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833B1 -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833B1
KR102252833B1 KR1020190146100A KR20190146100A KR102252833B1 KR 102252833 B1 KR102252833 B1 KR 102252833B1 KR 1020190146100 A KR1020190146100 A KR 1020190146100A KR 20190146100 A KR20190146100 A KR 20190146100A KR 102252833 B1 KR102252833 B1 KR 10225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er
sensor
data
measurement data
data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버스
Priority to KR102019014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Psychia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을 인식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문 안쪽에 구비되어 피관찰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확인센서; 생활공간에서의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센서; 상기 생활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도어센서, 출입확인센서, 동작인식센서 및 조도센서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SMART CARE SYSTEM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기적 경기침체와 인구구조의 변화 등의 이유로 독거노인세대가 빠르게 증가하였고, 정부는 독거노인에 대한 보호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복지기관에서도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 등 독거노인에 대한 재가복지사업이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는 정서지원, 생활교육, 서비스연계, 댁내시스템 점검 및 관리, 집안청소 등 상당히 많은 일을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력이 부족하여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1인이 25명의 노인을 관리해야 하는 등 업무가 과중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어가 필요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 고독사 하거나, 정신적 문제를 가지는 사람도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이를 위한 시스템들은 구축하는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피보호대상자가 특정 장치를 착용하거나 직접 자발적으로 수행해야하는 행위를 포함하는데, 상기 특정 장치를 임의로 분리하거나 하는 문제로 실질적인 케어가 어렵고 신뢰도도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피보호대상자의 상태에 대한 판단의 신뢰도가 높으면서도, 피보호대상자에게 특정 장치를 착용하게 하거나, 피보호대상자의 자발적인 행위가 필요 없고,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보호대상자의 상태에 대한 판단의 신뢰도가 높은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보호대상자에게 특정 장치를 착용하게 하거나, 피보호대상자의 자발적인 행위가 전혀 필요 없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을 인식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문 안쪽에 구비되어 피관찰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확인센서; 생활공간에서의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센서; 상기 생활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도어센서, 출입확인센서, 동작인식센서 및 조도센서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된 1차 대응 및 2차 대응, 저장부 및 연산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24군의 제1 데이터셋; 4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6군의 제2 데이터셋; 6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4군의 제3 데이터셋; 8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3군의 제4 데이터셋; 및 12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2군의 제5 데이터셋;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각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측정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수만큼만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데이터는 최선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각각의 시간대별 데이터셋에서 움직임 횟수의 평균(A)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SD)를 산출하며,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 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M)가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 및 표준편차(SD)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식 1]
M < A - k×SD
(상기 식 1에서 M은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 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이고, A는 상기 측정데이터의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이고, SD는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표준편차이며, 상기 k는 편차지수로 1.5 내지 2.5임).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센서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피관찰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의 저장부는 상기 수신된 측정데이터를 데이터셋으로 저장하지 않고, 연산부의 분석 알고리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센서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관찰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저장 및 분석 알고리즘을 재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저장부는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시간 정보 및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각각의 시간대별 제1 데이터셋들을 미리 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상기 조도 이상의 측정데이터는 제1-1 데이터셋으로 저장하고, 상기 상기 조도 미만의 측정데이터는 각각 제1-2 데이터셋으로 구별해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체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센서는 상기 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소리센서 및 냉장고 개폐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특정 횟수 이상 감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냉장고 개폐가 없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기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기압센서의 측정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온도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온도보정 데이터셋;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습도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기압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기압보정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구간별 온도보정 데이터셋,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 각각의 움직임 횟수 평균(At, Ah, Aa)을 산출하고, 상기 식 1에서 평균(A)는 x×(At-A)+y×(Ah-A)+z×(Aa-A)를 더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x, y, z는 0.05 내지 0.15이고, 상기 At, Ah 및 Aa는 각각 수신된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구간의 온도보정 데이터셋의 평균, 습도보정 데이터셋의 평균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의 평균임).
