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799B1 - 퇴치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퇴치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799B1
KR102256799B1 KR1020200067306A KR20200067306A KR102256799B1 KR 102256799 B1 KR102256799 B1 KR 102256799B1 KR 1020200067306 A KR1020200067306 A KR 1020200067306A KR 20200067306 A KR20200067306 A KR 20200067306A KR 102256799 B1 KR102256799 B1 KR 10225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llent
fastening
cover
main body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배
Original Assignee
홍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배 filed Critical 홍성배
Priority to KR102020006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상면이 개방되어 퇴치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가 외부와 환기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퇴치제가 융해 또는 승화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퇴치제 케이스{CASE FOR REPELLENT}
본 발명은 퇴치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지만 인체에 해를 끼치는 유해균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 등은 공기, 사람의 손, 손에 닿는 물건 등에 많이 서식한다. 이로 인해 유해균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인체에 흡입되고 있으며, 인체에 흡입된 유해균들은 어린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의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사람들이 유해균들을 인체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유해균들이 인체에 흡입되는 것을 막고, 유해균들을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퇴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퇴치 제품은 메쉬 소재의 망에 바이러스, 유해균들을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알갱이들과 해충을 퇴치하는 곤충퇴치 알갱이들이 혼합 수용됨으로써, 알갱이에서 방향되는 향으로 바이러스 등을 퇴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쉬 소재의 망은 제품 이동 등을 위해, 사람이 손으로 잡았을 때, 인체에 직접적으로 퇴치제가 묻게 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또한, 메쉬 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할 경우, 퇴치제가 보다 빠르게 융해 또는 승화되어, 제품 사용 기간보다 사용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메쉬 망으로 형성되는 퇴치 제품은 사람이 만지기가 용이하지 않고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1904호(2019.02.08)
본 발명은 바이러스 등의 퇴치하기 위한 퇴치제 알갱이를 수납하여, 장소 또는 환경의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퇴치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상면이 개방되어 퇴치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가 외부와 환기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퇴치제가 융해 또는 승화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공간에서 복수의 지점에서 돌출되되,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이홈;을 더 포함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걸이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벽부가 상기 걸이홈과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내부공간과 분리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걸이홈의 내부공간 측의 둘레에는 두 개의 상기 체결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벽과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1 벽부;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2 벽부;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부와 상기 본체의 타 측벽을 연결하는 제3 벽부;를 포함하는 퇴치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러스 등의 퇴치하기 위한 퇴치제 알갱이를 수납하여, 장소 또는 환경의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커버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퇴치제 케이스(1)는 본체(10), 커버(20) 및 걸이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11)을 포함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측벽이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측벽 내부에 내부공간(11)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는 수납부(12), 체결부(13) 및 벽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는 퇴치제가 수납되는 부분이다. 수납부(12)는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는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홈 형상의 수납공간(120)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가 돌출되는 높이는 본체(10)의 측벽 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납부(12)는 본체(10)의 내부공간(11)의 중심부에 5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중심부에 하나의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수납부(12)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2개씩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3)는 커버(20)부의 체결돌기(21)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3)가 체결돌기(21)와 체결 및 분리됨에 따라, 본체(10)와 커버(20)가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체결부(13)는 내부공간(11)에서 복수의 지점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부에 체결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130)은 커버(20)의 체결돌기(2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이다.
일 예로, 체결부(13)는 측벽 내측에서 내부공간(1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3)는 내부공간(11)에서 모서리 마다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걸이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30)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는 걸이홈(30)의 내부공간(11) 측의 둘레에 두 개의 체결부(13)가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벽부(14)는 걸이홈(30)의 둘레를 따라 내부공간(11)에 배치되어, 걸이홈(30)을 통해 내부공간(11)의 퇴치제 가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이홈(30)이 형성된 부분과 수납부(12)가 형성된 내부공간(11)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벽부(14)는 상술한 걸이홈(30)의 내부공간(11) 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두 개의 체결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14)는 제1 벽부(141), 제2 벽부(142) 및 제3 벽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부(141)는 걸이홈(30)이 형성된 주변의 본체(10)의 일 측벽과 두 개의 체결부(13)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벽부(142)는 어느 하나의 체결부(13)와 다른 하나의 체결부(1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벽부(143)는 다른 하나의 체결부(13)와 걸이홈(30)이 형성된 주변의 본체(10)의 타 측벽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벽부(141), 제2 벽부(142), 제3 벽부(143)는 본체(10)의 측벽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가 커버(20)와 체결된 경우, 각 벽부(14)는 커버(2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가 커버(20)와 체결된 상태일 때, 걸이홈(30)은 벽부(14)와 체결부(13)에 의해 수납부(12)가 형성된 내부공간(11)과 분리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수납부(12)에 퇴치제가 수납된 상태에서 퇴치제 가루가 걸이홈(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와 체결되어 수납부(12)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커버(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는 체결돌기(21) 및 통공(2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21)는 커버(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1)는 본체(10)의 체결홈(13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3)는 체결부(13)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1)가 체결홈(130)에 삽입됨에 따라, 커버(20)가 본체(10)와 체결될 수 있다.
