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336B1 -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336B1
KR102253336B1 KR1020180094937A KR20180094937A KR102253336B1 KR 102253336 B1 KR102253336 B1 KR 102253336B1 KR 1020180094937 A KR1020180094937 A KR 1020180094937A KR 20180094937 A KR20180094937 A KR 20180094937A KR 102253336 B1 KR102253336 B1 KR 10225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xhaust
lower duct
enclosure
upp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423A (ko
Inventor
김정우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9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336B1/ko
Priority to US16/525,332 priority patent/US11236929B2/en
Priority to RU2019125180A priority patent/RU2731785C1/ru
Priority to CN201921314443.2U priority patent/CN210441450U/zh
Publication of KR2020001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5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with furnace tubes
    • F24H1/206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with furnace tubes with submerged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3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duct and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10/00Burner and heat exchanger are integ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기덕트는,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및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 DETACHABLE EXHAUST DUCT FROM OUTLET, WATER HEAT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REPAIRING METHOD OF THE SAME }
본 발명은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와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이러한 물 가열기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 가열기는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시켜 발생한 열에너지를 물에 전달하여 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물 가열기의 연소반응의 산물로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배기가스는 이산화탄소나 질산화물, 황산화물 등의 유해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실내에서 아무런 조치 없이 배출되어서는 안되고, 후처리 장치를 통해 유해한 성분을 제거한 뒤 외부로 배출된다.
물 가열기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물 가열기의 하우징이 되는 외함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연도가 형성된다. 물 가열기의 내부에서 배기가스를 연도로 유도해 연도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외함을 벗어나 소정의 위치로 유동한다.
이러한 물 가열기의 점검 또는 고장시 수리를 위해서 물 교환기의 외함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물 가열기의 구성요소들은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외함의 내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거나 작업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배기구로부터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 어댑터나 연도를 분해하지 않고도 열교환기를 교체할 수 있는 물 가열기, 그러한 물 가열기에 사용되는 배기덕트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는,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 및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 슬라이딩 하지 않게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는, 외함; 상기 외함에 수용되고,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난방수를 가열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열교환기; 상기 외함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기구에 배치되어, 외부로 상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어댑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를 전달받는 하부덕트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하부덕트로부터 상기 배기 어댑터로 유동해 배출되도록 양단 중 일단이 상기 배기 어댑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덕트에 연통되는 상부덕트와,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 슬라이딩 하지 않게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가 형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에 내장되고 서로 연결된 하부덕트와 상부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에 연결된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타단과 연결된 배기 어댑터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의 수리방법은, 상기 외함의 일 측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고 있는 결합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덕트를 상기 하부덕트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배기 어댑터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외함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함에서 손쉽게 열교환기를 분리 및 수리를 위해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물 가열기의 구성요소들을 수리할 수 있고, 수리 과정에서 물 가열기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물 가열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를 가지는 물 가열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덕트가 배기 어댑터와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의 결합부를 분리하고 상부덕트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덕트와 배기 어댑터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배기덕트를 외함으로부터 분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물 가열기(100)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물 가열기(100)는 외함(101)과 외함(101)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설치되는 배기 어댑터(102), 외함(101)의 외부에서 배기 어댑터(102)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도(103) 및 외함(101)의 내부에서 배기 어댑터(102)의 타단에 연결되는 배기덕트(104)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물 가열기(100)에서, 연도(103)는 배기 어댑터(102)에 결합되어 서로 내부가 연통되고, 배기덕트(104)와 배기 어댑터(102)는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배기덕트(10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떤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열교환기(105)를 외함(10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배기 어댑터(102)와 연도(103)의 결합을 해제하고, 배기 어댑터(102)와 배기덕트(104)의 결합을 해제한 뒤 배기 어댑터(102)와 연도(103)를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배기 어댑터(102)와 연도(103)를 외함(101)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배기덕트(104)를 분리하기 용이하지 않아, 수리과정에서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를 가지는 물 가열기(1)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는, 외함(11), 배기 어댑터(12), 연도(16), 열교환기(14) 및 배기덕트(10)를 포함한다.
