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36B1 -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 Google Patents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36B1
KR102253936B1 KR1020190047001A KR20190047001A KR102253936B1 KR 102253936 B1 KR102253936 B1 KR 102253936B1 KR 1020190047001 A KR1020190047001 A KR 1020190047001A KR 20190047001 A KR20190047001 A KR 20190047001A KR 102253936 B1 KR102253936 B1 KR 10225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teel wire
wire cord
handling performan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4341A (en
Inventor
박문철
신훈철
심재혁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36B1/en
Publication of KR2020012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07Reinforcements made of metallic elements, e.g. cords, yarns, filaments or fibres made from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003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 B60C9/2006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consisting of steel cord pli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타이어 제조 과정에 있어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by applying a new structure in a tir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a block and groove formed on the tread portion, and sidewal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the tire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lock, It includes; steel wire cord configured in a winding manner.

Description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Tire to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본 발명은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제조 방식에서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실차 핸들링(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capable of improving actual vehicle handling performance by applying a new structure in a tire manufacturing method.

일반 소경 제조 방식에서 타이어 제조 시에 각 반제품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 타이어를 만든다. 소경 방식에서의 큰 특징 중 한가지는 카카스 턴업 에지(Carcass turn up edge)가 사이드월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고려하여 사이드월 보강재를 카카스 턴업 에지 아래쪽인 비드(Bead)부쪽에 적용해야 하는 제한적인 설계 구조를 갖고 있다.In the general small-diameter manufacturing method, each semi-finished product is sequentially assembled during tire manufacturing to make a finished tire. One of the big features of the small diameter method is that a carcass turn up edge exists on the sidewall.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the sidewall reinforcement has a limited design structure in which the sidewall reinforcement must be applied to the bead portion below the carcass turn-up ed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82020호(발명의 명칭: 스틸코드로 보강된 사이드 월부를 가지는 래디알 타이어)에서는, 사이드 월부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나란하게 등간격으로 스틸코드를 배열시키며, 상기 사이드 월의 카카스 플라이 부착면과 타이어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그 반대면과의 고무재료 사이에 스틸코드를 삽입시킨 구조다. 그러나 이 또한 사이드월부에 스틸코드를 보강한 것으로서,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한적인 설계 구조를 갖고 있다.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282020 (name of the invention: a radial tire having a side wall portion reinforced with a steel cord), steel cord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cord is inserted between the carcass ply attachment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tire. However, this is also a reinforced steel cord on the sidewall and has a limited desig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또한, 소경 방식에서 트레드부 제조 시 벨트1, 벨트2, 보강벨트가 먼저 조립된 후, 1개의 트레드 압출물이 최종적으로 조립된다. 트레드 압출물에는 고무를 원재료로 하는 파트(cab tread, sub tread, tread wing)만 존재한다. 소경 제조 방식에서 고무만을 사용하는 제한적인 트레드 압출물 반제품 사용 때문에 구조적인 튜닝이 불가능 하였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tread part in the small diameter method, the belt 1, the belt 2, and the reinforcing belt are first assembled, and then one tread extruded product is finally assembled. Only rubber-based parts (cab tread, sub tread, tread wing) exist in the tread extrudate. Structural tuning was not possible due to the limited use of semi-finished tread extrudates using only rubber in the small diameter manufacturing metho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8202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820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약 조건을 새로운 방식의 설계로 해결하고자, 새로운 사이드월부 구조와 트레드부 구조를 적용한 타이어를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ire to which a new sidewall structure and a tread structure are applied in order to solve these constraints with a new design.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적용한 타이어를 통해 핸들링 성능의 향상과 소음저감 효과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and reduce noise through a tire to which it is appli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a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a block and groove formed on the tread portion, and sidewal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the tire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lock and wound. Includes; steel wire cord configured in a manner.

