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88B1 -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88B1
KR102257088B1 KR1020190072021A KR20190072021A KR102257088B1 KR 102257088 B1 KR102257088 B1 KR 102257088B1 KR 1020190072021 A KR1020190072021 A KR 1020190072021A KR 20190072021 A KR20190072021 A KR 20190072021A KR 102257088 B1 KR102257088 B1 KR 10225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bell
smartphone
front door
security sys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4261A (en
Inventor
장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07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88B1/en
Publication of KR2020014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벨; 및 상기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system for a front door, comprising: a doorbell attached to an outer side of a front door; And a smartphon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displays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wherein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It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무선 IoT 기반의 현관 보안 시스템{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Entrance security system based on wireless IoT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IoT 기반의 현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장착된 디바이스를 통하여 스마트 홈 내외부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oT-based entrance securi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onitor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a smart home through a device mounted on the entrance door.

1인 가구 세대가 증가함에 따라서, 도심뿐만 아니라 비도심 지역에서도 혼자 집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택배 또는 음식 배달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1인 가구원의 안전에 많은 관심이 모이게 되어, 1인 가구원의 안전을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living alone at home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in non-urban areas is increasing.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courier or food delivery services become active, a lot of attention is paid to the safety of a single household member, and technologies for the safety of a single household member are being developed.

특히, 현관문의 경우,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여 인터폰 시스템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뿐이어서 외부의 상황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함에서 오는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ront door,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can b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and checked through the interphone system, so anxiety caused by not knowing exactly about the outside situation is increasing.

특히 노후화된 아파트 및, 빌라 등에서는 별도의 인터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음성으로만 외부인을 식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세대의 경우에는 어린 자녀가 외부인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aging apartments and villas do not have a separate intercom system, so it is inconvenient to identify outsiders only by voice. Therefore, the demand for safety is increasing.

또한, 2-3층 규모의 저층 주택의 경우, 방문객을 확인하기 위하여 1층으로 내려가야 하는 불편함도 있으며, 주택 소유자가 아닌 세입자로서는 현관에 보안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공사 비용에 대해서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망설이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ow-rise houses with a scale of 2-3 floors,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down to the first floor to check visitors, and tenants who are not homeowners may need the consent of the owner to install a security system at the entrance. In addition, it is a reality to hesitate about building a security system because it can act as a burden for construction cos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쉽게 이해하면서, 스마트 홈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smart home while easil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관문 밖의 외부 상황을 스마트폰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external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through a smartphone.

또한, 현관문 밖의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hrough a smartphone by collecting information outside the front d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벨; 및 상기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system for a front door, comprising: a doorbell attached to an outer side of a front door; And a smartphon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displays image data collected by a camera unit of the doorbell, wherein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It is done.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특정 음역대로 변조되어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may be modulated into a specific sound range and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또한,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 입력된 결제 코드 이미지가 상기 스마트폰에서 결제 요청 정보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결제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yment code image inputted to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is displayed as payment request information in the smartphone, and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 in the smartphone, payment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형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현관문 내부의 가구 또는 가전 기기의 전원을 켜도록 상기 가구 또는 가전 기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a person is detected in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the smartphone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o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to turn on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inside the front door. I can.

또한, 상기 현관 보안 시스템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입력된 택배 물건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택배 물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and the server may identify a parcel product input from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transmit the identified parcel delivery product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현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벨; 상기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현관문의 내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system for a front door, comprising: a doorbell attached to an outer side of the front door; A smartphone connected wirelessly to the doorbell to display image data collected by a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a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front door, and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or the display device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본 발명은 무선 IoT 기반의 현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 외부 측면에 도어벨 기기를 부착함으로써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oT-based entrance security system, and an external situation can be monitored by attaching a doorbell device to the exterior side of the entrance door.

