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360B1 -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 Google Patents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360B1
KR102248360B1 KR1020190070679A KR20190070679A KR102248360B1 KR 102248360 B1 KR102248360 B1 KR 102248360B1 KR 1020190070679 A KR1020190070679 A KR 1020190070679A KR 20190070679 A KR20190070679 A KR 20190070679A KR 102248360 B1 KR102248360 B1 KR 10224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ok
desks
book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987A (ko
Inventor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정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식 filed Critical 정태식
Priority to KR102019007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3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47B23/044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only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읽고 쓰기가 편리토록 한 책의 지탱은 물론 책과 물품의 수납상태로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한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을 담아 읽고 쓰기 위해 펼쳐두거나 책과 물품의 수납을 위해 접어둘 수 있게 상호접철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맞춰 상기 본체를 뒤로 기울여 세울 때 후방으로 펼쳐서 상기 본체의 경사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피대상물에 걸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시켜둠이 가능토록 하는 복수의 걸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PORTABLE MULTIFUNCTIONAL READING DESK}
본 발명은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읽고 쓰기가 편리토록 한 책의 지탱은 물론 책과 물품의 수납상태로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한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知識情報化社會)에서 가치있는 정보를 선택하는 일은 인간 고도의 사고능력으로 취득한 판단력과 통찰력의 혜안(慧眼)이 생성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고도의 판단력과 통찰력은 짧은 시간에 육성되거나 계발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방대한 지식의 토대 위에서 다양한 경험과 사고를 통해 습득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바, 이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공인된 것이 바로 독서활동이다.
독서활동(讀書活動, reading activity)은, 독서(읽기)활동과 독서 후 활동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독서는 문장을 읽고 그 문장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분석, 요약, 종합, 추론 등의 통합적 사고력을 길러준다. 독서 후 활동은 독서태도를 배양시키고 인성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인적자원양성에 효과적이고 높은 수준의 사고를 유발하여 체계적인 논술능력을 길러준다. 이의 중요성에 준하여 우리의 교육방향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향하고 효율적인 독서교육을 강조해 나가고 있다.
독서(讀書)의 사전적 의미는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교육(敎育)의 사전적 의미는 '지식의 가르침'이다. 이를 종합하여 '독서교육'이란 사전적 의미를 고찰해 보면 책 읽는 것을 통한 지식의 가르침을 의미하고, 함축적 의미로는 양서를 통한 인격의 수향, 그리고 올바른 지혜를 깨닫게 하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바람직한 인간육성을 포함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즉, 독서란 문자화된 내용의 문장을 읽은 제반활동으로 인간의 의지나 감정이 문자를 매체로 하여 인쇄된 기록 즉, 문장을 지각하거나 인식하는 지적 과정이다. 그러므로, 언어의 인지, 의미의 파악, 독서의 반응, 행동의 변용 등이 문자 언어에 의해서 이해되는 동시에 추리와 상상의 구조화가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합리적인 지혜로 신장되는 활동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장시간 책을 읽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놓여지는 경사도를 맞춰 바른 자세로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독서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러한 독서대는 지지판과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고, 펼쳐놓은 페이지가 임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에 한쌍의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1-16293호를 통해, (독서대의) 경사조절이 자유로운 휴대가 간편한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에 반해 책과 함께 들고 다니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542호를 통해, 거치된 책의 가독성과 휴대성 등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사용편의성 향상 구조를 가진 독서대가 개시되었는바, 받침대가 접히는 구조를 가져 부피를 줄일 수는 있으나 이 역시 책과는 별도로 들고 다녀야만 함에 따라 휴대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여전하였다.