외함(11)은 물 가열기(1)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4), 배기덕트(10) 및 기타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외함(11)은 직육면체의 상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함(11)의 일 측면에는, 일 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배기구에는 배기 어댑터(12)가 배치된다. 배기 어댑터(12)를 통해서는 배기가스가 외함(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112)일 수 있으나, 측면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밖에 외함(11)에는 도 7과 같이 공기를 외함(11)의 내부에 위치한 열교환기(14)에 제공하는 공기 유입구(도 7의 13)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함(11) 내부의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는 벤트홀(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배기 어댑터(12)에는 연도(16)와 상부덕트(20)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배기 어댑터를 통해서 배기가스가 후술할 상부덕트(20)로부터 연도(16)로 유동해 배출된다.연도(16)는 배기 어댑터(12)와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연도(16)의 일단이 외함(11)의 외부에서 배기 어댑터(12)와 연결되어, 후술할 상부덕트(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그 사이의 관체형으로 형성된 유로를 따라 배기가스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연도(16)의 일단의 외측면은 배기 어댑터(12)와 결합되어, 외함(11)의 내부와 외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배기 어댑터(1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외함(11)의 일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에 결합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나, 연도(16)의 일단에 형성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기구를 연도(16)가 통과하여, 배기 어댑터(12)에 해당하는 연도(16)의 일단이 상부덕트(20)와 직접 연결된다.
열교환기(14)는 외함(11)에 수용되고,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물인 난방수를 가열하고,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열된 난방수는 난방이 필요한 영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교환기(14)는 FFT(Flat Fire Tube)형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14)와 후술할 배기덕트(10)의 전반적인 형상이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덕트(10)와 열교환기(14)의 사이에 작업자의 손 또는 작업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배기덕트(10)는 열교환기(14)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배기 어댑터(20)를 거쳐 연도(16)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배기덕트(10)의 일단에 해당하는 하부덕트의 하단(32)이 열교환기(14)에 연결되고, 배기덕트(10)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부덕트의 일단(21)이 배기 어댑터(20)와 연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기덕트(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는,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포함하고, 결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방향(S)은 하부덕트(30)가 그 선단(3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부덕트(20)가 배기 어댑터(12)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슬라이딩 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연직 하방을 의미하나, 기준방향(S)은 연직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덕트(20)
상부덕트(20)는 기준방향(S)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기덕트(10)의 구성요소로, 양단(21, 22)이 개구된 관체이다. 상부덕트의 양단(21, 22)은 각각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는데, 상부덕트의 일단(21)은 배기 어댑터(12)에 외함(11)의 내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연도(16)와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22)은 하부덕트(30)에 연통된다. 따라서 하부덕트(30)에서 전달된 배기가스를 배기 어댑터(12)와 연도(16)로 전달하는 중간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 상부덕트(20)이다.
상부덕트의 일단(21)에는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덕트의 일단(21)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는 상부덕트의 일단(21)의 내주면을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둘러쌈으로써, 배기 어댑터(12)가 상부덕트의 일단(21)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삽입된 배기 어댑터의 타단(도 6의 122)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배기 어댑터(12)에 접촉함에 따라,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상부덕트(20)의 내부와 배기 어댑터(12)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기밀을 잘 유지하기 위해,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는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돌기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달리,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상부덕트의 일단(21)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형성되고, 배기 어댑터(12)의 내부로 상부덕트의 일단(21)이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배기 어댑터(12)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부덕트의 일단(21)과 타단(22)을 잇는 중간관(23)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일 방향으로 곧게 연장될 수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연장된 방향이 복수 회 꺾여서 형성된 관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부덕트(20)의 중간관(2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덕트(20)는, 후술할 하부덕트의 선단(31)을 통해, 기준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부덕트(30)에 연결되고, 기준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해서 배기 어댑터(12)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부덕트의 일단(21)이 배기 어댑터(12)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덕트(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데,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영역인 중첩부(A)가 형성된다. 중첩부(A)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덕트(20)가 연도(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덕트(30)와 상부덕트(20)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중첩부(A)에서, 상부덕트(20)의 외측면은 안으로 파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덕트(20)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덕트(20)의 외측면에서 그 둘레를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결합홈(24)이 파여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4)에, 후술할 하부덕트(30)의 결합홀(34)을 통과한 결합부(40)가 결합되어,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가 서로 기준방향(S) 또는 기준방향(S)의 반대방향으로 상대운동 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하부덕트(30)
하부덕트(30)는 기준방향(S)측에 위치하는 배기덕트(10)의 구성요소로, 기준방향(S)의 반대측에 위치한 선단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선단에 상부덕트의 타단(22)이 연통된다. 상부덕트의 타단(22)은 하부덕트의 선단(31)을 통해 기준방향(S)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덕트(30)는, 하부덕트의 선단(31)으로부터 기준방향(S)을 따라 연장되는 유격공간부(35)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덕트(30)는 유격공간부(35)로부터 기준방향(S)을 따라 연장되고, 유격공간부(35)의 내경(D1)보다 작은 내경(D2)을 가지는 연장부(33)를 같이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덕트(30)의 구성요소들은, 기준방향(S)을 따라 유격공간부(35)와 연장부(33)의 순서로 배치된다.
