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447B1 -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447B1
KR102249447B1 KR1020200155717A KR20200155717A KR102249447B1 KR 102249447 B1 KR102249447 B1 KR 102249447B1 KR 1020200155717 A KR1020200155717 A KR 1020200155717A KR 20200155717 A KR20200155717 A KR 20200155717A KR 102249447 B1 KR102249447 B1 KR 10224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hared content
resolution
inform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동
안재광
Original Assignee
(주)대교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교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대교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5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 기반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WebRTC-based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화상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 기반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염병 등으로 인하여, 대면 활동이 제약을 받는 환경이 되어, 비대면으로 업무를 처리하거나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학교와 같이 특정 시점에 개학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사이버 수업을 통하여 온라인 개학을 하고 있으며, 직장 내에서도 재택 근무의 활성화 및 원격 회의 등이 도입되고 있다.
이는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점점 더 많은 서비스들이 인터넷을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능해졌다. 예를 들면, 원격 회의 참여자 또는 온라인 원격 학습 대상자는 원격 회의 또는 원격 학습 제공 서버를 통하여 다른 회의 참여자 또는 학습 대상자와 통신을 함으로써, 원격 회의 또는 원격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68702호에는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일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회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회의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객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영상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비율이 사전에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볼륨 게인(Volume Gain)을 감소시키고, 상기 비율이 사전에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볼륨 게인을 증가시키고, 상기 비율이 상기 상한값 내지 상기 하한값인 경우에는 상기 볼륨 게인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볼륨 게인에 따라, 변조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687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온라인 회의 또는 학습 등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회의 또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특정 콘텐츠에 대하여 공통으로 관리하며 회의 또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화상정보 및 제어정보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는 공유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정보들에 상응하는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화면영역과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기설정된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메인화면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서브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대한 제1 해상도 및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되,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의 형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공유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어신호 및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필기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명령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필기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상응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각 사용자 단말장치간에 메시지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온라인 회의 또는 학습 등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회의 또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특정 콘텐츠에 대하여 공통으로 관리하며 회의 또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배치를 변경하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속도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총 3개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안화의 편의를 위해 일 예를 선택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 각각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컴퓨터,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실시하는 사용자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서로의 화상정보 및 다양한 공유 콘텐츠(ex. 학습 콘텐츠, 회의 콘텐츠 등)를 공유하면서 원격 회의 및 원격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사용자의 화상정보 및 제어정보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송신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는 공유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로부터 수신한 화상정보들에 상응하는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유 콘텐츠는, 특정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업로드한 문서 또는, 특정 사용자 단말장치의 특정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 또는 특정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서 수신한 화상정보들을 취합하여,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하나로 생성할 수도 있고,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로부터 수신한 화상정보마다 개별적으로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생성될 수 있고,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송신할 사용자 단말장치가 제2 공유 콘텐츠 정보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서는 개별적으로 생성된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마다 해상도 또는 스트리밍 등을 제어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출력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플러그인(Plugin)을 설치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도 구애받지 않고 높은 호환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다. 웹 브라우저 기반의 통신 방식인 WebRTC는 구글이 오픈 소스화한 프로젝트에서 기원한 것으로, 그 뒤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프로토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고, W3C에서 API 정의를 진행하였다.
