))는 프라이머리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SCG(기지국 장치(2-2))는 LAA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즉, LAA 셀은, SCG의 pSCell로서 설정된다.
LAA 셀에 듀얼 커넥티비티가 적용되는 경우의 다른 일례에서, MCG는 프라이머리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SCG는 pSCell 및 LAA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즉, LAA 셀은, SCG에 있어서, pSCell로부터 어시스트된다. 또한, SCG에 세컨더리 셀이 또한 설정된 경우, LAA 셀은, 그 세컨더리 셀로부터 어시스트되어도 된다.
LAA 셀에 듀얼 커넥티비티가 적용되는 경우의 다른 일례에서, MCG는 프라이머리 셀 및 LAA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SCG는 pSCell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즉, LAA 셀은, MCG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어시스트된다. 또한, MCG에 세컨더리 셀이 또한 설정된 경우, LAA 셀은, 그 세컨더리 셀로부터 어시스트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2)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기지국 장치(2)는, 상위층(상위층 제어 정보 통지부, 상위층 처리부)(501), 제어부(기지국 제어부)(502), 코드워드 생성부(503),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 OFDM 신호 송신부(하향 링크 송신부)(506), 송신 안테나(기지국 송신 안테나)(507), 수신 안테나(기지국 수신 안테나)(508), SC-FDMA 신호 수신부(CSI 수신부)(509),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510)를 갖는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505)를 갖는다. 또한,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510)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추출부(CSI 취득부)(511)를 갖는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말 장치(1)는, 수신 안테나(단말 수신 안테나)(601), OFDM 신호 수신부(하향 링크 수신부)(602),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데이터 추출부)(605), 제어부(단말 제어부)(606), 상위층(상위층 제어 정보 취득부, 상위층 처리부)(607), 채널 상태 측정부(CSI 생성부)(608),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609), SC-FDMA 신호 송신부(UCI 송신부)(611 및 612), 송신 안테나(단말 송신 안테나)(613 및 614)를 갖는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604)를 갖는다. 또한,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609)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UCI 생성부)(610)를 갖는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2)에 있어서, 제어부(502)는, 하향 링크에서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을 나타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RB를 나타내는 하향 링크 리소스 할당, HARQ의 제어에 사용하는 정보(리던던시 버전, HARQ 프로세스 번호, 신 데이터 지표)를 유지하고, 이것들에 기초하여 코드워드 생성부(503)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를 제어한다. 상위층(501)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이라고도 칭함)는, 코드워드 생성부(503)에서, 제어부(502)의 제어 하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나 레이트 매칭 처리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코드워드가 생성된다. 1개의 셀에서의 1개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최대 2개의 코드워드가 동시에 송신된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에서는, 제어부(502)의 지시에 의해,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생성된다. 먼저, 코드워드 생성부(503)에서 생성된 코드워드는, PSK(Phase Shift Keying) 변조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등의 변조 처리에 의해, 변조 심볼 계열로 변환된다. 또한, 변조 심볼 계열은, 일부 RB 내의 RE에 매핑되어, 프리코딩 처리에 의해 안테나 포트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때, 상위층(501)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송신 데이터 계열은, 상위층에서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전용(개별)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인 상위층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505)에서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생성된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는, 제어부(502)의 지시에 의해,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내의 RE에 매핑한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에서 생성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OFDM 신호 송신부(506)에서 OFDM 신호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507)를 통해서 송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OFDM 신호 송신부(506)와 송신 안테나(507)를 하나씩 갖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해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OFDM 신호 송신부(506)와 송신 안테나(507)를 복수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는, PDCCH이나 EPDCCH 등의 물리층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생성해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내의 RE에 매핑하는 능력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 장치(기지국 장치(2-1) 및 기지국 장치(2-2))는, 각각 개별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송신한다.
단말 장치(1)에서는, 수신 안테나(601)를 통해서, OFDM 신호 수신부(602)에서 OFDM 신호가 수신되어, OFDM 복조 처리가 실시된다.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는, 먼저 PDCCH이나 EPDCCH 등의 물리층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는, PDCCH이나 EPDCCH이 할당될 수 있는 영역에서 PDCCH이나 EPDCCH이 송신된 것으로 해서 디코드하고, 미리 부가되어 있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확인한다(블라인드 디코딩). 즉,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는, PDCCH이나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CRC 비트가 미리 기지국 장치로부터 할당된 ID(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PS-C-RNTI(Semi Persistent Scheduling-C-RNTI) 등 1개의 단말에 대하여 1개 할당되는 단말 고유 식별자, 또는 Temporaly C-RNTI)와 일치하는 경우,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는, PDCCH 또는 EPDCCH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인식하고, 검출한 PDCCH 또는 EPDCCH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사용해서 PDSCH를 취출한다. 제어부(606)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하향 링크에서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을 나타내는 MCS,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RB를 나타내는 하향 링크 리소스 할당, HARQ의 제어에 사용하는 정보를 유지하고, 이것들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나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605) 등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6)는,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504)에서의 RE 맵핑 처리나 변조 처리에 대응하는 RE 디맵핑 처리나 복조 처리 등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수신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취출된 PDSCH는,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605)에 보내진다. 또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603) 내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604)는,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취출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605)에서는, 코드워드 생성부(503)에서의 레이트 매칭 처리, 오류 정정 부호화에 대응하는 레이트 매칭 처리, 오류 정정 복호화 등이 실시되고, 트랜스포트 블록이 추출되어 상위층(607)에 보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에는, 상위층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위층(607)은, 상위층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606)에 필요한 물리층 파라미터를 알린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2)(기지국 장치(2-1) 및 기지국 장치(2-2))는, 각각 개별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으며, 단말 장치(1)에서는 이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상술한 처리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2)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단말 장치(1)는, 복수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복수의 기지국 장치(2)로부터 송신되고 있다고 인식해도 되고, 인식하지 않아도 된다. 인식하지 않을 경우, 단말 장치(1)는, 단순히 복수의 셀에서 복수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다고 인식하기만 해도 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605)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는 제어부(606)에 보내진다.
이어서, 상향 링크 신호의 송수신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장치(1)에서는 제어부(606)의 지시 하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604)에서 추출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채널 상태 측정부(608)에 보내지고, 채널 상태 측정부(608)에서 채널 상태 및/또는 간섭이 측정되고, 또한 측정된 채널 상태 및/또는 간섭에 기초하여 CSI가 산출된다. 또한, 제어부(606)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610)에 HARQ-ACK(DTX(미송신), ACK(검출 성공) 또는 NACK(검출 실패))의 생성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의 맵핑을 지시한다. 단말 장치(1)는, 이들 처리를 복수의 셀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행한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610)에서는, 산출된 CSI 및/또는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이 생성된다.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609)에서는, 상위층(607)으로부터 보내지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610)에서 생성되는 PUCCH이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내의 RB에 매핑되어,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 생성된다.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SC-FDMA 신호 송신부(611)에서, SC-FDMA 변조가 실시되어 SC-FDMA 신호가 생성되어, 송신 안테나(613)를 통해서 송신된다.
이하에서는, LAA 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LAA 셀이 사용하는 주파수는, 다른 통신 시스템 및/또는 다른 LTE 오퍼레이터와 공용된다. 주파수의 공용에 있어서, LAA 셀은, 다른 통신 시스템 및/또는 다른 LTE 오퍼레이터와의 공평성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LAA 셀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서, 공평한 주파수 공용 기술(방법)이 필요하다. 환언하면, LAA 셀은, 공평한 주파수 공용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사용되는) 통신 방식(통신 규약)을 행하는 셀이다.
공평한 주파수 공용 기술의 일례는, LBT(Listen-Before-Talk)이다. LBT는, 어떤 기지국 또는 단말이 어떤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 셀)를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그 주파수의 간섭 전력(간섭 신호, 수신 전력, 수신 신호, 잡음 전력, 잡음 신호) 등을 측정(검출)함으로써,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비어 있는 상태, 혼잡한 상태, Presence, Occupied)인지, 또는 비지 상태(비어 있지 않은 상태, 혼잡하지 않은 상태, Absence, Clear)인지를 식별(검출, 상정, 결정)한다. LBT에 기초하여,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라고 식별했을 경우, 그 LAA 셀은 그 주파수에서의 소정의 타이밍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LBT에 기초하여, 그 주파수가 비지 상태라고 식별했을 경우, 그 LAA 셀은 그 주파수에서의 소정의 타이밍에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LBT에 의해, 다른 통신 시스템 및/또는 다른 LTE 오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기지국 및/또는 단말이 송신하고 있는 신호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LBT의 수순은, 어떤 기지국 또는 단말이 그 주파수(채널)를 사용하기 전에 CCA 체크를 적용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정의된다. 그 CCA는,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인지 비지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그 채널에 있어서, 다른 신호의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 검출 또는 신호 검출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CCA의 정의는 LBT의 정의와 동등하여도 된다.
CCA에 있어서, 다른 신호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A는, 어떤 주파수에서의 간섭 전력이, 어떤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해서 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CCA는, 어떤 주파수에서의 소정의 신호 또는 채널의 수신 전력이, 어떤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해서 결정한다. 그 역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된다. 그 역치는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설정되어도 된다. 그 역치는 송신 전력(최대 송신 전력) 등의 다른 값(파라미터)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LAA 셀에서의 CCA는, 그 LAA 셀에 접속하고 있는(설정되어 있는) 단말이 인식할 필요는 없다.
LAA 셀은, 할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세컨더리 셀과는 상이한 셀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LAA 셀은, 할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세컨더리 셀의 설정과는 상이하게 설정된다. LAA 셀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의 일부는, 할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세컨더리 셀에 설정되지 않는다. 할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세컨더리 셀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의 일부는, LAA 셀에 설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LAA 셀은,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과는 상이한 셀로서 설명하는데, LAA 셀은 세컨더리 셀의 하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종래의 세컨더리 셀은 제1 세컨더리 셀이라고도 불리며, LAA 셀은 제2 세컨더리 셀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종래의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은 제1 서빙 셀이라고도 불리며, LAA 셀은 제2 서빙 셀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LAA 셀은, 종래의 프레임 구성 타입과는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서빙 셀은, 제1 프레임 구성 타입(FDD, frame structure type 1) 또는 제2 프레임 구성 타입(TDD, frame structure type 2)이 사용되지만(설정되지만), LAA 셀은,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이 사용된다(설정된다).
여기서, 비할당 주파수는, 소정의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전유 주파수로서 할당되는 할당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비할당 주파수는, 무선 LAN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이다. 또한, 예를 들어 비할당 주파수는 종래의 LTE에서는 설정되지 않는 주파수이며, 할당 주파수는 종래의 LTE에서 설정 가능한 주파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LAA 셀에 설정되는 주파수는 비할당 주파수로서 설명하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비할당 주파수는, LAA 셀에 설정되는 주파수와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할당 주파수는, 프라이머리 셀에 설정할 수 없는 주파수이며, 세컨더리 셀에만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비할당 주파수는 복수의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공유되는 주파수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비할당 주파수는, 종래의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과는 상이한 설정, 상정 및/또는 처리가 되는 셀에만 설정되는 주파수이다.
LAA 셀은, LTE에서의 무선 프레임, 물리 신호, 및/또는 물리 채널 등의 구성 및 통신 규약(수순)에 대해서, 종래의 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을 사용하는 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A 셀에서는,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에서 설정(송신)되는 소정의 신호 및/또는 채널이 설정(송신)되지 않는다. 그 소정의 신호 및/또는 채널은, CRS, DS, PDCCH, EPDCCH, PDSCH, PSS, SSS, PBCH, PHICH, PCFICH, CSI-RS 및/또는 SIB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AA 셀에서 설정되지 않는 신호 및/또는 채널은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신호 및/또는 채널은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LAA 셀에서 설정되지 않는 신호 및/또는 채널은, 단말이 그 LAA 셀로부터의 송신을 기대하지 않는 신호 및/또는 채널로 대체해도 된다.
(1) LAA 셀에서는, 물리 레이어의 제어 정보는 PDCCH에서 송신되지 않고, EPDCCH에서만 송신된다.
(2) LAA 셀에서는, 액티베이션(온)인 서브 프레임에서도, 모든 서브 프레임에서 CRS, DMRS, URS,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이 송신되지 않고, 단말은 모든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고 있는 것을 상정하지 않는다.
(3) LAA 셀에서는, 단말은, 액티베이션(온)인 서브 프레임에서, DRS, PSS, 및/또는 SSS가 송신되고 있는 것을 상정한다.
(4) LAA 셀에서는, 단말은, CRS의 맵핑에 관한 정보가 서브 프레임마다 통지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CRS의 맵핑의 상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CRS의 맵핑의 상정은, 그 서브 프레임의 모든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되지 않는다. CRS의 맵핑의 상정은, 그 서브 프레임의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예를 들어, 선두의 2 OFDM 심볼에서의 모든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되지 않는다. CRS의 맵핑의 상정은, 그 서브 프레임의 모든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된다. 또한, 예를 들어 CRS의 맵핑에 관한 정보는, 그 LAA 셀 또는 그 LAA 셀과는 상이한 셀로부터 통지된다. CRS의 맵핑에 관한 정보는 DCI에 포함되어, PDCCH 또는 EPDCCH에 의해 통지된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에서는,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에서 설정(송신)되지 않는 소정의 신호 및/또는 채널이 설정(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에서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브 프레임만이 정의되고, 하향 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만이 송신된다. 즉, LAA 셀에서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브 프레임이 정의되지 않고,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은 송신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에서는, 대응할 수 있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이,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할 수 있는 DCI 포맷과 상이하다. LAA 셀에만 대응하는 DCI 포맷이 규정된다. LAA 셀에 대응하는 DCI 포맷은, LAA 셀에만 유효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에서는,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이, 종래의 세컨더리 셀과 상이하다.
먼저, 종래의 세컨더리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을 설명한다. 이하의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하는 단말은, DS의 송신을 제외하고, PSS, SSS, PBCH, CRS, PCFICH, PDSCH, PDCCH, EPDCCH, PHICH, DMRS 및/또는 CSI-RS가, 그 세컨더리 셀에 의해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상정한다. 또한, 그 단말은, DS가 그 세컨더리 셀에 의해 항상 송신되고 있다고 상정한다. 또한, 그 상정은, 그 단말이 있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액티베이션 커맨드(활성화하기 위한 커맨드)가 수신되는 서브 프레임까지 계속한다.
