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09B1 -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09B1
KR102249109B1 KR1020190041335A KR20190041335A KR102249109B1 KR 102249109 B1 KR102249109 B1 KR 102249109B1 KR 1020190041335 A KR1020190041335 A KR 1020190041335A KR 20190041335 A KR20190041335 A KR 20190041335A KR 102249109 B1 KR102249109 B1 KR 10224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answer information
keyword
information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029A (ko
Inventor
최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키
Priority to KR102019004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A METHOD FOR PROVIDING ANSWER SETS FOR QUESTIONS WHICH REQUIRE VARIABLE ANSWERS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최근에는 고객이 고객 자신의 무선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의 메신저를 통해 상업인에게 문의 사항을 물어보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업인은 자신에게 문의 사항을 물어보는 고객에게, 문자, 메신저 등을 통해 문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를 상업인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한국 특허 공개번호 10-2017-0073417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서브 답변 정보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이 얼마나 자주 채택되는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고 상기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여 새로운 우선 순위를 도출한 후, 도출된 우선 순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인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는 답변 정보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답변 정보 출력부를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는 답변 정보 결정부 및 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인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답변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업인(특히 소상공인)의 특성 상, 고객의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하기에는 채팅에 익숙하지 않기에, 이에 대한 답변을 일일이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바쁜 시간대에 고객으로부터 문의 사항이 다수 들어오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답변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소상공인의 업무를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업인이 답변을 일일이 입력하는 불편을 해소해주기 위해, 답변 정보에 대한 변경이 자주 일어나는 내용에 대한 후보 답변들을 상업인의 전자 기기에 출력해줘서, 보다 쉽게 고객의 질문에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 뿐만 아니라, 고객의 질문에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키워드에 대한 후보 답변의 세트 까지도 효율적으로 상업인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해주기에, 상업인이 고객에게 보다 쉽게 고객의 질문에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소비자로부터 문의를 받고 이에 대한 답변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의 순서도다.
도 5는 하나의 문의 정보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의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6은 우선 순위가 가변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문의 정보에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의 서브 답변 정보의 예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8은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와, 이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9는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0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1은 답변 정보가 고객에게 전송된 경우, 고객의 전자 기기에 답변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장치의 블록도에 대한의 일례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의 순서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장치의 블록도에 대한 일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적어도 하나의 서버(15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들(120, 130) 및/또는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4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돈 하나의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과 네트워크(14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키워드 검색 등 검색 엔진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15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전자 기기 1(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50)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로서 지식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자 기기 1(110)을 통해 플랫폼 상에 등록된 질의와 답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지식 검색 서비스 플랫폼은 검색 엔진 서비스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검색 엔진 서비스 플랫폼과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상호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이나 다른 서버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영상 통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50))이 네트워크(14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4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해, 대다수의 상업인들은 각종 메신저(예컨대, 카카오톡, 네이버 라인 등)을 통해 소비자로부터 문의를 받고, 이에 대한 답변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도면을 통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소비자로부터 문의를 받고 이에 대한 답변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현재는, 소비자로부터 문의를 받을 때, 주로, 메신저 상에 미리 정해진 질문의 리스트에 기반하여, 소비자로부터 문의를 받는다.
즉, 소비자는 소비자 자신의 전자 기기의 메신저 창에서 미리 정해진 질문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질문의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질문들 중 어느 하나의 질문을 메신저의 채팅 창에 입력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질문의 버튼을 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질문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그 답변이 정형화된 경우가 많다.
예컨대, 도 3의 예에 따르면, 소비자는 '영업시간 알려줘요(310)'와 같은 문의를 메신저 상에 (버튼을 통하여, 혹은 채팅 창에) 입력하면, (상업인들이 기존에 메신저 서버나, 혹은 상공인의 전자 기기에 미리 입력해 놓은) '영업시간에 대한 정보(320)'와 같은 답변이 소비자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답변 방법은 정보 변경이 거의 없는 고정된 내용(예컨대, 영업시간, 전화번호, 주소, 메뉴 등)의 정보가 제공될 때, 그 유용성이 늘어난다.
한편, 소비자는 메신저 등을 통해 상업인에게 정형화된 질문만을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소비자들은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들을 상업인에게 문의를 하기도 한다.
