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80B1 -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680B1
KR102255680B1 KR1020190179520A KR20190179520A KR102255680B1 KR 102255680 B1 KR102255680 B1 KR 102255680B1 KR 1020190179520 A KR1020190179520 A KR 1020190179520A KR 20190179520 A KR20190179520 A KR 20190179520A KR 102255680 B1 KR102255680 B1 KR 10225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terminal
customer
payment
trave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웅
Original Assignee
최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웅 filed Critical 최지웅
Priority to KR102019017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기획된 여행상품의 데이터인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 후 고객의 귀국이 모니터링된 시점에 자동정산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 및 등록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를 받는 결제부, 결제를 수행한 고객 단말의 위치 및 교통편의 위치를 체크하여 고객의 귀국을 체크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부에서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여행상품을 기획한 기획 단말로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OCIAL MEDIA BASED TRAVEL SERVICE USING CONTENTS INSPECTION AND AUTOMATIC ADJUSTMENT}
본 발명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기획된 여행상품을 등록 및 판매하고, 에스크로 및 블록체인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정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소셜미디어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대중화되고 있으며, 특히 관광산업에서도 많은 여행자들이 블로그, 트위터, 커뮤니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관광정보는 물론이고 이용후기를 집중검색하여 여행상품을 결정하거나 여행목적지를 선정하는 등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여행행동 및 여행소비 결정이 증가추세에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여행정보와는 달리 온라인 상태에서 인간관계를 맺는 새로운 관계형성과 확장의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데, 여행상품은 대체로 비용이 높고 또한 구매 후 일정기간이 지나서 이용하게 된다. 또, 구매 전 품질 판단의 근거가 매우 취약한 무형의 서비스 상품이라는 점에서, 여행상품의 구매과정에 있어서 소셜미디어 정보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인터넷 여행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온라인 여행구매결정요인의 차이를 만들고 있다.
이때, 여행사에서도 공장형 패키지 및 대량생산적인 상품보다는 개인화 및 커스터마이징을 실시하고자 노력중이고, 더 나아가 고객 자신이 직접 호스트 권한으로 기획 및 모객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3554호(2015년07월01일 공개)에는, 오퍼레이터가 기획한 여행 패키지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 및 커스터마이징하여 호스트로 등록하고, 호스트 권한으로 코스나 인원을 변경하여 호스트 패키지의 형태로 웹에 게재하여 직접 모객을 하고 호스트 패키지를 홍보하는 활동을 통해 다른 회원이 보고 열람,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인바운드 여행 패키지 커스터마이징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여행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인 고객이 구성을 하는 경우, 각 상품의 가격 및 코스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모객 뿐만 아니라 상품을 등록하는 것조차 리스크가 존재한다. 또, 여행사의 도덕적 해이로 인하여 고객이 결제한 금액에 대하여 횡령 및 배임이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사건사고가 일어나고, 횡령한 금액만큼 대금을 지불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하여, 여행을 구성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대금의 지불지연 뿐만 아니라, 지급불가사태로 파트너사와의 협력관계 및 신뢰관계까지 무너지고 있다. 이에, 여행상품의 다양화 및 신뢰성 구축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를 이용하여 횡령 및 배임을 배제하고, 고객의 귀국을 모니터링하여 귀국시점에 자동정산이 되도록 스마트컨트랙트를 구성함으로써 완전자동정산 플랫폼을 구축하며, 인공지능 및 반지도 검수를 이용하여 기획된 여행상품의 자동검수를 모델링함으로써, 여행상품의 다양화 및 검수의 자동화를 가져올 수 있고, 소셜미디어 및 인플루언서를 이용하여 판매 및 모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획된 여행상품의 데이터인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 후 고객의 귀국이 모니터링된 시점에 자동정산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 및 등록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를 받는 결제부, 결제를 수행한 고객 단말의 위치 및 교통편의 위치를 체크하여 고객의 귀국을 체크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부에서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여행상품을 