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398B1 - 에어워셔 - Google Patents

에어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398B1
KR102250398B1 KR1020140113516A KR20140113516A KR102250398B1 KR 102250398 B1 KR102250398 B1 KR 102250398B1 KR 1020140113516 A KR1020140113516 A KR 1020140113516A KR 20140113516 A KR20140113516 A KR 20140113516A KR 102250398 B1 KR102250398 B1 KR 10225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unit
humidifica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971A (ko
Inventor
양승대
양현봉
오영진
김준우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4011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3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에어워셔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워셔는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와, 가습필터가 결합되는 가습바디부와 가습필터가 접촉된 물에서 가습바디부를 부양시키는 플로팅부재 및 물을 가습필터로 안내하는 흡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워셔{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에 수용되는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하여 가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팬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 및 배기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기를 여과시키게 된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식과 전기 집진식으로 구분되며, 필터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하게 되고, 전기 집진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집진기를 통해 흡착하게 된다.
최근에는 실내 환경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공기 정화 및 가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의 보급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 순환팬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가습 디스크를 거치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가습 디스크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가습 디스크의 물에 의해 가습되어 배기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103호(2012. 08. 02. 공고, 발명의 명칭 : 가습 공기 청정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에 수용되는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하여 가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유닛은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가 결합되는 가습바디부; 상기 가습필터가 접촉된 물에서 상기 가습바디부를 부양시키는 플로팅부재; 및 물을 상기 가습필터로 안내하는 흡수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가이드부는, 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플로팅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가이드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습필터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습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흡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로팅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터가이드부와, 상기 플로팅부재와 상기 가습바디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측면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조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유닛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도록 상술한 가습필터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유닛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에 의해 가습된 공기를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에 구비되고, 물을 투입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된 급수바디부; 상기 급수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급수바디부에 결합되는 개폐커버; 및 상기 급수바디부와 상기 개폐커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는 수조에 수용되는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하여 가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필터유닛의 승강을 부드럽게 하고, 가습필터유닛이 수조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필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플로팅부재의 부양에 따라 플로팅부재에서 가습바디부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물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이 가습필터에 안정되게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가습필터유닛을 거쳐 가습된 후 상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고,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가습필터유닛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정되게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공기의 가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의 배출을 안정화시키고, 상측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며, 급수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이 공기토출구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을 위해 에어워셔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에어워셔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구를 통한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에어워셔에 구비되는 급수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의 물 접촉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에서 가습필터유닛의 물 접촉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수조(10)와, 메인프레임유닛(20)과, 가습필터유닛(30)과, 송풍유닛(40)과, 토출유닛(50)을 포함하고, 급수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는 에어워셔에서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된다. 수조(10)에는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11)의 감지 동작을 통해 물의 공급 여부를 알 수 있다.