(1) 단말이 DS에 관한 설정(파라미터)을 서포트한다.
(2) 단말이 그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DS에 기초하는 RRM 측정이 설정된다.
(3) 그 세컨더리 셀은 디액티베이션(비활성화된 상태)이다.
(4) 단말은, 그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상위층에 의해 MBMS를 수신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그 세컨더리 셀이 액티베이션(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단말은, 설정된 소정의 서브 프레임 또는 모든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PSS, SSS, PBCH, CRS, PCFICH, PDSCH, PDCCH, EPDCCH, PHICH, DMRS 및/또는 CSI-RS가 그 세컨더리 셀에 의해 송신된다고 상정한다.
이어서, LAA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하의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하는 단말은, DS의 송신을 포함하고, PSS, SSS, PBCH, CRS, PCFICH, PDSCH, PDCCH, EPDCCH, PHICH, DMRS 및/또는 CSI-RS가, 그 LAA 셀에 의해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상정한다. 또한, 그 상정은, 그 단말이 있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액티베이션 커맨드(활성화하기 위한 커맨드)가 수신되는 서브 프레임까지 계속한다.
(1) 단말이 DS에 관한 설정(파라미터)을 서포트한다.
(2) 단말이 그 LAA 셀에 있어서, DS에 기초하는 RRM 측정이 설정된다.
(3) 그 LAA 셀은 디액티베이션(비활성화된 상태)이다.
(4) 단말은, 그 LAA 셀에 있어서, 상위층에 의해 MBMS를 수신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LAA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그 LAA 셀이 디액티베이션(비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그 LAA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은, 종래의 세컨더리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과 동일하다. 그 LAA 셀이 액티베이션(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그 LAA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은, 종래의 세컨더리 셀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의 상정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그 LAA 셀이 액티베이션(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단말은, 그 LAA 셀이, 그 LAA 셀에 설정된 소정의 서브 프레임을 제외하고, PSS, SSS, PBCH, CRS, PCFICH, PDSCH, PDCCH, EPDCCH, PHICH, DMRS 및/또는 CSI-RS가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상정한다. 그 상세는 후술한다.
이어서,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상세를 설명한다. LAA 셀에서는, LBT에 기초하여, 서브 프레임의 경계(Subframe boundary)에 의존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LAA 셀에서는, LBT와 송신 가능한 최대 버스트 길이에 기초하여, 서브 프레임의 경계(Subframe boundary)에 의존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의 송신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채널 및/또는 신호는, 부분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할 수 있다. 부분 서브 프레임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 부분 서브 프레임이 나타내는 송신 가능한 OFDM 심볼은, 단말이 채널 및/또는 신호 각각 또는 모든 송신을 상정하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1)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그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OFDM 심볼로부터, 그 서브 프레임의 최후의 OFDM 심볼(서브 프레임의 경계)까지의 영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부분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2)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그 서브 프레임의 최초의 OFDM 심볼(서브 프레임의 경계)부터, 그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OFDM 심볼까지의 영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부분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3)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그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OFDM 심볼로부터, 그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OFDM 심볼까지의 영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3 부분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부분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OFDM 심볼은, 소정수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소정수는 2, 3 및/또는 4이다.
또한, 그 소정수가 2일 경우, 예를 들어 1 슬롯 또는 1 서브 프레임(2 슬롯)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즉, 제2 EPDCCH의 시간 방향의 단위가, 1 슬롯 또는 1 서브 프레임이 된다. 제2 EPDCCH의 시간 방향의 단위가 1 슬롯일 경우, 그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의 시간 방향의 단위도 1 슬롯으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종래의 LTE와 마찬가지로 1 서브 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통신 방법(방식)과, 종래의 LTE의 절반인 1 슬롯을 단위로 하는 통신 방법이 전환해서 사용된다. 1 슬롯을 단위로 함으로써, 무선 통신에서의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LTE와 마찬가지의 통신 방법 외에도, 무선 통신에서의 지연을 삭감할 수 있는 통신 방법도 또한 실현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LAA 셀뿐만 아니라, 종래의 할당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LTE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모든 방법이나 구성은, LAA 셀뿐만 아니라, 종래의 할당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LTE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LAA 셀에서는, LBT에 기초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의 송신이 가능해졌을 경우에 그 LAA 셀을 송신할 수 있는 기간이 규정된다. 그 기간은 최대 버스트 길이라고도 불리며, 그 기간에 송신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는 버스트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최대 버스트 길이는 4밀리 초(4 서브 프레임 길이)이다. 그 때문에, 각각의 버스트에 있어서, 버스트의 선두의 서브 프레임은, 제1 부분 서브 프레임이며, 버스트의 최후의 서브 프레임은, 제2 부분 서브 프레임이다. 또한, 부분 서브 프레임은, 부동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부분 서브 프레임은,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송신할 수 없는) 심볼/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한,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그 서브 프레임의 최초의 OFDM 심볼(서브 프레임의 경계)부터, 그 서브 프레임의 최후의 OFDM 심볼(서브 프레임의 경계)까지의 영역을 송신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은, 풀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풀 서브 프레임은, 부분 서브 프레임 이외의 서브 프레임이다. 풀 서브 프레임은, 각각의 버스트에 있어서, 버스트의 선두의 서브 프레임 또는 버스트의 최후의 서브 프레임 이외의 서브 프레임이다. 풀 서브 프레임은,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송신할 수 없는) 심볼/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한, LAA 셀에서의 풀 서브 프레임은, 노멀 셀에서의 노멀 서브 프레임과 동일한 구성 및/또는 처리를 행하는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도 5는, 어떤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서브 프레임 #0 내지 9에서 나타낸 10개의 서브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0 내지 13의 14개의 심볼(OFDM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일례에서는, LAA 셀은 최대 4밀리 초(4 서브 프레임에 상당)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5에서 CCA가 행하여진다. 또한, LAA 셀은, 그 CCA에서,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그 직후의 심볼로부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5에서는, LAA 셀은,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6에서부터 서브 프레임 #6에서의 소정의 심볼까지 신호를 송신한다.
도 5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송신할 수 없는) 심볼/서브 프레임으로 나타내어진 심볼 또는 서브 프레임에서는, 그 LAA는 아무것도 송신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송신할 수 있는) 심볼/서브 프레임으로 나타내어진 심볼 또는 서브 프레임에서는, 그 LAA는 적어도 PDSCH와, PDSCH에 관련지어지는 단말 고유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PDSCH는, 리소스 블록 페어를 단위로 해서,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맵핑(스케줄링)된다. 그 맵핑(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서 통지된다.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PDSCH에 대한 맵핑 정보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통지되어도 되고, 별도의 서브 프레임에서 통지되어도 된다.
도 5에서, LAA 셀이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6 내지 13을 사용해서 PDSCH를 송신하는 경우, 그 PDSCH를 수신하는 단말은, 그 PDSCH가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6 내지 13에 매핑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 인식하는 방법의 일례에서는, 그 LAA 셀의 소정의 서브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3)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정보는 이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을 조합한 정보이다.
(1) 그 정보는,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의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는, 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값이 스타트 심볼이 되는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2) 그 정보는,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의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는, 0 내지 13의 값에서 미리 규정된 값이 인덱스화된 인덱스 정보이다.
(3) 그 정보는,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나타내는 비트맵의 정보이다. 비트맵의 정보는 14비트를 포함한다. 비트맵의 정보에 있어서, 각 비트가 한쪽의 상태(예를 들어, 1)일 경우,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나타내고, 각 비트가 다른 한쪽의 상태(예를 들어, 0)일 경우,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을 나타낸다.
(5) 그 정보는,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최후의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심볼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그 최후의 심볼은, 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값이 그 최후의 심볼이 되는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 심볼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값이 그 심볼수를 나타낸다.
(6) 그 정보는,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최후의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심볼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그 최후의 심볼은, 0 내지 13의 값에서 미리 규정된 값이 인덱스화된 인덱스 정보이다. 예를 들어, 그 심볼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1 내지 14의 값에서 미리 규정된 값이 인덱스화된 인덱스 정보이다.
또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 통지 방법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1) 그 정보는, RRC의 시그널링 또는 MAC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그 LAA 셀에 대하여 설정(통지)되는 파라미터에 의해 통지된다. 어떤 서빙 셀이 LAA 셀일 경우,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설정된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다른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은,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심볼 #0과 1이라고 설정된다.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은,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심볼 #2 내지 13이라고 설정된다. 또한, 이 설정은, 채널 및/또는 신호에 따라 상이해도(독립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단말은, EPDCCH가 심볼 #2 내지 13에 매핑된다고 설정되고, PDSCH가 심볼 #1 내지 13에 매핑된다고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에 대하여 설정되는 PDSCH의 스타트 심볼의 범위(취할 수 있는 값)는, 종래의 세컨더리 셀에 대하여 설정되는 PDSCH의 스타트 심볼의 범위(1 내지 4)와는 상이할 수 있다. LAA 셀에 대하여 설정되는 PDSCH 및/또는 EPDCCH의 스타트 심볼의 범위는, 0 내지 13이다.
(2) 그 정보는, 그 LAA 셀, 또는 그 LAA 셀과는 상이한 서빙 셀(어시스트 셀,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로부터 송신되는 PDCCH 또는 EPDCCH에 의해 통지된다. PDCCH 또는 EPDCCH에 의해 운반되는(송신되는) DCI는 그 정보를 포함한다.
(3) 그 정보는, 그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채널 또는 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그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채널 또는 신호는, LAA 셀에 대해서만 송신된다. 그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채널 또는 신호는, 그 LAA 셀, 또는 그 LAA 셀과는 상이한 서빙 셀(어시스트 셀,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로부터 송신된다.
(4) 그 정보의 후보는, RRC의 시그널링 또는 MAC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그 LAA 셀에 대하여 설정(통지)된다. 그 정보의 후보 중에서, PDCCH 또는 EPDCCH에 의해 운반되는(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RRC의 시그널링 또는 MAC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4개의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고, 그것들 중 1개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정보가 PDCCH 또는 EPDCCH의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된다.
(5) 그 정보는,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되는 채널 또는 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예를 들어, 그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소정의 심볼에서의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심볼은, 그 서브 프레임에서의 마지막 심볼이다. 그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채널 또는 신호가 매핑되는 서브 프레임은, LAA 셀에서의 모든 서브 프레임이어도 되고, 미리 규정된 서브 프레임 또는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6) 그 정보는 미리 규정된다. 어떤 서빙 셀이 LAA 셀일 경우,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다른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은,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심볼 #0과 1이다.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은,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심볼 #2 내지 13이다. 또한, 이 규정은, 채널 및/또는 신호에 따라 상이해도(독립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단말은, EPDCCH가 심볼 #2 내지 13에 매핑된다고 상정하고, PDSCH가 심볼 #1 내지 13에 매핑된다고 상정한다.
그 인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에서는, 그 LAA 셀의 소정의 서브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3)에서, 단말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검출한다. 또한, 단말은, 그 검출을 행하기 위한 어시스트 정보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검출의 방법은 이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1) 그 검출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소정의 신호에 기초해서 행하여진다. 단말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미리 규정된 신호 또는 설정된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검출한다. 단말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의 어떤 심볼에 있어서, 미리 규정된 신호 또는 설정된 신호가 검출된 경우,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그 어떤 심볼 이후의 심볼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신호 또는 설정된 신호는, CRS, DMRS, 및/또는 URS이다.
(2) 그 검출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소정의 채널에 기초해서 행하여진다. 단말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미리 규정된 채널 또는 설정된 채널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검출한다. 단말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의 어떤 심볼에 있어서, 미리 규정된 채널 또는 설정된 채널이 검출된 경우,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그 어떤 심볼 이후의 심볼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채널 또는 설정된 채널은, EPDCCH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그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어떤 심볼 이후의 심볼에 EPDCCH가 매핑되어 있다고 상정하고, EPDCCH의 모니터링(검출 처리, 블라인드 검출)을 행한다. 여기서, 단말은, EPDCCH가 매핑되어 있다고 상정하는 스타트 심볼을 블라인드 검출해도 된다. 또한, EPDCCH가 매핑되어 있다고 상정하는 스타트 심볼 또는 스타트 심볼의 후보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5의 서브 프레임 #3에서,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리소스 엘리먼트에의 맵핑 방법이, 다른 서브 프레임에서의 맵핑 방법과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맵핑 방법은 이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맵핑 방법(맵핑 순서)은, 참조 신호나 동기 신호 등의 다른 신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그 맵핑 방법은, PDCCH, EPDCCH 및/또는 PDSCH가 그 서브 프레임에서의 마지막 심볼로부터 매핑된다. 즉,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리소스 엘리먼트(k, l)에의 맵핑은, 할당된 물리 리소스 블록이며, 맵핑이 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에 있어서, OFDM 심볼 번호 l가 최대인 OFDM 심볼(즉, 슬롯에서의 마지막 심볼)부터 순서대로 매핑된다. 또한, 맵핑은, 서브 프레임의 최후의 슬롯(2번째의 슬롯)부터 순서대로 행하여진다. 또한, 각각의 OFDM 심볼에서는, 그것들의 채널은 서브캐리어 번호 k가 최소인 서브캐리어부터 순서대로 매핑된다.
(2) 그 맵핑 방법은, PDCCH, EPDCCH 및/또는 PDSCH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을 스킵하고,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 내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하여 매핑된다. 즉,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맵핑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레이트 매칭된다.
(3) 그 맵핑 방법은, PDCCH, EPDCCH 및/또는 PDSCH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을 스킵하지 않고,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 내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하여 매핑된다. 환언하면, PDCCH, EPDCCH 및/또는 PDSCH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과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을 구별하지 않고 맵핑이 적용되는데,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 매핑되는 채널은 송신되지 않고,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에 매핑되는 채널이 송신된다. 즉,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맵핑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펑처링된다.
도 6은, 어떤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 일례에서는,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5에서 CCA가 행하여진다. 또한, LAA 셀은, 그 CCA에서,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그 직후의 심볼로부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LAA 셀은,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5부터 서브 프레임 #6에서의 소정의 심볼까지 신호를 송신한다.
