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904B1 -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904B1
KR102252904B1 KR1020190114518A KR20190114518A KR102252904B1 KR 102252904 B1 KR102252904 B1 KR 102252904B1 KR 1020190114518 A KR1020190114518 A KR 1020190114518A KR 20190114518 A KR20190114518 A KR 20190114518A KR 102252904 B1 KR102252904 B1 KR 10225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member
ground
fence
driving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159A (ko
Inventor
함승현
함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야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의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100)은 펜스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혀 고정되며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로 나사산을 갖는 파일부재(110)와, 파일부재(110)의 나사산에 맞물려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단에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120)를 포함하며, 파일부재(120)는 하단부가 뾰족한 중공형 형상으로,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113)을 갖는다.

Description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for fence post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이 발명은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파일부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시공성능이 우수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망(메쉬) 등을 이용하여 울타리(펜스, fence)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지면에 지주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주춧돌을 이용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초석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기초석을 설치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기존 작업들은 울타리 시공의 공기를 지연시키고, 현장에서 거푸집으로 콘크리트 기초석을 새롭게 만들어야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형상 및 규격을 갖도록 일괄적으로 제작 생산된 콘크리트 기초석을 적용하여 울타리를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석을 사용한 울타리의 시공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석을 매설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어 지주에 철망 등을 연결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걸쳐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기초석은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제작하되, 지주를 지면에 지지해줄 수 있도록 고중량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석을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거나 시공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매설함에 있어서는 땅을 일정 깊이로 판 후 그 곳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이나 상황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매설하거나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콘크리트 기초석은 그 곳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지주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매설되어야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주를 원하는 높낮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을 정확한 깊이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 등을 고려해 볼 때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펜스는 평탄한 지면을 비롯하여 경사진 곳에도 많이 설치된다.
또한, 지주가 콘크리트 기초석에 견고하게 지지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가 끼워져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지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지주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과 지주 사이의 틈새에 나무 조각이나 플라스틱, 철재 등으로 된 쐐기를 억지끼움하여 지주를 고정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093호 및 제2015-0055928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쐐기 고정방식이나 조임 고정방식으로 지주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주의 고정방식은 안정적이지 못하거나 그 구성관계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0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5928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파일부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시공성능이 우수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펜스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로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혀 고정되며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로 나사산을 갖는 파일부재와, 상기 파일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려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단에 상기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부재는 하단부가 뾰족한 중공형 형상으로, 상기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부재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부재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항타장치를 이용해 상기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파일부재의 나사산에 나사체결하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지지부가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항타장치를 이용해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작업현장에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파일부재가 하단부가 뾰족한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다.
또한, 이 발명은 파일부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통해 펜스의 지주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여 펜스의 시공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이 발명은 파일부재의 하단부가 뾰족하여 효과적으로 땅을 뚫고 진입하고 파일부재의 하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항타시에 압력이 파일부재의 내부에 유입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항타가 가능하다. 또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시공후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빗물로 인한 부식이나 해빙시에 뾰족한 돌기부의 용접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해 파일부재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재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재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한 펜스의 구조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들은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재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100)은 펜스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혀 고정되며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로 나사산을 갖는 파일부재(110)와, 파일부재(110)의 나사산에 맞물려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단에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일부재(110)는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타격시 잘 휘어지지 않는 강철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강도가 보장된다면, 알루미늄 스틸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항타장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해머 타격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들 수 있는 타격망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파일부재(110)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하단부에는 지중속으로 원활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한 돌기부(111)를 갖는다. 여기서, 뾰족한 돌기부(111)는 파일부재(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 또는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뾰족한 돌기부(111)는 항타장치로 타격시 지면의 저항에 의해 단부가 잘 휘지 않도록 반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뾰족한 돌기부(111)는 강도가 높은 특수강을 파일부재(110)의 단부에 별도로 가공하고 용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일부재(110)는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로 나사산을 갖는다. 여기서, 나사산은 암나사산(112)으로서, 파일부재(110)의 재질이 강철 스틸이나 알루미늄 스틸과 같이 나사산 형성이 가능한 재질이므로 중공형의 파일부재(110)의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까지 둘레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도록 구성하면 된다. 그런데, 별도의 암나사산(112)을 갖는 부재를 파일부재(110)의 상부 내측에 고정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나사산은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재(120)의 높이방향으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파일부재(110)는 하단부가 뾰족한 중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효과적으로 땅을 뚫고 진입하고,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113)을 갖는다. 여기서, 구멍(113)은 파일부재(110)의 항타시에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파일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항타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구멍이 없을 경우, 파일부재(110)의 시공후 빗물이 파일부재(110)의 내부에 저장되어 파일부재(110)를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얼어 팽창하였다가 해빙시에 녹으면서 뾰족한 돌기부(111)의 용접부위가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구멍(113)은 시공후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파일부재(1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파일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지중에 설치 고정한 후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설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130)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방지용 날개(130)는 파일부재(110)의 타격시 흔들림 없이 수직방향으로 지중에 박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파일부재(110)가 안정적으로 지중에 진입하도록 방향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회전방지용 날개(130)는 지중으로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하부쪽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방지용 날개(130)는 파일부재(110)가 지면에 박힌 후 상측에 설치된 지주를 통해 파일부재(110)에 지속적으로 좌우 흔들림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사방에서 파일부재(110)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파일부재(110)가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해준다. 한편, 회전방지용 날개(130)는 파일부재(110)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이상 또는 이하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파일부재(110)가 사각 단면을 갖는 경우에는 각 면에 1개씩 모두 4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120)는 상기와 같은 파일부재(110)의 암나사산(112)에 나사 체결되어 그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파일부재(110)의 암나사산(112)에 나사 체결되는 일정 길이의 숫나사산을 갖는 높낮이 조절부(121)와, 높낮이 조절부(121)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22)를 갖는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부(121)는 파일부재(110)의 암나사산(112)에 나사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그 상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22)가 파일부재(110)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지지부(122)는 높낮이 조절부(121)의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고 지주의 하단과 체결되어 지주를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부(122)는 지주의 하단을 떠받칠 수 있는 일정 너비를 가지며, 또한 지주의 하단과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다. 여기서, 지지부(122)는 지주의 하단을 떠받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사각판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2A)는 지주의 하부를 일정 깊이로 수용한 상태에서 지주의 하부를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재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100A)은 지주의 하부를 일정 깊이로 수용한 상태에서 지주의 하부를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높낮이 조절부재(120A)의 지지부(122A)의 형상을 변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1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한 펜스의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가 위치할 곳의 땅에 파일부재(1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정해진 위치에 항타장치를 이용해 파일부재(110)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런 다음, 높낮이 조절부(121)의 숫나사산을 파일부재(110)의 암나사산(112)에 나사체결한 후 회전시켜 높낮이 조절부재(120)의 지지부(122)가 파일부재(110)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렇게 높낮이가 조절된 지지부(122)의 상단에 지주의 하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일체한 후 울타리를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은 항타장치를 이용해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작업현장에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파일부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통해 펜스의 지주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여 펜스의 시공성능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100A :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110 : 파일부재 111 : 뾰족한 돌기부
112 : 암나사산 113 : 구멍
120, 120A : 높낮이 조절부재 121 : 높낮이 조절부
122, 122A : 지지부 130 : 회전방지용 날개

