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011B1 -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011B1
KR102256011B1 KR1020200127254A KR20200127254A KR102256011B1 KR 102256011 B1 KR102256011 B1 KR 102256011B1 KR 1020200127254 A KR1020200127254 A KR 1020200127254A KR 20200127254 A KR20200127254 A KR 20200127254A KR 102256011 B1 KR102256011 B1 KR 10225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oft switch
state
electric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섭
백병산
Original Assignee
(주)이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이카플러그
Priority to KR102020012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장치는 충전기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 감시 모듈(12); 충전 감시 모듈(1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충전 상태를 진단하는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 및 전기 또는 전자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13)을 포함하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누전 상태 및 복구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 수단(13)을 작동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복구를 시킨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A Method for Detecting an Electric Leakage of an Electric Vehicle and Bre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누전을 검출하여 즉시 차단하면서 누전이 해소되면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다시 복구되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충전을 위한 다양한 운영 형태가 적용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시스템은 전력 제어 기술, 전력 변환 기술, 충전 과정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탐지 및 진단 기술, 충전 요금의 정산을 위한 요금 정산 기술 또는 주변 기기와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 기술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과정에서 전기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을 위한 공지 기술의 경우 누전 차단기가 적용되면서 충전 제어 콘택트로 전기 접촉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설치 공간에 따른 문제, 비용 문제 또는 충전기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누설 전류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차단기가 고장이 나는 경우 직접 방문하여 보수가 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공개번호 10-2019-0030127은 전기차 충전기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순간 누전으로 인한 누전 차단기 동작 및 복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8-0075242는 누전 차단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누전을 차단하면서 충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누전 상태를 진단하여 충전기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누전 차단 및 복원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9-0030127((주)이카플러그, 2019.03.21. 공개) 전기차 충전기의 누전차단기 자동 복구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8-0075242(엘에스산전 주식회사, 2018.07.04. 공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적 스위치 구조에 의하여 누전이 탐지되면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누전이 차단되면서 충전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누전 상태 탐지 및 충전 상태 제어가 가능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장치는 충전기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 감시 모듈; 충전 감시 모듈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충전 상태를 진단하는 충전 감시 진단 모듈; 및 전기 또는 전자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은 누전 상태 및 복구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복구를 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충전 감시 진단 모듈은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 및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정보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칭 수단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소프트 스위치 및 제2 소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누전 탐지 또는 복구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 및 제2 소프트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방법은 충전 상태 및 누전 감시 수단이 작동되는 단계; 충전 신호의 입력에 따라 충전이 되는 단계; 충전 과정에서 누전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는 단계; 제1 소프트의 스위치가 차단되면서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어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충전이 유지되는 단계;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어 제1 소프트 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소프트 스위치 또는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고,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진단 상태가 또한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은 누전 탐지 센서와 전자 스위치로 이루어져 누전 검출과 스위치의 온/오프가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지의 누전 차단기 및 전기 접촉자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은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의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면서 이와 동시에 자동 복구가 가능하여 유지 또는 보수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 복구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장치는 충전기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 감시 모듈(12); 충전 감시 모듈(1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충전 상태를 진단하는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 및 전기 또는 전자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13)을 포함하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누전 상태 및 복구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 수단(13)을 작동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복구를 시킨다.
충전기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에 설치된 충전기 또는 휴대용 충전기가 될 수 있고, 충전기에 충전 감시 모듈(12)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감시 모듈(12)은 충전 개시, 충전 종료, 충전 속도, 충전 전력 또는 이와 유사한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충전 감시 모듈(12)은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EV)와 충전을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누전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누전 발생 여부는 예를 들어 누전 감지 회로에 의하여 감지되거나, 공급 전력과 충전 전력의 대비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충전 감시 모듈(12)은 또한 충전기와 전기 자동차(EV)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충전 감시 모듈(12)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M)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에 충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서 결제 과정의 진행을 위한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감시 모듈(12)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가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는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을 통하여 충전 또는 과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기 또는 충전과 관련된 설비에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이 설치되어 충전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가 진단될 수 있다. 또한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에 의하여 누전이 발생되었는지 여부 또는 누전 발생에 따라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진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누전이 발생된 위치 또는 누전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충전기와 전기 자동차(EV)가 연결되는 과정에서부터 충전 과정이 완료되어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EV)로부터 분리되는 충전 종료 과정까지 충전 관련 수단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 및 진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누전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스위칭 수단(1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수단(13)은 적어도 두 개의 경로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치는 전자적으로 작동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는 하나의 주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에 의하여 하나의 충전 경로에서 누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하나의 충전 경로가 스위치 오프(off)에 의하여 차단이 되고, 다른 스위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충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면서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 소프트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 과정이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충전 과정에서 또는 충전이 된 이후 주 스위치가 복구되면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다시 보조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만들면서 주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이와 같이 누전이 발생되어 스위칭이 되거나, 누전 상태가 복구되면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으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에 의하여 이와 같은 스위칭, 복구 또는 누전 진단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누전 위치를 탐지하는 누전 탐색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 통신 관리 모듈(15)이 설치되어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의 진단 정보가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전 상태가 발생되면 과금 통신 모듈(15)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에 대한 연결이 설정되어 관련 정보가 모바일 기기(11)로 전송될 수 있다. 과금 통신 모듈(15)은 모바일 기기(M)와 연결될 수 있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과금 통신 모듈(15)에 의하여 충전이 되기 전, 충전 과정 또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과금 정보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과금 통신 모듈(15)은 다양한 방법으로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11)으로 누전 상태, 스위칭 정보, 복구 상태 또는 과금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22);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23) 및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정보가 모바일 기기(26)로 전송된다.
