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003B1 -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6003B1 KR102256003B1 KR1020200095244A KR20200095244A KR102256003B1 KR 102256003 B1 KR102256003 B1 KR 102256003B1 KR 1020200095244 A KR1020200095244 A KR 1020200095244A KR 20200095244 A KR20200095244 A KR 20200095244A KR 102256003 B1 KR102256003 B1 KR 102256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lar
- teacup
- upper cover
- horizontal surface
- storage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체의 내부에 찻잔 받침을 적층하고, 찻잔 받침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부커버체를 안착시켜 찻잔 받침을 은폐 보관하게 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좁은 식탁 등에 많은 개수의 찻잔 받침의 보관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나무로 제작되어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체의 내부에 찻잔 받침을 적층하고, 찻잔 받침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부커버체를 안착시켜 찻잔 받침을 은폐 보관하게 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좁은 식탁 등에 많은 개수의 찻잔 받침의 보관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나무로 제작되어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체의 내부에 찻잔 받침을 적층하고, 찻잔 받침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부커버체를 안착시켜 찻잔 받침을 은폐 보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통상 차(茶)를 마시기 위해서는 찻잔이 놓이는 차상과 찻잔을 받치기 위한 찻잔 받침이 필요하게 되고, 찻잔과 찻잔 받침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주방 선반이나 씽크대용 선반 등이 있는데, 이들은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간단히 들어 이동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찻잔과 찻잔 받침을 따로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찻잔 및 찻잔 받침대를 보관하는 선행기술에는 20-0175812호(고안의 명칭 : 접시보관대) 및 20-0223051호(고안의 명칭 : 차류 음용을 위한 용기의 건조 보관대)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접시보관대는 상광하협식의 틈새가 일측으로 형성된 상부링체 그리고 하부링체 및 상부링체와 하부링체를 연결하는 지지봉들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하부링체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윗면에 형성되며 중앙으로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양측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된 받침대와; 받침대와 하부링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많은 숫자의 접시를 안전하게 쌓아서 보관할 수 있고, 이를 이동시키기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접시의 보관상태 또한 미려한 효과가 있고, 또한 프레임 안에 적층되어 있는 접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프레임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되어 파손되거나 허물어지는 예가 거의 없어 안전한 효과가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 많은 숫자의 접시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상태가 안전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많은 개수가 보관되어 수직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별도의 커버가 존재하여 않아 보관되는 접시가 상부 및 외주면으로 노출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단점과, 실내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아 장식용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의 차류 음용을 위한 용기의 건조 보관대는, 저면에 발열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갖는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기 기판 중앙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중공의 관체형상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의 외주로 감싸여지고 상기 제1기둥의 길이보다 다소 짧고 상기 제1기둥 상하측 각각에 고정설치되는 2조의 축수금구로 결합되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중공의 관체형상 제2기둥;상기 제2기둥의 하부 외측에 일체로 용착되어 보조용기들이 적층식으로 탑재되도록한 원판체형상의 회전반; 상기 제2기둥의 상부 외측에 일체로 용착되어 용기들이 적층식으로 보관되는 수납홀들이 방사상으로 갖추어진 진열통; 및 상기 제1기둥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진열통내에 보관되는 용기들을 가열하는 코일형상의 발열부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기판상에 제1 및 제2기둥을 중첩적으로 설치하여 이중구조로 구성되는 기둥을 이용해 회전반 및 진열통을 원할히 회전되게 설치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상태가 안정되고 견고하며, 진열통 및 회전반의 회전이 자유로워 사용하고자 하는 수납홀내의 용기를 간편히 인출시키고 따라서 차 음용을 위한 준비작업이 편리하게 되었으며, 또한 회전반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기둥 설치가 없어 공간면적이 증대되고 따라서 찻잔받침을 보다 많이 진열할 수 있는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회전하는 