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70B1 -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 Google Patents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870B1
KR102248870B1 KR1020190168343A KR20190168343A KR102248870B1 KR 102248870 B1 KR102248870 B1 KR 102248870B1 KR 1020190168343 A KR1020190168343 A KR 1020190168343A KR 20190168343 A KR20190168343 A KR 20190168343A KR 102248870 B1 KR102248870 B1 KR 10224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welding
rotation
inspection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백
유한성
이중우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6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7Welded or soldered joints; Soldera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6W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whether a welding part is defective by hitting and pressing the welding part of a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comprises: a body part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a strip; a striking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striking a welding part of the strip at least once or more; and an extension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striking part and pressing or releasing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Description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device{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본 발명은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용접부를 타격 및 가압함으로써 용접부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the defect of the weld by hitting and pressing the weld of the strip.

연속압연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스트립 상호간에 용접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선행 스트립과 후행 스트립은 용접기에 의해 각각 후단부 및 전단부가 용접되어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proceed with the continuous rolling process, welding is essentially required between a plurality of strips. The preceding strip and the following strip may have a continuous shape by welding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respectively, by a welding machine.

한편, 용접의 대상이 되는 스트립의 두께나 소재 등이 다양화되면서 용접 공정의 방법과 장치도 점점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용접 공정의 데이터가 정확하더라도 스트립의 소재, 외부 환경이나 용접 조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용접 상태가 불량인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thickness or material of the strip to be welded is diversified,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welding process are gradually diversifying. However, even if the data of the welding process is accurate, the welding condition may be defectiv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material of the strip, external environment or welding conditions.

이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이후 공정에서 스트립의 판파단과 같은 대형 설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될 수 있다.If this is not detected early, large-scale equipment accidents such as strip breakage may occur in subsequent processes, and time and cost may be excessively consumed to solve this problem.

따라서 용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스트립의 용접 후 현장 작업자가 용접부를 가격하여 용접부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는 작업자의 컨디션에 의해 편차가 발생하거나 또는 타격으로 인해 용접부 터짐 발생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check the welding status, the field worker hits the welding part after welding the strip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welding part.This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when deviation occurs due to the condition of the worker or the welding part bursts due to a blow. There was thi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622호(1999년 01월 15일,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0622 (January 15, 1999, published)

본 실시 예는 스트립의 용접부를 타격 및 가압함으로써 용접부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whether or not a weld is defective by hitting and press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본 실시 예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검사를 진행하므로 검사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of the strip weld can be automated, and sinc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through an automated system,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can be secured.

본 실시 예는 스트립의 두께나 소재에 따라서 타격 강도나 가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itting strength or the pressing strength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r material of the stri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트립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적어도 1회 이상 타격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연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provided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toward the strip; A strik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hitt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at least once; And an elongating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hitting portion and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pressurizes or releases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상기 타격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부와, 상기 로테이션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타격하는 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iking part may include a rotat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a hammer part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to hit the welded part of the strip.

상기 로테이션부는 상기 바디부의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부와, 상기 해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r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driv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portion provided with a protrusion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ammer portion.

상기 바디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해머부의 단부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션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해머부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control unit that is coupled to the body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s a through portion formed therein, in which an end of the hammer unit is located, and adjusts a radius of rotation of the hammer unit by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

상기 연신부는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상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부를 진퇴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etching part includes a pressing part disposed above the strip welding part, and a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strip welding part, wherein the pressing part pressurizes or releases the upper part of the strip welding part, and the body part It is fixed and may include a cylinder portion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piston portion.

상기 피스톤부는 하단에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직교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3 플랜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piston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flange par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welding part at a lower end, and a second flange part orthogonal to the first flange part, and the support part a third flange extending along the first flange part. Additional may be provided.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는 작업자 없이도 검사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spection system can be implemented without a worker,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는 용접부의 용접라인 및 용접부의 열영향부도 검사할 수 있다.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test a welding line of a welding part and a heat-affected part of the welding part.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는 검사 편차를 제거할 수 있다.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eliminate inspection deviations.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는 스트립의 용접부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판파단과 같은 대형설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large equipment accidents such as plate fractur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is de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가 스트립을 타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신부가 스트립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king unit hits the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etching unit presses the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ri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aid understanding.

