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030B1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3030B1 KR102253030B1 KR1020190133976A KR20190133976A KR102253030B1 KR 102253030 B1 KR102253030 B1 KR 102253030B1 KR 1020190133976 A KR1020190133976 A KR 1020190133976A KR 20190133976 A KR20190133976 A KR 20190133976A KR 102253030 B1 KR102253030 B1 KR 102253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curvature
- radius
- magnesium alloy
- str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되어 하나의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 및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하나의 셀에 인접한 다른 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은,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이 연이어 배치되는 연장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스트럿; 및 상기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2 스트럿의 연결 부분은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를 구성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에 연결되고, 제2-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다른 셀에 연결되고, 제2-2 곡률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및 상기 제2-2 곡률 반경 각각에 비해 큰 값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관 확장에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협착과 같은 합병증은 경피적 경관 관상동맥 혈관형성(PTCA)과 같은 의학적 과정의 형태로 동맥경화증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재발하는 문제이다.
재협착은 흔히 스텐팅(Stenting)으로 알려진 과정에 의해 치료된다. 이때 침범된 동맥에 의학적 장치를 외과적으로 이식하여 위 과정 이후에 혈관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텐트(Stent)는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이며 주로 티탄 또는 써지컬 스틸(Surgical steel)과 같은 생체적합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스텐트는 접을 수 있으며 경관 카테터를 통해 폐쇄된 동맥으로 전달된다.
스텐트는 카테터에 부착되고, 자가 확장하거나 또는 일단 장치가 적소에 놓이면 후에 카테터와 함께 제거되는 스텐트 내부의 풍선의 팽창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혈관 내에 삽입된 채로 방치된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일정 기간 동안 혈관의 재협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다한 후에, 스텐트가 분해되게 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정 기간 후에 분해되는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해당 재질에 의해 혈관 내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되어 하나의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 및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하나의 셀에 인접한 다른 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은,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이 연이어 배치되는 연장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스트럿; 및 상기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2 스트럿의 연결 부분은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를 구성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에 연결되고, 제2-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다른 셀에 연결되고, 제2-2 곡률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및 상기 제2-2 곡률 반경 각각에 비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또는 상기 제2-2 곡률 반경에 대해 2배 내지 4배에 이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하나의 셀에서 상기 제1 스트럿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제1 스트럿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스트럿 각각의 폭의 1/2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2개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적어도 하나는,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라운드부들은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지지재그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한 쌍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마커 설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마커 설치부는, 상기 셀들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에 의하면, 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형성됨에 의해 스텐트는 일정 기간 후에는 스스로 분해되어 혈관에 흡수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스텐트는 혈관 내 삽입을 위한 압축 및 팽창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구조적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와 비교되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든 스텐트의 파손 사례를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의 일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를 펼쳐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가 구현된 제품을 팽창시킨 상태에 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의 일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를 펼쳐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가 구현된 제품을 팽창시킨 상태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는 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혈관에 흡수되어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는, 이트리움 3.7 내지 4.3 중량%, 희토류 2.4 내지 4.4 중량%, 지르코늄 0.4 중량%, 및 잔여분인 마그네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은, 그 분해 성능에 의해 강도 면에서는 기존의 스텐트 재질인 코발트-크롬 합금 등과 다른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에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은, 코발트-크롬에 비해, 강도는 1/5 수준이고 신율은 1/10 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되 통상적인 설계에 따른 스텐트의 특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와 비교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의 파손 사례를 보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의 특성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를 다른 재질의 스텐트와 같은 디자인으로 설계 시에 그 스텐트는 압축 및 팽창 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 재질의 자연 분해 능력은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압축 및 팽창 과정에서의 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 설계의 내용은 도 2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의 일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를 펼쳐보인 평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는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셀(10, 30)을 가질 수 있다. 셀(10, 30)은 대체로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룬다. 그에 의해, 셀(10, 30) 각각이 연장되는 외주 방향은 원주 방향(C)이라 칭해지고, 셀(10, 30)들이 연이어 배치되는 방향은 연장 방향(E)이라 칭해질 수 있다. 셀(10, 30)의 중심축을 향한 방향은 중심 방향(D)이라 칭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셀이 모두 6개가 있으나, 편의상 첫 번째 셀(10)과 두 번째 셀(30)에 대해서만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여기서, 첫 번째 셀(10)은 하나의 셀, 두 번째 셀(30)은 다른 셀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칭법은 두 번째 셀(30)과 세 번째 셀, 세 번째 셀과 네 번째 셀 등의 관계에서도 성립한다.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는 하나의 셀(10)과 다른 셀(30)이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이어 배치됨에 의해, 대체로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의 구조는 혈관 내에 삽입된 때에 혈관 내의 피의 유동 단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하다.
