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636B1 -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636B1
KR102256636B1 KR1020190129663A KR20190129663A KR102256636B1 KR 102256636 B1 KR102256636 B1 KR 102256636B1 KR 1020190129663 A KR1020190129663 A KR 1020190129663A KR 20190129663 A KR20190129663 A KR 20190129663A KR 102256636 B1 KR102256636 B1 KR 10225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work
flat
steel w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190A (ko
Inventor
권현경
Original Assignee
권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경 filed Critical 권현경
Priority to KR102019012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6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0Moulds adapted to centrifugal or rotational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내로 투입되는 콘크리트 슬러지에 원심력을 가해 오토 클레이브 방식으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양측 단부를 차폐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하부 슈판과, 이들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거푸집 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 조립체와, 상기 상부 슈판을 인장하여 PC 강선을 늘여주기 위한 인장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은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할되어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슈판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부 및 이 평판부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상기 철근 조립체는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속되어 평판부를 상호 연결하는 PC 강선 및 이 PC 강선의 둘레에 감겨져 설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기구에 연결되는 상,하부 슈판의 평판부에는 PC 강선을 결속시키기 위한 걸림공 및 인장볼트를 결속시키기 위한 볼트공이 상호 연이어져 구성됨과 동시에 상부 슈판의 평판부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고무마개가 탈,부착이 자유롭도록 장착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Forming device for concrete pile}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에 사용되는 중공(中空)의 콘크리트 파일(Concrete pile)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 내로 투입되는 콘크리트 슬러지에 원심력을 가해 오토 클레이브(Auto clave) 방식으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 지반(地盤)의 조건이나 또는 구조물의 하중에 따른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각종 파일을 이용한 기초 공사를 행하게 된다.
상기 파일은 재질에 따라 강관 파일, 콘크리트 파일, 합성 파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 이르러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거푸집 내에서의 원심력 및 오토 클레이브 방식에 의해 양생하여 제작하고 있는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파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PHC 파일은 프리텐션 방식의 고강도 말뚝으로써,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이 대단히 커서 큰 축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콘크리트 내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부여함으로써 타격에 대한 내력이 우수하고 인장응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통상적인 PHC 파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PHC 파일(10)의 양단에 각각 상,하부 슈판(11a,11b)이 장착되고, 이들 슈판(11a,11b) 사이에 중공의 콘크리트 몸체(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12)의 원주상에 PC 강선(13)이 일정 간격으로 매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PHC 파일(10)의 제작시에는 파일용 거푸집을 바닥면에 길게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PC 강선(13)을 배치한 상태에서 이 PC 강선(13)에 인장력을 가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며, 거푸집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콘크리트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양생되어 중공의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PHC 파일에 있어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고정판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PC 강선에 강한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대개 PHC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강판을 현장이나 공장에서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임은 물론 중량인 큰 보강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4-0021460호(2014.02.20 공개) - 복합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264918호(2013.05.09 등록) -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790508호(2017.10.20 등록) -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등록특허 제1803687호(2017.11.24 등록) - 콘크리트 파일 성형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내에서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는 과정중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파일의 양생 후에 상부 슈판으로부터 고무마개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양측 