또한,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현관문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ceiving information outside the front door from a smartphone connected wirelessly to the doorbell, various function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현관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도어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현관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현관 모니터링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oor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orbel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oor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diagrams showing entrance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uni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in the'~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ity multimedia card.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ention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that can access a server or 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based terminal, smart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hones and tablet PCs. In addition, the “network” refers to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or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y type of wireless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현관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oor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보안 시스템은 도어벨(100)과 스마트폰(200 또는 201)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orbell 100 and the smart phone 200 or 201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은 기존의 초인종을 업그레이드한 개념으로서, 현관문 등에 간단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종래의 현관문의 경우 철문으로 외부를 볼 수 있는 외시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관문과 별도로 인터폰 시스템 등을 통해서 도어벨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도어벨이 고장난 경우에 그 수리가 불편하였으며, 외시경의 위치가 현관문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키가 작은 어린이가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불편하였다.The doorb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graded concept of an existing doorbell, and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a front door in a simple mann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ront door, an external sight through an iron door is included, and it is common to configure a doorbell through an interphone system separate from the front door. In this case, when the doorbell is broken, it is inconvenient to repair the doorbell, and since the location of the exoscope is attached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front door, it is inconvenient for a small child to monitor the external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은 현관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어벨의 무게에 따라 그 부착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현관문의 재질에 따라서 부착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벨(100)은 현관문에 흡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자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접착제(접착테이프)를 이용하거나 구조적인 체결부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The doorb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door in various ways. The attachment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doorbell, or the attachment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front door. For example, the doorbell 1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door by adsorption, or may be attached with a magnet.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adhesive tape) or a structural fastening part.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은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마트폰(200 또는 201)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200 및 201)에서는 도어벨(10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The doorb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or 201. At least one smartphone 200 and 201 may check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oorbell 100.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 및 스마트폰(2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BT),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의 근거리 무선 방식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어벨(100) 및 스마트폰(200) 간에 별도의 서버를 포함하거나, 공유기 등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doorbell 100 and the smartphon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method such as Bluetooth (BT) and Wi-Fi Direct. Alternatively, a separate serve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doorbell 100 and the smartphone 200 or may be connected by configuring an access point (AP) such as a rou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도어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orbel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은 카메라부(110), 음성출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벨(100)은 그밖에 전원부, 센싱부, 램프부,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oorb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unit 110, an audio output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The doorbell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 sensing unit, a lamp uni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 는 현관문 외부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ollect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The camera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audio or video data outside the front 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블랙박스와 같이 24시간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센싱부, 전원부 등의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a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for 24 hours, such as a black box, and in some cases may be operated through control of a sens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해야 하기 때문에, 피사체(object)에 대한 최적의 촬영을 위하여, 피사체가 현관문 근처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현관문 밖의 조명이 켜진 상태로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mera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collect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for optimal photographing of an object, when the subject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near the front door, the lighting outside the front door is It can be set to shoot while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르는 음성출력부(120)는 현관문 외부의 사람에게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현관문 외부의 사람(예, 택배기사, 배달원 등)과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도어벨소리를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voice data to a person outside the front door. Because communication with people outside the front door (eg, courier, delivery man, etc.) is require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smartphone is output or the door ring sound is output.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BT), 블루투스 저전력(BLE), Wi-Fi Direct(WFD),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a smartphone. The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BT), Bluetooth low power (BLE), Wi-Fi Direct (WFD), and ZigBe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공유기(AP) 등과 연결되어, 다른 가전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벨(100)은 거실 조명, 신발장 조명 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어벨이 동작되는 경우, 거실, 신발장 조명이 on/off 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router (AP) or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other home appliances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the doorbell 100 may be connected to a living room lighting, a shoe rack lighting, etc. through a network, and when the doorbell is operated, the living room and shoe rack lighting may be connected to be turned on/off.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부(미도시)는 현관 외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특성상, 교체가 간단한 전지의 형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관문 내측의 무선 충전 패드에 연결되어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형의 도어벨 사이즈를 고려하여 전지의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power in the form of a battery that is easy to replac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being separate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entranc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at all times by being connected to a wireless charging pad inside the front door, but it is preferable to supply power in the form of a battery in consideration of a small doorbell siz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부(210), 마이크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The smartphon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210, a microphone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210)는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미지 데이터는 일정 시점에서 촬영된 정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동안 촬영된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의 이미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The imag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image including not only a static image captured at a certain point in time, but also a dynamic image captured for a certain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210)는 도어벨을 통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에는, 얼굴 이미지를 식별하여 특정된 사람의 정보, QR 코드 등의 식별을 통한 물건의 정보, 일정 상에 등록된 정보, 메시지 상으로 수집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not only image data collected through a doorbell,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heret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data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a person identified by identifying a face image, information on a product through identification such as a QR code, information registered on a schedule, information collected in a message, and so on. have.