하나의 셀(10) 및 다른 셀(30)을 이루는 기본 구조체는 스트럿(Strut)이다. 스트럿은 앞서 설명한 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형성된다. 스트럿은 대체로 사각형인 단면의 와이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트럿은 하나의 셀(10) 또는 다른 셀(30)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럿은, 구체적으로 제1 스트럿(110)과 제2 스트럿(1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장 방향(E)을 따르는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제1 스트럿(110)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라면, 제2 스트럿(130)은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스트럿(110) 또는 제2 스트럿(130)은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의 힘을 향상시키면서도 스트럿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스트럿(110)과 제2 스트럿(130)의 연결 부분은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15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스트럿(110)과 제2 스트럿(130), 나아가 라운드부(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부(150)들은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스텐트(100)의 압축 시에 라운드부(150)들 간의 간섭을 완화하는 의미를 제공한다.
브릿지(170)는 하나의 셀(10)과 다른 셀(3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브릿지(170)는 하나의 셀(10)의 제1 스트럿(110)과 연결되는 경우에, 다른 셀(30)에서도 제1 스트럿(110)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1 스트럿(110)의 중앙부들에 브릿지(170)가 각각 연결된다. 브릿지(170)는 각 제1 스트럿(110)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셀(10)의 제2 스트럿(130)에 연결되는 브릿지(170)는, 다른 셀(30)의 제2 스트럿(130)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브릿지(170)는 하나의 셀(10)과 다른 셀(30)의 연결시에, 원주 방향(C)을 따라 2개만 구비된다. 발명자는 2개를 초과하는 많은 개수의 브릿지(170)는 오히려 스텐트(100)의 파절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개의 브릿지(170)에서의 파절 확률이 17%라면, 3개의 브릿지(170)에서 파절 확률은 50%로 증가하였다.
셀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셀에는 마커 설치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커 설치부(190)는 스텐트(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불투과성의 마커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마커 설치부(190)는 구체적으로 2개의 홈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마커 설치부(190)는 스텐트(100)에 대한 압축 시에 스텐트(100)의 전체적 부피 저감을 위해 최외곽 셀들에만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적 설계 사항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100)가 구현된 제품을 팽창시킨 상태에 대한 사진이다.
본 도면들 참조하면, 제1 스트럿(110)이 가상선(VL)에 대해 제1 각도(α)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라면, 제2 스트럿(130)은 가상선(VL)에 대해 제2 각도(β)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다. 제1 각도(α)와 제2 각도(β)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셀(10)에서 제1 각도(α)가 제2 각도(β) 보다 크다면, 다른 셀(20)에서는 제2 각도(β)가 제1 각도(α) 보다 크다. 그렇더라도, 이들의 합은 항상 예각의 범위 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스트럿(110), 제2 스트럿(130), 나아가 브릿지(17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나, 그들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트럿(110), 제2 스트럿(130), 나아가 브릿지(170)의 두께는 하나의 셀(10)의 셀의 중심축을 향한 중심 방향(D)을 따르는 각각의 길이로 정의된다. 그에 반해, 폭은 하나의 셀(10)의 원주 방향(C)을 따르는 각각의 길이로 정의된다. 제1 스트럿(110)과 제2 스트럿(130)의 폭에 비해, 브릿지(170)의 폭은 대략 1/2 수준일 수 있다. 이는 스텐트(100)의 압축 및 팽창 시에, 제1 스트럿(110)과 제2 스트럿(130)의 형상 유지와 파절 방지를 고려한 것이다.
라운드부(150)의 곡률 반경은 구체적으로 제1 곡률 반경(R1)으로 정의되어 있다. 제1 곡률 반경(R1)은 도 1에 나타난 기존 제품이나 본 실시예에서나 동일하게 0.1576 mm 정도가 될 수 있다.
브릿지(170)는 라운드부(150)의 볼록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볼록한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셀(10)의 라운드부(150)에 대응하는 제1 볼록부(171)와, 다른 셀(30)의 라운드부(150)에 대응하는 제2 볼록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록부(171)는 도면상 상방을 향해 볼록하다면, 제2 볼록부(175)는 도면상 하방을 향해 볼록하게 된다.
제1 볼록부(171)의 곡률 반경을 제2-1 곡률 반경(R2-1)이라고 하면, 제2 볼록부(175)의 곡률 반경은 제2-2 곡률 반경(R2-2)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곡률 반경(R2-1) 또는 제2-2 곡률 반경(R2-2)은 도 1에 예시된 기존 제품에서의 0.0069 mm에 비해 크게 커진 값으로 0.055 mm에 이를 수 있다. 제2-1 곡률 반경(R2-1) 또는 제2-2 곡률 반경(R2-2)이 0.0069 mm인 경우에 스텐트(100)의 직경이 3.5 mm로 팽창 시에 라운드부(150)가 파절되었으나, 0.055 mm인 경우에는 직경이 4.1 mm로 팽창되어도 파절이 발생하지 않았다(도 5 참조).