도 6의 일례에서는,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6 및 7은, 예약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이다. 예약 신호는, CCA를 행하는 심볼(즉, 심볼 #5)의 직후부터,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즉, 심볼 #6)의 직전까지 송신된다. 이 예약 신호에 의한 효과는 이하와 같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의 후보가, 미리 규정될 경우 또는 설정되는 경우에도, LAA 셀은, CCA를 그 후보의 수에 의존하지 않고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예약 신호는, 그 LAA 셀로부터 송신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라도, 수신(인식)되지 않아도 된다. 즉, 예약 신호는, CCA를 행한 후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그 CCA를 행한 LAA 셀이 그 주파수를 확보(예약)하기 위해서 송신된다.
예약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에서 송신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와는 상이한 채널 및/또는 신호가 매핑되어도 된다. 즉, 예약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에 매핑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는, 단말에 인식(수신)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예약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에 매핑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식별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은, 예약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에 매핑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를 사용하여, 그 LAA 셀과 동기(동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예약 신호는, 초기 신호라고도 불린다. 초기 신호는, 버스트의 선두에서 송신되는 신호이며, 그 버스트 내의 PDSCH, EPDCCH, PDCCH 및/또는 참조 신호와는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신호는, 그 버스트에 관한 제어 정보, 그 버스트 내의 채널 및/또는 신호에 관한 제어 정보, 또는 그 버스트를 송신하고 있는 셀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어떤 LAA 셀에서의 통신 규약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 일례에서는, 도 5의 일례와 마찬가지로,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5에서 CCA가 행하여진다. 또한, LAA 셀은, 그 CCA에서, 그 주파수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그 직후의 심볼로부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7에서는, LAA 셀은,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심볼 #6부터, 4밀리 초 후의 서브 프레임 #7에서의 심볼 #5까지 신호를 송신한다.
도 7의 일례에서는, LAA 셀은, CCA를 행하는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CCA를 행하는 심볼 직후의 심볼로부터 최후의 심볼까지 예약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LAA 셀은, CCA를 행하는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의 다음의 서브 프레임부터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도 7에서의 예약 신호는, 도 6에서 설명된 예약 신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4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된다고 상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은, 서브 프레임의 최초의 심볼로부터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된다고 상정한다. 그 때문에, LAA 셀을 포함하는 기지국은, 그 단말에 대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의 송신과, 그 채널 및/또는 신호를 위한 제어 정보의 통지에 대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LAA 셀은, 서브 프레임 #7에서, 최초의 심볼로부터 심볼 #5까지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A 셀은, 단말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7에서의 소정의 심볼로부터 심볼 #5까지의 리소스에 매핑되는 PDSCH 및/또는 E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LAA 셀은, 단말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7에서의 최초의 심볼로부터 소정의 심볼까지의 리소스에 매핑되는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심볼은, PCFICH에서 송신되는 정보이며, PDCCH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소정의 심볼은,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정보이며, EPDCCH,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 및 E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를 위한 OFDM 스타트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도 7에서는, LAA 셀은, 서브 프레임 #7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최후의 심볼을, 단말에 통지 또는 설정할 수 있다. LAA 셀의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단말이 그 최후의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와 그 정보의 통지 방법은, 도 5의 일례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일례에서 설명된 방법은, 도 5에서의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와 그 정보의 통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LAA 셀은, 그 최후의 심볼에 관한 정보를, 서브 프레임 #7에서 송신되는 PDCCH 또는 EPDCCH에서 통지되는 DCI에 포함한다. 이에 의해, LAA 셀은, 도 7에서의 서브 프레임 #7과 같이, 채널 및/또는 신호를 서브 프레임의 도중의 심볼까지 송신할 수 있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LAA 셀은, 그 최후의 심볼에 관한 정보를, RRC의 시그널링 또는 MAC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에 포함한다.
또한, 도 7에서,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송신 방법과 서브 프레임 #7에서의 송신 방법이 조합해서 사용되는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프레임 #3에서의 송신 방법과 서브 프레임 #7에서의 송신 방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5 내지 7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7의 서브 프레임 #7에서,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리소스 엘리먼트에의 맵핑이, 다른 서브 프레임에서의 맵핑과 상이해도 된다.
또한, LAA 셀에서,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모든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즉, 도 5 내지 7에서의 서브 프레임 #4 내지 6)은,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일부의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서브 프레임(즉, 도 5 내지 7에서의 서브 프레임 #3 및 도 7에서의 서브 프레임 #7)과는 상이한 서브 프레임으로서, 인식, 설정 또는 통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모든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은, 종래의 서빙 셀에서의 서브 프레임과 동등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모든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서브 프레임은, 제1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불린다.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일부의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서브 프레임은, 제2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모든 OFDM 심볼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은, 제3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제2 LAA 서브 프레임은, 부분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리며, 제3 LAA 서브 프레임은, 풀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제2 LAA 서브 프레임은, 제1 부분 서브 프레임, 제2 부분 서브 프레임, 및/또는 제3 부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제1 LAA 서브 프레임과 제2 LAA 서브 프레임과 제3 LAA 서브 프레임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들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와, 그 통지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단말이 제1 LAA 서브 프레임과 제2 LAA 서브 프레임과 제3 LAA 서브 프레임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PDCCH 또는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지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이 제1 LAA 서브 프레임과 제2 LAA 서브 프레임과 제3 LAA 서브 프레임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PDCCH 또는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 또는 설정되는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묵시적으로 통지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은, CRS의 맵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LAA 서브 프레임과 제2 LAA 서브 프레임과 제3 LAA 서브 프레임을 인식한다.
또한, 단말이, 어떤 서브 프레임이 제2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했을 경우, 그 어떤 서브 프레임의 다음 서브 프레임 이후의 소정수의 서브 프레임이 제3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한다. 또한, 단말은, 제3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한 최후의 서브 프레임의 다음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이, 제2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할 때까지, 제1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한다. 또한, 그 소정수(즉, 제3 LAA 서브 프레임이라고 인식하는 서브 프레임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된다. 그 소정수는, LAA 셀에서 설정되어도 된다. 그 소정수는, 제2 LAA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제2 LAA 서브 프레임과 제3 LAA 서브 프레임에서, PDSCH 및/또는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 각각 독립적으로 규정 또는 설정된다.
또한, 도 5 내지 7에서, CCA는,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 행하여지는 것을 나타냈지만, CCA를 행하는 시간(기간)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CA를 행하는 시간은, LAA 셀마다, CCA의 타이밍마다, CCA의 실행마다 변동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CCA는, 소정의 시간 슬롯(시간 간격, 시간 영역)에 기초한 시간에 행한다. 그 소정의 시간 슬롯은, 1개의 서브 프레임을 소정수로 분할한 시간으로 규정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그 소정의 시간 슬롯은, 소정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규정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CCA를 행하는 시간(시간 슬롯)이나,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송신할 수 있는) 시간 등의, 시간 영역에서의 필드의 사이즈는, 소정의 시간 유닛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의 필드의 사이즈는, 몇 가지의 시간 유닛(Ts)으로서 표현된다. Ts는, 1/(15000*2048)초이다. 예를 들어, 1개의 서브 프레임의 시간은 30720*Ts(1밀리 초)이다.
또한, 도 5 내지 7에서의 서브 프레임 #3과 같이, LAA 셀이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도중의 심볼로부터, 채널 및/또는 신호(예약 신호를 포함함)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가, 단말 또는 LAA 셀에 대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은,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LAA 셀에 관한 설정에 있어서, 그러한 송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단말은, 그 정보에 기초하여, LAA 셀에서의 수신(모니터링, 인식, 복호)에 관한 처리를 전환한다.
또한, 도중의 심볼로부터 송신이 가능한 서브 프레임(도중의 심볼까지 송신이 가능한 서브 프레임도 포함함)은, LAA 셀에서의 모든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한, 도중의 심볼로부터 송신이 가능한 서브 프레임은, LAA 셀에 대하여 미리 규정된 서브 프레임 또는 설정된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한, 도중의 심볼로부터 송신이 가능한 서브 프레임(도중의 심볼까지 송신이 가능한 서브 프레임도 포함함)은, TDD의 상향 링크 하향 링크 설정(UL/DL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 통지 또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서브 프레임은, UL/DL 설정에서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라 통지(지정)된 서브 프레임이다. LAA 셀에서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의 3개의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이다. LAA 셀에서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이, RRC의 시그널링, PDCCH 또는 EPDCCH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 또는 통지되어도 된다. 이 설정은, DwPTS, GP 및 UpPTS 중 적어도 1개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설정한다. 또한, 이 설정은, 미리 규정된 시간의 길이의 후보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이다. 또한, 이 설정은, 종래의 TDD 셀에 설정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에서 사용되는 DwPTS, GP 및 UpPTS와 동일한 시간의 길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송신이 가능한 시간의 길이는, DwPTS, GP 및 UpPTS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예약 신호는, 그 예약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LAA 셀과는 상이한 LAA 셀을 수신할 수 있는 신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예약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LAA 셀과는 상이한 LAA 셀은, 그 예약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LAA 셀에 인접하고 있는 LAA 셀(인접 LAA 셀)이다. 예를 들어, 그 예약 신호는, 그 LAA 셀에서의 소정의 서브 프레임 및/또는 심볼의 송신 상황(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어떤 예약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LAA 셀과는 상이한 LAA 셀이 그 예약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예약 신호를 수신한 LAA 셀은, 그 예약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브 프레임 및/또는 심볼의 송신 상황을 인식하고, 그 상황에 따라서 스케줄링을 행한다.
또한, 그 예약 신호를 수신한 LAA 셀은,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LBT를 행해도 된다. 그 LBT는, 수신한 예약 신호에 기초해서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그 LBT에 있어서, 예약 신호를 송신한 LAA 셀이 송신하는(송신한다고 상정되는) 채널 및/또는 신호를 고려하여, 리소스 할당이나 MCS의 선택 등을 포함하는 스케줄링을 행한다.
또한, 그 예약 신호를 수신한 LAA 셀이 그 예약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스케줄링을 행한 경우, 소정의 방법에 의해, 그 예약 신호를 송신한 LAA 셀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LAA 셀에 그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소정의 방법은, 예약 신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다. 또한, 예를 들어 그 소정의 방법은, X2 인터페이스 등의 백홀을 통해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종래의 단말은 5개까지의 서빙 셀을 설정할 수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은 설정할 수 있는 서빙 셀의 최대수를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은 16개 또는 32개까지의 서빙 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에 설정되는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은, LAA 셀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에 설정되는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은, 모두 LAA 셀이어도 된다.
또한,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일부의 서빙 셀에 관한 설정은 종래의 서빙 셀(즉, 종래의 세컨더리 셀)의 설정과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설정에 대해서 이하가 상이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설정은,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1) 단말은, 종래의 서빙 셀이 5개까지 설정되고, 종래와는 상이한 서빙 셀이 11개 또는 27개까지 설정된다. 즉, 단말은, 종래의 프라이머리 셀 외에도, 종래의 세컨더리 셀이 4개까지 설정되고, 종래와는 상이한 세컨더리 셀이 11개 또는 27개까지 설정된다.
(2) 종래와는 상이한 서빙 셀(세컨더리 셀)에 관한 설정은, LAA 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종래의 프라이머리 셀 외에도, LAA 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지 않는 세컨더리 셀이 4개까지 설정되고, 종래와는 상이한 세컨더리 셀이 11개 또는 27개까지 설정된다.
또한,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기지국(LAA 셀을 포함함) 및/또는 단말은, 5개까지의 서빙 셀을 설정하는 경우와 상이한 처리 또는 상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처리 또는 상정에 대해서, 이하가 상이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 또는 상정은,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1)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에도, PDCCH, EPDCCH 및/또는 PDSCH는 최대 5개의 서빙 셀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고(수신한다고) 상정한다. 이에 의해, 단말은,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수신과, 그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에 대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그것들의 서빙 셀에 있어서, PDSCH에 대한 HARQ-ACK의 번들링을 행하는 셀의 조합(그룹)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모든 서빙 셀, 모든 세컨더리 셀, 모든 LAA 셀 또는 모든 종래와는 상이한 세컨더리 셀은, 각각 서빙 셀 간에서의 HARQ-ACK의 번들링에 관한 정보(설정)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빙 셀 간에서의 HARQ-ACK의 번들링에 관한 정보는, 그 번들링을 행하는 식별자(인덱스, ID)이다. 예를 들어, HARQ-ACK는, 그 번들링을 행하는 식별자가 동일한 셀을 건너서 번들링된다. 그 번들링은, 대상이 되는 HARQ-ACK에 대하여 논리곱 연산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그 번들링을 행하는 식별자의 최대수는 5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번들링을 행하는 식별자의 최대수는, 그 번들링을 행하지 않는 셀의 수를 포함해서 5로 할 수 있다. 즉, 서빙 셀을 초과해서 번들링을 행하는 그룹의 수를 최대 5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은, PDCCH, EPDCCH 및/또는 PDSCH의 수신과, 그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에 대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3)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그것들의 서빙 셀에 있어서, PDSCH에 대한 HARQ-ACK의 다중(multiplexing)을 행하는 셀의 조합(그룹)이 설정된다. PDSCH에 대한 HARQ-ACK의 다중을 행하는 셀의 조합(그룹)이 설정되는 경우, 다중된 HARQ-ACK는, 그 그룹에 기초하여 PUCCH 또는 PUSCH에 의해 송신된다. 각각의 그룹에 있어서, 다중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가 규정 또는 설정된다. 그 최대수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에 기초하여 규정 또는 설정된다. 예를 들어, 그 최대수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와 동일수, 또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의 반수이다. 또한, 동시에 송신되는 PUCCH의 최대수는, 각각의 그룹에서 다중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와,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최대수에 기초하여 규정 또는 설정된다.
환언하면, 설정되는 제1 서빙 셀(즉,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의 수는 소정수(즉, 5) 이하이고, 설정되는 상기 제1 서빙 셀과 상기 제2 서빙 셀(즉, LAA 셀)의 합계는 상기 소정수를 초과한다.