도 1 내지 7과 같이 본 발명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는 스트립(S)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디부(120)와, 바디부(120)에 마련되며, 스트립(S)의 용접부를 적어도 1회 이상 타격하는 타격부(140) 및 타격부(140)와 이격되어 바디부(120)에 마련되며, 스트립(S)의 용접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연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20 provided so as to advance and retreat toward the strip S, and provided in the body part 120, and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t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striking portion 140 and the striking portion 140 hitting at least one time, and includes an elongated portion 160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I can.

선행 스트립의 후단부와 후행 스트립의 전단부는 연속 압연 공정을 위해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부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가 마련된다.The trailing end of the preceding strip and 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strip may be welded for a continuous rolling process. In this case,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welding part is defective.

바디부(120)는 스트립(S)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립(S)의 양측에 본 발명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좌측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우측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도 구성 및 동작방법이 동일하다.The body portion 120 is provided to be able to advance or retreat toward the strip (S). Referring to FIG. 1, the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rip (S),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device 100 on the lef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device on the right are the same.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는 바디부(120)가 스트립(S)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의 비운용시 바디부(120)는 스트립(S)과 이격되도록 스트립에서 멀어지는 방향("L2")으로 이동되며,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의 운용시 바디부(120)는 스트립과 가까워지는 방향("L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100 is provided so that the body part 120 can advance or retreat toward the strip (S). When the strip weld inspection device 100 is not operated, the body 120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rip (“L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ip S, and when the strip weld inspection device 100 is operated, the body portion ( 12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strip (“L1”).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21), 제2 바디부(122)와 제3 바디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부(123)는 플레이트부(P) 상에서 스트립(S)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부(P)는 스트립(S)의 폭 방향을 따라서 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3 바디부(123)는 플레이트부(P)의 레일(미도시)에 체결되는 차륜과 같은 이송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장의 바닥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body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121, a second body part 122, and a third body part 123. The third body part 123 may be provided on the plate part P so as to advance and retreat toward the strip S. Although not shown, the plate portion P may be provided with a rail (not show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S, and the third body portion 123 is a rail (not shown) of the plate portion P A transport means (not shown) such as a wheel fastened to may be provided. Meanwhile, the plate portion P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a floor surface of a factory.

제2 바디부(122)는 제3 바디부(123)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부(121)는 제2 바디부(122)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부(121)와 제2 바디부(122)는 복수의 연결부(12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127"은 타격부(140)의 스트립(S) 용접부 타격시 파편 등이 연신부(160)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패널부(127)이다.The second body part 122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third body part 123. 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1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eanwhile, the first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2 may be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124.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27", which is not described, is a panel portion 127 provided to prevent fragments from splashing toward the stretched portion 160 when striking the strip (S) welding portion of the striking portion 140.

한편, 제3 바디부(123)의 전진 또는 후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는 스트립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advance or retreat of the third body part 123, the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vance or retreat toward the strip.

타격부(140)는 바디부(120) 중 제1 바디부(121)에 마련될 수 있다. 타격부(140)는 스트립(S)의 용접부를 적어도 1회 이상 타격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타격부(140)는 로테이션부(141)와 해머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riking part 1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ody part 121 of the body part 120. The striking part 140 is provided to hit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at least once or more. In more detail, the striking unit 14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141 and a hammer unit 145.

로테이션부(141)는 제1 바디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테이션부(141)는 후면부가 제1 바디부(121)에 구비된 구동부(126)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26)는 로테이션부(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로테이션부(141)는 도 4 내지 5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126)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rotation part 14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21. The rotation unit 141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6 provided in the first body unit 121 with a rear surface thereof. The driving unit 126 may rotate the rotation unit 141. The rotation unit 141 may be provided in a disk shape as shown in FIGS. 4 to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riving unit 126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or the like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구동부(126)의 회전에 의해 로테이션부(141)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테이션부(141)의 회전에 따라 해머부(14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해머부(145)가 하방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해머부(145)의 헤드부(146)는 스트립(S)의 용접부를 타격할 수 있다.Meanwhile, the rotation unit 141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126. As the rotation unit 141 rotates, the hammer unit 145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hammer portion 145 is moved downward, the head portion 146 of the hammer portion 145 may hit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S).