또한, 상기 연산부에서 피관찰자에게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에 구비된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인증을 요구하는 1차 대응을 수행하고, 상기 피관찰자가 인증하는 경우 일정 시간 연산부의 분석 알고리즘을 중단한 후 기존 케어 시스템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1차 대응에 피관찰자가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인 및 기관 중 하나 이상에 피관찰자에게 케어가 필요함을 알리는 전화 및 문자를 발신하는 2차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1차 대응에 피관찰자가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을 상기 관리인 및 기관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특정 기간 내에 상기 1차 대응 및 피관찰자의 인증이 3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식 1에서 k는 0.1을 감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서버가 수신 가능한 모든 피관찰자에 대해, 상기 모든 군의 제1 내지 제5 데이터셋, 이들의 평균, 표준편차, k값, 온도보정 데이터셋,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을 연령, 질병, 성별, 직업, 질환연차 등의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신규 피관찰자의 초기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보호대상자의 상태에 대한 판단의 신뢰도가 높고, 피보호대상자에게 특정 장치를 착용하게 하거나, 피보호대상자의 자발적인 행위가 전혀 필요 없으며,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개념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제1 내지 제5 데이터셋의 개념을 간단히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시간대별 제1 데이터셋의 개념을 간단히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 바이 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ot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개념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을 인식하는 도어센서(100); 상기 출입문 안쪽에 구비되어 피관찰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확인센서(200); 생활공간에서의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센서(300); 상기 생활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400); 상기 도어센서, 출입확인센서, 동작인식센서 및 조도센서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기(500);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6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센서(100)는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을 인식하고 이를 중계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출입문의 개폐를 인식하고,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시스템 구축 환경에 따라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스마트 도어락과 같이 출입문에 탄성을 가진 돌출부를 구비하고, 문틀에 이를 가압할 수 있는 저항부를 구비하고, 문이 열리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탄성에 의해 밖으로 나오면서 문이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고, 문이 닫히는 경우 상기 저항부가 상기 돌출부를 밀어 넣어 문이 닫힌 것으로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출입확인센서(200)는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고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확인센서(200)는 IoT 기능을 갖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센서(100)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구체적으로 3초 내지 10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200)에서 피관찰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피관찰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서버(600)의 저장부(610)는 상기 수신된 측정데이터를 데이터셋으로 저장하지 않고, 연산부(630)의 분석 알고리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센서(100)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구체적으로 3초 내지 10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20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관찰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600)는 저장 및 분석 알고리즘을 재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피관찰자의 외출 판단도, 피관찰자에게 어떠한 자발적인 행위를 요청하지 않을 수 있어, 피관찰자의 부주의, 고의에 전혀 영향 없이 피관찰자의 실질적인 케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피관찰자가 재실하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피관찰자의 행동 패턴을 보다 신뢰도 높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인식센서(300) 역시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IoT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인식센서(300)는 IoT 기능을 갖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신뢰도 높게 피관찰자를 케어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상기 동작인식센서(300)는 피관찰자가 생활하는 생활공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생활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피관찰자의 하나의 움직임에 중복 감지되지 않을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활공간에 독립된 방이 있는 경우 해당 방에도 설치되고, 화장실, 부엌, 베란다 등 피관찰자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중복 감지되지 않을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인식센서(300)는 본 발명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기준이 될 수 있고, 동작이 인식되면 중계기(500)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중계기는 해당 동작인식 데이터와 함께, 다른 센서들의 센싱값, 예를들어 조도, 후술하는 온도, 습도, 기압 등과 함께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500)는 필요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는 MCU(microcontroller unit)을 구비할 수 있고, 이는 필요한 제어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조도센서(400)는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들은 기본적으로 피관찰자의 일상 생활을 반영하기 위해 동일 시간대 별로 수집되고 분석되지만, 본 발명은 조도센서(400)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소등 후 자는 경우의 데이터와, 불을 켠 상태, 티비를 켠 상태의 피관찰자 움직임 패턴을 분류할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은 케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조도센서(400)는 조도를 측정하고 IoT 기능을 갖는 센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계기(500)는 상기 도어센서(100), 출입확인센서(200), 동작확인센서(300) 및 조도센서(400)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500)는 후술하는 소리센서, 냉장고 개폐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압센서의 측정데이터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계기(500)는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에 구비될 수 있는 IoT 기능을 구비한 센서들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600)로 송신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동작인식센서(300)에서 피관찰자의 움직임이 인식되는 경우 Iot 기능을 갖는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의 데이터를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500)는 필요한 역할을 위해 이를 구현할 수 있는 MCU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500)의 종류는 시스템 구축 환경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중계기(500)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10);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연산부(630); 및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된 1차 대응 및 2차 대응, 저장부(610) 및 