예를 들어, 친척 얼굴 이미지가 도어벨을 통해 촬영된 경우,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내의 얼굴 이미지와 매칭될 수 있으며, 친척으로 식별하여 식별된 친척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relative face image is photographed through a doorbell, the smartphone may match the face image in the smartphone, and may be identified as a relative to display the identified relative information.

다른 예를 들어, 도어벨을 통해 QR코드가 입력된 경우, 스마트폰은 QR코드의 정보로부터 배달 물건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이미지가 식별된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전후로 등록된 방문 일정 등을 통해서 매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a QR code is input through a doorbell, the smartphone may specify the delivered product from the information of the QR code. In addition, the smartphone may output matched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through a visit schedule registered befor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mage is identified.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부(220)는 도어벨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부(220)는 도어벨의 물리 버튼이 눌러진 이후에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 버튼과 무관하게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microphone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input voice data output through a doorbell. The microphone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be operated after the physical button of the doorbell is pressed, and in some cases, it may be set to operate regardless of the physical butt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폰(200)은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역대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 방문객이 도어벨을 누른 경우, 실내에는 어린이가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어린이의 음성을 아버지의 음성으로 변조하거나, 어머니의 음성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user's voice data, and the smartphone 200 may modulate the voice data into a specific sound range. For example, when a visitor outside presses a doorbell, a child can monitor the external situation indoors, and the child's voice can be modulated into the father's voice or the mother's voice can be modulated and output.

또한, 다른 예로, 실내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방문객이 온 경우,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마이크부(220)에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도어벨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비슷한 예로, 여성이 남성 음역대로 변조하거나 또는 남성이 여성 음역대로 변조하여 도어벨로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even when no one is in the room, the user may input voice data to the microphone unit 220 of the smartphone and output it through a doorbell in order to pretend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room when a visitor comes. As a simila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the female to be modulated to the male range or the male to be modulated to the female range and output it as a doorbell.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다양한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도어벨의 통신부와 무선 연결되어 도어벨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bell to receive voice data and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doorb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도어벨 이외의 다양한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현관문 내부의 조명 기기,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에어컨, TV, 냉장고, 컴퓨터, 난방기기, 커튼 등 다양한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home appliances other than the doorbell.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lighting device, a gas range, an electric range, an air conditioner, a TV, a refrigerator, a computer, a heating device, and a curtain inside the front door through a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는 스마트폰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실행되도록 하는 넓은 개념의 서버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server (not shown). The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of a broad concept that allow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o be executed through a smart phone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현관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door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보안 시스템은 도어벨(100),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200 및 201) 및 서버(3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4,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a doorbell 100, one or more smartphones 200 and 201, and a server 30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300)는 도어벨 및 스마트폰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도어벨 및 스마트폰의 동작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도어벨의 물리 버튼이 눌러진 경우, 현관 내부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실행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rver that is connected to a doorbell and a smart phone through a network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doorbell and the smart phone.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ntrols the lighting inside the entrance to be turned on when the physical button of the doorbell is pressed, and may be a server that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through a network and allow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o be executed.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300)는 현관 내부에 구축된 내부 서버일 수 있으며,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일 수도 있다. 내부 서버인 경우, 소규모 제어 즉, 스마트 홈 구축에 유리하고, 외부 서버는 다양한 서비스 수행에 유리하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ternal server built inside the entrance, or may be an external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an internal server, it is advantageous for small-scale control, that is, building a smart home, and an external server is advantageous for performing various ser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300)는 별도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벨을 통해 수집된 이미지, 음성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블랙박스와 같이, 일정 시간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parate storage unit, and may be set to store the image and audio data collected through the doorbell in the storage unit. Like a black box, it can b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semi-permanently.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300)는 배달원 또는 방문객의 방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택배회사의 배달원은 오전 10시 30분경 배달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도어벨에서 촬영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달 패턴 정보는 추후 사용자가 물건을 반품하거나, 물건을 발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a visit pattern of a delivery person or a visitor. For example, a delivery man of a courier company A can determine that delivery can be repeated around 10:30 am by analyzing data photographed from a doorbell. This delivery pattern information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user to return the product or send the product in the future.