그리고,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는 상기 블록 폭의 50 내지 90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is characterized in that 50 to 90% (%) of the block widt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가, 상기 그루브 깊이 최하위단부터 마모표시(TWI, Tread wear indicator)의 높이보다 0.5밀리미터(mm) 낮게 상기 블록에 삽입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cord may be inserted into the block 0.5 mm (mm) lower than the height of a tread wear indicator (TWI) from the lowest end of the groove depth.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재질 및 경사밀도(EPI, Ends Per Inch)는 보강 벨트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and inclination density (EPI, Ends Per Inch) of the steel wire cord may be the same as the reinforcing bel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스틸 와이어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cord is a method in which one part of the steel wire and another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jointless method),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out a circumferential overlap.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wire cor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block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가, 원주 방향에 접한 접선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wire cord is formed between -5 and +5 degrees based on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타이어 제조 방식에서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실차 핸들링(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사이드월부에 벨트(belt)와 같은 재질의 스틸 코드(steel cord)구조를 삽입하여 사이드(side) 강성을 높여, 차량 조정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하중 차량, 로우 시리즈(Low series) 차량에 새로운 설계 구조를 적용하여 핸들링 성능을 확보 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actual vehicle handling performance by applying a new structure in the tire manufacturing method. By inserting a steel cord structu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belt in the sidewall portion, side stiffness is increased, and vehicle controllability and safety may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handling performance by applying a new design structure to high-load vehicles and low series vehicles.

그리고, 트레드부에 벨트(belt)와 같은 재질의 스틸 코드(steel cord)구조를 삽입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 스틸(Tread Block steel)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 값을 향상 시킬 수 있다. KD 값이 높아짐으로써 노면 핸들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by inserting a steel cord structu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 belt in the trea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KD value of a single tire by applying a tread block steel structure. Road hand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KD valu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와이어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KD값 해석 결과 비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정특성 해석 결과 비교 그래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teel wir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parison diagram of a tire KD valu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mparison graph of tire static characteristic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와이어 구성 예시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of a steel wir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트레드부(100)에 형성된 블록(400) 및 그루브(500)와, 트레드부(100) 양측의 사이드월부(200)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블록(400)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포함한다.The pneumatic tire that improves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a block 400 formed in the tread portion 100 and a groove 500, and a sidewall portion 200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100. In the case, it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lock 400, and includes a steel wire cord 300 configured in a winding manner.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는 블록(400) 폭의 50 내지 90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50 to 90% (%) of the width of the block 400.

여기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그루브(400) 깊이 최하위단부터 마모표시(TWI, Tread wear indicator)(510)의 높이보다 0.5밀리미터(mm) 낮게 블록(400)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재질 및 경사밀도(EPI, Ends Per Inch)는 보강 벨트(600)와 동일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wire cord 300 is inserted into the block 400 at a height of 0.5 mm (mm)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WI (tread wear indicator) 510 from the lowest depth of the groove 400. In addition, the material and inclination density (EPI, Ends Per Inch) of the steel wire cord 300 may be the same as the reinforcing belt 600.

상기와 같이 길이와 높이를 한정한 것은, 이에 미치지 못하면, 적절한 강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틸 와이어(310)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 확대되면서 연선 상태가 불량해지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형태가 왜곡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가 필요 이상 증가하여 타이어의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모듈러스가 떨어져 타이어 보강재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If the length and height are limit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not obtain adequate strength, but also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steel wires 310 more than necessary, resulting in a poor stranded state and the shap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t is distorted, and if it exceeds this,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300 increases more than necessary to counteract the weight reduction of the tire, and the modulus of the steel wire cord 300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the role as a tire reinforcement. .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저하중 부여 시 형태가 남아 있게 되면서 고무 침투성이 유지되며, 저하중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중 떠는 현상이 감소하여 타이어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steel wire cord 300 serves as a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the shap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maintained when the weight is given, and the rubber permeability is maintained. have.