현재, WebRTC는 데스크탑 PC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비발디 등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되고, 안드로이드에서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며, 크롬 OS, 파이어폭스 OS, 블랙메리, IOS 및 타이젠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지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종류,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에 구애받지 않고, 높은 호환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때, 인코딩하여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수신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화가 많은 화상정보에 대한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는 일반적인 인코딩 모드로 인코딩할 수 있고, 다소 정적인 공유 콘텐츠(ex. 문서 등)에 대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는 스킵 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화면영역과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은 화상정보가 출력되는 영역과 문서와 같이 변동이 적은 공유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해당 영역의 해상도를 별개로 저장하거나 스트리밍을 중지 또는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등이 포함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화면영역과 다수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영역을 구분하여 출력하고 있을 때, 네트워크 상태가 나빠짐에 따라 제2 화면영역의 스트리밍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제1 화면영역의 스트리밍을 일시정지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제2 화면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특별한 수정행위가 필요치 않은 보고 문서 등이나, 수업 자료 등이 공유 콘텐츠인 경우, 1회성 다운로드를 통하여 제1 화면영역의 스트리밍을 중단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화면영역과 제2 화면영역의 형태,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가 하나 이상으로 생성된 경우에는, 제2 화면영역도 다수 생성될 수 있으며, 각 제2 화면영역별로 해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 중 기설정된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메인화면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서브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대한 제1 해상도 및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되,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과 단계적으로 기설정된 임계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함께 조절하는 제1 모드,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측정값과 단계적으로 기설정된 임계값에 기반하여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제2 해상도만을 우선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최종임계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스트리밍을 중단하고, 상기 메인화면에 대한 제1 해상도를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에 기반하여 조절하는 제3 모드 중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최대한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네트워크 상태가 나빠짐에 따라 서브화면보다 회의 또는 학습 진행에 중요한 메인화면에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은, 기설정된 측정시간간격마다 1회씩 측정하며, 상기 1회씩 측정된 값을 기설정된 평균측정간격마다 평균값을 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시간간격을 0.001ms(마이크로 세컨드)로 설정하고, 평균측정간격을 1s(세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속도를 0.1ms 마다 측정하고, 1s 동안 구한 100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균값을 네트워크측정값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자주 변동하는 네트워크측정값에 따라 해상도를 계속 조절하는 경우 시스템 자원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노이즈 또는 기타 에러로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가 하나 이상일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제1 화면영역 및 제2 화면영역 또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화면 또한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DB를 구축하고,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직책, 중요도 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식별자를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 서비스를 개시하는 회의 주최자 또는 원격 학습을 수행하는 교사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 상응하는 식별자는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ID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마다, 직책(교사, 학습모임장, 학생, 사장, 팀장, 부장, 차장, 과장, 대리, 주임, 사원 등)에 관한 정보, 회의 또는 학습에 참여한 횟수에 관한 정보, 회의 또는 학습을 주최한 횟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DB를 구축하고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회의 또는 학습이 개시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회의 또는 학습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 상응하는 식별자마다 가중치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각 가중치정보를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DB에 기반하여 직책에 따른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고, 회의 또는 학습에 참여한 횟수에 따라 +1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회의 또는 학습을 주최한 횟수에 따라 +2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회의 또는 학습을 주최한 경우 +5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가중치정보가 가장 높은 사용자 단말장치를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중치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두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 설정할 수도 있고, 회의 또는 학습을 주최한 사용자 단말장치를 우선적으로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직책에 따라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는 예를 들면, 사원은 +1, 주임은 +2, 대리는 +3, 과장은 +4 등으로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고, 학생은 +1, 학습모임장은 +2, 교사는 +5 등으로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이는, 회의 또는 학습을 주최하거나 진행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사용자가 회의 또는 학습 진행에 가장 필요한 화면을 메인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의 형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공유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어신호 및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필기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명령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필기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상응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공동으로 관리되는 공유 콘텐츠를 수정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고, 잘못된 수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실행취소시킴으로써, 공유 콘텐츠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기신호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마다 색상, 형태 등으로 구분되어, 필기신호를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는, 각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간에 메시지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채널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가 참여한 메시지 채널이거나, 또는 특정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로 메시지 채널 형성 신청을 보내고 이를 수락하여 개별적으로 생성된 메시지 채널일 수도 있다. 