메인프레임유닛(20)은 측면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수조(10)에 구비된다. 메인프레임유닛(20)은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21)와, 에어필터(21)가 결합되는 메인바디부(22)와, 에어필터(21)를 지지하도록 메인바디부(22)에 결합되는 메인탈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부(22)에는 필터링된 공기 또는 가습된 공기가 수용되는 메인공간부(221)가 형성되고, 메인바디부(22)의 상부에는 공기를 송풍유닛(40)으로 유도하는 메인유로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부(22)에는 에어필터(21)가 안착되는 메인안착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탈착부(23)는 메인안착부(223)에 지지된 에어필터(21)가 이탈되지 않도록 메인바디부(22)에 결합된다. 메인안착부(223)와 메인탈착부(23)에는 메인지지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지지부(225)는 에어필터(21)를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공기의 필터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부(22)와 메인탈착부(23)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된 메인후크부(231)와 홈이 형성된 메인걸림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후크부(231)와 메인걸림부(233)의 후크 결합을 통해 메인바디부(22)와 메인탈착부(23)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메인프레임유닛(20)은 수조(10)와 메인바디부(22) 중 적어도 메인바디부(22)를 감싸는 바디커버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커버부(24)는 메인바디부(22) 또는 수조(10)를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바디커버부(24)에는 메인안착부(223)에 대응하여 측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커버부(24)에는 사용자가 에어워셔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24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습필터유닛(30)은 메인프레임유닛(20)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한다. 가습필터유닛(30)은 수조(10)의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수조(10)의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31)와, 가습필터(31)가 결합되는 가습바디부(32)와, 수조(10)의 물에서 가습바디부(32)를 부양시키는 플로팅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필터(31)는 수조(10)에 수용된 물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가습바디부(32)는 가습필터(31)가 결합되는 제1바디부(33)와, 가습필터(3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습공간부(321)를 형성하도록 제1바디부(33)와 결합되는 제2바디부(34)를 포함할 있다. 제1바디부(33)의 가습필터(31)와 제2바디부(34)의 가습필터(31)는 상호 이격되어 가습공간부(321)를 형성하게 된다. 가습필터(31)는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에 각각 끼움 결합됨에 따라 가습바디부(32)에는 가습필터(31)가 안착되는 가습안착부(3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가습필터(31)는 가습바디부(32)의 승강 방향으로 가습안착부(32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에는 각각 가습지지부(325)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습지지부(325)는 가습필터(31)를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공기의 가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바디부(32)에는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습후크부(331)와,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가습후크부(331)와 후크 결합되는 가습걸림부(332)와,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걸림지지부(334)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된 가습후크부(331)와 홈이 형성된 가습걸림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습후크부(331)와 가습걸림부(332)의 후크 결합을 통해 제1바디부(33)와 제2바디부(34)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고, 걸림지지부(334)를 통해 후크 결합 부위를 감싸 노출을 방지하고, 후크 결합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가습필터유닛(30)은 플로팅부재(35)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터가이드부(36)와, 플로팅부재(35)와 가습바디부(3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37)와, 물을 가습필터(31)로 안내하는 흡수가이드부(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가이드부(36)는 플로팅부재(35)에 관통 형성되는 플로팅홀부(362)와, 플로팅부재(35)의 부양에 따라 플로팅부재(35)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플로팅홀부(362)에 삽입되는 플로팅축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가이드부(36)는 수조(10)의 물에서 플로팅부재(35)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결합부(37)는 가습바디부(32)와 플로팅부재(35) 중 어는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부(371)와, 가습바디부(32)와 플로팅부재(35)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홈부(37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물이 흡수된 가습필터(31)와 가습바디부(32)의 하중에 의해 끼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가습바디부(32)가 플로팅부재(35)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흡수가이드부(38)는 물이 수용되도록 플로팅부재(35)에 형성되는 공급부(381)와, 공급부(381)와 연통되도록 가습필터(31)가 노출된 상태에서 가습바디부(32)에 형성되는 흡수부(382) 중 적어도 공급부(38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381)는 플로팅부재(35)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고, 흡수부(382)는 가습바디부(3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플로팅부재(35)는 수조(10)의 물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공급부(381)에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수조(10)의 물은 항상 공급부(381)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공급부(381)의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부(382)에서 상승됨으로써, 가습필터(31)는 항상 물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수조(10)의 물은 공급부(381)와 흡수부(382)에 모두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송풍유닛(40)은 메인프레임유닛(20)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 또는 가습필터유닛(30)에 의해 가습된 공기를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송풍유닛(40)은 슈라우드(41)와, 팬하우징(42)과, 구동모터(43)와, 원심팬(44)을 포함할 수 있다. 슈라우드(41)는 메인유로부(222)와 연통되도록 메인바디부(22)에 결합되고, 메인공간부(221)의 공기를 토출유닛(50)으로 유도한다. 슈라우드(41)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토출유닛(50)은 송풍유닛(40)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가 토출된다. 토출유닛(50)은 메인프레임유닛(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유닛(20)에서 이동되는 공기를 배출시킨다. 토출유닛(50)에는 공기를 상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기토출구(5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토출유닛(50)에는 공기토출구(5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안내갓(52)이 구비될 수 있다. 