여기서 마모표시(510)는, 일반적으로 슬립 사인(slip sign)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타이어 웨어 인디케이터라고도 말한다. 타이어 트레드가 규정 깊이로 얕게 마모되면 트레드 패턴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보이는데, 타이어의 수명 한계를 알리도록 한 것으로, 통상의 승용차에서는 잔여 홈 깊이가 1.6mm에 달하면 타이어의 둘레 4개소 이상의 표면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 기호가 근처의 사이드월에 표시되어 있다.Here, the wear indication 510 is generally known as a slip sign,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tire wear indicator. When the tire tread is worn shallowly to the specified depth, a part of the tread pattern appears to be connected.This is to inform the life limit of the tire.In a normal passenger car, when the remaining groove depth reaches 1.6mm, it appears on the surface of more than 4 places around the tire. And a "△" sign indicating the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nearby sidewall.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스틸 와이어(310)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el wire cord 300 is a method in which one part of the steel wire 310 and the other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out a circumferential overlap.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4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원주 방향에 접한 접선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teel wire cord 30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blocks 40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wire cord 300 is formed between -5 and +5 degrees based on the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트레드부(100)의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강해지면 주행에 따른 충격력이 감쇠되지 않은 채 바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므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서술한 jointless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strength of the tread unit 100 becomes stronger than necessary, the impact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is immediately transmitted without attenuating, so that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so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300 can be adjusted. This is possible using the jointless method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레드부(100)로 타이어를 제작하게 되면, 열용량이 큰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기인하는 손실열을 수용하게 되므로, 고무재료에 축적되는 손실열의 열량을 대폭 줄여, 열입에 의한 고무재료의 열화를 방지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트레드부(1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함으로써, 타이어 펑크와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가 있게 되어 주행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a tire is manufactured with the tread par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wire cord 300 having a large heat capacity accommodates the heat loss due to hysteresis loss generated during driving, so the amount of heat loss accumulated in the rubber material By drastically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aterial due to heat input, the durability of the tire is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steel wire cord 300 into the tread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a puncture of a tire, thereby improving driving safety.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 스틸(Tread Block steel)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KD값이 높아짐으로써 마른 노면에서의 핸들링 성능과, 차량 조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반 소경 방식에서 KD값 향상을 위해 사이드월부(200) 구조 튜닝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사이드월부(200)의 튜닝 없이 KD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ire for improv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KD value of a single tire by applying a tread block steel structure. By increasing the KD value, handling performance on dry road surfaces and vehicle ste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the general small-diameter method, the structure of the sidewall part 200 needs to be tuned to improve the KD value. However,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KD value can be improved without tuning the sidewall part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KD값 해석 결과 비교도이다.4 is a comparison diagram of a tire KD valu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85/35 ZR 19 규격의 공기입 타이어를 공기압 2.5bar, 하중 516kgf의 조건하에 해석한 결과를 알 수 있다. 여기서 KD는 동강성(Dynamic Stiffness)을 뜻하며 그 결과, KD값은 기존 대비 약 20%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트레드부(1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적용한 본 발병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실시 할 경우, 트레드부(100)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하중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핸들링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it can be seen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285/35 ZR 19 standard under the conditions of a pneumatic pressure of 2.5 bar and a load of 516 kgf. Here, KD means dynamic stiffness, an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KD value is about 20% improv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when a tire that improves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is disease by applying the steel wire cord 300 to the tread part 100 is implemented, the stiffness of the tread part 100 is improved to reduce the load of the vehicle. Accordingly, deformation of the tread part 100 may be prevented and handling performance may be improved.

일반 소경 제조 방식에서는 고무만을 재료로 사용하는 트레드 압출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핸들링 성능 향상을 위해 튜닝 시에 트레드 고무 화합물(Tread rubber compound)와 고무 게이지(Rubber gauge)만을 가지고 튜닝이 가능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약 조건을 해결하여, 트레드부(100) 반제품을 일정폭과 두께를 가진 스트립 와인딩(strip winding) 방식으로 제조한다. 스트립은 일정 폭(5 내지 10mm)과 두께(0.5 내지 1mm)를 가지며, 적층 방식으로 와인딩되어 트레드 구조를 만든다. 이렇게 제조된 타이어는 블록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갖추게 된다.In general small-diameter manufacturing methods, tread extrudates using only rubber as a material are used. Because of this structure, tuning was possible with only a tread rubber compound and a rubber gauge when tuning to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olving these constraints, a semi-finished product of the tread part 100 is manufactured in a strip winding metho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The strip has a certain width (5 to 10 mm) and thickness (0.5 to 1 mm), and is wound in a stacked manner to form a tread structure. The manufactured tire is equipped with a steel wire cord 300 in the block.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100), 트레드부(100)에 형성된 블록(400) 및 그루브(500)와, 트레드부(100) 양측의 사이드월부(200)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사이드월(200)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300);를 포함한다.5 to 6, the pneumatic tire for improv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art 100, a block 400 and a groove 500 formed in the tread part 100, and a tread part ( 100) In the tire consisting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on both sides, it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wall 200, and a steel wire cord (Steel Wire Cord) 300 configured in a winding manner; includes.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스틸 와이어(310)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0밀리미터(mm) 폭으로 재단된 스틸 반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틸 반제품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진 스트립 와인딩(strip winding)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스트립은 일정 폭(5~10mm)과 두께(0.5~1mm)를 가지며, 적층 방식으로 와인딩되어 사이드월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steel wire cord 300 is a method in which one part of the steel wire 310 and the other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winding one strand at a time (jointless method), and may be configured without a circumferential overlap. In addition, semi-finished steel products cut to a width of 10 millimeters (mm) may be used. Here, the semi-finished steel can be made in a strip winding method having a certain width and thickness. The strip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5 to 10 mm) and a thickness (0.5 to 1 mm), and may be wound in a stacked manner to form the sidewall portion 200.