이때, 전원이 참여한 메시지 채널과, 개별적으로 생성된 메시지 채널은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고,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1 제어 모듈(210), 제1 통신 모듈(220), 제1 입력 모듈(230), 제1 출력 모듈(240), 및/또는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 기반의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지원하는 웹사이트(및/또는 모바일앱)를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제2 제어 모듈(260), 제2 통신 모듈(270), 제2 입력 모듈(280), 및/또는 제2 출력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 2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 27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220)은 아래와 같은 통신표준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base station, BS)에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UE에서 BS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전송기(transmitter)는 BS의 일부이고, 수신기(receiver)는 UE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전송이기는 UE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BS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S는 제 1 통신 장치로, UE는 제 2 통신 장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BS는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gNB(Next Generation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접속 포인트(access point, AP), 네트워크 혹은 5G 네트워크 노드, AI 시스템, RSU(road side unit), 로봇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UE는 단말(terminal),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차량(vehicle), 로봇(robot), AI 모듈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DM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고 LTE-A(Advanced)/LTE-A pro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3GPP NR(New Radio 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는 3GPP LTE/LTE-A/LTE-A pro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A, NR)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된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LTE/NR은 3GPP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은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발명(disclosure)에서, 노드(node)라 함은 UE와 통신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는 고정된 포인트(point)를 말한다. 다양한 형태의 BS들이 그 명칭에 관계없이 노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 NB, eNB, 피코-셀 eNB(PeNB), 홈 eNB(HeNB), 릴레이(relay), 리피터(repeater) 등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BS가 아니어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리모트 헤드(radio remote head, RRH), 무선 리모트 유닛(radio remote unit, RRU)가 될 수 있다. RRH, RRU 등은 일반적으로 BS의 전력 레벨(power level) 더욱 낮은 전력 레벨을 갖는다. 일 노드에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안테나 포트, 가상 안테나, 또는 안테나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노드는 포인트(point)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셀(cell)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노드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정 지리적 영역 혹은 무선 자원을 말한다. 지리적 영역의 "셀"은 노드가 반송파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커버리지(coverage)라고 이해될 수 있으며, 무선 자원의 "셀"은 상기 반송파에 의해 설정(configure)되는 주파수 크기인 대역폭(bandwidth, BW)와 연관된다. 노드가 유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범위인 하향링크 커버리지와 UE로부터 유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상향링크 커버리지는 해당 신호를 나르는 반송파에 의해 의존하므로 노드의 커버리지는 상기 노드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의 "셀"의 커버리지와 연관되기도 한다. 따라서 "셀"이라는 용어는 때로는 노드에 의한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때로는 무선 자원을, 때로는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한 신호가 유효한 세기로 도달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셀과 통신한다고 함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혹은 노드와 통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셀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혹은 노드로부터의/로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를 의미한다. UE에게 상향링크/하향링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특히 서빙 셀(serving cell)이라고 한다. 또한, 특정 셀의 채널 상태/품질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혹은 노드와 UE 사이에 형성된 채널 혹은 통신 링크의 채널 상태/품질을 의미한다.
한편, 무선 자원과 연관된 "셀"은 하향링크 자원(DL resources)와 상향링크 자원(UL resources)의 조합, 즉, DL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와 UL CC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셀은 DL 자원 단독, 또는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으로 설정될(configured)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이 지원되는 경우, DL 자원(또는, DL CC)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와 UL 자원(또는, UL CC)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해당 셀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는 각 셀 혹은 CC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와 같을 수도 혹은 다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1차 주파수(primary frequency)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1차 셀(primary cell, Pcell) 혹은 PCC로 지칭하고, 2차 주파수(Secondary frequency)(또는 S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2차 셀(secondary cell, Scell) 혹은 SCC로 칭한다. Scell이라 함은 UE가 BS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수립(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UE와 상기 BS 간에 RRC 연결이 수립된 상태, 즉, 상기 UE가 RRC_CONNECTED 상태가 된 후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RRC 연결은 UE의 RRC와 BS의 RRC가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Scell은 UE에게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UE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Scell이 Pcell과 함께, 상기 UE를 위한 서빙 셀의 모음(set)을 형성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반송파 집성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지 않는 UE의 경우, Pcell로만 설정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셀은 고유의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LTE 셀 상에서는 LTE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른 전송/수신이 수행되며, 5G 셀 상에서는 5G RAT에 따른 전송/수신이 수행된다.