연장부(33)는 유격공간부(35)로부터 연장되어, 도 2의 열교환기(14)로 연결된다. 따라서 열교환기(14)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연장부(33)를 통해 유격공간부(35)로 전달될 수 있고, 유격공간부(35)에 연결된 상부덕트(20)로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덕트(20)의 외경(D3)은, 유격공간부(35)의 내경(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유격공간부의 내부(351)로 상부덕트의 타단(22)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덕트(20)의 외경(D3)은 연장부(33)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준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해도 연장부(33)에는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33)와 유격공간부(35)의 내측면의 경계에서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덕트의 타단(22)이 더 이상 기준방향(S)을 따라서 진행하지 못하도록 상부덕트(20)를 차단할 수 있다. 하부덕트(30)가 이러한 구조를 가져, 상부덕트(20)는 유격공간부(35)에 삽입되어 유격공간부(35) 내에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중첩부(A)에서, 하부덕트(30)는 그 외측면의 일부분이 개구된 결합홀(34)을 구비한다. 하부덕트(30)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일부분이 경방향으로 개방되어 결합홀(34)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40)
결합부(40)는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결합부(40)는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가 기준방향(S) 또는 기준방향(S)의 반대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부덕트(20)는 하부덕트(30)에 기준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이러한 슬라이딩이 결합부(40)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가 서로 기준방향(S)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결합부(40)가 고정할 수 있다.
결합부(40)는 중첩부(A)에서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가 일부분 중첩되는 영역을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부(40)의 크기가 비대해지지 않을 수 있고,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의 경계의 기밀을 유지하기에 유리하다.
결합부(40)는 중첩부(A)에서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0)는 띠형의 부재일 수 있으며, 그 양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폐곡선인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는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중첩부(A)에서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의 일부와 상부덕트(20)의 외측면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결합부(40)는 걸림부(42)와 둘레부(45)와 돌기부(43)를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띠형의 부재를 형성하고, 양단(41)이 서로 결합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45)는, 가상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중첩부(A)에서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40)의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가상의 원주는,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둘레부(45)는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덕트(30)는 둘레부(45)가 하부덕트(30)에 대해 잘 고정되어 있도록, 둘레부(45)가 삽입될 수 있는 둘레 홈(36)을, 하부덕트(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중첩부(A)에 더 구비할 수 있다.
둘레부(45)는 일체형의 띠형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단절되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절부(451, 452, 453, 4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단절부(451, 452, 453, 454) 중 결합부의 양단(41)을 구성하는 단절부(453, 454)들은,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단부가 접촉하되 체결부재(4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44)는 나사일 수 있다. 복수의 단절부(451, 452, 453, 454) 중 어떤 2개의 단절부들은 후술할 걸림부(42)의 양단에 결합되어,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절부(451, 452, 453, 454) 중 어떤 2개의 단절부(451, 452)들은 후술할 돌기부(43)의 양단에 결합되어,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절부(451, 452, 453, 454)들이 각 구성요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결합부(40)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2)는 결합홀(34)을 통과해 결합홈(24)에 삽입됨으로써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림부(42)는, 둘레부(45)가 형성되고 배치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가상의 원주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상부덕트(20)에 형성된 결합홀(34) 및 하부덕트(30)에 형성된 결합홈(24)에 삽입된다.
