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307B1 -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 Google Patents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307B1
KR102250307B1 KR1020190090702A KR20190090702A KR102250307B1 KR 102250307 B1 KR102250307 B1 KR 102250307B1 KR 1020190090702 A KR1020190090702 A KR 1020190090702A KR 20190090702 A KR20190090702 A KR 20190090702A KR 102250307 B1 KR102250307 B1 KR 10225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eaf
plug
receiving
tea
ther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632A (ko
Inventor
김학래
Original Assignee
김학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래 filed Critical 김학래
Priority to KR102019009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3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4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with filters placed in or behind 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및 상기 외부마개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찻잎을 수용하는 찻잎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는 한편 찻잎수용부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찻잎배출저지부재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THERMOS BOTTLE HAVING TEA INFUSER PART}
본 발명은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찻잎수용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짐과 더불어 차를 이용한 음료, 다과 문화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찻잎을 우려내는 추출기나 인퓨저를 포터블 용기 또는 보온병 등에 접목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포터블 용기의 바닥부에 차망이나 찻잎수용구조가 마련되어 차를 우려내는 용기 구조나, 또는 보온병 용기의 상단에 마련되는 마개에 결합되는 차망 연결부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용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찻잎수용구조는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이 어려워 차의 농도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하며, 찻잎을 투입하거나 제거하는데도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 마개에 연결되는 차망 연결구조는 대부분 마개 사이즈에 따라 차망의 내부용적이 결정될 수 밖에 없어 찻잎 수용공간이 협소해지며, 마개과 연결되는 구조 자체가 복잡해짐에 따라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용기 구조는 용기를 기울일 때 차에 찻잎 찌꺼기가 임의 배출될 우려가 있어 음용 시 이물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는 한편 찻잎수용부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찻잎배출저지부재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및 상기 외부마개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찻잎을 수용하는 찻잎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찻잎수용부는, 찻잎을 수용하며,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수용몸체; 일단부가 상기 외부마개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용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용 브라켓부; 및 상기 수용몸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찻잎이 상기 액체토출유로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찻잎배출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몸체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확관되는 확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확관결합부와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외부마개가 수용되게 결합되는 외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에는 제1 자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캡에는 제2 자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캡은 상기 제1 및 제2 자성부재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 및 상기 본체결합부의 상측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구역을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찻잎배출저지부재는, 코어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확관결합부에 부분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제1 저지부재; 및 상기 제1 저지부재의 하부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코어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제2 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지부재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의 내벽과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나사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와 내부마개에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부가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는 상기 내부마개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각 상기 절개면이 상호 중첩될 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마개의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마개로부터 상기 내부마개의 완전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네크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에는 상기 외부마개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1 실링부와,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2 실링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에는 중심 축선을 따라 토출홀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에는 회동힌지를 통한 힌지커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는 상기 토출홀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찻잎수용부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찻잎배출저지부재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외부마개와 찻잎수용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외부마개와 찻잎수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내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찻입배출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의 실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외부마개와 찻잎수용부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외부마개와 찻잎수용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내부마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찻입배출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0)이 마련되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체토출유로(213)가 형성되는 외부마개(200); 상기 액체토출유로(213)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마개(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2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300);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외부마개(200)를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외부캡(500); 및 상기 외부마개(200)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찻잎을 수용하는 찻잎수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물이나 음료 등의 액체를 담는 용기를 말하며, 내부에는 액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 갈수록 다단 단차지며 협관되어 개구부(120, 도 2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0)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로 액체가 출입될 수 있다. 