또한, 사용자는 서버(300)에 접속하여, 특정 시간에 방문한 사람이 누구인지 기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으며, 서버에 저장된 다른 정보와 매칭할 수 있는 연관 정보를 입력하여 현관 보안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수금 오전에 반복적으로 우유를 배달하는 배달원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 배달원의 이미지는 우유 배달원임을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와 매칭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에 해당 우유 배달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 해당 시간에 음성 출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우유 배달원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요일은 우유 넣지 말아주세요”라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우유를 배달하는 배달원에게 배달 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300 and identify who the visitor at a specific time is by loading pre-stored data, and enter relevant information that can match oth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to establish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You can apply. For example, if there is a delivery person who repeatedly delivers milk in the morning of monthly payments, the user can directly match the image of the delivery person with the data stored in the server that the milk delivery person is, and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milk delivery person afterwards. If there is, it is possible to store data that is audio output at the corresponding time in advance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ilk deliveryman. For example, the pre-stored voice data “Please do not put milk on Friday” can be output to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milk at the time of delivery.

또한,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200 및 201)에서 도어벨과 연동하여 진행된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제 택배 기사가 방문한 경우에 “현관문 앞에 놓고 가세요”라는 문구를 아버지 음성으로 변조하여 출력하였음을 로그 정보로 저장하여, 오늘 택배 기사가 방문한 경우에는 동일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머니 음성으로 변조하여 출력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store history information that has been progressed in association with a doorbell in one or more smartphones 200 and 201. For example, if a courier driver visited yesterday, the phrase “Please leave it in front of the front door” was modulated into the voice of the father and output as log information. If the delivery driver visited today, the same voice can be output. , In some cases, it may be guided to output by modulating the mother's voice.

서버(300)는 음성 데이터 변조를 위하여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로 구성된 4인 가족일 경우, 서버(300)는 아버지, 어머니의 음성 샘플을 입수하여 해당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을 만큼 학습하여 추후 변조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300 may pre-store various voice data to modulate voice dat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amily of four consisting of a father, a mother, a son, and a daughter, the server 300 acquires voice samples of the father and mother, learns enough to be outputted as a corresponding voice, and outputs a modulated voice later. have.

