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180B1 -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180B1
KR102256180B1 KR1020180098779A KR20180098779A KR102256180B1 KR 102256180 B1 KR102256180 B1 KR 102256180B1 KR 1020180098779 A KR1020180098779 A KR 1020180098779A KR 20180098779 A KR20180098779 A KR 20180098779A KR 102256180 B1 KR102256180 B1 KR 10225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measuring
strength
measuring rod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54A (ko
Inventor
김석중
김선애
고은정
박순영
조미라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1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4Cartil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골강도 측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기구 형상의 바디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캡에서 연골의 강도 측정선택을 이루며,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된 촉캡에서는 연골의 강도측정을 이루며, 측정된 강도의 표시가 바디의 표면을 통해 투시되게 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 내의 축선위치에 설치되는 측정봉이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골에 접촉시 연골의 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의 복귀정도가 상기 바디의 표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의 기준눈금으로 비교 판단되게 하는 측정부재와, 상기 바디 상단에서 상기 측정봉의 출몰 상태가 선택되게 하는 노브와 슬리브 그리고, 상기 측정봉의 출몰시 제어링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봉의 상,하 양방향에 탄성반발력이 작용되게 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 수술현장에서 수술자의 연골에 대한 강도측정이 가능하여 환자에게 맞는 조건적 수술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A strengthening device}
본 발명은 관절사이에 위치한 연골의 표면에 접촉하여 가압할 때 표시되는 값으로 연골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연골의 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무릎, 척추, 경추의 관절 부분에는 쿠션역할을 하는 연골이 있어 체중의 하중을 받치고 있다.
연골조직은, 연골세포에 의해서 합성, 분비되어 연골에 작당한 탄력을 주고 있는 겔 형태의 성분의 70%는 Na, K, Cl를 포함한 수분이므로 탄력성과 신축성이 있어 만나는 관절 사이를 마찰 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이루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찢어지거나 패여서 벗겨지면 관절이 닿을 때마다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관절 부분에 통증이 느껴지는 상태에서 치료받지 않는 상태로 방치된 채 계속사용하게 되면 관절부분이 심하게 닳게 되어 회복이 어려운 상태로 된다.
관절 부분에서 통증이 느껴지면 이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받아 치료받아야 하는데, 관절의 통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여러 부분에 대한 진료를 하게 되며 그 중 관절 사이에 위치한 연골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연골 치료에 대한 처방을 내리게 된다.
이때, 연골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장비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것과, 시료채취에 의한 시험적 결과물로 판단하는 것과, 경험에 의한 시각과 접촉감에 의한 판단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경험에 의한 판단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간이 소요되는 번거로움 이 있다.
또한, 관절 수술 진행 중인 현장상황에 따라서는 연골에 대한 강도를 즉시 확인할 상황이 발생 되면 수술 집도의가 연골을 직접 만져서 경험에 의한 시각과 접촉감으로 연골의 강도를 파악하여 수술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연골의 강도측정이 수술 집도의에게 수치적으로 인지되도록 함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수술실에서의 연골강도측정의 요구성이 충족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릎 연골조직의 물성 도출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7646호로 제안 된 바 있다.
