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716B1 - Razor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Razor clea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716B1
KR102253716B1 KR1020200130551A KR20200130551A KR102253716B1 KR 102253716 B1 KR102253716 B1 KR 102253716B1 KR 1020200130551 A KR1020200130551 A KR 1020200130551A KR 20200130551 A KR20200130551 A KR 20200130551A KR 102253716 B1 KR102253716 B1 KR 10225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ousing
blade
wall surface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나은
Original Assignee
안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나은 filed Critical 안나은
Priority to KR102020013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716B1/en
Priority to KR1020210061681A priority patent/KR20220047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716B1/en
Priority to PCT/KR2021/013754 priority patent/WO20220757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A razo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unit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touching a blade of the razor to clean the blade; a driving unit driving the cleaning unit to make the cleaning unit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may be configured to vibrate the blade during cleaning of the blade to remove deposits attached to the blade.

Description

면도기 클리닝 장치{RAZOR CLEANING DEVICE}Razor cleaning device {RAZO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면도기 클리닝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도기 블레이드 헤드에 장착된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zor clean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blade mounted on a razor blade head.

습식 면도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면도하도록 제조된다. 습식 면도기는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장착된 블레이드 헤드와, 블레이드 헤드가 교체 가능하게 또는 블레이드 헤드와 일체로 장착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Wet razors are manufactured for shaving by hand grasping by the user. A wet shaver comprises a blade head with one or more blades mounted in a housing, and a handle with the blade head mounted interchangeably or integrally with the blade head.

이러한 습식 면도기를 이용하여 면도를 한 후에는 블레이드 사이에 유분, 각질, 미세한 수염 입자 및 비누 등이 엉켜 두껍게 노폐물 및 부착물이 축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면도후에 블레이드 헤드에 물을 분사하거나 물속에서 블레이드 헤드를 흔들거나 하여 노폐물 및 부착물을 제거하지만, 이렇게 하더라도 축적된 노폐물 및 부착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노폐물 및 부착물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계속 축적되면, 블레이드가 무뎌져서 원활하게 면도가 되지 않게 된다.After shaving using such a wet razor, oil, dead skin cells, fine hair particles, soap, etc. may be entangled between the blades, resulting in a thick accumulation of impurities and deposits. After shaving, the user sprays water on the blade head or shakes the blade head in the water to remove wastes and deposits, but even in this case, the accumulated wastes and deposits are not completely removed in many cases. If impurities and deposits continue to accumulate without being removed, the blade becomes dull and cannot be shaved smoothly.

사용자는 블레이드가 무뎌진 경우에 블레이드 헤드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블레이드 헤드의 잦은 교체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When the blade becomes dull, the user replaces the blade head with another one to use. However, frequent replacement of the blade head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waste unnecessary resources, and may be an economic burden to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면도기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높은 클리닝 효율을 갖고 세척이 용이한 면도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zor cleaning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a razor blade, has high cleaning efficiency, and is easy to cle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면도기의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클리닝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클리닝시에 상기 블레이드를 진동시켜서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unit that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and contacts a blade of the razor to clean the blade; A driving unit driving the clean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unit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protrusion vibrates the blade during cleaning of the blade to remove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blade. Can be configu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 상에서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리닝부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박육부(thin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박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상기 박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includes opening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and the clean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thin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cleaning portion, and the opening may be disposed in the thin portion. In additi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n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육부의 상부면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1벽면, 제2 벽면 및 제3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면 및 상기 제2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wall surface, a second wall surface, and a third wall surface formed in succession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thin portion, and 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And the third wall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advancement of the blade head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육부의 하부면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4벽면, 제5 벽면 및 제6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벽면 및 상기 제5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includes a fourth wall surface, a fifth wall surface, and a sixth wall surface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hin portion, and the fourth and fifth wall surfaces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And the sixth wall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advancement of the blade head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 벽면, 상기 제2 벽면, 상기 제3 벽면, 상기 제4 벽면, 상기 제5 벽면 및 상기 제6 벽면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중에서 우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arranged to face upward, the first wall surface, the second wall surface, the third wall surface, the fourth wall surface, the fifth wall surface, and the sixth wall surface are Among both ends of the housing, i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ight e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부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의 둘레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nversion switch for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into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Further, the circumferential lengths of both ends of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클리닝부의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이 상기 클리닝부의 회전축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leaning uni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may be configur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면도기의 블레이드가 상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부재는 연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blade of the razor faces upward when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The cleaning member may include a soft materi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면도기의 블레이드를 클리닝하기 위한 롤러 형상의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클리닝부의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축 방향을 갖는 출력 샤프트를 구비하는 모터; 상기 출력 샤프트와 상기 지지 샤프트를 결합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지지 샤프트의 회전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roller-shaped cleaning member for cleaning a blade of a razor by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support shaft that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ember. In addition, the drive mechanism may include a motor having an output shaft having the same axial direction as the rotation shaft of the cleaning unit; The output shaft and the support shaft may be coupled, and a coupling par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닝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블레이드의 클리닝시에 블레이드를 진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면도기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높은 클리닝 효율을 갖고 세척이 용이한 면도기 클리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and vibrates the blade when cleaning the bla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ean the razor blade, and has high cleaning efficiency and is easy to clean the razor cleaning. An apparatus may be provi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를 상부면이 지면의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를 상부면이 지면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부 및 구동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부 및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zo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faces upward.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faces the bottom of the ground.
2A is a plan view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ide view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cleaning unit and a driving unit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unit and a driving unit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ember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상부면(10a)이 지면의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상부면(10a)이 지면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zor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10a faces upward, and FIG. 1B is a razo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1 arranged so that the upper surface 10a faces the bottom of the paper.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면도기 클리닝 장치(1)는 하우징(10), 클리닝부(30: 도 3a 및 도 3b의 31 및 32를 포함함) 및 변환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개구부(20), 하우징 상부면(10a), 하우징 하부면(10b), 하우징 제1 측면(10c)과 다른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1A and 1B,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housing 10, a cleaning unit 30 (including 31 and 32 in FIGS. 3A and 3B), and a conversion switch 50. . The housing 10 may include an opening 20, an upper surface 10a of the housing, a lower surface 10b of the housing, and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side surface 10c of the housing.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부(40: 도 3a 및 도 3b의 41, 42 및 43을 포함함)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부품을 이용하여 클리닝부(3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A driving unit 40 (including 41, 42 and 43 in FIGS. 3A and 3B)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The driving unit 40 may rotate the cleaning unit 30 by using a rotation driving component such as a motor.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암나사와 수나사에 의해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나사 결합 이외에 결합턱과 결합 돌기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방식 등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into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an be screwed by a female screw and a male screw. In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to screw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jaw and a coupling protrusion.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out being separated.