걸림부(42)가 삽입되어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서로 고정한다. 따라서 걸림부(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덕트(20)에 대해 기준방향(S)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결합홈(24)의 기준방향(S)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이 걸림부(42)를 기준방향(S)으로 가압하나, 걸림부(42)가 하부덕트(30)에 형성된 결합홀(34)의 기준방향(S)측에 위치한 측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기준방향(S)으로 이동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부덕트(20) 역시 기준방향(S)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기준방향(S)의 반대방향으로 상부덕트(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술한 내용의 반대된 작용을 통해 상부덕트(20)가 기준방향(S)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걸림부(42)는 걸림부 몸체(421), 연결부(423) 및 플랜지(4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 몸체(421)는, 결합홈(24)에 삽입될 수 있고, 하부덕트(30)의 경방향 외측을 바라보는 결합홈(24)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부 몸체(421)는 상기 결합홈(24)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부덕트(20)를 내측으로 가압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결합홈(24)의 측면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걸림부 몸체(421)는 결합홈(24)의 측면을 전부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결합홈(24)의 측면의 일부분만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42)는 걸림부 몸체(421)와 둘레부(45)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 몸체(421)가 하부덕트(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위치한 둘레부(45)의 두 단절부(451, 452, 453, 454)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연결부(423) 역시 2개일 수 있다. 걸림부 몸체(421)는 상부덕트(20)의 결합홈(24)에 삽입될 수 있고, 둘레부(45)는 하부덕트(30)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연결부(423)는 하부덕트(3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 몸체(421)의 양단으로부터, 하부덕트(30)의 경방향 외측과 하부덕트(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23)의 기준방향(S)측에 위치한 측면과 기준방향(S)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은, 결합홀(34) 및 결합홈(24)의 기준방향(S)측에 위치한 측면과, 결합홀(34) 및 결합홈(24)의 기준방향(S)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에 각각 접하여, 걸림부(4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걸림부(42)는 플랜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422)는 하부덕트(30)의 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2개로 구성되어 각각 결합홀(34) 및 결합홈(24)의 기준방향(S)측에 위치한 측면과 기준방향(S)의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에 접하여 걸림부(4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개의 플랜지(422)는 걸림부 몸체(421)의 기준방향(S)측 일단과 기준방향(S)의 반대측 일단으로부터 하부덕트(30)의 경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되, 걸림부 몸체(421)가 결합홈(24)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하부덕트(30)의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둘레부(45)와 걸림부(42)가 연결되고, 걸림부(42)가 걸림부(42) 본체, 연결부(423) 및 플랜지(422)를 전부 포함해서 전체 결합부(40)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현하였으나, 둘레부(45)가 없이 걸림부(42)만이 결합부(40)를 구성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걸림부(42)가 걸림부(42) 본체와 연결부(423)만을 포함하거나, 걸림부(42)가 걸림부(42) 본체와 플랜지(422)만을 포함하거나, 결합부(40)가 둘레부(45)와 걸림부(42)의 플랜지(422)만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합의 실시예가 사용 가능하다.
둘레부(45)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절부(451, 452, 453, 454) 중 어느 2개의 단절부(451, 452)는, 돌기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돌기부(43)는 상기 2개의 단절부(451, 452)의 단부로부터 하부덕트(30)의 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어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돌기부(43)가 가짐으로써, 결합부(4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돌기부(43)를 중심으로 결합부(40)의 양측이 서로 벌어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좁혀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돌기부(43)의 구조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여, 결합부(40)의 양측이 본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40)가 상부덕트(20) 또는 하부덕트(3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부의 양단(41)을 벌렸다가 탄성에 의해 본래 위치로 돌아가게 해서 결합홈(24) 및 결합홀(34)에 결합부(40)를 결합할 수 있다.
