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69B1 -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69B1
KR102252369B1 KR1020190154267A KR20190154267A KR102252369B1 KR 102252369 B1 KR102252369 B1 KR 102252369B1 KR 1020190154267 A KR1020190154267 A KR 1020190154267A KR 20190154267 A KR20190154267 A KR 20190154267A KR 102252369 B1 KR102252369 B1 KR 10225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hole
image
real
cctv
tim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김재현
정우진
Original Assignee
(주)아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와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5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G06K9/62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CCTV의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상의 포트홀 발생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관리 차량의 순찰이나 차량 이용 차량의 신고에 의한 의존하지 않고도 포트홀 발생시 이에 대한 복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포트홀에 의한 차량 파손이나 사고 등을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CCTV linked Pothole real-time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CCTV 영상을 통해 도로 노면상의 포트홀 여부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트홀(pot hole)은 아스팔트 포장 표면에 생기는 구멍으로, 이러한 포트홀은 자연적 환경 영향으로서 아스콘의 틈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거나, 과적 차량의 무게에 의해 쉽게 탈락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작은 포트홀이 계속 성장하여 크게 확장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타이어 등이 걸리면서 펑크를 유발하게 되면서, 고속 주행하는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포트홀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보수하여야 하며, 그 보수 방법으로서 불량 개소의 패칭(patching), 국부 재포장, 배수 불량인 경우는 배수 구조의 개량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로 노면상에 발생하는 포트홀은 도로를 순찰하는 관리자 이동 차량을 통해 검출하거나 또는 도로를 주행하는 도로 이용 차량의 운전자가 신고하는 경우에 의존하게 되므로, 도로 노면 전체에 대한 포트홀 검출은 전혀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이에 포트홀 전체에 대한 신속한 복구는 전혀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다.
즉, 포트홀은 정해진 패턴을 가지고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관리자에 의해 운행되는 포트홀 검사 차량으로 포트홀을 검출하는 방식은 검출 차량의 출동 회수에 연동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이러한 포트홀 검출 방식은 관리자 측면에서 잦은 출동으로 인해 피로도가 많이 쌓일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도로 노면상의 모든 포트홀에 대한 검출은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도로 노면에 발생하는 포트홀로 위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 측면에서 차량 제조사에서 포트홀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포트홀 인식 시스템은 이용자의 이용 도로에만 국한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이는 이용자의 신고 등이 없을 경우 그 복구 또한 제대로 진행될 수 없는 등 관리자 측면에서는 이용자에게 너무 의존하는 경향으로 인해 포트홀 복구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에는 도로 노면상이 포트홀 발생시 이를 실시간 검출하는 기능이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고 신고에 의존하거나 관리자의 순찰에 따라 발견되므로, 포트홀 발생으로 인한 교통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5928호(공고일 2016.11.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2674호(공개일 2018.07.19.) 등록특허공보 제10-19566244호(공고일 2019.03.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CCTV의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상의 포트홀 발생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트홀 발생시 이에 대한 복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포트홀에 의한 차량 파손이나 사고 등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은, 설치 위치 정보가 부여되어 도로상에 설치되는 CCTV들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통제실의 관리서버를 통신 연결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도로 노면의 포트홀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a) 상기 CCTV들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이 입력시, 입력되는 현재의 감시영상과 이전 입력받은 감시영상을 비교하여, 현재 감시영상과 이전 감시영상에서 불일치 영역의 감시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이 검출시, 그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을 이미지 파일들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둔 포트홀 기준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감시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로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시,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이 촬영되는 CCTV의 설치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단계에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영상이 입력시 이전 입력되는 감시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현재 감시영상과 이전 감시영상에서의 불일치 영역 검출은, 현재와 이전 감시영상을 각각 최소의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 프레임을 1:1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의 1:1 매칭으로부터 픽셀 변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픽셀 변화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을 이미지 파일들로 변환하는 것은,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으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취득한 후 각 프레임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상기 포트홀 기준 이미지와 비교되는 평면화된 최소 단위의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는, 불일치 영역의 이미지 파일이 도로 노면의 포트홀로 분석시, 분석된 도로 노면의 포트홀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산출된 포트홀 크기로부터 보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결정되는 보수 등급에 따른 포트홀의 통행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판단된 통행 위험도에 따른 보수 우선 순위를 결정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면서 상기 관리자 단말(300)에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트홀 크기는, 상기 CCTV로 촬영된 도로 노면의 폭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전후좌우 방향의 직경 크기와 명암비에 따른 깊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트홀 크기의 보수 등급에 따른 통행 위험도 