반송파 집성 기술은 광대역 지원을 위해 목표 대역폭(bandwidth)보다 작은 시스템 대역폭을 가지는 복수의 반송파들을 집성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반송파 집성은 각각이 시스템 대역폭(채널 대역폭이라고도 함)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복수의 직교하는 부반송파들로 분할된 기본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에 실어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OFDMA 기술과 구분된다. 예를 들어, OFDMA 혹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의 경우에는 일정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이 일정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분할되고, 정보/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부반송파들 내에서 매핑되며, 상기 정보/데이터가 맵핑된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상향 변환(upconversion)을 거쳐 상기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 주파수로 전송된다. 무선 반송파 집성의 경우에는 각각이 자신의 시스템 대역폭 및 반송파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들이 동시에 통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반송파 집성에 사용되는 각 주파수 대역은 일정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분할될 수 있다.
3GPP 기반 통신 표준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상위 계층(upper layer)(예, 매제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rotocol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비-접속 층(non-access stratum, NAS) 계층)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로서 정의되어 있으며, 참조 신호와 동기 신호가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로서 정의되어 있다. 파일럿(pilot)이라고도 지칭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는 BS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셀 특정적 RS(cell specific RS), UE-특정적 RS(UE-specific RS, UE-RS), 포지셔닝 RS(positioning RS, PRS), 채널 상태 정보 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 CSI-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들로서 정의된다. 한편, 3GPP 기반 통신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서 정의되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신호를 위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상향링크 채널 측정에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와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는 물리 계층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와 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각각(respectively)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및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물리 계층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상향링크 데이터 및 임의 접속 신호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각각 의미한다. 이하에서 UE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예, PUCCH, PUSCH, PRACH)를 전송한다는 것은 해당 상향링크 물리 채널 상에서 혹은 통해서 DCI,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임의 접속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BS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상향링크 물리 채널 상에서 혹은 통해서 DCI,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임의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BS가 하향링크 물리 채널(예, PDCCH, PDSCH)를 전송한다는 것은 해당 하향링크 물리 채널 상에서 혹은 통해서 DCI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UE가 하향링크 물리 채널을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하향링크 물리 채널 상에서 혹은 통해서 DCI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송 블록(transport block)은 물리 계층을 위한 페이로드이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 혹은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으로부터 물리 계층에 주어진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수송 블록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서 HARQ는 오류 제어 방법의 일종이다. 하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HARQ-ACK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HARQ-ACK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HARQ 동작을 수행하는 전송단은 데이터(예, 수송 블록, 코드워드)를 전송한 후 긍정 확인(ACK)을 기다린다. HARQ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단은 데이터를 제대로 받은 경우만 긍정 확인(ACK)을 보내며,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생긴 경우 부정 확인(negative ACK, NACK)을 보낸다. 전송단이 ACK을 수신한 경우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NACK을 수신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BS가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한 뒤, UE로부터 ACK/NACK을 수신하고 재전송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시간 딜레이(delay)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 딜레이는 채널 전파 지연(channel propagation delay), 데이터 디코딩(decoding)/인코딩(encoding)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HARQ 프로세스가 끝난 후에 새로운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 시간 딜레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에 공백이 발생한다. 따라서, 시간 딜레이 구간 동안에 데이터 전송에 공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독립적인 HARQ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초기 전송과 재전송 사이에 7번의 전송 기회(occasion)가 있는 경우, 통신 장치는 7개의 독립적인 HARQ 프로세스를 운영하여 공백 없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병렬 HARQ 프로세스들을 활용하면, 이전 UL/DL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을 기다리는 동안 UL/DL 전송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는 UE와 안테나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채널(혹은 링크라고도 함)의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한다. CSI는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CSI-RS 자원 지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 CRI), SSB 자원 지시자(SSB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자(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라 함은 신호/채널/사용자들을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에서 전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CDM)이라 함은 신호/채널/사용자들을 서로 다른 시간 자원에서 전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는 상향링크 반송파에서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상향링크용 반송파에 링크된 하향링크용 반송파에서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통신 방식을 말하며,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라 함은 상향링크 통신과 하향링크 통신이 동일 반송파에서 시간을 나누어 수행되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36, 24, 38 시리즈에 해당하는 문서(http://www.3gpp.org/specifications/specification-numbering)를 참조할 수 있다.