기획한 기획 단말로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를 이용하여 횡령 및 배임을 배제하고, 고객의 귀국을 모니터링하여 귀국시점에 자동정산이 되도록 스마트컨트랙트를 구성함으로써 완전자동정산 플랫폼을 구축하며, 인공지능 및 반지도 검수를 이용하여 기획된 여행상품의 자동검수를 모델링함으로써, 여행상품의 다양화 및 검수의 자동화를 가져올 수 있고, 소셜미디어 및 인플루언서를 이용하여 판매 및 모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고객 단말(100), 기획 단말(400),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여행상품을 선택 및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로부터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받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의 검수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업로드를 결정하고 여행 서비스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완전자동검수를 위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할 때,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여행상품 데이터와 검수결과를 반지도 학습으로 학습시키고, 이후 여행상품 데이터가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검수결과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된 금액의 완전자동정산을 위하여 에스크로,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검수가 완료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모객을 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유통경로를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한정하지 않고, 인플루언서나 여행사와 같은 중개경로를 더 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개인, 소규모업체, 중소기업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기획된 여행상품을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검수결과를 통보받는 단말일 수 있다. 만약, 검수결과가 통과라면,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모객 상태 및 모객된 고객이 귀국한 시점을 기준으로 완전자동정산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정산이 되는 경우,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여행상품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모객된 인원을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중개 수수료를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인플루언서, 여행사, 여행크리에이터, 여행전문가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여행상품 데이터를 검수하고, 그 결과를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60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모델링을 수행할 때에는, 반지도 학습의 주체가 되지만, 이후 학습이 완료된 경우에는 더 이상 지도를 하지 않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결제부(320), 모니터링부(330), 정산부(340), 인공지능부(350), 및 판매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로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은,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등록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은,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에서 등록한 여행상품 데이터를 검수한 후, 업로드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에서 검수를 하는 이유는, 기획 단말(400)을 보유한 기획자가, 어떠한 경험과 경력을 가졌는지 모르고, 그 기획자가 기획한 상품이 제대로 된 상품인지를 검증받지 못했기 때문에 검수를 한 후 상품으로 업로드하는 것이다. 또, 후술하겠지만, 관리자 단말(600)은 초기 로우 데이터(Raw Data)의 누적 및 학습이 진행될 때까지는 트레이닝 및 학습을 지도, 즉 검수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후 완전히 훈련 및 학습이 된 후에는 더 이상 일일이 수동으로 검수를 진행하지는 않고, 오류가 발생되어 확인이 필요한 것만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310)는 여행경험에 기반하여 여행 콘텐츠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콘텐츠의 좌표를 재설정함으로써 저장할 수도 있다. 소셜미디어는,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성에 대한 신뢰도 중요하지만, 콘텐츠 자체에 대한 신뢰도 중요할 수 있다.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는 콘텐츠를 만드는 이용자의 신뢰도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측정되어야만 한다. 