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69B1 - 국물 제조용 장치 - Google Patents

국물 제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69B1
KR102253969B1 KR1020200019593A KR20200019593A KR102253969B1 KR 102253969 B1 KR102253969 B1 KR 102253969B1 KR 1020200019593 A KR1020200019593 A KR 1020200019593A KR 20200019593 A KR20200019593 A KR 20200019593A KR 102253969 B1 KR102253969 B1 KR 10225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ariable size
string
couple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은아
곽지혜
이명희
정율원
진자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국물 제조용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국물 제조용 장치는: 조리부에 수용된 물에 담겨지고, 일측에 재료가 투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재료를 담는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며, 조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물 제조용 장치{SOUP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국물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국물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물제조용 재료를 내부에 담아 물속에 넣은 후에 장시간 끓여서 국물을 내도록 하는 국물제조용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국물를 제조한 후 국물로부터 국물제조용 장치를 건져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물 제조용 장치를 장시간 물에 넣고 끓이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료나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유해한 물질이 국물에 함께 녹아져 음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국물 제조용 장치가 망체로 제작된 경우 국물제조용 재료에서 찌꺼기가 유출되어 맑은 국물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8732호(고안의 명칭: 국물 제조용 거름망, 등록일: 2019.03.0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므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국물 제조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국물 제조용 장치는: 조리부에 수용된 물에 담겨지고, 일측에 재료가 투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를 담는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면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재료가 놓여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상기 재료의 양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며,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크기가변부; 및 상기 바닥부 및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는 단부가 서로 겹치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는 각각이 상기 바닥부와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리부의 손잡이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끈부; 및 상기 끈부와 결합되고, 상기 끈부의 장착길이를 조절하는 끈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는 본체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크기가 가변가능하므로, 보관시 크기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의 양에 따라 크기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연결되며, 조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통해 조리부에 국물 제조용 장치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국물을 제조한 후 국물 제조용 장치를 조리부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가 면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본체부를 장시간 물에 넣고 끓이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료나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유해한 물질이 국물에 함께 녹아져 음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합부는 끈부와 끈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끈길이조절부는 끈부의 장착길이를 조절하여, 조리부의 조리본체부의 깊이에 따라 끈부와 연결된 본체부가 조리부에 수용된 물 속에서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본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쇄부를 통해 본체부의 개방구를 폐쇄할 수 있어 본체부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물에 넣고 끓이는 동안 본체부의 개방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가 조리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의 본체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가 조리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1)는 본체부(100)와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조리부(20)에 수용된 물(30)에 담겨지고, 일측에 재료(40)가 투입되는 개방구(150)가 형성되며, 재료(40)를 담는 공간의 크기가 가변된다.
본체부(100)는 복수개가 케이스부(10)에 보관되며, 케이스부(10)의 인출구(11)로부터 하나씩 인출이 가능하다. 본체부(100)는 납작한 형상으로 크기가 최소화된 상태로 케이스부(10)에 보관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일측 중앙부 부분(도 2, 도 3 기준)에 개방구(150)가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를 벌려 개방구(150)를 통해 재료(40)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다.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를 벌려 본체부(100)의 내부로 재료(40)가 투입되면, 본체부(100)의 공간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재료(40)를 담는 본체부(100)의 공간 크기가 커진다. 이때, 본체부(100)의 크기가 케이스부(10)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의 크기보다 커지게 된다. 여기서 재료(40)는 멸치, 새우, 황태, 디포리, 가쓰오부시, 조개, 홍합, 꽃게, 굴 등 건어물 및 해산물 재료이거나 표고, 양파, 파뿌리, 무, 마늘, 배추, 양배추 등의 야채 재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크기가 가변가능하므로, 보관시 크기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40)의 양에 따라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본체부(100)의 크기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결합부(200)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조리부(20)에 결합된다. 조리부(20)는 냄비로 조리본체부(21)와 손잡이부(22)를 포함한다. 조리본체부(21)는 상측이 개방된 기둥 형상으로, 물(30)이 수용된다. 이때, 손잡이부(22)는 한 쌍으로 조리본체부(21)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거나 하나로 조리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조리부(20)의 손잡이부(22)에 결합되어 본체부(100)를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에 수용된 물(30)에 넣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결합부(200)는 한 쌍으로 한 쌍의 손잡이부(22)에 각각 결합되거나 겹쳐져 하나의 손잡이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부(20)의 손잡이부(22)에 결합되는 결합부(200)를 통해 본체부(100)를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에 수용된 물(30)에 쉽게 넣을 수 있음은 물론, 추후에 본체부(100)를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본체부(100)는 친환경소재인 면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체부(100)를 장시간 물(30)에 넣고 끓이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료나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유해한 물질이 국물에 함께 녹아져 음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재료에서 찌꺼기가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잇다.