하우징(10)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그 내부 공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를 통해 유지 보수(예를 들어, 배터리의 교환)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금속, 폴리머,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폴리머, 플라스틱 등은 일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하우징(10)의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있는 어떠한 재료도 하우징(10)의 재료가 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of the housing 10 are installed in a state that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nal space thereof, thereby allowing maintenance (e.g., battery replacement) to be performed. Can be configured.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0 may be made of metal, polymer, plastic, or the like. However, metal, polymer, plastic, and the like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0, and any material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durability may be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0.

클리닝부(3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면도기의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블레이드를 클리닝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클리닝부(3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클리닝부(30)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unit 30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and may clean the blade by contacting the blade of the razor. The driving unit 40 may drive the cleaning unit 30 so that the cleaning unit 30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부(30)는 개구부(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20)는 클리닝부(30)를 수용하도록 클리닝부(30)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0)는 직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include openings 20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 The cleaning unit 3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20. The opening 2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leaning part 30 to accommodate the cleaning part 30. The opening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nd an oval.

블레이드 클리닝 후에 블레이드의 노폐물 및 부착물이 클리닝부(30)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리닝부(30)가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20) 내에 배치되는 구성에 의하면, 클리닝부(30)의 대부분이 개구부(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클리닝부(30)의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After the blade cleaning, the impurities and attachments of the blade may be attached to the cleaning unit 3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30 is disposed in the opening 20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 most of the cleaning unit 3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0, and cleaning The cleaning and cleaning of the part 30 is easy.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리닝부(30)는 클리닝 부재(31)와 지지 샤프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20)에 배치된 클리닝부(30)의 회전축인 지지 샤프트(32)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우징(10)을 관통할 수 있다. 클리닝부(30)의 지지 샤프트(32)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된 구동부(40)와 결합되고, 구동부(4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the cleaning unit 30 may include a cleaning member 31 and a support shaft 32. The cleaning member 31 may be configured in a roller shap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The support shaft 32, which is a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unit 30 disposed in the opening 20, may penetrate the housing 10 in a rotatable state. The support shaft 32 of the clean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40 disposed in the housing 10 and may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하우징(10)은 클리닝부(30)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박육부(thin portion)(11)를 포함할 수 있다. 박육부(11)는 박육부 상부면(11a), 박육부 하부면(11b) 및 박육부 측면(11c)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0) 및 클리닝부(30)가 박육부(11)에 배치될 수 있다. 박육부(11)에 개구부(20) 및 클리닝부(30)가 배치되는 구성에 의하면, 클리닝부(30)의 많은 면적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include a thin portion 11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portion 30. The thin portion 11 may include a thin portion upper surface 11a, a thin portion lower surface 11b, and a thin portion side surface 11c. The opening 20 and the cleaning part 30 may be disposed in the thin part 11.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ing 20 and the cleaning unit 30 are disposed in the thin portion 11, a large area of the cleaning unit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박육부(11)의 측면(11c)이 하우징 제1 측면(10c)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박육부(11)의 상부면(11a)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1 벽면(12), 제2 벽면(13) 및 제3 벽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surface 11c of the thin part 11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side surface 10c of the housing.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wall surface 12, a second wall surface 13, and a third wall surface 14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surface 11a of the thin portion 11.