입력 모듈(230, 28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 28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화상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240, 29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제어 모듈(210, 26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 27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 29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5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영상 및 음성신호를 미디어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고, 화상서비스를 할 수 있고, 공유 콘텐츠(교재, 드로잉 등)는 WebRTC의 데이터채널과 웹소켓(Websocket)을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 콘텐츠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와 Kurento 기반의 미디어 서버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데이터 서버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와 HTTPS, JSON 및 Websocket 등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Kurento 기반의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와 WebRTC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서버와 상기 Kurento 기반의 미디어 서버는 Websocket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Kurento는 WebRTC 미디어 서버와 WWW 및 스마트폰 플랫폼을 위한 고급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단순하게 하는 클라이언트 API로써, Kurento 기반의 미디어 서버는 일반 미디어 서버 기능에 컴퓨터 비젼, 비디오 인덱싱, 증강현실 및 음성 분석 등 고급 기능으로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웹 브라우저(300)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웹 브라우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플러그인 설치없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특정 OS 또는 특정 브라우저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화면영역(310)과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영역(320)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통하여, 제1 화면영역(310)에 있는 공유 콘텐츠(400)를 편집할 수 있는 명령어신호 및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필기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송신할 수 있고,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명령어신호에 기반하여 공유 콘텐츠(400)를 편집하고, 상기 필기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에 오버레이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반영된 공유 콘텐츠에 기반하여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기신호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마다 색상, 형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필기신호를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문서 형태의 공유 콘텐츠에 제1 사용자가 강조 표시를 한 경우, 이를 제1 사용자 고유의 색상 또는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고(401), 제2 사용자가 밑줄 표시를 한 경우, 이를 제2 사용자 고유의 색상 또는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고(403), 제3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 경우, 이를 제3 사용자 고유의 색상 또는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405). 또한, 이에 대한 이력정보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서 생성 및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배치를 변경하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하여, 특정 공유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영역의 형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정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공유 콘텐츠 정보가 가장 큰 화면영역에 출력되고, 공유 콘텐츠에 대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가 작은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유 콘텐츠 정보가 가장 큰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큰 화면영역과 균일한 4개의 작은 화면영역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위한 것이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형태, 크기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메인화면선택정보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메인화면(50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나머지를 서브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메인화면선택정보는 메인화면(500)으로 설정할 공유 콘텐츠 정보에 관한 정보와 해당 메인화면(500)에 대응하는 화면영역의 형태, 크기 및 위치 변경에 대한 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회의 및 학습을 주도하는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원활한 회의 및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이 임의로 메인화면(500)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화면(500)은 다른 공유 콘텐츠 정보와 식별될 수 있도록 별도의 표식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속도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600)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설정된 임계값(610, 620)에 따라 출력되는 해상도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610, 620)이 1Mbps인 경우에, 네트워크측정값(600)이 임계값(610, 620) 이상이면, 출력되는 공유 콘텐츠 정보의 해상도를 1080p로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600)이 임계값(610, 620) 미만이면, 출력되는 공유 콘텐츠 정보의 해상도를 420p로 낮춰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계값(610)과 제2 임계값(620)을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해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네트워크측정값(600)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1 임계값(610) 및 제2 임계값(620)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20)에 출력되는 공유 콘텐츠 정보의 해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예를 든 해상도, 임계값의 수치 및 개수 등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제1 공유 콘텐츠 정보와 제2 공유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제1 화면영역 및 제2 화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화면영역별로 해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각 화면영역별로 임계값(610, 620)을 설정하여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서브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대한 제1 해상도 및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되,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600)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61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600)이 상기 제1 임계값(610)보다 낮게 설정된 제2 임계값(62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함께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회의 또는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메인화면의 해상도를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인공지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정값, 각 화면영역의 해상도 및 메인화면여부를 입력으로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기계학습 모델에 상기 네트워크 측정값을 입력하여 나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각 화면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소정의 임계치(예;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상관 관계의 경우, 입력(input)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네트워크측정값, 각 화면영역의 해상도 및 메인화면여부 등에 관한 정보이고, 출력(output)은 상기 소정의 임계치(예;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화면영역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구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서도 각 공유 콘텐츠 정보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120)로부터 화상정보 및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편집 및/또는 필기에 상응하는 제어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2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편집 및/또는 필기에 상응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S73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어정보에 상응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74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편집 및/또는 필기에 상응하는 편집 및/또는 필기에 상응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공유 콘텐츠에 대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화상정보에 대한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S730 단계에서 수정된 공유 콘텐츠에 대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화상정보에 대한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5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S760).