로테이션부(141)의 후면부는 제1 바디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스트립을 향하는 방향)는 돌출된 형상의 돌기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해머부(145)의 일단은 돌기부(14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portion of the rotation portion 14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21, and the front portion (a direction toward the strip)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portion 142 having a protruding shape. One end of the hammer part 145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part 142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압력조절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8)는 일단 및 타단이 제1 바디부(121)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부(128)는 제1 바디부(121)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8)는 중간부에 해머부(145)의 단부가 위치되는 관통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관통부(129)는 압력조절부(128)의 중간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nd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control unit 128. The pressure control unit 128 may have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part 121. In addition, the pressure control unit 128 may be coup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first body unit 121. The pressure control part 128 may have a through part 129 in which the end of the hammer part 145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As shown in FIG. 4, the through part 129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penetrates the middle part of the pressure control part 128 vertically.

도 4를 참조하면, 로테이션부(1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해머부(14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해머부(145)는 로테이션부(141)의 돌기부(142)와 결합된 지점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지만, 해머부(145)는 압력조절부(128)의 관통부(129)에 위치된 단부에서는 관통부(129)의 우측지점에 걸리게 된다. 한편, 로테이션부(141)가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해머부(145)는 압력조절부(128)의 관통부(129)에 위치된 단부가 관통부(129)의 좌측지점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해머부(145)의 헤드부(14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트립(S)의 용접부를 타격할 수 있다. 한편, 로테이션부(1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해머부(145)가 스트립(S)의 용접부를 타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rotation unit 141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hammer unit 145 may be rotated together. At this time, the hammer part 145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point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142 of the rotation part 141, but the hammer part 145 is located at the penetrating part 129 of the pressure control part 128 At the end, it is caught at the right point of the through part 129.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part 141 is continuously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hammer part 145 located at the through part 129 of the pressure control part 128 is the left point of the through part 129 You will get caught. Accordingly, the head portion 146 of the hammer portion 145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may hit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Meanwhile, even when the rotation part 14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hammer part 145 may hit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한편, 압력조절부(128)는 제1 바디부(121) 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압력조절부(12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관통부(129)의 하부에 배치되는 해머부(14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8)는 해머부(145)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여 타격부의 타격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스트립(S)의 두께나 재질에 따른 타격 강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ressure control unit 128 may be moved up and down on the first body unit 121. That i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128, the length of the hammer unit 145 disposed under the penetrating unit 129 can be adjusted. The pressure control unit 128 can adjust the hitting strength of the hitting unit by adjust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hammer unit 145.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strike str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r material of the strip (S).

연신부(160)는 스트립(S)의 용접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연신부(160)는 가압부(161, 165)와 지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61, 165)는 제2 바디부(122)와 결합부(12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161, 165)는 제1 바디부(121)와 제2 바디부(122)가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신부(160)의 가압부(161, 165)는 실린더부(161)와 피스톤부(165)로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부(161)는 제2 바디부(122)와 결합되며,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그리고 피스톤부(165)는 실린더부(16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피스톤부(165)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스트립(S)의 용접부를 가압할 수 있으며, 피스톤부(165)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스트립(S)의 용접부에 대해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부(161)는 유압을 통해 피스톤부(165)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실린더부(161)의 내부에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며 피스톤부(165)의 단부에 랙 기어가 구비된 랙-피니언 방식으로 피스톤부(165)가 동작될 수도 있다.The stretching unit 160 may be provided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The stretching part 160 may include pressing parts 161 and 165 and a support part 166. The pressing parts 161 and 16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122 through the coupling part 125. The pressing parts 161 and 165 may be disposed in a space where the first body part 121 and the second body part 1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Meanwhile, the pressing portions 161 and 165 of the stretching portion 160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er portion 161 and a piston portion 165. The cylinder portion 161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122 and has a fixed position. In addition, the piston part 165 may be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ylinder part 161. That is, when the piston part 165 slides downward,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may be pressurized, and when the piston part 165 slides upward, the pressing of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released. On the other hand, the cylinder unit 161 may be a hydraulic cylinder type in which the piston unit 165 slides through hydraulic pressure. In addition, a pinion gear connected to a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part 161 and the piston part 165 may be operated in a rack-pinion method in which a rack gea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iston part 165.