이어서, LAA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를 설명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RRC의 시그널링에 의해, 그 단말의 캐퍼빌리티(능력)에 관한 정보(단말 캐퍼빌리티)를 기지국에 통지(송신)한다. 어떤 기능(특징)에 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그 기능(특징)을 서포트할 경우에 통지(송신)되고, 그 기능(특징)을 서포트하지 않을 경우에 통지(송신)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기능(특징)에 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그 기능(특징)의 테스트 및/또는 실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캐퍼빌리티는 이하와 같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말 캐퍼빌리티는,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1) LAA 셀의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LAA 셀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한다. 즉,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은, LAA 셀을 서포트하지 않는다. 그 경우,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LAA 셀을 서포트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2) LAA 셀의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LAA 셀을 서포트한다. 즉, LAA 셀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지 않는다. 그 경우, LAA 셀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3) LAA 셀에서의 하향 링크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와, LAA 셀에서의 상향 링크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LAA 셀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하는 단말은, LAA 셀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한다. 즉, LAA 셀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은, LAA 셀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하지 않는다. 그 경우, LAA 셀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하는 단말은, LAA 셀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해도 되고, 서포트하지 않아도 된다.
(4) LAA 셀의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LAA 셀에만 설정되는 송신 모드의 서포트를 포함한다.
(5)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하향 링크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상향 링크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하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한다. 즉,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하지 않는다. 그 경우,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하향 링크를 서포트하는 단말은,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상향 링크를 서포트해도 되고, 서포트하지 않아도 된다.
(6) 5개를 초과하는 서빙 셀의 설정에서의 단말 캐퍼빌리티에 있어서, 최대 16개의 하향 링크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와, 최대 32개의 하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 캐퍼빌리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또한, 최대 16개의 하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한다. 최대 32개의 하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적어도 2개의 상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한다. 즉, 최대 16개의 하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는 단말은, 2개 이상의 상향 링크 서빙 셀의 설정을 서포트하지 않아도 된다.
(7) LAA 셀의 서포트에 관한 단말 캐퍼빌리티는, LAA 셀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밴드)에 기초하여 통지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서포트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의 조합 통지에 있어서, 통지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의 조합이 LAA 셀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경우, 그 단말은 LAA 셀을 서포트하는 것을 묵시적으로 통지한다. 즉, 통지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의 조합이 LAA 셀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경우, 그 단말은 LAA 셀을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묵시적으로 통지한다.
이어서,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캐퍼빌리티의 일례에서,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는, 단말이 제2 EPDCCH의 USS 및/또는 CSS에서의 DCI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정의한다. 즉, 그 단말이 제2 EPDCCH의 USS 및/또는 CSS에서의 DCI를 수신할 수 있을 경우, 그 단말은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한다. 또한, 그 단말이 제2 EPDCCH의 USS 및/또는 CSS에서의 DCI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그 단말은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를 통지하지 않는다.
또한, 그 단말이 제2 EPDCCH의 USS 및/또는 CSS에서의 DCI를 수신할 수 있을 경우, 그 단말은 제1 EPDCCH의 USS에서의 DCI를 수신하는 능력을 갖는다. 즉, 그 단말이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하는 경우, 제1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한다. 또한, 그 단말이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하는 경우, 그 단말은 제1 EPDCCH의 USS에서의 DCI를 수신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단말이 제2 EPDCCH의 USS 및/또는 CSS에서의 DCI를 수신할 수 있을 경우, 그 단말은 LAA에 관한 능력(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것을 포함함)도 갖는다. 즉, 그 단말이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하는 경우, LAA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한다. 또한, 그 단말이 제2 EPDCCH에 관련하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필드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것(Supported)을 통지하는 경우, 그 단말은 LAA에 관한 능력도 갖는 것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LAA 셀이, 그 LAA 셀에서 송신되는 PDSCH를 위한 DCI를 통지하는 PDCCH 또는 EPDCCH를 송신하는 경우(즉, 셀프 스케줄링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LAA 셀과는 상이한 서빙 셀이, 그 LAA 셀에서 송신되는 PDSCH를 위한 DCI를 통지하는 PDCCH 또는 EPDCCH를 송신하는 경우(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방법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 기초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정보는,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의 최후의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정보 또는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정해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은, 채널 및/또는 신호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정(통지, 규정)되어도 된다. 즉,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와, 그 통지 방법은, 채널 및/또는 신호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통지,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 심볼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와, 그 통지 방법은, PDSCH와 EPDCCH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통지,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송신할 수 없는) 심볼/서브 프레임은, 단말의 관점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된다고(송신할 수 있다고) 상정되지 않는 심볼/서브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즉, 그 단말은, 그 LAA 셀이 그 심볼/서브 프레임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송신할 수 있는) 심볼/서브 프레임은, 단말의 관점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될 수도 있다고 상정하는 심볼/서브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즉, 그 단말은, 그 LAA 셀이 그 심볼/서브 프레임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고 있을 수도 있고, 송신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송신되는(송신할 수 있는) 심볼/서브 프레임은, 단말의 관점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가 반드시 송신되고 있다고 상정하는 심볼/서브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즉, 그 단말은, 그 LAA 셀이 그 심볼/서브 프레임에서 채널 및/또는 신호를 반드시 송신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LAA 셀은, 소정의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서빙 셀로 해도 된다.
이어서, 확장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EPDCCH는, PDSCH 등의 다른 물리 채널과 마찬가지로,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를 사용해서 송수신된다. 안테나 포트(P)에 대한 리소스 그리드(송신되는 신호를 슬롯마다, 서브캐리어와 OFDM 심볼과의 그리드에 의해 기재한 것)의 각 요소(1개의 서브캐리어이면서 또한 1개의 OFDM 심볼에 대응하는 요소)는 RE라고 불리며, 1개의 슬롯 내에서 인덱스의 페어인 k(0부터 개시하여, 주파수 축방향으로 오름차순인 인덱스) 및 l(0부터 개시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오름차순인 인덱스)에 의해 일의적으로 식별된다.
EPDCCH는, 노멀 셀에서의 노멀 서브 프레임, LAA 셀에서의 부분 서브 프레임, 및/또는 LAA 셀에서의 풀 서브 프레임에서, 그 구성 및/또는 처리가 각각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부분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노멀 서브 프레임 및/또는 풀 서브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EPDCCH보다도 적은 OFDM 심볼을 포함하는 EPDCCH가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노멀 서브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EPDCCH는, 제1 EPDCCH라고도 불리며, 부분 서브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EPDCCH는, 제2 EPDCCH라고도 불린다. 또한, 풀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제1 EPDCCH 및/또는 제2 EPDCCH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8은, 1개의 RB 페어에서의 EREG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EREG(Enhanced RE Group)는 EPDCCH의 RE에의 맵핑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 0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매겨진 16개의 EREG가 있다.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통상의 CP(Cyclic Prefix)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107, 108, 109 및 110)를 위한, 확장의 CP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107 및 108)를 위한 DMRS를 운반하는 RE를 제외한 모든 RE에, 주파수가 앞이고 시간이 후인 오름차순으로, 0부터 15까지 순환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8에서, 사선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리소스 엘리먼트는 DMRS를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PRB 페어 내의 번호 i가 매겨진 모든 RE가, i의 번호가 매겨진 EREG를 구성한다. 여기서, CP란, 하향 링크에서의 OFDM 심볼(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SC-FDMA 심볼)의 유효 심볼 구간의 전방에 부가되는 신호이며, 유효 심볼 구간 내의 일부(통상은 최후방부)가 카피된 신호이다. CP 길이에는 통상의 길이(예를 들어 유효 심볼 길이 2048 샘플에 대하여 160 샘플 또는 144 샘플)의 통상의 CP와, 통상의 CP보다도 긴(예를 들어 유효 심볼 길이 2048 샘플에 대하여 512 샘플 또는 1024 샘플) 확장의 CP의 2종류가 있다.
여기서, EREG의 구성은, 제1 EPDCCH 또는 제2 EPDCCH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 EPDCCH 또는 제2 EPDCCH에서의 EREG는,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 통상의 CP(Cyclic Prefix)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107, 108, 109 및 110)를 위한, 확장의 CP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107 및 108)를 위한 DMRS를 운반하는 RE를 제외한 모든 RE에 대하여 규정된다. 이에 의해, DMRS의 구성이 상이한 경우에도, EREG를 구성하기 위한 RE는 상이하지만, EREG를 구성하기 위한 정의는 동일하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RB 페어는, 2개의 RB를 포함한다. 각각의 RB는, 시간 방향으로 7개의 OFDM 심볼과, 주파수 방향으로 12의 서브캐리어로 나타내어지는 리소스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도 8에서, DMRS는, 사선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된다. 또한, 각각의 DMRS는, 2칩의 직교 부호를 포함하고, 2개까지의 DMRS를 부호 분할 다중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107 및 108)의 DMRS는, 각각의 슬롯에서의 OFDM 심볼 번호 5 및 6이며, 서브캐리어 번호 0, 5 및 10인 RE에 매핑된다. 안테나 포트(109 및 110)의 DMRS는, 각각의 슬롯에서의 OFDM 심볼 번호 5 및 6이며, 서브캐리어 번호 1, 6 및 11인 RE에 매핑된다. 여기서, 제1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는, 도 8에서 설명한 DMRS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일례는, 도 8에서 설명한 DMRS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는, 제1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제2 EPDCCH를 송신할 수 없는 OFDM 심볼에 DMRS가 포함되는 경우, 그 DMRS는 송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롯 1에서의 OFDM 심볼 #0 내지 6의 부분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는, 슬롯 1에서의 OFDM 심볼 #5 및 6에만 매핑되고, 슬롯 0에서의 OFDM 심볼 #5 및 6에만 매핑되지 않는다. 또한, 2칩의 직교 부호가 매핑되는 2개의 OFDM 심볼 중 어느 한쪽의 OFDM 심볼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 그 DMRS는 송신되지 않는다고 상정된다.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다른 일례는,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에 따라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구성에 따라,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가 매핑되는 RE가 각각 규정된다.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구성은, 소정수의 패턴을 미리 규정할 수 있다. 즉,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도, 마찬가지로 소정수의 패턴을 미리 규정할 수 있다.
도 9는, 제1 부분 서브 프레임에 사용되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사선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RE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가 매핑되는 RE를 나타낸다. 점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RE는,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지 않는 RE(OFDM 심볼)를 나타낸다. 즉, 도 9의 (a)에서는, 슬롯 0의 OFDM 심볼 #0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며, 도 9의 (b)에서는, 슬롯 0의 OFDM 심볼 #3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며, 도 9의 (c)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0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며, 도 9의 (d)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0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며, 도 9의 (e)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3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따라,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은 각각 규정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부분 서브 프레임에 사용되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사선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RE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가 매핑되는 RE를 나타낸다. 점으로 음영으로 나타낸 RE는,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지 않는 RE(OFDM 심볼)를 나타낸다. 즉, 도 10의 (a)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6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이며, 도 10의 (b)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3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이며, 도 10의 (c)에서는, 슬롯 1의 OFDM 심볼 #1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이며, 도 10의 (d)에서는, 슬롯 0의 OFDM 심볼 #6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이며, 도 10의 (e)에서는, 슬롯 0의 OFDM 심볼 #4가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에 따라,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은 각각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서브 프레임에 사용되는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DMRS의 구성은, DwPTS에서 사용되는 DMRS의 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EPDCCH는, 스케줄링 할당을 운반한다. 1개의 EPDCCH는 1개 또는 몇 개의 연속하는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체(애그리게이션)를 사용해서 송신된다. 여기서, 각 ECCE는 복수의 EREG를 포함한다. 1개의 EPDCCH를 위해서 사용되는 ECCE의 수는, 그 EPDCCH의 포맷과, ECCE마다의 EREG의 수에 의존한다. 국소적 송신과 분산적 송신의 양쪽이 서포트된다. 1개의 EPDCCH는, ECCE의 EREG 및 PRB 페어에의 맵핑이 상이한 국소적 송신과 분산적 송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EPDCCH는, EPDCCH 세트마다 국소적 송신과 분산적 송신 중 어느 하나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제2 EPDCCH는, 모든 EPDCCH 세트에 대하여 국소적 송신과 분산적 송신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EPDCCH는, 모든 EPDCCH 세트에 대하여 분산적 송신을 미리 규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단말 장치가 EPDCCH 송신을 모니터하는 1개 또는 2개의 PRB 페어의 설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위층에 의해 설정되도록, EPDCCH 세트 Xm에서의 모든 EPDCCH 후보는, 국소적 송신만 또는 분산적 송신만을 사용한다. 서브 프레임 i의 EPDCCH 세트 Xm에 있어서, EPDCCH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ECCE는, 0부터 NECCE , m, i-1까지의 번호가 매겨진다. 여기서, NECCE , m, i는 서브 프레임 i의 EPDCCH 세트 Xm에서의 EPDCCH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ECCE의 수이다. 번호 n의 ECCE는, 국소적 맵핑의 경우, 인덱스가 floor(n/NRB ECCE)인 PRB 중의(n mod NRB ECCE)+jNRB ECCE의 번호가 매겨진 EREG에 대응하고, 분산적 맵핑의 경우, 인덱스가 (n+j max(1, NXm RB/NECCE EREG))mod NXm RB인 PRB 중의 floor(n/NXm RB)+jNRB ECCE의 번호가 매겨진 EREG에 대응한다. 여기서, j=0, 1, …, NECCE EREG-1이며, NECCE EREG은 ECCE당 EREG의 수이다. 또한, NRBECCE은 16/NECCE EREG과 동등하고, PRB 페어당 ECCE의 수이다. 또한, floor와 mod와 max는 각각 바닥 함수와 잉여 함수(mod 함수)와 최댓값 함수(max 함수)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EPDCCH 세트 Xm를 구성하는 PRB 페어는, 0부터 NXm RB-1까지 오름차순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EPDCCH에 있어서, NECCE EREG은, CP와 서브 프레임의 타입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통상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의 경우, 또는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NECCE EREG은 4이다.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즉 DwPTS가 6개 이상이면서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확장의 CP이면서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경우, 또는 확장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1, 2, 3, 5 또는 6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즉 DwPTS가 6개 이상이면서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NECCE EREG은 8이다.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의 일례는, NECCE EREG은 미리 규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은, 제1 EPDCCH에 있어서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와 동일하여, 8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은, 1개의 리소스 블록 페어를 포함하는 EREG의 수와 동일하여, 16이다.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이 다른 일례는, NECCE EREG은, 검출된다(상정되는, 모니터링되는) 제2 EPDCCH에서의 nEPDCCH(후술)에 의존해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에서의 nEPDCCH가 소정수 이상인 경우, NECCE EREG은 4(또는 8)이며, 그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8(또는 16)이다. 그 소정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셀 고유 또는 단말 고유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소정수는, 제1 EPDCCH에서 사용되는 소정수와 동일하여, 104이다. 또한, 예를 들어 그 소정수는, 제1 EPDCCH에서 사용되는 소정수와 상이해도 된다.
