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991B1 -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991B1
KR102252991B1 KR1020140102513A KR20140102513A KR102252991B1 KR 102252991 B1 KR102252991 B1 KR 102252991B1 KR 1020140102513 A KR1020140102513 A KR 1020140102513A KR 20140102513 A KR20140102513 A KR 20140102513A KR 102252991 B1 KR102252991 B1 KR 10225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nano
transmitting part
layer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9005A (en
Inventor
황경욱
유건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991B1/en
Priority to US14/551,978 priority patent/US9190563B2/en
Publication of KR2016001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와 상기 나노 코어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갖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과,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표면에 배치되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콘택 전극과,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며,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투광부와,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를 포함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each having a nano core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core, and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A contact electrod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the light-emitting structure, and ,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comprising a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nano-light-emitting structures It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Description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Nano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나노구조를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hree-dimensional nanostructure.

최근에는 새로운 반도체 발광소자 기술로서,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의 개발되고 있다.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이하, '나노 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라 함)는, 결정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비극성면 또는 반극성면에서 활성층을 얻을 수 있으므로, 분극에 의한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넓은 표면적을 통해 발광할 수 있으므로, 광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향상된 광효율을 보장하기 위해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는 외부 양자효율을 개선하여 광추출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a new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echnology,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nano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nano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ano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not only greatly improves crystallinity, but also can obtain an active layer on a non-polar or semi-polar surface, thereby reducing efficiency due to polariz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it can emit light through a large surface area, light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In order to ensure such improved light efficiency,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needs to further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improving external quantum efficiency.

당 기술분야에서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배열된 고유한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된 광추출 구조가 도입된 3차원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In the art, there is a need for a three-dimensional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 light extra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fit a uniqu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are arranged is intro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와 상기 나노 코어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갖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과,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표면에 배치되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콘택 전극과,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며,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투광부와,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를 포함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each having a nano core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core, and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A contact electrod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the light-emitting structure, and ,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comprising a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nano-light-emitting structures It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렌즈가 각각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further includes a plate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to cover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and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on the plate.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2 이상의 나노 발광구조물에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wo or mor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은 제1 결정면인 측면을 갖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 상에 위치하며 제1 결정면과 다른 제2 결정면인 표면을 갖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a main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that is a first crystal plane, and an upper end portion disposed on the main portion and having a surface that is a second crystal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crystal surface.

이 경우에, 상기 제1 투광부와 상기 제2 투광부의 계면은 상기 메인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portion.

상기 콘택 전극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is exposed.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계면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may have an inte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상기 제2 투광부 상에 배치되어 추가적인 렌즈 형상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굴절률과 다른 제3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3 투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to provide an additional lens shape,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third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second refractive index.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외부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외부접속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n external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ly an external voltage to the driving unit. can do.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을 다른 영역에 배치하고, 광추출면에 복수의 렌즈를 배열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노 발광구조물 사이에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물질을 충진하거나 비움(에어 충진)으로써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억제시켜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을 이루어진 렌즈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원하는 상부 방향으로의 광추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By arranging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different regions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lenses on the light extraction surf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a desired direction. By filling or emptying (air fill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light traveling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suppressed, thereby increas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lens structu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upper directio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oward the desired upper direc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광추출효율의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나노 발광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4는 렌즈의 종횡비와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른 광추출효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7a 내지 도7g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e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9a 및 도9b는 개구의 형상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10a 및 도10b는 개구의 형상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마스크의 측단면도이다.
도11a 및 도11b는 도8d에서 적용될 수 있는 열처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2a 내지 도12d는 도10a에 도시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나노 코어를 얻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플레이트 미채용)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16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부분 콘택전극 채용)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1은 부분 콘택전극 채용에 따른 광추출효율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2 내지 도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렌즈의 자발적 형성)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5 및 도2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무반사막 채용)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요철구조)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29 및 도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예를 나타낸다.
도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조명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헤드 램프의 예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for explaining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lens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5 is a plan view showing lens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lens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8A to 8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ajor processe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9A and 9B are plan views of mask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opening shapes.
10A and 10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mask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hape of an opening.
11A and 11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hat can be applied in FIG. 8D.
12A to 12D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obtaining a nano core using the mask shown in FIG. 10A.
13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plate).
16 to 2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ontact electrodes are employed).
21 is a graph showing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employing a partial contact electrode.
22 to 2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ontaneous formation of lenses).
25 and 2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ing an anti-reflective layer).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rrug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8 shows an example of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employ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nd 30 show examples of a backlight unit employ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shows an example of a lighting device employing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shows an example of a headlamp employing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Thes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different forms 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For example,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예(one example)"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 설명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ne exampl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mean the same embodiment, and is provided to emphasize and describe different unique features. However,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below do not exclude that they ar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even if a matter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unless a description contradicts or contradicts the matter in another embodi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제1 도전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12)과 그 위에 배치된 다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상기 베이스층(112)이 배치된 상면을 갖는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 base layer 112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15 disposed thereon. In addition,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ubstrate 111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base layer 112 is disposed.

상기 기판(111)의 상면에는 요철(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R)은 광추출효율을 개선하면서 성장되는 단결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111)은 절연성, 도전성 또는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11)은 사파이어, SiC, Si, MgAl2O4, MgO, LiAlO2, LiGaO2, GaN일 수 있다. An unevenness 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e irregularities R may improve the quality of a single crystal grown while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substrate 111 may be an insulating, conductive, or semiconductor substrate. For example, the substrate 111 may be sapphire, SiC, Si, MgAl 2 O 4 , MgO, LiAlO 2 , LiGaO 2 , or GaN.

상기 베이스층(112)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성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12)은 AlxInyGa1 -x- yN (0≤x<1, 0≤y<1, 0≤x+y<1)을 만족하는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으며, 특정 도전형 불순물로 도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층(112)은 Si와 같은 n형 불순물로 도프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12 may provide a growth surface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base layer 112 may be a nitride semiconductor satisfying Al x In y Ga 1 -x- y N (0≤x<1, 0≤y<1, 0≤x+y<1), and a specific conductivity It can be doped with type impurities. For example, the base layer 112 may be doped with n-type impurities such as Si.

상기 베이스층(112) 상에는 나노 발광구조물(115)(특히, 나노 코어(115a)) 성장을 위한 개구를 갖는 절연막(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112) 영역에 나노 코어(1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113)은 나노 코어(115a)를 성장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막(113)은 SiO2 또는 SiNx와 같은 절연물질일 수 있다. An insulating layer 113 having an opening for growing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especially, the nano core 115a)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112. A nano core 115a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base layer 112 exposed by the opening. The insulating layer 113 may be used as a mask for growing the nano core 115a.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13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O 2 or SiN x.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은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115a)와, 상기 나노 코어(115a)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11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 코어(115a)는 상기 베이스층(112)과 유사한 AlxInyGa1 -x- yN (0≤x<1, 0≤y<1, 0≤x+y<1)을 만족하는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코어(115a)는 n형 GaN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15b)은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화물 반도체일 경우, GaN/InGaN인 다중양자우물구조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활성층(115b)은 단일 양자우물(SQW)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은 p형 AlxInyGa1 -x-yN(0≤x<1, 0≤y<1, 0≤x+y<1)을 만족하는 결정이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has a nano core 115a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an active layer 115b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core 115a,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I can. The nano core 115a satisfies Al x In y Ga 1 -x- y N (0≤x<1, 0≤y<1, 0≤x+y<1) similar to the base layer 112 It may be a nitride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nano core 115a may be n-type GaN. The active layer 115b may have a multiple quantum well (MQW) structure in which a quantum well layer and a quantum barrier layer are alternately stack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itride semiconductor, it may have a multi-quantum well structure of GaN/InGaN. If necessary, the active layer 115b may have a single quantum well (SQW)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is a crystal satisfying p-type Al x In y Ga 1 -xy N (0≤x<1, 0≤y<1, 0≤x+y<1), and Accordingly,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본 실시예에 채용된 나노 발광구조물(115)은 육각기둥 구조를 갖는 메인부(M)와 상기 메인부(M) 상에 위치한 상단부(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M)는 동일한 결정면인 측면들을 가지며,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상단부(T)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측면들의 결정면과 다른 결정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상단부(T)는 육각 피라미드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portion M having a hexagonal column structure and an upper end T positioned on the main portion M. The main part (M)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has sides that are the same crystal plane, and the upper part (T)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has a crystal plan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 can. The upper end portion T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may have a hexagonal pyramid shape.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과 접속된 콘택 전극(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콘택 전극(116)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콘택 전극(116)은 나노 발광구조물 측(기판측과 반대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기 위해서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 또는 질화물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ZITO(Zinc-doped Indium Tin Oxide), ZIO(Zinc Indium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ZTO(Zinc Tin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ZO(Aluminium-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In4Sn3O12 및 Zn(1-x)MgxO(Zinc Magnesium Oxide, 0≤x≤1)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콘택 전극(116)은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act electrode 116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The contact electrode 116 employed in this embodimen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contact electrode 116 may be either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or a nitride layer in order to emit light toward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sid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side). For example, ITO (Indium Tin Oxide), ZITO (Zinc-doped Indium Tin Oxide), ZIO (Zinc Indium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ZTO (Zinc Tin Oxide), FTO (Fluorine-doped Tin Oxi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ZO (Aluminium-doped Zinc Oxide), GZO (Gallium-doped Zinc Oxide), In 4 Sn 3 O 12 and Zn (1-x) Mg x O (Zinc Magnesium Oxide, 0≤x≤1) I can. If necessary, the contact electrode 116 may include graphene.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제1 및 제2 전극(119a,11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9a)은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12)의 일부가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19b)은 상기 콘택 전극(116)이 연장되어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9a and 119b. The first electrode 119a may be disposed in a region where a portion of the base layer 112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is exposed.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19b may be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contact electrode 116 is extended and exposed.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상면에 형성된 광투과성 보호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투과성 보호층(117)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을 보호할 수 있는 페시베이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may serve as a passivation capable of protecting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본 실시예에 채용된 광투과성 보호층(117)은 나노 발광구조물(115)에 적합하게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employed in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suitable for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17)은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투광부(117a)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includes a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a second transmiss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It may include a miner (117b).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충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일부를 덮지 않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formed by filling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with a material having the first refractive index.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does not cover part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117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을 덮는 플레이트(P)와, 상기 플레이트(P) 상에 배열된 복수의 렌즈(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P)는 상기 복수의 렌즈(L)와 동일한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P)와 상기 렌즈(L)는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L)는 상기 플레이트(P)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to cover a part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may include a plate P covering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and a plurality of lenses L arranged on the plate P.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P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he same second refractive index as the plurality of lenses 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ate P and the lens 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For example, the lens L may have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plate P.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17) 상에 4개의 볼록한 렌즈(L)가 배열되며, 상기 렌즈(L)는 각각 여러 개의 나노 발광구조물(115)이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L)는 일정한 간격(d0)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four convex lenses L are arranged on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and each of the lenses L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several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are located. It can have a size. The lenses L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have a certain distance d 0.