통공(22)은 커버(20)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공(22)은 커버(20)가 본체(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수납부(12)의 상측 부분에서 복수의 수납부(12)의 위치를 따라 복수의 통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공(22)은 수납부(12)가 외부와 환기 가능하도록, 수납부(1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에 수납된 퇴치제가 융해 또는 승화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통공(22)은 미세공으로 형성되어, 수납부(12)에 수납된 퇴치제가 알갱이 형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퇴치제 제품에는 오존 다음의 살균력을 가지고 있지만, 산화력은 염소보다 약한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가 사용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살균 제품은 손의 유해균들을 제거하는 손 소독 용품 및 공기 중으로 이산화염소를 방향하여 공기 중의 세균을 제거하는 방향성 살균 용품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퇴치제 제품은 공기 중으로 방향하는 승화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물에 의해 융해되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이홈(30)은 본체(10)와 커버(20)가 체결된 상태에서, 본체(10)와 커버(20)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30)을 통해 퇴치제 케이스(1)를 걸어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1)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커버(20)로 구성됨으로써, 편의에 따라 퇴치제를 융해 또는 승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공기 중으로 방향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퇴치제 케이스(1)를 원하는 장소에 보관하여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다. 또는, 물에 의해 융해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퇴치제가 수납된 퇴치제 케이스(1)를 액체에 담궈서 사용 가능하여, 융해 방식으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커버(20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는 개방부(201), 체결돌기(210), 슬라이딩부(220) 및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0)에는 개방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00)가 본체(10)와 체결된 상태에서, 판 형상의 커버(200)에는 본체(10)의 수납부(12)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01)는 후술할 슬라이딩부(220)에 의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다.
체결돌기(2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의 체결돌기(2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의 하면에서 하방을 향해 본체(10)의 체결홈(13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는 개방부(201)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이드부(23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가 슬라이딩 따라 커버(200)의 개방부(201)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가 커버(200)의 개방부(201)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딩 된 경우, 개방부(201)를 통해 수납부(12)의 수납공간(120)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가 커버(200)의 개방부(201)가 차폐되도록 슬라이딩 된 경우, 수납부(12)의 수납공간(120)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딩부(220)를 통해 수납부(12)의 수납공간(120)을 개방 또는 차폐하여, 수납부(12)에 퇴치제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퇴치제의 추가 공급이 필요한 경우, 슬라이딩부(220)를 슬라이딩시켜 커버(200)의 개방부(201)가 개방되도록 하여 수납부(12)에 퇴치제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20)에는 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공(221)은 커버(200)가 본체(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수납부(12)의 상측 부분에서 복수의 수납부(12)의 위치를 따라 복수의 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공(221)은 수납부(12)가 외부와 환기 가능하도록, 수납부(1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에 수납된 퇴치제가 융해 또는 승화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의 통공(22)과 동일하다.
또한, 슬라이딩부(220)에는 가이드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2)는 슬라이딩부(220)의 양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230)의 가이드홈(23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홈(231)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딩부(220)가 가이드부(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커버(200)의 개방부(201)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부(230)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부(220)의 가이드돌기(222)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1)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치제 케이스(1)는 발열유닛(40), 제어부(50), 주변환경확인부(60), 활성도 검출부(70) 및 감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유닛(40)은 수납부(12)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유닛(40)은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수납부(12)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일 예로, 퇴치제가 열이나 습도에 의해 활성 상태가 변화하는 재료로 형성된 경우, 발열유닛(40)을 제어하여 퇴치제의 활성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열유닛(40)은 발열부(41) 및 프레임(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부(41)는 박막 형태의 열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41)는 수납부(12)의 하측에서 수납부(12)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41)의 발열 온도에 따라 수납부(12)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발열부(4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발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프레임(42)은 발열부(41)를 감싸며 배치되어, 발열부(41)를 보호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발열부(41)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주변환경확인부(60)로부터 외부 환경의 습도 및 온도 등 외부 환경 정보를 전송받아, 그에 따라 발열부(41)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활성도 검출부(70)로부터 퇴치제가 기화 또는 융해되는 활성 상태에 따른 활성도에 대한 정보를 받고, 그에 따라 발열부(41)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감지부(80)로부터 각 수납부(12)에 수납되는 퇴치제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주변환경확인부(6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변환경확인부(60)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여 외부 환경 정보를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주변환경확인부(60)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발열부(41)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온이 낮아서 퇴치제가 활성 상태가 되기 어려운 경우, 발열부(41)를 발열시켜서 수납부(12)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퇴치제에 열을 가함으로써 퇴치제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다.