또한, 서버(300)는 기존 댁내에 설치된 인터폰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기존 인터폰이 구비된 상황에서 본 발명의 도어벨을 추가 장착하는 경우에, 외부 인으로서는 어느 도어벨의 물리 버튼을 눌러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 인터폰 시스템의 도어벨과 본 발명의 도어벨 중 어느 물리 버튼을 눌러도 인터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이 되도록 서버에서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어느 도어벨이든지 동작되면, 가용할 수 있는 도어벨의 카메라부 및 기존 인터폰 시스템의 카메라부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가 인터폰의 비전 기기 및 스마트폰에서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성 출력의 경우에도, 서버는 인터폰의 음성 출력과 도어벨의 음성 출력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어느 한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be interlocked with an existing interphone system installed in the premises. When the door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mounted in a situation where an existing intercom is provided, the outside person may not know which doorbell physical button to pres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rver so that the interphone and the smart phone are interlocked even when any physical button of the doorbell of the existing intercom system and the door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That is, when any doorbell is operated, the server 300 can receive image data from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the camera unit of the existing intercom system, and such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the vision device of the interphone and the smartphone. You can display an image so that you can identify it all. Even in the case of audio output, the server may set the audio output from one of the audio output units so that the audio output of the interphone and the audio output of the doorbell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결제 정보 저장부(310), 택배 물건 식별부(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한다. 미도시하였지만, 전원부, 입출력부, 저장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erver 300 includes a pay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a package identification unit 320, and a communication unit 330. Although not show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n input/output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 정보 저장부(31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배달 (택배)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택배와 같이 온라인 쇼핑을 한 경우, 결제 정보 저장부(310)는 구매물품, 결제일, 결제금액, 택배회사, 택배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달 음식을 주문한 경우, 배달음식, 결제일, 결제금액, 배달회사, 배달직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formation using a delivery (courier) service by a user through a smartphone. For example, when a user performs online shopping such as a courier service, the pay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urchase item, a payment date, a payment amount, a courier company, and a courier driver. For another example, when a user orders food for delivery, it may include food delivered, payment date, payment amount, delivery company, and delivery staff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는 택배 물건 식별부(320)는 도어벨이 설치된 현관으로의 배달을 목표로 하는 물건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택배 물건은 종이 박스에 포장될 수 있으며, 박스 외부에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이 물건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parcel delivery item identification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product targeted for delivery to the front door where a doorbell is installed. For example, a parcel package may be packaged in a paper box, and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roduct, such as a QR code or a barcode, may be displayed outside the box.

본 발명에 따르는 택배 물건 식별부(320)는 도어벨의 카메라부 등을 통해서 입력된 QR코드, 바코드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벨 앞에 배달된 물건이 어떤 물건이며 어느 택배회사 배달원을 통해 배송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The delivery product identification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QR codes and barcodes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etc. You can specify whether it is delivered.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330)는 도어벨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도어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부(330)는 다른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may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bell.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other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33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other server.

실시예1 : 도어벨을 이용한 결제 진행Example 1: Payment proceeding using a doorbell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현관 모니터링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6 to 7 are diagrams showing entrance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10)에는 도어벨(100)이 부착될 수 있으며, 도어벨(100)은 스마트폰(2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의 스마트폰(200)은 현관 내부의 실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doorbell 1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door 10, and the doorbell 1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At this time, the smartphone 200 may be located indoors inside the entrance hall, and in some cases, may be located outside.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오프라인의 배달 과정을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없으며, 배달 서비스를 여러 건 이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물건이 배달되었는지 식별하기 어렵다. In the case of using the delivery service, the user cannot always monitor the offline delivery process, and in the case of using multiple delivery service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which goods have been delivered.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벨(100)은 현관 밖의 배달원으로부터 배달 완료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이 물건을 현관 앞에 놓기 전에 도어벨(100)의 카메라부을 통해 포장 상자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을 스캔하는 경우, 도어벨(100)의 카메라부는 스캔된 이미지를 수집하여 스마트폰(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doorb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delivery completion status from a delivery person outside the front door.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man scans the QR code or barcode of the packaging box through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100 before placing the object in front of the entrance,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100 collects the scanned image and It can be sent to 200.

스마트폰(200)은 도어벨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할 수 있으며, 배달된 포장 상자가 어느 물건에 대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배달 물건 정보를 확인하여,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e smartphone 200 can analyz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doorbell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and can identify which object the delivered packaging box is for. The user can check the delivery item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smartphone and recognize that the delivery has been completed.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는 결제가 필요한 결제 코드 이미지(QR 코드, 바코드 등) 를 분석하여 결제 승인 정보(지문, PIN 등)를 입력하여 결제 진행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s smartphone may analyze a payment code image (QR code, barcode, etc.) requiring payment and input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fingerprint, PIN, etc.) to complete the payment process.

