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05B1 -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 Google Patents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05B1
KR102250205B1 KR1020190168804A KR20190168804A KR102250205B1 KR 102250205 B1 KR102250205 B1 KR 102250205B1 KR 1020190168804 A KR1020190168804 A KR 1020190168804A KR 20190168804 A KR20190168804 A KR 20190168804A KR 102250205 B1 KR102250205 B1 KR 10225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t
drone
drone body
magnet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순
노명근
안태규
Original Assignee
(주)지오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룩스 filed Critical (주)지오룩스
Priority to KR102019016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6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specially adapted for use from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46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드론 본체에 와이어를 이용해 자력센서가 내설된 자력측정용 로켓을 연결 설치하되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탐사 지역의 정확한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는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랜딩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여부에 따라 이, 착륙 및 비행되는 드론 본체와, 상기 드론 본체와 제 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 1 와이어의 권취 및 권출 여부에 따라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 되고 내부에는 자력센서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론본체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자력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드론본체와 송, 수신되게 하는 자력측정용 로켓과,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전방, 그리고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후방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되는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력이 발생되게 하여 상기 드론 본체의 비행시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DRONE WITH MAGNETIC EXPLORATION MEASURING DEVICE}
개시된 내용은 소정의 상공을 비행하면서 자력센서를 통해 지면이나 지표의 자력 데이터 및 변화율 측정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력탐사는 지구의 외핵 내부의 유체운동에 기인해 생성되는 지자기장이나 그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철광석 등 유용한 광물자원을 확보하고, 해당 위치의 지질구조를 파악하는 탐사방법으로 지반조사, 유적탐사, 자원탐사 등에 활용된다.
이러한 자력탐사는 차량, 항공기, 선박, 인공위성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특히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자력탐사는 자원탐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탐사방법으로서, 광역적인 지질구조 파악 뿐만 아니라 철광이나 우라늄 광, 다이아몬드광의 직접 탐사에 적용된다. 또한 항공자력탐사는 정글, 호수, 지뢰 매설지역 등 육상 탐사가 어려운 곳을 탐사하는데 적합한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항공자력탐사는 주로 헬기나 고정익기를 이용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비용 및 안전성 측면을 고려해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인 드론(Drone)을 이용한 자력탐사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드론을 이용한 기존의 항공자력탐사 방식은 드론에 와이어를 이용해 자력센서를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해당 상공을 비행하며 자력탐사를 실시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드론 비행시 자력센서의 무게에 의해 와이어가 드론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변경됨으로써 자력센서가 드론에 근접 위치되어 드론의 모터, 배터리 등과의 간섭에 의해 센싱결과에 노이즈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바람 등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상상황과 드론의 비행속도 및 방향에 따라 자력센서가 연결된 로프가 쉽게 흔들리게 됨으로써 탐사 지역의 정확한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42491호(2016.07.19)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36021호(2018.04.09)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7129호2018.11.05)
따라서 개시된 내용은 드론에 와이어를 이용해 자력센서를 설치하되 선택적으로 자력센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탐사 지역의 정확한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랜딩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여부에 따라 이, 착륙 및 비행되는 드론 본체와, 상기 드론 본체와 제 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 1 와이어의 권취 및 권출 여부에 따라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 되고 내부에는 자력센서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론본체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자력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드론본체와 송, 수신되게 하는 자력측정용 로켓과,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전방, 그리고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후방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되는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력이 발생되게 하여 상기 드론 본체의 비행시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에 의하면 드론 본체에 와이어를 이용해 자력센서가 내설된 자력측정용 로켓을 연결 설치하되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탐사 지역의 정확한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의 드론 본체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의 자력측정용 로켓에 대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의 작동도.
