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98B1 -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98B1
KR102254398B1 KR1020190155315A KR20190155315A KR102254398B1 KR 102254398 B1 KR102254398 B1 KR 102254398B1 KR 1020190155315 A KR1020190155315 A KR 1020190155315A KR 20190155315 A KR20190155315 A KR 20190155315A KR 102254398 B1 KR102254398 B1 KR 10225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ival
dental prosthesis
sector
manufacturing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운
한연수
Original Assignee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스마일치과기공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스마일치과기공소 filed Critical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색조 글레이징(glaze coloring) 기술을 이용하여 17 이상의 표면경도를 확보하고, 단일색조를 개선하여 심미성이 우수한 치과용 맞춤형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세라믹 치아의 착색제와 광택제 사용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인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에 맞춤형 색조 글레이징 효과를 얻도록 레진 계열 착색제를 보철물에 적용함으로써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으로 제조된 단일 색조를 갖는 치과용 보철물을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열 순환처리에 의한 표면 균열현상을 방지하며, 우수한 표면 경도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글레이징(glaze coloring) 색조 표면처리를 이용하여 17 이상의 표면경도를 확보하고, 단일색조를 개선하여 심미성이 우수한 치과용 맞춤형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자연 치아의 부분 또는 완전 상실로 인해 의치상 레진과 인공치아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치과용 보철물(의치)로서 부분 틀니 또는 완전 틀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65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 보험의 확대 적용으로 인해 틀니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치과용 보철물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A, B는 PMMA(PolyMethymeta Acrylate)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치를 나타내고, C는 C-PMMA 의치상 레진과 치은 색조(gingiva/gum-shade)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은 열중합 과정을 겨처 핑크색(pink color)의 단일 색조로 제작(A,B) 되었으나, 최근에는 심미적 만족도를 요구하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심미성 확보를 위해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미학(Aesthetic) 또는 치은 색조(gingiva/gum-shade) 복합레진을 이용한 전치부 심미성 재현이 이루어지고 있다(C).
치은 색조(gingiva/gum-shade) 복합레진을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은 기존 PMMA로 제조된 보철물의 단일 색조에 비해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복잡한 축성공정을 통해 제조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제조공정이 다소 복잡하여 경력자의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었고, 특히 의치 제조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간대비 생산 효과가 낮아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은 치과 기공사들의 의치 제작 기회가 감소하여 기공사의 신규 고용 창출 및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동일 품질의 심미 보철물의 제작이 사실상 어려웠다. 또한,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 의료보험 혜택 이외의 추가적인 제작비용이 발생하여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수 있고, 대부분 보철물 기공료는 정해진 가격 외의 비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들은 표면 경도가 약해 6~12개월 정도 사용하면, 구강 내 저작 기능과 함께 음식물 및 외부적인 자극에 기인하여 의치 표면에 잦은 스크래치가 유발되어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되었고, 이로 인해 잔류 음식물에 의한 표면 착색과 변색은 물론 구강 내 비위생적인 상태를 지속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표면 스크래치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의치 사용 중 의치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세척 관리하고 있으나, 의치에 한번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치를 재 제작하거나, 혹은 의치를 제작한 기공소에 의뢰하여 수리를 진행해야 함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2-0095396 A, 2002. 12. 26. KR 10-2013-0096101 A, 2013. 08. 29.
"Technique for fabricating individualized dentures with a gingiva-shade composite resin", Park BW, Kim NJ, Lee JH, Lee HH,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16. 임용운, 황성식, '열 순환 처리가 Gingival shade 복합레진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기공학회, 2017년, 39권 2호, p83-p91. 임용운, 황성식, '심미성 향상을 위한 간접수복용 Gum-shade 복합레진의 굽히 특성 평가'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년, 15권 4호 p407-p412.