예컨대, 도 3에서의 '지금 자리 있어요?(330)'와 같이, '지금 가게에 가면 몇 분이나 대기를 해야 되는지', '지금 예약이 가능한지', '지금 인기 메뉴의 재고가 남아 있는지', 또는 '지금 인기 메뉴의 재고가 몇 개나 남아 있는지' 등과 같은 질문의 경우, 정형화된 답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답변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규칙 기반(rule based) 혹은 머신러닝 기반 방법에 기초하여,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과 기록매체,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써, 소상공인이 고객의 질문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의 챗봇(chat-bot)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질문을 할 내용에 대한 답변 세트를 규칙 기반 방법(혹은 머신러닝 방법)으로 생성 후, 소상공인의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답변에 대한 세트들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의 순서도다.
도 4에 따르면, 전자 기기(혹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도 있음)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한다(S410). 여기서, 전자 기기는, 앞서 설명했던 도 1에서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앞서 설명했던 도 1에서의 네트워크(140)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문의 정보는, 소비자가 소비자 자신의 전자 기기를 통해 입력한 문의 내용이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기기는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420). 문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형태소 분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자연 언어 처리에서 말하는 형태소 분석이란 어떤 대상 어절을 최소의 의미 단위인 '형태소'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형태소는 단어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는 단어보다 작은 단위이다.
형태소 분석은 정보 검색 엔진에서 한국어의 색인어 추출에 많이 사용되며, 기계적으로 복합명사를 처리하는 방식 중의 하나는, 음절 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bi-gram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명사'는 음절 단위로 '복합+명사', '복+합명사', '복합명+사' 의 세 가지 형태로 쪼갤 수 있고, 이 중 가장 적합한 분해 결과를 문서 내에서 출현하는 빈도 등의 추가 정보를 통해 선택하는 알고리즘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하게 쪼개지는 분석 결과들 중에서 적합한 결과를 선택하기 위해, 테이블 파싱이라는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형태소 분석은 본 발명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에 불과하며, 형태소 분석 이외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전자 기기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달리 말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의 후보에 대한 정보의 세트)는 규칙 기반 방법 또는 머신러닝 방법에 기반하여 결정(혹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다고 함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챗봇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자 기기에 각각의 키워드와 이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각각의 키워드와 이에 대응되는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에 미리 입력해 놓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서브 답변 정보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이 얼마나 자주 채택되는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고 상기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여 새로운 우선 순위를 도출한 후, 도출된 우선 순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는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전자 기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40).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의 서브 답변 정보만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서브 답변 정보의 개수는 전자 기기에 기 설정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로부터의 출력될 서브 답변 정보의 개수를 설정 받거나, 혹은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 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출력될 서브 답변 정보의 개수가 설정될 수도 있다.
별도로 도식하지는 않았지만, 도 4의 S440 단계 이후, 상기 전자 기기는 위 전자 기기의 사용자(예컨대, 상업인)로 하여금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를 통해) 서브 답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가 입력 받는 서브 답변 정보는 단수의 정보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기기가 입력 받는 정보에는 제1 서브 답변 정보 및 제2 서브 답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서브 답변 정보 및 상기 제2 서브 답변 정보를 최종적인 답변 정보로서 결정한 후, 결정된 최종적인 답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예컨대, 상업인)의 명령에 따라, 혹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또는) 소비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예컨대, 상업인)로부터 서브 답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 4에서 도식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키워드가 어떤 키워드인지는 상관없이, 고정적인 서브 답변 정보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별도로 도 4에서 도식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동적인 대응이 필요한 질문이 아닐 경우, 자동 답변 대응 방법 또한 제공된다.