제1 벽면(12) 및 제2 벽면(13)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벽면(14)은 블레이드 헤드가 하우징(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벽면(12), 제2 벽면(13) 및 제3 벽면(14)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 클리닝시에 블레이드 헤드가 적절한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The first wall surface 12 and the second wall surface 13 may be configured to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The third wall surface 14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advancement of the blade head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With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irst wall surface 12, the second wall surface 13, and the third wall surface 14, the blade head can be guid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during blade cleaning.

하우징(10)의 상부면(10a)이 상방(z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우징(10)이 배치된 경우에, 블레이드 헤드를 가이드하는 제1 벽면(12), 제2 벽면(13) 및 제3 벽면(14)이 하우징(10)의 양 단부 중에서 우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른손잡이의 사용자는 왼손으로 하우징(10)의 좌측 단부를 잡은 상태로 오른손으로 면도기 손잡이를 잡고 블레이드를 클리닝할 수 있다.When the housing 10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housing 10 faces upward (z-direction), the first wall surface 12, the second wall surface 13 and the third wall surface 12 to guide the blade head. The wall surface 14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ight end of both ends of the housing 1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ight-handed user can clean the blade by holding the razor handle with the right hand while holding the left end of the housing 10 with the left hand.

도 1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박육부(11)의 하부면(11b)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4 벽면(15), 제5 벽면(16) 및 제6 벽면(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벽면(15) 및 제5 벽면(16)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6 벽면(17)은 블레이드 헤드가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벽면(15), 제5 벽면(16) 및 제6 벽면(17)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 클리닝시에 블레이드 헤드가 적절한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ourth wall surface 15, a fifth wall surface 16, and a sixth wall surface 17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surface 11b of the thin portion 11. have. The fourth wall surface 15 and the fifth wall surface 16 may be configured to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The sixth wall surface 17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advancement of the blade head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ith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ourth wall surface 15, the fifth wall surface 16, and the sixth wall surface 17, the blade head can be guid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during blade cleaning.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상부면(10a)이 지면의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제4 벽면(15), 제5 벽면(16) 및 제6 벽면(17)은 하우징(10)의 양 단부 중에서 우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A, whe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housing 10 is arranged to face upwards of the ground, the fourth wall surface 15, the fifth wall surface 16, and the sixth wall surface 17 are Among both ends of the housing 1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ight end.

즉, 도 1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하부면(10b)이 지면의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제4 벽면(15), 제5 벽면(16) 및 제6 벽면(17)은 하우징(10)의 좌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왼손잡이의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하우징(10)의 좌측 단부를 잡은 상태로 왼손으로 면도기 손잡이를 잡고 블레이드를 클리닝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B, whe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housing 10 is arranged to face upwards, the fourth wall surface 15, the fifth wall surface 16, and the sixth wall surface 17 The silver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eft end of the housing 1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left-handed user can clean the blade by holding the razor handle with his left hand while holding the left end of the housing 10 with his right hand.

도 1a를 참조하면, 면도기의 블레이드 헤드는 박육부 상부면(11a)에 접근하고, 개구부(20)에 배치된 클리닝부(30)에 접촉될 수 있다. 블레이드 헤드가 회전 구동하는 클리닝부(30)와 접촉하면 블레이드 헤드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클리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the blade head of the razor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11a of the thin portion and may contact the cleaning portion 30 disposed in the opening 20. When the blade head contacts the rotationally driven cleaning unit 30, a plurality of blades mounted on the blade head may be cleaned.

도 1b를 참조하면, 면도기의 블레이드 헤드는 박육부 하부면(11b)에 접근하고, 개구부(20)에 배치된 클리닝부(30)에 접촉될 수 있다. 블레이드 헤드가 회전 구동하는 클리닝부(30)와 접촉하면 블레이드 헤드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클리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the blade head of the razor may approach the lower surface 11b of the thin part and may contact the cleaning part 30 disposed in the opening 20. When the blade head contacts the rotationally driven cleaning unit 30, a plurality of blades mounted on the blade head may be cleaned.