본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성 보호층(117)은 상부 방향으로의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시킬수 있다.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extract light in the upper directio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넬 법칙(snell's law)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 영역으로 진행되는 빛은 전반사되는 입사각 범위가 커지므로, 진행되는 광량이 억제될 수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영역으로 진행되는 빛은 전반사되는 입사각 범위가 작아지므로, 진행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Snell's law, since light traveling to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ncreases an incident angle range for total reflection, the amount of light traveling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since light traveling to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has a small incidence angle range for total reflection, the amount of light traveling can be increased.

따라서, 단일한 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보호층(117a')을 채용한 형태(도3a참조)와 비교할 때에, 본 실시예(도3b 참조)에 채용된 광투과성 보호층(117)은 상부방향으로 추출되는 광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률이 작은 제1 투광부(117a)를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여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측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감소시킴으로써(A2→A2'), 굴절률이 큰 제2 투광부(117b)를 나노 발광구조물(115) 상부에 배치하여 상부로 진행되는 광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A1→A1'). 또한, 광방출면에 렌즈(L)를 배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광(A1")을 효과적으로 추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측방향으로의 광 진행을 억제하고 상부 방향으로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시킴으로써, 원하는 상부방향에서의 광추출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compared with the form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a' having a single refractive index is adopted (see Fig. 3A),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employed in this embodiment (see Fig. 3B) is upwardly It can great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to be extracted. That is, as shown in FIG. 3B, by arrang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in the space betwe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to reduce light travel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 A2→A2'),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may be disposed o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to great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that proceeds upward (A1→A1').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lens L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tract the light A1". In this way, light propag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is suppressed and light is By effectively extracting,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desired upper direction.

도3a에서 단일한 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보호층(117)이 제1 투광부(117a)와 같이, 저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2 투광부(117b)와 같이 고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측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이 많아지므로, 도3b의 구조에 비해서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상부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이 감소될 수 밖에 없다. In FIG. 3A, it is illustrated that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17 having a single refractive index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such as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but has a high refractive index like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It can be formed of a material. Even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light travel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ncreases, light travel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s inevitably reduced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FIG. 3B.

또한, 렌즈(L)의 배열을 이용하여 상부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L)의 형상과 배열을 이용하여 지향각을 조절하여 원하는 방사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tract light traveling in the upper direction by using the arrangement of the lenses L, and to implement a desired radiation pattern by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us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lenses L.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 투광부(117b)에 따른 효과를 살펴 보기 위해서, 렌즈(L)의 종횡비와 플레이트(P)의 두께(T0)에 따른 광추출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4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렌즈(L)의 종횡비는 도3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렌즈(L)의 반경(r) 대비 높이(h)로 정의하였다. 도4에 표시된 광추출효율은 도3a에 도시된 형태(저굴절률인 광투과성 보호층 채용)과 대비하여 개선된 값을 나타낸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employed in this embodiment, the change i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lens L and the thickness T 0 of the plate P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4. Here, the aspect ratio of the lens L is defined as the height h compared to the radius r of the lens L, as shown in FIG. 3B.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shown in FIG. 4 represents an improved value compared to the shape shown in FIG. 3A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is employed).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수준(예, 종횡비: 약 0.9 이하)까지는 렌즈(R)의 종횡비가 커질수록 광추출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정한 종횡비 조건에서 플레이트(P)의 두께(T0)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두께(T0)는 약 1300㎚이하이면서 종횡비는 약 0.5 이상인 구간에서 광추출효율은 약 7% 정도 개선될 수 있으며, 최대값(Max)으로 표시된 구간에서는 7% 이상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t was found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ends to increase as the aspect ratio of the lens R increases up to a certain level (eg, aspect ratio: about 0.9 or less). On the other hand, under constant aspect ratio conditions, the thickness (T 0 ) of the plate P showed a rather decreasing tendency. For example, in the sect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plate (T 0 ) is about 1300 nm or less and the aspect ratio is about 0.5 or mor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bout 7%, and in the section indicated by the maximum value (Max), it is improved by 7% or more. You can expect the effec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은 GaN(굴절률: 약 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투광부(117b)의 제2 굴절률(약 1.7∼ 약 3의 범위)은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굴절률과 유사한 범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하고, 그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투광부(117a)는 상기 제2 굴절률보다 낮은 제1 굴절률(약 1.5 이하)을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 굴절률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굴절률보다 작고,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상일 수 있다. 특정예에서, 제1 투광부(117a)는 다른 물질층이 충전되지 않은 에어(air)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may include GaN (refractive index: about 2.4). In this case, the second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about 1.7 to about 3)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disposed on the top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ange similar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and The disposed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bout 1.5 or less) lower than the second refractive index. In other words, the first refractive index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fractive index and the second refractive index may be 0.2 or more. In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air not filled with another material layer.

이와 같이,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제1 투광부(117a)와 제2 투광부(117b)를 구성할 물질의 굴절률을 선택할 수 있다.상기 제2 투광부(117b)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투광부(117a)의 굴절률에 따라 결정되나, 상기 제1 투광부(117a)의 굴절률층이 약 1.5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굴절률은 약 1.7 이상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트(P)뿐만 아니라 렌즈(L)도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The refractive index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but when the refractive index layer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is about 1.5 or les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about 1.7 or more. Also,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plate P but also the lens L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부 방향으로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제1 투광부(117a)보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굴절률과 더 유사하거나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TiO2(2.8), SiC(2.69), ZnO(2.1), ZrO2(2.23), ZnS(2.66), SiN(2.05), HfO2(1.95) 및 다이아몬드(2.44)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괄호안은 굴절률(@450㎚)). 특정 예에서, 나노 발광구조물(115)이 GaN(약 2.4)인 경우에, 1.9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일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upper directio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is more similar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tha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or more tha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t can have a high refractive index.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is TiO 2 (2.8), SiC (2.69), ZnO (2.1), ZrO 2 (2.23), ZnS (2.66), SiN (2.05), HfO 2 (1.95) And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diamond (2.44) (refractive index (@450nm) in parentheses). In a specific example, wh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s GaN (about 2.4), it may be 1.9 or more, preferably 2.0 or more.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굴절률을 이용한 다층구조와 함께 렌즈(L)를 도입함으로써 상부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L)의 형상과 배열을 이용하여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방사 패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 채용가능한 렌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the lens L together with a multilayer structure us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tract the light traveling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irectivity angle can be adjusted us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lens L. It can be adjusted, and the radiation patter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using this. To this end, the lens employable in this embodiment can be variously modified.

도5는 본 실시예에 채용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렌즈가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면에 배열된 형태를 도시한다. 5 shows a form in which lens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는 원형(L1), 타원형(L2)뿐만 아니라 다각형인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다각형인 렌즈는 사각형(L3), 평행사변형(L4), 육각형(L5)일 수 있다. 그 외에도 L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의 렌즈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lens may be a circular plane (L1), an ellipse (L2), as well as a polygonal plane. For example, such a polygonal lens may be a square (L3), a parallelogram (L4), a hexagon (L5). In addition, as shown in L6, it may be a lens having various shapes.

도6a 및 도6b는 본 실시예에 채용가능한 볼록한 렌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6a에 도시된 볼록 렌즈(L1)는 전체 표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6b에 도시된 볼록 렌즈(L2)는 상부 평면을 갖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즉, 도6b에 도시된 볼록 렌즈(L2)는 도6a에 도시된 볼록 렌즈의 상부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6A and 6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x lens employable in this embodiment. The convex lens L1 illustrated in FIG. 6A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entire surface has a constant curvature. Alternatively, the convex lens L2 shown in FIG. 6B may have a convex shape having an upper plane. That is, the convex lens L2 shown in FIG. 6B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x lens shown in FIG. 6A is cut off.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가능한 렌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렌즈가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NS)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나노 발광구조물에 대응되는 렌즈를 가질 수 있다(도14, 도17 등).
As described above, the lens employ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various shapes. Here, the lens is exemplified in a form in which the lens has a siz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ens corresponding to a singl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Figs. 14, 17, etc.). ).

도7a 내지 도7g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7A to 7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12) 상에 복수의 나노 코어(115a)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a plurality of nano cores 115a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112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상기 기판(111)은 요철(R)이 형성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12)은 상기 기판(11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12) 상에는 개구(O)를 갖는 절연막(113)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막(113)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층(112)의 노출된 영역에 원하는 나노 코어(115a)를 성장시킬 수 있다. The substrate 111 may have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R are formed. The base layer 1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An insulating film 113 having an opening O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12. A desired nano core 115a may be grown in the exposed area of the base layer 112 by using the insulating layer 113 as a mask.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인 성장을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 코어(115)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원하는 나노 코어(117)에 대응되는 개구를 갖는 몰드를 이용하여 나노 코어를 성장하고, 이어 몰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나노 코어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no-core 115 formed using selective growth has been described, but unlike this, a method of growing a nano-core using a mold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nano-core 117, and then removing the mold The desired nano core can be obtained.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나노 코어(115a)의 표면에 활성층(11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B, an active layer 115b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nano cores 115a.

이러한 공정을 통해서, 원하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15b)은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화물 반도체일 경우, GaN/InGaN인 다중양자우물구조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활성층(115b)은 단일 양자우물(SQW)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은 p형 AlxInyGa1 -x-yN(0≤x<1, 0≤y<1, 0≤x+y<1)을 만족하는 결정이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은 AlGaN 전자차단층과 GaN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a plurality of desired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15 may be formed. The active layer 115b may have a multiple quantum well (MQW) structure in which a quantum well layer and a quantum barrier layer are alternately stack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itride semiconductor, it may have a multi-quantum well structure of GaN/InGaN. If necessary, the active layer 115b may have a single quantum well (SQW)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is a crystal satisfying p-type Al x In y Ga 1 -xy N (0≤x<1, 0≤y<1, 0≤x+y<1), and Accordingly,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may include an AlGaN electron blocking layer and a GaN contact layer.