연산부(63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10)는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24군의 제1 데이터셋; 4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6군의 제2 데이터셋; 6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4군의 제3 데이터셋; 8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3군의 제4 데이터셋; 및 12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제5 데이터셋;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데이터셋은 1시간 별로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저장한 24군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되고, 제2 데이터셋은 4시간 별로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저장한 6군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되고, 제3 데이터셋은 6시간 별로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저장한 4군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되고, 제4 데이터셋은 8시간 별로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저장한 3군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되고, 제5 데이터셋은 12시간 별로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저장한 2군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데이터셋들은 동일 시간대별로 2 이상 수집되어 피관찰자의 해당 시간대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케어가 필요한 피관찰자들은 보통 사람들 보다 생활 패턴이 정해진 경우가 많으며, IoT 기반 본 발명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시간대별 행동패턴을 기준으로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3은 제1 데이터셋을 예를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제2 내지 제5 데이터셋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1시간 간격의 행동패턴으로 분석 시, 정상 범위에 들어가더라도 이들이 임계점에 가까운 정상범위라면, 시간을 달리하는 경우 평상시 행동패턴과 달라질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시간대별로 분석함으로써, 피관찰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10)는 상기 각각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측정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수만큼만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데이터는 최선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수는 10 내지 90, 구체적으로 15 내지 60, 예를 들어 30일 수 있다.
상기 연산부(630)는 상기 중계기(500)로부터 수신되고, 저장부(610)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 예를 들어 시간대별 피관찰자의 움직임 평균, 편차 및 피관찰자의 케어 필요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산부(630)는 각각의 시간대별 데이터셋에서 움직임 횟수의 평균(A)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SD)를 산출하며,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 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M)가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 및 표준편차(SD)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식 1]
M < A - k×SD
(상기 식 1에서 M은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 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이고, A는 상기 측정데이터의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이고, SD는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표준편차이며, 상기 k는 편차지수로 1.5 내지 2.5임).
이는 피관찰자의 시간대별 데이터셋에서 평균과, 이를 벗어날 수 있는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정상범위와 이상범위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k는 편차지수로, 사람마다 행동패턴의 변화 정도가 다양하고, 이를 반영하는 지수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1.5 내지 2.5의 범위가 정상범위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은 피관찰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수행된다면 오차가 커지거나 필요하지 않은 제어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센서(100)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20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피관찰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600)의 저장부(610)는 상기 수신된 측정데이터를 데이터셋으로 저장하지 않고, 연산부(630)의 분석 알고리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센서(100)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20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관찰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600)는 저장 및 분석 알고리즘을 재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저장부(610)가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시간 정보 및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각각의 시간대별 제1 데이터셋들을 미리 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상기 조도 이상의 측정데이터는 제1-1 데이터셋으로 저장하고, 상기 상기 조도 미만의 측정데이터는 각각 제1-2 데이터셋으로 구별해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셋을 조도에 따라 별도로 생성하지만 이를 수신된 측정데이터(특정 조도 구간에서 특정 시간 당 피관찰자의 움직임 횟수)를 분석하고 적용하는 것은 상기 저장부(610) 및 연산부(630)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도는 주간과 야간이라도 점등한 구간을 제1-1 데이터셋으로 저장, 생성하고, 야간에 소등한 구간을 제1-2 데이터셋으로 저장,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구간은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도는 3단계로 구간을 나누어 주간과 야간이라도 점등한 구간, 야간에 티비를 켜놓은 구간, 야간에 소등한 구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설정(1-1 내지 1-3 데이터셋 생성)할 수 있으며, 이들 데이터셋을 분석 및 적용하는 것은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써, 야간이라도 자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피관찰자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체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센서는 상기 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소리센서 및 냉장고 개폐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특정 횟수 이상 감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냉장고 개폐가 없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본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서 예측하지 못하는 비상상황 발생을 지나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분 동안 피관찰자가 10회 이상 소리지르는 경우, 및 냉장고를 24시간 개폐하지 않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기압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기압센서의 측정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온도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온도보정 데이터셋;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습도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미리 구획된 기압 구간 별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기압보정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구간별 온도보정 데이터셋,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 각각의 움직임 횟수 평균(At, Ah, Aa)을 산출하고, 상기 식 1에서 평균(A)는 x×(At-A)+y×(Ah-A)+z×(Aa-A)를 더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x, y, z는 0.05 내지 0.15이고, 상기 At, Ah 및 Aa는 각각 수신된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구간의 온도보정 데이터셋의 평균, 습도보정 데이터셋의 평균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의 평균임).