본체부(100)는 바닥부(110),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에는 재료(40)가 놓여진다.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는 바닥부(110)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재료(40)의 양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며, 바닥부(110)와 함께 재료(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는 제1크기가변부(121)와 제2크기가변부(122)를 포함한다. 제1크기가변부(121)는 바닥부(110)의 일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형성된다. 제2크기가변부(122)는 바닥부(110)의 타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형성되며, 제1크기가변부(12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2, 도 3 참조). 이때, 제1크기가변부(121)와 제2크기가변부(122) 사이에는 개방구(150)가 형성된다.
접합부(130)는 바닥부(110) 및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를 접합한다. 고정부(13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를 일체로 접합한다. 이때, 접합부(130)는 바닥부(110)와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실로 꿰매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는 단부(121a, 122a)가 서로 겹치게 배치된다. 제1크기가변부(121)의 단부(121a)의 폭(a3)과 제2크기가변부(122)의 단부(122a)의 폭(b3) 중 어느 하나가 더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크기가변부(121)의 단부(121a)와 제2크기가변부(122)의 단부(122a)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40)가 물(30)에 넣고 끓이는 동안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는 각각이 바닥부(110)와 멀어질수록 폭(a, b)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제1크기가변부(121)는 바닥부(110)와 멀어질수록 폭(a)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진다. 즉, 제1크기가변부(121)는 전면(도 2 기준)으로 갈수록 폭이 a1에서 a3으로 줄어들게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진다(도 2 참조). 이때, 폭은 a1이 가장크고, a3이 가장작다.
마찬가지로, 제2크기가변부(122) 역시 바닥부(110)와 멀어질수록 바닥부(110)와 멀어질수록 폭(b)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진다. 즉, 제2크기가변부(122)는 전면(도 2 기준)으로 갈수록 폭이 b1에서 b3으로 줄어들게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진다(도 2 참조). 이때, 폭은 b1이 가장크고, b3이 가장작다.
이로 인해, 본체부(100)를 펼치면, 본체부(100)는 바닥부(110) 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게 됨으로써, 본체부(100)에 재료(40)를 투입하면, 재료(40)가 바닥부(110)의 전면에 펼쳐져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개방구(150)가 벌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40)가 물(30)에 넣고 끓이는 동안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결합부(200)는 끈부(210)와 끈길이조절부(220)를 포함한다. 끈부(210)는 양단부가 본체부(100)와 연결되고, 조리부(20)의 손잡이부(22)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때, 끈부(210)는 염색되지 않은 천연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시간 물(30)에 넣고 끓이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료나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유해한 물질이 국물에 함께 녹아져 음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끈부(210)는 한 쌍으로 본체부(100)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좌단부와 우단부(도 2, 도 3 기준)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끈부(210)는 양단부가 본체부(100)의 좌단부와 우단부(도 2, 도 3 기준)에 일체로 접합된다.