전기 자동차(EV)의 충전 과정에서 다양한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충전 커넥터(25)를 경유하여 전기 자동차(EV)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 또는 관리하는 다양한 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감시를 위한 전원 감시 제어반(21)이 작동될 수 있고,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22),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23) 또는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이 작동될 수 있다. 누전 전류의 검출을 위하여 누전 전류 판단 기준 값이 설정될 수 있고,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또는 교류 상태 변화 측정값과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22)에 의한 측정값이 대비되어 누전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누전 여부의 검출 여부에 따라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23)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주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에 의하여 보조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서 충전이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주 스위치의 연결 부분에서 일시적으로 누전이 발생되었다면 주 스위치가 다시 복구가 되고,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에 의하여 충전 경로가 다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22),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23)으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전 발생 여부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누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을 작동시켜 충전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주 스위치의 상태를 진단하고, 복구 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을 작동시켜 충전 경로를 복구할 수 있다.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이와 같은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외부 연계 장치(26)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연계 장치(26)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충전 관리 서버, 충전기 관리 서버 또는 이와 유사한 충전 장치 또는 충전 과정과 관련된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과정에서 누전이 발생되었다면, 과금이 다시 산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을 누전 발생 및 스위치 제어 과정에 대한 정보를 과금 통신 모듈(15)로 전송할 수 있다. 과금 통신 모듈(15)은 과금 정보 또는 누전 정보를 서버/관제 시스템(27)으로 전송하여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다양한 방법으로 누전 상태를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 복구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수단(13)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소프트 스위치(331) 및 제2 소프트 스위치(332)를 포함하고, 누전 탐지 또는 복구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331) 및 제2 소프트 스위치(33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전력 공급 수단(31)은 전력 공급이 가능한 다양한 전력 공급원이 될 수 있고, 전력 공급 수단(3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은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EV)로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칭 수단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2 소프트 스위치(331, 332); 및 제1, 2 소프트 스위치(331, 332)의 연결을 설정하는 선택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수단(31)으로부터 커넥터(25) 사이에 형성된 공급 경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 상태가 누전 탐지 유닛(34)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누전 탐지 유닛(34)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진단 유닛(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진단 유닛(35)은 누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진단하여 제어 유닛(36)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 유닛(36)은 선택 유닛(32)을 작동시켜 제1, 2 소프트 스위치(331, 332)를 선택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1, 2 소프트 스위치(331, 332)는 전자 스위치가 될 수 있고, 선택 유닛(32)에 의하여 전송되는 전자 신호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소프트 스위치(331 또는 332)를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소프트 스위치(331, 332)에 의하여 전력 공급이 선택되는 과정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검출 및 차단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방법은 충전 상태 및 누전 감시 수단이 작동되는 단계(P42); 충전 신호의 입력에 따라 충전이 되는 단계; 충전 과정에서 누전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44);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는 단계(P45); 제1 소프트의 스위치가 차단되면서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어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충전이 유지되는 단계(S45);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는 단계(P48); 및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어 제1 소프트 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이 되는 단계(S4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소프트 스위치 또는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고,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진단 상태가 또한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휴대용 충전기 또는 충전소의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어 충전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P41). 이후 충전이 개시되면 충전 상태 및 누전 여부의 감시를 위한 수단이 작동될 수 있고(P42), 충전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P43),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 충전 과정에서 누전 상태가 감지되면, 누전 여부가 판정될 수 있고(P44), 판정 결과 누전에 해당되면(YES),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될 수 있다(P45). 이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충전 감시 진단 모듈에 의하여 누전 상태가 진단될 수 있다(P42).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면(YES), 충전 감시 진단 모듈에 의하여 제2 소프트 스위치로 온(on) 신호가 전송되고(S42), 이에 따라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정상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44). 만약 제2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경로가 정상 상태라면(YES), 제2 소프트 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이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제2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충전에 의하여 충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46). 만약 충전이 완료되었다면(YES),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될 수 있다. 제2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충전이 진행되면서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NO), 제1 소프트 스위치로 온 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P46),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스위칭이 되어(P47),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정상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48), 만약 제1 소프트 스위치가 복구가 되었다면(YES), 충전 감시 진단 모듈에 의하여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면서 제1 소프트 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에 의한 충전이 복구될 수 있다(P4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감지 및 차단 방법은 제1, 2 소프트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하여 누전 과정에서 충전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차단이 된 제1 소프트 스위치에 대한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제1, 2 소프트 스위치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가 될 수 있고,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누전 발생 및 차단 정보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스위칭 정보 또는 복구 정보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위칭 제어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2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충전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충전 감시 모듈 13: 스위칭 수단