다음으로,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에 콘택 전극(116)을 형성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C, a contact electrode 116 may be formed on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상기 콘택 전극(116)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5c)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콘택 전극(116)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택 전극(116)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 또는 질화물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TO, ZITO, ZIO, GIO, ZTO, FTO, AZO, GZO,In4Sn3O12 및 Zn(1-x)MgxO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콘택 전극(116)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The contact electrode 116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c.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contact electrode 116 employed in this embodimen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contact electrode 116 may be either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or a nitride layer. For exampl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ITO, ZITO, ZIO, GIO, ZTO, FTO, AZO, GZO, In 4 Sn 3 O 12 and Zn (1-x) Mg x O. If necessary, the contact electrode 116 may include graphene. A space may exist between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15.

이어,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의 공간(S)이 충전되도록 제1 투광부(117a)를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D, a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may be formed to fill the space S betwe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SiO2(1.46)과 같은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CVD)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PVD)와 같은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의 공간에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는 물질과 다른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TEOS(TetraEthylOrthoSilane), BPSG(BoroPhospho Silicate Glass), CVD-SiO2, SOG(Spin-on Glass), SOD(Spin-on Delectric)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물질의 유동성을 이용하므로, 스핀 코팅 또는 리플로우 공정으로 충전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such as SiO 2 (1.46) may be used for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17a.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formed by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CVD) or a phys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PVD). Alternatively, a process different from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15 may be used. For example,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may use TEOS (TetraEthylOrthoSilane), BPSG (BoroPhospho Silicate Glass), CVD-SiO 2 , SOG (Spin-on Glass), SOD (Spin-on Delectric) materials. . In this case, since the fluidity of each material is used, the filling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by spin coating or reflow process.

한편, 상기 제1 투광부(117a)로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1.4∼1.7)을 갖고 작업성이 우수한 광투과성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투과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보다 낮은 굴절률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공성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실리콘을 사용할 경우에는 약 1.2 수준의 굴절률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a light-transmitting resi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1.4 to 1.7) and excellent workability may also be used as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For example, as the light-transmitting resin,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epoxy resin, silicone resin, polyethylene, and polycarbonate may be used.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17a may employ a porous structure in order to implement a lower refractive index. For example, when porous silicon is used,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2 can be achieved.

상기 제1 투광부(117a)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노출된 일부 영역은 후속 공정에 형성될 제2 투광부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17a)의 상면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로 정의되는 높이(H)의 50%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may have a thickness t1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 115 so that a part of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 115 is exposed. The exposed port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may be covered by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to be formed in a subsequent proces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may be located at a point higher than 50% of the height H defined as the main part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이어, 도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광부(117a) 상에 제2 투광부(117b)를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E,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may be form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a.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제1 투광부(117a) 상에서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노출된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두께(t2)는 원하는 렌즈의 높이 및 플레이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적어도 원하는 렌즈 높이와 플레이트 두께의 합과 같거나 그보다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to cover the exposed area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height of the lens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a desired lens height and a plate thickness.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과 직접 접촉하는 계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일부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 사이의 나머지 공간을 충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의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투광부(117b)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로부터 상기 제2 투광부(117b)를 통해서 상부로 더 많은 광을 추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에 위치한 부분이 소정의 두께(t3)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t3)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로 정의되는 높이(H)의 50% 이하일 수 있다. .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have an inte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As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to fill the remaining space betwe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15.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in a partial area of the main part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By arranging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in this way, more light may be extracted from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to the top through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such that a portion located in the main part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3. This thickness t3 may be 50% or less of the height H defined as the main part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CVD)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PVD)와 같은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제1 투광부(117a)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투광부(117a)의 굴절률에 따라 결정되나, 상기 제1 투광부(117a)의 굴절률층이 약 1.5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굴절률은 약 1.7 이상일 수 있다.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formed by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CVD) or a phys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PV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has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but when the refractive index layer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17a is about 1.5 or less,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 The refractive index of 117b) may be about 1.7 or more.

상부 방향으로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굴절률과 유사하거나 그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발광구조물(15)이 GaN(약 2.4)인 경우에, 1.9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일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upper directio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17b may have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For example, wh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 is GaN (about 2.4), it may be 1.9 or more, preferably 2.0 or more.

예를 들어, 상기 제2 투광부(117b)는 TiO2(2.8), SiC(2.69), ZnO(2.1), ZrO2(2.23), ZnS(2.66), SiN(2.05), HfO2(1.95) 및 다이아몬드(2.44)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괄호안은 굴절률(@450㎚)). 이러한 조건에서 단일한 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보호층에 비해 광추출효율을 5∼7% 정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투광부(제1 굴절률)가 2.0일 때보다 1.5 이하일 때에, 더 큰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is TiO 2 (2.8), SiC (2.69), ZnO (2.1), ZrO 2 (2.23), ZnS (2.66), SiN (2.05), HfO 2 (1.95) And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diamond (2.44) (refractive index (@450nm) in parentheses). Under these condition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bout 5-7% compared to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having a single refractive index.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first refractive index) is 1.5 or less than that of 2.0, a greater improvement effect can be expected.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 높이(H)에 대한 제2 투광부(117b)의 메인부를 덮는 부분의 두께(t3)의 비율을 약 50%까지 증가시킬 때에 광추출효율이 점차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투광부(117b)를 적정한 수준(메인부 높이 대비 50%이하)으로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15)의 메인부까지 연장시킴으로써 광추출효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3 of the portion covering the main portion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to the height H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is increased to about 50%,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gradually improved. have. That i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by extending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to the main port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15 at an appropriate level (5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main portion).

다음으로,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광방출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렌즈(L)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성 공정은 도7f 및 도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이용한 건식식각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Next, a process of forming a plurality of lenses L arranged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may be performed. The lens 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 dry etching process using a photoresist pattern PR, as shown in FIGS. 7F and 7G.

우선, 도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투광부(117b) 상에 원하는 렌즈형상을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투광부(117b)를 건식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형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은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1차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어 그 패턴을 열처리하여 리플로우(reflow)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7F, a photoresist pattern PR having a desired lens shape is formed on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an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 117b) can be subjected to dry etching. The lens-shaped photoresist pattern PR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primary photoresist pattern using a lithography process, and then heat-treating the pattern to reflow.

이러한 건식식각과정에서, 렌즈 형상인 포토레지스트 패턴(PR)과 상기 제2 투광부(117b)의 노출영역이 함께 식각되면서, 도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의 렌즈 형상이 상기 제2 투광부(117b)에 전사되어 원하는 렌즈(L)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dry etching process, as the photoresist pattern PR in the shape of a lens and the exposed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17b are etched together, as shown in FIG. 7G, the lens shape of the photoresist pattern PR It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17b to form a desired lens (L).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는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8a 내지 도8e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일 예로서, 마스크를 몰드구조로 이용하여 나노 코어를 충전시키는 방식으로 성장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본 공정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나노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공정을 대체하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8A to 8E are example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llustrating a process of growing a nanocore by using a mask as a mold structure. This process may be understood as a process replac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shown in FIGS. 7A and 7B.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31)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를 성장시켜 베이스층(132)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A, a base layer 132 may be provided by grow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on the substrate 131.

상기 베이스층(132)은 나노 발광구조물을 성장시키는 결정 성장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노 발광구조물(132)의 일단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층(132)은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반도체 단결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층(132)은 직접 성장하는 경우에, 상기 기판(131)은 결정성장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32) 성장 전에 상기 기판(131) 상에 AlxInyGa1 -x- yN(0≤x≤1, 0≤y≤1, 0≤x+y≤1)로 구성된 버퍼층을 포함해 다층막 구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층막 구조에는 상기 베이스층(132)으로부터 상기 버퍼층쪽으로의 전류 누설을 막고, 상기 베이스층(132)의 결정 품질 향상을 위한 언도핑 GaN층 및 AlGaN층 또는 이들 층의 조합으로 구성된 중간층들이 포함된다.
The base layer 132 may provide a crystal growth surface for growing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electrically connects one end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32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base layer 132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the base layer 132 is directly grown, the substrate 131 may be a substrate for crystal growth. A buffer layer composed of Al x In y Ga 1 -x- y N (0≤x≤1, 0≤y≤1, 0≤x+y≤1) on the substrate 131 before growth of the base layer 132 Including a multilayer structure may be additionally formed. The multilayer structure includes an undoped GaN layer and an AlGaN layer or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se layers to prevent current leakage from the base layer 132 toward the buffer layer and improve the crystal quality of the base layer 132. .

이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32) 상에 복수의 개구(O)를 가지며 식각정지층을 포함하는 마스크(133)를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8B, a mask 133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O and including an etch stop layer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32.

본 실시예에 채용된 마스크(133)는 상기 베이스층(132) 상에 형성된 제1 물질층(133a)과, 상기 제1 물질층(133a)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물질층(133a)의 식각률보다 큰 식각률을 갖는 제2 물질층(13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sk 133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aterial layer 133a formed on the base layer 132 and a first material layer 133a formed on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A second material layer 133b having an etch rate greater than the etch rate may be included.

상기 제1 물질층(133a)은 상기 식각 정지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물질층(133a)은 상기 제2 물질층(133b)의 식각조건에서 상기 제2 물질층(133b)의 식각률보다 낮은 식각률을 갖는다. 적어도 상기 제1 물질층(133a)은 전기적인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물질층(133b)도 절연 물질일 수 있다.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be provided as the etch stop layer. That is,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has an etching rat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under the etching condition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At least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is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and if necessary,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may also be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은 원하는 식각률 차이를 얻기 위해서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물질층(133a)은 SiN계 물질이며, 상기 제2 물질층(133b)은 SiO2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러한 식각률의 차이는 공극밀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물질층(133b)을 또는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 모두를 다공성 구조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 모두를 다공성 구조의 물질로 형성한 후 경우에는, 그 공극률의 차이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의 식각률의 차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층(133a)은 제1 공극률을 갖는 SiO2이며, 제2 물질층(133b)은 제1 물질층(133a)과 동일하며 제2 공극률을 갖는 SiO2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제1 공극률보다 큰 제2 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물질층(133a)이 식각되는 조건에서 상기 제1 물질층(133a)은 상기 제2 물질층(133b)의 식각률보다 낮은 식각률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o obtain a desired difference in etch rate. 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be a SiN-based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may be SiO 2. Alternatively, the difference in the etch rate may be implemented by using the pore density.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or both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orous structure.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orous structure, a difference in the etch r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is secured by adjusting the difference in porosity. can do.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is made of SiO 2 having a first porosity,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is made of SiO 2 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and has a second porosity, Here, it may have a second porosity greater than the first porosity. According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a is etched,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have an etch rat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의 총 두께는 원하는 나노 발광구조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133)가 적어도 나노 코어의 측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물질층(133a)에 의한 식각 정지 레벨은 상기 베이스층(132) 표면으로부터 상기 마스크(133)의 전체 높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을 순차적으로 베이스층(132) 상에 형성한 후에, 복수의 개구(O)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층(132)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O)의 형성은 상기 마스크층(133)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한 리소그래피 및 습식/건식 에칭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각 개구(O)의 사이즈는 원하는 나노 발광구조물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층(132)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O)는 폭(직경)의 600㎚이하, 나아가 50∼500㎚이하일 수 있다.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a desired height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mask 133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nano core. In this embodiment, the etch stop level by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height of the mask 133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32. After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ase layer 132, a plurality of openings O may be formed to expose the base layer 132 region. The formation of the opening (O) may be performed by forming a photoresist on the mask layer 133, and using the photoresist, and a wet/dry etching process using the same. The size of each opening O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esired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opening O exposing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32 may be 600 nm or less of the width (diameter), and further 50 to 500 nm or less.