상기 공개된 선행기술은 측정대상환자의 무릎 연조직을 구성하는 반월판조직 및 연골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a) 측정대상환자를 눕힌 상태에서 무릎에 대한 MRI촬영을 실시하여 MRI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MRI 촬영단계 (S110); (b) 측정대상환자를 세운 상태에서 측정대상환자의 체중이 무릎에 가해진 상태를 유지하며 무릎에 대한 X-Ray 촬영을 실시하여 X-Ray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X-Ray 촬영단계(S120); (c) 상기 MRI촬영단계(S110)를 통해 획득한 MRI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릎에 대한 유한 요소해석을 위한 3차원 모델을 생성시키고, 무릎연조직을 구성하는 각 연조직의 물성값은 기 공지된 평균 물성 값으로 설정하는 무릎 모델생성단계(S130); (d) 무릎모델 생성단계(S130)로부터 생성된 3차원 모델을 X-Ray촬영 데이터에 정합시키는 모델 정합단계(S140); (e) 무릎연조직에 대한 민감도해석을 통해 민감도가 소정 수치값 이상인 연조직을 선별하는 연조직 선별단계(S150); 및
(f) 3차원 모델의 무릎을 소정각도만큼 구부리며(flexion) 상기 연조직 선별단계를 통해 선별된 연조직의 물성값을 최적화하는 물성 최적화 단계(S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방법적인 측면에서 고려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골의 강도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707646호(2017. 02. 10 등록)
본 발명은 관절수술현장에서 수술에 요구되는 연골의 강도확인을 위한 측정을 즉석에서 집도의가 확인할 수 있는바, 그에 따라 적절하고 효율적인 수술 기구 혹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연골강도 측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기구 형상의 바디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캡에서 연골의 강도 측정선택을 이루며,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된 촉캡에서는 연골의 강도측정을 이루며, 측정된 강도의 표시가 바디의 표면을 통해 투시되게 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 내의 축선위치에 설치되는 측정봉이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골에 접촉시 연골의 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의 복귀정도가 상기 바디의 표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의 기준눈금으로 비교 판단되게 하는 측정부재; 상기 바디 상단에서 상기 측정봉의 출몰 상태가 선택되게 하는 노브와 슬리브 그리고, 상기 측정봉의 출몰시 제어링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봉의 상,하 양방향에 탄성반발력이 작용되게 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클립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캡은 상기 클립이 바디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노브가 고정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측정부재는, 상기 측정봉의 상측부에 측정되는 연골강도를 판단하기 위한 측정눈금이 균일간격으로 표시되고, 상기 측정봉의 중간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에 제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측정봉의 하측 끝단에는 연골표면에 상처 나지 않게 반구형상의 촉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측정부재의 측정봉에는 상기 제어링의 기준으로 상측의 노브측방향과 하측의 촉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되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장착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2스프링 상부에 설치되는 슬리브와, 상기 바디캡에 설치되는 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와 노브에는 상기 측정봉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에는 클립캡과 바디의 나사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측정봉의 촉부가 상기 바디의 촉캡에서 출몰되게 하는 노브헤드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바디에 결합된 촉캡의 출몰홀에 일정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개의 제어홈과, 상기 촉갭의 출몰홀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축정봉 선단의 촉부 주변에는 상기 제어홈에 걸리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돌조륜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절사이에 위치한 연골의 건강상태 측정 즉, 강도측정을 통해 건강여부를 수술현장 즉석에서 집도의가 확인하므로 적절하고 효율적인 수술을 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기구형태를 이루고 있어 휴대와 사용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연골의 표면강도에 따른 반사작용이 수치로 환산되어 눈금으로 표시되므로 연골의 건강상태 측정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골강도측정장치에 대한 정면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내부 구성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 중 연골 강도측정장치의 제어부재에 대한 노브와 슬리브 및 측정봉의 접촉 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으로 연골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봉과 노브의 동작상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골강도측정장치에 대한 정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연골강도 측정장치는 휴대 가능한 필기구 형상으로 되어 상기 필기구 형상으로 된 바디부재(100)는 바디(110)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캡(130)에서 연골의 강도 측정선택을 이루고, 상기 바디(110)의 하단에 구비된 촉캡(120)을 통해서 연골의 강도측정이 되고, 측정된 연골의 강도에 대한 수치는 바디(110)의 표면을 통해서 투시되어 인식하게 된다.
상기 바디부재(100)의 바디(110)는 파이프형상으로 그 내부의 중공(中空)형태로 된 바디홀(112)에는 연골외면에 외력을 가하는 상태로 접촉될 때 연골외면의 눌림상태로 연골의 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연골의 강도로 환산하는 측정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부재(200)를 상기 바디홀(112)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110)의 하단에 촉캡(120)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는 제어부재(300)의 노브(310)가 설치된다.
