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642B1 -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 Google Patents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642B1
KR102251642B1 KR1020200103600A KR20200103600A KR102251642B1 KR 102251642 B1 KR102251642 B1 KR 102251642B1 KR 1020200103600 A KR1020200103600 A KR 1020200103600A KR 20200103600 A KR20200103600 A KR 20200103600A KR 102251642 B1 KR102251642 B1 KR 10225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afety inspection
elastic body
fingers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명선
남용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0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는 핸들부; 및 핸들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틈에 삽입되도록 상호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측정자를 구비하여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본 발명은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표면에 발생한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터널, 건축물 등 구조물의 균열 원인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균열의 폭이 미세하여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균열의 진행속도 또한 매우 느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공자나 사용자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기 쉬운 면이 있다.
그러나, 어떠한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균열 변형 게이지, 디지털 균열 측정기, 균열자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균열 변형 게이지 및 디지털 균열 측정기는 가격이 고가이고 관련 장비들의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균열자는 휴대가 용이하고 균열의 폭을 개략적으로 측정하는데 유용하지만 균열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446호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제안되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연직방향이 아닌 콘크리트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균열의 폭보다 더 작은 직경의 측정침이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될 수 없게 되므로 균열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446호(2013.03.28.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이 다양한 크기를 갖더라도 균열의 폭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틈에 삽입되도록 상호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측정자를 구비하여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측정자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측정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결합홈들에 각각 삽입된 후,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와 상기 측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된 한 쌍의 핑거; 상기 한 쌍의 핑거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면이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에 대한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 및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결합되고 중심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턱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중심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웃하는 상기 걸림턱들 사이에 걸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되고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스틸 재질; 또는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이고, 상기 탄성체에 피복된 피복재는 고무, 테프론,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에테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일 수 있다.
상기 피복재는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및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의 블랜딩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비공액 폴리엔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3
식 중에서, Ra 및 Rb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페닐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3은 C1-10알킬 또는 산소이고;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알킬 또는 페닐이고, 상기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 중 적어도 3개는 할로겐이고; R12는 시아노, 옥시라닐메틸 또는 에테닐메틸이고; Y는 디메틸페닐 또는 트리메틸페닐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 및 s는 0 내지 30의 정수이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자는 스틸 재질; 또는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측정자는 표면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측정자는 PEEK(Poly Ether Ether Keton) 또는 POM(Polyacetal)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균열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틈에 삽입되도록 상호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측정자를 구비함으로써, 균열의 폭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정자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균열이 구조물의 표면에서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도 정확하게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는 핸들부(110)와, 핸들부(110)에 연결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130)와, 핸들부(110)와 측정부(1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연결유닛(150)을 매개로 측정부(130)가 핸들부(1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30)는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틈에 삽입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부(130)는 핸들부(110)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에 삽입되는 상호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측정자(13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핸들부(110)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결합된 복수의 측정자(135)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원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정자(135)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며,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에 삽입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외주면에 마련된 측정자(135)의 개수에 의해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정자(135)는 삼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정자(135)에는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두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 내지 도 3에는 10개의 측정자(135)의 두께는 최소두께 0.1mm부터 최대두께 1.0mm까지 0.1mm 두께의 차이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소두께 0.1mm부터 최대두께 2.0mm까지 0.2mm의 두께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측정자(135)가 갖는 최소두께 및 최대두께 그리고 두께의 차이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측정자(135)의 최소두께 및 최대두께 그리고 두께의 차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정자(135)와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정자(135)와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정자(135)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결합홈(133)들에 각각 삽입된 후 결합부재(137)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측정자(135)와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리벳에 의해 결합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나사, 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150)은 핸들부(110)와 측정부(1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유닛(150)은 핸들부(110)에서 연장된 한 쌍의 핑거(151)와, 한 쌍의 핑거(151)에 각각 마련되되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일면이 밀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53)와, 지지 플레이트(153)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13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5)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핑거(151)는 핸들부(1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핑거(151)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의 핑거(151)의 대향되는 끝단은 상호 이격되고 상호 접근가능하다.