도 6 내지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부분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작동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1)의 구성부재들과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드론 본체(10)는 자력탐사가 필요한 지형의 상공에서 비행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드론 본체(10)는 그 상부에 회전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프로펠러(11)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랜딩기어(12)가 구비되어 프로펠러(11)의 회전여부에 따라 이, 착륙 및 비행된다. 이와 같은 드론 본체(10)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론(Drone)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 착륙과 비행, 조종방법 등 그 구동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개시된 내용에서는 드론 형태의 비행체가 사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소형 항공기 또는 소형 헬리콥터 형상의 무인 비행체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드론 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제 1 권취수단(13)이 구비된다. 이 제 1 권취수단(13)은 그 하단이 추후에 설명될 자력측정용 로켓(20)과 연결된 제 1 와이어(24)의 상단이 연결되고, 회전 여부에 따라 제 1 와이어(24)가 권취 및 권출되게 하여 이 작동에 의해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되며 그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권취수단(13)은 제 1 와이어(24)의 상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양방향 회전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일방향 회전시 제 1 와이어(24)가 권취되도록 작동되면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상승되게 하고, 타방향 회전시 제 1 와이어(24)가 권출되도록 작동되면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하강되게 한다. 이때 전술한 제 1 와이어(24)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와이어(32)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자력측정용 로켓(20)이 구비된다. 이 자력측정용 로켓(20)은 전술한 제 1 와이어(24)와 추후에 설명될 두 개의 제 2 와이어(32)에 의해 드론 본체(10)와 승, 하강 하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부에 자력센서(22)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론 본체(1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드론 본체(10) 비행시 자력센서(22)에 의해 센싱된 해당 지형의 자력측정 데이터가 획득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력측정용 로켓(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수용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공기저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로켓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켓 본체(21)와, 수용공간 내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력센서(22)와, 일단은 드론 본체(10) 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자력센서(22)와 연결되어 자력센서(22)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드론 본체(10) 측으로 송신되게 하는 랜선(23)이 포함된다.
전술한 로켓 본체(21)는 공기저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뾰족한 로켓 형성으로 형성되고, 자력센서(22) 작동시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 비자성 재질과 내구성이 뛰어난 ADS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론 본체(10)의 평균 비행속도에서 최소 진자운동을 발생시키는 무게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로켓 본체(21)는 드론 본체(10)의 종류와 비행되는 고도 및 지역, 기후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로켓 본체(21)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로켓 본체(21)의 상부 전, 후방에는 제 1 지지홈(25)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자력센서(22)는 드론 본체(10)가 비행되는 지역의 지면이나 지표의 자력 데이터 및 변화율이 측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력센서(22)는 랜선(23)에 의해서 드론 본체(10)와 연결되어 센싱된 데이터가 드론 본체(10) 측과 송,수신되게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자력센서(22)와 드론 본체(10)가 랜선(23)에 의해 유선 접속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별도의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무선 접속되어 자력센서(22)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 수신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론 본체(10) 내부 일측에는 자력센서(22)와 랜선(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자력센서(22)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수신 및 저장되는 별도의 저장장치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 저장장치는 비행 완료 후 다른 저장장치에 백업될 수도 있고, 비행 중 실시간으로 소정의 위치로 다시 무선 송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력센서(2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력센서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수단(30)이 구비된다. 이 고정수단(30)은 전술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가 비행중에도 로켓 본체(21) 하측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론 본체(10)의 하부 전방과 자력측정용 로켓(20)의 상부 전방, 그리고 드론 본체(10)의 하부 후방과 자력측정용 로켓(20)의 상부 후방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드론 본체(10)로부터 승, 하강되는 자력측정용 로켓(20)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드론 본체(10)의 비행시 자력측정용 로켓(2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30)은, 드론 본체(10)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권취수단과, 일단은 제 2 권취수단(31)에 연결되고 타단은 로켓 본체(21)의 상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며 제 2 권취수단(31)의 회전방향에 따라 권취 및 권출되어 제 1 와이어(24)에 의해 높이 설정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그 위치 고정 여부를 위해 승, 하강 되게 하는 제 2 와이어(32)와, 내부가 중공된 다수 개의 관이 서로 분리 된 상태로 연결되되 그 내부로는 제 2 와이어(32)가 관통 위치되고 최상단은 드론 본체(10) 측에 고정 연결되며 최하단은 로켓 본체(21)와 고정 연결되어 제 2 와이어(32) 권취시 그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자력측정용 로켓(2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고, 제 2 와이어(32) 권출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고정폴대(33)가 포함된다.