면도 후에는 블레이드 헤드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에 유분, 각질, 미세한 수염 입자 및 비누 등이 엉켜 두껍게 노폐물 및 부착물이 축적될 수 있다. 회전 구동하는 클리닝부(30)와의 접촉에 의해 블레이드에 축적된 노폐물 및 부착물이 제거될 수 있다.After shaving, oil, dead skin cells, fine beard particles, soap, etc. may be entangled in a plurality of blades mounted on the blade head, and thus, wastes and adherents may be accumulated thickly. Wastes and deposits accumulated on the blade may be removed by contact with the rotationally driven cleaning unit 30.

변환 스위치(50)는 클리닝부(3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오른손잡이의 사용자가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사용하는 도 1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클리닝부(30)가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왼손잡이의 사용자가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사용하는 도 1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클리닝부(30)가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최초 사용할 때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변환 스위치(50)를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version switch 50 may conver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30 into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1A in which the right-handed user uses the razor cleaning device 1, the cleaning unit 30 may be set to rotate clockwise around the y-ax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B in which the left-handed user uses the razor cleaning device 1, the cleaning unit 30 may be set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y-axis. When using the razor cleaning device 1 for the first time, the user may set the conversion switch 50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right-handed or left-handed.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이 클리닝부(30)의 회전축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클리닝부(30)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클리닝부(30)가 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클리닝부(30)의 길이 만큼 하우징(10)의 폭 크기를 확보해야 하므로 하우징(10)을 컴팩트화할 수 없다. 클리닝부(30)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을 소형화하여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unit 30.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cleaning unit 3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When the cleaning unit 30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cannot be compacted because the width of the housing 10 must be secured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clean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3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can be miniaturized, thereby making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compact.

하우징(10)은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오목부(18, 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8, 19)는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경우에 면도기의 블레이드가 상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후에 면도기의 블레이드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블레이드 부분에 물이 잔류하고, 블레이드가 산화될 수 있다. 오목부(18, 19)의 형상을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경우에 면도기의 블레이드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concave portions 18 and 19 in which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The concave portions 18 and 19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blade of the razor faces upward when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In the case where the blade of the razor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after cleaning, water remains in the blade portion, and the blade may be oxidized. By configuring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s 18 and 19 so that the blade of the razor faces upward when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oxidation of the blade can be prevented.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측면도이다.2A is a plan view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ide view of a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양 단부의 둘레 길이가 하우징(10)의 중앙부의 둘레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는 중앙부 보다 양단부가 더 두꺼운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하우징(10) 표면에 물이 있는 경우에, 하우징(10)의 중앙부로 물이 모이게 되고, 모인 물은 하우징(10)의 중앙부를 흘러내려 하우징(10) 표면으로부터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가 더 좁은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파지할 때의 그립감이 더 향상될 수 있다.2A and 2B, the circumferential lengths of both ends of the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larger width at both ends than the central portion. Due to this shape, when there is water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 water is collec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collected water flows dow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falls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the floor. can do. In addition, due to the narrower shape of the central portion, a feeling of grip when the user grips the razor cleaning device 1 may be further improved.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클리닝부(30)의 길이는 블레이드가 차지하는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헤드의 양 단부는 블레이드를 보호하고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클리닝부(30)의 길이를 블레이드의 폭 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클리닝부(30)의 회전시에 클리닝부(30)가 블레이드 헤드의 양 단부(보호 밴드)와 접촉하여, 접촉 저항이 증가하고 해당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클리닝부(30)의 길이는 블레이드가 차지하는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클리닝시 접촉 저항을 줄이고, 블레이드 헤드의 양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leaning unit 30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may be configur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ccupied by the blade. Both ends of the blade head may include protection bands for protecting the blade and supporting the blade. When the length of the cleaning unit 30 extending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the cleaning unit 30 contacts both ends (protection bands) of the blade head when the cleaning unit 30 rotates,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and the part may be damaged. The length of the cleaning unit 30 extending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ccupied by the blade, thereby reducing contact resistance during cleaning and preventing damage to both ends of the blade head.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클리닝부(30) 및 구동부(4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클리닝부(30) 및 구동부(40)의 분해 사시도이다.3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unit 30 and the driving unit 40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unit 30 and the driving unit 40 of th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클리닝부(30)는 클리닝 부재(31) 및 지지 샤프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면도기의 블레이드를 클리닝할 수 있고,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3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클리닝 부재(3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3A and 3B, the cleaning unit 30 may include a cleaning member 31 and a support shaft 32. The cleaning member 31 may clean the blade of the razor by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may be formed in a roller shape. The support shaft 32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nd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ember 31.