연신부(160)의 지지부(166)는 제3 바디부(123)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66)는 가압부(161, 165)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S)의 용접부의 상면은 가압부(161, 165)에 의해 가압되며, 스트립(S)의 용접부의 하면은 지지부(166)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S)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불량한 경우, 가압부(161, 165) 및 지지부(166)에 의해 용접부에 크랙(crack) 등이 발생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66 of the stretching part 1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body part 123. The support part 166 may be disposed below the pressing parts 161 and 165.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s 161 and 16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66. Therefore, when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poor, a crack may occur in the welding part by the pressing parts 161 and 165 and the support part 166.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 과 같이 피스톤부(165)의 하단에 구비되는 헤드부(166)는 제1 플랜지부(166a)와 제2 플랜지부(166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66)는 제1 플랜지부(166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플랜지부(167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부(166a)와 제3 플랜지부(167a)는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라인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플랜지부(166b)는 제1 플랜지부(166a)와 직교하므로, 제2 플랜지부(166b)는 스트립(S)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신부(160)는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라인을 따라서 제1 플랜지부(166a)와 제3 플랜지부(167b)가 용접부를 가압하며, 스트립(S)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제2 플랜지부(166b)가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라인을 제1, 3 플랜지부(166a, 167a)를 통해 가압할 수 있으며, 용접 라인과 직교하는 스트립(S)의 열영향부도 제2 플랜지부(166b)를 통해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제1, 2 플랜지부(166a, 166b)는 스트립(S)의 용접부와 접하는 지점의 단면적보다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플랜지부(167a)도 이와 마찬가지로 스트립(S)의 용접부와 접하는 지점의 단면적보다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3 플랜지부(166a, 166b, 167a)는 측면이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head portion 166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portion 165 as shown in FIG. 6 may include a first flange portion 166a and a second flange portion 166b. In addition, the support 166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flange portion 167b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lange portion 166a. That is, the first flange portion 166a and the third flange portion 167a are disposed along the welding line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And since the second flange portion 166b is orthogonal to the first flange portion 166a, the second flange portion 166b may exte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S). Therefore, in the elongated portion 160, the first flange portion 166a and the third flange portion 167b press the welding portion along the welding line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and the tension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S) is In order to act, the second flange portion 166b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welding line of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can be pressed through the first and third flange parts (166a, 167a), and the heat affected part of the strip (S) orthogonal to the welding line is also the second flange part. It can be pressurized through (166b).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flange portions 166a and 166b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upwardly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 point in contact with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Likewise, the third flange portion 167a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a lower portion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 point in contact with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That is,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flange portions 166a, 166b, and 167a may be inclined.

도 1 내지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센서(E1)는 타격부(140)의 헤드부(146)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센서(E2)는 연신부(160) 피스톤부(165)의 헤드부(166)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2 센서(E1, E2)는 레이저(laser)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6, the first sensor E1 may be provided on the head 146 of the striking unit 140, and the second sensor E2 is the elongated unit 160 and the piston unit 165. It may be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166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E1 and E2 may be provided as laser senso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경우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gorithm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r a nonvolatile memory (not shown)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ed to a software instruction for reproducing the algorithm,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not shown)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 described below using. Her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individual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processor may take the form of one or more processors.

제1 센서(E1)는 타격부(140)의 헤드부(146)에 구비되며, 하방을 향해 레이저(G1)를 조사할 수 있다. 제2 센서(E2)는 연신부(160) 피스톤부(165)의 헤드부(166)에 구비되며, 하방을 향해 레이저(G2)를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센서(E1) 및 제2 센서(E2)는 하방에 각각 조사된 레이저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E1 is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146 of the striking portion 140 and may irradiate the laser G1 downward. The second sensor E2 is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166 of the elongated portion 160 and the piston portion 165, and may irradiate the laser G2 downward.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sensor E1 and the second sensor E2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ensor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irradiated below, respectively.

제어부(200)는 제1 센서(E1) 및 제2 센서(E2)를 통해 스트립(S)의 엣지(edge)의 위치와 스트립(S)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바디부(120), 타격부(140) 및 연신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detect a position of an edge of the strip S and a welding state of a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through the first sensor E1 and the second sensor E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ody unit 120, the striking unit 140, and the stretching unit 160.