전술한 고정수단(30)은 자력측정용 로켓(20)의 승, 하강에 따라 낱개 형태로 서로 분리되거나 장대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장대 형상으로 결합시 드론 본체(10)의 비행 조건이나 기후 및 기타 외부요인에 관계없이 자력측정용 로켓(20)이 항시 수직 하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 2 권취수단(31)은 전술한 제 1 권취수단(13)과 마찬가지로 그 하단이 자력측정용 로켓(20)과 연결된 제 2 와이어(32)의 상단이 연결되고, 회전 여부에 따라 제 2 와이어(32)가 권취 및 권출되게 하여 이 작동에 의해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되며 그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권취수단(31)은 제 2 와이어(32)의 상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양방향 회전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일방향 회전시 제 2 와이어(32)가 권취되면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상승되게 하고, 타방향 회전시 제 2 와이어(32)가 권출되면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하강되게 한다.
그리고 로켓 본체(21)에서 설명된 제 1 지지홈(25)은 제 2 와이어(32) 권취시 로켓 본체(21)와 연결된 최하단의 고정폴대(33) 하단이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와이어(32)가 권취 및 권출되는 제 2 권취수단(31)의 하부면에는 제 2 와이어(32) 권취시 상기 드론 본체(10)와 연결된 최상단의 고정폴대(33) 상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형상에 대응되는 제 2 지지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다수 개의 고정폴대(33) 상단에는 원뿔 형상의 결합돌기(33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돌기(331)에 대응되는 원뿔 형상의 결합홈(332)이 함입 형성되어 제 2 와이어(32) 권취시에 그 양측이 서로 고정됨으로써 자력측정용 로켓(20)에 대한 고정력이 발생되는 장대 형상으로 결합되되, 최상단의 고정폴대(33) 상단은 제 1 지지홈(25) 내에 지지 가능도록 원뿔 형상이 아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수 개의 고정폴대(33) 중 최상단의 고정폴대(33)는 제 2 권취수단(31)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밴드(34)로 연결 고정되고, 최하단의 고정폴대(33) 또한 로켓 본체(21) 전후방 양측에 각각 돌출된 고정돌기(211) 측에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밴드(34)로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최상단과 최하단 고정폴대(33)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폴대(33)들도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밴드(34)로 서로 연결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최상단의 고정폴대(33)와 최하단의 고정폴대(33)가 각각 제 2 권취수단(31)과 로켓 본체(21) 측에 밴드(34)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제 2 와이어(32)의 권취 여부에 따라 각각 제 2 지지홈(311)과 제 1 지지홈(25) 내에 그 상단 및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최상단의 고정폴대(33)가 분리됨 없이 제 2 권취수단(31) 측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최하단의 고정폴대(33)가 로켓 본체(21) 측에 분리됨 없이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드론 본체(10), 자력측정용 로켓(20) 및 고정수단(30)은 무선전파가 송신되는 컨트롤러(4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40)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론용 무선 조종기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소정 높이까지 이륙 된 상태에서 전술한 제 1 와이어(24)가 권출되도록 제 1 권취수단(13)을 작동시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 하측으로 완전히 하강되게 한다. 이때 다수 개의 고정폴대(33)들은 서로 낱개 형태로 분리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와이어(32)가 권취되도록 제 2 권취수단(31)을 작동시켜 하강 완료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소정 높이까지 상승되게 한다.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상승되면 먼저 최하단의 고정폴대(33) 하단이 제 1 지지홈(25) 내로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그 다음 최하단의 고정폴대(33) 상단의 결합돌기(331)가 그 직상부에 위치된 고정폴대(33) 하단의 결합홈(332)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고정폴대(33)들이 서로 결합되다가 최종적으로 최상단의 고정폴대(33) 상단이 제 2 지지홈(311) 내로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면서 다수 개의 고정폴대(33)들이 장대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드론이 비행하면서 탐사 지역의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장대 형상으로 결합된 다수 개의 고정폴대(33)에 의해 자력측정용 로켓(20)에 대한 고정력이 발생되어 드론 본체(10) 비행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 측으로 근접되거나 그 위치가 바람 등 외부요인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아 노이즈 발생없는 정확한 데이터 획득이 가능해진다.