지지 샤프트(32)는 클리닝 부재(31)의 중심축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클리닝 부재(31)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 샤프트(32)는 구동부(40)의 회전력을 클리닝 부재(31)에 전달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32 may be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31 by being fit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axis of the cleaning member 31. The support shaft 32 ma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40 to the cleaning member 31.

구동부(40)는 클리닝부(3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클리닝부(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41), 출력 샤프트(42) 및 커플링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0 may drive the cleaning unit 30 so that the cleaning unit 30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The driving unit 40 may include a motor 41, an output shaft 42 and a coupling unit 43.

모터(41)는 클리닝부(30)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방향을 갖는 출력 샤프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는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출력 샤프트(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motor 41 may include an output shaft 42 having the same axial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unit 30. The motor 41 may receive power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to rotate the output shaft 42.

일 실시예에서, 모터(41)의 전원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 교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41)의 전원으로서 일회용 건전지, 복수회 충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DC power or AC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source may be used as the power of the motor 41. In another embodiment, a disposable battery,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 plurality of times, or a battery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motor 41.

모터(41)는 출력 샤프트(42)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커플링부(43)는 모터(41)의 출력 샤프트(42)와 클리닝부(30)의 지지 샤프트(32)를 결합하고, 출력 샤프트(42)의 회전을 지지 샤프트(32)의 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motor 41 may be driven to rotate around the output shaft 42. The coupling part 43 couples the output shaft 42 of the motor 41 and the support shaft 32 of the cleaning part 30, and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42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32.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에서는 클리닝부(30) 및 구동 기구(40)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링부(43)에 의해 모터(41)의 출력 샤프트(42)의 회전력이 클리닝부(30)의 지지 샤프트(32)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하여 적은 수의 부품수를 가지면서도 동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unit 30 and the drive mechanism 40 not only have the same rotational axis, but als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41 by the coupling unit 43 (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42)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upport shaft 32 of the cleaning unit 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while having a smaller number of parts compared to other methods.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클리닝 부재(31)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의 클리닝 부재(31)의 단면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31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cleaning member 31 of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클리닝 부재(31)는 지지 샤프트(32)가 결합되는 관통공(33)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4)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31 may include a through hole 33 to which the support shaft 32 is coupled and a protrusion 34 protruding from a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 may be formed.

클리닝 부재(31)는 가죽, 고무 탄성체,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과 같이 압력이 가해지면 가해진 압력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고, 압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연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31 may include a soft material such as leather, rubber elastomer, elastomer, silicone, or the like, which changes its shape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또한, 클리닝 부재(31)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는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elastomer)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이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31 may include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material. Thermoplastic elastomer (TPE) is a high-molecular material that can be molded like plastics that become flexible at high temperatures and exhibits the properties of rubber elastomers at room temperatur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보통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가공에 사용되는 여러 방법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가공 중에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가소제의 사용도 필요 없다. 또한 열경화성(Thermoset) 고무에 비하여 비중이 낮으며, 품질 관리가 용이하고, 사출 성형(중공 성형) 등의 생산성이 높은 가공 기기 사용이 가능하여 딱딱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의 부분적인 변화를 통해 제품 생산의 다양화가 가능해서 부품 설계가 용이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사용 조건하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며, 성형 조건하에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an be used as it is in various methods used for processing of ordinary thermoplastic plastics, and the wast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can be reused, so it is excellent in economy and does not require the use of plasticizers. In addition, compared to thermoset rubber, the specific gravity is low, quality control is easy, and high-productivity processing equipment such as injection molding (blow molding) can be used. Because it can be diversified, designing parts is easy Thermoplastic elastomers exhibit rubber elasticity under conditions of use and are polymeric materials that can be molded like thermoplastics under molding conditions.

일 실시예에서, 클리닝 부재(31)를 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Styrene계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SBC), Olefin계 (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urethane계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mide계 (thermoplastic polyamide, TPAE), polyester계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와 탄성체를 높은 전단력 하에서 혼련함으로써 얻어진 엘라스토머 혼합 재료도 클리닝 부재(31)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for the cleaning member 31, Styrene-based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SBC), Olefin-based (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urethane-bas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mide-based (thermoplastic polyamide, TPAE), polyester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etc. may be used. Further, an elastomer mixed material obtained by knea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elastic body under a high shear force may also be used as a material of the cleaning member 31.

클리닝 부재(31)의 재료를 연질 재료가 아닌 금속, 다이아몬드, 샌드 페이퍼, 연마 숫돌 등의 경질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블레이드(82a)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material of the cleaning member 31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other than a soft material, diamond, sand paper, or grinding ston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blade 82a may be damaged.