일반적으로 배달 수수료를 미리 결제한 경우에는 배달원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성이 적다. 다만, 택배 배달 수수료를 착불(도착지 부담)로 하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직접적으로 비용 지급이라는 오프라인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보안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delivery fee is paid in advance, there is little need to communicate with the delivery person. However, in the case of paying the courier delivery fee (paid to the destination), the user may feel a burden on security because an offline process of paying the cost must be performed directly with the delivery pers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배달원이 도어벨을 통해 QR 코드 등을 스캔하면, 도어벨과 연동된 스마트폰에서 배달 물건을 특정할 수 있고, 특정된 배달 물건에 대해 온라인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달원과 대면하지 않고서도 (현금이 없는 상황에서도) 배달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livery person scans a QR code or the like through a doorbell, a delivery product can be specified on a smartphone linked to the doorbell, and online payment is performed for the specified delivery product. You will be able to.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user can pay the delivery fee (even when there is no cash) without face-to-face with the delivery person.

앞의 설명에서는 배달 수수료를 결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배달 음식의 경우, 선불이 아닌 착불의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배달 음식값을 현관문의 도어벨 및 스마트폰을 통해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vious description, payment of the delivery fee was explained as an example.However, in the case of delivery food, it is often used in the form of cash on delivery rather than prepayment, so it is also possible to pay for the delivery food through a doorbell and a smartphone at the front door. Do.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친필 서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명을 직접 특정 서명 단말에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대면으로 하는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친필 서명을 해야 하는 경우, 서명을 해야 하는 서명 단말을 도어벨에 태그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친필 서명을 완료하여, 친필 서명 데이터를 서명 단말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하여, 비대면 서명을 완료할 수 있다.In some cases, a user's handwritten signature may be required. In this case, the signature has to be done directly at a specific signature terminal, so it is inevitable to do it face-to-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ndwritten signature is required, when a signature terminal to be signed is tagged on the doorbell, the handwritten signature is completed on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handwritten signatur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ignature terminal. , You can complete the non-face-to-face signature.

실시예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도어벨Example 2: Doorbell with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르는 현관문의 외부(10)에는 도어벨(100)이 현관 외부에 부착되어, 스마트폰과 연동된다. 현관문의 내부(20)에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부착될 수 있다. The doorbell 10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to the outside 10 of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inked with a smartphon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ttached to the interior 20 of the front d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50)는 현관문 내측에 부착됨으로써, 도어벨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to display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일반적으로 인터폰 시스템은 거실의 일 측면과 주방, 화장실 등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실제로 누군지 식별하는 것은 거실에서 하지만 방문객 접객은 현관에서 해야 하기 때문에 동선이 복잡하거나 불편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tercom system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on one side of the living room, a kitchen, a toilet, etc., and it is in the living room to identify who is actually, but the traffic line may be complicated or inconvenient because a visitor must be received at the entrance.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50)는 현관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방문객을 직접 식별할 수 있고, 접객 과정까지 하나의 동선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선 상의 효율이 높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Since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entrance hall, it is possible to directly identify a visitor, and since the recep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one moving line,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efficiency on the moving line is hi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도어벨
200: 스마트폰
100: doorbell
200: smartphone

Claims (10)