이 때,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계의 역순 또는 순서의 조합으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20, 130, 14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210, 26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
120, 130, 140 : 사용자 단말장치
300 : 웹 브라우저

Claims (1)

  1. 화상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상정보 및 제어정보를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output)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는 공유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정보들에 상응하는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에게 송신하는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화면영역과 상기 제2 공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인화면선택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기설정된 메인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 및 상기 제2 화면영역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서브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측정값과 단계적으로 기설정된 임계값들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 화면영역의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의 제2 해상도를 함께 조절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해상도 및 상기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되, 상기 네트워크측정값과 상기 단계적으로 기설정된 임계값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해상도만을 우선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이 기설정된 최종임계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서브화면에 대한 스트리밍을 중단하고,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네트워크측정값에 기반하여 조절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측정값, 상기 제1 해상도, 상기 제2 해상도 및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 모듈; 및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인공지능망 모델을 운용하는 인공지능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저장 모듈에 기록된 빅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인공지능망 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 모델에 상기 네트워크측정값, 상기 제1 해상도, 상기 제2 해상도 및 상기 메인화면선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 모델로부터 획득되는 출력(output)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155717A 2020-11-19 2020-11-19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10224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17A KR102249447B1 (ko) 2020-11-19 2020-11-19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17A KR102249447B1 (ko) 2020-11-19 2020-11-19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90A Division KR102183476B1 (ko) 2020-07-22 2020-07-22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447B1 true KR102249447B1 (ko) 2021-05-07

Family

ID=7591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717A KR102249447B1 (ko) 2020-11-19 2020-11-19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4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977A (ko) * 2015-02-13 2016-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회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51353B1 (ko) * 2015-03-24 2016-08-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 스크린 기반의 화상 회의 시스템
KR101668702B1 (ko) 2010-07-13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02B1 (ko) 2010-07-13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99977A (ko) * 2015-02-13 2016-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회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51353B1 (ko) * 2015-03-24 2016-08-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 스크린 기반의 화상 회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1647B2 (en) Uplink power control
KR102183476B1 (ko)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007403A1 (en) Uu based sidelink control for nr v2x
WO2022078276A1 (zh) Ai网络参数的配置方法和设备
US113880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on sidelink
CN105027638A (zh) 管理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发射功率的方法和装置
WO2021026683A1 (en) Power control for pucch transmissions with multiple trps
US20230412608A1 (en) Entity access for an application
US20240073109A1 (en) Notification of a new management domain feature
KR102249449B1 (ko) 화상 회의 및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80148A1 (en) Csi measurement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49447B1 (ko) WebRTC 기반 실시간 화상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20230073479A (ko)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업무 협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
KR20220067117A (ko) 에너지 효율적인 5g mec 기반의 적응적 vr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210108255A (ko) IoT 및 ICT 기반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24017193A1 (zh) Tci状态确定方法、装置、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4031455A1 (zh) 一种预编码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226493B (zh) 确定发现公告池
CN116368872A (zh) 功率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7136608A (zh)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30122310A (ko) 반려동물용품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491094A (zh)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pusch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406502A (zh) 终端能力信息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