상기 개구(O)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 에칭(deep-etching)공정을 이용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개구(O)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H)의 종횡비는 5:1 이상, 나아가 10:1 이상일 수 있다. The opening O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emiconductor process, and for example, an opening O having a high aspect ratio may be formed using a deep-etching process. The aspect ratio of the opening H may be 5:1 or more, and further 10:1 or more.

식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133a,133b)에서의 상기 개구(O)는 베이스층(132)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Although it may vary according to etching conditions, in general, the opening O 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33a and 133b may have a width that decreases toward the base layer 132.

일반적으로, 딥 에칭 공정은 건식식각 공정이 사용되며, 플라즈마로부터 발생되는 반응성 이온을 이용하거나 높은 진공에서 발생되는 이온빔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건식 식각은 습식 식각과 비교하여 미세구조를 기하학적 제한 없이 정밀한 가공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33)의 산화막 에칭에는 CF 계열 가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F4, C2F6, C3F8, C4F8, CHF3와 같은 가스에 O2 및 Ar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한 에천트가 이용될 수 있다.
In general, a dry etching process is used for the deep etching process, and reactive ions generated from plasma may be used or an ion beam generated in a high vacuum may be used. Compared with wet etching, such dry etching can perform precise processing of microstructures without geometric limitations. A CF-based gas may be used for etching the oxide layer of the mask 133. For example, an etchant in which at least one of O 2 and Ar is combined with a gas such as CF 4 , C 2 F 6 , C 3 F 8 , C 4 F 8 , and CHF 3 may be used.

이러한 개구(O)의 평면 형상과 배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의 경우에는, 다각형, 사각형, 타원형, 원형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8b에 도시된 마스크(133)는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개구(O)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 및/또는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b에 도시된 마스크(133')와 같이, 단면이 정육각형인 개구(O)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The planar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openings O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at shap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olygon, a square, an oval, and a circle. The mask 133 shown in FIG. 8B may have an array of openings O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9A, but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or different arrangements as necessary. For example, as in the mask 133' shown in FIG. 9B, an array of openings O having a regular hexagonal cross section may be provided.

도8b에 도시된 개구(O)는 직경(또는 폭)이 일정한 로드(rod) 구조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절한 에칭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도10a 및 도10b에 다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도10a의 경우에, 제1 및 제2 물질층(143a,143b)로 이루어진 마스크(143)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기둥구조의 개구(O)를 가지며, 도10b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물질층(143a',143b')으로 이루어진 마스크(143')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의 기둥구조의 개구(O)를 가질 수 있다.
The opening O shown in FIG. 8B is illustrated as a rod structure having a constant diameter (or wid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using an appropriate etching process. As such an example, masks having openings of different shapes are shown in Figs. 10A and 10B. In the case of Fig. 10A, the mask 143 made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43a and 143b has an opening O of a column structure having a shape that increases in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ward, and in the case of Fig. 10B, The mask 143 ′ made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43a ′ and 143b ′ may have an opening O having a columnar structure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top.

다음으로,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개구(O)가 충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층(132)의 노출된 영역에 제1 도전형 반도체를 성장시킴으로써 복수의 나노 코어(135a)를 형성하고, 이어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상단부(T)에 전류차단 중간층(134)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8C, a plurality of nano cores 135a are formed by grow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in the exposed area of the base layer 132 so that the plurality of openings O are filled. Then, a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is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T of the nano core 135a.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제1 도전형 반도체는 n형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층(132)의 제1 도전형 반도체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층(132)과 상기 나노 코어(135a)는 n형 G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of the nano core 135a may be an n-type nitride semiconductor, and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of the base layer 132. For example, the base layer 132 and the nano core 135a may be formed of n-type GaN.

상기 나노 코어(135a)를 구성하는 질화물 단결정은 MOCVD 또는 MBE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133)는 성장되는 질화물 단결정의 몰드로 작용하여 개구(O)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노 코어(135a)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질화물 단결정은 상기 마스크(133)에 의해 상기 개구(O)에 노출된 베이스층(132) 영역에 선택적으로 성장되면서, 상기 개구(O)를 충전하게 되고, 충전되는 질화물 단결정은 그 개구(O)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nitride single crystal constituting the nano core 135a may be formed using an MOCVD or MBE process, and the mask 133 acts as a mold of the nitride single crystal to be grown, thereby forming a nano co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O). (135a) can be provided. That is, the nitride single crystal is selectively grown in the region of the base layer 132 exposed to the opening O by the mask 133, filling the opening O, and the nitride single crystal to be filled is the opening ( It can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

상기 마스크(133)를 그대로 둔 채로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상단부(T) 표면에 전류차단 중간층(134)을 형성한다. 따라서, 별도의 마스크를 형성하는 공정 없이도 원하는 상단부에 전류차단 중간층(134)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A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T of the nano core 135a while leaving the mask 133 as it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on a desired upper end without a separate mask forming process.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34)은 고의적으로 도프되지 않거나 상기 나노 코어(135a)와 반대되는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프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코어(135a)가 n형 GaN일 경우에,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34)은 언도프 GaN 또는 Mg와 같은 p형 불순물이 도프된 GaN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일한 성장공정에서 불순물의 종류만을 전환함으로써 나노 코어(135a)와 전류차단 중간층(134)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차단 중간층(134)의 형성 공정과 몰드 공정을 결합하여 전체 공정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may be a semiconductor layer that is not intentionally doped or is doped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impurity opposite to the nano core 135a. For example, when the nanocore 135a is n-type GaN,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may be undoped GaN or GaN doped with p-type impurities such as Mg. In this case, the nano core 135a and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can be continuously formed by switching only the types of impurities in the same growth process. In this way, the entire process may be further simplified by combining the forming process of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and the molding process.

이어,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나노 코어(135a)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식각정지층인 제1 물질층(133a)까지 상기 마스크(133)를 제거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D, the mask 133 is removed up to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as the etch stop layer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nano cores 135a are partially expo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물질층(133b)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식각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물질층(133b)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물질층(133a)이 잔류시킬 수 있다. 상기 잔류한 제1 물질층(133a)은 후속 성장공정에서는 활성층(13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5c)이 상기 베이스층(132)과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y applying an etching process in which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can be selectively removed, only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may be removed and the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remain. . The remaining first material layer 133a may prevent the active layer 135b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35c from being connected to the base layer 132 in a subsequent growth process.

본 예와 같이,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몰드로 이용한 나노 발광구조물의 제조공정에서는,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열처리공정을 도입할 수 있다. As in this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using a mask having an opening as a mold, an additional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crystallinity.

먼저,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34)을 형성하기 전인 나노 코어(135a)의 성장 중간에 나노 코어의 결정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노 코어(135a)의 안정화 공정(열처리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원하는 나노 코어(135a)의 성장 중간지점(베이스층(132) 표면으로부터 약 0.2 ~ 1.8㎛ 높이)으로 성장될 때에, GaN의 III족 원소 공급원인 TMGa 소스 공급을 중단하고, NH3 분위기에서 약 5 초 ∼ 약 5분 동안을 성장 중 기판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약 1000 ~ 12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crystal quality of the nanocore during the growth of the nanocore 135a before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is formed, a stabilization process (heat treatment process) of the nanocore 135a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have. That is, when growing to the midpoint of the growth of the desired nanocore 135a (about 0.2 ~ 1.8㎛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32), the supply of the TMGa source, which is a supply source of the group III element of GaN, is stopped, and in the NH 3 atmospher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about 5 seconds to about 5 minutes at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during growth (about 1000 to 1200°C).

또한,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성장을 완료하고, 상기 마스크의 제2 물질층(133b)을 제거한 후에, 나노 코어(135a)의 표면을 일정한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나노 코어(135a)의 결정면을 반극성 또는 비극성 결정면과 같이 결정성장에 유리한 안정적인 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도11a 및 도11b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completing the growth of the nano-core 135a and removing the second material layer 133b of the mask, the surface of the nano-core 135a is heat-tre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to cut the crystal plane of the nano-core 135a. It can be converted into a stable surface that is advantageous for crystal growth, such as a polar or non-polar crystal surface. This process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도11a 및 도11b는 도8d의 공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열처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1A and 11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FIG. 8D.

도11a는 도8d에서 얻어진 나노 코어(135a)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코어(135a)는 개구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는 결정면을 갖는다. 개구의 형상에 따라 달리하지만, 대체로 이렇게 얻어진 나노 코어(135a)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결정면을 가지며, 후속 결정성장에 유리한 조건이 아닐 수 있다. Fig. 11A can be understood as the nanocore 135a obtained in Fig. 8D. The nano core 135a has a crystal plan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pening, in general, the surface of the nanocore 135a thus obtained has a relatively unstable crystal plane, and may not be a favorable condition for subsequent crystal growth.

본 실시예와 같이, 개구가 원기둥인 로드형상일 경우에,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코어(135a)의 측면은 특정한 결정면이 아닌 곡면을 가질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pening has a cylindrical rod shape, as shown in Fig. 11A, the side surface of the nano core 135a may have a curved surface other than a specific crystal surface.