한 쌍의 핑거(151)의 대향되는 끝단에는 지지 플레이트(153)가 마련되며, 지지 플레이트(153)의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대향되는 일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밀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접촉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53)는 핑거(151)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53)의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대향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155)가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13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55)는 지지 플레이트(153)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55)가 삽입홀(132)에 삽입된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걸림돌기(155)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핸들부(110)와 측정부(130)의 연결은 한 쌍의 핑거(151)를 상호 이격되게 벌린 후 결합돌기(155)를 삽입홀(132)에 삽입하여 핸들부(110)와 측정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유닛(150)은 핸들부(110)에 측정부(130)를 연결하며,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측정부(130)를 연결유닛(15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를 이용한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균열 폭 측정기의 동작상태도이다.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틈의 크기에 대응된다고 생각하는 측정자(135)를 선택한 후 해당 측정자(135)를 틈에 삽입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틈의 크기와 측정자(135)의 두께가 일치하는 때의 측정자(135)의 두께를 균열의 폭으로 기록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균열의 방향이 구조물의 표면에서 연직방향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틈의 크기에 대응되는 측정자(135)를 틈에 삽입하고 측정자(135)가 틈의 양측에 걸리면 측정자(135)가 삽입된 깊이에 대응되는 균열의 폭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이 구조물의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경사진 틈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측정자(135)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 가능한 측정자(135)는 경사진 틈을 따라 삽입되고 측정자(135)의 양측이 틈에 걸리면 측정자(135)가 삽입된 깊이에 대응되는 균열의 폭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자(135)는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가지고 탄성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자(135)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예컨데 스테인레스 스틸(SUS) 등의 스틸재질 또는 비정질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측정자(135)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PEEK(Poly Ether Ether Keton), POM(Polyacetal)일 수 있다.
상기 비정질 금속 재질은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일 수 있다. 합금 제조에서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및 함량비는 달성하고자 하는 기계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목적하는 강도와 탄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한편, 비정질 금속은 금속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105~106 K/sec 이상의 빠른 냉각 속도로 급랭하여 고체화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비정질 합금은 결정질 합금과 달리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배열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고탄성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후 빠른 회복력을 나타낸다. 특히, 큰 변형이나 반복 변형시에도 탄성 영역을 유지하기 때문에 표면 결함 등이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표면 조건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데 지르코늄 계 비정질 금속 시편은 굽힘 피로시험에서, 대조군인 SUS 시편보다 굽힘 피로 특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굽힘 피로시험에서, SUS 시편이 탄성 한계 이상의 변형이 확인되는 반복구간에서도 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늄 계 비정질 금속 시편은 피로한계 이하의 변형을 나타내었으며, 고탄성 및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자(135)가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에 삽입되는 동안 구조물에 접촉되어 마모되는 경우에 균열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에 측정자(135)는 표면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하고, 고탄성을 나타내므로 금속 재질의 내구성 및 탄성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폴리머의 제조에 첨가되는 수지의 함량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 정도 및 내스크레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멜라닌계 수지의 블렌딩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멜라닌계 수지의 비율이 0.1~99.9 중량%:99.9~0.1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멜라닌계 수지의 블렌딩 공중합체로 코팅하는 경우, 얇은 두께의 코팅에도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하며, 측정자(135)의 탄성력을 향상시키고, 압입 깊이 회복률이 우수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데, 카본블랙일 수 있다. 카본 블랙이 첨가된 폴리머 코팅층은 카본 블랙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머와 비교하여 압입 깊이 회복율이 높고, 스크레치 회복성도 우수한 경향이 있으므로 측정자(135)의 고탄성 특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a)는 핸들부(110a)와, 핸들부(110a)에 연결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130a)와, 핸들부(110a)와 측정부(130a)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150a)과, 연결유닛(150a)에 대한 측정부(130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17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a)와, 베이스 플레이트(131a)와 측정자(135a)를 구비한 측정부(130a)와, 한 쌍의 핑거(151a)와 지지 플레이트(153a) 및 결합돌기(155a)를 구비한 연결유닛(150a)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측정자(135)를 구비한 측정부(130)와, 한 쌍의 핑거(151)와 지지 플레이트(153) 및 결합돌기(155)를 구비한 연결유닛(1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17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170a)는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에 측정자(135)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틈에 대향되게 측정자(13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측정자(135)의 위치는 한 쌍의 핑거(151)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고정시켜 달성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70a)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삽입홀(13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171a)과, 결합돌기(155)의 외주면에 중심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되 이웃하는 걸림턱(171a)들 사이에 걸려 한 쌍의 핑거(151)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73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173a)는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탄성체(173a)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예컨데 스테인레스 스틸(SUS) 등의 스틸재질 또는 비정질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비정질 금속 재질은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일 수 있다. 합금 제조에서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및 함량비는 달성하고자 하는 기계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목적하는 강도와 탄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한편, 비정질 금속은 금속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105~106 K/sec 이상의 빠른 냉각 속도로 급랭하여 고체화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비정질 합금은 결정질 합금과 달리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배열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고탄성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후 빠른 회복력을 나타낸다. 특히, 큰 변형이나 반복 변형시에도 탄성 영역을 유지하기 때문에 표면 결함 등이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표면 조건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데 지르코늄 계 비정질 금속 시편은 굽힘 피로시험에서, 대조군인 SUS 시편보다 굽힘 피로 특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굽힘 피로시험에서, SUS 시편이 탄성 한계 이상의 변형이 확인되는 반복구간에서도 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늄 계 비정질 금속 시편은 피로한계 이하의 변형을 나타내었으며, 고탄성 및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탄성체(173a)에는 피복재(미도시)가 피복될 수 있다.