또한, nEPDCCH에 대한 소정수가 복수개 규정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에서의 nEPDCCH가 제1 소정수 이상인 경우, NECCE EREG은 4이며, 제2 소정수 이상이며 제1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8이며, 제2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16이다. 예를 들어, 제1 소정수는, 제1 EPDCCH에서 사용되는 소정수와 동일하여, 104이다. 제2 소정수는, 제1 소정수보다도 작은 값이다.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의 다른 일례는, NECCE EREG은, 검출되는(상정되는, 모니터링되는) 제2 EPDCCH에서의 OFDM 심볼의 수에 의존해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에서의 OFDM 심볼의 수가 소정수 이상인 경우, NECCE EREG은 4(또는 8)이며, 그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8(또는 16)이다. 그 소정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셀 고유 또는 단말 고유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OFDM 심볼의 수에 대한 소정수가 복수개 규정 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에서의 OFDM 심볼의 수가 제1 소정수 이상인 경우, NECCE EREG은 4이며, 제2 소정수 이상이며 제1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8이며, 제2 소정수보다도 작은 경우, NECCE EREG은 16이다. 예를 들어, 제2 소정수는, 제1 소정수보다도 작은 값이다.
제2 EPDCCH에서의 NECCE EREG의 다른 일례는, 제1 EPDCCH와 마찬가지로, CP와 서브 프레임의 타입에 기초해서 결정되지만, NECCE EREG은 제1 EPDCCH에 대하여 2배의 값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통상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의 경우, 또는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NECCE EREG은 8이다. 통상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즉 DwPTS가 6개 이상이면서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확장의 CP이면서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경우, 또는 확장의 CP이면서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이 1, 2, 3, 5 또는 6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즉 DwPTS가 6개 이상이면서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NECCE EREG은 16이다.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그 대응은,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각각 상이하게 규정할 수 있다.
제1 EPDCCH에 있어서,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은, 케이스 A와 케이스 B의 복수의 케이스를 규정할 수 있다. 케이스 A는, 후술하는 케이스 1에 대응하는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사용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케이스 B가 사용된다. 케이스 A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국소적 송신의 경우, 2, 4, 8 및 16이며, 분산적 송신의 경우, 2, 4, 8, 16 및 32이다. 케이스 B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국소적 송신의 경우, 1, 2, 4 및 8이며, 분산적 송신의 경우, 1, 2, 4, 8 및 16이다. 즉, 케이스 A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케이스 B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EPDCCH에서의 EREG 각각에 사용되는 RE의 수가 적은 경우에도,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크게 함으로써, EPDCCH에 대한 소정의 수신 특성이 얻어진다.
특정한 단말 장치에 대한 수량인 nEPDCCH는, EPDCCH 세트 X0(2개까지의 EPDCCH 세트 중 최초의 EPDCCH 세트)의 EPDCCH 송신을 위해서 설정된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하기의 (a1) 내지 (a4)의 기준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충족하는 하향 링크 RE의 수로서 정의된다.
(a1) 그 PRB 페어 내의 16개의 EREG 중 어느 하나의 일부이다.
(a2) 그 단말 장치에 의해 CRS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상정된다. 여기서, CRS의 안테나 포트수와 주파수 시프트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다른 값이 제공되지 않는 한, 그 서빙 셀에서의 이들의 파라미터(PBCH와 동일한 안테나 포트 설정에 의한 안테나 포트수 및 물리 셀 식별자에 기초해서 얻어지는 주파수 시프트)에 의해 CRS의 위치가 부여된다. 반대로, 단말 장치에 상위층 파라미터인 re-MappingQCL-ConfigID-r11에 의해 이들의 파라미터의 조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CRS의 위치가 결정된다.
(a3) 그 단말 장치에 의해 CSIRS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상정된다. 여기서, 그 서빙 셀에서의 제로 전력 CSIRS의 설정(제로 전력 CSIRS를 위한 설정에 대하여 다른 값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과 비제로 전력 CSIRS의 설정에 의해 CSIRS의 위치가 부여된다. 반대로, 단말 장치에 상위층 파라미터인 re-MappingQCL-ConfigID-r11에 의해 제로 전력 CSIRS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CSIRS의 위치가 결정된다.
(a4) 서브 프레임 중의 제1 슬롯 내의 인덱스 l이 lEPDCCHStart 이상일 것을 충족한다. 즉, 1개의 서브 프레임 중에서 lEPDCCHStart 이후의 OFDM 심볼 상의 RE에 매핑된다. 여기서, l은, 슬롯 내의 OFDM 심볼에 매겨지는 인덱스이며, 슬롯 내의 선두의 OFDM 심볼로부터 순서대로, 시간 방향에 있어서 0부터 오름차순으로 매겨진다. lEPDCCHStart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EPDCCH에 있어서,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의 일례는, 제1 EPDCCH와 동일하다.
제2 EPDCCH에 있어서,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의 다른 일례는, 1개의 케이스가 미리 규정된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에 있어서,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은, 케이스 A가 미리 규정된다.
제2 EPDCCH에 있어서, EPDCCH 포맷과 EPDCCH당 ECCE의 수(애그리게이션 레벨)와의 대응의 다른 일례는, 케이스 A와 케이스 B와 케이스 C의 복수의 케이스를 규정할 수 있다. 케이스 A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과 케이스 B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제1 EPDCCH와 동일하다. 케이스 C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케이스 A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C에서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국소적 송신의 경우, 4, 8, 16 및 32이며, 분산적 송신의 경우, 4, 8, 16, 32 및 64이다.
또한, 특정한 단말 장치에 대한 수량인 nEPDCCH의 일례는, nEPDCCH가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각각 독립적이다. 제1 EPDCCH에서, nEPDCCH는, 제1 EPDCCH에서의 EPDCCH 세트 X0(2개까지의 EPDCCH 세트 중 최초의 EPDCCH 세트)의 EPDCCH 송신을 위해서 설정된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상기 (a1) 내지 (a4)의 기준 모두를 충족하는 하향 링크 RE의 수로서 정의된다. 또한, 제2 EPDCCH에서, nEPDCCH는, 제2 EPDCCH에서의 EPDCCH 세트 X0(1개 이상의 EPDCCH 세트 중 최초의 EPDCCH 세트)의 EPDCCH 송신을 위해서 설정된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상기 (a1) 내지 (a4)의 기준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충족하는 하향 링크 RE의 수로서 정의된다.
또한, 특정한 단말 장치에 대한 수량인 nEPDCCH의 일례는, nEPDCCH가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에서의 nEPDCCH는, 제1 EPDCCH에서의 nEPDCCH와 동일하다. 즉, 제2 EPDCCH에서, nEPDCCH는, 제1 EPDCCH에서의 EPDCCH 세트 X0(2개까지의 EPDCCH 세트 중 최초의 EPDCCH 세트)의 EPDCCH 송신을 위해서 설정된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상기 (a1) 내지 (a4)의 기준의 모두를 충족하는 하향 링크 RE의 수로서 정의된다.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1개의 EPDCCH 상에서 송신되는 비트의 블록인 b(0), …, b(Mbit-1)는, h(i)=(b(i)+c(i))mod 2에 기초하여 스크램블되고, 그 결과 h(0), …, h(Mbit-1)라는 스크램블된 비트의 블록이 된다. 여기서, Mbit는 1개의 EPDCCH에서 송신되는 비트의 수이며, c(i)는 파라미터 cinit로 초기화되는 단말 장치 고유의 스크램블링 계열이다. 이 스크램블링 계열 생성기는, cinit=floor(ns/2)29+nEPDCCH ID, m이다. m은 EPDCCH 세트의 번호이다. ns는 무선 프레임 중의 슬롯 번호이다. nEPDCCH ID , m은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해 EPDCCH 세트마다 설정 가능한 DMRS 스크램블링 초기화 파라미터이며, 0 내지 503 중 어느 1개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스크램블된 비트의 블록인 h(0), …, h(Mbit-1)는 변조되고, 그 결과 d(0), …, d(Msymb-1)라는 복소값 변조 심볼의 블록이 된다. 여기서, Msymb는 1개의 EPDCCH에서 송신되는 변조 심볼의 수이다. EPDCCH의 변조 방법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이다. 복소값 변조 심볼의 블록은 y(i)=d(i)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단일 레이어에 매핑되어 프리코딩된다. 여기서, i=0, …, Msymb-1이며, y는 프리코딩된 변조 심볼이다.
복소값 심볼의 블록인 y(0), …, y(Msymb-1)는 하기의 (m1) 내지 (m4)의 기준 모두를 충족하는 관련된 안테나 포트 상의 RE(k와 l로 정해지는 위치의 RE)에, y(0)부터 스타트해서 순서대로 매핑된다.
(m1) EPDCCH 송신을 위해서 할당된 EREG의 일부이다.
(m2) 그 단말 장치에 의해 CRS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상정된다. 여기서, CRS의 안테나 포트수와 주파수 시프트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다른 값이 제공되지 않는 한, 그 서빙 셀에서의 이들의 파라미터(PBCH와 동일한 안테나 포트 설정에 의한 안테나 포트수 및 물리 셀 식별자에 기초해서 얻어지는 주파수 시프트)에 의해 CRS의 위치가 부여된다. 반대로, 단말 장치에 상위층 파라미터인 re-MappingQCL-ConfigID-r11에 의해 이들의 파라미터의 조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CRS의 위치가 결정된다.
(m3) 그 단말 장치에 의해 CSIRS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상정된다. 여기서, 그 서빙 셀에서의 제로 전력 CSIRS의 설정(제로 전력 CSIRS를 위한 설정에 대하여 다른 값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과 비제로 전력 CSIRS의 설정에 의해 CSIRS의 위치가 부여된다. 반대로, 단말 장치에 상위층 파라미터인 re-MappingQCL-ConfigID-r11에 의해 제로 전력 CSIRS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CSIRS의 위치가 결정된다.
(m4) 서브 프레임 중의 제1 슬롯 내의 인덱스 l이 lEPDCCHStart 이상일 것을 충족한다. 즉, 1개의 서브 프레임 중에서 lEPDCCHStart 이후의 OFDM 심볼 상의 RE에 매핑된다. 여기서, l은, 슬롯 내의 OFDM 심볼에 매겨지는 인덱스이며, 슬롯 내의 선두의 OFDM 심볼로부터 순서대로, 시간 방향에 있어서 0부터 오름차순으로 매겨진다. lEPDCCHStart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테나 포트(P)에서의 상기 기준을 충족하는 RE(k와 l로 정해지는 위치의 RE)에의 맵핑은, 인덱스 K가 앞이고 그 후에 인덱스 l에 대하여 오름차순(k와 l이 증가하는 방향)이며, 이것은 서브 프레임에서의 제1 슬롯부터 개시해서 제2 슬롯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안테나 포트(P)는, 논리적인 안테나의 포트이다. 1개의 안테나 포트가 1개의 물리 안테나에 대응해도 되고, 1개의 안테나 포트의 신호가, 실제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의 신호가, 실제는 동일한 물리 안테나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안테나 포트가 동일하면, 동일한 채널 특성이 얻어진다. 여기에서는, 안테나 포트 0부터 3까지가 CRS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며, 안테나 포트 4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용 참조 신호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며, 안테나 포트 5 및 7부터 14까지가 PDSCH에 관련된 단말 장치 고유 참조 신호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며, 안테나 포트 107부터 110까지가 EPDCCH에 관련된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며, 안테나 포트 6이 포지셔닝 참조 신호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며, 안테나 포트 15부터 22까지가 CSIRS의 송신에 관련하는(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이다.
국소적 송신에서는, 사용하는 단일한 안테나 포트(P)는, n'=nECCE , low mod NRB ECCE+nRNTI mod min(NEPDCCH ECCE, NRB ECCE)에서 산출되는 n'와 하기의 (n1) 내지 (n4)에서 부여된다. 여기서, nECCE , low는 그 EPDCCH 세트에서의 이 EPDCCH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최저의 ECCE 인덱스이며, nRNTI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의 하나인 C-RNTI(Cell-RNTI)와 동등하다. 또한, NEPDCCH ECCE는 이 EPDCCH를 위해서 사용된 ECCE의 수이다. 또한, min은 최댓값 함수(max 함수)이다.
(n1) 통상의 CP,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0은 P=107에 대응한다. 통상의 CP,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0은 P=107에 대응한다. 확장 CP의 경우, 어느 서브 프레임 타입이든, n'=0은 P=107에 대응한다.
(n2) 통상의 CP,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1은 P=108에 대응한다. 통상의 CP,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1은 P=109에 대응한다. 확장 CP의 경우, 어느 서브 프레임 타입이든, n'=1은 P=108에 대응한다.
(n3) 통상의 CP,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2는 P=109에 대응한다.
(n4) 통상의 CP, 또한 통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의 경우, n'=3은 P=110에 대응한다.
분산적 송신에서는, 1개의 EREG에서의 각 RE는 안테나 포트 107부터 스타트해서, 교대로 하는 규칙에 따라, 2개의 안테나 포트 중 1개에 관련지어진다. 여기서, 통상의 CP에서는, 2개의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107과 안테나 포트 109이며, 확장 CP에서는, 2개의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107과 안테나 포트 108이다.