이러한 나노 코어(135a)를 열처리하면 그 표면의 불안정한 결정이 재배열되면서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극성 또는 비극성과 같은 안정적인 결정면을 가질 수 있다. 열처리 조건은 600℃이상, 특정 예에서는 800∼1200℃에서 수초 내지 수십분(1초∼60분) 실행함으로써 원하는 안정된 결정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When the nano-core 135a is heat-treated, unstable crystals on the surface thereof are rearranged, and as shown in FIG. 11B, a stable crystal plane such as semi-polar or non-polar may be obtained.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can be converted to a desired stable crystal plane by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600°C or higher, and in a specific example, 800 to 1200°C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minutes (1 second to 60 minutes).

본 열처리 공정은 기판 온도가 600℃보다 낮으면 나노 코어의 결정 성장 및 재배열이 어려워 열처리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며, 1200℃보다 높으면 GaN 결정면으로부터 질소(N)가 증발하여 결정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1초보다 짧은 시간에서는 충분한 열처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수십분, 예를 들어 60분보다 긴 시간 동안의 열처리는 제조 공정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this heat treatment process, if the substrate temperature is lower than 600°C, crystal growth and rearrangement of the nano-core are difficult,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a heat treatment effect.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1200°C, nitrogen (N) evaporates from the GaN crystal plane,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crystal quality .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heat treatment effect for a time shorter than 1 second, and heat treatment for a time longer than several tens of minutes, for example, 60 minutes may lower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예를 들어, 상기 사파이어 기판의 C(0001)면(실리콘기판일 경우에 (111)면)상에 성장시킨 경우에, 도11a에 도시된 원기둥 형상인 나노 코어(135a)를 상술된 적정한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불안정한 결정면인 곡면(측면)은 안정적인 결정면인 비극성면(m면)을 갖는 육각형 결정 기둥(도11b의 135a')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면의 안정화 과정은 고온의 열처리과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grown on the C (0001) plane ((111) plane in the case of a silicon substrate) of the sapphire substrate, the cylindrical nano-core 135a shown in FIG. By heat treatment at, the curved surface (side surface), which is an unstable crystal surface, can be converted into a hexagonal crystal column (135a' in Fig. 11B) having a non-polar surface (m surface) that is a stable crystal surface. The stabilization process of such a crystal plane can be realized by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이러한 원리는 명확히 설명되기 어려우나, 고온에서 표면에 위치한 결정이 재배열되거나 챔버 내에서 소스가스가 잔류하는 경우에 이러한 잔류 소스가스가 증착되어 안정적인 결정면을 갖도록 부분적인 재성장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rinciple is difficult to clearly explain,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partial regrowth proceeds to have a stable crystal plane by depositing such residual source gas when crystals located on the surface are rearranged at high temperatures or when source gas remains in the chamber.

특히, 재성장 관점에서 설명하면, 챔버 내에서 소스 가스가 잔류한 분위기에서 열처리 공정이 수행되거나 소량의 소스가스를 의도적으로 공급하는 조건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CVD 챔버의 경우에, TMGa과 NH3가 잔류하고, 이러한 잔류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나노 코어의 표면에 소스가스가 반응하여 안정적인 결정면을 갖도록 부분적인 재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성장으로 인하여, 열처리된 나노 코어(135a')의 폭이 열처리 전의 나노 코어(135a)의 폭보다 다소 커질 수 있다(도11a 및 도11b 참조). In particular, in terms of regrowth,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n atmosphere in which the source gas remains in the chamber, or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intentionally supplying a small amount of source ga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in the case of the MOCVD chamber, TMGa and NH 3 remain, and by heat treatment in such a residual atmosphere, the source gas reacts on the surface of the nanocore and partial regrowth to have a stable crystal plane. Can be done. Due to this regrowth, the width of the heat-treated nano-core 135a'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ano-core 135a before the heat treatment (see FIGS. 11A and 11B).

이와 같이,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나노 코어의 결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열처리 공정을 통해 마스크 제거 후 나노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비균일성(예, 결함(defect)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내부 결정의 재배열을 통해서 결정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은 마스크를 제거한 후 챔버 안에서 나노 코어의 성장공정과 유사한 조건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처리 온도(예, 기판 온도)는 800∼120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600℃ 이상의 열처리공정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introducing an additional heat treatment process, it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rystallinity of the nanocore. That is, through such a heat treatment process, non-uniformities (eg, defects, etc.)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nano-core after removing the mask can be removed, and stability of the crystal can be greatly improved through rearrangement of the internal crystals. . This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e growth process of the nano core in the chamber after removing the mask. For exampl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eg, the substrate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between 800 to 1200° C., but a similar effect can be expected in a heat treatment process of 600° C. or higher.

이어,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나노 코어(135a')의 표면에 활성층(13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5c)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E, an active layer 135b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35c are sequentially grown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nanocores 135a'.

이러한 공정을 통해서, 나노 발광구조물(135)은 제1 도전형 반도체가 나노 코어(135a')와, 나노 코어(135a')를 감싸는 활성층(13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5b)으로 이루어진 쉘층을 구비한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35 is composed of a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nano-core (135a'), an active layer (135b) surrounding the nano-core (135a') and a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35b). It may have a core-shell structure including a shell layer.

상기 나노 코어(135a')는 그 측면과 다른 결정면을 갖는 상단부를 포함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형성된 활성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부분(Ⅱ)은, 측면에 형성된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부분(Ⅰ)과 다른 조성 및/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누설전류 및 발광파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34)이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전류차단 중간층(134)의 선택적인 배치로 인해,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측면에 형성된 활성층 영역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정상적으로 보장하면서,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상단부에 형성된 활성층 영역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34)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The nano-core 135a' includes an upper end having a crystal plane different from its side surfa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active layer formed on the upper end and the portion (II)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include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side surface. It may have a composition and/or thick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rtion (I) of the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eakage current and emission wavelength caused by this,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nano core 135a'. Due to the selective arrangement of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the active layer reg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nano core 135a ′ while ensuring the flow of current normally through the active layer reg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nano core 135a ′. The flow of current through may be blocked by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이로써, 상기 나노 코어(135a')의 상단부에 집중되는 누설전류를 억제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원하는 발광파장을 정확히 설계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by suppressing leakage current concentrated on the upper end of the nano core 135a', and to accurately design a desired emission wavelength.

상술된 실시형태에 채용된 마스크는 2개의 물질층으로 구성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 이상의 물질층을 채용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mask employ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exemplified a form composed of two material lay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employing three or more material layers.

예를 들어, 베이스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물질층을 갖는 마스크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물질층은 식각 정지층으로서, 상기 제1 및 제3 물질층과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물질층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ask having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base layer,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an etch stop layer and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third material layers. If necessary, the first and third material layers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제3 물질층의 식각조건에서 적어도 상기 제2 물질층은 제3 물질층의 식각률보다 낮은 식각률을 가지므로, 식각정지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1 물질층은 전기적인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또는 제3 물질층도 절연 물질일 수 있다.
Since at least the second material layer has an etch rate lower than that of the third material layer under the etching condition of the third material layer, it may serve as an etch stop layer. At least the first material layer may be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and if necessary, the second or third material layer may also be an insulation material.

도12a 내지 도12d는 도10a에 도시된 마스크(143)를 이용하여 나노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주요공정별 단면도이다. 12A to 12D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ach major process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using the mask 143 shown in FIG. 10A.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43)를 이용하여 베이스층(142) 상에 나노 코어(145a)를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42)은 기판(1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43)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의 개구를 갖는다. 상기 나노 코어(145a)는 상기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A, a nano core 145a may be grown on the base layer 142 by using the mask 143. The base layer 142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41. The mask 143 has an opening having a width that becomes narrower downward. The nano core 145a may be grow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상기 나노 코어(145a)의 결정 품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성장 중 1회 이상의 열처리 공정을 도입할 수 있다. 특히, 성장 중 나노 코어(145a)의 상단 표면이 육각 피라미드의 결정면으로 재배열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정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후속 성장되는 결정의 높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rystal quality of the nano core 145a, one or more heat treatment processes may be introduced during growth. In particular, by rearranging the top surface of the nanocore 145a into a crystal plane of a hexagonal pyramid during growth, a more stable crystal structure can be obtained, and high quality of crystals to be grown afterwards can be ensured.

이러한 열처리 공정은 앞서 설명된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편의를 위해서 나노 코어(145a)의 성장온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NH3 분위기에서 상기 나노 코어(145a)의 성장 압력과 온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압력/온도를 유지하면서 TMGa와 같은 금속 소스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공정은 수 초 내지 수십 분(예, 5초∼30분)동안에 지속될 수 있으나, 약 10초 ∼ 약 60초의 지속시간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growth temperature of the nano core 145a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In addition, it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in which a metal source such as TMGa is stopped while maintaining a pressure/temperature equal to or similar to the growth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nano core 145a in an NH 3 atmosphere. This heat treatment process may last for several seconds to tens of minutes (eg, 5 seconds to 30 minutes), but a sufficient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ith a duration of about 10 seconds to about 60 seconds.

이와 같이, 나노 코어(145a)의 성장과정에서 도입되는 열처리공정은 나노 코어(145a)를 빠른 속도로 성장될 때에 야기되는 결정성의 퇴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빠른 결정 성장과 함께 우수한 결정품질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heat treatment proces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growing the nano core 145a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crystallinity caused when the nano core 145a is grown at a high speed, and thus, excellent crystal quality together with rapid crystal growth. I can plan.

이러한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 구간의 시간과 횟수는 최종 나노 코어의 높이와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의 폭이 300∼400㎚이고, 개구의 높이(마스크 두께)가 약 2.0㎛인 경우에, 중간지점인 약 1.0㎛에서 약 10 초 ∼ 약 60 초의 안정화 시간을 삽입하여 원하는 고품질의 코어를 성장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안정화 공정은 코어 성장 조건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The time and frequency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section for stabiliza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diameter of the final nano core. For example, if the width of the opening is 300 to 400 nm and the height (mask thickness) of the opening is about 2.0 μm, a stabilization time of about 10 seconds to about 60 seconds is inserted at the midpoint of about 1.0 μm to provide the desired high quality. Can grow its core. Of course, this stabilization proces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ore growth conditions.

이어,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코어(145a)의 상단에 전류차단 중간층(144)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2B, a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nano core 145a.