단부를 차폐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하부 슈판과, 이들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거푸집 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 조립체와, 상기 상부 슈판을 인장하여 PC 강선을 늘여주기 위한 인장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은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할되어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슈판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부 및 이 평판부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슈판은 평판부 및 이 평판부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철근 조립체는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속되어 평판부를 상호 연결하는 PC 강선 및 이 PC 강선의 둘레에 감겨져 설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기구에 연결되는 상,하부 슈판의 평판부에는 PC 강선을 결속시키기 위한 걸림공 및 인장볼트를 결속시키기 위한 볼트공이 상호 연이어져 구성됨과 동시에 상부 슈판의 평판부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고무마개가 탈,부착이 자유롭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무마개를 구성하는 몸체는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 및 이 플랜지부에서 연이어져 형성되는 평면부와 경사면부을 포함한 바닥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홈의 평면부와 경사면부 사이에는 커팅홈을 포함하여 바닥면부에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를 포함한 평면부 및 경사면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슈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둘레에는 걸림턱이 외부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싱의 외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슈판에 형성된 케이싱의 외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평판부로부터 연이어지는 폐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거푸집 내에서의 콘크리트 슬러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 슈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차폐시에 신축성을 갖는 고무마개를 이용함에 따라 콘크리트 슬러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파일의 양생 후에도 상부 슈판으로부터 고무마개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HC 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등록특허 제1264918호에 개시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강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막음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상부 슈판의 조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은 하부 슈판의 조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부 슈판의 조립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 구성도,
도 13은 고무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로서 등록특허 제1264918호 공보에 개시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는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60a,60b)과, 이들 거푸집(60a,60b)의 일단에 위치하는 보강판(100) 및 막음판(200)과, 일단이 보강판(100)에 고정되는 PC 강선(20)을 갖는 철근 조립체(21)와, PC 강선(20)의 타단이 고정되는 상부 슈판(30) 및 상부 슈판(30)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한 인장기구(61∼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의 경우, 하부 거푸집(60a) 및 이 하부거푸집(60a)과 상,하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파일의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 거푸집(60b)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거푸집(60a)은 반원기둥형상으로 양단에 플랜지(65) 및 결합용 볼트공(64)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부 거푸집(60b)과 접하는 부위에 결합공(67)이 다수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판(10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거푸집(60a,60b)을 향하는 면은 플랜지(65)와 접하는 거푸집 접촉면(120) 및 콘크리트 파일의 콘크리트와 접하는 콘크리트 접촉면(130)으로 구획된다.
상기 거푸집 접촉면(120) 및 콘크리트 접촉면(130)의 사이에는 거푸집의 내주면에 걸리는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21)은 거푸집 접촉면(1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원심 회전시에 거푸집과 보강판(100)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양질의 보강판(100)이 부착된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100)의 콘크리트 접촉면에는 PC 강선(20)의 헤드부(20a)가 관통할 수 있는 삽입홀(140)이 다수 형성되며, 삽입홀(140)과 연이어져 직경이 PC 강선(20)의 헤드부 보다 작게 형성된 인장홀(150)이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인장홀(150)에는 경사면(151)이 형성됨에 따라 PC 강선(20)의 헤드부(20a)를 삽입홀(140)을 통해 삽입시킨 후 인장홀(150)로 이동시켜 경사면(151)에 걸려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막음판(200)에는 보강판(100)의 삽입홀(140)에 끼워지는 삽입홀 막음부(210)를 포함하여 거푸집(60a,60b)에 고정시키기 위한 거푸집 결합홀(220)이 형성된다. 