활성도 검출부(70)는 융해 또는 승화되는 퇴치제의 활성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활성도 검출부(70)는 퇴치제의 재료로 사용되는 특정 성분의 수치를 측정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활성도 검출부(70)에서 측정되는 특정 성분의 수치가 높은 경우 퇴치제의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활성도 검출부(70)에서 측정되는 특성 성분의 수치가 낮은 경우, 제어부(50)는 퇴치제의 활성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발열부(41)를 발열시킬 수 있다.
감지부(80)는 수납부(12)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80)는 미세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80)는 각 수납부(12)마다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80)에서 설정된 무게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수납부(12) 내부에 퇴치제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감지부(80)에서 설정된 무게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수납부(12) 내부에 퇴치제가 전부 흉해 또는 승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은 LED 조명, 사용자 단말기로의 신호 전송 등을 통해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주변환경확인부(60)와 활성도 검출부(7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제어부(50)는 발열부(41)를 발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퇴치제를 균일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80)를 통해 제어부(50)가 퇴치제의 사용 상태를 알림으로써, 빠르게 교체할 수 있고, 교체 주기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퇴치제 케이스
10: 본체 11: 내부공간
12: 수납부 120: 수납공간
13: 체결부 130: 체결홈
14: 벽부 141: 제1 벽부
142: 제2 벽부 143: 제3 벽부
20: 커버 21: 체결돌기
22: 통공 30: 걸이홈
200: 커버 201: 개방부
210: 체결돌기 220: 슬라이딩부
221: 통공 222: 가이드돌기
230: 가이드부 231: 가이드홈
40: 발열유닛 41: 발열부
42: 프레임 50: 제어부
60: 주변환경확인부 70: 활성도 검출부
80: 감지부

Claims (5)

  1.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상면이 개방되어 퇴치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이홈;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가 외부와 환기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퇴치제가 융해 또는 승화되어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걸이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벽부가 상기 걸이홈과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내부공간과 분리하며,
    내부공간에서 복수의 지점에서 돌출되되,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걸이홈의 내부공간 측의 둘레에는 두 개의 상기 체결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벽과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1 벽부;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2 벽부;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부와 상기 본체의 타 측벽을 연결하는 제3 벽부;를 포함하는 퇴치제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퇴치제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7306A 2020-06-03 2020-06-03 퇴치제 케이스 KR10225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06A KR102256799B1 (ko) 2020-06-03 2020-06-03 퇴치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06A KR102256799B1 (ko) 2020-06-03 2020-06-03 퇴치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799B1 true KR102256799B1 (ko) 2021-05-27

Family

ID=7613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306A KR102256799B1 (ko) 2020-06-03 2020-06-03 퇴치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1683U (ko) * 1987-07-13 1989-01-20
JP2009148177A (ja) * 2007-12-19 2009-07-09 Earth Chem Corp Ltd 毒餌剤容器
KR20190011904A (ko) 2017-07-26 2019-02-08 황만수 바이러스 및 곤충 퇴치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1683U (ko) * 1987-07-13 1989-01-20
JP2009148177A (ja) * 2007-12-19 2009-07-09 Earth Chem Corp Ltd 毒餌剤容器
KR20190011904A (ko) 2017-07-26 2019-02-08 황만수 바이러스 및 곤충 퇴치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06004U (zh) 昆虫诱捕装置
JP5149183B2 (ja) 南京虫監視装置
KR100382684B1 (ko) 전기훈증소독장치및훈증소독방법
US2808030A (en) Deodorizing dog collar
USD553233S1 (en) Volatile dispenser
US7380370B2 (en) Repelling rodents
KR20100138900A (ko) 곤충 트랩
US20170318797A1 (en) Device for Repelling Animals
KR102256799B1 (ko) 퇴치제 케이스
KR101510209B1 (ko) 애완동물용 방석
KR100912225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WO1998046280A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chemical
JP2018086230A (ja) 匂い噴出装置
WO2009157027A1 (en) Container for baits for animals
KR20190011904A (ko) 바이러스 및 곤충 퇴치 팩
WO2019120422A1 (en) An insect trap
WO2018070456A1 (ja) 匂い噴出装置
US10123522B2 (en) Insect pest monitor and product transfer station
KR20120000882U (ko) 휴대용 전자 제충장치
ITFI20130013A1 (it) Dispositivo ecologico per la cattura di animali
KR102677191B1 (ko) 멀티 해충 센싱용 장치
KR20190011906A (ko) 바이러스 및 곤충 퇴치 팩
WO2019120423A2 (en) An insect trap and an insect control device
WO2016097993A1 (en) An electro-mechanical ecological device, for continuous, even multiple, capture of harmful rodents
CN216846586U (zh) 一种水银温度计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