복수의 돌출부(34)는 클리닝 부재(31)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31)의 복수의 돌출부(34)는 클리닝 부재(31)의 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4)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34)의 선단 부위가 블레이드와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동안 탄성에 의해 굴절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4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member 31.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4 of the cleaning member 31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3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 34 may b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he tip portion of the protrusion 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blade and be bent by elasticity during cleaning.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34)의 높이(H)는 0.2mm 내지 3cm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돌출부(34)의 높이(H)가 0.2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 클리닝시에 블레이드의 진동이 미약하여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돌출부(34)의 높이(H)가 3cm 초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의 직접 접촉에 의한 클리닝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34 may be set within a range of 0.2 mm to 3 cm. When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34 is formed to be less than 0.2 mm, the vibration of the blade is weak during blade cleaning, and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attachments attached between the blades. In addition, when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34 is formed to exceed 3 cm, the efficiency of cleaning due to direct contact of the blade may decrease.

또한, 돌출부(34)가 블레이드에 밀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진동시켜서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클리닝 부재(31)에 형성된 돌출부(34)의 개수는 1개~ 200개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4)의 개수는 4개~100개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vibrate the blade while the protrusion 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lade so that the attachments attached between the blades are removed, the number of protrusions 34 formed on the cleaning member 31 is within the range of 1 to 200. Can be set. Preferably, the number of protrusions 34 may be set within the range of 4 to 100.

구동부(40)의 분당 회전수는 20 rpm ~ 10000 rpm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돌출부(34)의 높이(H), 개수 및 구동부(40)의 분당 회전수는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이 범위를 벗어나는 다양한 실시예로 설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minute of the driving unit 40 may be set within the range of 20 rpm to 10000 rpm. The height H,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4, and the number of rotations per minute of the driving unit 40 are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may be set in various embodiments outside this range.

복수의 돌출부(34)는 면도기의 블레이드와 직접 접촉하여 블레이드를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34)는 블레이드의 클리닝시에 블레이드를 진동시켜 블레이드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4 may directly contact the blade of the razor to clean the blad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4 may vibrate the blade during cleaning of the blade to remove attachments attached to the bl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클리닝 장치(1)는 복수의 돌출부(34)를 포함함으로써 클리닝 부재(31)의 회전에 따라 면도기의 블레이드를 소정 주파수로 진동시킬 수 있다. The razo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 to vibrate the blade of the razor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member 31.

일 실시예에서, 클리닝 부재(31)의 표면에 20개의 돌출부(34)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클리닝 부재(31)가 1200rpm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는 1초에 20회 회전하고, 1회전시에 20개의 돌출부(34)가 블레이드와 접촉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가 1초에 20회 회전하는 동안, 블레이드는 20개의 돌출부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20x20=400번의 접촉이 일어난다. In one embodiment, 20 protrusions 3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leaning member 3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t 1200 rpm. The cleaning member 31 rotates 20 times per second, and at the time of one rotation, 20 protrusions 34 may contact the blade. While the cleaning member 31 rotates 20 times per second, the blade contacts 20 protrusions, and thus 20x20=400 contacts occur.

면도기 클리닝 장치(1)를 3초 사용한다고 하면 블레이드에는 400x3=1200번의 접촉이 일어나고, 3초 동안 1200회의 접촉에 의해 블레이드에 높은 주파수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진동에 의해 돌출부(34)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블레이드 안쪽면 및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된 노폐물, 털 등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4)는 블레이드와 접촉시에 굴절하여 클리닝 부재(3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클리닝 부재(31)의 원활한 회전이 유지되면서도 클리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suming that the razor cleaning device 1 is used for 3 seconds, 400x3=1200 contacts occur on the blade, and high frequency vibration may occur on the blade by 1200 contacts for 3 seconds. Due to the generated vibra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ade tha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protrusion 34 and wastes, hairs, etc. attached between the blades can be efficiently removed. In addition, the protrusion 34 refracts when in contact with the blad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member 31, and thus, the cleaning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smooth rotation of the cleaning member 31.

클리닝 부재(31)의 직경은 클리닝 부재(31)가 면도기의 블레이드에 접촉할 때, 클리닝 부재(31)가 블레이드 헤드의 전방 및 후방 구비된 윤활 밴드 등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지 않는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가 윤활 밴드 등의 다른 부분에 접촉되는 경우에, 클리닝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윤활 밴드가 마모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diameter of the cleaning member 31 is set to a dimension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31 does not contact other parts such as lubrication bands provided in front and rear of the blade head when the cleaning member 31 contacts the blade of the razor. I can. This is because when the cleaning member 31 comes into contact with other parts such as the lubricating band, the cleaning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lubricating band may be worn.