콘텐츠는 정보의 유형에 관계없이 하나의 주제 또는 여러 개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는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이는 이용자의 다양한 경험과 사건, 이야기 등을 바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유기적 연관성은 물리적인 계층보다는 분류된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행정보 콘텐츠를 재배치하여 이용자들이 더 신뢰도 좋은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용자들의 경험 공유함으로써 콘텐츠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재배치되는 여행정보는 다른 이용자들의 여행정보에 경험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추천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구성된 콘텐츠는 이용자들간의 관계, 콘텐츠의 추천, 콘텐츠 자체 대한 평가 지수 등을 바탕으로 재분류되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경험공유는 사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지성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정보를 활용하여 표기하는 로컬지성, 사람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표현범위를 정할 수 있는 경험지성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지인들의 추천뿐만 아니라, 지인이 방문한 여행지, 지인이 평점을 많이 준 여행지, 전체 이용자들이 많이 방문한 여행지, 전체 이용자들이 평점을 많이 준 여행지 등을 기준으로 재배치할 수 있는데, 동일한 여행지를 방문한 여러 명의 지인들 중에서는 지인의 관계와 여행지 콘텐츠의 신뢰도 등을 바탕으로 재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재배치되는 여행지는 해당 지역에 있을 때 재배치되는 위치를 다르게 보여주도록 하여, 이용자마다 동일 지역에 있더라도 노출되는 여행지정보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본인의 추천여행지 또는 다녀온 여행지가 없다면 디폴트값이 출력될 수 있고, 동일한 메뉴를 보여주고 있지만, 이용자의 친구들의 추천을 통해 다양한 여행정보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결제부(320)는,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로부터 결제를 받을 수 있다. 결제는 간편결제, 계좌이체, 신용카드결제, 체크카드결제, QR 코드 결제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지만, 상술한 것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 결제부(320)는, 결제가 된 경우, 고객이 준비해야 할 서류나 안내사항을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로 발송하고, 여행보험에 대한 안내사항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의 로드를 줄여줄 수 있다. 이때, 챗봇이 이용될 수도 있는데, 소셜미디어 기반의 챗봇이나 별도의 메신저 기반의 챗봇을 통하여 고객이 궁금한 사항들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챗봇은 동작방식에 따라 규칙기반 챗봇과 기계학습기반 챗봇, 정보교환방식에 따라 일회성 질의응답 챗봇과 연속대화형 챗봇, 답변생성방식에 따라 검색모델 챗봇과 생성모델 챗봇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규칙기반 챗봇은 미리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챗봇이 동작하게 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는 해석규칙,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 반응하는 반응 규칙 또는 응답을 생성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규칙기반 챗봇의 개발에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구현이 쉬운데, 규칙기반 챗봇의 경우 규칙이 잘 정의되면 높은 품질의 대화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많은 규칙을 잘 정의하는 것이 우선될 수 있다.
기계학습기반 챗봇은 자연어를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거나 선택하기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NLP(Natural Language Process) 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자연어를 다양한 언어학적 자원을 활용해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모듈은 분해된 자연어의 의미를 파악하여 정제된 정보를 답변을 생성하기 위한 최종 분류 모델 또는 생성모델로 전달하게 된다. 나아가 NLU 모듈의 결과물을 사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기존에 정의된 답변을 선택하거나 NLG(Natural Language Generation) 모듈이 새로운 답변을 생성하게 된다. 기계학습 기반 챗봇은 높은 수준의 대화가 가능하지만 그만큼 높은 수준 자연어 처리기술을 필요로 하며, NLP 모듈 및 NLU 모듈은 많은 언어학적 자원 및 데이터를 요구하므로, 말뭉치 사전, 형태소사전, 및 의미역 사전의 데이터베이스화가 더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태스크 수행을 위해 만들어진 기계학습 모듈은 적용 분야에 따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용이 어렵다. 일회성 질의응답 챗봇은 대화관리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질문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답변을 제시하는 검색엔진과 유사한 형태로 작동한다.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정해진 답변을 제시하는 FAQ 챗봇의 대부분이 1회성 질의응답 형태로 설계된다. 연속 대화형 챗봇은 대화의 시작과 종료가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응답을 하면 대화가 종료된다. 챗봇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 모든 응답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대부분 특정 대화의 주제에 따라 구조화된 대화의 형식(시나리오)이 정해져 있다.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하는 챗봇 시스템을 프레임 기반 담화 시스템(Frame-based system)이라고 한다. 프레임 기반 담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문에 응답하기 위한 정보의 세트인 슬롯을 구성하여 슬롯에 기반을 두어 질문을 생성하고, 요구되는 정보가 수집된 상태에 따라 담화가 전개될 수 있다.