안내갓(52)은 토출유닛(5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갓(52)은 급수유닛(60)에 공급되는 물이 공기토출구(5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을 급수유닛(60)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유닛(50)에는 급수유닛(60)이 안착 지지되는 수용홈부(5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급수유닛(60)은 토출유닛(50)에 구비되어 수조(10)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급수유닛(60)의 가장자리 또는 급수유닛(60)의 일측으로 공기토출구(51)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유닛(60)은 급수바디부(61)와, 개폐커버(62)와, 슬라이더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바디부(61)는 토출유닛(50)에 구비되고, 물을 투입하기 위한 급수구(611)가 구비된다. 급수구(611)는 급수바디부(61)에서 에어워셔의 바닥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투입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급수바디부(61)에는 급수구(611)와 수조(10)를 연결하는 급수유로(612)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612)는 급수구(611)와 연통되고, 수조(1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때, 급수바디부(61)에는 개폐커버(6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는 유선홈부(613)가 구비될 수 있다. 유선홈부(613)는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개폐커버(62)를 상향 경사지게 이동시켜 급수구(611)를 개방하도록 한다. 유선홈부(613)는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일부이거나 구 형상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바디부(61)에는 디스플레이부(641)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라인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연결홀부(615)가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바디부(61)와 토출유닛(50)에는 각각 체결리브부(617)가 구비됨에 따라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리브부(617)에 나사 결합되어 급수바디부(61)와 토출유닛(5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개폐커버(62)는 급수구(611)가 개폐되도록 급수바디부(61)에 결합된다. 개폐커버(62)는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패널부(63)는 슬라이더부(65)를 매개로 급수바디부(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보호패널부(63)에는 마감패널부(64)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641)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연결라인이 통과되는 관통홀부(63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부(631)를 통과하는 연결라인은 연결홀부(61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통과한다. 여기서 보호패널부(63)에는 보호댐부(633)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댐부(633)는 보호패널부(63)에 구비되어 가이드홀부(67)를 감싼다. 보호댐부(633)는 보호패널부(63)에서 돌출 형성되고,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가이드홀부(67) 주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마감패널부(64)는 보호패널부(63)에 결합된다. 마감패널부(64)는 보호패널부(63)를 보호하고, 보호패널부(63)를 감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마감패널부(64)에는 디스플레이부(64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41)는 에어워셔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에어워셔를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에는 각각 급수후크부(642)와 급수걸림부(632)가 구비됨에 따라 급수후크부(642)와 급수걸림부(632)의 후크 결합을 통해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에는 각각 체결리브부(617)가 구비됨에 따라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리브부(617)에 나사 결합되어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부(65)는 급수바디부(61)와 개폐커버(62)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슬라이더부(65)는 지지가이드부(66)와, 가이드홀부(67)와, 지지바디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66)는 급수바디부(61)에 구비된다. 지지가이드부(66)는 급수바디부(61)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부와, 안내돌부에서 교차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66)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가이드부(66)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평행하도록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가이드부(66)가 이격 배치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에서 개폐커버(62)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홀부(67)는 지지가이드부(66)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보호패널부(63)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홀부(67)는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길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부(68)는 지지가이드부(66)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가이드부(66)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보호패널부(63)에 결합된다. 여기서, 보호패널부(63)와 지지바디부(68)에는 각각 체결리브부(617)가 구비됨에 따라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리브부(617)에 나사 결합되어 보호패널부(63)와 지지바디부(68)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바디부(68)에는 안내경로부와, 지지경로부가 포함될 수 있고, 고정날개부(68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부(68)에는 위치고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안내경로부는 안내돌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안내경로부는 안내돌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슬라이드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지지바디부(68)에 길게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지지경로부는 안내경로부와 연통되어 지지돌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지지경로부는 지지돌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슬라이드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지지바디부(68)에 길게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고정날개부(681)는 보호패널부(63)에 지지된다. 고정날개부(681)는 지지바디부(68)에서 연장 형성되어 보호패널부(63)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는 안내경로부 또는 지지경로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위치고정부는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안내돌부 또는 지지돌부가 걸림 결합됨으로써, 급수구(611)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토출유닛(50)에 결합되는 급수바디부(61)에는 보호패널부(63)가 적층된다. 이때, 지지가이드부(66)는 가이드홀부(67)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바디부(68)를 적층한 상태에서 안내돌부와 지지돌부가 각각 안내경로부와 지지경로부에 삽입되도록 지지바디부(68)를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교차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지지바디부(68)를 보호패널부(63)에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보호패널부(63)와 마감패널부(64)를 적층 결합한다.