상기와 같이 폭과 두께를 한정한 것은, 이에 미치지 못하면, 적절한 강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틸 와이어(310)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 확대되면서 연선 상태가 불량해지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형태가 왜곡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가 필요 이상 증가하여 타이어의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모듈러스가 떨어져 타이어 보강재로써의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된다.If the width and thickness are limit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not obtain proper strength, but also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steel wires 310 more than necessary, resulting in a poor stranded state and the shap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f it is distorted, and exceeds this,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300 increases more than necessary to counteract the weight reduction of the tire, and the modulus of the steel wire cord 300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serve as a tire reinforcement.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저하중 부여 시 형태가 남아 있게 되면서 고무 침투성이 유지되며, 저하중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중 떠는 현상이 감소하여 타이어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steel wire cord 300 serves as a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the shap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maintained when the weight is given, and the rubber permeability is maintained. have.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구조는, 상기 보강 벨트(6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일단이 보강 벨트 에지(Belt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길이는, 스틸 와이어의 감기는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steel wire cord 300 may be the same as the reinforcing belt 600. In addition, one end of the steel wire cord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elt edge by 5 mm (mm) or more, and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rd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ead filler edge by 5 mm. It can be more than (mm) apart.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rd may span a bead filler edge.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steel wire.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의 사이드월부(200)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한다. 그 구조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벨트와 비드 필러 사이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한 구조이다. 이때, 사이드월부(200)의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강해지면 주행에 따른 충격력이 감쇠되지 않은 채 바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므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서술한 스트립 와인딩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cord 300 is inser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idewall portion 200 of the tire. Th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wire cord 300 is inserted between a reinforcing belt and a bead filler, as shown in FIGS. 5 to 6. At this time, if the strength of the sidewall part 200 becomes stronger than necessary, the impact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is transmitted immediately without attenuating, so that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so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300 can be adjusted. This is possible using the strip winding method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이드월부(200)로 타이어를 제작하게 되면, 열용량이 큰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기인하는 손실열을 수용하게 되므로, 고무재료에 축적되는 손실열의 열량을 대폭 줄여, 열입에 의한 고무재료의 열화를 방지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타이어에서 가장 취약한 부위인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함으로써, 타이어 펑크와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가 있게 되어 주행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a tire is manufactured with the sidewall par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wire cord 300 having a large heat capacity accommodates the heat loss due to hysteresis loss generated during driving, so the amount of heat loss accumulated in the rubber material By drastically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aterial due to heat input, the durability of the tire is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steel wire cord 300 into the sidewall part 200, which is the most vulnerable part of the t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a puncture of a tire, thereby improving driving safety.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타이어는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 KL, KV 값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강성을 높여 마른 노면에서의 핸들링 성능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조정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하중 차량에 적용되는 로우 시리즈(Low series) 타이어의 사이드월부(200) 강성을 해결하여 높은 핸들링 성능을 낼 수 있다.The tire manufactured in this way may improve the KD, KL, and KV values of a single tire by providing the steel wire cord 300 in the sidewall part 2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ire stiffness to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on dry road surfaces. In addition, vehicle controllability and safe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handling performance by solving the rigidity of the sidewall portion 200 of a low series tire applied to a high-load vehicle.