검색기반 챗봇은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기존 지식 베이스에 저장된 답변 중 가장 적절한 답변을 선택하여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생성기반 챗봇은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기존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답변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생성모델의 챗봇은 답변을 생성하는데 자유도가 크기 때문에 문법적인 오류를 범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답변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생성모델의 챗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굉장히 방대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검색기반 챗봇이거나 검색모델과 생성모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딥러닝 알고리즘(Encoder-Decoder, Seq2Seq)을 적용하여 챗봇을 구현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330)는, 결제를 수행한 고객 단말(100)의 위치 및 교통편의 위치를 체크하여 고객의 귀국을 체크할 수 있다. 여행은 왕복, 즉 도착지에 도착한 후, 귀국하기까지의 여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고객이 귀국했을 시점의 교통편의 출도착시간을 조회하고, 이에 더하여 고객 단말(100)의 위치까지 조회함으로써 귀국 또는 도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니터링부(330)는 정산시점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고, 기준값이 만족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정지조건부 계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귀국이 확인되는 경우, 정지조건이 실현됨으로 인하여, 채무의 이행, 즉 정산을 완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방법은 정산부(340)에서 후술된다.
이때, 항공의 경우, 지연출발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연으로 표시되지 않고, 지연도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도착한 시간이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물론, 기차, 철도 등도 마찬가지인데, 모니터링부(330)는, 공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해당 항공편, 기차편, 및 철도편을 이용한 고객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국내 비행을 제외한 국제 비행과 같은 경우, CS 망 또는 LTE 망에 접속이 불가하게 된다. 이때, 고객 단말(100)이 마지막 접속이 존재한 것을 기준으로 최근 접속이 존재한 시간까지를 비행시간으로 가정할 수 있다. 비행을 한 사람들이 랜딩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를 확인하는 일인데, 메신저에 접속한 시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비행시간을 추정할 수도 있다. 만약, 이 모든 데이터가 동일하다면, 예를 들어, 공공 데이터는 금일 오후 4시부터 오후 9시까지 비행을 한 것으로 표시되었고, 고객 단말(100)의 마지막 접속이 오후 4시이고 최근 접속이 오후 9시이며, CS 망 또는 LTE 망에 접속한 시간이 오후 9시라면, 해당 항공편은 오후 4시부터 9시까지 비행을 한 것이 맞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데이터가 다른 경우, 예를 들어, 항공은 오후 4시부터 오후 9시부터 지연없이 출발하고 지연없이 도착한 것으로 표기되었지만, 고객 단말(100)의 마지막 접속은 오후 6시라면, 항공 데이터를 다시 한 번 체크해 보아야 한다. 이때, 검수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에서 직접 검수를 할 수도 있다.
정산부(340)는, 모니터링부(330)에서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여행상품을 기획한 기획 단말(400)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정산부(340)는, 고객 단말(100)이 결제한 결제금액은 에스크로 서비스로 예치하고,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기획 단말(400)의 계좌로 정산할 수 있다. 에스크로(escrow)는, 특정물을 제3자에게 기탁하였다가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상 명시된 대상에게 해당 물건을 교부할 것으로 약속하는 조건부양도증서를 의미하며, 무역이나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때, 정산부(340)는, 중립적 제3자(Thrid Party)가 결제대금와 관련된 대체물인 현금 및 서류 일체를 거래 대상의 고객의 귀국시까지 관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에스크로는 제3자가 여행상품에 관련된 대금과 권리를 담보하다 계약조건이 충실하게 이행되면 결제대금은 기획자에게 이전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정산부(340)는, 고객 단말(100)이 결제한 결제금액을 블록체인 내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블록을 생성하여 트랜잭션으로 저장하고,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기획 단말(400)의 계좌로 정산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은, 기획된 여행상품의 데이터인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 후 고객의 귀국이 모니터링된 시점에 자동정산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Blockchain)은, 공개키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원장에 입력된 정보가 블록체인 당사자에 의하여 확인되는 분산화 데이터베이스이다. 블록체인의 작동은 블록체인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블록체인 그 자체는 정보의 기록으로서 기능을 하는데, 즉,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바로 앞의 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정돈된 목록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일정 기간마다 그간의 변경사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각각의 블록은 시간상 앞의 블록과 연결되어 체인의 모습을 형성한다. 블록체인은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분산된 블록에는 거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블록의 집합체인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거대한 분산화 원장(distributed ledger)이다.