현관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벨; 및
상기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서명 단말에서 사용자의 친필 서명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서명 단말을 상기 도어벨에 태그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친필 서명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한 친필 서명 데이터를 상기 서명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In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A doorbell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front door; And
A smartphone connected wirelessly to the doorbell to display image data collected by a camera unit of the doorbell;
Including,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When the signing terminal requests a user's handwritten signature,
Tagging the signing terminal to the doorbell, receiving a handwritten signature input from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handwritten signature data to the sign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특정 음역대로 변조되어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bell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s modulated into a specific sound range and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 입력된 결제 코드 이미지가 상기 스마트폰에서 결제 요청 정보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결제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결제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ayment code image input to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is displayed as payment request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When the user's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smartphone, payment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형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현관문 내부의 가구 또는 가전 기기의 전원을 켜도록 상기 가구 또는 가전 기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mart phone detects the shape of a person in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The front door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inside the front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보안 시스템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입력된 택배 물건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택배 물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rver,
The server,
The doorbell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identifying the parcel item inputted from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d parcel item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현관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벨;
상기 도어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현관문의 내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서명 단말에서 사용자의 친필 서명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서명 단말을 상기 도어벨에 태그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친필 서명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한 친필 서명 데이터를 상기 서명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In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A doorbell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front door;
A smartphone connected wirelessly to the doorbell to display image data collected by a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A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front door;
Including,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or the display devic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When the signing terminal requests the user's handwritten signature,
Tagging the signing terminal to the doorbell, receiving a handwritten signature input from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handwritten signature data to the signing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특정 음역대로 변조되어 상기 도어벨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oorbell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s modulated into a specific sound range and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doorbe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 입력된 결제 코드 이미지가 상기 스마트폰에서 결제 요청 정보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결제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결제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payment code image input to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is displayed as payment request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When the user's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smartphone, payment is per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형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현관문 내부의 가구 또는 가전 기기의 전원을 켜도록 상기 가구 또는 가전 기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mart phone detects the shape of a person in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The front door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inside the front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보안 시스템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벨의 카메라부에서 입력된 택배 물건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택배 물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entrance security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rver,
The server,
The doorbell secur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identifying the parcel item inputted from the camera unit of the doorbel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d parcel item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KR1020190072021A 2019-06-18 2019-06-18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KR102257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21A KR102257088B1 (en) 2019-06-18 2019-06-18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21A KR102257088B1 (en) 2019-06-18 2019-06-18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61A KR20200144261A (en) 2020-12-29
KR102257088B1 true KR102257088B1 (en) 2021-05-28

Family

ID=7409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21A KR102257088B1 (en) 2019-06-18 2019-06-18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0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92B1 (en) 2021-04-07 2021-12-06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Smart management system for video doorbell and door lock equipped with security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4003A (en) *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ome-delivery object receiving system
KR101686857B1 (en)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Home security system using interpho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630B1 (en) * 2013-10-14 2017-04-28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ordering service in home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77144B1 (en) * 2014-02-14 2016-11-17 주식회사 고퀄 Home network system utilizing the existing interphone
KR20180127003A (en) * 2017-05-19 2018-11-28 서경원 Door bel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390405B1 (en) * 2017-08-31 2022-04-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Doorb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4003A (en) *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ome-delivery object receiving system
KR101686857B1 (en)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Home security system using inte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61A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US9412266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10560664B2 (en) Entranceway or foyer-bas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US20140064738A1 (en)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088779A1 (en)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CN103686070A (en) Integrated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smart terminal in apartment
US202100292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Management on Smart Devices
CN105245843A (en) Smart peephole and smart peephole control system
JP2015170183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ork history management method, work history management program and work history management system
KR102257088B1 (en) System for secured door based on wireless iot service
CN107886611A (en) A kind of guest room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elf-service hotel
US8958788B2 (en)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hom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terminal
KR20220057787A (en) A city development and operation platform based on digital artit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KR1014967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ference service
KR101677144B1 (en) Home network system utilizing the existing interphone
KR101989828B1 (en)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CN109714762B (en) Intelligent robot, starting system applied to intelligent robot and starting method of starting system
KR102255253B1 (en) Support 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order information in stores
KR100722511B1 (en) Full-duplex home network system basedon MPEG
CN211264356U (en) Intelligent community system based on 5G private network
KR1014771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the household information using the onepass-tag interlocked with mobile phone
KR20210108704A (en) Visit-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KR100839028B1 (en) System for total management the home-network
CN112236791A (en) Delivery request system and delivery reques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