각각의 서빙 셀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는 UE에 대하여,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1개 또는 2개의 EPDCCH-PRB 세트(EPDCCH가 배치될 수 있는 PRB 페어의 집합, EPDCCH 세트라고도 칭함)를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EPDCCH-PRB 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PRB 페어(1개의 EPDCCH-PRB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의 개수 및 그 EPDCCH-PRB 세트가 어느 PRB 페어에 대응하는가)도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 나타내어진다. 각각의 EPDCCH-PRB 세트는, 0번부터 NECCE , p, k-1번까지의 번호가 매겨진 ECCE의 조(set)를 포함한다. 여기서, NECCE , p, k-1은 서브 프레임 k에서의 EPDCCH-PRB 세트 p(p+1번째의 EPDCCH-PRB 세트, p는 0 또는 1) 내의 ECCE의 수이다. 각각의 EPDCCH-PRB 세트는, 국소적 EPDCCH 송신이나 분산적 EPDCCH 송신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국소적 EPDCCH 송신이 설정된 EPDCCH-PRB 세트에서는, 1개의 EPDCCH가 주파수 방향으로 비교적 국소적으로 배치되고, 분산적 EPDCCH 송신이 설정된 EPDCCH-PRB 세트에서는, 1개의 EPDCCH가 주파수 방향으로 비교적 분산적으로 배치된다.
EPDCCH 세트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와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는 각각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어떤 서빙 셀에 있어서,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와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가 동시에 설정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는, 종래의 LTE를 사용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설정되고,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는, LAA 셀에 대하여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이, 그 서빙 셀에 있어서, 종래의 LTE와 마찬가지로 1 서브 프레임을 시간 방향의 단위로 하는 방법(모드)이 설정되는 경우,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가 설정되고, 1 슬롯을 시간 방향의 단위로 하는 방법(모드)이 설정되는 경우,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가 설정된다.
또한, 단말은, 어떤 서빙 셀에 있어서,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와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가 동시에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LAA 셀에 있어서, 부분 서브 프레임에서는,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기초하여 제1 EPDCCH가 모니터링되고, 풀 서브 프레임에서는,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기초하여 제2 EPDCCH가 모니터링된다.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와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서 각각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설정되는 일례는, 1개의 EPDCCH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를 설정할 수 있는 수이다. 예를 들어,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있어서, 1개의 EPDCCH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를 설정할 수 있는 수는, 2, 4 또는 8이다.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있어서, 1개의 EPDCCH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를 설정할 수 있는 수는,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대하여 2배가 되는, 4, 8 또는 16이다. 또한,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 있어서, 상정되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또는 엔드 심볼에 따라, 1개의 EPDCCH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의 수가 정해지도록 규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가 적어질수록, 1개의 EPDCCH 세트에 대응하는 PRB 페어의 수가 많아지도록 규정된다.
제1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와 제2 EPDCCH를 위한 EPDCCH 세트에서 각각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설정되는 일례는, 부분 서브 프레임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 또는 그 후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또한,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의 일례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EPDCCH 세트마다에 대해서 독립 또는 공통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0부터 6과, 슬롯 1의 OFDM 심볼 #0부터 6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0부터 6과, 슬롯 1의 OFDM 심볼 #0부터 6 중에서 소정수가 미리 후보로서 규정되고, 그 후보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0 또는 슬롯 1의 OFDM 심볼 #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초기 신호를 검출한 OFDM 심볼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초기 신호를 검출한 OFDM 심볼, 또는 초기 신호를 검출한 OFDM 심볼로부터 소정수 후의 OFDM 심볼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복수의 후보가 규정 또는 설정된 OFDM 심볼이며, 초기 신호를 검출한 OFDM 심볼 이후의 바로 근처의 OFDM 심볼이다.
또한,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의 일례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EPDCCH 세트마다에 대하여 독립 또는 공통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0부터 6과, 슬롯 1의 OFDM 심볼 #0부터 6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0부터 6과, 슬롯 1의 OFDM 심볼 #0부터 6 중에서 소정수가 미리 후보로서 규정되고, 그 후보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로서, 슬롯 0의 OFDM 심볼 #6 또는 슬롯 1의 OFDM 심볼 #6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그 버스트에서의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그 버스트에서의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과, 그 버스트의 최대 길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그 버스트에서의 초기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어 정보는,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그 부분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소정의 채널 및/또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단말 장치는, 제어 정보를 위해서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도록, 1개 이상이 유효한 서빙 셀에 있어서 EPDCCH 후보의 조를 모니터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모니터하는 것)이란, 모니터되는 DCI 포맷에 따라, EPDCCH 후보의 조에서의 EPDCCH의 각각의 디코드를 시행하는 것을 암시적으로 의미하고 있다. EPDCCH의 USS(UE-specific Search Space)에 있어서, 모니터해야 할 EPDCCH 후보의 조가 규정된다. 여기서 USS는, 단말 장치 고유로 설정되는 논리적인 영역이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이다. 모니터링은, 블라인드 검출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복수의 OFDM 심볼의 후보로부터 단말에 의해 블라인드 검출(모니터링)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에 대해서, 복수의 후보가 규정 또는 설정되고, 그러한 후보가 되는 OFDM 심볼에 기초하여 송신되었다고 상정되는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즉, 제2 EPDCCH 후보의 조에서의 제2 EPDCCH 각각은, 상정되는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이 독립적으로 해도 된다(상이해도 된다).
각각의 서빙 셀에 대하여, UE가 EPDCCH USS를 모니터하는 서브 프레임은, 상위층에 의해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 타임(간헐 수신에 의한 비활성 타이머 기동 기간이 아닌 기간, 비수신 기간이 아닌 기간, 단말 장치가 기동되고 있는 총 기간) 중이며, FDD 하프 듀플렉스 단말 장치를 위한 상향 링크 송신이 요구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며, 또한 메저먼트 갭의 일부가 아닌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상위층은 EPDCCH의 모니터링을 설정한다. 여기서, 간헐 수신이란, 단말 장치의 배터리 소비 적정화를 위해서,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단말 장치가 기동하고 있을(활성 상태일) 필요가 없는(비활성이어도 되는) 동작이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하프 듀플렉스 단말 장치란, FDD 밴드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과 하향 링크 수신을 동시에(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행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단말 장치이다. 또한, 메저먼트 갭이란, 모빌리티(핸드 오버)를 위한 메저먼트(서빙 셀 이외의 셀의 수신 전력 측정)를 행하기 위해서, 서빙 셀에서의 송수신을 정지하는 기간이며, 메저먼트 갭의 패턴은 RRC에 의해 설정된다.
단말 장치는, 하기 (e1) 내지 (e4)의 경우에는 EPDCCH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e1) TDD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 있어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0 및 5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DwPTS 내의 OFDM 심볼수가 6개보다 적은 스페셜 서브 프레임)일 경우.
(e2) TDD 또한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 있어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0, 4 및 7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DwPTS 내의 OFDM 심볼수가 6개보다 적은 스페셜 서브 프레임)일 경우.
(e3) 상위층에 의해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의 디코드가 지시된 서브 프레임일 경우.
(e4) TDD 또한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에서 서로 다른 UL/DL 설정이 설정되며, 세컨더리 셀에서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으로서, 프라이머리 셀에서의 동일한 서브 프레임이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고, 단말 장치가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에서 동시 송수신하는 능력이 없을 경우.
여기서,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란, 1개의 서브 프레임 중에 하향 링크 송신을 행하는 영역(DwPTS)과 가드 피리어드(GP)와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하는 영역(UpPTS)의 순서로 3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이며,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과 CP 길이에 의해 DwPTS와 GP와 UpPTS의 길이가 일의적으로 정해진다. PMCH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이며, MBSFN 서브 프레임에서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은 하기의 10개의 설정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0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 있어서 DwPTS는 6592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768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DwPTS는 3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1976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048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DwPTS에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9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8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2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1952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304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0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9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4144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560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1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0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4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6336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192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256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768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2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3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5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6592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048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3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8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6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1976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304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9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7)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1952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한편,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12800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0개, 확장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5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8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24144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11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9에서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wPTS는 13168 샘플이며, UpPTS는 통상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4384 샘플, 확장의 상향 링크 CP에서는 5120 샘플이다. DwPTS는 통상의 하향 링크 CP의 경우에는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UpPTS는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UpPTS가 1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그 1개의 SC-FDMA 심볼을 사용해서 상향 링크의 사운딩을 위한 참조 신호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UpPTS가 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그 2개의 SC-FDMA 심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의 CP에 있어서, 통상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통상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14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확장의 CP에 있어서, 통상의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통상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은 12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UL/DL 설정은 하기의 7개의 설정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UL/DL 설정 0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10 서브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5 서브 프레임(5밀리 초)이다.
UL/DL 설정 1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5 서브 프레임이다.
UL/DL 설정 2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5 서브 프레임이다.
UL/DL 설정 3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10 서브 프레임(10밀리 초)이다.
UL/DL 설정 4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10 서브 프레임이다.
UL/DL 설정 5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10 서브 프레임이다.
UL/DL 설정 6에서는, 1개의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0부터 서브 프레임 9가, 순서대로 각각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스페셜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이다. 하향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의 변환점의 주기는 5 서브 프레임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UL/DL 설정이 UL/DL 설정 5일 경우, 2개보다 많은 서빙 셀은 설정되지 않는다.
애그리게이션 레벨 L에서의 EPDCCH의 USS인 ES(L) k는 EPDCCH 후보의 조에 의해 규정된다. 여기서 L은 1, 2, 4, 8, 16 및 32 중 어느 하나이다. 1개의 EPDCCH-PRB 세트 p에 대하여 서치 스페이스 ES(L) k의 EPDCCH 후보 m에 대응하는 ECCE는, L((Yp , k+floor(mNECCE , p, k/(LM(L) p))+b)mod(floor(NECCE , p, k/L)))+i로 부여된다. 여기서, i=0, …, L-1이다. 또한,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대하여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b는 CIF의 값이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b=0이다. 또한, m=0, 1, …, M(L) p-1이다.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대하여 CIF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M(L) p는 EPDCCH가 모니터되는 그 서빙 셀에서의 EPDCCH-PRB 세트 p 내의 애그리게이션 레벨 L에서 모니터해야 할 EPDCCH의 수이다. 그 이외의 경우, M(L) p는 CIF의 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서빙 셀에서의 EPDCCH-PRB 세트 p 내의 애그리게이션 레벨 L에서 모니터해야 할 EPDCCH의 수이다. 여기서, CIF란, DCI 포맷 내의 필드이며, CIF의 값은 DCI 포맷이 어느 서빙 셀의 PDSCH 송신, PUSCH 송신 또는 랜덤 액세스 수속에 대응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 중 어느 하나 대응하는 서빙 셀 인덱스와 동일한 값을 취한다.
동일한 서브 프레임 내에서, 어떤 EPDCCH 후보에 대응하는 ECCE가, PBCH,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또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송신과 주파수 상에서 오버랩하는 PRB 페어에 매핑될 경우, 단말 장치는 그 EPDCCH 후보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가 2개의 EPDCCH-PRB 세트에 동일한 값의 nEPDCCH ID , i가 설정되어 있고, 그 단말 장치가 한쪽의 EPDCCH-PRB 세트에 대응하는 어떤 DCI 페이로드 사이즈의 EPDCCH 후보이며, 어떤 RE의 조에 매핑되는 EPDCCH 후보를 수신하고, 또한 그 단말 장치가 다른 쪽의 EPDCCH-PRB 세트에 대응하는 동일한 DCI 페이로드 사이즈의 EPDCCH 후보이며, 동일한 RE의 조에 매핑되는 EPDCCH 후보를 모니터하는 것도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며, 또한 수신된 EPDCCH의 최초의 ECCE의 번호가 HARQ-ACK 송신을 위한 PUCCH 리소스의 결정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최초의 ECCE의 번호는 p=0의 EPDCCH-PRB 세트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여기서, nEPDCCH ID , i는, EPDCCH에 관련하는 DMRS(Demoduration Reference Signal)의 의사 랜덤 계열 생성의 초기화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며, 상위층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i는 0 또는 1의 값을 취하고, DMRS에 관련하는 EPDCCH가 어느 EPDCCH 세트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즉, p와 거의 동의이다.
Yp , k는 Yp , k=(ApYp , k- 1)modD로 정의된다. 여기서, Yp , -1은 물리층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식별자인 RNTI의 값이며, A0은 39827이며, A1은 39829이며, D는 65537이며, k=floor(ns/2)이다. 즉, 각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하기 때문에, k는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 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EPDCCH-PRB 세트에 포함되는 PRB수와 애그리게이션 레벨과 모니터되는 EPDCCH 후보의 수와의 대응을 규정할 수 있다. 서치 스페이스와 모니터되는 EPDCCH 후보의 수를 규정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여기서, NXp RB는, EPDCCH-PRB 세트 p를 구성하는 PRB 페어의 수이다.
여기서, 서치 스페이스와 모니터되는 EPDCCH 후보의 수를 규정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은, (1) 단말 장치에 분산적 송신을 위한 1개만의 EPDCCH-PRB가 설정되는 경우, (2) 단말 장치에 국소적 송신을 위한 1개만의 EPDCCH-PRB가 설정되는 경우, (3) 단말 장치에 분산적 송신을 위한 2개의 EPDCCH-PRB가 설정되는 경우, (4) 단말 장치에 국소적 송신을 위한 2개의 EPDCCH-PRB가 설정되는 경우, (5) 단말 장치에 분산적 송신을 위한 1개의 EPDCCH-PRB와 국소적 송신을 위한 1개의 EPDCCH-PRB가 설정되는 경우에 각각 독립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p1은 국소적 EPDCCH-PRB 세트를 식별하는 부호이며, p1은 국소적 EPDCCH-PRB 세트를 식별하는 부호이며, p2는 분산적 EPDCCH-PRB 세트를 식별하는 부호이다. 즉, NXp1 RB는 국소적 EPDCCH-PRB 세트를 구성하는 PRB 페어의 수이며, NXp2 RB는 분산적 EPDCCH-PRB 세트를 구성하는 PRB 페어의 수이다. 또한, M(L) p1은 국소적 EPDCCH-PRB 세트 내의 애그리게이션 레벨 L에서 모니터해야 할 EPDCCH의 수이며, M(L) p2는 분산적 EPDCCH-PRB 세트 내의 애그리게이션 레벨 L에서 모니터해야 할 EPDCCH의 수이다.
EPDCCH-PRB 세트에 포함되는 PRB수와 애그리게이션 레벨과 모니터되는 EPDCCH 후보의 수와의 대응에 대하여, 하기 (c1) 내지 (c4)의 경우에는 케이스 1이, 하기 (c5) 내지 (c7)의 경우에는 케이스 2가, (c8)의 경우에는 케이스 3이 각각 적용된다.
