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20B1 -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20B1
KR102252320B1 KR1020140139072A KR20140139072A KR102252320B1 KR 102252320 B1 KR102252320 B1 KR 102252320B1 KR 1020140139072 A KR1020140139072 A KR 1020140139072A KR 20140139072 A KR20140139072 A KR 20140139072A KR 102252320 B1 KR102252320 B1 KR 10225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coder
key
unauthoriz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273A (ko
Inventor
최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320B1/ko
Priority to US14/868,552 priority patent/US999217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ing time-dependent keys, e.g. periodically chang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이용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고, 여기서,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의 감지는 제1 키가 아닌 다른 키를 요청하기 위한 것임,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에 제1 키와 다른 키인 제2 키를 요청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하고, 및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하고,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고,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은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누적양을 계산하고,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의 감소량을 계산하고, 데이터의 누적량 및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의 감소량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s playing}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배포에 용이한 스트리밍 형태의 서비스는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W3C에서 MSE/EME라는 새로운 표준을 제정한 이후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분야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컨텐츠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컨텐츠 보호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므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어떤 식으로 컨텐츠를 보호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필연적으로 대두되었다.
종래 기술은 라이선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승인된 사용자만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라이선스 데이터는 노출 및 유포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을 검출하는 방법 및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방법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을 검출하는 방법 및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호기가 구성될 때까지는, 상기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방법은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키 요청 단계는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이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누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입력되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측정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입력되는 네트워크 트래픽보다 소정 기준 이상 큰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복호기로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키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복호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들이 웹 브라우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고,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며, 상기 제2 키로 제2 복호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브라우저 및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호기가 구성될 때까지는, 상기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옵저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키의 요청은 상기 옵저버가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옵저버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이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옵저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옵저버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옵저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입력되거나, 상기 컨테트 재생 디바이스로부터출력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측정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입력되는 네트워크 트래픽보다 소정 기준 이상 큰 경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복호기로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는 키 생성을 위해 필요한 상기 서버의 주소, DRM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키를 요청하는 디먹서(Demux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컨텐츠 재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방법은,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복호기가 구성될 때까지는, 상기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컨텐츠가 재생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와 브라우저의 동작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의 구성도이다.
도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및 브라우저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1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리밍이란 소리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과 더불어 재생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130)와 같이 촬영한 정보를 스트리밍 서버(1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보내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에는 저장 장치(110)에 저장된 VOD(Video on demand) 및 AOD(Audio on demand)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1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보내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는 데스크 탑(150, 160, 170), 휴대 전화(180), 스마트 TV(190), 랩 탑, PDA 또는 다른 다양한 다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중의 어떤 것이 될 수 있다.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브라우저(210) 및 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200)는 웹 브라우저 등의 브라우저(210)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사용 인증을 받고,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복호화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하여 서버는 컨텐츠의 특정 세그먼트에 키(key)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해 두고, 서버로부터 인증 받은 키를 가진 사용자만이 해당 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브라우저(210)는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아 제1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키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브라우저(210)는 또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을 감지한 경우, 브라우저(210)는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키를 수신한 브라우저(210)는 제2 키로 제2 복호기를 구성한 후, 제2 복호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제2 키가 수신되어 제2 복호기가 구성되면, 제1 키 및 제1 키를 기초로 구성된 제1 복호기로는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없다.
출력부(230)는 복호화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외부 장치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210) 및 출력부(230)는 별도의 구성 단위로 표현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브라우저(210)와 출력부(230)가 합쳐져 동일한 구성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210) 및 출력부(230)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 내부에 인접한 구성 단위로 표현되었지만, 브라우저(210) 및 출력부(230) 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인접할 필요는 없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 브라우저(210) 및 출력부(230)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물리적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의 기능 중 일부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1 키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서버는 인증된 사용자 또는 재생 디바이스에만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키 및 제1 키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복호기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복호기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일 수도 있다.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는 암호화된 상태이므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제1 복호기를 통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거나, 제1 키의 수신일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지난 경우,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키를 기초로 제2 복호기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1 키 및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시키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2 키 및 제2 키와 관련된 기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복호기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일 수도 있다.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제1 복호기로는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없다.
단계 S37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제2 복호기로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과정 중에도 S330, S350 단계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수행할 수 있다. 즉, S330, S350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1 복호기로 복호화된 컨텐츠를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고, S350 단계가 완료된 시점부터는 제2 복호기로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백그라운드로 키의 교체를 수행하여, 새로운 보안체계를 갖추는 것과 동시에, 하나의 컨텐츠를 단절 없이 출력할 수 있다.
도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컨텐츠가 재생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A 시점에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기 시작할 수 있다.