상기 나노 코어(145a)를 원하는 높이로 형성한 후에, 상기 마스크(143)를 그대로 둔 채로 상기 나노 코어(145a)의 상단 표면에 전류차단 중간층(14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143)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마스크를 형성하는 공정 없이, 나노 코어(145a)의 원하는 영역(상단의 표면)에 전류차단 중간층(144)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nano-core 145a to a desired height, a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ano-core 145a while leaving the mask 143 as it is. In this way, by using the mask 143 as it is,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can be easily formed in a desired region (top surface) of the nano core 145a without a separate mask forming process.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44)은 고의적으로 도프되지 않거나 상기 나노 코어(145a)와 반대되는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프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코어(145a)가 n형 GaN일 경우에, 상기 전류차단 중간층(144)은 언도프 GaN 또는 p형 불순물인 Mg를 도프한 GaN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일한 성장공정에서 불순물의 종류만을 전환함으로써 나노 코어(145a)와 전류차단 중간층(144)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GaN 나노 코어의 성장과 동일한 조건에서 Si 도핑을 중지하고 Mg을 주입하여 약 1분 정도 성장시킬 경우 약 200㎚ ∼ 약 300㎚의 두께를 가지는 전류차단 중간층(14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차단 중간층(144)은 수 ㎂ 이상의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은 몰드방식 공정에서는 전류차단 중간층(144)의 도입공정이 간소화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may be a semiconductor layer that is not intentionally doped or is doped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impurity opposite to the nano core 145a. For example, when the nanocore 145a is n-type GaN,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may be undoped GaN or GaN doped with Mg, which is a p-type impurity. In this case, the nano core 145a and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can be continuously formed by switching only the types of impurities in the same growth process. For example, if Si doping is stopp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growth of the n-type GaN nanocore, and Mg is injected and grown for about 1 minute,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0 nm to about 300 nm is formed.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can effectively block a leakage current of several ㎂ or more. In this way, in the mold method proces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44 may be simplified.

이어, 도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나노 코어(145a)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식각정지층인 제1 물질층(143a)까지 상기 마스크(143)를 제거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2C, the mask 143 is removed up to the first material layer 143a, which is the etch stop layer, so tha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nano cores 145a are expo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물질층(143b)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식각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물질층(143b)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물질층(143a)이 잔류시킬 수 있다. 상기 잔류한 제1 물질층(143a)은 후속 성장공정에서는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상기 베이스층(142)과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y applying an etching process in which the second material layer 143b can be selectively removed, only the second material layer 143b may be removed and the first material layer 143a may remain. . The remaining first material layer 143a may prevent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from being connected to the base layer 142 in a subsequent growth process.

본 실시예와 같이,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몰드로 이용한 나노 발광구조물의 제조공정에서,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열처리공정을 도입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using the mask having an opening as a mold, an additional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introduced to improve crystallinity.

상기 마스크의 제2 물질층(143b)을 제거한 후에, 나노 코어(145a)의 표면을 일정한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나노 코어(145a)의 불안정한 결정면을 안정적인 결정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도11a 및 도11b 참조).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나노 코어(145a)가 경사진 측벽을 갖는 개구에서 성장되므로, 그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진 측벽을 갖는 형태를 가졌으나, 도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공정 후의 나노 코어(145a')는 결정의 재배열과 함께 재성장이 일어나서 거의 균일한 직경(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성장된 직후의 나노 코어(145a)의 상단도 불완전한 육각 피리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열처리 공정 후의 나노 코어(145a')는 균일한 표면을 갖는 육각 피라미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제거 후에 불균일한 폭을 갖던 나노 코어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서 균일한 폭을 갖는 육각 피라미드 기둥 구조로 재성장(및 재배열)될 수 있다.
After removing the second material layer 143b of the mask, the surface of the nanocore 145a is heat-tre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to convert the unstable crystal plane of the nanocore 145a into a stable crystal plane (see FIGS. 11A and 11B). ). In particular, a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ano core 145a is grown in an opening having an inclined sidewall, it has a shape having an inclined sidewall corresponding to the shape, but as shown in FIG. 12D, after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nano-core 145a' may have a substantially uniform diameter (or width) due to regrowth along with rearrangement of crystals.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nanocore 145a immediately after growth may also have an incomplete hexagonal pyrimide shape, but the nanocore 145a' after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changed into a hexagonal pyramid shape having a uniform surface. In this way, after removing the mask, the nanocore having a non-uniform width may be regrown (and rearranged) into a hexagonal pyramidal column structure having a uniform width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공정에 의해 얻어진 나노 발광구조물은 도7b 내지 도7g에 도시된, 셀구조 형성, 콘택전극 형성, 광투과성 보호층 형성 및 렌즈 형성공정을 통해서 원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채용한 광투과성 보호층(특히, 제2 투광부)는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13 내지 도18 및 도20 내지 도25에 걸쳐서 설명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obtained by this process provides a desire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through the processes of forming a cell structure, forming a contact electrode, forming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a lens as shown in FIGS. 7B to 7G. In addition,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particularl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employing a le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Various such embodiments are described throughout FIGS. 13-18 and 20-25.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는, 요철(R)을 갖는 기판(151)과 상기 기판(151) 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52)과 그 위에 배치된 다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3 is formed on a substrate 151 having an unevenness (R) and a base layer 152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disposed thereon.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55.

절연막(153)의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152) 영역에 나노 코어(15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은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155a)와, 상기 나노 코어(155a)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15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5c)을 가질 수 있다. The nano core 155a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base layer 152 exposed by the opening of the insulating layer 153.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has a nano core 155a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an active layer 155b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core 155a,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55c. I can.

콘택 전극(156)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5c)과 접속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콘택 전극(156)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5c)의 거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electrode 156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to connect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55c. The contact electrode 156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n almost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55c.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57)은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투광부(157a)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15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57a)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며, 상기 제2 투광부(157b)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may include a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57a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a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57b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I ca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57a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57b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I can.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 투광부(157b)는 플레이트 없이 렌즈(L) 자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는 플레이트가 아니라 직접 렌즈(R)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러한 렌즈(L)는 도7e 및 도7g에서 설명된 공정과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건식식각에 의해 형성하되, 제2 투광부의 두께(t2)를 상대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본 구조와 같이 플레이트가 없는 렌즈 형상을 얻을 수 있다.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57b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the lens L itself without a plate.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55 may be directly covered by the lens R instead of a plate. Such a lens (L) is formed by dry etching using a photoresist pattern, as in the process described in FIGS. 7E and 7G, but by making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relatively thin, there is no plate like this structure. A lens shape can be obtained.

도1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광투과성 보호층(15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57')은 각각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는 복수의 렌즈(L)를 제공하는 제2 투광부(157b')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를 덮으면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 투광부(157b')도 상기 제1 투광부(157a)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므로, 나노 발광구조물(155)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제2 투광부(157b')를 통해서 더 효과적으로 추출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s shown.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 includes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57b ′ providing a plurality of lenses 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L may have a convex shape whil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Since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57b' employed in this embodiment also has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57a, light generated from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57b. ') can be extracted more effectively.

도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광투과성 보호층(15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57")은 도13과 유사하게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는 렌즈(L)를 제공하지만, 상기 렌즈는 제2 투광부(157b")와 함께, 추가적인 제3 투광부(157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57b")는 도6a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투광부(157c)는 상기 제2 투광부(157b")의 평탄한 상면에 배치되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및 제3 투광부(157b",157c)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2개의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투광부(157b")는 상기 제1 투광부(157a)의 굴절률보다 크지만, 상기 제3 투광부(157c)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15,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s shown. Similar to FIG. 13,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Although the lens L is provided, the lens may include an additional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57c together with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57b".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57b" is shown in Fig. 6A.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57c is disposed on a flat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57b" to have a convex shape. The second and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s 157b" and 157c" May be composed of two light-transmitt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or example,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57b" may have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57a, but less than that of the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157c.

이러한 렌즈(L)는 2개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물질층을 적층한 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건식식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건식식각공정은 도7e 및 도7g에서 설명된 공정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The lens L can be obtained by laminating two layers of light-transmitting material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n dry etching using a photoresist pattern. This dry etching process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processes described in FIGS. 7E and 7G.

도16 내지 도18은 콘택 전극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광추출효율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킨 예를 나타낸다. 16 to 18 show examples of additionally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a contact electrode.

도16을 참조하면, 도13에 도시된 광투과성 보호층(157)과 유사하게, 광투과성 보호층(167)은 제1 투광부(167a)와 상기 제1 투광부(167a)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을 덮는 렌즈(L)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167b)를 포함한다. 하지만,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콘택 전극(166)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단부(T)와 그와 연결된 측면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similar to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57 shown in FIG. 13,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67 is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a a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a. And a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67b made of a lens L covering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However,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contact electrode 166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upper end T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and a partial region of the side connected thereto.

상기 콘택 전극(166)은 ITO와 같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콘택 전극(16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광추출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Even if the contact electrode 166 is ma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light loss may occu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ontact electrode 166,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투광부(167b)에 의해 덮여지는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콘택 전극(166)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고굴절률층인 제2 투광부(167b)를 진입할 수 있으므로, 콘택 전극(166)에 의해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콘택 전극의 부분적 제거에 의한 광추출효율의 개선효과는 도2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covered b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67b does not pass through the contact electrode 166, but directl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67b, which is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Can enter,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loss by the contact electrode 166.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partially removing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도21은 콘택 전극이 전면에 증착된 형태(E1)와 콘택 전극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형태(E2)의 광추출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FIG. 21 is a graph compar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 form E1 in which the contact electrode i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E2) and a form in which the contact electrode is partially removed (E2).

구체적으로, 도21에 도시된 그래프는 제1 투광부를 SiO2(굴절률:1.46)로 형성한 동일한 조건에서, 제2 투광부의 굴절률(n)을 증가시킬 때에 광추출효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준값(=100%)은 제1 및 제2 투광부를 동일하게 SiO2로 형성한 형태에서 측정된 광추출효율을 나타낸다.Specifically, the graph shown in FIG. 21 shows the change i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hen increasing the refractive index n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under the same condition in which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is formed of SiO 2 (refractive index: 1.46). Here, the reference value (=100%) represent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easured in the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are formed of SiO 2 in the same manner.

도21을 참조하면, 콘택 전극이 전면 증착된 경우(E1)에는 최대 8% 정도 광추출효율이 개선된데 반하여 제2 투광부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콘택 전극을 제거한 경우(E2)에는 광추출효율이 약 10% ∼ 약 12% 수준(n이 1.8∼2.2범위)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when the contact electrode is entirely deposited (E1),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up to 8%, whereas when the contact electrode is removed from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E2),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t can be seen that this improved to about 10% to about 12% (n is in the range of 1.8 to 2.2).