이하, 본 발명의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it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제어부(200)는 바디부(120)가 스트립(S)을 향해 전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E1)는 레이저(G1)를 조사하며, 제1 센서(E1)와 대응되는 수신센서가 레이저를 수신하지 않을 때까지 바디부(120)는 스트립을 향해 전진("L1" 방향)할 수 있다. 한편, 제1 센서(E1)와 대응되는 수신센서가 레이저를 수신하지 못 하는 경우 타격부(140)의 하방에 스트립(S)의 용접부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바디부(120)의 이동을 정지시킨 뒤 타격부(14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구동부(126)를 제어하여 타격부(140)가 적어도 1회 이상 스트립(S)의 용접부를 타격하도록 한다. 설정된 횟수만큼 타격부(140)가 용접부를 타격한 후, 제어부(200)는 제1 센서(E1)가 다시 레이저(G1)를 조사하도록 한다. 한편,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불량인 경우, 크랙 등이 발생하므로 제1 센서(E1)가 조사한 레이저(G1)는 수신센서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용접부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황실로 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립(S)의 용접부가 용접 상태가 양호한 경우,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 센서(E1)가 조사한 레이저는 수신센서가 수신할 수 없다. First,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body 120 to advance toward the strip S. In this case, the first sensor E1 irradiates the laser G1, and the body 120 advances toward the strip (“L1”) until the receiv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E1 does not receive the laser. "Direction) ca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E1 does not receive the la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located under the striking part 1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body unit 120 and then cause the striking unit 140 to operate.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riving unit 126 so that the striking unit 140 strikes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S at least once or more. After the hitting part 140 hits the welding part a 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 part 200 causes the first sensor E1 to irradiate the laser G1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defective, cracks or the like occur, so that the laser G1 irradiated by the first sensor E1 can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senso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welding part is defective and may provide th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room.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S is in a good welding state, cracks or the like do not occur, so that the laser irradiated by the first sensor E1 cannot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sensor.

이 경우, 스트립(S)의 용접부가 양호한 것으로 보고 제어부(200)는 타격부(140)가 타격 전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며, 바디부(120)가 스트립(S)을 향해 좀 더 전진("L1" 방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2 센서(E2)는 레이저(G2)를 조사하며, 제2 센서(E2)와 대응되는 수신센서가 레이저(G2)를 수신하지 않을 때까지 바디부(120)는 스트립(S)을 향해 전진("L1" 방향)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서(E2)와 대응되는 수신센서가 레이저(G2)를 수신하지 못 하는 경우 피스톤부(165)의 하방에 스트립(S)의 용접부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바디부(120)의 이동을 정지시킨 뒤 연신부(16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considered to be good, and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striking part 140 to be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before the strike, and the body part 120 moves further toward the strip (S) ( "L1" direction) can be controlled. Thereafter, the second sensor E2 irradiates the laser G2, and the body 120 is directed toward the strip S until the receiv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E2 does not receive the laser G2. You can move forward (in the direction of "L1").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E2 does not receive the laser G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located under the piston part 16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body unit 120 and then allow the stretching unit 160 to operate.

제어부(200)는 실린더부(161)를 제어하여 피스톤부(165)가 스트립(S)의 용접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설정된 시간 및 압력만큼 피스톤부(165)의 헤드부(166)가 용접부를 가압한 후, 제어부(200)는 제2 센서(E2)가 다시 레이저(G2)를 조사하도록 한다. 한편, 스트립(S)의 용접부가 용접 상태가 불량인 경우, 크랙 등이 발생하므로 제2 센서(E2)가 조사한 레이저(G2)는 수신센서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정보를 상황실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립(S)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양호한 경우,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2 센서(E2)가 조사한 레이저(G2)는 수신센서가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는 피스톤부(165)가 가압 전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며, 바디부(120)가 스트립(S)과 이격되도록 후퇴하는 방향("L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cylinder part 161 so that the piston part 165 presses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After the head part 166 of the piston part 165 presses the welding part for a set time and pressure, the controller 200 causes the second sensor E2 to irradiate the laser G2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in a bad welding state, cracks or the like occur, so that the laser G2 irradiated by the second sensor E2 can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senso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a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S is poor, and provide th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room.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is good, cracks or the like do not occur, so that the laser G2 irradiated by the second sensor E2 cannot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senso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art is goo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ston part 165 to be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before pressing, and the body part 120 retreats so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trip (S).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L2" direction).

검사를 마친 스트립(S)은 이후 공정을 위해 이송되며, 후행 스트립(S)과 이 후행스트립의 후행 스트립(S)의 용접부가 다시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100)로 진입하게 되면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립(S)의 용접부의 불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st strip (S) is transferred for a later process, and when the welding portion of the trailing strip (S) and the trailing strip (S) of the trailing strip enters the strip weld inspection device (100) again, the same process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defect in the welding part of the strip (S).