상기 촉캡(120)은 원추형상으로 상단에 상기 바디홀(112)의 나사홈(113)과, 그 내부에 상기 측정부재(200)의 출몰을 유도하기 위한 출몰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재(100)의 바디홀(112)에 설치되는 상기 측정부재(200)는 볼펜 심처럼 가늘고 기다란 봉형상의 측정봉(210)과, 상기 바디(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봉(210)의 연골강도 측정 시 측정된 수치가 투시 확인되는 투시창(240)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정봉(210)은 상기 바디홀(11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에 상기 촉캡(120)에서 추출되어 연골에 접촉되며 접촉시 상처가 발생되지 않게 반구형상으로 촉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봉(210)의 상부측에는 측정되는 연골의 강도를 즉시 판단되게 하는 측정눈금(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봉(210)의 촉부(211)와 측정눈금(230)사이에는 연골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봉의 출몰 시 촉캡 방향으로의 탄성력 및 노브방향으로의 탄성력 작용점이 되게 하는 고정홈(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재(100)의 바디(110)와, 측정부재(200)의 측정봉(210)에 연골측정 및 측정제어를 위한 제어부재(300)가 구비된다.
도3은 본 발명 중 연골강도측정장치의 제어부재에 대한 노브와 슬리브 및 측정봉의 접촉 상태 확대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재(300)는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봉(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봉(210)의 중간위치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20)으로 결합되어 연골측정에 필요한 탄성력의 작용점이 되는 제어링(34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링(340)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봉(210)의 일측에는 누르는 가압력에 대한 반발탄성력이 작용되는 제1스프링(350)이 설치되고, 상기 측정봉(2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스프링(350)과 함께 바디홀(112)내로 복귀되도록 복귀탄성력이 작용되는 제2스프링(36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스프링(350,360)은 상기 측정봉(210)이 연골을 측정할 때 상기 바디(110)의 바디홀(112)에서 외부로 추출되고, 연골측정 후에는 바디홀(112)의 내부로 복귀하기 위해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스프링력은 동일한 크기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봉(211)에 장착되는 제2스프링(360)은 상기 바디(110)의 바디홀(112)내에서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측정봉(210)의 상단으로 소정길이로 된 슬리브(32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슬리브(320)는 상기 노브(310)와 제2스프링(3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명한 소재를 선택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슬리브(320) 내부에 형성된 통공(321)으로 상기 측정봉(210)이 삽입되어 상기 노브(310)와 제2스프링(360)사이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측정봉(210)으로 연골측정 시에 상기 촉캡(120)외부로 추출되게 하고, 연골 측정 후에는 촉캡(120)내부로 복귀하는 제어력을 선택하도록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노브(310)의 중심축 위치에는 상기 측정봉(210)이 삽입되게 하는 통공(315)이 형성되며, 노브(310)의 하단에는 상기 바디홀(112)에서 나사식으로 조절되는 나사산(313)이 구비된 노브헤드(312)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310)는,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110)의 바디홀(112) 상단에 형성되는 제어나사홈(114)과 나사식 결합되어 노브(310)를 조작함으로 노브헤드(312)에 형성된 나사산(313)이 상기 제어나사홈(11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피치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노브(310)의 나사조절은 상기 슬리브(320)를 통해 제2스프링(360)을 압축하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의 압축력은 상기 제2스프링(360)을 통해 상기 제어링(340)에 작용되어 상기 측정봉(210)의 촉부(211)가 상기 촉캡(120)의 외부로 추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노브(310)를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조립함에 있어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의복 또는 노트에 꽂을 수 있는 클립(150)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150)의 상단에서 바디(110)의 바디홀(112)과 나사식 결합되게 클립캡(130)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노브(310)가 볼펜형상처럼 바디(110)의 상단에서 돌출된 상태 및 바디(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어 자유롭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110)의 상단으로 노브(310)가 노출된 상태에서 노브(310)를 엄지와 검지 두 손가락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노브헤드(316)의 나사산이 바디홀(112)의 제어나사홈(11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상기 슬리브(320)를 통해 제2스프링(360)에 압축력을 전하며, 그 압축력은 상기 제어링(340)을 통해 측정봉(210)에 전달되므로 측정봉(210)이 이동될 때 제1스프링(350)이 압축되게 하면서 이동되어 촉캡(120)의 외부로 측정봉(210) 선단의 촉부(211)가 추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측정봉(210)의 촉부(211)가 촉캡(120)의 외부로 추출된 상태에서 수술자 또는 집도의는 바디(110)를 잡고 촉캡(120)을 연골부위로 접근시키고, 연골의 표면에 촉부(211)가 접촉되는 상태로 누르면 상기 측정봉(210)이 뒤로 밀리면서 즉, 연골의 강도정도에 따라 측정봉(210)이 노브(310)측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동되는 상태를 바디(110)의 투시창(240)을 통해 투시되므로 상기 투시창(240)의 기준눈금(243)이 지시하는 위치에서 측정봉(210)의 측정눈금(230)을 파악하게 되어 연골의 강도 상태가 지시되는 수치에 의해 파악된다.
