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48B1 -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648B1
KR102247648B1 KR1020200153142A KR20200153142A KR102247648B1 KR 102247648 B1 KR102247648 B1 KR 102247648B1 KR 1020200153142 A KR1020200153142 A KR 1020200153142A KR 20200153142 A KR20200153142 A KR 20200153142A KR 102247648 B1 KR102247648 B1 KR 10224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collection
transfer unit
cabbage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현종
강태경
이상희
강연구
최용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20015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on 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omprising: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crop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 collecting unit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to collect the harvested crop convey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 counting unit configured to the transfer unit and counting the number of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monitoring the number of crop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Description

배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견인되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배추 또는 무 등을 수확물을 수확하여 이송 및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수집되는 수확물의 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wed by means of a tractor such as a tractor, is configured to harvest, transport and collect cabbage or radish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harvest site, and thus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amount of harvested harvest.

일반적으로 배추의 수확작업은 거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일손의 부족현상과 노령화에 기인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작업 능률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In general, the harvesting of cabbages is mostly dependent on manpower, and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given the situation in rural areas caused by the shortage of workers and aging.

이러한 생산성 저하는 배추의 수확시기에 따라 적기 수확에 의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농가수입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This decrease in productivity causes a problem in that distribution by timely harvesting is not possible depending on the harvesting time of cabbage, resulting in a large loss in farm income.

한편, 종래에도 농가의 현 실정을 감안하여 각종 구근류의 수확을 위한 수확장치가 다수 개시된 바 있으나, 배추의 수확에 적합한 수확장치가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상기한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배추를 뽑아 올려 수확한다고 해도 수확된 배추를 특정 장소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후작업이 요구되어 결국 농가의 일손을 덜어주는데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a number of harvesting devices for harvesting various bulbs have been disclosed in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of farmers, but a harvesting device suitable for harvesting cabbage has not been developed. Even if it is picked up and harvested, post-work is required to transport the harvested cabbage to a specific place, and eventually, it does not have a big effect on reducing the labor of the farmers.

즉 종래에는 배추를 수확한 후에, 트럭 등 운송수단으로의 상차 작업이 오직 인력으로만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시간 소모가 많은 등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In other words, after harvesting the cabbage,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loading operation to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truck is performed only by manpower,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and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또한, 배추의 수집 시 인력 또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박스, 비닐 또는 자루 등에 일정량을 겹겹이 쌓는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배추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marketability of the cabbage is deteriorated due to a drop impact in the process of stacking a certain amount of a box, a plastic bag, or the like using a manpower or a conveyor when collecting the cabbage.

또한, 수집되는 배추의 갯수를 사람이 직접 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count the number of cabbages to be collec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018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0018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배추 또는 무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 등을 이송 및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되는 배추 또는 무 등이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절첩식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 시 공간 활용과 이동성이 우수하며, 수집되는 수확물의 량이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는 배추수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transfer and collect the cabbage or radish harvested at an adjacent location from the cabbage or radish harvesting site by being towed by a tractor, etc., and the collected cabbage or radish is damaged by the falling impac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formed, and the volume of the device is minimized by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with a folding structure, so that space utilization and mobility are excellent during storage and movement, and a cabbage harvesting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monitor the amount of harvested harvest is provided. I want to.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함)은,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이송부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의 갯수를 카운팅 하는 카운팅부;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 되는 수확물의 갯수가 모니터링 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llecting-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harvest from the front end side to the rear end side; A collection unit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to collect harvest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 counting unit configured in the transfer unit and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harvest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number of harvest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이때, 상기 카운팅부는 이송부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횡방향에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서 일체로 연동하며 이송되는 수확물에 의해 회전바를 연동시키는 복수의 연동바와, 상기 연동바에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연동바와 일체로 연동하는 타격바와, 상기 측면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의 타격횟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counting unit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protruding from the transfer unit, an upp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a rotating bar fixed to enable rotational interlock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ide frame, an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bar. A plurality of interlocking bars interlocking the rotating bar by the interlocking and transported crops, a striking bar attach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ar from the interlocking bar and integrally interlocking with the interlocking bar, and the striking bar configured in the side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for sensing the number of hits.