로우 시리즈 타이어(Low Series Tire) 제조 공정 시 통상 소경 성형(flat building)이 적용된다. 여기서 로우 시리즈 타이어란,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뜻하며, 로우 프로파일 타이어(Low Profile Tire)라고도 한다. 이는 보통 고출력 차량에 쓰이며, 최근 타이어 트렌드는 갈수록 편평비가 낮은 것을 선호하는 추세이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ow Series Tire, flat building is usually applied. Here, the low-series tire means a tire with a low aspect ratio,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low profile tire. It is usually used for high-power vehicles, and the recent tire trend is increasingly favoring a low aspect ratio.

소경 성형을 적용할 경우, 카카스 턴업 에지가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의 설계 제한을 해결하고자, 기존 소경 성형 방식이 아닌, 새로운 제조 방식으로 카카스 턴업 에지(Carcass turn up edge)가 없는 구조를 갖는 PCR(Passenger Car Radial, 승용차용 레이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When small-diameter molding is applied, a carcass turn-up edge is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design limitations of such a process, in a new manufacturing method instead of the existing small-diameter molding method, in a PCR (Passenger Car Radial) tire having a structure without a carcass turn up edge, , It is possible to apply a tire that improves hand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정특성 해석 결과 비교 그래프이다.7 is a comparison graph of tire static characteristic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85/35 ZR 19 규격의 공기입 타이어를 공기압 2.5bar, 하중 516kgf의 조건하에 해석한 결과를 알 수 있다. 여기서 KD는 동강성(Dynamic Stiffness), KL은 하중강성(Load Stiffness), 그리고 KV는 수직강성(Vertical Stiffness)을 뜻하며, 사이드월부(200)의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를 각각 90도, 45도로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KD값은 기존 대비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90도인 경우, 1%이상 향상되었는데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45도인 경우에는 오히려 2%가량 하락하였다. KL값과 KV값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로 모두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90도인 경우 기존 대비 KL값이 약 3%, KV값은 약 2% 향상되었으며,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45도인 경우 기존 대비 KL값이 약 7%, KV값은 약 5%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e result of analysis of a pneumatic tire of the 285/35 ZR 19 standard under the conditions of a pneumatic pressure of 2.5 bar and a load of 516 kgf. Here, KD stands for Dynamic Stiffness, KL stands for Load Stiffness, and KV stands for Vertical Stiffness, and the winding angle of the steel wire cord 300 of the sidewall part 200 is 90 degrees respectively , I tried applying it at 45 degrees. As a result, the KD value was improved by more than 1% when the winding angl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90 degree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ut rather decreased by about 2% when the winding angl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45 degrees. In the case of the KL value and the KV value, it can be seen that both are impro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nding angl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90 degrees, the KL value is improved by about 3% and the KV value is improved by about 2%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nd when the winding angle of the steel wire cord 300 is 45 degrees, the KL value is about It can be seen that the 7% and KV values are improved by about 5%.

위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적용한 본 발병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실시 할 경우, 사이드월부(200)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하중에 따른 사이드월부(200)의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차량 주행 시 핸들링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tire that improves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outbreak by applying the steel wire cord 300 to the sidewall part 200, the sidewall part 200 improves the stiffness to reduce the load of the vehicle. Accordingly, deformation of the sidewall part 200 may be prevented, and handling performance may be improved when a user drives a vehicl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트레드부
200 : 사이드월부
300 : 스틸 와이어 코드
310 : 스틸 와이어
400 : 블록
500 : 그루브
510 : 마모표시(TWI)
600 : 보강 벨트
700 : 비드 필러
800 : 카카스
100: tread part
200: side wall part
300: steel wire cord
310: steel wire
400: block
500: groove
510: wear indication (TWI)
600: reinforcement belt
700: bead filler
800: Carcass