회전반 및 진열통에 찻잔받침 및 찻잔이 보관되고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나 구조가 복잡하여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체의 내부에 찻잔 받침을 적층하고, 찻잔 받침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부커버체를 안착시켜 찻잔 받침을 은폐 보관하도록 구성한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원형의 하부판과, 하부판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적층보관되는 찻잔받침을 분리하기 위한 취출공간을 유지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형보관홈이 형성되는 반원형마감대로 이루어진 보관함체와; 상기 보관함체의 원형보관홈 내부에 적층 보관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잔 받침과; 상단의 상기 찻잔 받침 상부 가장자리에 자체 무게로서 하부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찻잔 받침을 은폐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체의 내부에 찻잔 받침을 적층하고, 찻잔 받침 상부 가장자리에 상부커버체를 안착시켜 찻잔 받침을 은폐 보관하게 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좁은 식탁 등에 많은 개수의 찻잔 받침의 보관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나무로 제작되어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1실시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보관함체(10)와; 보관함체(10)의 내부에 적층 보관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잔 받침(20)과; 상단의 찻잔 받침(20) 상부 가장자리에 자체 무게로서 하부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찻잔 받침(20)을 은폐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관함체(10)는 원형의 하부판(12)과; 하부판(1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적층보관되는 찻잔받침(20)을 분리하기 위한 취출공간(13a)(13b)을 유지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형보관홈(14)이 형성되는 반원형마감대(15a)(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찻잔 받침(20)은 보관함체(10)의 원형보관홈(14) 내부에 안착되는 하부수평면(22)과; 하부수평면(22)의 외주면에 상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상측곡면(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체(3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수평면(31)과, 상부수평면(3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하측곡면(32)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33)와;
상부커버(33)의 상부수평면(31) 상부 중앙 영역에 부착 고정되는 돌출고정부(34)와, 돌출고정부(34)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파지부(35)로 이루어진 손잡이(36)로 이루어진다.
상부커버(33)의 상부수평면(31) 상부 중앙 영역에 부착 고정되는 돌출고정부(34)와, 돌출고정부(34)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파지부(35)로 이루어진 손잡이(36)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받침 보관용 케이스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의 제2실시예는 팔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보관함체(40)와; 보관함체(40)의 내부에 적층 보관되고,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잔 받침(50)과; 상단의 찻잔 받침(50) 상부 가장자리에 자체 무게로 안착되어 보관함체(40)를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체(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관함체(40)는 팔각형의 하부판(42)과; 하부판(4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취출공간(43a)(43b)을 유지하여 상부가 개방된 팔각보관홈(44)이 형성되는 사각마감대(45a)(4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찻잔 받침(50)은 보관함체(40)의 팔각보관홈(44) 내부에 안착되는 하부수평면(52)과; 하부수평면(52)의 외주면에 상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팔각상측곡면(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체(6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수평면(61)과, 상부수평면(6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팔각하측곡면(62)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63)와; 상부커버(63)의 상부수평면(61) 상부 중앙 영역에 부착 고정되는 수직손잡이(6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받침 보관용 케이스는 목재로 제작 구성되어, 재질의 특성상 식탁 등에 올려 놓고,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의 제1실시예에 대한 조립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의 하부판(12)과 반원형마감대(15a)(15b)로 이루어진 보관함체(10)의 원형보관홈(14) 내부에, 하부수평면(22) 및 원형상측곡면(24)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찬 받침(20)을 적층 보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수평면(31)과 원형하측곡면(32)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33)및 손잡이(36)로 이루어진 상부커버체(30)를, 상단의 찻잔 받침(20)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시켜 찻잔 받침(20)을 은폐 차단 보관하여 식탁 등에 비치하게 된다.