판단은, 상기 크기와 깊이를 가지는 도로 노면의 포트홀 검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시뮬레이션된 포트홀에 가상의 타이어를 프로그램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시뮬레이션된 포트홀을 통과하는 가상 타이어이 파손 정도를 분석하여 통행 위험도를 안전과 주의 및 위험군으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 노면의 포트홀 종류에 따른 상기 기준 이미지와 그 종류별 통행 위험도를 포함하는 제 1 기준정보,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정보에 매칭되는 포트홀 보수 재료와 보수 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2 기준정보가 사전 저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CCTV의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상의 포트홀 발생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관리 차량의 순찰이나 차량 이용 차량의 신고에 의한 의존하지 않고도 포트홀 발생시 이에 대한 복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포트홀에 의한 차량 파손이나 사고 등을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포트홀이 없는 도로 노면과 포트홀이 생성된 도로 노면의 감시 영상 비교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포트홀 크기(직경)를 산출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포트홀 크기(깊이)를 산출하는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을 보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은, 설치 위치 정보가 부여되어 도로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CCTV(100)들과 데이터베이스(201)를 가지는 통제실의 관리서버(200)를 통신 연결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도로 노면에 포트홀(P)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그 모니터링은 (a)단계, (b)단계, (c)단계, 그리고 (d)단계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201)에는 도로 노면의 포트홀 종류에 따른 기준 이미지와 그 종류별 통행 위험도를 포함하는 제 1 기준정보,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정보에 매칭되는 포트홀 보수 재료와 보수 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2 기준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a)단계는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CCTV(100)들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T2)을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CCTV(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 영상(T2)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되는 감시영상(T1)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01)에 일시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CCTV(100)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감시 영상(T2)은 현재의 감시 영상이고, 이전에 입력되는 감시 영상(T1)은 상기 현재의 감시 영상(T2)이 입력되기 전(前) 영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201)에 상기 CCTV(100)로부터 감시되는 모든 영상을 저장하게 되면, 저장 용량이 커지면서 그 영상 검색에 있어서도 많은 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의 감시 영상(T2)이 입력되었을 때 그 이전의 감시영상(T1)만 상기 데이터 베이스(201)에 일시 저장하는 것이며, 이는 현재의 감시영상(T2)과 이전의 감시영상(T1) 비교에 따른 차이점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더불어 상기와 같이 차이점은 감시영상간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 감시 영상 비교에 따른 포트홀 발생 여부를 제대로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간격이라 함은 일예로, 오전 9시에 감시된 영상과 오후 6시에 감지된 영상을 비교하였을 때 그 시간적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간적 간격이 커지면 커질수록 포트홀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그 모니터링으로 포트홀 발생시 이에 대한 대처가 그만큼 지연되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T2)이 입력시, 상기 관리서버(200)는 입력되는 현재의 감시영상(T2)과 이전 입력받은 감시영상(T1)을 비교하여, 첨부된 도 3b에서와 같이 현재 감시영상(T2)과 첨부된 도 3a에서와 같이 이전 감시영상(T1)에서 불일치 영역의 감시영상(R1)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관리서버(200)는 현재와 이전 감시영상(T2, T1)을 각각 최소의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 프레임을 1:1 매칭시키고, 상기 1:1 매칭으로부터 픽셀 변화 영역을 추출하면서, 추출된 상기 픽셀 변화 영역을 불일치 영역(R1)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R1)이 검출시, 그 불일치 영역(R1)의 감시 영상을 이미지 파일들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하여둔 포트홀 기준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상기 불일치 영역(R1)의 감시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P)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상기 관리서버(200)는 불일치 영역(R1)의 감시 영상으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취득하여 각 프레임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상기 데이터 베이스(201)에 저장하여둔 포트홀 기준 이미지와 비교되는 평면화된 최소 단위의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포트홀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불일치 영역(R1)에 상기 포트홀(P)의 존재 여부를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R1)의 감시 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P)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시, 상기 불일치 영역(R1)의 감시 영상이 촬영되는 CCTV(100)의 설치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에 통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불일치 영역(R1)의 이미지 파일이 도로 노면의 포트홀(P)로 분석시, 분석된 도로 노면의 포트홀(P) 크기를 산출하게 되며, 그 산출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CCTV(100)로 촬영된 도로 노면의 폭(W)을 기준으로 포트홀(P)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직경 크기(D1, D1')를 산출하는 한편,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포트홀(P)의 명암비에 따른 깊이(D2)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명암비 분석을 통한 상기 포트홀(P)의 깊이(D2)는 화질 선명도(CM; Contrast Modulation)의 계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포트홀(P)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한 픽셀에 한 줄은 흰색, 한 줄은 검은색으로 순차 표현함으로써, 전체 흰색 라인 밝기에서 검은색 라인 밝기를 뺀 후 흰색 라인의 밝기와 검은색 라인의 밝기를 더한 값으로 나누도록 계산하여, 상기 포트홀(P)에 대한 깊이(D2)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계산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명암비 계산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포트홀 크기(D1, D2)로부터, 상기 포트홀(P)에 대한 보수 등급을 결정하는 한편, 결정되는 상기 보수 등급에 따른 포트홀(P)의 통행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포트홀(P)의 검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상기 포트홀(P)에 가상의 타이어를 프로그램적으로 통과시킨다.