그런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측정 완료 후 제 2 와이어(32)가 권출되도록 제 2 권취수단(31)을 작동시키면 도 7에서와 역순으로 장대 형상으로 결합된 고정폴대(33)들이 낱개 형태의 고정폴대(33)들로 각각 분리된다.
그런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와이어(24)가 권취되도록 제 1 권취수단(13)을 작동시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상승되게 하는데, 이때 자력측정용 로켓(20)이 드론 본체(10)의 랜딩기어(12)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되게 하여 드론 본체(10)가 안전하게 지면에 착륙될 수 있게 한다. 이때 고정폴대(33)들은 낱개 형태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자력측정용 로켓(20)이 상승되는데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에 의하면 드론 본체에 와이어를 이용해 자력센서가 내설된 자력측정용 로켓을 연결 설치하되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탐사 지역의 정확한 위치좌표 및 자력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10 : 드론 본체
11 : 프로펠러
12 : 랜딩기어
13 : 제 1 권취수단
20 : 자력측정용 로켓
21 : 로켓 본체
211 : 고정돌기
22 : 자력센서
23 : 랜선
24 : 제 1 와이어
25 : 제 1 지지홈
30 : 고정수단
31 : 제 2 권취수단
311 : 제 2 지지홈
32 : 제 2 와이어
33 : 고정폴대
331 : 결합돌기
332 : 결합홈
34 : 밴드
40 : 컨트롤러

Claims (8)

  1.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랜딩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여부에 따라 이, 착륙 및 비행되는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와 제 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 1 와이어의 권취 및 권출 여부에 따라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 되고 내부에는 자력센서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론 본체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자력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드론 본체와 송, 수신되게 하는 자력측정용 로켓; 및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전방, 그리고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후방과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상부 후방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승, 하강되는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력이 발생되게 하여 상기 드론 본체의 비행시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공기저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로켓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켓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력센서; 및
    일단은 상기 드론 본체 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력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자력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드론 본체 측으로 송신되게 하는 랜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중앙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와이어가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권취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권취수단;
    일단은 상기 제 2 권취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로켓 본체의 상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2 권취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 권취 및 권출되어 상기 제 1 와이어에 의해 높이 설정된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이 그 위치 고정 여부를 위해 승, 하강 되게 하는 제 2 와이어; 및
    내부가 중공된 다수 개의 관이 서로 분리 된 상태로 연결되되 그 내부로는 상기 제 2 와이어가 관통 위치되고 최상단은 상기 제 2 권취수단측에 고정 연결되며 최하단은 상기 로켓 본체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 2 와이어 권취시 그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제 2 와이어 권출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고정폴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이어의 하단이 연결되는 상기 로켓 본체에는 상부면에는 상기 제 2 와이어 권취시 상기 로켓 본체와 연결된 최하단의 상기 고정폴대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와이어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제 2 권취수단이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와이어 권취시 상기 제 2 권취수단과 연결된 최상단의 상기 고정폴대의 상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형상에 대응되는 제 2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6. 청구항 5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고정폴대 상단에는 원뿔 형상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원뿔 형상의 결합홈이 함입 형성되어 상기 제 2 와이어 권취시에 그 양측이 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에 대한 고정력이 발생되는 장대 형상으로 결합되되, 최상단의 상기 고정폴대 상단은 상기 제 1 지지홈 내에 지지 가능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제 2 와이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 본체, 상기 자력측정용 로켓 및 상기 고정수단은 컨트롤러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KR1020190168804A 2019-12-17 2019-12-17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KR10225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04A KR102250205B1 (ko) 2019-12-17 2019-12-17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04A KR102250205B1 (ko) 2019-12-17 2019-12-17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205B1 true KR102250205B1 (ko) 2021-05-11