돌출부(34)는 클리닝 부재(3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클리닝 부재(31)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4)는 클리닝 부재(31) 측 기단 부위에서는 소정 거리 만큼은 동일한 폭을 갖고, 선단 부위에서는 점차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4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leaning member 31,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31. In addition, the protrusion 3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31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e a width gradually narrowing at the tip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31.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31')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31')의 단면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3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ember 3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3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31)의 복수의 돌출부(34)가 없고, 표면이 매끈한 원기둥 형상이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복수의 돌출부(34)가 없는 경우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재료로 구성된 클리닝 부재(31')는 접촉하는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 및 오목부를 갖는 대략 평편(flat)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31')의 표면이 블레이드의 표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블레이드 표면의 노폐물 및 부착물이 제거될 수 있다. 5A and 5B, the cleaning member 31 ′ is different in that there is no plurality of protrusions 34 of the cleaning member 31 shown in FIGS. 4A and 4B and has a smooth cylindrical shape. In the absence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 the cleaning member 31 ′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may be deformed into a substantially flat shape having protrusions and recess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lade in contact. . Whe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31 ′ direct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blade, impurities and deposits on the surface of the blade may be removed.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31'')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부재(31'')의 단면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31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ember 31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31'')는 지지 샤프트(32)가 결합되는 관통공(33) 및 클리닝 부재(31'')의 내부를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31a)를 포함할 수 있다.6A and 6B, the cleaning member 31 ″ is one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33 to which the support shaft 32 is coupled and the inside of the cleaning member 31 ″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t may include the above cavity 31a.

클리닝 부재(31'')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재료를 포함하고,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31a)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레이드 헤드의 블레이드가 클리닝 부재(31'')와 접촉할 때 블레이드를 클리닝하기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재료는 블레이드에 축적된 노폐물을 제거하기 적절하다. By configuring the cleaning member 31'' to include a soft material such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having one or more cavities 31a penet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the blades of the blade head are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31''. When in contact, it can be de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cleaning the blade. Further, a soft material such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is suitable for removing impurities accumulated in the blad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components such as the described devic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may be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하우징 10a: 하우징 상부면
10b: 하우징 하부면 10c: 하우징 측면
30: 클리닝부 40: 구동부
41: 모터 42: 출력 샤프트
43: 커플링부 50: 변환 스위치
31, 31', 31'': 클리닝 부재 32: 지지 샤프트
33: 관통부 34: 돌출부
11: 박육부 11a: 박육부 상부면
11b: 박육부 하부면 11c: 박육부 측면
12~17: 제1 벽면~제6 벽면 18, 19: 오목부
20: 개구부
10: housing 10a: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b: housing lower surface 10c: housing side
30: cleaning unit 40: driving unit
41: motor 42: output shaft
43: coupling part 50: conversion switch
31, 31', 31'': cleaning member 32: support shaft
33: penetrating portion 34: protruding portion
11: thin part 11a: upper surface of thin part
11b: lower surface of thin-walled part 11c: side surface of thin-walled part
12~17: wall 1~6 wall 18, 19: recess
20: opening