개구부(120)의 내벽에는 외부마개(200)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본체(100)는 단열 또는 온열 수단이 구비되는 보온병체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반 용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외부마개(2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에서 마련되어 개구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외부마개(200)는 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100)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210); 및 상기 본체결합부(210)의 상측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되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구역을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결합부(210)는 개구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체결합부(21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20)의 내벽과 본체결합부(210)의 외면이 상호 나사 결합이 가능할 수 있어 용기본체(100)에 외부마개(2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체결합부(210)의 내벽에는 제1 나사산(2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211)의 절개면(212)을 통해 액체토출유로(2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이러한 본체결합부(210)의 상부에는 만곡면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만곡면부(220)는 본체결합부(210)의 상측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되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마련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부 구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면부(220)로 인해 외부캡(500)을 용기본체(100)에 결합 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할 수 있는 일종의 완충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내부마개(300)는 도 2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내부마개몸체(302)와, 내부마개몸체(302)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301)와, 내부마개몸체(302)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토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마개몸체(302)는 대략 원형 단면으로 마련되며, 외면 중앙부에는 제2 나사산(3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나사산(311)에는 절개면(312, 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마개(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상기 제2 나사산(311)이 제거된 절개면(312)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213)는 상기 내부마개(3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외부마개(200)의 절개면(212)과 상호 중첩될 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300)에는 상기 외부마개(200)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1 실링부(360)와,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420)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2 실링부(3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마개(300)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자성부재(313)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외부캡(500)에는 제2 자성부재(5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캡(500)은 상기 제1 및 제2 자성부재(313, 510)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캡(500)과 용기본체(100) 간의 별도의 결합구조(예컨대, 나사부 등)가 생략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외부캡(500)은 부분적으로 반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캡(500) 체결 시 외부마개(200)의 만곡면부(220)의 색깔이나 재질(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재질로 골드 금장으로 마련됨)이 외부캡(500)을 통해 외부로 비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 전체적인 심미감이 강조되고, 부분적으로 컬러가 포인트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마개몸체(302)의 하단부에는 스토퍼(35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350)는 상기 내부마개(300)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마개(300)의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마개(200)로부터 상기 내부마개(300)의 완전 이탈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마개(본 실시예에서의 내부마개(300)에 대응)에 연결되는 차망 연결구조는 대부분 마개 사이즈에 따라 차망의 내부용적이 결정될 수 밖에 없어 찻잎 수용공간(110)이 협소해지며, 마개과 연결되는 구조 자체가 복잡해짐에 따라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마개(200)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는 찻잎수용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찻잎수용부(400)는 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찻잎을 수용하며, 판면에 다수의 통공(434)이 형성되는 수용몸체(410); 일단부가 상기 외부마개(2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용몸체(4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몸체(410)를 지지하는 지지용 브라켓부(420); 및 상기 수용몸체(4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찻잎이 상기 액체토출유로(213)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찻잎배출저지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몸체(410)는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용기본체(100) 내부의 수용공간(110)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몸체(410)의 판면에는 다수의 관통공(412)이 마련되어 수용몸체(410) 내부에 찻잎과 액체 간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며, 우려낸 차가 용이하게 수용공간(110)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수용몸체(410) 상단부에는 확관결합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확관결합부(411)는 수용몸체(410) 외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확관되게 마련되며, 확관결합부(41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4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관결합부(411)가 지지용 브라켓부(420)의 외면에 결합됨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확관결합부(411)가 지지용 브라켓부(420)의 내면과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수용몸체(410)와 확관결합부(411)는 제작 시 일체형 또는 선 결합되는 것이 유지보수 관리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확관결합부(411)는 지지용 브라켓부(4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지용 브라켓부(420)는 일단부가 상기 외부마개(2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용몸체(4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몸체(4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용 브라켓부(420)에는 외면 상에 토출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용 브라켓부(420)의 상단부에는 걸림네크부(422)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네크부(422)는 스토퍼(350)와 걸림 결합되어 내부마개(300)의 완전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찻잎배출저지부재(430)는 수용몸체(410) 내부의 찻잎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찻잎배출저지부재(430)는 도 2 내지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관결합부(411)에 부분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제1 저지부재(432); 및 상기 제1 저지부재(432)의 하부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코어몸체(43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제2 저지부재(4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지부재(432, 433)에는 다수의 통공(4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저지부재(432)는 코어몸체(43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저지부재(433)는 상기 제1 저지부재(432)의 하부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코어몸체(43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저지부재(432, 433)의 판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복수의 통공(434)이 마련될 수 있어 차 및 액체는 용이하게 액체토출유로(2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찻잎 찌꺼기는 액체토출유로(213)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200)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400)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찻잎수용부(400)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110)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200)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찻잎배출저지부재(430)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서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의 실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에 차를 우려내고 사용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찻잎을 수용시키고 배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부재가 개별 분리되는바, 외부마개(200)와 찻잎수용부(4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확관결합부(411)와 지지용 브라켓부(420) 간의 나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찻잎배출저지부재(430)를 탈거한 이후 수용몸체(410)에 찻잎을 수용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의 역순으로 사용된 찻잎을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우려낸 차를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을 주로 참조하면, 먼저 외부캡(500)이 제거된다. 한편, 외부캡(500)은 뒤집어서 컵으로 활용가능할 수 있다.