Family

ID=7591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804A KR102250205B1 (ko) 2019-12-17 2019-12-17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561A (zh) * 2021-11-04 2021-12-31 中国人民解放军32382部队 风能式无人机磁探测器伸收装置
CN115508896A (zh) * 2022-09-26 2022-12-2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机载航空电磁法测量装置
CN117284518A (zh) * 2023-10-11 2023-12-26 中国地质科学院地球物理地球化学勘查研究所 一种多旋翼无人机航空全轴磁力梯度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91B1 (ko) 2015-11-27 2016-07-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철광체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66530A1 (en) * 2015-10-27 2017-03-09 Guided Syst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interior inspection of cavities using an unmanned aircraft system
KR20180036021A (ko) 2016-09-30 2018-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멀티콥터 기반의 전자탐사 시스템
US20180156770A1 (en) * 2016-10-12 2018-06-07 Aker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onitoring crops and soil conditions
KR101917129B1 (ko) 2018-05-18 2018-11-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단파장 광물탐색기를 갖는 드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6530A1 (en) * 2015-10-27 2017-03-09 Guided Syst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interior inspection of cavities using an unmanned aircraft system
KR101642491B1 (ko) 2015-11-27 2016-07-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철광체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36021A (ko) 2016-09-30 2018-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멀티콥터 기반의 전자탐사 시스템
US20180156770A1 (en) * 2016-10-12 2018-06-07 Aker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onitoring crops and soil conditions
KR101917129B1 (ko) 2018-05-18 2018-11-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단파장 광물탐색기를 갖는 드론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561A (zh) * 2021-11-04 2021-12-31 中国人民解放军32382部队 风能式无人机磁探测器伸收装置
CN113859561B (zh) * 2021-11-04 2024-04-26 中国人民解放军32382部队 风能式无人机磁探测器伸收装置
CN115508896A (zh) * 2022-09-26 2022-12-2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机载航空电磁法测量装置
CN115508896B (zh) * 2022-09-26 2023-08-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机载航空电磁法测量装置
CN117284518A (zh) * 2023-10-11 2023-12-26 中国地质科学院地球物理地球化学勘查研究所 一种多旋翼无人机航空全轴磁力梯度测量装置
CN117284518B (zh) * 2023-10-11 2024-03-22 中国地质科学院地球物理地球化学勘查研究所 一种多旋翼无人机航空全轴磁力梯度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205B1 (ko) 자력 탐사용 측정장치가 구비된 드론
AU2021203884B2 (en) System for mid-air payload retrieval by a UAV
KR101103846B1 (ko) 공중에 떠 다니는 무인 정보 수집과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447371B2 (en) Perforated capsule hook for stable high speed retract
AU202228128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dicated to deployment of operational infrastructure
WO20191261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f-deployment of operational infrastructure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R102306872B1 (ko) 수상 이착륙이 가능한 드론
US20160052614A1 (en) Variable buoyancy lighter than air glider
AU2022203944B2 (en) Safe unmanned aircraft
BR112021024619B1 (pt) Sistema de veículo aéreo suspenso e sistema para controlar o mesmo
US20230159167A1 (en) Package Loading Mechanism
US20230192296A1 (en) Package Retrieval System with Channel to Engage Payload Retriever
US11767114B2 (en) Package retrieval system with funneling mechanism
US11661177B2 (en) Fold-out propeller tip extensions
US20240150016A1 (en) Payload Receiver Apparatus for Use With a U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