(c1) 통상의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CI 포맷 2, 2A, 2B, 2C, 2D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되고, 또한 MDLRB가 25 이상인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많고, 또한 DCI 포맷의 페이로드 사이즈가 매우 큰 경우.
(c2)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즉, DwPTS가 11개 이상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에서, DCI 포맷 2, 2A, 2B, 2C, 2D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되고, 또한 MDLRB가 25 이상인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많고, 또한 DCI 포맷의 페이로드 사이즈가 매우 큰 경우.
(c3) 통상의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에서, DCI 포맷 1A, 1B, 1D, 1, 2, 2A, 2B, 2C, 2D, 0 또는 4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되고, 또한 nEPDCCH가 104보다 작은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매우 적은 경우.
(c4)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또는 8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즉, DwPTS가 11개 이상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에서, DCI 포맷 1A, 1B, 1D, 1, 2, 2A, 2B, 2C, 2D, 0 또는 4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되고, 또한 nEPDCCH가 104보다 작은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매우 적은 경우.
(c5) 통상의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확장의 하향 링크 CP에서, DCI 포맷 1A, 1B, 1D, 1, 2, 2A, 2B, 2C, 2D, 0 또는 4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될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
(c6)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6, 7 또는 9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통상의 하향 링크 CP(즉, DwPTS가 6개 이상,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에서, DCI 포맷 1A, 1B, 1D, 1, 2, 2A, 2B, 2C, 2D, 0 또는 4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될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
(c7)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3, 5 또는 6의 스페셜 서브 프레임이면서 또한 확장의 하향 링크 CP(즉, DwPTS가 6개 이상, 또한 10개 이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 프레임)에서, DCI 포맷 1A, 1B, 1D, 1, 2, 2A, 2B, 2C, 2D, 0 또는 4 중 어느 하나가 모니터될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
(c8) 상기 (c1) 내지 (c7) 중 어느 것도 아닌 경우. 즉, 1개의 PRB 페어 내에서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RE수가 비교적 많고, 또한 DCI 포맷의 페이로드 사이즈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경우.
여기서, 단말 장치가,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대하여 CIF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MDL RB는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의 NDL RB이다. 단말 장치가,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대하여 CIF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MDL RB는 CIF의 값에 의해 지정되는 서빙 셀의 NDL RB다. 여기서, NDL RB는 하향 링크 대역폭 설정이며, 주파수 방향의 리소스 블록 사이즈의 배수 단위로 표현된다. 바꾸어 말하면, NDL RB는 서빙 셀에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내의 주파수 방향에서의 총 리소스 블록수이다. 또한, DCI 포맷 1A, 1B, 2D, 1은, 1개의 PDSCH를 사용해서 1개의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 가능한 송신 모드에서 사용되는 DCI 포맷이며, 각각 송신 다이버시티, 단일 포트를 사용한 폐루프 공간 다중, 멀티유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이라는 PDSCH 송신 방법에 사용된다. 또한, DCI 포맷 2, 2A, 2B, 2C, 2D는, 1개의 PDSCH를 사용해서 2개까지의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 가능한 송신 모드에서 사용되는 DCI 포맷이며, 각각 폐루프 공간 다중, 대 지연 CDD(Cyclic Delay Diversity), 2 레이어 송신, 8 레이어 이하 송신, 및 8 레이어 이하 송신이라는 PDSCH 송신 방법에 사용된다. 또한, DCI 포맷 2, 2A는 또한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에, DCI 포맷 2B, 2C, 2D는 또한 단일 안테나 포트의 PDSCH 송신 방법에도 사용된다. 또한, DCI 포맷 0 및 4는, 각각 1개의 PUSCH를 사용해서 1개 및 2개까지의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 가능한 송신 모드에서 사용되는 DCI 포맷이며, 각각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 및 폐루프 공간 다중이라는 PDSCH 송신 방법에 사용된다.
또한, 송신 모드란,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서 시그널링된 PDSCH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 장치에 준 정적으로 설정되는 모드이다. 송신 모드는, 하기의 송신 모드 1 내지 송신 모드 1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송신 모드 1은,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0에 의한 송신)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1A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2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1A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3은, 대 지연 CDD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2A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4는, 폐루프 공간 다중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2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5는, 멀티 유저 MIMO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1D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6은, 단일 포트를 사용한 폐루프 공간 다중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1B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7은,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5에 의한 송신)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나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0에 의한 송신) 중 어느 하나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1이 사용된다.
송신 모드 8은, 2 레이어 송신(안테나 포트 7 및 안테나 포트 8에 의한 송신)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나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0에 의한 송신) 중 어느 하나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2B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9는, 8 레이어 이하 송신(안테나 포트 7 내지 안테나 포트 14에 의한 송신)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나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0에 의한 송신) 중 어느 하나(단, MBSFN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 7에 의한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2C가 사용된다.
송신 모드 10은, 8 레이어 이하 송신(안테나 포트 7 내지 안테나 포트 14에 의한 송신)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나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안테나 포트 0에 의한 송신) 중 어느 하나(단, MBSFN 서브 프레임의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 7에 의한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의 PDSCH 송신 방법이 사용되고, DCI 포맷 1 또는 2C가 사용된다.
또한, 그 외의 송신 모드(예를 들어, 송신 모드 9나 10과 마찬가지의 규정에 의한 송신 모드 11 등)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드 11은, LAA 셀에서 사용되는 DCI 포맷이 사용된다. 송신 모드 11은,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LAA 셀에서의 처리 방법, 부호화 방법, 송신 방법 및/또는 수신 방법이 사용된다.
단말 장치에, CIF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단말 장치는 EPDCCH를 모니터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각 활성화된 서빙 셀에 있어서, 도 X1 내지 도 X10의 대응표에 의해 주어진 각 애그리게이션 레벨에서의 1개의 EPDCCH의 USS를 모니터한다. 단말 장치에, EPDCCH의 모니터링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그 단말 장치에 CIF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활성화된 서빙 셀에 있어서, 도 X1 내지 도 X10의 대응표에 의해 주어진 각 애그리게이션 레벨에서의 1개 이상의 EPDCCH의 USS를 모니터한다. 서빙 셀 c에서의 EPDCCH의 모니터링에 관련하는 CIF가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는, 서빙 셀 c의 EPDCCH의 USS에 있어서, CIF가 설정되고, 또한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가 부가된 EPDCCH를 모니터한다. 프라이머리 셀에서의 EPDCCH의 모니터링에 관련하는 CIF가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는, 프라이머리 셀의 EPDCCH의 USS에 있어서, CIF가 설정되고, 또한 SPS-RNTI(Semi Persistent Scheduling-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가 부가된 EPDCCH를 모니터한다. 여기서, C-RNTI는 동적인 PDSCH 송신 또는 PUSCH 송신에 관련하는 EPDCCH 송신에 사용되는 RNTI이며, SPS-RNTI는 준 정상적인 PDSCH 송신 또는 PUSCH 송신에 관련하는 EPDCCH 송신에 사용되는 RNTI이다.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CIF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단말 장치는 CIF를 포함하지 않는 EPDCCH를 위해서 EPDCCH의 USS를 모니터하고, 단말 장치에 CIF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CIF를 포함하는 EPDCCH를 위해서 EPDCCH의 USS를 모니터한다. 즉, CIF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EPDCCH가 CIF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서 EPDCCH를 디코드할지, EPDCCH가 CIF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서 EPDCCH를 디코드할지가 정해진다. 단말 장치에,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CIF를 포함하는 EPDCCH를 다른 서빙 셀에 있어서 모니터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세컨더리 셀에서의 EPDCCH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있어서, 그 단말 장치는 적어도 동일한 서빙 셀에 대한 EPDCCH 후보를 모니터한다.
어떤 서빙 셀 상의, CIF를 포함하는 어떤 DCI 포맷 사이즈의,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가 부가된 EPDCCH 후보를 모니터하는 것이 설정된 단말 장치는, 그 DCI 포맷 사이즈로, CIF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에 대응하는 모든 EPDCCH의 USS에 있어서, 그 DCI 포맷 사이즈의 EPDCCH 후보가 그 서빙 셀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고 상정한다.
EPDCCH가 모니터되는 서빙 셀에 대하여, 포지셔닝 참조 신호의 송신 기회가 MBSFN 서브 프레임 내에만 설정되고, 또한 서브 프레임 0에서 사용되는 CP 길이가 통상의 CP일 경우, 단말 장치는, 포지셔닝 참조 신호의 송신 기회의 일부라고 상위층에 있어서 설정된 서브 프레임에서 EPDCCH의 모니터는 요구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안테나 포트 107과 108 중 어느 하나에 관련하는 E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동일한 Cinit의 값이 안테나 포트 107과 108에 사용된다고 상정한다. 단말 장치는, 안테나 포트 109와 110 중 어느 하나에 관련하는 E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동일한 Cinit의 값이 안테나 포트 109와 110에 사용된다고 상정한다.
어떤 서빙 셀에 대하여,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장치가 송신 모드 1 내지 9에 따른 PDSCH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하기의 (s1) 및 (s2)에 따른다.
(s1) 그 단말 장치에 상위층 파라미터인 epdcch-StartSymbol-r1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제1 슬롯 내의 인덱스인 lEPDCCHStart에 의해 부여되는, EPDCCH를 위한 개시 OFDM 심볼(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 EPDCCH가 매핑되는 최초의 OFDM 심볼이며, EPDCCH의 개시 위치라고도 불림)은 그 상위층 파라미터로부터 정해진다. 여기서, 상위층 파라미터인 epdcch-StartSymbol-r11은, EPDCCH 세트마다 개별로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이며, EPDCCH의 개시 OFDM 심볼을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개시 OFDM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위층 파라미터인 epdcch-StartSymbol-r11은, RRC 메시지를 사용해서 설정된다.
(s2) 그 밖의 경우,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제1 슬롯 내의 인덱스인 lEPDCCHStart에 의해 부여되는, EPDCCH를 위한 개시 OFDM 심볼은, NDL RB가 10보다 큰 경우, 그 서빙 셀의 그 서브 프레임에서의 CFI(Control Format Indicator)의 값에 의해 주어지고, NDL RB가 10 이하의 경우, 그 서빙 셀의 그 서브 프레임에서의 CFI의 값에 1을 가산함으로써 부여된다. 여기서 CFI란, 값으로서 1, 2 및 3 중 어느 하나를 취하는 파라미터이며, PCFICH(Physical CFI Channel)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제어 정보이다. CFI는, 1개의 서브 프레임에서 PDCCH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에 관한 정보이다.
어떤 서빙 셀에 대하여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장치가 송신 모드 10에 따른 PDSCH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 EPDCCH^PRB 세트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k에서의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개시 OFDM 심볼은, 하기의 (s3)부터 (s6)까지와 같이, 상위층의 파라미터인 pdsch-Start-r11에 따른다. 여기서, 상위층 파라미터인 pdsch-Start-r11은, PDSCH용의 4종류 파라미터 세트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이며, PDSCH의 개시 OFDM 심볼을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개시 OFDM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위층 파라미터인 pdsch-Start-r11은, RRC 메시지를 사용해서 설정된다.
(s3) pdsch-Start-r11의 값이 1, 2, 3 및 4의 조에 속해 있는(값이 1, 2, 3 및 4 중 어느 하나임) 경우, l'EPDCCHStart는 pdsch-Start-r11에 의해 부여된다.
(s4) 그 밖의 경우(pdsch-Start-r11의 값이 1, 2, 3 및 4의 조에 속해 있지 않을 경우), l'EPDCCHStart는, NDL RB가 10보다 큰 경우, 그 서빙 셀의 서브 프레임 k에서의 CFI의 값에 의해 주어지고, l'EPDCCHStart는, NDL RB가 10 이하인 경우, 그 서빙 셀의 서브 프레임 k에서의 CFI의 값에 1을 가산함으로써 부여된다.
(s5) 서브 프레임 k가 상위층 파라미터인 mbsfn-SubframeConfigList-r11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 프레임인, 또는 서브 프레임 k가 TDD용 서브 프레임 구성에서의 서브 프레임 1 또는 6일 경우, lEPDCCHStart는, lEPDCCHStart=min(2, l'EPDCCHStart)에 의해 부여된다.
(s6) 그 밖의 경우(서브 프레임 k가 상위층 파라미터인 mbsfn-SubframeConfigList-r11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닌, 또한 서브 프레임 k가 TDD용 서브 프레임 구성에서의 서브 프레임 1 또는 6이 아닌 경우), lEPDCCHStart는, lEPDCCHStart=l'EPDCCHStart에 의해 부여된다.
어떤 서빙 셀에 대하여,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장치가 송신 모드 1 내지 9에 따른 PDSCH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EPDCCH의 모니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서빙 셀에서의 안테나 포트 0 내지 3과, 107 내지 110이,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스프레드, 평균 지연 및 지연 스프레드에 대해서 의사 콜로케이트라고 상정한다(동일한 송신점으로부터 송신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송신점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서 수신함).
어떤 서빙 셀에 대하여,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장치가 송신 모드 10에 따른 PDSCH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EPDCCH의 모니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 EPDCCH-PRB 세트에 대하여 하기의 (q1) 및 (q2)이 적용된다.
(q1) 그 단말 장치에, 의사 콜로케이션 타입 A에 기초하여 PDSCH를 디코드하는 것이 상위층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서빙 셀에서의 안테나 포트 0 내지 3과, 107 내지 110이,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스프레드, 평균 지연 및 지연 스프레드에 대해서 의사 콜로케이트라고 상정한다.
(q2) 그 단말 장치에, 의사 콜로케이션 타입 B에 기초하여 PDSCH를 디코드하는 것이 상위층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상위층 파라미터인 qcl-CSI-RS-ConfigNZPId-r11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15 내지 22와, 107 내지 110이,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스프레드, 평균 지연 및 지연 스프레드에 대해서 의사 콜로케이트라고 상정한다. 여기서, 상위층 파라미터인 qcl-CSI-RS-ConfigNZPId-r11은, PDSCH용의 4종류 파라미터 세트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이며, PDSCH의 의사 콜로케이션을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PDSCH에 관련하는 단말 고유 참조 신호가 어느 CSIRS와 의사 콜로케이트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위층 파라미터인 qcl-CSI-RS-ConfigNZPId-r11은, RRC 메시지를 사용해서 설정된다.