결국, 들고 다니기 불편했던 기존 독서대와 달리, 두 권의 책과 필기도구 등을 내재수납한 상태의 단일물품으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함을 통한 휴대성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자세와 환경에서도 책을 용이하게 받쳐줄 수 있어 독서능력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장시간 독서시의 신체피로를 최소화하는 독서대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1-0016293호(1991.10.26.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1-0009053호(2011.09.23.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7599호(2015.06.24. 등록)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612호(2013.01.2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읽고 쓰기가 편리토록 한 책의 지탱과 함께 책과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접이식으로의 본체 구조개선을 통해, 독서대로서의 기능성 발휘는 물론이거니와 휴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대상물에 걸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시킬 수 있게 한 걸이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대나 대시보드 등에 본체를 간단히 거치시켜서도 책을 읽고 쓰기가 편리토록 하는 등 그 어떠한 환경 및 장소 그리고 자세를 취하더라도 책 일기 쓰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을 담아 읽고 쓰기 위해 펼쳐두거나 책과 물품의 수납을 위해 접어둘 수 있게 상호접철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맞춰 상기 본체를 뒤로 기울여 세울 때 후방으로 펼쳐서 상기 본체의 경사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피대상물에 걸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시켜둠이 가능토록 하는 복수의 걸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호접철을 이루며, 책과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한 쌍의 제1데스크 및 제2데스크와,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접철을 위한 접철부재와, 상기 제1,2데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제1,2데스크의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제1,2데스크의 접철상태 유지를 위한 접합부재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대는, 제1힌지구에 의해 상기 본체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구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되, 상기 본체의 후면 양측 각각에 돌출된 제지돌기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유지케 된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은, 피대상물에 걸어 상기 본체의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구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데스크 및 상기 제2데스크는, 상측가로대와 하부가로대 및 외측세로대와 내측세로대의 구성으로 책과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외측세로대를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가로구획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책수납부와 물품수납부로 분할되고, 상기 책수납부에 수납되는 책의 지탱과 함께 상기 책수납부와 상기 물품수납부에 수납된 책과 물품의 이탈방지를 위한 받침판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구속을 위한 후크와, 상기 후크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구와, 상기 후크를 걸어 상기 제1,2데스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결속구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내측세로대는, 서로 이격되는 제1구획대 및 제2구획대로 조합되며, 상기 제1,2구획대 사이로,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접철시 상기 책수납부에 수납된 책의 책명 노출을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지지대의 회전반경 제한을 위한 복수의 제지돌기가 상기 외측세로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내재를 위한 수용홈이 외면 정해진 위치에 마련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는, 책(서적, 공책 등)을 담아 읽고 쓰기가 가능토록 한 본체를 접거나 펼 수 있고 그 본체를 지지대를 이용해서 경사기립상태로 세워두는 것이 가능하며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어떠한 피대상물에도 상기 본체를 거치시켜둘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자세와 다양한 장소에서도 장시간 책을 읽고 필기를 하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특히, 책상 등의 테이블 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때에는 지지대를 이용한 본체의 경사기립상태 유지를 통해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과 본체에 수납된 책의 경사각도를 맞출 수 있어 책을 읽고 쓰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고, 침대에 반쯤 누워있거나 소파 등에 앉아있을 때에는 사용자 하체(다리)에 본체를 올려서도 사용할 수 있음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호접철이 가능한 제1,2데스크로 조합된 본체의 접이식 구조 달성에 따라, 책은 물론 필기구와 안경 등의 각종 물품을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상기 제1,2데스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 발휘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데스크의 후면에 구비된 걸이수단을 피대상물(자동차 운전석의 핸들 또는 대시보드 등)에 간단히 걸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시켜둔 상태로 책을 읽고 쓰기가 가능하며, 본체의 180° 회전을 통한 제1,2데스크 내측의 책수납부와 물품수납부의 위치전환으로 책 수납높이를 달리하는 것에 따라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을 맞출 수가 있게 되어, 장시간 책을 읽거나 필기를 함에 있어 신체피로를 가중시키는 요인을 없애 최상의 독서활동을 영위함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 달성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욕구 충족 및 이에 따른 제품경쟁력의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이를 통한 제조업체의 이익창출과 더불어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5a 내지 도 5d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A)는, 책(서적, 공책 등)을 담아 읽고 쓰기 위해 펼쳐두거나 책과 물품(필기구 등)의 수납을 위해 접어둘 수 있게 상호접철(相互摺綴)이 가능한 본체(1)와, 상기 본체(1)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맞춰 본체(1)를 뒤로 기울여 세울 때 후방으로 펼쳐서 상기 본체(1)의 경사기립(傾斜起立)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2)와,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후면에 