한편, 타격부(140)와 연신부(160)에 의해 스트립(S)에 발생한 표면 결함은 후속 공정에서 노처(Notcher, 미도시) 등을 이용해 깔끔하게 제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rface defects generated in the strip S by the striking part 140 and the stretching part 160 may be neatly removed using a notcher (not shown) or the like in a subsequent proces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 120 : 바디부
140 : 타격부 160 : 연신부
200 : 제어부
100: strip welding part inspection device 120: body part
140: hitting unit 160: stretching unit
200: control unit

Claims (6)

스트립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적어도 1회 이상 타격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연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부와, 상기 로테이션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의 용접부를 타격하는 해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션부는
상기 바디부의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부와, 상기 해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전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
A body portion provided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strip;
A strik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hitt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strip at least once; And
Including; is spaced apart from the strik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welding portion of the strip,
The hitting part
A rotat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a hammer part which is moved in an up-down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to hit the welded part of the strip,
The rotation part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r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portion provided with a protrusion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ammer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해머부의 단부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션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해머부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trip weld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adjusting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 through part in which the end of the hammer part is located, and adjusting a radius of rotation of the hammer part by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Insp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는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상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부를 진퇴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tched part
A pressing part disposed above the strip welding part and a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strip welding part,
The pressing part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iston portion for pressing or relea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rip weld portion, and a cylinder portion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pisto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하단에 상기 스트립 용접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직교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3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스트립 용접부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iston part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strip welding portion and a second flange portion orthogonal to the first flange portion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 support part
A strip weld insp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third flang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rst flange portion.
KR1020190168343A 2019-12-16 2019-12-16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KR102248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43A KR102248870B1 (en) 2019-12-16 2019-12-16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43A KR102248870B1 (en) 2019-12-16 2019-12-16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70B1 true KR102248870B1 (en) 2021-05-06

Family

ID=7591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43A KR102248870B1 (en) 2019-12-16 2019-12-16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924Y1 (en) * 1995-09-12 1998-11-02 김종진 Weld-detecting apparatus for cold steel sheets
KR200270622Y1 (en) 1997-06-23 2002-07-04 이구택 Notching Weld Inspection System of Strip
KR100823015B1 (en) * 2001-09-27 2008-04-17 주식회사 포스코 Mash-seam Welding Parts Continuity Tes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924Y1 (en) * 1995-09-12 1998-11-02 김종진 Weld-detecting apparatus for cold steel sheets
KR200270622Y1 (en) 1997-06-23 2002-07-04 이구택 Notching Weld Inspection System of Strip
KR100823015B1 (en) * 2001-09-27 2008-04-17 주식회사 포스코 Mash-seam Welding Parts Continuity Tes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1666C (en) Impact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fatigue characteristics of welded joint, impact treatment device for improving fatigue characteristics for same, and welded structure superior in fatigue resistance characteristics
KR101240990B1 (en) Testing apparatus of towing nut for vehicle
US6380514B1 (en)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cylinder block recycling
KR20100047615A (en) Jig apparatus for laser welding of plating steel sheet
US20090218323A1 (en) Spot welding method, method for judging shape of nugget, spot welding machine and spot welding electrode
KR102248870B1 (en) Inspection apparatus for strip welding part
JPH09264877A (en) Automated ultrasonic flaw detecting equipment
JP200823308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existence of normal conditions in processing of thin plate
KR101127129B1 (en) Apparatus for checking stud bolt
JP4617324B2 (en) Laser weld formation method
KR101276592B1 (en) Stud bolt welding defects and welding missing inspection apparatus
JP2007014974A (en) Laser welding method and laser welding equipment
KR100565121B1 (en) A jig device for laser welding
CN113632021A (en) Method for offset compensation
KR20150075002A (en) Notch Impactor
JP3817448B2 (en) Laser welding method
KR101304651B1 (en) Apparatus for Testing Weld Zone
KR200215192Y1 (en)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laterally welded part of strip
KR100747035B1 (en) Apparatus for a process auto in main buck
JP2014083589A (en) Thermally working machine
KR0123924Y1 (en) Weld-detecting apparatus for cold steel sheets
JP2803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ive insertion of work into mold by robot
CN218120811U (en) Automobile rear longitudinal beam thread detection marking device
KR10235078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Cowl Cross
KR102399233B1 (en)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Quality Car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