이하, 도 4에서 설명했던 내용을,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하나의 문의 정보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의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하나의 문의 정보에는(즉, 문의 정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는)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500)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도 5와 같이, 하나의 문의 정보에는 제1 서브 답변 정보, 제2 서브 답변 정보, 제3 서브 답변 정보, 제4 서브 답변 정보, 제5 서브 답변 정보, 제6 서브 답변 정보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서브 답변 정보는 각각의 서브 답변 정보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1이 부여되고, 제2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2가 부여되고, 제3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3이 부여되고, 제4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4가 부여되고, 제5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5가 부여되고, 제6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6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의 우선 순위는 전자 기기가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의 서브 답변 정보만을 출력할 때, 출력의 기준이 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위 우선 순위는 전자 기기가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때, 출력하는 순서(즉, 어느 서브 답변 정보가 앞에 출력되고, 어느 서브 답변 정보가 뒤에 출력되는지에 대한 순서)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는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은 우선 순위가 가변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문의 정보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의 우선 순위는, 도 6에서와 같이 가변적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의 문의 정보(우선 순위 변경 전)(600)과 같이, 제1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1이 부여되고, 제2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2가 부여되고, 제3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3이 부여되고, 제4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4가 부여되고, 제5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5가 부여되고, 제6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6이 부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상황에 따라, 제2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1로 변경되고, 제1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2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제5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4로 변경되고, 제4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5로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도 6에서의 문의 정보(우선 순위 변경 후)(610)과 같이, 제2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1이 부여되고, 제1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2가 부여되고, 제3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3이 부여되고, 제5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4가 부여되고, 제4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5가 부여되고, 제6 서브 답변 정보에는 우선 순위 6이 부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우선 순위가 변하는 상황은,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통해 어느 서브 답변 정보를 보다 자주 채택했는지가 한 가지 기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자주 채택 받은 서브 답변 정보는, 기존에 설정 되어있던 우선 순위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이 얼마나 자주 채택되는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서브 답변 정보를 얼마나 자주 채택하였는지에 따라, 모든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가변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서브 답변 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선택했는지 와는 상관없이, 특정 우선 순위(예컨대 최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해서는 최우선 순위가 항상 부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서브 답변 정보를 얼마나 자주 채택했는가 와는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특정 서브 답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문의 정보에는 반드시 하나의 키워드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문의 정보에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할 경우, 어느 서브 답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해야 되는지 문제될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문의 정보에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의 서브 답변 정보의 예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하나의 문의 정보에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원칙적으로는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70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제2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710)이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700)과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에 대한 우선 순위는 제1 키워드가 입력됐을 때의 우선 순위에 해당할 뿐이다. 즉,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제2 키워드가 입력됐을 때에도 적용되기는 어렵다.
달리 말하면, 제2 키워드에 대해서는, 제2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과, 이에 대한 우선 순위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나의 문의 정보에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할 경우, 어떠한 서브 답변 정보를 종합적인 서브 답변 정보로 결정할 것인지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와, 이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할 경우,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가중치와, 각각의 키워드에서의 서브 답변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최종적인 서브 답변 정보들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고 상기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연산하여 새로운 우선 순위를 도출한 후, 도출된 우선 순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공통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키워드의 가중치)*(제1 키워드에서의 특정 서브 답변 번호에 대한 우선 순위 번호)와, (제2 키워드의 가중치)*(제2 키워드에서의 특정 서브 답변 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번호)를 각각 도출한 후, 서브 답변 정보들의 최종적인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제1 키워드의 경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키워드의 경우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이 최종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게 되어, 제1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이 제2 키워드에 대한 서브 답변 정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에 많이 출력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브 답변 정보들에 대해 결정한 다음,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9는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9에 따르면, 디스플레이(900)에는 고정된 서브 답변 정보(910, 920, 930)와, 가변적으로 출력 값이 변하는 서브 답변 정보(940, 950)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서브 답변 정보는 수신된 문의 정보가 무엇인지와는 상관없이, 항상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도록 결정되는 정보로써, 예컨대, 숫자에 대한 정보, 시, 시간, 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전화 문의 요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화 문의 요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예컨대, 상업인)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전화 문의 요청'이라는 출력된 버튼을 터치할 경우, 전화 문의를 요청해달라는 메시지를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가변적으로 출력 값이 변화는 서브 답변 정보(940, 950)는 앞서 설명했건 서브 답변 정보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혹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답변 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서브 답변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서브 답변 정보와, 제2 서브 답변 정보를 터치(혹은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서 답변 정보로써 제1 서브 답변 정보와 제2 서브 답변 정보의 조합이 표시(혹은 출력)될 수 있다.
도 9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은 서브 답변 정보들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예컨대, 도 10에서의 예와 같이, 문의 정보로써 '지금 자리 있어요?'라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는 도 10에서의 예에 따르면, '2', '0', '테이블 비어 있어요'라는 서브 답변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는 '20 테이블 비어 있어요'라는 답변 정보가 출력되고, 사용자의 전자 기기는 위와 같은 답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전자 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답변 정보가 고객에게 전송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은 답변 정보가 고객에게 전송된 경우, 고객의 전자 기기에 답변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1에 따르면, 고객은 고객의 전자 기기를 통해 제1 문의 정보(1110)를 상업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문의 정보(1110)에 대한 답변으로, 제1 답변 정보(1120)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객은 고객의 전자 기기를 통해 제2 문의 정보(1130)를 상업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문의 정보(1130)에 대한 답변으로, 제2 답변 정보(1140)를 수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에 대한 예시를 설명했으며, 도 4에 대한 방법은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대한 방법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장치의 블록도에 대한의 일례다.