상술한 급수유닛에 따르면, 슬라이더부(65)의 노출을 방지하고, 급수구(611)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커버(6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641)를 통해 에어워셔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에어워셔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연결라인의 단선을 방지하고, 연결라인을 보호하며, 연결라인이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바디부(61)에서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공기토출구(5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개폐커버(6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바디부(61)와 개폐커버(62)의 결합을 편리하게 하고, 개폐커버(6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65)의 결합을 통해 급수바디부(61)에서 개폐커버(6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급수바디부(61)에서 개폐커버(62)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커버(62)에서 지지바디부(68)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지지바디부(68)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커버(62)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커버(62)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방지하고, 물과 연결라인의 접촉을 방지하며, 물을 가이드홀부(67)로 유도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급수 동작을 살펴보면, 개폐커버(62)가 급수구(61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커버(62)를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가압하면, 지지가이드부(66)는 지지바디부(68)의 안내경로부와 지지경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급수구(6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지지가이드부(66)는 위치고정부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개폐커버(62)가 급수구(611)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폐커버(62)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된 급수구(611)에 물을 투입함으로써, 물을 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개폐커버(62)가 급수구(611)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폐커버(62)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면, 지지가이드부(66)와 위치고정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지지가이드부(66)는 지지바디부(68)의 안내경로부와 지지경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커버(62)는 급수구(611)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지지가이드부(66)는 위치고정부와 걸림 결합됨에 따라 개폐커버(62)가 급수구(61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커버(62)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에어워셔를 동작시키면, 가습필터(31)가 결합된 가습바디부(32)는 플로팅부재(35)에 의해 수조(10)의 물에서 부양된다. 이때, 공급부(381)와 흡수부(382) 중 적어도 공급부(381)가 수조의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가습필터(31)는 항상 물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가습필터(31)는 일정하게 물을 흡수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43)가 동작되면, 원심팬(44)이 회전되고, 메인공간부(221)에 수용된 공기는 토출유닛(50)으로 유도되어 공기토출구(5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메인공간부(221)의 공기는 에어필터(21)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와 가습필터(31)를 거쳐 가습된 공기가 혼합된 상태이다. 수위센서(11)에 의해 수조(10)에 물이 부족하면, 급수 동작을 통해 수조(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상술한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에 따르면, 수조(10)에 수용되는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하여 가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습필터유닛(30)의 승강을 부드럽게 하고, 가습필터유닛(30)이 수조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필터유닛(30)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플로팅부재(35)의 부양에 따라 플로팅부재(35)에서 가습바디부(32)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필터(31)가 물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이 가습필터(31)에 안정되게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가습필터유닛(30)을 거쳐 가습된 후 상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고,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가습필터유닛(3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정되게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공기의 가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의 배출을 안정화시키고, 상측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며, 급수유닛(60)으로 공급되는 물이 공기토출구(51)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 공급을 위해 에어워셔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에어워셔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수구(611)를 통한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에어워셔에 구비되는 급수구(611)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수조 11: 수위센서
20: 메인프레임유닛 21: 에어필터
22: 메인바디부 221: 메인공간부
222: 메인유로부 223: 메인안착부
225: 메인지지부 23: 메인탈착부
231: 메인후크부 233: 메인걸림부
24: 바디커버부 241: 공기유입구
242: 손잡이부 30: 가습필터유닛
31: 가습필터 32: 가습바디부
321: 가습공간부 323: 가습안착부
325: 가습지지부 33: 제1바디부
331: 가습후크부 332: 가습걸림부
334: 걸림지지부 34: 제2바디부