또 삽입홀 막음부(210)의 내측에는 보강판(100)의 중공부(110)를 밀폐하기 위한 돌출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 막음부(210)는 막음판(100)의 삽입홀(140)과 연이어져 형성된 보강판 결합용 홀(211)을 포함하여 이 보강판 결합용 홀(211) 및 삽입홀(140)에 체결되는 삽입홀 막음 볼트(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30)는 보강판(100)에 형성된 중공부(110)를 밀폐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부(230)의 반대면에는 중량 저감부(231)가 형성되어 전체 중량을 줄여 줄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결합홀(220)은 거푸집의 결합용 볼트공(64)과 맞대어져 결합용 볼트(250)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인장기구는 상부 슈판(30)에 연결되는 지지판(61) 및 이 지지판(61)에 접속되는 인장판(62)과, 하부 거푸집(60a)의 플랜지(65)에 고정되는 마구리판(63)과, 이 마구리판(63)의 중앙에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지판(61) 및 인장판(62)에 고정되는 인장축(63a)과, 이 인장축(63a)에 연결되어 인장력을 가하기 위한 통상의 인장용 잭(도시생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인장기구를 구동시켜 PC 강선(20)를 잡아 늘린다. 이 때의 인장력은 인장용 잭→ 인장축 → 마구리판 → 인장판 → 인장용 지지판 → 인장용 지지판의 고정볼트 → 상부 슈판 → PC 강선 → 보강판의 경로로 인장력이 전달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인장용 지지판(61)과 상부 슈판(30)은 볼트로 체결되거나 혹은 인장용 지지판(61)에 PC 강선(20)의 헤드부(20a)가 결합됨에 따라(PC 강선와 보강판의 결합방식과 동일한 방법) 인장축(63a)에 대한 인장력이 PC 강선(20)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인장기구를 이용하여 PC 강선(20)를 잡아 늘린 후에 인장축(63a)과 마구리판(63)의 상대적인 위치를 너트로 고정시킨다. 철근조립체는 직선 선재로 원주 상에 다수 배치된 PC 강선(20) 및 이들 PC 강선(20)를 연결하도록 감싸는 나선형태의 보강 와이어(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에 있어서는 거푸집(60a,60b)의 양측 단부에 상부 슈판(30)이나 보강판(100)을 개재하여 막음판(200)으로 폐색한 상태에서 거푸집(60a,60b)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거푸집(60a,60b) 내로 타설된 콘크리트 슬러지를 양생시키게 되고, 이어서 인장기구를 포함한 거푸집(60a,60b) 및 막음판(200) 등의 부자재를 모두 철거함으로써 중공의 PHC 파일을 제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미 굳어버린 PHC 파일로부터 상당한 중량을 갖는 막음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작업 자체가 매우 힘들고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PHC 파일 제작시의 인건비 등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거푸집(110)과, 이 거푸집(110)의 양측 단부를 차폐하는 고정판(120)과, 이 고정판(120)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하부 슈판(130A,130B)과, 이들 상,하부 슈판(130A,130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 조립체(140)와, 이 철근 조립체(140)을 일측으로 당겨 늘이기 위한 인장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공의 콘크리트 파일(P)을 성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할된 통상의 구조로서, 이 거푸집(11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11)에 고정판(120)이 볼트(112)에 의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파일(P)은 종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하부 슈판(130A,130B)의 사이에 콘크리트 몸체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의 원주상에 PC 강선(113)이 일정 간격으로 매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슈판(130A)의 경우,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평판부(132a) 및 이 평판부(132a)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132b)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131)의 둘레에는 걸림턱(133a)이 외부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싱(132b)의 외측으로 굴곡부(1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슈판(130B)은 평판부(134a) 및 이 평판부(134a)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134b)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134b)의 외측으로 굴곡부(135a)가 형성됨과 동시에 평판부(134a)로부터 연이어지는 얇은 두께의 폐색판(135b)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철근 조립체(140)는 양측 상,하부 슈판(130A,130B)의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결속되어 평판부(132a,134a)를 상호 연결하는 PC 강선(113) 및 이 PC 강선(113)을 포함하여 둘레에 감겨져 설치되는 와이어(114)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부 슈판(130A,130B)의 평판부(132a,134a)에는 PC 강선(113)을 결속시키기 위한 걸림공(136a)이 형성되고, 상기 인장기구(150)를 구성하는 인장볼트(151)를 결속시키기 위한 볼트공(136b)이 상호 연이어져 구성된다.
상기 PC 강선(113)의 양 끝단에는 헤드부(115a)가 형성되어 PC 강선(113)을 상,하 슈판(130A,130B)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볼트공(136b)을 통해 1차 조립한 후에 다시 걸림공(136a) 측으로 밀어넣어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장기구(150)는 상부 슈판(130A)에 볼트(151)로 체결되는 인장판(152)을 포함하여 이 인장판(152)의 중앙에 장착되는 인장볼트(153) 및 인장샤프트(154)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인장용 잭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슈판(130A)의 평판부에 형성된 관통공(131)에는 고무마개(160)가 탈,부착이 자유롭도록 장착된다.
이 고무마개(160)를 구성하는 몸체는 오목홈(16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162a) 및 이 플랜지부(162a)에서 연이어져 형성되는 평면부(162b)와 경사면부(162c)을 포함한 바닥면부(162d)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마개(160)가 상부 슈판(130A)의 관통공(131)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걸림턱(133a)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161) 내의 평면부(162b)와 경사면부(162c) 사이에 커팅홈(163a)을 포함하여 바닥면부(162b)에 통공(163b)이 형성된다.