도 12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정보 수신부(1210), 키워드 추출부(1220), 답변 정보 결정부(1230) 및 답변 정보 출력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정보 수신부는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답변 정보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앞에서는, 사용자(예컨대, 상업인)의 전자 기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동작의 주체는 네트워크에서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서버가 동작의 주체인 경우에 대한 예시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의 순서도다.
도 13에 따르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10).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는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1320).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1330).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사용자(예컨대 상업인)의 전자 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S1340). 앞서 설명했던 내용 중,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한다는 내용을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전송'한다는 내용으로 변경할 경우, 본 방법에 대한 내용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장치의 블록도에 대한 일례다.
도 14에 따르면, 프로세서(222)는 정보 수신부(1410), 키워드 추출부(1420), 답변 정보 결정부(1430), 및 답변 정보 전송부(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4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키워드 추출부(1420)는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답변 정보 결정부(143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답변 정보 전송부(1440)는 상기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사용자(예컨대 상업인)의 전자 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던 내용 중,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한다는 내용을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전송'한다는 내용으로 변경할 경우, 본 방법에 대한 내용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서브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문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의 정보에서 문의 내용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추출하되,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는 형태소 분석에 기반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추출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에 대한 연산;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에 대한 연산;
    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서브 답변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에 대한 종합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종합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 중 일부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상기 일부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의 개수는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개수만큼 출력되는 상기 일부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는 상기 복수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 중 상기 종합 우선 순위가 높은 종합 서브 답변 정보이고,
    상기 종합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의 종합 서브 답변 정보 각각이 얼마나 자주 채택되는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및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문의 정보와는 상관 없이 고정된 서브 답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항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41335A 2019-04-09 2019-04-09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24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35A KR102249109B1 (ko) 2019-04-09 2019-04-09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35A KR102249109B1 (ko) 2019-04-09 2019-04-09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29A KR20200119029A (ko) 2020-10-19
KR102249109B1 true KR102249109B1 (ko) 2021-06-07

Family

ID=7304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35A KR102249109B1 (ko) 2019-04-09 2019-04-09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16B1 (ko) * 2020-10-22 2021-10-21 쿠팡 주식회사 상담원 지원 방법 및 그 연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411A (ja) * 2007-08-20 2009-03-05 Toshiba Corp 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548A (ko) * 2014-11-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질의 응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88435B1 (ko) * 2017-09-29 2020-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기반의 효율적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411A (ja) * 2007-08-20 2009-03-05 Toshiba Corp 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29A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732B2 (en)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20230409283A1 (en)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JP6740162B2 (ja) バーチャルアシスタントのコマンド処理を容易にするためのコンテクスト情報の使用
US9646609B2 (en)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10521189B1 (en) Voice assistant with user data context
US11811711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 application
US9858925B2 (en)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KR101751113B1 (ko) 기억 능력을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기반의 대화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200006107A (ko) 다수의 코퍼스들로부터 응답 정보 획득
KR101882293B1 (ko)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JP2020521167A (ja) 画像および/または他のセンサデータに基づいている自動アシスタント要求の解決
US11423113B2 (en) Contextual deep bookmarking
KR20230029582A (ko) 어시스턴트 시스템에서 다자간 통화를 위한 단일 요청의 사용
TW202301081A (zh) 輔助系統之基於真實世界文字偵測的任務執行
TW202301080A (zh) 輔助系統的多裝置調解
KR20180087608A (ko)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6888661A (zh) 用于辅助系统的包括非拉丁或不可解析内容项的通信内容的读出
KR102249109B1 (ko)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10055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activated interface
CN114860910A (zh) 智能对话方法及系统
KR101982771B1 (ko)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KR102220741B1 (ko) 가변적인 답변이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세트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30353652A1 (en) Presenting Personalized Content during Idle Time for Assistant Systems
CN117765940A (zh) 为助理系统呈现与语音命令相关联的注意状态
CN117396837A (zh) 助理系统的多设备调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