따라서, 본 발명은 치과용 세라믹 치아의 착색제와 광택제 사용 기법에 착안하여 의치상 레진에 맞춤형 색조 글레이징 효과를 얻도록 레진 계열 착색제를 보철물에 적용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열 순환처리에 의한 표면 균열현상을 방지하며, 우수한 표면 경도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MMA(PolyMethymeta Acrylate)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치은의 전면부를 표면 삭제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전면부를 샌드블라스팅을 이용하여 안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부를 착색제를 이용하여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을 상부에서 하부로 제1 내지 제3 섹터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섹터에서 상기 제3 섹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치근부와 치은부에 대해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은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50~70 중량%,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TPO(1.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1~5 중량%, 광개시제(photoinitiator) 1~5중량%, 실리카(silicon dioxide) 5~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섹터의 각 섹터내에서 가운데앞니의 치근부와, 가운데앞니의 치근과 바깥앞니의 치근 사이의 제1 치은부와, 바깥앞니의 치근과 송곳니의 치근 사이의 제2 치은부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되, 상기 치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치은부를 제외한 나머지 치은부들은 상기 제2 치은부의 색조와 동일하도록 동일한 비율의 착색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시, 상기 치근부는 투명(C):핑크(P):화이트(W):오렌지색(O)=1~3:0.5~2:0.1~1:0.1~1로 하고, 상기 제1 치은부는 투명(C):핑크(P):브라운(B)=1~5:0.1~3:0.1~4로 하며, 상기 제2 치은부는 투명(C):레드(R):화이트(W):브라운(B)=1~5:0.1~3:0.1~3:0.1~3로 하여 실시하고, 상기 제1 섹터에서 상기 제3 섹터로 갈수록 색조의 명도가 20%씩 감소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한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세라믹 치아의 착색제와 광택제 사용 기법을 이용하여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에 맞춤형 색조 글레이징 효과를 얻도록 레진 계열 착색제를 보철물에 적용함으로써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으로 제조된 단일 색조를 갖는 치과용 보철물을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열 순환처리에 의한 표면 균열현상을 방지하며, 우수한 표면 경도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치과용 보철물을 도시한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2는 일반적인 치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에 대한 표면경도를 나타낸 시험 데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PMMA 의치상 레진을 이용하여 치과용 보철물의 베이스가 되는 PMMA 의치 베이스(10)를 제조한다(S1). 이때, PMMA 의치 베이스(10)는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을 이용하여 단일 색조로 제조된 의치로서, 기존에 공징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PMMA 의치 베이스(10)의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을 일정 깊이로 갈아 삭제한다(S2). 이때, PMMA 의치 베이스(10)의 치은(11)의 전면부 삭제공정은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으로부터 0.1mm 이내로 실시하고, 치과 기공용 버(bur), 예를 들면 그린 스톤 포인트(green stone point) 또는 피슈 버(fissure bur)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단계 S2와 같이, PMMA 의치 베이스(10)의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을 치과 기공용 버를 이용하여 0.1mm 이내로 삭제 처리하는 이유는 추후 PMMA 의치 베이스(10)의 치은(11)에 대한 글레이징 색조 표면 처리시 색조 조성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색조 조성물이 치은(11)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에 대해 표면 안정화를 실시한다(S3). 표면 안정화 공정은 단계 S2에서 실시된 표면 삭제공정 후 거칠어진 치은(11)의 표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단계 S2 실시 후,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은 울툴불퉁하게 불규칙적인 깊이를 갖는다. 이에, 샌드 블라스팅 공정을 통해 미세한 가루를 치은(11)의 전면부에 분사함으로써 치은(11)의 전면부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한편, 표면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킨다.
이후, 치은(11)의 전면부에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를 실시하여 색조를 입힌다(S4).
도 4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단계 S3 진행된 의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색조 표면 처리공정은 치은(11) 영역을 3개의 섹터(S1~S3)로 분할한다. 이때, 섹터 분할은 치은(11)의 상부(치관(12)과의 경계부위)로부터 하부로 균등하게 3등분하는 방식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치은(11) 영역은 2개의 섹터로 이분할할 수도 있다.
이후,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제1 섹터(S1)부터 제3 섹터(S3)까지 순차적으로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을 실시하여 글레이징 색조 표면 처리공정을 완료한다.
[표 1]은 치은(11)의 동일 섹터 내에서 부위별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 색조 산화물 비율 및 경화시간을 나타낸 표이고, 도 12는 일반적인 치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
색조 산화물 비율
C(clear), P(pink), W(white), R(red), B(brown), O(orange)