케어가 필요한 사람들은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 특히 온도, 습도 및 기압에 따라 행동패턴이 달라지고, 움직임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본 발명 케어 시스템은 온도, 습도 및 기압에 따른 오차를 움직임 횟수 평균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어, 더욱 신뢰도 높은 케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610)에서 피관찰자에게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1차 대응 및/또는 2차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50)는 상기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에 구비된 단말기(810)로 전화를 걸어 인증을 요구하는 1차 대응을 수행하고, 상기 피관찰자가 인증하는 경우 일정 시간 연산부(630)의 분석 알고리즘을 중단한 후 기존 케어 시스템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은 번호 한자리 이상을 누르는 것으로 간단히 인증할 수 있고, 연산부(630)의 판단이 틀릴 수 있지만, 간단한 인증을 통해 최종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 연산부(630)의 분석 알고리즘을 중단하는 것은 피관찰자의 행동패턴이 평소와 다르긴 하지만 케어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며, 1차 대응을 수행하는 시간까지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후 일정 시간에도 미리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분석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특정 기간 내에 상기 1차 대응 및 피관찰자의 인증이 3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식 1에서 편차지수 k는 0.1을 감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기간은 7일 내지 30일, 구체적으로 7일 내지 15일, 예를 들어 10일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피관찰자의 행동패턴에 대한 수집 데이터(움직임 횟수)가 높게 측정된 것일 수 있으므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은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특정 기간 예를 들어 30일만 수행한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1차 대응에 피관찰자가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인(830) 및 기관(850) 중 하나 이상에 피관찰자에게 케어가 필요함을 알리는 전화 및 문자를 발신하는 2차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대응에 인증을 못하는 경우는, 실제로 피관찰자가 위급한 상황이므로 이를 미리 설정된 관리인(830) 및/또는 기관(850)에 알림으로써, 즉각적인 케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인(830)은 피관찰자를 바로 찾아올 수 있는 사람으로 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물 관리자 또는 보호자일 수 있다. 상기 기관은 경찰서, 119 응급 구조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7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1차 대응에 피관찰자가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카메라(700)를 구동하여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을 상기 관리인 및 기관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0)의 영상은 중계기(500)를 통해 서버(600)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다 빨리 현재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1차 대응에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구동함으로써,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상기 서버가 수신 가능한 모든 피관찰자에 대해, 상기 모든 군의 제1 내지 제5 데이터셋, 이들의 평균, 표준편차, k값, 온도보정 데이터셋, 습도보정 데이터셋 및 기압보정 데이터셋을 연령, 질병, 성별, 직업, 질환연차 등의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신규 피관찰자의 초기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시스템으로 수집되는 정보의 양은 케어가 필요한 피관찰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기 적절한 자료이며, 모든 피관찰자의 측정데이터가 모이면 빅데이터로써, 의미 있는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을 처음으로 구축하는 신규 피관찰자의 경우, 아직 해당 피관찰자의 행동패턴에 대한 측정데이터 수집량이 많지 않으므로, 연령, 질병, 성별, 직업, 질환연차를 파악하여 적절한 초기 데이터셋으로 입력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안정적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도어센서 200: 출입확인센서
300: 동작인식센서 400: 조도센서
500: 중계기 600: 서버
610: 저장부 630: 연산부
650: 제어부 700: 카메라
810: 단말기 830: 관리인
850: 기관

Claims (10)

  1.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을 인식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문 안쪽에 구비되어 피관찰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확인센서;
    생활공간에서의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센서;
    상기 생활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도어센서, 출입확인센서, 동작인식센서 및 조도센서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된 1차 대응 및 2차 대응, 저장부 및 연산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1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24군의 제1 데이터셋; 4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6군의 제2 데이터셋; 6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4군의 제3 데이터셋; 8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3군의 제4 데이터셋; 및 12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를 동일 시간대 별로 저장하는 2군의 제5 데이터셋; 을 생성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데이터셋 내지 제5 데이터셋 각각의 움직임 횟수의 평균(A)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SD)를 산출하며,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각의 데이터셋에 대응되는 시간 간격 및 해당 시간대의 움직임 횟수(M)가 해당 시간 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 및 표준편차(SD)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연산부가 피관찰자의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피관찰자의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관찰자의 생활공간에 구비된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인증을 요구하는 1차 대응을 수행하고, 상기 피관찰자가 인증하는 경우 일정 시간 연산부의 분석 알고리즘을 중단한 후 기존 케어 시스템을 계속 수행하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며,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10일 내에 상기 1차 대응 및 피관찰자의 인증이 3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하기 식 1의 편차지수 k를 0.1 감하는 보정을 수행하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식 1]