구비되며 피대상물에 걸어서 상기 본체(1)를 거치시켜둠이 가능토록 하는 복수의 걸이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책의 지탱은 물론 책과 필기구 등의 각종 물품 수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접철을 이루며 책과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한 쌍의 제1데스크(11-1) 및 제2데스크(11-2)와,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상호접철을 위한 접철부재(12)와, 상기 제1,2데스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13)와,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고정부재(14)와,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접철상태 유지를 위한 접합부재(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2데스크(11-1)(11-2)는, 상측가로대(111)와 하부가로대(112) 및 외측세로대(113)와 내측세로대(114)의 구성으로 책과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외측세로대(114)(113)를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가로구획대(115)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책수납부(110a)와 물품수납부(110b)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책수납부(110a)에 수납되는 책의 지탱과 함께 책수납부(110a)와 상기 물품수납부(110b)에 수납된 책과 물품의 이탈방지를 위한 받침판(116)이 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세로대(113)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대(2)의 내재를 위한 수용단(1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세로대(114)는,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는 제1구획대(114-1) 및 제2구획대(114-2)로 조합되며, 상기 제1,2구획대(114-1)(114-2) 사이로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상호접철시 책수납부(110a)에 수납된 책의 책명 노출을 위한 개구부(114-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16)에는, 상기 지지대(2)의 회전반경 제한을 위한 복수의 제지돌기(116-1)가 상기 외측세로대(113)가 위치하는 부위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걸이수단(3)의 내재를 위한 수용홈(116-2)이 외면 정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철부재(12)는,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펼침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내측세로대(114)들을 연결하며 제1,2데스크(11-1)(11-2)가 서로를 기준으로 한 접철이 가능토록 한 통상의 경첩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본체(1)를 간편히 들고 다닐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상단에 구비되며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형태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4)는, 상기 본체(1)의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써,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상호구속을 위한 후크(114-1)와, 상기 후크(114-1)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구(114-2)와, 상기 후크(114-1)를 걸어 제1,2데스크(11-1)(11-2)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결속구(143)로 구성된다.
지지대(2)는, 상기 본체(1)가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맞춰 뒤(후방)로 기운 경사기립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세로대(113)의 수용단(113-1)에 밀착구비되는 한편, 제1힌지구(21)에 의해 상기 외측세로대(113)에 힌지결합되며, 그 제1힌지구(2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펼쳐지되 상기 받침판(116)의 제지돌기(116-1)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유지케 된다.
걸이수단(3)은, 상기 본체(1)를 피대상물에 거치시켜둔 상태로 편안하게 책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받침판(116) 외면에 마련된 상기 수용홈(116-2)에 내재되는 한편, 피대상물(예컨대 차량의 운전대 또는 대시보드 등)에 걸어 본체(1)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후크(31)와, 상기 후크(31)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구(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놓여지는 경사도를 맞춰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책을 읽거나 필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용도로 본 발명의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A)를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를 펼쳐서 제1,2데스크(11-1)(11-2)들의 책수납부(110a)와 물품수납부(110b)들의 개방상태를 이룬 다음, 상기 책수납부(110a)에 서적(소설책 등)이나 공책(필기장 등)을 내재시킨 상태로 독서(읽기)를 하거나 필기(쓰기)를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A)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세를 취한 상태는 물론 다양한 장소에서도 보다 편안하게 책을 읽거나 필기를 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5a에서와 같이, 테이블 상에 세워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를 펼쳐서 그 지지대(2)에 의해 본체(1)가 후방으로 기운 경사기립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책을 읽고 필기를 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b에서와 같이, 소파에 앉아있거나 침대에 기대고 반쯤 누워있거나 기대는 자세를 취한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의 하체(다리) 위에 상기 본체(1)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본체(1)의 제1,2데스크(11-1)(11-2) 받침판(116) 외면에 돌출된 제지돌기(116-1)를 이용하여 사용자 하체로부터 본 발명의 독서대(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손쉽게 책을 읽고 필기를 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5c에서와 같이,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후면에 구비된 걸이수단(3)를 운전대 또는 대시보드 등에 걸어서 상기 본체(1)의 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책을 읽고 필기를 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한편, 도 5d에서와 같이, 본체(1)를 180° 회전시켜 상기 제1,2데스크(11-1)(11-2) 각각에 마련된 물품수납부(110b)가 상측에 배치되고 책수납부(110a)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을 통해, 상기 책수납부(110a)에 수납된 책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통해서도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이 달라지도록 한 상태로도 책을 읽고 쓸 수도 있다.