그러면, 시뮬레이션된 포트홀을 통과하는 가상 타이어의 파손 정도가 시뮬레이션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감시영상에서 검출되는 상기 포트홀(P)에 대한 통행 위험도를 안전과 주의 또는 위험군으로 분류한 후 그 분류정보에 따른 보수 우선 순위를 결정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201)에 등록 저장하면서 포트홀(P)이 발생하는 감시 영상을 제공한 CCTV(100)의 위치정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300)에 통보하게 되며, 이에따라 관리자 단말(300)을 가진 관리자는 보수 우선 순위에 따라 포트홀(P)이 발생된 도로 현장으로 출동하면서, 상기 포트홀(P)을 보수하여, 상기 포트홀(P)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관리서버(200)는 포트홀(P)이 주의 또는 위험군으로 분류될 때 그 분류정보를 관리자 단말(300)에 통보함으로서, 관리자는 통보된 분류 정보에 따라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되어, 주의 또는 위험군으로 분류된 도로 노면상의 포트홀(P)을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고, 이에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포트홀(P)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CCTV
200; 관리서버
201; 데이터베이스
300; 관리자 단말

Claims (8)

  1. 설치 위치 정보가 부여되어 도로상에 설치되는 CCTV들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통제실의 관리서버를 통신 연결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도로 노면의 포트홀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a) 상기 CCTV들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실시간 감시 영상이 입력시, 입력되는 현재의 감시영상과 이전 입력받은 감시영상을 비교하여, 현재 감시영상과 이전 감시영상에서 불일치 영역의 감시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이 검출시, 그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을 이미지 파일들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둔 포트홀 기준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감시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 이미지 파일에 포트홀로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시,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이 촬영되는 CCTV의 설치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영상이 입력시 이전 입력되는 감시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현재 감시영상과 이전 감시영상의 불일치 영역 검출은, 현재와 이전 감시영상을 각각 최소의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 프레임을 1:1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의 1:1 매칭으로부터 픽셀 변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픽셀 변화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을 이미지 파일들로 변환하는 것은, 불일치 영역의 감시 영상으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취득한 후 각 프레임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상기 포트홀 기준 이미지와 비교되는 평면화된 최소 단위의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는,
    불일치 영역의 이미지 파일이 도로 노면의 포트홀로 분석시, 분석된 도로 노면의 포트홀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산출된 포트홀 크기로부터 보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결정되는 보수 등급에 따른 포트홀의 통행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판단된 통행 위험도에 따른 보수 우선 순위를 결정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면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홀 크기는, 상기 CCTV로 촬영된 도로 노면의 폭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전후좌우 방향의 직경 크기와 명암비에 따른 깊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홀 크기의 보수 등급에 따른 통행 위험도 판단은, 상기 크기와 깊이를 가지는 도로 노면의 포트홀 검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시뮬레이션된 포트홀에 가상의 타이어를 프로그램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시뮬레이션된 포트홀을 통과하는 가상 타이어이 파손 정도를 분석하여 통행 위험도를 안전과 주의 및 위험군으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 노면의 포트홀 종류에 따른 상기 기준 이미지와 그 종류별 통행 위험도를 포함하는 제 1 기준정보,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정보에 매칭되는 포트홀 보수 재료와 보수 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2 기준정보가 사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KR1020190154267A 2019-11-27 2019-11-27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KR10225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67A KR102252369B1 (ko) 2019-11-27 2019-11-27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67A KR102252369B1 (ko) 2019-11-27 2019-11-27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369B1 true KR102252369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67A KR102252369B1 (ko) 2019-11-27 2019-11-27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8239A (zh) * 2022-05-23 2022-08-05 青岛理工大学 一种城市道路积水风险点智能识别预警系统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65A (ko) * 2009-09-22 2011-03-30 휴앤에스(주) 도로관리 시스템 및 도로관리 방법