Claims (16)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면도기의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클리닝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A cleaning unit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contacting the blade of the razor to clean the blade;
A driving unit driving the clean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unit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part
Including,
The housing includes opening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The cleaning unit is a razor cleaning device disposed in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클리닝시에 상기 블레이드를 진동시켜서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 상에서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par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leaning part,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vibrate the blade during cleaning of the blade to remove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blade,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formed,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리닝부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박육부(thin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박육부에 배치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thin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portion,
A razor cleaning device in which the opening is disposed in the thi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상기 박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razor cleaning device in which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육부의 상부면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1벽면, 제2 벽면 및 제3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면 및 상기 제2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wall surface, a second wall surface, and a third wall surface formed continuously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thin portion,
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are configured to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The third wall surface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blade head from advanc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육부의 하부면과 연속하여 형성된 제4벽면, 제5 벽면 및 제6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벽면 및 상기 제5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의 좌우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벽면은 블레이드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전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housing includes a fourth wall surface, a fifth wall surface, and a sixth wall surface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hin portion,
The fourth wall surface and the fifth wall surface are configured to regul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ade head,
The sixth wall surface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blade head from advanc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 벽면, 상기 제2 벽면, 상기 제3 벽면, 상기 제4 벽면, 상기 제5 벽면 및 상기 제6 벽면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중에서 우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arranged to face upward, the first wall surface, the second wall surface, the third wall surface, the fourth wall surface, the fifth wall surface, and the sixth wall surface are both ends of the housing. A shaver cleaning device that is placed closer to the right end in the mid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haver clea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version switch for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의 둘레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azor cleaning device configured to have a circumferential length of both ends of the housing less than a circumferential length of a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클리닝부의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azor cleaning devic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of the cleaning uni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이 상기 클리닝부의 회전축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azor cleaning device configured such that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s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면도기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면도기의 블레이드가 상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The concave portion is a razor cleaning devic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blade of the razor faces upward when the handle of the razor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면도기의 블레이드를 클리닝하기 위한 롤러 형상의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A roller-shaped cleaning member for cleaning the blade of the razor by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razor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shaft that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클리닝부의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축 방향을 갖는 출력 샤프트를 구비하는 모터;
상기 출력 샤프트와 상기 지지 샤프트를 결합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지지 샤프트의 회전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부
를 포함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iving unit,
A motor having an output shaft having the same axial direction as the rotation shaft of the cleaning unit;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output shaft and the support shaft, and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Shaver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연질 재료를 포함하는 면도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is a razor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oft material.
KR1020200130551A 2020-10-08 2020-10-08 Razor cleaning device KR102253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51A KR102253716B1 (en) 2020-10-08 2020-10-08 Razor cleaning device
KR1020210061681A KR20220047135A (en) 2020-10-08 2021-05-13 Razor cleaning device
PCT/KR2021/013754 WO2022075762A1 (en) 2020-10-08 2021-10-07 Razor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51A KR102253716B1 (en) 2020-10-08 2020-10-08 Razor clean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681A Division KR20220047135A (en) 2020-10-08 2021-05-13 Razor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716B1 true KR102253716B1 (en) 2021-05-18

Family

ID=76158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551A KR102253716B1 (en) 2020-10-08 2020-10-08 Razor cleaning device
KR1020210061681A KR20220047135A (en) 2020-10-08 2021-05-13 Razor clean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681A KR20220047135A (en) 2020-10-08 2021-05-13 Razor clean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53716B1 (en)
WO (1) WO202207576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762A1 (en) * 2020-10-08 2022-04-14 안나은 Razor clea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001A (en) * 2003-02-19 2005-10-17 더 지렛트 캄파니 Safety razors
KR101909542B1 (en) * 2017-08-03 2018-12-18 김종욱 A razor holder with grinding tool
US20190001375A1 (en) * 2017-06-30 2019-01-03 Elyano Nascimento Blade Cleaner and Method of Using
KR200490228Y1 (en) * 2018-06-25 2019-10-14 공대영 Razor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4874B1 (en) * 2005-05-16 2006-09-12 Milton Gussack Razor sharpening apparatus
JP5419164B2 (en) * 2010-01-15 2014-02-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Electric razor cleaning equipment
KR102253716B1 (en) * 2020-10-08 2021-05-18 안나은 Razor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001A (en) * 2003-02-19 2005-10-17 더 지렛트 캄파니 Safety razors
US20190001375A1 (en) * 2017-06-30 2019-01-03 Elyano Nascimento Blade Cleaner and Method of Using
KR101909542B1 (en) * 2017-08-03 2018-12-18 김종욱 A razor holder with grinding tool
KR200490228Y1 (en) * 2018-06-25 2019-10-14 공대영 Razor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762A1 (en) * 2020-10-08 2022-04-14 안나은 Razor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5762A1 (en) 2022-04-14
KR20220047135A (en)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6917B2 (en) Replaceable head electric toothbrush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for
KR101257785B1 (en) Improvements to razor handle grips
RU2355567C1 (en) Safety razor
JP5242376B2 (en) Shaving machine with moving blade
AU2005307859B2 (en) Oral care implement
RU2355566C2 (en) Cutting system of electrical device for epilation
US20130239903A1 (en) Vibratory hair grooming tool
EP1702584A1 (en) Electric Toothbrush
CN102099159B (en) Hybrid hair removal device
KR102253716B1 (en) Razor cleaning device
US20050278874A1 (en) Electric toothbrush
AU2011202491A1 (en) Oral care implement
KR102266588B1 (en) Razor blade cleaning device
KR200490228Y1 (en) Razor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US10966807B1 (en) Electric toothbrushes
WO1996026046A1 (en) Electric shaver
US20110083691A1 (en) Vibratory apparatus
EP2145741A1 (en) Combined shaving device
US20220378188A1 (en) Tongue brush device
WO2022215588A1 (en) Electric toothbrush
EP2529899A1 (en) A razor and a razor head
JP2023173373A (en) Hair removal device, attachment, and hair removal device set
US20060064876A1 (en) Razor
WO2012038692A1 (en) Razor system
JPH119491A (en) Ear hair c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