피복재는 고무, 테프론,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에테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복재는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및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의 블랜딩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비공액 폴리엔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화학식 1]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4
식 중에서, Ra 및 Rb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5
식 중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페닐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3은 C1-10알킬 또는 산소이고; p 및 q는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6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알킬 또는 페닐이고, 상기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 중 적어도 3개는 할로겐이고;
R12는 시아노, 옥시라닐메틸 또는 에테닐메틸이고;
Y는 디메틸페닐 또는 트리메틸페닐이고;
r 및 s는 0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피복재는 비공액 폴리엔 5 내지 89.9 중량%, 폴리실록산 5 내지 89.9 중량% 및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 5 내지 8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피복재가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및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의 블랜딩 공중합체인 경우, 종래의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내열성, 내산성 및 내기성이 우수하여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피복재로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으로 피복재의 탄성도, 인장강도, 인장 파열강도, 내마모성 등 기계적 성질을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카본블랙, 규산, 실리카, 무기충전제 등의 보강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조제; 가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의 탄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공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제는 카본블랙일 수 있다. 카본 블랙이 첨가된 피복재는 카본 블랙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머와 비교하여 압입 깊이 회복율이 우수하고, 굽힘 피로시험에서 피로한계 이하의 변형을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 R12는 옥시라닐메틸일 수 있으며, 옥시라닐메틸인 경우, 압축변형성이 낮고 장기 내수성이 우수하다.
한편, 탄성체(173a)와 피복재 사이에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제조된 아라미드 직물 층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직물은 탄성체(173a) 및 피복제와 하이브리드되도록 표면이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으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 또는 아라미드 직물 층의 삽입은 탄성체(173a)와 피복재 사이의 밀착성을 우수하게 하고, 탄성력 및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아라미드사 단독 또는 아라미드사와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함께 꼬아 만든 아라미드-탄소나노튜브 복합사일 수 있다. 아라미드-탄소나노튜브 복합사의 경우, 아라미드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더욱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탄성체(173a)는 결합돌기(155a)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156a)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삽입홀(132a)의 내주면 방향으로 둘출되고 탄성체(173a)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6a)에 삽입되고 삽입홈(156a)의 개구에 걸림결합된다.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1a)가 한 쌍의 핑거(151a)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삽입홈(156a)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71a)에 의해 가압되고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결합돌기(155a)의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턱(171a)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71a)을 타고 넘는다. 이때 탄성체(173a)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6a)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삽입홈(156a)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1a)가 한 쌍의 핑거(151a)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가압해제되고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삽입홀(132a)의 내주면 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웃하는 걸림턱(171a)들 사이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탄성체(173a)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6a)의 내부에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탄성체(173a)의 중심부는 삽입홈(156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홀(132a)의 내주면에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171a)과 결합돌기(155a)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156a)에 걸림결합된 탄성체(173a)를 구비한 위치 고정부(170a)를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핑거(151a)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a)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아울러 측정자(135a)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b)는 핸들부(110b)와, 핸들부(110b)에 연결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130b)와, 핸들부(110b)와 측정부(130b)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15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b)와, 베이스 플레이트(131b)와 측정자(135b)를 구비한 측정부(130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측정자(135)를 구비한 측정부(1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150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150b)은, 핸들부(110b)에서 연장된 한 쌍의 핑거(151b)와, 한 쌍의 핑거(151b)에 연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31b)에 일면이 밀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b)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53b)와, 지지 플레이트(153b)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b)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132b)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5b)와, 한 쌍의 핑거(151b)에 나사결합되되 지지 플레이트(153b)의 일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1b)에 밀착되도록 지지 플레이트(153b)의 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157b)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핑거(151b)는 핸들부(110b)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핑거(151b)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의 핑거(151b)의 대향되는 끝단은 상호 이격되고 상호 접근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에는 가압부재(157b)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가압부재(157b)는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57b)는 