KR20150029080A (ko) * 2013-09-09 2015-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면정보 수집장치, 관리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3342B1 (ko) * 2015-02-23 2015-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1999B1 (ko) * 2015-12-11 2016-08-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포트홀 및 크랙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675928B1 (ko) 2014-08-20 2016-11-14 최남현 포트홀 복구 차량
KR20170021961A (ko) * 2015-08-18 2017-03-02 (주)즐거운미래 주행 차량을 이용한 포트홀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47233B1 (ko) * 2015-12-23 2017-06-27 한국도로공사 노면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9155B1 (ko) * 2017-11-17 2019-02-18 주식회사 영국전자 도로 침수 감시 cctv 및 방법, 및 도로 침수 감시 cctv를 포함하는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KR101956624B1 (ko) 2017-12-29 2019-03-11 효성화학 주식회사 폴리케톤 모노필라멘트
US20190329786A1 (en) * 2018-04-25 2019-10-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65A (ko) * 2009-09-22 2011-03-30 휴앤에스(주) 도로관리 시스템 및 도로관리 방법
KR20150029080A (ko) * 2013-09-09 2015-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면정보 수집장치, 관리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75928B1 (ko) 2014-08-20 2016-11-14 최남현 포트홀 복구 차량
KR101543342B1 (ko) * 2015-02-23 2015-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1961A (ko) * 2015-08-18 2017-03-02 (주)즐거운미래 주행 차량을 이용한 포트홀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1999B1 (ko) * 2015-12-11 2016-08-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포트홀 및 크랙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47233B1 (ko) * 2015-12-23 2017-06-27 한국도로공사 노면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9155B1 (ko) * 2017-11-17 2019-02-18 주식회사 영국전자 도로 침수 감시 cctv 및 방법, 및 도로 침수 감시 cctv를 포함하는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KR101956624B1 (ko) 2017-12-29 2019-03-11 효성화학 주식회사 폴리케톤 모노필라멘트
US20190329786A1 (en) * 2018-04-25 2019-10-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8239A (zh) * 2022-05-23 2022-08-05 青岛理工大学 一种城市道路积水风险点智能识别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21B1 (ko) 객체 인지 기반의 실시간 영상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6561B1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패치 단위 도로 크랙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095528B1 (ko) 연속류도로 사고 및 돌발 자동판별 검지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80105B2 (e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raffic conflicts
CN103236181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交通信号灯状态监控系统及方法
KR20190094005A (ko) 도로 노면 손상 탐지를 위한 영상 처리 및 딥러닝 이미지 분류 장치 및 방법
CN105206055B (zh) 一种交通监控视频识别车辆碰撞的事故检测方法
US116051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defects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N105788269A (zh) 基于无人机的异常交通识别方法
CN209168403U (zh) 超限高车辆预警系统
CN104240239A (zh) 一种基于道路图像探测局域路段雾霾天气的检测方法
CN110020797A (zh) 基于感知缺陷的自动驾驶测试场景的评价方法
CN111862656A (zh) 智能运载工具的地图更新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KR102171295B1 (ko) 웹 gis 기반의 지능형 도로 위험도 관리 시스템
US20230306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infrastructure
KR102252369B1 (ko) Cctv 연동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CN112749630A (zh) 一种道路路况智能视频监控方法及系统
CN112532921A (zh) 一种水利系统智能化监控实现方法及系统
CN113850995A (zh) 一种基于隧道雷视数据融合的事件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111767775B (zh) 一种监控场景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463913A (zh) 违规停车智能检测装置与方法
CN105208339A (zh) 一种监控视频识别车辆碰撞的事故检测方法
CN102496030A (zh) 电力监测系统中危险目标的识别方法及装置
TW202111658A (zh) 交通事件偵測系統及方法
CN106448163B (zh) 道路监控方法及道路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