0.055 mm인 제2-1 곡률 반경(R2-1) 또는 제2-2 곡률 반경(R2-2)은 0.1576 mm인 제1 곡률 반경(R1)에 비해 1/3 수준에 이르게 된다. 발명자는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전자가 후자의 1/4 내지 1/2 수준으로 결정되는 것이 스텐트(100)의 팽창 시에 라운드부(150)의 파절을 막는데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제1 볼록부(171)와 제2 볼록부(175)는 연결부(17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79)는 연장 방향(E)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79)의 구조로 인해, 라운드부(150)에 가해지는 응력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하나의 셀 20: 다른 셀
100: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110: 제1 스트럿
130: 제2 스트럿 150: 라운드부
170: 브릿지 171: 제1 볼록부
175: 제2 볼록부 179: 연결부
C: 원주 방향 D: 중심 방향
E: 연장 방향
100: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110: 제1 스트럿
130: 제2 스트럿 150: 라운드부
170: 브릿지 171: 제1 볼록부
175: 제2 볼록부 179: 연결부
C: 원주 방향 D: 중심 방향
E: 연장 방향
Claims (9)
-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되어 하나의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 및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하나의 셀에 인접한 다른 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은,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이 연이어 배치되는 연장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스트럿; 및 상기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2 스트럿의 연결 부분은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를 구성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에 연결되고, 제2-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다른 셀에 연결되고, 제2-2 곡률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또는 상기 제2-2 곡률 반경에 대해 2배 내지 4배에 이르는 값을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하나의 셀에서 상기 제1 스트럿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제1 스트럿에 연결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선 형상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되어 하나의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 및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하나의 셀에 인접한 다른 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은,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이 연이어 배치되는 연장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스트럿; 및 상기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2 스트럿의 연결 부분은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를 구성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에 연결되고, 제2-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다른 셀에 연결되고, 제2-2 곡률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및 상기 제2-2 곡률 반경 각각에 비해 큰 값을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스트럿 각각의 폭의 1/2인,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되어 하나의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 및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하나의 셀에 인접한 다른 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은,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이 연이어 배치되는 연장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스트럿; 및 상기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2 스트럿의 연결 부분은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를 구성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에 연결되고, 제2-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다른 셀에 연결되고, 제2-2 곡률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1 곡률 반경 및 상기 제2-2 곡률 반경 각각에 비해 큰 값을 갖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하나의 셀 및 상기 다른 셀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2개만 구비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적어도 하나는,
물결 무늬 형상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셀과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라운드부들은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지지재그 배열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한 쌍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마커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마커 설치부는,
상기 셀들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976A KR102253030B1 (ko) | 2019-10-25 | 2019-10-25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976A KR102253030B1 (ko) | 2019-10-25 | 2019-10-25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0048A KR20210050048A (ko) | 2021-05-07 |
KR102253030B1 true KR102253030B1 (ko) | 2021-05-18 |
Family
ID=7591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976A KR102253030B1 (ko) | 2019-10-25 | 2019-10-25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30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2668B1 (ko) * | 2022-12-07 | 2024-08-06 | 오스템카디오(주) | 스텐트 및 스텐트 제조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6203A (ja) | 2003-08-27 | 2005-03-17 | Nipro Corp | 均一に拡張する柔軟なステント |
US20100331961A1 (en) * | 2009-06-25 | 2010-12-30 | Nils Goetzen | Stent with improved stent design |
JP2011245001A (ja) | 2010-05-26 | 2011-12-08 | Terumo Corp | ステント |
US8449597B2 (en) | 1995-03-01 | 2013-05-28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Longitudinally flexible expandable stent |
US20140114434A1 (en) * | 2012-10-22 | 2014-04-24 | Orbusneich Medical, Inc. | Medical device for implantation into luminal structures |
-
2019
- 2019-10-25 KR KR1020190133976A patent/KR1022530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49597B2 (en) | 1995-03-01 | 2013-05-28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Longitudinally flexible expandable stent |
JP2005066203A (ja) | 2003-08-27 | 2005-03-17 | Nipro Corp | 均一に拡張する柔軟なステント |
US20100331961A1 (en) * | 2009-06-25 | 2010-12-30 | Nils Goetzen | Stent with improved stent design |
JP2011245001A (ja) | 2010-05-26 | 2011-12-08 | Terumo Corp | ステント |
US20140114434A1 (en) * | 2012-10-22 | 2014-04-24 | Orbusneich Medical, Inc. | Medical device for implantation into luminal struc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0048A (ko) | 2021-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52123B2 (en) | Micro structure stent configurations | |
AU773171B2 (en) | Stent with optimal strength and radiopacity characteristics | |
AU757936B2 (en) | Controlled detachment stents | |
US7794491B2 (en) | Apparatus for a stent having an expandable web structure and delivery system | |
US7887578B2 (en) | Stent having an expandable web structure | |
US2002001966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urved stent | |
US20030004566A1 (en) | Universal stent link design | |
US9782280B2 (en) | Optimal ratio of polar and bending moment of inertia for stent strut design | |
US20060085059A1 (en) | Stent having a bridge structure | |
EP2088963B1 (en) | Bifurcation stent design with over expansion capability | |
KR102253030B1 (ko)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
KR102172976B1 (ko) |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 |
US7691142B2 (en) | Stent | |
EP2881089A1 (en) | Stent for implantation into blood vessels | |
US8858616B2 (en) | Stent having a bridge structure | |
JP2024519104A (ja) | 自己拡張型ステントおよ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