이때, 스마트 컨트랙트는, 결제시스템이 내장된 분산화 원장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계약 내용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계약 내용을 담고 있는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구성된 이진코드로 변환되어 지갑전자주소에 포함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서 실행된다. 여기서 가상머신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하는 가상의 컴퓨터로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를 작동시키며, 지갑주소를 통해 트랜잭션을 발행해서 계약에 따른 행위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귀국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다른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해당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결제금액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절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①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② 작성된 코드에 서명을 한 다음 지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③ 코드설계자(공급자) 블록체인에서 자신의 계약주소를 이용하여 귀국이 확인되면 결제금액을 제공한다는 메시지를 블록체인 내에 공개한다. ④ 수요자가 여행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여행상품에 대응하는 가격을 입금하여 계약주소인 지갑주소로 결제금액을 송금하는데, ⑤ 귀국이 확인되는 경우, 결제금액의 송금을 완료시키도록 프로그램 코드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결제금액이 자동으로 이전, 즉 정산된다. 여기서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주소는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의 실행 시에는 개인키와 함께 전자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400)에서 등록한 여행상품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에서 출력된 검수결과, 검수에 통과한 여행상품 데이터, 및 검수에 통과하지 못한 여행상품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Raw Data)로 수집하고, 로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의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으로 모델링 및 학습시켜 여행상품 데이터가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검수결과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지도 학습 이외에도, 빅데이터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및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한 학습 방법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인과관계를 발견 및 검증하는 방법은, 원인 -> 결과라는 인과적 추론(Causal Inference)을 한 뒤 그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당한 다수의 숫자로 임의적으로 추출한 표본집단을 구성하여, 원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거나 이를 제거하는 가정 하에서 하는 실험(Randomized Control Trial)을 통해 검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머신러닝은 이를 뒤집어 응용수학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역문제(Inverse Problem)의 방법을 핵심으로 하는데, 특정 시점에 취득한 데이터가 주어져 있을 때 그 다음 시점에서의 결과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매개변수(Parameter)와 그 확률적 가중치(Probable Weight)는 무엇인지를 도출해 내는 일종의 결과-> 원인 방식을 취한다. 물론 인간이 매개변수와 가중치를 일일이 계산하고 추론해야 하는 수학식과 달리 머신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여기에 검증 및 자동적인 그 결과 반영절차를 더함으로써 기존 예측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면 이에 기초해 보다 정확한 원인을 추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렇게 학습이 되기까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600)은, 목표를 지정하고, 학습된 결과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거나 지도함으로써 학습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바로 상술한 지도 학습 모델이다. 지도 학습 모델은, 최초의 데이터는 훈련집단(Training DataSet), 유효성검사 집단(Validation DataSet), 검증집단(Test DataSet)으로 나누고 관리자가 분류를 지정해 놓은 훈련집단을 통해 특정 분류를 지정할 일종의 규칙을 찾아내고 그 규칙이 실제로 맞는지를 유효성검사 집단에 나누어 적용하여 규칙에 적용되는 매개변수나 가중치의 수치를 수정하고 마지막으로 위 수치를 검증집단에 적용하여 검증집단 중 그 규칙이 적용되는 비율이나 수준(Support Level)과 검증집단의 구성원이 위 규칙을 따르는 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도출해 일정한 수준을 보장하는 규칙만을 남겨 놓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정확도를 가지는 결과를 도출한다.