상기와 같은 연골 강도측정을 함에 있어, 상기 측정봉(210)의 촉부(211)를 연골에 접촉시켜 바디(110)를 누르는 자세에서 측정치수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연골을 누르고 있던 상기 바디(110)를 들어 올리면 제1, 제2스프링(350,360)의 반발력에 의해 측정봉(210)이 즉시 바디(110)의 바디홀(112) 내부로 복귀되므로 연골의 강도측정수치 확인이 불편해 질 수 있다.
도 4는 연골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봉과 노브의 동작상태 확대한 상태도로써, 상기 제어부재(300)는, 상기 바디(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촉캡(120)의 출몰홀(122)내에 일정간격으로 오목한 수개의 제어요홈(127)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출몰홀(122)에 위치하는 상기 측정봉(210)의 선단의 촉부(211)에는 상기 제어요홈(127)에 걸리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돌조륜(213)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의 측정봉(210)이 연골강도 측정을 위해 바디(110)의 촉캡(120)에서 추출될 때, 상기 측정봉(210)의 촉부(211)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돌출된 돌조륜(213)이 상기 촉캡(120)의 출몰홀(122)내에 형성된 제어요홈(127)을 단계적으로 지나서 상기 측정봉(210)의 연골강도 측정이 되었을 때 돌조륜(213)이 제어요홈(127)에 형합되어 일시적인 고정상태가 된다.
이처럼 측정봉(210)의 돌조륜(213)이 촉캡(120)의 제어요홈(127)에 형합되는 상태에 의하여 측정봉(210)의 촉부(211)는 촉캡(120)외부로 추출된 추상태가 지속된다.
이러한 측정봉(210)의 추출상태는 상기 바디(110)의 투시창(240)에서 상기 측정봉(210)의 측정눈금(230)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골에서 상기 측정봉을 떼어 낸 상태에서도 투시창(240)의 기준눈금(243)에 위치한 측정눈금(230)을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측정봉(210)의 추출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때까지 연골강도 측정 수치는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상기 추출봉(210)의 촉부(211)의 추출정도에 따라 측정눈금(230)을 바디(110)의 투시창(24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도 하지만,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연골강도를 측정하게 되는 측정봉(210)의 상단이 상기 노브(310)에 형성된 통공(315) 외부로 노출되므로 그 노출되는 부위에 측정눈금(230)을 표시하며 연골 강도측정 시 연골에 접촉시켜 누르는 것에 대응되게 노출되는 측정봉(210) 상단에 표시된 측정눈금으로 현재의 연골 강도상태를 측정현장에서 즉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촉캡(120) 외부로 돌출된 측정봉(210)의 촉부(211)의 추출상태 해제는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설치된 노브(310)를 연골 측정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헤드(312)와 슬리브(320) 및 제2스프링(360), 제1스프링(350)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측정봉(210)에는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촉캡(120)에 추출된 상태로 있는 촉부(211)를 상기 촉캡(120)의 내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돌조륜(213)이 출몰홀(122)의 제어요홈(127)에서의 걸림이 강제 해결되므로 측정봉(210)이 바디(110)의 내부 바디홀(112)로 복귀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바디부재 110 : 바디 112 : 바디홀
113 : 나사홈 114 : 제어나사홈 120 : 촉캡
122 : 출몰홀 123 : 캡결합대 125 : 나사산
127 : 제어요홈 130 : 클립캡 150 : 클립
200 : 측정부재 210 : 측정봉 211 : 촉부
213 : 돌조륜 230 : 측정눈금 240 : 투시창
243 : 기준눈금 300 : 제어부재 310 : 노브
312 : 노브헤드 313 : 나사산 315 : 통공
320 : 슬리브 321 : 통공 340 : 제어링
350 : 제1스프링 360 : 제2스프링

Claims (6)

  1. 필기구 형상의 바디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캡에서 연골의 강도 측정선택을 이루며,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된 촉캡에서는 연골의 강도측정을 이루며, 측정된 강도의 표시가 바디의 표면을 통해 투시되게 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 내의 축선위치에 설치되는 측정봉이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골에 접촉시 연골의 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의 복귀정도가 상기 바디의 표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의 기준눈금으로 비교 판단되게 하는 측정부재; 및
    상기 바디 상단에서 상기 측정봉의 출몰 상태가 선택되게 하는 노브와 슬리브 그리고, 상기 측정봉의 출몰시 제어링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봉의 상,하 양방향에 탄성반발력이 작용되게 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촉캡의 출몰홀에 일정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개의 제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재는,