한편, 도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투광부(167b)에 의해 메인부를 덮는 부분(t3)을 적정한 수준(메인부 높이 대비 50% 이하)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광추출효율을 추가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portion t3 covering the main part by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67b is increased to an appropriate level (5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main part). By doing so,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러한 콘택 전극의 선택적인 제거는 콘택 전극을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전체 표면을 덮도록 증착하고,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 사이에 제1 투광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제1 투광부와 함께 상기 콘택 전극을 에치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치백 과정에 의해, 상기 제1 투광부(167a)와 상기 콘택 전극(166)은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레벨 위에 배치된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은 노출될 수 있으며, 이어 제2 투광부(167b)를 형성함으로써 도16에 도시된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In the selective removal of the contact electrode, the contact electrode is deposit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and after form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between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together with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It can be obtained by etching back the contact electrode. Through this etch-back process,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67a and the contact electrode 166 may have the same level, and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disposed on the level may be exposed, Subsequently, the structure shown in FIG. 16 can be obtained by forming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b.

도17을 참조하면, 도14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한 광투과성 보호층(16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67')은 각각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는 복수의 렌즈(L)를 제공하는 제2 투광부(167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 투광부(167b')에 의해 덮여지는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콘택 전극(166)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고굴절률층인 제2 투광부(167b')를 진입할 수 있으므로, 콘택 전극(166)에 의해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67'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4 is shown.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67 ′ includes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b ′ providing a plurality of lenses 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light emitte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covered by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67b' does not pass through the contact electrode 166, but is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layer, which is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Since the light unit 167b' can enter, light loss can be prevented by the contact electrode 166.

도18을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광투과성 보호층(16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67")의 제2 투광부(167b")는 플레이트(P)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가지며, 각각의 렌즈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 투광부(167b")에 의해 덮여지는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콘택 전극(166)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고굴절률층인 제2 투광부(167b")를 진입할 수 있으므로, 콘택 전극(166)에 의해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67"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shown.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b" of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67" is a plate P. ) 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plate, and each lens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Also in this embodiment, covered b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67b"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losing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can directly enter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b", which is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tact electrode 166, the contact electrode 166 Thus, optical loss can be prevented.

부분 제거된 콘택 전극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는 부분 제거 공정을 달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 투광층과 콘택 전극을 함께 에치백하여 상기 콘택 전극의 상부 영역을 상기 제1 투광층과 거의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제1 투광층의 형성 전에 콘택 전극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투광층은 다른 레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19에 도시되어 있다. The partially removed contact electrode may have various shapes. These various forms can be obtained by varying the partial removal process. For example,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and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etched back together to partially remove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ct electrode so as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vel as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partially removed before the formation of, and in this case,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level.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19.

도19를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콘택 전극(166')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이 노출되지만,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콘택 전극(166')과 제1 투광부(167a)가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 전극(166')은 제1 투광층(167a)의 형성 높이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1 투광부(167a)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콘택 전극(166')을 부분 제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투광층의 형성높이를 부분 제거된 콘택 전극의 레벨보다 낮게 형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9,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contact electrode 166 ′ is partially removed to expose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but unlike the form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contact electrode 166' a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67a are illustrated in different levels. That is, as shown in FIG. 19, the contact electrode 166 ′ may have a level lower tha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167a. This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partially removing the contact electrode 166 ′ before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67a is formed. In this proces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evel of the partially removed contact electrode.

또한, 투광층 구조와 형성방법에 따라, 부분 제거된 콘택 전극은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층의 일부를 콘택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적용하고, 나머지의 투광층을 콘택 전극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도20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contact electrode, the partially removed contact electrode may have various arrangements. For example, a part of the light-transmitting layer may be applied before forming the contact electrode, and the remaining light-transmit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electrode. This example is shown in Fig. 20.

도20을 참조하면, 도19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 투광부(167a)가 서로 다른 레벨을 갖도록 콘택 전극(176)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구조를 갖지만,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콘택 전극(176)이 일부 투광층(제1 투광층(197a)) 상에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제1 투광층(197a)이 형성된 후에 상기 콘택 전극(176)은 형성되어 상기 콘택 전극(176)의 상부영역을 제거하는 부분 제거공정이 수행되며, 부분 제거된 콘택 전극(176) 상에 렌즈를 갖는 제2 투광층(197b)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투광층(197b)을 형성하기 전에 추가적인 투광층(197c)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투광층(197c)과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이 접촉하는 면적과 높이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층(197a)의 형성 높이, 콘택 전극(176)의 제거 면적 등과 같은 요소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similar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19, the contact electrode 176 is partially removed so that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67a has different levels. Alternatively, the contact electrode 176 has a shape formed on a part of the light-transmitting layer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197a). After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197a is formed, the contact electrode 176 is formed to perform a partial removal process of removing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ct electrode 176, and a lens is placed on the partially removed contact electrode 176.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layer 197b may be applied. In this embodiment, an additional light-transmitting layer 197c may be introduced before forming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layer 197b. An area and a height in contact between the additional light-transmitting layer 197c and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For example, it may be design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factors such as the formation height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197a and the removal area of the contact electrode 176.

또한, 추가적인 투광층(197c)의 굴절률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층(197a)의 굴절률과 제2 투광층(197b)의 굴절률 사이의 중간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투광층(197a)의 굴절률과 거의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ditional light transmitting layer 197c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cessary. For example, it may have an intermediat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layer 197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layer 197b. I can.

도22 내지 도24는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가능한 렌즈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22 to 24 show various examples of lenses that can be formed by a deposition process.

도22를 참조하면,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 사이에 충전된 제1 투광부(177a)와 상기 제1 투광부(177a) 상에 배치되며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을 덮는 제2 투광부(177b)를 포함하는 광투과성 보호층(17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77b)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75)의 상부 영역과 상기 제1 투광부(177a) 표면에 따라 고굴절률인 광투광성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77a a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77a filled between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s 155 are disposed so that the upper area of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 155 is exposed,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77 including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77b covering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is show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may be obtained by depositing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long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75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 상부영역은 제1 투광부(177a)의 표면보다 높은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2 투광부(177b)를 위한 물질을 거의 일정한 두께로 증착될 때에, 상기 제2 투광부(177b)는 그 돌출된 구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볼록한 렌즈(L1)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투광부(177b)는 상기 제1 투광부(177a)의 표면에 위치한 플레이트(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제2 투광부(177b)는 완전한 곡면을 갖지는 않으나, 돌출된 나노 발광구조물의 상단에 대응되는 볼록한 구조를 가지므로 렌즈와 유사한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리소그래피 및 에치백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더욱 간소화된 공정으로 원하는 렌즈(L1)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has a protruding structure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a material for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is deposited to a substantially constant thickness. When configure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77b may have a convex lens L1 structu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may include a plate P1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thus obtained does not have a complete curved surface, but has a convex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protruding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so it can function similar to a lens, and additional lithography and etch-back processes are not required. Therefore, a desired lens L1 can be obtained through a more simplified process.

도23을 참조하면, 제1 투광부(177a)와 함께, 콘택 전극(166")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에 접하는 제2 투광부(177b')와, 추가적인 제3 투광부(177c)를 구비한 광투과성 보호층(177')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3, together with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a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in contact with the upper area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from which the contact electrode 166" is partially removed, and an additional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77' having three light-transmitting portions 177c is shown.

상기 콘택 전극(166")은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이 노출되지만,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콘택 전극(166")과 제1 투광부(177a)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제1 투광부(177a)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콘택 전극(166")의 상부 영역을 제거하거나, 상기 제1 투광부(176a) 형성 후에 상기 콘택 전극(166")을 상기 제1 투광부(176a)와 함께 부분 제거하되, 에칭 조건이 상기 콘택 전극(166")의 식각률보다 상기 제1 투광부(176a)의 식각률이 높을 때에 얻어질 수 있는 형태이다. Although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is exposed, the contact electrode 166" may have a higher level than the contact electrode 166" a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In this form,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ct electrode 166" is removed before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77a is formed, or the contact electrode 166" is formed after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76a is forme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6a is partially removed, but the etching condi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etching rat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6a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act electrode 166".

상기 제3 투광부(177c)는 제2 투광부(177b') 상에 배치되며, 추가적인 렌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부(177a)의 굴절률은 적어도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굴절률보다 작으며, 상기 제2 투광부(177b)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투광부(177a)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투광부(177c)의 굴절률은 상기 제2 투광부(177b)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77c is disposed on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77b ′, and may have an additional lens structu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may be at least less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may be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77a.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77c may have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77b.

상기 제2 투광부(177b)의 렌즈(L1)는 개별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데 반하여, 상기 제3 투광부(177c)의 렌즈(L2)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렌즈 구조(L1,L2)는 다양한 광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투광부(177c)는 렌즈(L2)를 연결하는 플레이트(P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투광부(177c)는 도7f 및 도7g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L1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77b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ndividual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whereas the lens L2 of the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177c is a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155 It can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se complex lens structures L1 and L2 can provide various optical paths.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77c may have a plate P2 connecting the lens L2.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 177c may be formed by the process shown in FIGS. 7F and 7G.

도24를 참조하면, 도23에 도시된 예와 유사한 제1 및 제2 투광부(177a,177b')를 구비하되, 제3 투광부(177c')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개별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대한 렌즈로 구성된 광투과성 보호층(177")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4,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177a and 177b' similar to tho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23 are provided, but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 177c' is an individual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77" composed of a lens for 155 is shown.

도25 및 도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무반사막 채용)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25 and 2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ing an anti-reflective film).

도25를 참조하면, 도18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광투과성 보호층(18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성 보호층(187)은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사이에 충전된 제1 투광부(187a)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155)의 상부 영역을 덮는 플레이트(P)와 상기 플레이트(P) 상면에 배열된 복수의 렌즈(L)를 갖는 제2 투광부(187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투광부(187)의 표면에는 무반사막(188)이 코팅되어 광추출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87 similar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8 is shown.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187 includes a first light-transmitting portion 187a filled between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 155 and the nano-light-emitting structure 155 so that the upper region of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155 is exposed. And a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87b having a plate P covering an upper region and a plurality of lenses L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P. An anti-reflective film 188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87 to further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도26을 참조하면, 무반사막(188')이 개별 나노 발광구조물(155)을 위한 렌즈(L)를 갖는 제2 투광부(187b')의 표면에도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 투광부(187b')는 상기 제1 투광부(187a)의 표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L)를 연결하는 플레이트(P)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an example in which the non-reflective layer 188'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87b' having the lens L for the individual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155 is show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187b ′ employ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187a and may have a plate P connecting the lens L.