이후,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손잡이(36)의 수직파지부(35)를 파지한 다음, 상부커버(33)의 원형하측곡면(32)을 찻잔 받침(20)의 원형상측곡면(24)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보관함체(10)를 구성하는 반원형마감대(15a)(15b) 양측의 취출공간(13a)(13b)을 통해 적층된 다수의 찻잔 받침(20)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식탁 등의 바닥면에 찻잔 받침(20)의 하부수평면(22) 하부를 올려 놓은 다음, 하부수평면(22) 상부에 찻잔(1)을 받쳐 사용하게 된다.
사용이 완료되면 보관함체(10)의 원형보관홈(14) 내부에, 찻찬 받침(20)을 순차로 적층 보관한 다음, 상부커버체(30)를, 상단의 찻잔 받침(20)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시켜 찻잔 받침(20)을 은폐 차단 보관하여 식탁 등에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공간을 활용해 식탁에 비치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의 제2실시예에 대한 조립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팔각형의 하부판(42)과 사각마감대(45a)(45b)로 이루어진 보관함체(40)의 팔각보관홈(44) 내부에, 하부수평면(52) 및 팔각상측곡면(54)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찬 받침(50)을 적층 보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수평면(61)과 팔각하측곡면(62)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63)및 수직손잡이(64)로 이루어진 상부커버체(60)를, 상단의 찻잔 받침(50)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시켜 찻잔 받침(50)을 은폐 차단하여 식탁 등에 비치하게 된다.
이후,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수직손잡이(64)를 파지한 다음, 상부커버체(60)를 구성하는 상부커버(63)의 팔각하측곡면(62)을 찻잔 받침(50)의 팔각상측곡면(54)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관함체(40)를 구성하는 사각마감대(45a)(45b) 양측의 취출공간(43a)(43b)을 통해 적층된 다수의 찻잔 받침(50)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식탁 등의 바닥면에 찻잔 받침(50)의 하부수평면(52) 하부를 올려 놓은 다음, 하부수평면(52) 상부에 찻잔(1)을 받쳐 사용하게 된다.
사용이 완료되면 보관함체(40)의 팔각보관홈(44) 내부에, 찻찬 받침(50)을 순차로 적층 보관한 다음, 상부커버체(60)를, 상단의 찻잔 받침(50)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시켜 찻잔 받침(50)을 은폐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좁은 식탁에 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40 : 보관함체 12,42 : 하부판
14 : 원형보관홈 15a,15b : 반원형마감대
20,50 : 찻잔 받침 22 : 하부수평면
24 : 원형상측곡면 30,60 : 상부커버체
33,63 : 상부커버 36 : 손잡이
44 : 팔각보관홈 52 : 하부수평면
54 : 팔각상측곡면 64 : 수직손잡이
14 : 원형보관홈 15a,15b : 반원형마감대
20,50 : 찻잔 받침 22 : 하부수평면
24 : 원형상측곡면 30,60 : 상부커버체
33,63 : 상부커버 36 : 손잡이
44 : 팔각보관홈 52 : 하부수평면
54 : 팔각상측곡면 64 : 수직손잡이
Claims (6)
- 원형의 하부판(12)과; 하부판(1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적층보관되는 찻잔받침(20)을 분리하기 위한 취출공간(13a)(13b)을 유지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형보관홈(14)이 형성되는 반원형마감대(15a)(15b)로 이루어진 보관함체(10);
상기 보관함체(10)의 원형보관홈(14) 내부에 안착되는 하부수평면(22)과; 하부수평면(22)의 외주면에 상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상측곡면(24)으로 구성되어 원형보관홈(14) 내부에 적층 보관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찻잔 받침(20);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수평면(31)과, 상부수평면(3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 만곡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하측곡면(32)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33)와; 상부커버(33)의 상부수평면(31) 상부 중앙 영역에 부착 고정되는 돌출고정부(34)와, 돌출고정부(34)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파지부(35)로 이루어진 손잡이(36)로 구성되고,