    상기 측정봉의 상측부에 측정되는 연골강도를 판단하기 위해 균일간격으로 형성된 측정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측정봉의 중간위치에 상기 제어링이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봉의 하측 끝단에는 연골표면에 상처나지 않게 반구형상의 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정봉의 촉부 주변에는 상기 촉캡의 제어홈에 걸리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조륜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링의 기준으로 상측의 노브측방향과 하측의 촉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측정봉 상부로 삽입되도록 통공이 각각 구비된 슬리브와, 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브에는 클립캡 및 바디의 나사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측정봉의 탄성복귀력이 조절되는 노브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강도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클립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캡은, 상기 클립이 바디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노브가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강도 측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의 측정봉에는,
    상기 제어링의 기준으로 상측의 노브측방향과 하측의 촉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장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강도 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98779A 2018-08-23 2018-08-23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KR10225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79A KR102256180B1 (ko) 2018-08-23 2018-08-23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79A KR102256180B1 (ko) 2018-08-23 2018-08-23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54A KR20200022754A (ko) 2020-03-04
KR102256180B1 true KR102256180B1 (ko) 2021-05-26

Family

ID=6978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79A KR102256180B1 (ko) 2018-08-23 2018-08-23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131A (ja) * 2005-05-19 2006-11-30 Bando Tsusho Kk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32A (ko) * 2015-01-21 2016-07-29 이덕표 휴대용 통증 압진 측정기
KR101707646B1 (ko) 2016-06-08 2017-02-20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무릎연조직 물성 도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131A (ja) * 2005-05-19 2006-11-30 Bando Tsusho Kk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54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6545B1 (en) Systems for performing surface electromyography
Dunne et al. Wearable monitoring of seated spinal posture
Apostolico et al. Postural comfort evaluation: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Range of Rest Posture for human articular joints
CN101320526B (zh) 一种手术预测和训练的设备及其方法
US200700383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prostheses
JP4768567B2 (ja) マッサージ手技評価システム
KR102256180B1 (ko) 연골의 강도측정장치
CN106575486A (zh) 医学手术模拟器
Huang et al. Measurement of soft tissue elasticity in vivo: techniques and applications
CN104856683B (zh) 股骨柄颈长测量器
TWI569794B (zh) 用於視覺馬達和/或神經肌肉治療的設備、和使用該設備用於視覺馬達和/或神經肌肉治療的方法
JP7223919B1 (ja) 検査、治療又は診断中に被験者の身体に力を印加するための医療装置
EP3307159B1 (de)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gewollten bewegung einer gliedmasse
DE102005029002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ührenden Messung einer Kraft
CN209091609U (zh) 一种柄打入器
Grime A pilot study to determin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pressure specified sensory device in the maxillofacial region
Poon et al. A novel user-specific wearable controller for surgical robots
Winward et al. Somatosensory assessment after central nerve damage: The need for standardized clinical measures
US20190231251A1 (en) Spring-loaded device for eliciting deep tendon reflexes
KR102159278B1 (ko) 집게형 멀티 터치펜
KR102533877B1 (ko) 원격 검진이 가능한 스왑모듈 및 이를 포함한 원격 검진장치
CN213046843U (zh) 一种神经内科检查用叩诊锤
CN209122199U (zh) 神经内科临床压式检查器
Judkins et al. Effect of handle design and target location on wrist posture during aiming with a laparoscopic tool
D’AMICO et al.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spine through the analysis of lateral bending test kinematics by mean of non-ionising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