도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요철구조)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rrug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7을 참조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투광부(187a)와 상기 제1 투광부(187a) 상에 배치된 제2 투광부(187b)를 갖는 광투과성 보호층(18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투광부(187b)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155)에 관련된 렌즈(L)와 상기 렌즈가 배열된 플레이트(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 투광부(187b)는 요철(C)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요철(C)은 앞선 실시예들에 모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광방출면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의 계면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투광부의 계면 또는 상기 제2 투광부와 상기 제3 투광부의 계면에도 도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similar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and 2, light transmittance having a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87a and a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87b disposed on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art 187a. A protective layer 187 is shown.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187b may include a lens L related to the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155 and a plate P in which the lenses are arrange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187b employed in this embodiment has a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C are formed. These irregularities (C)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all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In particular, it may be employed at the interface of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s well as the light emitting surface. For example,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s or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and the third light-transmitting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성 보호층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선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시된 특징은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서로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e에서 설명된 전류차단 중간층(134)은 앞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의 나노 발광구조물에 채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조합에 근거한 실시예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features present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different embodiments to constitute a new embodiment unless otherwise described. can do. For example, the current blocking intermediate layer 134 described in FIG. 8E may be employed in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of all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o constitute a new embodiment. Embodiments based on these new combinations can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8은 상술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패키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28 shows an example of a package employing the above-described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28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600)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 실장 기판(610) 및 봉지체(60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600 illustrated in FIG. 28 may include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a mounting substrate 610, and an encapsulant 603 illustrated in FIG. 1.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실장 기판(610)에 실장되어 와이어(W)를 통하여 실장 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a mounting substrate 6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substrate 610 through a wire W.

실장 기판(610)은 기판 본체(611), 상부 전극(613) 및 하부 전극(614)과 상부 전극(613)과 하부 전극(614)을 연결하는 관통 전극(6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 기판(610)은 PCB, MCPCB, MPCB, FPCB 등의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장 기판(61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The mounting substrate 610 may include a substrate body 611, an upper electrode 613 and a lower electrode 614, and a through electrode 612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613 and the lower electrode 614. The mounting board 610 may be provided as a board such as a PCB, MCPCB, MPCB, or FPCB, and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board 61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봉지체(603)는 상면이 볼록한 돔 형상의 렌즈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표면을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의 렌즈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봉지체(603) 상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봉지체(603) 또는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0) 표면에 형광체나 양자점 등과 같은 파장변환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The encapsulant 603 may be formed in a dome-shaped lens structure with a convex top surface,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encapsulant 603 is formed by forming the surface into a convex or concave len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If necessary,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such as a phosphor or a quantum dot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ncapsulant 603 or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0.

상술된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패키지는 다양한 응용제품에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package including the same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products.

상술된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는 다양한 응용제품의 광원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도29 내지 도32에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제품이 예시되어 있다.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employed as a light source for various application products. 29 to 32 illustrate various application products in which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mployed.

도29 및 도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예를 나타낸다. 29 and 30 show examples of a backlight unit employ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000)은 기판(1002) 상에 광원(1001)이 실장되며, 그 상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1003)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1001)은 상술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the backlight unit 1000 includes a light source 1001 mounted on a substrate 1002 and at least one optical sheet 1003 disposed thereon. The light source 1001 may use the above-describe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r a packag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29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0)에서 광원(1001)은 액정표시장치가 배치된 상부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방식과 달리, 도30에 도시된 다른 예의 백라이트 유닛(2000)은 기판(2002) 위에 실장된 광원(2001)이 측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며, 이렇게 방사된 빛은 도광판(2003)에 입사되어 면광원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광판(2003)을 거친 빛은 상부로 방출되며,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광판(2003)의 하면에는 반사층(2004)이 배치될 수 있다.
Unlike the method in which the light source 1001 emits light toward the to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backlight unit 1000 shown in FIG. 29, the backlight unit 2000 of the other example shown in FIG. 30 is a substrate 2002. The light source 2001 mounted thereon emits ligh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2003 to be converted into a surface light sourc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2003 is emitted upward, and a reflective layer 200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003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조명 장치의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ighting device employ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0에 도시된 조명장치(3000)는 일 예로서 벌브형 램프로 도시되어 있으며, 발광모듈(3003)과 구동부(3008)와 외부접속부(3010)를 포함한다. The lighting device 3000 shown in FIG. 30 is shown as a bulb type lamp as an example,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3003, a driving part 3008, and an external connection part 3010.

또한, 외부 및 내부 하우징(3006, 3009)과 커버부(3007)와 같은 외형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3003)은 상술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 패키지일 수 있는 광원(3001)과 그 광원(3001)이 탑재된 회로기판(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 및 제2 전극이 회로기판(3002)의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하나의 광원(3001)이 회로기판(3002) 상에 실장된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external structures such as the outer and inner housings 3006 and 3009 and the cover portion 3007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 light emitting module 3003 may include a light source 3001, which may be the above-describe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r a packag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circuit board 3002 on which the light source 3001 is mounted.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3002.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light source 3001 is illustrated as being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002, bu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001 may be mounted as necessary.

외부 하우징(3006)은 열방출부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발광모듈(3003)과 직접 접촉되어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는 열방출판(3004) 및 조명장치(3000)의 측면을 둘러싸는 방열핀(300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007)는 발광모듈(3003) 상에 장착되며 볼록한 렌즈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3008)는 내부 하우징(3009)에 장착되어 소켓구조와 같은 외부접속부(3010)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outer housing 3006 may act as a heat dissipation unit, and includes a heat dissipation plate 3004 that directly contacts the light emitting module 3003 to improve a heat dissipation effect, and a heat dissipation fin 3005 surrounding the side of the lighting device 3000. I can. The cover part 3007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module 3003 and may have a convex lens shape. The driving unit 3008 may be mounted on the inner housing 3009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unit 3010 such as a socket structure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또한, 구동부(3008)는 발광모듈(3003)의 반도체 발광소자(300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적정한 전류원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동부(3008)는 AC-DC 컨버터 또는 정류회로부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8 serves to convert and provide an appropriate current source capable of driv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3001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03.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3008 may be composed of an AC-DC converter or a rectifier circuit component.

도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헤드 램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3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ead lamp.

도32를 참조하면, 차량용 라이트 등으로 이용되는 헤드 램프(4000)는 광원(4001), 반사부(4005), 렌즈 커버부(4004)를 포함하며, 렌즈 커버부(4004)는 중공형의 가이드(4003) 및 렌즈(400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4001)은 상술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a headlamp 4000 used as a vehicle light, etc. includes a light source 4001, a reflective part 4005, and a lens cover part 4004, and the lens cover part 4004 is a hollow guide. It may include 4003 and a lens 4002. The light source 4001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r a packag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헤드 램드(4000)는 광원(4001)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40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방열부(4012)는 효과적인 방열이 수행되도록 히트싱크(4010)와 냉각팬(40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램프(4000)는 방열부(4012) 및 반사부(4005)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하우징(40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9)은 몸체부(4006)와 상기 몸체부(4006)의 일면에 방열부(4012)가 결합하여 장착되기 위한 중앙홀(4008)을 구비할 수 있다. The head lamp 4000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unit 4012 that discharges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4001 to the outside,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4012 includes a heat sink 4010 and a cooling fan so that effective heat dissipation is performed. (4011)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headlamp 40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4009 that fixes and supports the heat dissipation part 4012 and the reflective part 4005. The housing 4009 may include a body portion 4006 and a central hole 4008 through which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4012 is coupled to and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06.

하우징(4009)은 상기 일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타면에 반사부(4005)가 광원(4001)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전방홀(4007)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4005)에 의하여 전방측은 개방되며, 개방된 전방이 전방홀(4007)과 대응되도록 반사부(4005)가 하우징(4009)에 고정되어 반사부(4005)를 통해 반사된 빛이 전방홀(4007)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The housing 4009 may include a front hole 4007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ne surface and fixed to the other surface that is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so that the reflective part 4005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ght source 4001. Accordingly, the front side is opened by the reflector 4005, and the reflector 4005 is fixed to the housing 4009 so that the opened front corresponds to the front hole 4007 to reflect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or 4005. It may pass through the front hole 4007 and be emitted to the outsi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Claims (10)

각각,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와 상기 나노 코어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갖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표면에 배치되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콘택 전극;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며, 제1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투광부; 및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 중 2 이상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투광부를 포함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A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each having a nano core mad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an active layer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nano core,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contact electrod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the plurality of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s and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and each arranged to cover at least two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of the plurality of nano-light-emitting structures, and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2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제1 투광부 상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further comprises a plate disposed o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to cover the plurality of nano light-emitting structures, wherein the plurality of lenses are arranged on the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은 제1 결정면인 측면을 갖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 상에 위치하며 제1 결정면과 다른 제2 결정면인 표면을 갖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nano light-emitting structure is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as a first crystal plane, and an upper end portion having a surface that is a second crystal plane different from the first crystal plane on the mai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부와 상기 제2 투광부의 계면은 상기 메인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6,
An interfac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part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전극은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act electrode is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nano light emitting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나노 발광구조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8,
The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 has an inte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nano-light emitt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부 상에 배치되어 추가적인 렌즈 형상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굴절률과 다른 제3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3 투광부를 더 포함하는 나노 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A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disposed o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part to provide an additional lens shape, and comprising a third light-transmitt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third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second refractive index.
KR1020140102513A 2013-11-25 2014-08-08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52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3A KR102252991B1 (en) 2014-08-08 2014-08-08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4/551,978 US9190563B2 (en) 2013-11-25 2014-11-24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3A KR102252991B1 (en) 2014-08-08 2014-08-08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05A KR20160019005A (en) 2016-02-18
KR102252991B1 true KR102252991B1 (en) 2021-05-20

Family

ID=5545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13A KR102252991B1 (en) 2013-11-25 2014-08-08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9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562B2 (en) * 2017-09-15 2021-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roj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2474A (en) * 2007-12-21 2009-07-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651A (en) * 2010-11-16 2012-05-24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Nano rod light emitting device
KR101898679B1 (en) * 2012-12-14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Nano-structured light emitting devices
KR102022266B1 (en) * 2013-01-29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2474A (en) * 2007-12-21 2009-07-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05A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497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9190563B2 (en)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603207B1 (en) Manufacturing methdo of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554032B1 (en)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8410506B2 (en)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KR102075985B1 (en)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1189755B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side reflection layer
KR2014009697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03461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188496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0346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37405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27770B1 (en)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12557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30102341A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16274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23036B1 (en)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60027610A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52991B1 (en)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4421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07598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50145756A (en) Nano stu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