기밀 유지 부재(50)
기밀 유지 부재(50)는 하부덕트(30)의 내부와 상부덕트의 내부(26)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기밀 유지 부재(5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덕트(20)의 외측면과 하부덕트(30)의 내측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덕트(20)의 외측면과 하부덕트(30)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촉한다. 기밀 유지 부재(50)는 상부덕트(2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부덕트(20)가 기준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할 때, 상부덕트(20)로부터 이탈되거나 상부덕트(20)의 슬라이딩을 저해하지 않도록, 기밀 유지 부재(50)는 상부덕트(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밀 유지 부재(50)는 하부덕트(30)와 상부덕트(20)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밀 유지 부재(50)가, 제1 기밀 유지 부재(51)와 제2 기밀 유지 부재(52)로 총 2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준방향(S)을 따라 제1 기밀 유지 부재(51)와 제2 기밀 유지 부재(52) 순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밀 유지 부재(51)와 제2 기밀 유지 부재(52)는, 기준방향(S)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종단면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기밀 유지 부재(51)의 종단면에서의 단면이 제2 기밀 유지 부재(5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기밀 유지 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덕트(20)의 외측면에는 기밀 유지 부재(50)가 수용될 수 있는, 경방향 내측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기밀홈(25)인 제1 기밀홈(251) 및 제2 기밀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물 가열기(1)의 수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수리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외함(11)의 측면 중 배기구(12)가 형성된 일 측면인 상면(112)이 아닌 다른 일 측면을 제거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한다. 제거되는 외함(11)의 일 측면은, 기준방향(S)과 수직한 일 측면인 전면(111)일 수 있으나, 제거되는 측면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함(11)의 일 측면을 제거하고, 각종 배관과 배선을 고정하고 있는 케이블 타이와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주요 기능 부품을 고정하는 하네스(harness)를 제거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고, 물 가열기(1)의 각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가 제거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팬과 버너의 믹스챔버가 제거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고, 기타 배관들이 분리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배기덕트(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외함(11)과의 결합관계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덕트(20)가 배기 어댑터(12)와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외함(11)의 외부에 위치한 배기 어댑터의 일단(121)에는, 연도(16)가 연결되고, 외함(11)의 내부에 위치한 배기 어댑터의 타단(122)에는, 상부덕트의 일단(21)이 연결된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상부덕트(20)에서 배기 어댑터(12)로 전달되어, 다시 연도(16)로 전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배기 어댑터(12)는 배기구를 둘러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배기 어댑터의 일단(121)은 상면(11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 어댑터의 타단(122)은 배기 어댑터의 일단(12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어댑터의 타단(122)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덕트의 일단(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 기밀 유지 부재(211)가 배기 어댑터의 타단(122)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10)의 결합부(40)를 분리하고 상부덕트(20)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덕트와 배기 어댑터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상부덕트(20)가 하부덕트(30)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부덕트(20)와 하부덕트(30)를 서로 고정하고 있는 결합부(40)를 제거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40)는 체결부재(44)에 의해 양단이 결합되므로, 체결부재(44)를 제거하고 결합부(40)를 벌려 결합부(40)를 하부덕트(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결합부(40)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부덕트(20)는 하부덕트(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덕트(20)를 하부덕트(30)가 포함하는 유격공간부(35)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켜 배기 어댑터(12)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상부덕트(20)가 하부덕트(30)의 내부에서 기준방향(S)으로 슬라이딩 함에 따라, 배기 어댑터(12)와 연결되었던 상부덕트의 일단(21)이 배기 어댑터(12)로부터 이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4)와 배기덕트(10)를 외함(11)으로부터 분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덕트(20)가 배기 어댑터(12)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외함(11) 또는 배기 어댑터(12)와 결합관계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외함(11) 내부에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배기덕트(10)가 결합된 상태의 열교환기(14)를, 외함(11)으로부터 상기 일 측면을 통해 이탈시키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외함(11)에서 벗어난 열교환기(14)를 수리를 위해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물 가열기(1)의 구성요소들을 수리할 수 있고, 수리 과정에서 물 가열기(1)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물 가열기 10 : 배기덕트
11 : 외함 12 : 배기 어댑터
13 : 공기 유입구 14 : 열교환기
15 : 벤트홀 16 : 연도
20 : 상부덕트 21 : 상부덕트의 일단
22 : 상부덕트의 타단 23 : 중간관
24 : 결합홈 25 : 기밀홈
26 : 상부덕트의 내부 30 : 하부덕트
31 : 하부덕트의 선단 32 : 하부덕트의 하단
33 : 연장부 34 : 결합홀
35 : 유격공간부 36 : 둘레 홈
40 : 결합부 41 : 결합부의 양단
42 : 걸림부 43 : 돌기부
44 : 체결부재 45 : 둘레부
50 : 기밀 유지 부재 51 : 제1 기밀 유지 부재
52 : 제2 기밀 유지 부재 100 : 예시적인 물 가열기
101 : 예시적인 외함 102 : 예시적인 배기 어댑터
103 : 예시적인 연도 104 : 예시적인 배기덕트
105 : 예시적인 열교환기 111 : 전면
112 : 상면 121 : 배기 어댑터의 일단
122 : 배기 어댑터의 타단 211 : 배기 기밀 유지 부재
251 : 제1 기밀홈 252 : 제2 기밀홈
351 : 유격공간부의 내부 421 : 걸림부 몸체
422 : 플랜지 423 : 연결부
451, 452, 453, 454 : 단절부 A : 중첩부
S : 기준방향

Claims (18)

  1.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 및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 슬라이딩 하지 않게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가 중첩되는 영역인 중첩부에서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는, 배기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하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외측면의 일부분이 개구된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상부덕트는, 경방향 내측으로 파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홀을 통과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가상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하부덕트의 외측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둘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상의 원주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둘레부와 상기 걸림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결합부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배기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 외측을 바라보는 상기 결합홈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 및
    상기 하부덕트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 외측과 상기 하부덕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둘레부와 상기 걸림부 몸체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홈의 기준방향측에 위치한 측면 및 기준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서로 단절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절부 및 상기 2개의 단절부를 잇되 상기 2개의 단절부로부터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덕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 외측을 바라보는 상기 결합홈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 및
    상기 걸림부 몸체의 기준방향측 일단과 기준방향의 반대측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홈의 기준방향에 위치한 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몸체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걸림부 몸체로부터 상기 하부덕트의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양단이 결합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하부덕트의 외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덕트의 외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배기덕트.