핑거(151b)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일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57b)가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순차로 지지 플레이트(153b)가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이 지지 플레이트(153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153b)에는 관통홀(154b)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53b)의 베이스 플레이트(131b)에 대향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155b)가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1b)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132b)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55b)는 지지 플레이트(153b)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4b)은 지지 플레이트(153b) 및 결합돌기(155b)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55b)가 삽입홀(132b)에 삽입된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31b)는 걸림돌기(155b)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핸들부(110b)와 측정부(130b)의 연결은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에 가압부재(157b)를 나사결합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31b)에 결합돌기(155b)를 삽입홀(132b)에 삽입한 상태에서 한 쌍의 핑거(151b)를 상호 이격되게 벌린 후 한 쌍의 핑거(151b)의 끝단을 관통홀(154b)에 삽입한다. 그리고 가압부재(157b)를 회전시켜 지지 플레이트(153b)의 타면을 가압하고 지지 플레이트(153b)의 일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1b)를 가압하도록 하여 핸들부(110b)와 측정부(130b)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유닛(150b)은 핸들부(110b)에 측정부(130b)를 연결하며,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측정부(130)를 연결유닛(15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c)는 핸들부(110c)와, 핸들부(110c)에 연결되어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130c)와, 핸들부(110c)와 측정부(130c)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150c)과, 연결유닛(150c)에 대한 측정부(130c)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170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c)와, 베이스 플레이트(131c)와 측정자(135c)를 구비한 측정부(130c)와, 한 쌍의 핑거(151c)와 지지 플레이트(153c)와 결합돌기(155c) 및 가압부재(157c)를 구비한 연결유닛(150c)은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10b)와, 베이스 플레이트(131b)와 측정자(135b)를 구비한 측정부(130b)와, 한 쌍의 핑거(151b)와 지지 플레이트(153b)와 결합돌기(155b) 및 가압부재(157bb)를 구비한 연결유닛(150b)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170c)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170c)는 균열에 의해 발생된 틈에 측정자(135c)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틈에 대향되게 측정자(135c)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측정자(135c)의 위치는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c)의 위치를 고정시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170c)는 베이스 플레이트(131c)의 삽입홀(132c)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171c)과, 결합돌기(155c)의 외주면에 중심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되 이웃하는 걸림턱(171c)들 사이에 걸려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c)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73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걸림턱(171c)과 탄성체(173c)를 구비한 위치 고정부(170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걸림턱(171a)과 탄성체(173a)를 구비한 위치 고정부(170a)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1c)를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해 상대회전시키기에 앞서 지지 플레이트(153c)의 일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1c)에서 밀착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부재(157c)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31c)를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경우,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삽입홈(156c)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71c)에 의해 가압되고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결합돌기(155c)의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턱(171c)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71c)을 타고 넘는다. 이때 탄성체(173c)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6c)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삽입홈(156c)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1c)가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가압해제되고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삽입홀(132c)의 내주면 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웃하는 걸림턱(171c)들 사이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탄성체(173c)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6c)의 내부에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탄성체(173c)의 중심부는 삽입홈(156c)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53c)의 일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1c)에서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부재(157c)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홀(132c)의 내주면에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171c)과 결합돌기(155c)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156c)에 걸림결합된 탄성체(173c)를 구비한 위치 고정부(170c)를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핑거(151c)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c)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아울러 측정자(135c)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균열 폭 측정기
110, 110a, 110b, 110c: 핸들부
130, 130a, 130b, 130c: 측정부
150, 150a, 150b, 150c: 연결유닛
170a, 170c: 위치 고정부

Claims (13)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틈에 삽입되도록 상호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측정자를 구비하여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측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된 한 쌍의 핑거;
    상기 한 쌍의 핑거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면이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측정자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측정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결합홈들에 각각 삽입된 후,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에 대한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의 복수의 걸림턱; 및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결합되고 중심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턱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중심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웃하는 상기 걸림턱들 사이에 걸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되고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대해 상대 회전을 완료한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틸 재질; 또는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이고,