경화시간
(sec)

P1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50~70 중량%,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TPO(1.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1~5 중량%, 광개시제(photoinitiator) 1~5중량%, 실리카(silicon dioxide) 5~10 중량%, 착색제(나머지)


C:P:W:O=
1~3:0.5~2:0.1~1:0.1~1






1~180


P2

C:P:B=
1~5:0.1~3:0.1~4


P3

C:R:W:B= 1~5:0.1~3:0.1~3:0.1~3
도 11을 참조하여 [표 1]에서 기재된 P1~P3를 정의하면, P1은 도 12에서, 가운데앞니의 치근부를 나타내고, P2는 가운데앞니의 치근과 바깥앞니의 치근 사이의 제1 치은부를 나타내고, P3는 바깥앞니의 치근과 송곳니(견치)의 치근 사이의 제2 치은부를 나타낸다.
도 12와 같이, 구조적인 특성상 사람의 치아 중 앞니, 바깥앞니 및 송곳니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미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치은부(P2, P3)를 제외한 나머지 치은부들은 모두 제2 치은부(P3)와 동일한 색조 비율로 처리하고, 바깥앞니와 송곳니 치근부(P1)와 동일한 색조 비율로 처리하고, 그 외 나머지 치근부들은 제2 치은부(P3)와 동일한 색조 비율로 처리할 수 있다.
제1 섹터(S1)에서 제3 섹터(S3)로 갈수록 명도를 20% 감소시켜 실시한다. 즉, 제1 섹터(S1)의 명도가 100% 라고 가정하면, 제2 섹터(S2)에서는 제1 섹터(S1)에서 적용된 색조의 명도를 기준으로 80%, 제3 섹터(S3)에서는 제1 섹터(S1)에서 적용된 색조의 명도를 기준으로 60%의 명도로 실시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섹터 S1에서 치근부 P1를 글레이징 색조 처리 및 경화한다.
치근부(P1)에 대한 글레이징 색조 처리 및 경화공정은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을 치근부(P1)에 도포한 후 조명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은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50~70 중량%,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TPO(1.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1~5 중량%, 광개시제(photoinitiator) 1~5중량%, 실리카(silicon dioxide) 5~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착색제로는 레진 계열 착색재로서, 그 비율은 투명(C):핑크(P):화이트(W):오렌지색(O)=1~3:0.5~2:0.1~1:0.1~1 또는 투명(C):핑크(P):화이트(W)=1~3:0.5~2:0.1~1로 하고, 상기 경화시간은 1~180초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후, 도 6과 같이, 제1 치은부(P2)에 대한 글레이징 색조 처리 및 경화공정을 실시한다.
제1 치은부(P2)에 대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은 치근부(P1)과 동일한 공정으로 진행하되, 착색제의 비율은 투명(C):핑크(P):브라운(B)=1~5:0.1~3:0.1~4로 실시한다.
이후, 도 7과 같이, 치은부 P3에 대한 글레이징 색조 처리 및 경화공정을 실시한다.
제2 치은부(P3)에 대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은 제1 치은부(P2)와 마찬가지로 치근부(P1)와 동일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으로 진행한다. 다만, 상기 착색제의 비율은 투명(C):레드(R):화이트(W):브라운(B)=1~5:0.1~3:0.1~3:0.1~3로 하여 실시한다.
제2 치은부(P3)에 대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 후 섹터 S1에 포함된 나머지 치은부들은 제2 치은부(P3)와 동일한 착색제의 비율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제1 섹터(S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섹터( S2)와 제3 섹터(S3)에 포함된 각각의 치근부와 치은부에 대해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제2 섹터(S2) 및 제3 섹터(S3)에 대한 색조 표면처리공정은 제1 섹터(S1)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이때, 제2 섹터(S2)의 명도를 제1 섹터(S1)의 명도에 비해 20% 감소, 제3 섹터(S3)의 명도는 제2 섹터(S2)의 명도에 비해 20% 감소되도록 색조 표면처리를 실시하여 치은의 하부로 갈수록 명도가 균일한 크기로 감소되도록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섹터 S3에 대한 색조 표면처리 및 경화공정이 완료되면, 전체 섹터에 대해 경화공정을 2분 30초에서 6분 40초 범위 내에서 실시하여 치과용 보철물을 완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에 대한 표면경도를 나타낸 시험 데이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면경도 비교를 위한 시편은 Luiston 199와 Vertex SC의 재질을 이용하여 종래의 제조방법(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으로 제조된 보철물)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글레이징 색조 처리방법으로 제조된 보철물)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시편들의 경도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마이크로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기(HM-221, Mitutoyo, Japan)를 이용하였다. 이 경도 시험기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136°의 대각을 갖는 피라미드 다이아몬드 팁에 하중을 전달한다. 이때, 시편에서 하중에 따른 압자의 침투 깊이를 제공한다.
각 시편은 수중보관 후 흡습지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샘플 평행 유지장치(810-020, Mitutoyo)에 장착하고, 경도 측정은 각 하중 200gf에서 하중 유지시간 30초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인접 압흔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압흔 사이가 압흔 대각선 길이보다 2.5d 이상 사이를 두었다(ASTM E384-10, 2010). 하중의 제거 후 압흔의 대각선은 경도기에 장착된 현미경을 이용하여 x100또는 x50에서 관찰하였다.
이후, 경도 경도 시험 중 압흔의 최대 깊이(Dm, ㎛)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경도 측정 후 시편들은 다시 37℃ 수중에 각각 48시간 보관 후 경도 압흔을 찾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를 이용하여 시편들에 대한 표면경도의 지표가 되는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 HV)를 산출하였다. 각 시편들의 비커스 경도는 F/A의 값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F는 가해진 하중(kgf)이고, A는 압흔의 표면적으로서,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ASTM E384-10, 2010).
Figure 112019122850710-pat00001
여기서, d는 두 대각선 길이(mm)의 평균이다.
따라서, 비커스 경도 HV는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9122850710-pat00002
이때, 비커스 압자의 형태와 압흔의 구조로부터 압흔의 깊이(Dc, ㎛)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22850710-pat00003
도 12와 같이, 종래기술로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종래)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본 발명)에 대한 표면경도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표면경도가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보철물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공정으로 제조된 보철물은 표면경도에 있어서 Luiston 199와 Vertex SC의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모두에서 17 이상의 표면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기술이 적용된 치과용 보철물은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와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에 있어서도 열중합 아크릴 의치상 레진으로 제조된 종래 치과용 보철물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11 : 치은
12 : 치관
12a : 치근
S1~S3 : 제1 내지 제3 섹터
P1 : 치근부
P2 : 제1 치은부
P3 : 제2 치은부