  11.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 및
    상기 하부덕트의 내부와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덕트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덕트의 내측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덕트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덕트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기밀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12.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및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하고,
    상기 하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격공간부와, 상기 유격공간부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유격공간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유격공간부의 내경보다 작되 상기 연장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유격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격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유격공간부에 연결되는, 배기덕트.
  14. 양단이 개구되고, 물 가열기의 외함에 배치된 배기 어댑터에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덕트; 및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양단 중 타단이 상기 선단과 연통되는 하부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으로 상기 배기 어댑터에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상부덕트의 일단의 내측에, 상기 배기 어댑터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와 상기 배기 어댑터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덕트의 일단은, 상기 삽입된 배기 어댑터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접촉하는 배기 기밀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배기덕트.
  15. 외함;
    상기 외함에 수용되고,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난방수를 가열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열교환기;
    상기 외함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기구에 배치되어, 외부로 상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어댑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를 전달받는 하부덕트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하부덕트로부터 상기 배기 어댑터로 유동해 배출되도록 양단 중 일단이 상기 배기 어댑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덕트에 연통되는 상부덕트와,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 슬라이딩 하지 않게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는, 물 가열기.
  16. 외함;
    상기 외함에 수용되고,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난방수를 가열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열교환기;
    상기 외함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기구에 배치되어, 외부로 상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어댑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를 전달받는 하부덕트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하부덕트로부터 상기 배기 어댑터로 유동해 배출되도록 양단 중 일단이 상기 배기 어댑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덕트에 연통되는 상부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부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덕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 어댑터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상부덕트가 슬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의 일단이 상기 배기 어댑터로부터 이탈하는, 물 가열기.
  17. 배기구가 형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에 내장되고 서로 연결된 하부덕트와 상부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에 연결된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타단과 연결된 배기 어댑터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의 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일 측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덕트가 상기 하부덕트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를 서로 고정하고 있는 결합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덕트를 상기 하부덕트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배기 어댑터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외함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수리방법.