끈부(210)는 조리부(20)의 한 쌍의 손잡이부(22)를 감싸도록 한 쌍의 손잡이부(22) 각각에 결합되거나 겹쳐져 조리부(20)의 하나의 손잡이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끈길이조절부(220)는 끈부(210)와 결합되고, 끈부(210)의 길이를 조절한다. 끈길이조절부(220)는 한 쌍으로 한 쌍의 끈부(210)에 각각 결합된다. 끈길이조절부(220)는 중앙부에 서로 겹쳐진 끈부(210)가 통과하는 관통홀부(221)를 구비한다. 즉, 끈길이조절부(220)는 서로 결합된 끈부(21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끈길이조절부(220)는 서로 겹쳐진 끈부(21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도 3 기준) 이동되면서 끈부(210)의 장착길이(L)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의 깊이에 따라 끈부(210)의 장착길이(L)를 조절하여 끈부(210)와 연결된 본체부(100)가 조리본체부(21)에 수용된 물(30) 속에서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본체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끈길이조절부(220)는 내열성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끈길이조절부(220)는 친환경 내열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끈길이조절부(220)는 탄성변형되어 끈부(210) 상에 이동되면서 끈부(210)의 장착길이(L)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끈길이조절부(2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끈부(210)에 고정되어 조절된 끈부(210)의 장착길이(L)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리부(20)의 손잡이부(22)가 한 쌍인 경우, 본체부(100)와 연결된 한 쌍의 끈부(210)가 손잡이부(22) 각각을 감싸도록 손잡이부(22) 각각에 결합된다. 한 쌍의 끈부(210)가 한 쌍의 손잡이부(22)에 각각 결합되면, 끈길이조절부(22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끈부(210) 각각의 장착길이(L)를 조절한다. 이때, 본체부(100)는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에 수용된 물(30)에 담겨진 상태로, 끈길이조절부(220)를 통해 장착길이(L)가 조절되는 끈부(210)에 의해 물(30) 속에서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가 조정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리부(20)의 손잡이부(22)가 하나인 경우, 본체부(100)와 연결된 한 쌍의 끈부(21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손잡이부(22)에 결합된다. 한 쌍의 끈부(210)가 하나의 손잡이부(22)에 결합되면, 끈길이조절부(22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끈부(210) 각각의 장착길이(L)를 조절한다. 이때, 본체부(100)는 조리부(20)의 조리본체부(21)에 수용된 물(30)에 담겨진 상태로, 도 4(a)와 같이 끈끈길이조절부(220)를 통해 장착길이(L)가 조절되는 끈부(210)에 의해 물(30) 속에서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가 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본체부(100)를 설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 6(b)와 같이 본체부(10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는다. 이때, 상측으로(도 6(b) 기준) 갈수록 본체부(100)의 폭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는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으면, 바닥부(110)와, 바닥부(100)의 양단부에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진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가 형성된다.
도 6(c)와 같이, 바닥부(110)와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가 겹쳐지게 배치하고, 바닥부(110)와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를 접합한다. 이로 인해, 바닥부(110) 및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에 접합부(1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바닥부(110) 및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에 결합부(20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10) 및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에 끈부(210)를 결합하고, 끈부(210)에 끈길이조절부(220)를 장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의 내용 중 일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물 제조용 장치(1)에서는 본체부(100)는 폐쇄부(140)를 포함한다. 폐쇄부(140)는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결합되어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구(150)를 폐쇄한다. 폐쇄부(140)는 끈 형상으로 면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시간 물(30)에 넣고 끓이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료나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유해한 물질이 국물에 함께 녹아져 음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폐쇄부(140)는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부(140)는 끈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개방구(150)를 폐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이때, 폐쇄부(140)는 유해한 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폐쇄부(140)는 복수개로 한 쌍의 크기가변부(120)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폐쇄부(140)는 제1폐쇄부(141)와 제2폐쇄부(142)를 포함한다. 제1폐쇄부(141)는 제1크기가변부(121)의 단부(121a) 부분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제2폐쇄부(142)는 제2크기가변부(122)의 단부(122a) 부분에 제1폐쇄부(141)와 마주보게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폐쇄부(140)를 통해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를 폐쇄할 수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40)가 물(30)에 넣고 끓이는 동안 본체부(100)의 개방구(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국물 제조용 장치 10 : 케이스부
11 : 인출구 20 : 조리부
21 : 조리본체부 22 : 손잡이부
30 : 물 40 : 재료
100 : 본체부 110 : 바닥부
120 : 크기가변부 121 : 제1크기가변부
122 : 제2크기가변부 130 : 고정부
140 : 폐쇄부 141 : 제1폐쇄부
142 : 제2폐쇄부 150 : 개방구
200 : 결합부 210 : 끈부
220 : 끈길이조절부 221 : 관통홀부

Claims (7)

  1. 조리부에 수용된 물에 담겨지고, 일측에 재료가 투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를 담는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재료가 놓여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져 상기 재료의 양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며,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크기가변부;
    상기 바닥부 및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는 각각이 상기 바닥부와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접혀지고,
    상기 폐쇄부는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부분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1폐쇄부와,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부분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페쇄부와 체결되는 제2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 제조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면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 제조용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크기가변부는 단부가 서로 겹치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 제조용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리부의 손잡이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끈부; 및
    상기 끈부와 결합되고, 상기 끈부의 장착길이를 조절하는 끈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 제조용 장치.