    M < A - k×SD
    (상기 식 1에서 M은 수신된 측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각 시간 간격의 움직임 횟수이고, A는 상기 측정데이터의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평균(A)이고, SD는 해당 시간간격 및 해당 시간대별 데이터셋의 표준편차이며, 상기 k는 편차지수로 1.5 내지 2.5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피관찰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의 저장부는 상기 수신된 측정데이터를 데이터셋으로 저장하지 않고, 연산부의 분석 알고리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센서에서 출입문이 열림 및 닫힘이 차례로 인식되고, 2초 내지 15초 이내에 상기 출입확인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관찰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저장 및 분석 알고리즘을 재개하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피관찰자의 움직임 정보, 시간 정보 및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되,
    각각의 시간대별 제1 데이터셋들을 미리 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상기 조도 이상의 측정데이터는 제1-1 데이터셋으로 저장하고, 상기 조도 미만의 측정데이터는 각각 제1-2 데이터셋으로 구별해서 생성하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체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센서는 상기 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소리센서 및 냉장고 개폐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특정 횟수 이상 감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냉장고 개폐가 없는 경우 피관찰자는 케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46100A 2019-11-14 2019-11-14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25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00A KR102252833B1 (ko) 2019-11-14 2019-11-14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00A KR102252833B1 (ko) 2019-11-14 2019-11-14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833B1 true KR102252833B1 (ko) 2021-05-17

Family

ID=7615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100A KR102252833B1 (ko) 2019-11-14 2019-11-14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275A (ko) * 2014-02-11 2015-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돌봄 플러그 장치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시맨틱 분석을 통한 건강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70062292A (ko) * 2015-11-27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실 여부 판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93649B1 (ko) * 2018-02-28 2019-06-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한 생활패턴 규칙성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275A (ko) * 2014-02-11 2015-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돌봄 플러그 장치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시맨틱 분석을 통한 건강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70062292A (ko) * 2015-11-27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실 여부 판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93649B1 (ko) * 2018-02-28 2019-06-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한 생활패턴 규칙성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1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aping and bullying
US10726494B1 (en) Identifying property usage type based upon smart sensor data
US10424175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user feedback
AU20183041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fencing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20170076576A1 (en) Activi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1990803B1 (ko)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CN104334075A (zh) 具有调整通知的生物测定属性异常检测系统
US20200051349A1 (en) Physical zone pace authentication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CA3105060A1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US20190332871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ivacy enabled surveillance in a building
WO2013023067A2 (en)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method, article and device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EP3188148B1 (en) Intrusinon alarm system with learned and dynamic entry delays
KR102546460B1 (ko) Ai 기반 신체활동 인지 및 서비스 통합 플랫폼
US117693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analytics for thermography procedure compliance
KR102252833B1 (ko) IoT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US20210225465A1 (en) Tracking individual user health using intrusion detection sensors
KR20230050619A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09533B1 (ko) 라이프 케어시스템
JP2019153080A (ja) 異常センサ検出方法、異常センサ検出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266884B1 (ko) 전자액자와 동작 감지 센서를 활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67890B1 (ko) 다양한 상황에서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위협을 탐지, 경보 및 그에 대응하는 방법
US20220351840A1 (en) Mitigating open space health risk factors
KR101142849B1 (ko)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