    상기 탄성체에 피복된 피복재는 고무, 테프론,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에테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비공액 폴리엔, 폴리실록산 및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의 블랜딩 공중합체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액 폴리엔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페닐렌에테르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화학식 1]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20086758651-pat00009

    식 중에서, Ra 및 Rb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페닐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3은 C1-10알킬 또는 산소이고;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알킬 또는 페닐이고, 상기 R4, R5, R6, R7, R8, R9, R10 및 R11 중 적어도 3개는 할로겐이고;
    R12는 시아노, 옥시라닐메틸 또는 에테닐메틸이고;
    Y는 디메틸페닐 또는 트리메틸페닐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 및 s는 0 내지 30의 정수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한 쌍의 핑거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스틸 재질; 또는 Mg 계, Ca 계, Al 계, Sn 계, Ti 계, Zr 계, Hf 계, Fe 계, Co 계, Ni 계 및 Cu 계 비정질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표면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로 코팅된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PEEK(Poly Ether Ether Keton) 또는 POM(Polyacetal) 재질인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0200103600A 2020-08-19 2020-08-19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25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00A KR102251642B1 (ko) 2020-08-19 2020-08-19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00A KR102251642B1 (ko) 2020-08-19 2020-08-19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642B1 true KR102251642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00A KR102251642B1 (ko) 2020-08-19 2020-08-19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6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00B1 (ko) * 2022-03-11 2022-06-30 주식회사 대한구조컨설턴트 검사용 망치
KR102558469B1 (ko) * 2022-10-18 2023-07-25 (주)고양이엔씨 안전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7B1 (ko) * 2022-10-18 2023-07-25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구조물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4B1 (ko) * 2022-10-18 2023-07-25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74109B1 (ko) * 2022-10-18 2023-09-0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05U (ko) * 1990-06-18 1992-02-27
JP2003004021A (ja) * 2001-06-21 2003-01-08 Daido Metal Co Ltd 索導管のライナー
JP2011220749A (ja) * 2010-04-07 2011-11-04 Nakanihon Highway Engineering Nagoya Kk クラックゲージ
KR101248446B1 (ko) 2011-08-22 2013-03-28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구조물 점검용 균열측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05U (ko) * 1990-06-18 1992-02-27
JP2003004021A (ja) * 2001-06-21 2003-01-08 Daido Metal Co Ltd 索導管のライナー
JP2011220749A (ja) * 2010-04-07 2011-11-04 Nakanihon Highway Engineering Nagoya Kk クラックゲージ
KR101248446B1 (ko) 2011-08-22 2013-03-28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구조물 점검용 균열측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00B1 (ko) * 2022-03-11 2022-06-30 주식회사 대한구조컨설턴트 검사용 망치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9B1 (ko) * 2022-10-18 2023-07-25 (주)고양이엔씨 안전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7B1 (ko) * 2022-10-18 2023-07-25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구조물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4B1 (ko) * 2022-10-18 2023-07-25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74109B1 (ko) * 2022-10-18 2023-09-0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42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Bazbouz et al. The tensile properties of electrospun nylon 6 single nanofibers
Li et al. Determination of activation energy for glass transition of an epoxy adhesive using dynamic mechanical analysis
Hadley et al. The transverse compression of anisotropic fibre monofilaments
Monclus et al. AFM indentation method used for elastic modulus characterization of interfaces and thin layers
Zhao et al. Tribological behavior of an amorphous Zr20Ti20Cu20Ni20Be20 high-entropy alloy studied using a nanoscratch technique
US5178017A (en) Test fixture for measuring stiffness in flexible materials
CN109163642B (zh) 一种角度测量装置
Zhou et al. Fretting fatigue i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s
Xiao et al. Effect of molecular weight on scratch and abrasive wear behavior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Das et al. Sliding of adhesive nanoscale polymer contacts
Qiu et al. Time-dependent contact behavior between diamond and a CNT turf
Hung et 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Arcan specimen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s under pure shear and biaxial loading
KR100903164B1 (ko) 인장 크리프 시험기용 그립
CN213275121U (zh) 跨度可调的弯曲模量实验仪
WO2013158387A1 (en) Pendulum-type mar testing device
Qian et al. Nanofretting behaviors of NiTi shape memory alloy
Swain et al.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wo glassy carbon materials using pointed indenters
CN214502349U (zh) 一种承压类特种设备鼓包变形尺寸测量仪
Achanta et al. Friction from nano to macroforce scales analyzed by single and multiple-asperity contact approaches
Carnaby et al. 12—THE SHEAR PROPERTIES OF WOOL WEFT-KNITTED STRUCTURES
Schwalbe et al. Draft EGF recommendations for determining the fracture resistance of ductile materials: EGF Procedure EGF P1–87D
CN213068460U (zh) 一种用于铸件硬度检测设备中固定夹具
CN215640549U (zh) 一种岩石劈裂法抗拉试验夹具
Enomae et al. Stylus Profilometry: marking by the sty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