다른 방편으로, 책과 물품을 휴대하고 다니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4(a)(b)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를 접어 제1,2데스크(11-1)(11-2)가 상호접철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책수납부(110a)와 물품수납부(110b)에 내재된 책과 물품(필기도구, 안경 등)의 외부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2데스크(11-1)(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13)를 파지하는 것으로 편리한 휴대가 가능하다.
정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A)에 의하면, 책(서적, 공책 등)을 담아 읽고 쓰기가 가능토록 한 상기 본체(1)를 접거나 펼 수 있고 그 본체(1)를 상기 지지대(2)를 이용해서 경사기립상태로 세워두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걸이수단(3)을 이용하여 어떠한 피대상물에도 상기 본체(1)를 거치시켜둘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자세와 다양한 장소에서도 장시간 책을 읽고 필기를 하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바, 특히 책상 등의 테이블 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때에는 지지대(2)를 이용한 본체(1)의 경사기립상태 유지를 통해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과 상기 본체(1)에 수납된 책의 경사각도를 맞출 수 있어 책을 읽고 쓰기가 편리토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침대에 반쯤 누워있거나 소파 등에 앉아있을 때에는 사용자 하체(다리)에 본체(1)를 올려서도 사용할 수 있음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호접철이 가능한 상기 제1데스크(11-1) 및 제2데스크(11-2)로 조합된 본체(1)의 접이식 구조 달성에 따라, 책은 물론 필기구와 안경 등의 각종 물품을 상기 본체(1)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상기 제1,2데스크(11-1)(11-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13)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 발휘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데스크(11-1)(11-2)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걸이수단(3)을 자동차 운전석의 핸들 또는 대시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피대상물에 간단히 걸어서 상기 본체(1)를 거치시켜둔 상태로 책을 읽고 쓰기가 가능한 효과, 본체(1)의 180° 회전을 통한 제1,2데스크(11-1)(11-2) 내측의 상기 책수납부(110a)와 물품수납부(110b)의 위치전환으로 책 수납높이를 달리하는 것에 따라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을 맞출 수가 있게 되어, 장시간 책을 읽거나 필기를 함에 있어 신체피로를 가중시키는 요인을 없애 최상의 독서활동을 영위함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독서대, 1 : 본체
1-1 : 제1데스크, 1-2 : 제2데스크
2 : 지지대, 3 : 걸이수단
12 : 접철부재, 13 : 손잡이
14 : 고정부재, 15 : 접합부재
21 : 제1힌지구, 31 : 후크
32: 제2힌지구, 110a : 책수납부
110b : 물품수납부, 111 : 상측가로대
112 : 하측가로대, 113 : 외측세로대
113-11 : 수용단, 114 : 내측세로대
114-1 : 제1구획대, 114-2 : 제2구획대
114-3 : 개구부, 115 : 가로구획대
116 : 받침판, 116-1 : 제지돌기
116-2 : 수용홈, 141 : 로커
142 : 제3힌지구, 143 : 결속구

Claims (8)

  1. 책을 담아 읽고 쓰기 위해 펼쳐두거나 책과 물품의 수납을 위해 접어둘 수 있게 상호접철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책을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맞춰 상기 본체를 뒤로 기울여 세울 때 후방으로 펼쳐서 상기 본체의 경사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피대상물에 걸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시켜둠이 가능토록 하는 복수의 걸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호접철을 이루며, 책과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한 쌍의 제1데스크 및 제2데스크와,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접철을 위한 접철부재와, 상기 제1,2데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제1,2데스크의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제1,2데스크의 접철상태 유지를 위한 접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데스크 및 상기 제2데스크는, 상측가로대와 하부가로대 및 외측세로대와 내측세로대의 구성으로 책과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외측세로대를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가로구획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책수납부와 물품수납부로 분할되고, 상기 책수납부에 수납되는 책의 지탱과 함께 상기 책수납부와 상기 물품수납부에 수납된 책과 물품의 이탈방지를 위한 받침판이 더 구성되며,