KR1020200019593A 2020-02-18 2020-02-18 국물 제조용 장치 KR10225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93A KR102253969B1 (ko) 2020-02-18 2020-02-18 국물 제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93A KR102253969B1 (ko) 2020-02-18 2020-02-18 국물 제조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969B1 true KR102253969B1 (ko) 2021-05-20

Family

ID=7614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593A KR102253969B1 (ko) 2020-02-18 2020-02-18 국물 제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38Y1 (ko) * 2004-01-19 2004-04-08 김원중 친수성 부직포를 이용한 약재자루
JP2005119738A (ja) * 2003-10-16 2005-05-12 Hidesuke Nakazawa 使い捨てティーパック
KR20090005815U (ko) * 2007-12-10 2009-06-15 최경락 붓걸이구 미술용 물통
WO2015166940A1 (ja) * 2014-04-28 2015-11-05 高木 毅 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738A (ja) * 2003-10-16 2005-05-12 Hidesuke Nakazawa 使い捨てティーパック
KR200346638Y1 (ko) * 2004-01-19 2004-04-08 김원중 친수성 부직포를 이용한 약재자루
KR20090005815U (ko) * 2007-12-10 2009-06-15 최경락 붓걸이구 미술용 물통
WO2015166940A1 (ja) * 2014-04-28 2015-11-05 高木 毅 包装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1742S1 (en) Backpack with flip cover concealed zipper
AU2017210557B2 (en) Juicing bag
USD869166S1 (en) Combination straps/handles for handbag
KR102253969B1 (ko) 국물 제조용 장치
CN206381075U (zh) 电饭煲排水结构
EP2760762B1 (en) Bag for a beverage preparation
TW201717797A (zh) 拉鏈鏈條及拉鏈鏈條之製備方法
EP3389424B1 (fr) Vêtement convertible
CN104187323A (zh) 一种粽子及其生产工艺
KR101326258B1 (ko) 육수 제조용 포장팩
CN106800142B (zh) 一种新型保温包生产方法
US1436134A (en) Neckti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21008B1 (ko) 해물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해물찜
EP2082671B1 (en) Bag for cooking f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et body to form said bag
CN209360380U (zh) 一种蒸煮器
JP5449875B2 (ja) 水汲みバケツ
KR200488351Y1 (ko) 다기능 포장상자
JP3221850U (ja) 袋の結び目構造
US1375048A (en) Bonnet
KR20110006880A (ko) 이물질 분리 기능을 가진 조리용 냄비
US20180038397A1 (en) Multi-Function Band and Method of Use
CN220595663U (zh) 一种魔芋面包装袋
KR200328180Y1 (ko) 즉석 음식용 용기면 포장 용기
CN217242539U (zh) 一种反转加热自熟米线机用均匀型加热组件
CN209135175U (zh) 折叠免支撑式捕鱼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