이후, 외부마개(200)에 대하여 내부마개(300)를 회전시키면 액체토출유로(213)가 활성화된다. 즉, 제1 나사산(211)에 대해 제2 나사산(311)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키게 되면, 내부마개(300)가 외부마개(200)로부터 업 동작이 이루어지고, 제1 실링부(360)와 제2 실링부(370)가 외부마개(200)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외부마개(200)의 제1 나사산(211)의 절개면(212)에 대해, 내부마개(300)를 회전시켜 제2 나사산(311)의 절개면(312)이 상호 중첩되게 하면, 액체토출유로(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수용공간(110)의 액체는 찻잎배출저지부재(430)의 통공(434), 지지용 브라켓부(420)의 토출공(421)을 거쳐 액체토출유로(213)를 통과하여 보온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내부마개(30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내부마개(300)의 완전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내부마개(300)의 스토퍼(350)가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8의 스토퍼(350)가 지지용 브라켓부(420)의 걸림네크부(422)에 접촉하여 이후의 내부마개(300) 상승을 저지한다. 물론, 세척을 위해 또는 찻잎을 수용하거나 배출을 위해서, 스토퍼(350)에 적정 힘을 더 가하게 되면 외부마개(200)로부터 내부마개(300)를 완전 이탈시킬 수도 있다.
한편,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해 보온병을 기울이는 상황에서도, 찻잎수용부(400) 상단부에 위치되는 찻잎배출저지부재(430)가 수용몸체(410) 내부의 찻잎 찌꺼기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고 있으며, 통공(434)으로 액체의 유출입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200)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400)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찻잎수용부(400)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110)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200)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찻잎배출저지부재(430)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제1 실시예의 보온병과는 내부마개(300a)의 구성에서 다소 차이점이 있는바, 이하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차별되는 내부마개(300a)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0)이 마련되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체토출유로가 형성되는 외부마개(200); 상기 액체토출유로(213)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마개(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마개(300); 상기 외부마개(200)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찻잎을 수용하는 찻잎수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의 외부캡(500)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마개(300a)의 구조가 제1 실시예와 다른데, 상기 내부마개(300a)에는 중심 축선을 따라 토출홀(3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체토출유로는 상기 토출홀(320)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홀(320)의 선택적 개폐는 힌지커버부(330)가 담당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내부마개(300a)의 상부에는 회동힌지(331)를 통한 힌지커버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커버부(330) 저벽에는 토출홀(320)을 밀폐시키는 밀폐 구성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내부마개(300a)를 동작시켜 즉, 힌지커버부의 단순 개방 동작만으로, 수용공간(110)의 액체가 용이하게 토출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또한, 2중의 마개 중 외부마개(200)에 결합되는 찻잎수용부(400)를 통해 찻잎을 물에 침지하는 시간 조절 및 농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찻잎의 투입 및 제거가 편리할 수 있다.