  18. 삭제
KR1020180094937A 2018-08-14 2018-08-14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KR102253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37A KR102253336B1 (ko) 2018-08-14 2018-08-14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US16/525,332 US11236929B2 (en) 2018-08-14 2019-07-29 Exhaust duct detachable from outlet, water-heating device having the exhaust duct,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water-heating device
RU2019125180A RU2731785C1 (ru) 2018-08-14 2019-08-08 Выхлопной трубопровод, отделяемый от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выхлопной трубопровод, и способ для ремонта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201921314443.2U CN210441450U (zh) 2018-08-14 2019-08-14 可从出口拆卸的排气管道及具有该排气管道的水加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37A KR102253336B1 (ko) 2018-08-14 2018-08-14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23A KR20200019423A (ko) 2020-02-24
KR102253336B1 true KR102253336B1 (ko) 2021-05-18

Family

ID=6952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37A KR102253336B1 (ko) 2018-08-14 2018-08-14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36929B2 (ko)
KR (1) KR102253336B1 (ko)
CN (1) CN210441450U (ko)
RU (1) RU2731785C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0027A (en) * 1967-02-20 1971-02-02 Gra Tec Inc Coupling assembly
US4000886A (en) * 1975-03-24 1977-01-04 J. T. Cullen Company Furnace exhaust duct
US4494598A (en) * 1983-01-06 1985-01-22 Amana Refrigeration, Inc. Flue pipe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on thereof
RU2006754C1 (ru) 1989-10-16 1994-01-30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Брян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им.В.И.Ленина Водогрейный бытовой котел
NO301442B1 (no) 1992-07-22 1997-10-27 Noboru Maruyama Anordning til oppvarming av væsker
KR19980034301U (ko) * 1996-12-10 1998-09-15 배순훈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덕트구조
RU2160814C2 (ru) 1999-02-15 2000-12-20 Гришечкин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Дымовая труба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US6811190B1 (en) * 2001-08-09 2004-11-02 Metal-Fab, Inc. Tab-lock fastener for interlocking vent pipe
RU2280215C1 (ru) 2005-01-27 2006-07-20 Евгений Васильевич Бусыгин Бытовой газовый проточ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US8672367B2 (en) * 2006-05-02 2014-03-18 M&G DuraVent, Inc. Exhaust system interlocking mechanism
JP5146635B2 (ja) 2007-01-31 2013-02-20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EP2354615B1 (de) * 2010-02-05 2012-08-22 Centrotherm Systemtechnik GmbH Sicherungsvorrichtung einer Fluidleitungsverbindung
JP5703938B2 (ja) * 2011-04-26 2015-04-22 株式会社ノーリツ 排気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US9989252B2 (en) * 2013-08-22 2018-06-05 Noritz Corporation Exhaust adapter, exhaust structure for water heater, and method for installing exhaust adapter
RU153204U1 (ru) 2014-10-22 2015-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ольф"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US10488077B2 (en) * 2015-06-15 2019-11-26 Carrier Corporation Furnace inducer elbow, gas furnace system having elbo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bow
US10605454B2 (en) * 2015-10-27 2020-03-31 Noritz Corporation Exhaust structure for combustion apparatus
US10337735B2 (en) * 2016-04-13 2019-07-02 Noritz Corporation Exhaust tube holding member, exhaust structure for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xhaust structure for combustion apparatus
CA2932993C (en) * 2016-06-10 2020-10-27 Ipex Technologies Inc. Water heater venting assembly
JP6794320B2 (ja) * 2017-07-13 2020-12-02 パーパス株式会社 配管接続ユニット、給排気筒および燃焼装置
EP3705779A1 (de) * 2019-03-08 2020-09-09 Centrotherm Systemtechnik GmbH Abgasleit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1785C1 (ru) 2020-09-08
US20200056810A1 (en) 2020-02-20
CN210441450U (zh) 2020-05-01
US11236929B2 (en) 2022-02-01
KR20200019423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33B1 (ko)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CN105008675A (zh) 包括进入亚环境空腔中的排气的燃气轮机外壳主动环境冷却
CN101097120B (zh) 板式热交换器
CN106051825A (zh) 包括引导喷嘴的燃料喷嘴组件
CN101769204A (zh) 关于工业机械的燃料输送系统的方法、装置和/或系统
US20180187988A1 (en) Heat exchanger
KR20100080403A (ko) 동심 통로를 통과하는 유동 제어에 관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
KR102253336B1 (ko) 배기구로부터 분리 가능한 배기덕트, 이를 가지는 물 가열기 및 물 가열기 수리방법
CN106066048A (zh) 预混引导喷嘴
KR102460086B1 (ko) 연소장치
RU2585692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топливного отоп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989273B (zh) 在油气应用的上游的热力阀
US20180023477A1 (en) Internal manifold with fuel inlet
CN107866773A (zh) 用于断开燃气涡轮发动机中连焰管组件的工具套件及方法
CN101443591A (zh) 复式耦接器
RU2727303C1 (ru) Рекуперативная горелка
CN105972637A (zh) 具有双壁的燃烧室
CN104100377B (zh) 用于燃气发动机的燃料供给和冲洗设备
CN105317742B (zh) 流体机械
KR101742165B1 (ko) 복합 연소로의 폭발 압력 감쇄장치
US7401719B2 (en) Staple-driving gun with safety protection
WO2007073453A3 (en) Heat exchanger with integral shell and tube plates
KR102209710B1 (ko) 이중 구조의 연료전지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ITMI20150056A1 (it) Innesto rapido.
CN105408689A (zh) 头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