또, 상기 플랜지부(162a)를 포함한 평면부(162b) 및 경사면부(162c)에 절개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64)의 경우 일자형 혹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고무마개(160)를 상부 슈판(130A)에서 탈거할 때 약간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탈거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통형상의 거푸집(110) 내에 상,하부 슈판(130A,130B)을 포함한 철근 조립체(140) 및 인장기구(150)를 설치한 후 양단을 고정판(120)에 의해 폐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장기구(150)를 구성하는 인장 샤프트(154)의 견인에 의해 인장판(152)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양측 상,하부 슈판()에 결속되어 있는 PC 강선(113)이 팽팽하게 당겨져 소정 길이로 긴장된다.
이어서, 종전과 마찬가지로, 오토 클레이브 방식에 의해 거푸집(110)을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 슬러지를 양생하게 되면 소정 간격을 두고 PC 강선(113) 및 와이어(114)로 이루어진 철근 조립체(140)를 포함하여 상,하부 슈판(130A,130B)이 구비된 콘크리트 파일(P)을 성형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상부 슈판(130A)의 관통공(131)에 고무마개(16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거푸집(110) 내로 투입된 콘크리스 슬러지의 양생과정에서 슬러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P)의 양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거푸집(110)을 포함한 양측 단부의 구조물을 탈거하게 되고, 특히 상부 슈판(130A)에 장착된 고무마개(160)의 경우에는 플랜지부(162a)가 상부 슈판(130A)의 걸림턱(133a)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커팅홈(163a)을 갖는 평면부(162b)와 경사면부(162c)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절개부(164)가 형성된 부분에 약간의 힘을 가함으로써 손쉽게 상부 슈판(130A)으로부터 고무마개(160)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전과 같이, 이미 굳어버린 PHC 파일로부터 덮개나 막음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거나 분리작업 자체가 난해하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에 의하면, 거푸집 내에서의 콘크리트 슬러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 슈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차폐시에 신축성을 갖는 고무마개를 이용함에 따라 콘크리트 슬러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파일의 양생 후에도 상부 슈판으로부터 고무마개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거푸집 111: 플랜지
112: 볼트 113: PC 강선
114: 와이어 115a: 헤드부
120: 고정판 130A: 상부 슈판
131: 관통공 132a: 평판부
132b: 케이싱 133a: 걸림턱
133b: 굴곡부 130B: 하부 슈판
134a: 평판부 134b: 케이싱
135a: 굴곡부 135b: 폐색판
140: 철근 조립체 150: 인장기구
151: 볼트 152: 인장판
153: 인장볼트 154: 인장샤프트
160: 고무마개 161: 오목홈
162a: 플랜지부 162b: 평면부
162c: 경사면부 162d: 바닥면부
163a: 커팅홈 163b: 통공
164: 절개부

Claims (4)

  1. 원통형상의 거푸집(110)과, 이 거푸집의 양측 단부를 차폐하는 고정판(120)과, 이 고정판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하부 슈판(130A,130B)과, 이들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거푸집 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 조립체(140)와, 상기 상부 슈판을 인장하여 PC 강선을 늘여주기 위한 인장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110)은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할되어 양측 단부에 플랜지(1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슈판(130A)은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평판부(132a) 및 이 평판부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132b)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슈판(130B)은 평판부(134a) 및 이 평판부(134a)의 외주 둘레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134b)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철근 조립체(140)는 상,하부 슈판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속되어 평판부를 상호 연결하는 PC 강선(113) 및 이 PC 강선의 둘레에 감겨져 설치되는 와이어(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기구(150)에 연결되는 상,하부 슈판(130A,130B)의 평판부에는 PC 강선을 결속시키기 위한 걸림공(136a) 및 인장볼트(153)를 결속시키기 위한 볼트공(136b)이 상호 연이어져 구성됨과 동시에 상부 슈판(130A)의 평판부에 형성된 관통공(131)에는 고무마개(160)가 탈,부착이 자유롭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무마개(160)를 구성하는 몸체는 오목홈(16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162a) 및 이 플랜지부에서 연이어져 형성되는 평면부(162b)와 경사면부(162c)을 포함한 바닥면부(162d)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홈의 평면부(162b)와 경사면부(162c) 사이에는 커팅홈(163a)을 포함하여 바닥면부(162d)에 통공(163b)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162a)를 포함한 평면부(162b) 및 경사면부(162c)에 절개부(1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판(130A)에 형성된 관통공(131)의 둘레에는 걸림턱(133a)이 