Claims (4)

  1. 펜스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로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혀 고정되며 상부 내측에 일정 깊이로 나사산을 갖는 파일부재와,
    상기 파일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려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단에 상기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부재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하단부에 중공형 형상의 뾰족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뾰족한 돌기부는 단부가 반구형상으로 라운드지게 가공된 특수강으로 제작되어 상기 파일부재의 하단부에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파일부재의 상기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구멍은 상기 파일부재의 항타시에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항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파일부재의 시공후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재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항타장치를 이용해 상기 파일부재를 지중에 일정 깊이로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파일부재의 나사산에 나사체결하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지지부가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90114518A 2019-09-18 2019-09-18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5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518A KR102252904B1 (ko) 2019-09-18 2019-09-18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518A KR102252904B1 (ko) 2019-09-18 2019-09-18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59A KR20210033159A (ko) 2021-03-26
KR102252904B1 true KR102252904B1 (ko) 2021-05-17

Family

ID=7525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518A KR102252904B1 (ko) 2019-09-18 2019-09-18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9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85B1 (ko) * 2013-09-06 2014-02-07 주식회사 에스티오이엔지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12031B1 (ko) * 2015-08-11 2016-04-14 주식회사 로드파크 높이조절용 스크류폴이 결합된 데크로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93A (ko)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20150055928A (ko)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지주용 고정결합구가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KR20170022635A (ko) * 2015-08-21 2017-03-02 (주)한진디엔비 플랜지를 갖는 캡을 구비한 스크루 파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85B1 (ko) * 2013-09-06 2014-02-07 주식회사 에스티오이엔지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12031B1 (ko) * 2015-08-11 2016-04-14 주식회사 로드파크 높이조절용 스크류폴이 결합된 데크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59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2659B1 (en) Anchor post
US8448397B2 (en) Anchor system for securing a concrete wall panel to a supporting concrete foundation
US6871455B1 (en) Drive/auger anchor and stabilizer
US20070200046A1 (en) Anchor for securing an object to ground
US9309688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JP2012524186A (ja) 固定システム
US20020067959A1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US9771735B2 (en) Post reinforcement
US20150345098A1 (en) Screw anchor pile for earth reinforc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6298618B1 (en) Constructional support
US9631392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KR200469815Y1 (ko) 비닐 하우스 프레임
US20210381188A1 (en) Ground Anchor
US20040103599A1 (en) Ground anchor
US10415206B1 (en) Beam and base for supporting structures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KR102252904B1 (ko) 펜스 지주용 항타형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12575B1 (ko)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22635A (ko) 플랜지를 갖는 캡을 구비한 스크루 파일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7594782B2 (en) Integral retaining foot for rammed post or pole
KR102291157B1 (ko)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
JP2000034731A (ja) 木 柵
AU752228B2 (en)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US10662669B2 (en) Anchor fence pos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