Claims (5)

  1. PMMA(PolyMethymeta Acrylate)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치은의 전면부를 표면 삭제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전면부를 샌드블라스팅을 이용하여 안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부를 착색제를 이용하여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징 색조 표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을 상부에서 하부로 제1 내지 제3 섹터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섹터에서 상기 제3 섹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치근부와 치은부에 대해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 색조 조성물은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50~70 중량%,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TPO(1.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1~5 중량%, 광개시제(photoinitiator) 1~5중량%, 실리카(silicon dioxide) 5~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섹터의 각 섹터내에서 가운데앞니의 치근부와, 가운데앞니의 치근과 바깥앞니의 치근 사이의 제1 치은부와, 바깥앞니의 치근과 송곳니의 치근 사이의 제2 치은부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되, 상기 치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치은부를 제외한 나머지 치은부들은 상기 제2 치은부의 색조와 동일하도록 동일한 비율의 착색제로 실시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색조 도포 및 경화 공정시, 투명(C):핑크(P):화이트(W):오렌지색(O)=1~3:0.5~2:0.1~1:0.1~1로 하고, 상기 제1 치은부는 투명(C):핑크(P):브라운(B)=1~5:0.1~3:0.1~4로 하며, 상기 제2 치은부는 투명(C):레드(R):화이트(W):브라운(B)=1~5:0.1~3:0.1~3:0.1~3로 하여 실시하고, 상기 제1 섹터에서 상기 제3 섹터로 갈수록 색조의 명도가 20%씩 감소되도록 실시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
KR1020190155315A 2019-11-28 2019-11-28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15A KR102254398B1 (ko) 2019-11-28 2019-11-28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15A KR102254398B1 (ko) 2019-11-28 2019-11-28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398B1 true KR102254398B1 (ko) 2021-05-24