35: 플로팅부재 36: 필터가이드부
361: 플로팅축부 362: 플로팅홀부
37: 결합부 371: 결합홈부
372: 결합돌부 38: 흡수가이드부
381: 공급부 382: 흡수부
40: 송풍유닛 41: 슈라우드
42: 팬하우징 43: 구동모터
44: 원심팬 50: 토출유닛
51: 공기토출구 52: 안내갓
54: 수용홈부 60: 급수유닛
61: 급수바디부 611: 급수구
612: 급수유로 613: 유선홈부
615: 연결홀부 617: 체결리브부
62: 개폐커버 63: 보호패널부
631: 관통홀부 632: 급수걸림부
633: 보호댐부 64: 마감패널부
641: 디스플레이부 642: 급수후크부
65: 슬라이더부 66: 지지가이드부
67: 가이드홀부 68: 지지바디부
681: 고정날개부

Claims (7)

  1. 물이 수용되는 수조; 측면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조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유닛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유닛을 거쳐 유입되는 공기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에 의해 가습된 공기를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닛; 및 상기 토출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에 구비되고, 물을 투입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된 급수바디부; 상기 급수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급수바디부에 결합되는 개폐커버; 및 상기 급수바디부와 상기 개폐커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더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바디부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유선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유닛은, 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가 결합되는 가습바디부;
    상기 가습필터가 접촉된 물에서 상기 가습바디부를 부양시키는 플로팅부재; 및
    물을 상기 가습필터로 안내하는 흡수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가이드부는, 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플로팅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가이드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습필터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습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흡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셔.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터가이드부와, 상기 플로팅부재와 상기 가습바디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셔.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13516A 2014-08-28 2014-08-28 에어워셔 KR10225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16A KR102250398B1 (ko) 2014-08-28 2014-08-28 에어워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16A KR102250398B1 (ko) 2014-08-28 2014-08-28 에어워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71A KR20160025971A (ko) 2016-03-09
KR102250398B1 true KR102250398B1 (ko) 2021-05-11

Family

ID=5553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516A KR102250398B1 (ko) 2014-08-28 2014-08-28 에어워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3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3Y1 (ko) * 2001-11-07 2002-02-02 신일산업 주식회사 필터 기화식 가습기
JP2013245825A (ja) * 2012-05-23 2013-12-09 Panasonic Corp 浮き体加熱加湿機構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加湿装置
JP2014016070A (ja) * 2012-07-06 2014-01-30 Panasonic Corp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533A (en) * 1986-12-11 1989-04-18 Emerson Electric Co. Humidifier with floating wick assembly and replaceable wick elements
KR20090004981U (ko) * 2007-11-21 2009-05-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습식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3Y1 (ko) * 2001-11-07 2002-02-02 신일산업 주식회사 필터 기화식 가습기
JP2013245825A (ja) * 2012-05-23 2013-12-09 Panasonic Corp 浮き体加熱加湿機構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加湿装置
JP2014016070A (ja) * 2012-07-06 2014-01-30 Panasonic Corp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71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32B1 (ko) 에어워셔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KR101225982B1 (ko) 공기청정기
US9423141B2 (en) Console humidifier
JP2012207863A (ja) 加湿器
KR102361033B1 (ko) 가습공기 청정기
KR101212682B1 (ko) 공기청정기
CN110513802B (zh) 一种蒸发式加湿器
KR102250398B1 (ko) 에어워셔
KR102237455B1 (ko)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
KR2016013681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30107535A (ko) 가습기
KR101225981B1 (ko) 공기청정기
CN108253562B (zh) 一种紧凑型冷风扇
KR102313301B1 (ko) 에어 워셔
KR102336629B1 (ko) 에어워셔
CN105665039A (zh) 感应调节布风的净气型试剂柜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TWI647414B (zh) Humidification device, purifier with the humidification device, humidifier and heater
EP3904774A1 (en) Air purifier comprising flow path control member
KR102237457B1 (ko) 급수형 에어워셔
KR20160025973A (ko) 가습필터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에어워셔
KR20170015598A (ko) 유동이 개선된 가습공기청정기
CN209558579U (zh) 具备加湿功能的净化器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