여기서, 의사 콜로케이션 타입 A와 의사 콜로케이션 타입 B는, 송신 모드 10이 설정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서빙 셀마다 어느 하나가 설정되는 파라미터이며, 타입 A는 안테나 포트 7 내지 14가, 그 서빙 셀의 CRS 안테나 포트 0 내지 3과 의사 콜로케이트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타입 B는 안테나 포트 7 내지 14가, 어느 하나의 CSIRS 안테나 포트 15 내지 22와 의사 콜로케이트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말하면, 타입 B가 설정되는 경우, CSIRS는 반드시 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그 경우, 그 CSIRS와 의사 콜로케이트되는 EPDCCH나 PDSCH는, 통상 그 CSIRS와 동일한 송신점(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에 백홀로 접속된 원격지에서의 돌출 안테나 장치 또는 별도의 기지국 장치)으로부터 송신되어 있다.
어떤 서빙 셀에 대하여,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장치가 송신 모드 10에 따른 PDSCH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EPDCCH의 모니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 EPDCCH-PRB 세트에 대하여 그 단말 장치는 그 EPDCCH의 RE 맵핑 및 안테나 포트 의사 콜로케이션의 결정을 위해서, 상위층의 파라미터인 MappingQCL-ConfigId-r11에 의해 지정되는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파라미터 세트에는, EPDCCH의 RE 맵핑 및 안테나 포트 의사 콜로케이션의 결정을 위한 하기의 (Q1)부터 (Q6)까지의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Q1) crs-PortsCount-r11. crs-PortsCount-r11은, PDSCH나 EPDCCH를 RE의 매핑할 때 사용되는 CRS의 포트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Q2) crs-FreqShift-r11. crs-FreqShift-r11은, PDSCH나 EPDCCH를 RE의 매핑할 때 사용되는 CRS의 주파수 시프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Q3) mbsdn-SubframeConfigList-r11. mbsdn-SubframeConfigList-r11은, PDSCH나 EPDCCH를 RE의 매핑할 때 사용되는 MBSFN 서브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이 파라미터로 MBSFN 서브 프레임으로서 설정된 서브 프레임에서는, PDCCH가 배치될 수 있는 OFDM 심볼에만 CRS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서(PDCCH가 배치되지 않는 OFDM 심볼에는 CRS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서), PDSCH나 EPDCCH가 매핑된다.
(Q4) csi-RS-ConfigZPId-r11. csi-RS-ConfigZPId-r11은, PDSCH나 EPDCCH를 RE의 매핑할 때 사용되는 제로 전력 CSIRS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Q5) pdsch-Start-r11. pdsch-Start-r11은, PDSCH나 EPDCCH를 RE의 매핑할 때 사용되는 개시 OFDM 심볼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Q6) qcl-CSI-RS-ConfigNZPId-r11. qcl-CSI-RS-ConfigNZPId-r11은, PDSCH나 EPDC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어느 CSIRS와 콜로케이트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이 파라미터는, 1개 이상 설정된 CSIRS의 어느 하나의 ID를 지정할 수 있다. PDSCH나 EPDC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는, ID가 지정된 CSIRS와 의사 콜로케이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의 일례는, 그 제2 EPDCCH가 검출된(매핑된)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PDSCH만이다.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의 다른 일례는, 그 제2 EPDCCH가 검출된(매핑된)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PDSCH를 포함한다. PDSCH가 매핑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설정)는 RRC로 설정되어도 되고, 제2 EPDCCH에서 송신하는 DCI를 통해서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는, 1개의 서브 프레임이어도 되고, 복수의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이어서, 제2 EPDCCH에서 스케줄링되는 PDSCH가 부분 서브 프레임에 매핑될 경우에 있어서,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스케줄링하는 제2 EPDCCH에서의 DCI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스케줄링하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스케줄링하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과 동일하다. 또한,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스케줄링하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로부터 산출되는 OFDM 심볼이다. 또한,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스케줄링하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과는 독립적으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그 서브 프레임에 매핑되는 물리 채널 또는 물리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로 정해진다. 또한, 그 PDSCH의 스타트 심볼과 엔드 심볼은, 그 결정의 방법 또는 통지의 방법이 각각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1 EPDCCH 세트에 대한 제1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과, 제2 EPDCCH 세트에 대한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은, 각각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은, 모든 제1 EPDCCH 세트에서 공통으로 설정되고, 비트맵 형식의 정보로 서브 프레임마다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설정된다.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의 일례는, 제1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과 동일하지만,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의 다른 일례는, 단말이 LAA 셀에서의 버스트(하향 링크 버스트 송신)를 검출한 서브 프레임에서,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의 일부는 이하와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는,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과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는,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과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설정할 수 있는 최대의 값은,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설정할 수 있는 최대의 값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설정할 수 있는 값은, 1, 2, 3 또는 4이다.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설정할 수 있는 값은,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설정할 수 있는 값과는 상이한 값을 포함한다.
제1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상위층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초기 신호를 검출한 심볼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예를 들어,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은, 초기 신호를 검출한 심볼과 동일하다.
제1 EPDCCH의 엔드 심볼은,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의 마지막 심볼이다. 제2 EPDCCH의 엔드 심볼은, 상위층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2 E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제2 E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은, 제2 EPDCCH에서의 DCI에 기초해서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는,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는,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4 또는 8을 포함한다.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는 상이한 수를 포함한다.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4, 8 또는 16을 포함한다.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복조 참조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 및/또는 엔드 심볼에 따라서 정해진다.
제2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제1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는, 2, 4 또는 8을 포함한다. 제2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는, 제1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와는 상이한 수를 포함한다. 2, 4, 8 또는 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리 셀이나 PS 셀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들 용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의 프라이머리 셀을 마스터 셀이라 칭할 수도 있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의 PS 셀을 프라이머리 셀이라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2) 및 단말 장치(1)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에서 취급되는 정보는, 그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축적되고, 그 후, Flash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ROM이나 HDD(Hard Disk Drive)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CPU에 의해 판독, 수정·기입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켜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단말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해도 되고, 칩세트로서 실현해도 된다.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2-1) 또는 기지국 장치(2-2)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칩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해서 칩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했을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셀룰러 이동국 장치를 기재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기기, 공조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1)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복조 참조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따라서 정해진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제2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제2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7)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제2 EPDCCH에 관련지어지는 복조 참조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제2 EPDCCH의 스타트 심볼에 따라서 결정된다.
(8)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제2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은, 제1 EPDCCH 세트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의 수 중 최댓값보다도 크다.
(9)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설정하는 스텝과,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스텝을 갖는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10)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서빙 셀에 제1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1 EPDCCH 세트와, 제2 서빙 셀에 제2 E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2 EPDCCH 세트를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스텝과, 제1 EPDCCH와 제2 EPDCCH를 송신하는 스텝을 갖는다.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마다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제1 EPDCCH와 제2 EPDCCH와의 맵핑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EREG는, 제1 EPDCCH와 제2 EPDCCH에서 공통이다.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와, 제1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ECCE 각각을 구성하는 EREG의 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501 : 상위층
502 : 제어부
503 : 코드워드 생성부
504 :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
505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506 : OFDM 신호 송신부
507 : 송신 안테나
508 : 수신 안테나
509 : SC-FDMA 신호 수신부
510 :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
511 :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추출부
601 : 수신 안테나
602 : OFDM 신호 수신부
603 :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처리부
604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
605 :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
606, 1006 : 제어부
607, 1007 : 상위층
608 : 채널 상태 측정부
609, 1009 :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생성부
610 :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
611, 612, 1011 : SC-FDMA 신호 송신부
613, 614, 1013 : 송신 안테나

Claims (18)

  1. 단말 장치(UE)로서,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의 시간의 길이 중 하나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최초의 X개의 OFDM 심볼이,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X는,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가 14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의 양쪽의 6번째 및 7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가 11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의 양쪽의 3번째 및 4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가 9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의 3번째, 4번째, 6번째 및 7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OFDM 심볼은, PDSCH의 송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8의 DwPTS의 시간의 길이에 따를 경우,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당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의 수는 4이고,
    상기 서브 프레임이,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6, 7, 9의 DwPTS의 시간의 길이에 따를 경우,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당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의 수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단말 장치(UE)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의 시간의 길이 중 하나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최초의 X개의 OFDM 심볼이,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X는,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X가 14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의 양쪽의 6번째 및 7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X가 11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의 양쪽의 3번째 및 4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X가 9일 경우, 상기 DMRS는, 제1 슬롯의 3번째, 4번째, 6번째 및 7번째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OFDM 심볼은, PDSCH의 송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3, 4, 8의 DwPTS의 시간의 길이에 따를 경우,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당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의 수는 4이고,
    상기 서브 프레임이, 스페셜 서브 프레임 설정 1, 2, 6, 7, 9의 DwPTS의 시간의 길이에 따를 경우,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당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의 수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7. 단말 장치(UE)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18. 단말 장치(UE)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3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 3)을 사용하는 서빙 셀 상의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서브 프레임 내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프레임 내의 상기 DCI에 포함되는 필드에 따라 OFDM 심볼의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OFDM 심볼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상기 EPDCCH에 관련지어진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OFDM 심볼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
KR1020177033835A 2015-05-15 2016-05-13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80005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9554 2015-05-15
JPJP-P-2015-099554 2015-05-15
PCT/JP2016/064373 WO2016186052A1 (ja) 2015-05-15 2016-05-13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671A true KR20180005671A (ko) 2018-01-16

Family

ID=5731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835A KR20180005671A (ko) 2015-05-15 2016-05-13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88704B2 (ko)
EP (1) EP3297363B1 (ko)
JP (1) JP6843043B2 (ko)
KR (1) KR20180005671A (ko)
CN (1) CN107615854B (ko)
AU (1) AU2016264077B2 (ko)
WO (1) WO20161860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481A1 (ko) * 2018-08-06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시그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iab 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8305A1 (zh) * 2015-07-16 2017-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到终端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10200164B2 (en) 2015-09-22 2019-02-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activa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US10172124B2 (en) 2015-09-22 2019-01-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selec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CA3000508C (en) 2015-10-17 2019-01-22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partial and full subframes
CN108141337B (zh) * 2015-10-29 2021-12-17 苹果公司 在授权辅助接入(laa)中的部分子帧内的(e)pdcch的设计与传输
KR102659447B1 (ko) * 2015-11-03 2024-04-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스케쥴링 방법
JP2019016824A (ja) * 2015-11-27 2019-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548121B2 (en) 2016-02-03 2020-01-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ownlink and uplink channel transmission and monitor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880921B2 (en) 2016-02-0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tection threshold for a wireless network
US10200992B2 (en) 2016-05-06 2019-02-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plink signal starting posi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10417532B (zh) 2016-09-30 2022-03-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表征准共位置参数配置的方法和装置、发射及接收设备
US11147062B2 (en) 2016-10-14 2021-10-1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ual connectivity power control fo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20180124831A1 (en) 2016-10-29 2018-05-03 Ofinno Technologies, Llc Dual connectivity scheduling request fo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10848977B2 (en) 2016-11-02 2020-1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ual connectivity with licensed assisted access
CN108282308B (zh) * 2017-01-06 2022-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设备
AU2017426866B2 (en) 2017-08-10 2023-05-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X2020001526A (es) * 2017-08-11 2020-03-20 5G Ip Holdings Llc Dispositivos y metodos para recepcion discontinua en radio nueva.
SG11202002315RA (en) * 2017-09-14 2020-04-29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0719643B (zh) * 2018-07-12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跨载波调度物理下行共享信道的方法和设备
WO2020013873A1 (en) 2018-07-12 2020-0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i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CN110536425A (zh) * 2018-08-09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基站、终端和通信系统、设备、存储介质
CN111836407B (zh) * 2019-08-09 2023-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处理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CN101860396B (zh) * 2010-06-1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格式指示值的传输方法
US20120282942A1 (en) * 2011-05-02 2012-11-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figuring frequency aggregation
CN103298090B (zh) * 2012-03-02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3391124B (zh) * 2012-05-10 2018-06-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配置方法、反馈方法、基站和终端
KR101443650B1 (ko) * 2012-06-15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기지국
CN103546974B (zh) * 2012-07-11 2017-03-08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Lte系统下行控制信道的配置方法及ue
CN103796327A (zh) * 2012-10-29 201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子帧调度方法、系统及网络设备、终端
EP3509240B1 (en) * 2013-04-03 2022-03-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pdcch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one or more carrier types
EP3024155B1 (en) * 2013-07-14 2018-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ymbol using antenna correl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which supports massive antenna
US9819471B2 (en) * 2013-11-04 2017-11-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LTE TDD with dynamic UL/DL configuration
CN105207754B (zh) * 2014-05-30 2019-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系统
EP3217724B1 (en) * 2014-11-06 2021-03-17 Nec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wireless station, and methods for same
EP3018938B1 (en) * 2014-11-07 2020-09-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ystem for LTE licensed assisted access in unlicensed bands
US11006400B2 (en) * 2015-01-16 2021-05-11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CN105991211B (zh) * 2015-01-28 2020-01-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非授权频段下的参考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10397795B2 (en) * 2015-01-30 2019-08-27 Mediatek Inc. Frame structure and data mapp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JP2016174216A (ja) * 2015-03-16 2016-09-2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2467048B1 (ko) * 2015-04-09 2022-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히든 노드 문제와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점유를 고려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US10314063B2 (en) * 2015-05-12 2019-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daptive partial subfram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ram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EP3297354A4 (en) * 2015-05-14 2018-11-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7022870A1 (en) * 2015-08-03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481A1 (ko) * 2018-08-06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시그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iab 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7363A4 (en) 2019-02-13
AU2016264077A1 (en) 2017-12-14
JPWO2016186052A1 (ja) 2018-03-08
JP6843043B2 (ja) 2021-03-17
CN107615854B (zh) 2022-02-01
EP3297363B1 (en) 2023-04-19
US11388704B2 (en) 2022-07-12
AU2016264077B2 (en) 2020-02-27
CN107615854A (zh) 2018-01-19
WO2016186052A1 (ja) 2016-11-24
US20180295609A1 (en) 2018-10-11
EP3297363A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304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835339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方法
JP701194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721577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612160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80008505A (ko) 단말 장치
US10630447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612156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702277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6121581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