상단의 상기 찻잔 받침(20)의 원형상측곡면(24) 상부 가장자리에 자체 무게로서 상부커버(33)의 원형하측곡면(32) 하부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찻잔 받침(20)을 은폐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체(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244A KR102256003B1 (ko) | 2020-07-30 | 2020-07-30 |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244A KR102256003B1 (ko) | 2020-07-30 | 2020-07-30 |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6003B1 true KR102256003B1 (ko) | 2021-05-24 |
Family
ID=7615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5244A KR102256003B1 (ko) | 2020-07-30 | 2020-07-30 |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600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81281A (zh) * | 2021-11-29 | 2022-02-25 | 江西庭艺户外家具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隐藏式茶几 |
CN114698936A (zh) * | 2022-02-23 | 2022-07-05 | 福建惠安县振惠家私有限公司 | 一种多功能茶桌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84Y1 (ko) * | 1999-08-31 | 2000-02-15 | 김병성 | 찻잔 및 접시 보관대 |
KR200175812Y1 (ko) | 1999-10-14 | 2000-03-15 | 김영일 | 접시보관대 |
KR200223051Y1 (ko) | 2000-11-27 | 2001-05-15 | 김병기 | 차류 음용을 위한 용기의 건조 보관대 |
KR101717888B1 (ko) | 2016-11-01 | 2017-03-17 | 박영기 | 다기능 찻상 |
-
2020
- 2020-07-30 KR KR1020200095244A patent/KR1022560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84Y1 (ko) * | 1999-08-31 | 2000-02-15 | 김병성 | 찻잔 및 접시 보관대 |
KR200175812Y1 (ko) | 1999-10-14 | 2000-03-15 | 김영일 | 접시보관대 |
KR200223051Y1 (ko) | 2000-11-27 | 2001-05-15 | 김병기 | 차류 음용을 위한 용기의 건조 보관대 |
KR101717888B1 (ko) | 2016-11-01 | 2017-03-17 | 박영기 | 다기능 찻상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81281A (zh) * | 2021-11-29 | 2022-02-25 | 江西庭艺户外家具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隐藏式茶几 |
CN114081281B (zh) * | 2021-11-29 | 2022-11-08 | 江西庭艺户外家具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隐藏式茶几 |
CN114698936A (zh) * | 2022-02-23 | 2022-07-05 | 福建惠安县振惠家私有限公司 | 一种多功能茶桌 |
CN114698936B (zh) * | 2022-02-23 | 2023-09-15 | 福建惠安县振惠家私有限公司 | 一种多功能茶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6003B1 (ko) | 찻잔 받침 보관용 케이스 | |
US2978285A (en) | Revolvable tray | |
US11490749B2 (en) | Nested tableware set | |
US3805965A (en) | Storage unit | |
US5183165A (en) | Kitchen storage unit | |
US20130160679A1 (en) | Multi-Purpose Table with Inlaid Storage Container | |
US3216681A (en) | Base for large sunshades of the beachumbrella type, with variable weight | |
US3695742A (en) | Combination table bar cabinet | |
US3966103A (en) | Holder for containers and napkins | |
US2488641A (en) | Revolving display rack for showcases | |
US3683824A (en) | Table | |
CN206062544U (zh) | 一种多功能储物茶几 | |
US20030025060A1 (en) | Pedestals | |
US2482704A (en) | Coaster and tray | |
US11957247B2 (en) | Under-bed storage unit freestanding | |
US20040124324A1 (en) | Pedestals | |
WO2009051568A1 (en) | Assembly of rotatable shelves in a furniture element | |
US1191165A (en) | Cone-dispenser. | |
US590579A (en) | Waiting-stand for dining-tables | |
US9433311B2 (en) | Twist-fold containers | |
AU641978B2 (en) | Kitchen storage unit | |
JP3154025U (ja) | コップ類スタンド | |
CN212233613U (zh) | 一种多功能饭桌 | |
US20210106152A1 (en) | Vase Assembly | |
US6336563B1 (en) | Cup and saucer h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