Claims (7)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블록 및 상기 사이드월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하며,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 와이어 중 서로 이웃하는 스틸 와이어가 접하면서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되며,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10밀리리터(mm) 폭으로 재단된 스틸 반제품을 사용하고,
상기 스틸 반제품은 5~10mm의 폭과 0.5~1mm의 두께를 가진 스트립 와인딩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상기 그루브 깊이 최하위단부터 마모표시(TWI, Tread wear indicator)의 높이보다 0.5밀리미터(mm) 낮게 상기 블록에 삽입되고,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일단은 보강 벨트 에지(belt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이격되며,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은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이격되고,
상기 사이드월부에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를 적용한 타이어를 실시할 경우, 상기 사이드월부의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하중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차량 주행 시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며,
그에 따라 스틸 와이어 코드가 주행 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기인하는 손실열을 수용함에 따라 열입에 의한 상기 타이어의 열화를 방지하여 상기 타이어의 내구성 및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타이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A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a block and groove formed on the tread portion, and sidewal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Includes; a steel wire cord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lock and the sidewall and configured in a winding manner,
The steel wire cord is composed of at least one steel wire, and the steel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at least one steel wi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wound one by one (jointless method), and there is no circumferential overlap. And
The steel wire cord uses a semi-finished steel cut to a width of 10 milliliters (mm),
The semi-finished steel is formed in a strip winding method having a width of 5 to 10 mm and a thickness of 0.5 to 1 mm,
The steel wire cord is inserted into the block 0.5 mm (mm)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ear indicator (TWI, Tread wear indicator) from the lowest end of the groove depth,
One end of the steel wire cord is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elt edge by 5 mm (mm) or more,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rd is spaced apart from a bead filler edge by at least 5 millimeters (mm),
When the tire to which the steel wire cord is a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 is applied, the rigidity of the side wall portion is improv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vehicle, and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when driving the vehicle,
Accordingly, as the steel wire cord accommodates heat loss due to hysteresis loss generated during dri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tire due to heat input,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running stability of the tire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tire. Tires that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는 상기 블록 폭의 50 내지 90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cord is 50 to 90% (%) of the width of the block.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재질 및 경사밀도(EPI, Ends Per Inch)는 보강 벨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and inclination density (EPI, Ends Per Inch) of the steel wire cor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inforcing bel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cor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가, 원주 방향에 접한 접선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ire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cord is formed between -5 and +5 degrees based on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a circumferential direction.
KR1020190047001A 2019-04-23 2019-04-23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KR102253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1A KR102253936B1 (en) 2019-04-23 2019-04-23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1A KR102253936B1 (en) 2019-04-23 2019-04-23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41A KR20200124341A (en) 2020-11-03
KR102253936B1 true KR102253936B1 (en) 2021-05-21

Family

ID=7319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01A KR102253936B1 (en) 2019-04-23 2019-04-23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17B1 (en) * 2017-08-21 2018-10-0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7A (en) * 1995-06-26 1997-01-07 Bridgestone Corp Lightweight pneumatic radial tire
KR100282020B1 (en) 1997-12-13 2001-02-15 신형인 Radial tires with sidewalls reinforced with steel cor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17B1 (en) * 2017-08-21 2018-10-0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41A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5171B2 (en) Run flat tire
KR101370662B1 (en) Pneumatic tire
US10046606B2 (en) Run-flat tire
JP3645277B2 (en) Pneumatic tire
US8939185B2 (en) Pneumatic radial tire
US9981510B2 (en) Pneumatic Tire
JP3942649B2 (en) Heavy duty radial tire
US8146339B2 (en) Steel cord for reinforcing rubber article and pneumatic radial tire
US20140090765A1 (en) Pneumatic tire
CN108248299B (en) Pneumatic tire
KR102253936B1 (en)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KR102218132B1 (en) 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JP4383125B2 (en) Pneumatic tire
JP4547334B2 (en) Pneumatic radial tire
JP4997861B2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WO2017188409A1 (en) Run flat radial tire
JP2000079806A (en) Radial tire for heavy load
JP2006199066A (en) Pneumatic tire
JP3730618B2 (en) Pneumatic tire
JP2018069901A (en) Pneumatic tire
JP6709675B2 (en) Runflat radial tires
KR20210090950A (en) A pneumatic tire
JP3842776B2 (en) Heavy duty radial tire
KR20190009605A (en)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