물론 이러한 지도학습 방식의 머신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그 훈련집단 내 매개변수가 다양할수록 부정확한 결과를 낳기 때문에 인간에게 AI 같은 느낌을 덜 주는데 상대적으로 최근에 등장한 딥러닝 기법은 매개변수가 다양한 경우에도, 상술한 반지도학습 내지는 비지도학습 형태로 비교적 정확한 결과예측이 가능하다. 이때, 딥러닝이란 심층구조화학습(Deep Structured Learning)의 줄임말로 일반적인 하나 또는 두 개의 소프트웨어 세트인 레이어, 즉 계층으로 구성된 지도학습 기법의 인공지능 알고리즘과는 달리, 다수의 계층을 포함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위 계층들은 추상화 정도에 따라 하위레벨부터 상위레벨까지의 수직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레벨의 데이터를 상위레벨의 입력 값으로 사용하며 각 하부를 구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은 패턴분석과 분류기능을 갖추고 최종적인 결과를 낼 수 있다. 이는, 다수의 계층으로 구성되고 각 구성부분이 마치 인간 신경망(Neural Network)처럼 연결되어 최종결과를 내기 전까지 반복적인 출력데이터의 입력데이터 전환과정을 거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모델링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모델링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형태로 고정되거나 다른 형태의 알고리즘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판매부(360)는,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판매할 수 있다. 물론, 유통경로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 유통경로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여행사, 여행 전문가, 및 여행 크리에이터의 단말인데,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로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500)에서 모객 및 결제가 완료된 경우, 중개 수수료를 지급할 수도 있다. 즉, 크리에이터나 인플루언서를 통해서도 모객, 즉 마케팅과 홍보가 가능하므로 소셜미디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100)로 여행성향을 질의할 수 있다.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여행 스타일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선택받고, 선택된 여행 스타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설문 조사는, 여행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포맷 또는 여행 스타일을 파악하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여행 스타일은, 항공, 숙박, 계획, 소비, 교통, 식사, 성향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조사일 수 있지만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항공은 비싸더라도 직항을 선호하는지, 경유를 하더라도 돈을 아끼고 싶은지, 숙박은 호텔이 좋은지 게스트하우스 등 민박이 좋은지, 계획은 철저하게 계획한 스타일인지 무계획으로 되는대로 하는 스타일인지, 소비는 공금을 모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더치페이를 선호하는 편인지, 교통은 버스나 지하철을 주로 이용할 것인지 택시를 이용할 것인지 또는 렌트를 할 것인지, 식사는 맛집 위주로 갈 것인지 가는 경로에 있는 레스토랑 아무 곳이나 갈 것인지, 성향은 빨리빨리 하는 스타일인지 느긋하게 하는 스타일인지,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일정을 소화하는 스타일인지 조식을 먹고 느긋하게 나와서 저녁 늦게나 새벽까지 활동하는 스타일인지, 여행 비용은 부족함이 없이 쓰는 스타일인지 아끼고 절약하는 스타일인지, 여행 사진을 최대한 많이 남기는 스타일인지 여행 경험과 느낌을 중요하게 여기는 스타일인지, 예술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스타일인지 예술작품에는 흥미도 없고 문외한인지 등 다양한 팩터(Factor)를 체크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제시하고 이를 선택하는지 선택하지 않는지로 여행 스타일을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행 중 하루 정도는 쇼핑을 위해 할당하고 싶다라는 문장이 있다면, 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쇼핑 성향을 1 증가시키고 선택하지 않는다면 쇼핑 성향을 기본값인 0로 그대로 두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문장은,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해도 음식의 맛이 좋다면 상관없다, 한 번 가본 여행지는 다시 갈 필요가 없다, 여행이 아닌 단체와 여행을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숙박업소는 1도 안전 2도 안전이다, 치안이 좋지 못하다면 여행지로 는 부적합하다, 여행지에서는 숙소를 제외한 곳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다, 해외에서 늦은 저녁에 돌아다니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여행지의 박물관은 꼭 들리고 싶다, 도심지보다는 멋진 풍경이 마음에 든다, 여행은 역시 돈을 쓰러 가는 맛이다, 알뜰하게 여행비용을 아껴서 더 많은 지역을 구경하고 싶다, 일정이 안맞는다면 따로 떨어져서 다니는 것도 나쁘지 않다, 흥정을 하느라 시간을 쓰는 것은 낭비이다, 여행계획은 사전에 미리미리 예매까지 다 끝내는 편이다 등 보기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설문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설문 조사 포맷은 상술한 