B 시점에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백그라운드로 제2 복호기의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
C 시점부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기 시작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A 시점에 컨텐츠 재생을 시작한 때부터 C 시점에 컨텐츠 재생이 완료되기까지 단절 없이 컨텐츠 재생이 지속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하고,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하여 기 재생되었던 컨텐츠를 다시 보기로 재생할 때에도 제2 복호기 구성 후에는 제2 복호기로 재복호화해서만 재생할 수 있고, 제2 복호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는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한 번 재생된 컨텐츠도 키가 변경되고 복호기가 재구성되면, 해당 복호기 없이는 다시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1 키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란 서버로부터 정당한 재생 권한을 획득하지 않고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가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7, 도8 및 도9에서 후술한다.
만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이 감지되면,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할 수 있다(S550).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접속 서버의 주소,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종류 및 키 생성을 위한 데이터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59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2 복호기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제1 복호기 및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비활성화하여, 제2 복호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는 컨텐츠의 어떠한 부분도 재생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도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와 브라우저의 동작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출력부가 제1 키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안, 브라우저는 T610의 시점에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을 감지하고, T630의 시점에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할 수 있으며, T650의 시점에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할 수 있다. T670의 시점에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출력부는 제2키를 기초로 구성한 제2 복호기로 복호화한 컨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T670 시점을 기점으로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호기가 제1 복호기에서 제2 복호기로 변경되지만, 컨텐츠 출력에 있어서 단절은 없다.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누적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 세그멘트(segment)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세그멘트란 데이터의 네트워크를 통한 실질적 전송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할된 조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된 데이터 누적분보다 소정 기준 이상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저장 장치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디스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실시예의 경우,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은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 크기만큼 감소되어야 한다.
만일,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된 데이터 누적분보다 소정 기준 이상 크면,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된 데이터 누적분보다 소정 기준 이상 크면, 저장 장치에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이외에 악성 코드 등의 유해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수신된 컨텐츠가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복제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된 데이터 누적분보다 크더라도,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발생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보호 체계를 갱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갱신 절차는 실제 컨텐츠의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으면서 컨텐츠 보호를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크다.
도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단계 S81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수신한 컨텐츠를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란 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와 같은 휘발성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브라우저에 종속된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단계 S83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소정 기준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는 실시예의 경우,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은 감소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있어서, 데이터의 저장은 필수 요소가 아니므로, 스트리밍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든 물리적 저장 장치에 저장되었다는 것은 데이터의 악의적 사용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일 수 있다.
만일,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소정 기준 이상이면,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 감소분이 소정 기준 이상이더라도,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발생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서버에 제2 키를 요청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보호 체계를 갱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갱신 절차는 실제 컨텐츠의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으면서 컨텐츠 보호를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크다.
도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 S91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200)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측정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네트워크 출력량이 디바이스(200)로의 입력량에 비해 소정 기준 이상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네트워크 출력량이 입력량에 비해 소정 기준 이상 큰 경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수신된 컨텐츠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되고 있는 것일 수 있으므로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 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네트워크 출력량이 입력량에 비해 소정 기준 이상 큰 경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950).
도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의 구성도이다.
브라우저(210)는 버퍼(buffer)(1010), 디먹서(Demuxer)(1030), 옵저버(Observer)(1050) 및 복호기(Decryptor)(107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1010)는 브라우저에서 메모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버퍼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및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 및 키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디먹서(1030)는 접속 서버의 주소 및 DRM의 종류를 포함하는 키 생성을 위해 필요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옵저버(1050)가 서버에 새로운 키를 요청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옵저버(1050)는 서버로부터 버퍼(1010)로 유입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누적할 수 있다. 또한 옵저버(1050)는 저장 장치 가용 공간의 감소분을 확인하거나,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픽을 측정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
옵저버(1050)는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서버에 새로운 키를 요청할 수도 있다.
복호기(1070)는 버퍼(1010)로부터 키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복호기는 프록시(proxy) 서버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록시 서버 형태란 출력부가 컨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서버 및 버퍼(1010)와 출력부의 사이에 중계 기능을 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복호기(1070)는 서버 또는 버퍼(1010)로부터 수신하여 복호화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출력부가 출력하려는 컨텐츠가 복호기(1070)에 기 저장된 컨텐츠인 경우, 서버 또는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대신 복호기(1070)에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및 브라우저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컨텐츠 서버(110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키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서 브라우저(111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200)로 컨텐츠 및 키를 전송할 수 있다.
버퍼(1130)는 컨텐츠 서버(1100)로부터 컨텐츠 및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디먹서(1140)는 컨텐츠 서버(1100)에 키를 요청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옵저버(1150)가 서버(1100)에 새로운 키를 요청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옵저버(1150)는 서버(1100)로부터 버퍼(1110)로 유입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누적할 수 있다. 또한 옵저버(1150)는 저장 장치(1160)의 가용 공간의 감소분을 확인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고,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서버(1100)에 새로운 키를 요청할 수 있다.
복호기(1170)는 버퍼(1110)로부터 키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복호기는 프록시(proxy) 서버의 존재할 수 있다.
디코더(decoder)(1180)는 부호로 수신된 컨텐츠를 영상 또는 음성과 같이 재생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할 수 있다.