14: 충전 감시 진단 모듈 15: 과금 통신 모듈
21: 전력 공급 수단 22: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
23: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 24: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
331, 332: 소프트 스위치

Claims (5)

  1.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장치에 있어서,
    충전기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 감시 모듈(12);
    충전 감시 모듈(1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충전 상태를 진단하는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 및
    전기 또는 전자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13)을 포함하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누전 상태 및 복구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 수단(13)을 작동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복구를 시키며,
    스위칭 수단(13)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소프트 스위치(331) 및 제2 소프트 스위치(332)를 포함하고, 누전 탐지 또는 복구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331) 및 제2 소프트 스위치(33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전력량 검출 및 계산 유닛(22); 누전 검출 및 차단 유닛(23) 및 충전 스위치 제어 유닛(24)의 상태를 진단하고,
    충전 감시 진단 모듈(14)은 진단 정보를 모바일 기기(26)의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충전 상태 및 누전 감시 수단이 작동되는 단계;
    충전 신호의 입력에 따라 충전이 되는 단계;
    충전 과정에서 누전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는 단계;
    제1 소프트의 스위치가 차단되면서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어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충전이 유지되는 단계;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제2 소프트 스위치가 차단되어 제1 소프트 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소프트 스위치 또는 제2 소프트 스위치의 상태는 모바일 기기의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제1 소프트 스위치의 진단 상태가 또한 모바일 기기의 충전/과금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누전 감지 및 차단 방법.
  5. 삭제
KR1020200127254A 2020-09-29 2020-09-29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KR10225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54A KR102256011B1 (ko) 2020-09-29 2020-09-29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54A KR102256011B1 (ko) 2020-09-29 2020-09-29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011B1 true KR102256011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254A KR102256011B1 (ko) 2020-09-29 2020-09-29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074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97871B1 (ko) 2022-09-15 2023-02-08 홍정애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누전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771A (ko) * 2011-12-07 2013-06-17 새턴정보통신(주)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1734725B1 (ko) * 2015-12-14 2017-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누전 검출 장치
KR20180075242A (ko)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KR20190030127A (ko) 2017-09-13 2019-03-21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771A (ko) * 2011-12-07 2013-06-17 새턴정보통신(주)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1734725B1 (ko) * 2015-12-14 2017-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누전 검출 장치
KR20180075242A (ko)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KR20190030127A (ko) 2017-09-13 2019-03-21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074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49974B1 (ko) 2021-06-11 2023-07-03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713A (ko) * 2021-06-11 2023-07-05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4102A (ko) * 2021-06-11 2023-07-07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7154A (ko) * 2021-06-11 2023-07-14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57504B1 (ko) 2021-06-11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57505B1 (ko) 2021-06-11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79971B1 (ko) 2021-06-11 2023-09-21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97871B1 (ko) 2022-09-15 2023-02-08 홍정애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011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누전 검출 및 차단 방법
JP5731543B2 (ja) バッテリー制御装置及び方法
CN109552104A (zh) 一种充电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充电桩
JP2007252175A (ja) 蓄電装置
CN105291875A (zh)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方法
CN109491304A (zh) 一种控制系统故障自检电路和故障自检方法
KR101679985B1 (ko)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KR101856101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 자가 진단 시스템
JP6628495B2 (ja) 充電システム
CN205890573U (zh) 一种电动车用弓式充电系统
CN113085879B (zh) 车辆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以及车辆
US11505082B2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and automatic trobleshooting method thereof
CN113291184B (zh) 电动汽车充电控制方法
JP2017099125A (ja) 電池システム、二次電池の電池監視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監視方法
CN112721639B (zh) 一种继电器控制方法及装置
CN115091961A (zh) 动力电池处理系统、方法、电动车辆及自动驾驶车辆
US202203961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between a battery and a socket of an electric motor vehicle
CN114335764A (zh) 控制方法及装置、储能系统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16817A (zh) 一种切换单元状态检测方法及应用装置
CN113054698A (zh) 电池充电方法、装置、控制单元及存储介质
KR102549245B1 (ko) IoT 기반 전기차 급속/완속 충전기 원격 차단기 제어시스템
US2023041198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KR101923979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방법
CN110932379A (zh) 冗余电源管理系统及方法
JP3895067B2 (ja) 無停電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