    상기 내측세로대는, 서로 이격되는 제1구획대 및 제2구획대로 조합되고, 상기 제1,2구획대 사이로,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접철시 상기 책수납부에 수납된 책의 책명 노출을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제1힌지구에 의해 상기 본체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구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되, 상기 본체의 후면 양측 각각에 돌출된 제지돌기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유지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피대상물에 걸어 상기 본체의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데스크의 상호구속을 위한 후크와,
    상기 후크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구와,
    상기 후크를 걸어 상기 제1,2데스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결속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지지대의 회전반경 제한을 위한 복수의 제지돌기가 상기 외측세로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내재를 위한 수용홈이 외면 정해진 위치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KR1020190070679A 2019-06-14 2019-06-14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KR10224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79A KR102248360B1 (ko) 2019-06-14 2019-06-14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79A KR102248360B1 (ko) 2019-06-14 2019-06-14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87A KR20200142987A (ko) 2020-12-23
KR102248360B1 true KR102248360B1 (ko) 2021-05-04

Family

ID=7408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79A KR102248360B1 (ko) 2019-06-14 2019-06-14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46A (ko) 2022-04-05 2023-10-12 김용은 사용이 편리한 다기능 독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661B1 (ko) * 2021-04-16 2023-12-27 주식회사 마렉스 접이식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캠핑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57Y1 (ko) * 2004-01-19 2004-04-28 유희덕 다용도 독서대
KR100956292B1 (ko) * 2009-03-20 2010-05-10 (주)뉴디아인덱스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053U (ko) 2010-03-17 2011-09-23 김기생 접이식 독서대
KR101229612B1 (ko) 2011-03-28 2013-02-04 이상화 휴대용 독서대
US8327774B1 (en) * 2011-05-20 2012-12-11 Rivera Michael A Portable steering wheel mounted table
KR200477599Y1 (ko) 2013-10-31 2015-06-30 천승일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57Y1 (ko) * 2004-01-19 2004-04-28 유희덕 다용도 독서대
KR100956292B1 (ko) * 2009-03-20 2010-05-10 (주)뉴디아인덱스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46A (ko) 2022-04-05 2023-10-12 김용은 사용이 편리한 다기능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87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9149A (en) Stuffed animal with book enclosure apparatus
KR102248360B1 (ko) 휴대형 다기능 독서대
US20050188899A1 (en) Work surface device
US20080011915A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lectern and bookstand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US4969698A (en) Portable desk
KR100956292B1 (ko)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100009723U (ko) 절첩식 독서지지대
CN213429019U (zh) 一种多功能高中文科生用学习架
JP2006056239A (ja) 本のための装飾的な三次元的なカバー
KR200432769Y1 (ko) 독서대 일체형 책상
US20140183323A1 (en) Portable desk
KR101186121B1 (ko) 접이식 날개면이 구비된 일체형 북커버
KR20170130237A (ko) 형태변형이 가능한 공간절약형 책상
JP7377662B2 (ja) ファイルボックス
KR20140005661A (ko) 책 받침대와 서랍을 갖춘 다용도 보조책상
KR100627010B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0409317Y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JPH11290112A (ja) 筆記版付き肩掛け鞄
CN211242175U (zh) 一种经济管理图书辅助阅读书架
KR200456757Y1 (ko) 휴대용 독서지지대
CN214963307U (zh) 一种便携式多用书桌
CN215125637U (zh) 一种课桌
CN213882286U (zh) 一种多媒体教学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