출력부(1190)는 디코딩된 컨텐츠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이용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의 감지는 상기 제1 키가 아닌 다른 키를 요청하기 위한 것임;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인 제2 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누적양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감소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누적량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상기 감소량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복호기가 구성될 때까지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누적량이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상기 감소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복호기로는 상기 컨텐츠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에 상기 제2 키를 요청하며,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복호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들이 웹 브라우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9.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수신하고,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이용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고, 여기서,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의 감지는 상기 제1 키가 아닌 다른 키를 요청하기 위한 것임;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인 제2 키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키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키로 제2 복호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누적양을 계산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의 감소량을 계산하고, 상기 데이터의 누적량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상기 감소량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2 복호기가 구성될 때까지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누적량이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상기 감소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이 감지되었다고 결정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복호기로는 상기 컨텐츠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키 생성을 위해 필요한 상기 컨텐츠 서버의 주소, DRM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 상기 제2 키를 요청하는 디먹서(Demuxer)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17.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제1 키(key)를 기초로 구성한 제1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이용하여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승인되지 않은 사용의 감지는 상기 제1 키가 아닌 다른 키를 요청하기 위한 것임;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승인되지 않은 사용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인 제2 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키를 수신하여 제2 복호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호기의 구성이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호기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복호기로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누적양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감소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누적량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상기 가용 공간의 상기 감소량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인되지 않은 컨텐츠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39072A 2014-10-15 2014-10-15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25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072A KR102252320B1 (ko) 2014-10-15 2014-10-15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14/868,552 US9992173B2 (en) 2014-10-15 2015-09-29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laying back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072A KR102252320B1 (ko) 2014-10-15 2014-10-15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73A KR20160044273A (ko) 2016-04-25
KR102252320B1 true KR102252320B1 (ko) 2021-05-14

Family

ID=5574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72A KR102252320B1 (ko) 2014-10-15 2014-10-15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92173B2 (ko)
KR (1) KR102252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782B1 (ko) * 2016-07-08 2017-09-21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7109A1 (en) * 2011-09-12 2013-03-14 Tektronix, Inc. Monitoring Over-the-Top Adaptive Video Streaming
US20130238896A1 (en) * 2012-03-12 2013-09-12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live streaming based on trusted relationships
US20140013112A1 (en) * 2010-02-22 2014-01-09 Asaf CIDON Encrypting files with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9842B2 (ja) * 1998-05-08 2001-12-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の不正利用防止システム
US7151832B1 (en) * 1999-11-18 2006-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a stream of data
EP1356622B1 (en) * 2000-11-10 2012-04-04 AOL MusicNow LLC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subscription system
EP1680887A4 (en) * 2003-10-16 2013-06-26 Maxxia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UNAUTHORIZED SIGNAL USE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KR100745280B1 (ko) 2005-12-16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컨텐츠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814520B1 (ko) 2006-06-30 2008-03-17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Drm 컨텐츠 제공/재생 방법 및 장치
US8095991B2 (en) * 2008-02-26 2012-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streaming captured content based on criteria regulating a sequence of elements
KR101012561B1 (ko) 2008-08-22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rm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drm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5001544A2 (en) * 2013-07-01 2015-01-08 Agent Video Intelligence Ltd. System and method for abnormality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3112A1 (en) * 2010-02-22 2014-01-09 Asaf CIDON Encrypting files with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20130067109A1 (en) * 2011-09-12 2013-03-14 Tektronix, Inc. Monitoring Over-the-Top Adaptive Video Streaming
US20130238896A1 (en) * 2012-03-12 2013-09-12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live streaming based on trusted relationsh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73A (ko) 2016-04-25
US9992173B2 (en) 2018-06-05
US20160112379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7143A1 (en)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JP5756567B2 (ja) ハードウェアベースの信頼のルート内でメタデータに基づき動的且つリアルタイムに広告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751800B1 (en) DRM provider interoperability
US9519758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ing malicious access of protected content
US20110170687A1 (en) Content decoding apparatus, content decod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AU2010276315B2 (en) Off-line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layered encryption
US20170034554A1 (en) Method of delivering and protecting media content
JP6396551B2 (ja) ディジタルメディア品質をユーザに示す方法、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096887A1 (zh) 防盗链的方法及装置
JP2008538676A (ja) ストリーム化された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ための権限管理
CN10888196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US11757854B2 (en) Secure stream buffer on network attached storage
US97731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contents
WO2010142674A1 (en) Content protection continuity through authorized chains of components
KR102252320B1 (ko) 컨텐츠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N11038084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1862209B1 (ko) 오픈 트러스티드 실행 환경 기반의 콘텐츠 보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1355980A (zh) 用于数字化视频产品的版权归属处理方法、中间件及系统
US20240214362A1 (en) Distributed data content protection
US20240214361A1 (en) Distributed data content protection
KR101861125B1 (ko) 원격지 인프라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보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5592584B1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76937B2 (en) Determining eligibility to access downloadable content associated with physical media
Peinado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Windows Media Player
Park et al. Protecting ASF movie on V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