Family

ID=7615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15A KR102254398B1 (ko) 2019-11-28 2019-11-28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1A (ko) * 2021-06-21 2022-12-28 이병우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60A (ja) * 1994-08-12 1996-02-27 Shigeru Shimozawa 歯科用レジン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396A (ko) 2001-06-14 2002-12-26 이상일 유리섬유를 이용한 의치상 레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6101A (ko) 2012-02-21 2013-08-29 라인치과기공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치상 레진과 그 제조방법
KR20160012995A (ko) * 2013-03-15 2016-02-03 굿 핏 테크놀로지스, 인크. 치과용 기구 및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49079A (ja) * 2017-03-13 2018-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義歯床、義歯床の製造方法、有床義歯及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60A (ja) * 1994-08-12 1996-02-27 Shigeru Shimozawa 歯科用レジン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396A (ko) 2001-06-14 2002-12-26 이상일 유리섬유를 이용한 의치상 레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6101A (ko) 2012-02-21 2013-08-29 라인치과기공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치상 레진과 그 제조방법
KR20160012995A (ko) * 2013-03-15 2016-02-03 굿 핏 테크놀로지스, 인크. 치과용 기구 및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49079A (ja) * 2017-03-13 2018-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義歯床、義歯床の製造方法、有床義歯及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chnique for fabricating individualized dentures with a gingiva-shade composite resin", Park BW, Kim NJ, Lee JH, Lee HH,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16.
임용운, 황성식, '심미성 향상을 위한 간접수복용 Gum-shade 복합레진의 굽히 특성 평가'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년, 15권 4호 p407-p412.
임용운, 황성식, '열 순환 처리가 Gingival shade 복합레진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기공학회, 2017년, 39권 2호, p83-p9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1A (ko) * 2021-06-21 2022-12-28 이병우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KR102639628B1 (ko) 2021-06-21 2024-02-23 이병우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utayas et al. All-ceramic posts and cores: the state of the art.
Attia et al. Fracture load of composite resin and feldspathic all-ceramic CAD/CAM crowns
Rocca et al. The effect of a fiber reinforced cavity configuration on load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mode of endodontically treated molars restored with CAD/CAM resin composite overlay restorations
Friedel et al. Fracture strength of teeth restored with all-ceramic posts and cores.
US8821163B2 (en) Dental composites
Katona et al. Comparison of composite restoration techniques
KR102254398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RU2606272C1 (ru) Способ эстетической реставрации зубов
Duarte Jr et al. Ceramic-Reinforced Polymers: Overview of CAD/CAM Hybrid Restorative Materials.
Debye et al. Influence of additional reinforcement of fixed long-term temporary restorations on fracture load
Al-Joboury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finishing lines on the fracture strength of full contour zirconia CAD/CAM and heat press all-ceramic crowns
Smielak " No-preparation" and Minimally Invasive Veneers in Clinical Practice: Part 1.
Mazurek et al. Strength and thickness of the layer of materials used for ceramic veneers bonding
Fahmy et al. Color reproduction of PEEK material veneered with IPS e. max and Visio. lign and composite blocks with different thicknesses
Rabeae et al. Assessment of Fracture Force of CAD‑CAM‑fabricated Occlusal Veneer Restorations with Different Thicknesses.
Daneshvar et al. Effect of three veneering techniques on fracture resistance and marginal adaptation of zirconia-based crowns
da Silva Modena et al. Multidisciplinary esthetic approach for multiple anterior diastema: 36-month clinical performance
Hristova et al. Investigation of microleakage in V-shaped tooth defects filled with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Kumar et al. Veneer in restorative dentistry
Elkady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Endocrown Fabricated Using PEEK Material (An in vitro study)
Naser et al. Evaluation of Fracture Strength of Cemented Monolithic Zirconium Crown Using Different Types of Luting Agents: In vitro Comparative Study
Abu-Taleb et al. Microleakage Evaluation and Fracture Resistance of Pulpotomized Primary Molar Restored with Fiber-Reinforced Composite with and without Stainless-Steel Crown (In-Vitro Comparative Study)
El-Naggar et al. Evaluation of Marginal Integrity of Lithium Disilicate Vonlays versus Celtra Duo Vonlays Restoring Premolars (In Vitro Study)
El-Kawy et al. FRACTURE RESISTANCE OF CAD-CAM OCCULUSAL VENEERS FABRICATED FROM DIFFERENT MATERIALS WITH TWO DIFFERENT THICKNESSES: AN IN-VITRO STUDY
Džaferović FABRICATION OF COMPOSITE VENEERS WITH FABRIC MOLDS MADE IN ONE VIS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