그리고, 찻잎수용부(400)의 내부용적이 커져 찻잎 수용공간(110)이 충분히 확보되며 외부마개(200)과 연결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분해가 쉬워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찻잎배출저지부재(430)가 찻잎 찌꺼기의 임의 배출을 차단하여 음용 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용기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개구부 200 : 외부마개
210 : 본체결합부 211 : 제1 나사산
212 : 절개면 220 : 만곡면부
300 : 내부마개 301 : 손잡이부
302 : 내부마개몸체 311 : 제2 나사산
312 : 절개면 313 : 제1 자성부재
320 : 토출홀 330 : 힌지커버부
331 : 회동힌지 350 : 스토퍼
360 : 제1 실링부 370 : 제2 실링부
400 : 찻잎수용부 410 : 수용몸체
411 : 확관결합부 412 : 관통공
420 : 지지용 브라켓부 421 : 토출공
422 : 걸림네크부 430 : 찻잎배출저지부재
431 : 코어몸체 432 : 제1 저지부재
433 : 제2 저지부재 434 : 통공
500 : 외부캡 510 : 제2 자성부재

Claims (13)

  1.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및
    상기 외부마개에 연결되되 상기 수용공간으로 길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찻잎을 수용하는 찻잎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 및
    상기 본체결합부의 상측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구역을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찻잎수용부는,
    찻잎을 수용하며,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수용몸체;
    일단부가 상기 외부마개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용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용 브라켓부; 및
    상기 수용몸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찻잎이 상기 액체토출유로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찻잎배출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몸체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확관되는 확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찻잎배출저지부재는,
    코어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확관결합부에 부분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제1 저지부재; 및
    상기 제1 저지부재의 하부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코어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제2 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지부재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마개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마개의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마개로부터 상기 내부마개의 완전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의 상단부에는 걸림네크부가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네크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결합부와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는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외부마개가 수용되게 결합되는 외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에는 제1 자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캡에는 제2 자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외부캡은 상기 제1 및 제2 자성부재가 자기적으로 상호작용으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의 내벽과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나사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와 내부마개에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부가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는 상기 내부마개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각 상기 절개면이 상호 중첩될 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에는 상기 외부마개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1 실링부와, 상기 지지용 브라켓부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2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에는 중심 축선을 따라 토출홀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에는 회동힌지를 통한 힌지커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는 상기 토출홀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KR1020190090702A 2019-07-26 2019-07-26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KR10225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02A KR102250307B1 (ko) 2019-07-26 2019-07-26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02A KR102250307B1 (ko) 2019-07-26 2019-07-26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32A KR20210012632A (ko) 2021-02-03
KR102250307B1 true KR102250307B1 (ko) 2021-05-10

Family

ID=7457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702A KR102250307B1 (ko) 2019-07-26 2019-07-26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51B1 (ko) * 2016-01-13 2018-01-10 (주)아모레퍼시픽 금속거름망을 구비한 휴대용 텀블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32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2346C2 (ru) Капсула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напитка из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вещества и пенообразующая перегород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псуле
KR20100075936A (ko) 음료추출장치
CA2667423C (en) Insert for filter holders of coffee machines, particularly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US9352901B2 (en)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KR102250307B1 (ko) 찻잎수용부를 가지는 보온병
CN102310967A (zh) 饮料用容器的栓体
US20180236415A1 (en) Quick Decanter
JP3212760U (ja) ポット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JP6900236B2 (ja) 飲料供給装置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CN212489439U (zh) 茶杯
JP3138633U (ja) コーヒー抽出用カップ
US2577200A (en)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makers
JP4162154B1 (ja) 飲料抽出装置
TWI695798B (zh) 水瓶
WO2010094104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JP7408484B2 (ja) 飲料抽出機
JP3139389U (ja) 深蒸し茶用急須
KR102575613B1 (ko) 커피 드리퍼의 물 조절 장치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CN211748576U (zh) 一种简易茶水分离杯
CN215650388U (zh) 一种瓶装水冷泡茶外置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