외부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싱(132b)의 외측으로 굴곡부(13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슈판(130B)에 형성된 케이싱(134b)의 외측으로 굴곡부(135a)가 형성됨과 동시에 평판부(134a)로부터 연이어지는 폐색판(135b)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9663A 2019-10-18 2019-10-18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KR10225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63A KR102256636B1 (ko) 2019-10-18 2019-10-18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63A KR102256636B1 (ko) 2019-10-18 2019-10-18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90A KR20210046190A (ko) 2021-04-28
KR102256636B1 true KR102256636B1 (ko) 2021-05-25

Family

ID=7572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63A KR102256636B1 (ko) 2019-10-18 2019-10-18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007B1 (ko) * 2023-03-07 2023-08-2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hc 파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7021333B (zh) * 2023-09-28 2023-12-12 福州大学 一种钢-混凝土组合管结构施工封堵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088B2 (ja) * 1989-04-05 1996-10-23 株式会社ジオトップ Pc節付きコンクリート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用型枠
JP2012041738A (ja) * 2010-08-19 2012-03-01 Dainichi Concrete Kogyo Kk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ポール及び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ポールの製造方法
KR101278595B1 (ko) 2012-04-09 2013-07-23 엘케이산업(주) 전신주 제작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18B1 (ko) * 2010-05-13 2013-05-15 송기용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49563B1 (ko) * 2011-04-14 2017-06-21 공정호 원구판이 일체로 형성된 원구 인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20140021460A (ko) 2012-08-09 2014-02-20 (주)아리터 복합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90508B1 (ko) 2015-12-31 2017-10-27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KR101803687B1 (ko) 2017-08-14 2017-11-30 김소현 콘크리트 파일 성형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088B2 (ja) * 1989-04-05 1996-10-23 株式会社ジオトップ Pc節付きコンクリート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用型枠
JP2012041738A (ja) * 2010-08-19 2012-03-01 Dainichi Concrete Kogyo Kk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ポール及び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ポールの製造方法
KR101278595B1 (ko) 2012-04-09 2013-07-23 엘케이산업(주) 전신주 제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90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636B1 (ko)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US4932818A (en) Anchor bolt positioning system for concrete foundations
US6705058B1 (en) Multiple-part pole
CN112049411B (zh) 一种顶板后浇带加固方法及其顶撑结构
KR101264918B1 (ko)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105053A (ko) 콘크리트-섬유보강플라스틱튜브를 포함하는 합성말뚝, 및 이의 제조방법
JP4984279B2 (ja) 既製杭用の鉄筋かご
CN111761718A (zh) 一种建筑工程用钢筋混凝管桩成型模具及成型工艺
KR102212675B1 (ko)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JP482637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塑性ヒンジ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型枠の製造方法
CN112392034B (zh) 一种组合式的预应力混凝土管桩
KR102203290B1 (ko) 합성형 섬유보강튜브를 이용한 phc 말뚝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73527A (zh) 支护桩的制造模具以及制造支护桩的方法
KR10130505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중공 콘크리트 말뚝과 강관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긴장재 절약형 강합성 말뚝의 제작방법
KR100760292B1 (ko) 하수관로 비굴착 지수 및 보강공법
JP2547088B2 (ja) Pc節付きコンクリート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用型枠
EP3475041B1 (de)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tonbauteilen
KR20220014700A (ko) Phc 파일용 연결구, phc 파일용 연결구가 구비된 phc 파일 및 이의 제작 방법
EP0784134B1 (de) Schalungssystem
JP3719795B2 (ja) 複合節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6244B1 (ko) 복합말뚝 및 복합말뚝 제조방법
CN112921960B (zh) 支护桩、基坑围护墙、接桩结构、导向架及其施工方法
JPS6319648B2 (ko)
CN216130117U (zh) 一种带有注浆管的扩大头钢筋笼
KR200298072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