것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제시하고 어느 하나를 고르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한데, 형용사에 대해서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단어에 대한 연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미지로 직관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연상되는 이미지와 단어 간의 간극을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계획을 철저히 세운다라는 문장에서 철저히라는 형용사에 대한 사람마다의 기준이 다르고 자신이 생각하는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는 서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각 이미지에 키워드 태그를 부착하고, 이미지를 고르는 경우, 부착된 키워드 태그를 고객 단말(100)의 성향 키워드에 포함시키는 방법으 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서비스는, 여행사 직원이나 기획자 뿐만이 아니라, 여행전문가나 인플루언서 또는 일반인인 개인이 자신의 노하우나 특색을 담아 기획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실제로 상품으로 판매하는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도 3b을 보면, 여행전문 플랫폼을 개발하여, 기획, 판매, 마케팅, 결제, 및 정산까지의 전 프로세스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현하고, 각종 ERP 시스템과 연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고객 여행의 대금을 보존하기 위하여,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제공하되, 고객의 귀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더하여 교통편의 공공 API를 수집함으로써 귀국이 확정되면 대금을 자동으로 지급 및 정산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오프라인에서도 전세계 현지 여행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여행전문가의 전문가 풀(Pool) 구성, 지역상품의 차별화, 다양화, 현지화, 및 고급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협업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도 3e와 같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전세계 어디에서나 상품의 기획, 운영, 및 판매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품의 기획, 판매, 결제, 및 정산의 전 과정이 도시된다. 이때,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으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이에 더하여 블록체인과 에스크로까지 결합함으로써 상품의 다양화는 물론, 횡령이나 배임의 가능성까지 미연에 제로화할 수 있다. 또, 상품이 판매되었다고 하여, 그 이후에 발생하게 되는 서비스를 중단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일정이 포함된 지역 및 시간을 추출하여 기상정보를 일정에 출력해주고, 각 요일, 기상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일정이나 추가적으로 더 진행할 수 일정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으로 구성된 상품들에 대해서는, 고객은 현지에 처음 가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위치를 기반으로 관광지 해설 서비스를 AR로 제공함으로써, 눈 앞에 자신이 원하는 건물이 있는데도 해당 건물을 못알아보고 지나치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귀국까지의 과정에 각종 항공 지연의 사태가 유럽 및 미국 등지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4시간 이상의 항공지연이 존재하는 것이 공공 데이터로 확인되는 경우, 보험신청 안내 및 작성해야 할 서류를 귀국 후에 제공함으로써, 상품을 판매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귀국까지 안전하게, 귀국 후에 처리해야 할 사항들을 상세하게 안내함으로써 풀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 휴대폰이 망가진 경우, 예를 들어, 고객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고장나거나, 기 설정된 임계값이 초과된 경우에는 충돌이나 충격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장이 났는지를 확인하고, 고장이 발생된 경우, 어느 센터에서 어떻게 수리를 해야 하는지, 보험은 어떻게 청구해야 하는지를 상세하게 안내하도록 한다.
도 4b와 같이 에스크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결제한 대금에 대한 횡령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사전예방하고, 협력업체에게도 정산의 누락이나 지연으로 인하여 쌓아왔던 신뢰관계가 깨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 4c와 같이여행상품 데이터가 업로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구조인데, 각각의 유통경로, 판매경로, 마케팅 경로 등이 도시되지만,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프라인 부분에서 현지 여행사 상품과 직영 상품을 공동으로 마케팅하는 협업상품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등록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받고(S5200), 결제를 수행한 고객 단말의 위치 및 교통편의 위치를 체크하여 고객의 귀국을 체크한다(S5300).
마지막으로,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여행상품을 기획한 기획 단말로 정산을 수행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기획된 여행상품의 데이터인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 후 고객의 귀국이 모니터링된 시점에 자동정산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 및
    상기 등록된 여행상품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여행상품에 대한 모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를 받는 결제부, 상기 결제를 수행한 고객 단말의 위치 및 교통편의 위치를 체크하여 고객의 귀국을 체크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상기 여행상품을 기획한 기획 단말로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부는, 상기 고객 단말이 결제한 결제금액은 에스크로 서비스로 예치하고, 상기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상기 기획 단말의 계좌로 정산하며,
    상기 정산부는, 상기 고객 단말이 결제한 결제금액을 블록체인 내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블록을 생성하여 트랜잭션으로 저장하고, 상기 고객의 귀국이 체크된 시점에 상기 기획 단말의 계좌로 정산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에서 등록한 여행상품 데이터를 검수한 후, 업로드 유무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획 단말에서 등록한 여행상품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된 검수결과, 검수에 통과한 여행상품 데이터, 및 검수에 통과하지 못한 여행상품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Raw Data)로 수집하고, 상기 로우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의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으로 모델링 및 학습시켜 여행상품 데이터가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검수결과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인공지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여행상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판매하는 판매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여행사, 여행 전문가, 및 여행 크리에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로 상기 여행상품 데이터를 등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 단말에서 모객 및 결제가 완료된 경우, 중개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9520A 2019-12-31 2019-12-31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5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20A KR102255680B1 (ko) 2019-12-31 2019-12-31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20A KR102255680B1 (ko) 2019-12-31 2019-12-31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680B1 true KR102255680B1 (ko) 2021-05-31

Family

ID=7615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520A KR102255680B1 (ko) 2019-12-31 2019-12-31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74B1 (ko) * 2022-10-27 2023-05-30 주식회사 그레온 상품 판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004A (ko) * 2007-10-08 2009-04-13 강월주 위치기반을 이용한 보험 자동 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39068A (ja) * 2017-02-24 2018-09-06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よるエスクロー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36185B1 (ko) * 2018-01-11 2019-01-08 조은철 디자인 여행 기획 판매 방법
KR20190108246A (ko) * 2018-03-14 2019-09-24 이호준 인공지능 챗봇 기반 보조금 약정 체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004A (ko) * 2007-10-08 2009-04-13 강월주 위치기반을 이용한 보험 자동 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39068A (ja) * 2017-02-24 2018-09-06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よるエスクロー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36185B1 (ko) * 2018-01-11 2019-01-08 조은철 디자인 여행 기획 판매 방법
KR20190108246A (ko) * 2018-03-14 2019-09-24 이호준 인공지능 챗봇 기반 보조금 약정 체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74B1 (ko) * 2022-10-27 2023-05-30 주식회사 그레온 상품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dríguez-Espíndola et al. The potential of emergent disruptive technologies for humanitarian supply chains: the integration of blockcha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3D printing
Ullah et al. Barriers to the digitalisation and innovation of Australian Smart Real Estate: A managerial perspective on the technology non-adoption
Thees et al.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tourism: use cases in the tourism value system
Antonio et al. Big data in hotel revenue management: Exploring cancellation drivers to gain insights into booking cancellation behavior
Seddon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Buhalis et al. eTourism: cri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estinations
US201701034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analysis of stakeholders
Douglas et al. Identifying value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in corporate travel management by applying the soft value management model: A survey in South Africa
Lee et al.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of online travel agencies on trust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 application of the SOR model
Glushko Describing service systems
Brdesee Exploring factors impacting e-commerce adoption in tourism industry in Saudi Arabia
KR102255680B1 (ko) 소셜미디어 기반 상품검수 및 자동정산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Goecke Advanced web technologies and E-tourism web applications
Li et al. Parallel Services: Intelligent Systems of Digital Twins and Metaverses for Services Science
Chen Service supply chain management: generalised and applied framework perspective
KR102202086B1 (ko) 지역 기반 사업자 및 소비자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vilés-Sacoto et al. Technology Innovation in Tourism Supply Chains: Opportunities and Barriers to Adoption in the Post-COVID World
Vino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in Travel
KR102634648B1 (ko) 빅데이터 기반 지역상점 이벤트 홍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0611B1 (ko) 지도 기반 상권분석을 이용한 가상 프랜차이즈 창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6732B1 (ko) 알고리즘을 이용한 여행상품 역경매 정보 제공 시스템
Stone et al. Smart cities and smart transport: The role of data and insight
Biermann et al. Pragmatic incremental or courageous leapfrog [Re] development of a land-use and transport modelling system for Perth, Australia
Berg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personalization
Wang Innovative Research on O2O Model of Tourism Industry in Post E-Commerce 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