이때, 상기 이송부는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제 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 1회동부 및 제 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unit body unit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 traction or fastening to the traction means; A transfer unit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mounte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gradien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unit, and a flat portion mounted to form a flat section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 folding unit including a first pivoting unit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rotat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a second pivoting unit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pivo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pivoting unit. ; A transfer belt moun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the flat portion,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to perform orbital movement; And a driving means mounted on any one selected from the transfer unit or the folding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orbital motion of the transfer belt.

한편,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 1완충판; 및 상기 제 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단에 제 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 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 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1탄성체 및 제 2탄성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unit is a coupling frame rotatably coupled by a first hinge in a state in which a pair is spaced side by side at the rear end of the flat portion; A pair of first frames each fixed to the coupling frame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A first buffer plate for closing the spaced upper area of the first frame; And an opening that is an open lower area excluding the first buffer plate a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s; A pair of second frames each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air of first frames by a second hinge and provided in a bar shape; And a second buffer plate for closing the spaced apar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rames; And a pair of elastic string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fram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ies.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 1힌지를 통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while the coupling frame rotates forward or reverse through the first hinge.

아울러,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ves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end side or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ollection unit.

한편, 상기 탄성줄의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줄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one end of the elastic string is fixed to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tring is fixed at a point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hinge of the second frame.

일례로써, 상기 결합프레임은 'V'자 형태로 마련되며, 'V'자의 절곡된 지점이 상기 평면부에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coupling frame is provided in a'V' shape, and a bent point of the'V' shape is coupled to the flat portion,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fixed to two spaced points of the first frame,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배추 등의 수확물의 수집에 있어 수집되는 수확물의 량이 자동적으로 카운팅되며 이러한 카운팅 되는 수확물의 량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facilitating operation of the entire system by automatically counting the amount of harvested crops when collecting harvests such as Chinese cabbage, and monitoring the amount of harvested crops.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배추 등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등의 이송 및 수집이 가능하여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배추등의 운반과 수집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ransport and collection of cabbages harvested from adjacent locations from harvesting sites such as cabbages by being towed by a tractor, etc., so that a series of tasks including transport and collection of cabbages, etc., which depended on the existing manpower,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s a result, labor is reduc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수집되는 과정에서 배추 등이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수확물의 상품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mmodity value of the harvest by configuring it to prevent damage to the cabbage or the like from falling impact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형 배추수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가 수집부재에 적재된 수확물의 양에 따라 작동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lectible cabbage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a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llecting type cabbage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llection unit that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llection unit a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llection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harvest loaded on the collection membe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 수집부(4), 카운팅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nsfer unit 1, a collection unit 4, a counting unit 70, and a control unit 80 as shown in FIG. 1.

먼저, 상기 이송부(1)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견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추 또는 무 등 수확지로부터 인접 위치에서 수확된 배추 또는 무(이하, 수확물이라함)를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transfer unit 1 is connected to a tractor or the like and configured to be traction, and is configured to transfer cabbage or radis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rvest) harvested at a location adjacent from a harvesting site such as cabbage or radish from the front end side to the rear end side.

이러한 상기 이송부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0), 이송유닛(20), 절첩유닛(30), 이송벨트(40) 및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수확된 수확물을 선단측인 수확지로부터 후단측에 배치된 수집부(4)까지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is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unit 10, a transfer unit 20, a folding unit 30, a transfer belt 40 and a driving means 50, as shown in Figs. 1 to 2, 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harvested harvested product from the harvesting site, which is the front end side, to the collection unit 4 disposed at the rear end side.

먼저, 상기 본체유닛(10)은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을 지지하게 된다.First, the main body unit 10 is configur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s to each other, and supports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folding unit 30 and the like.

이러한 본체유닛(10)은 견인식 또는 부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 구조가 적용되어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견인식의 체결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unit 10 may be connected to a traction means such as a tractor by applying various known fastening structures such as a traction type or an attachment type, and when a traction type fastening structure is applied, a connection part 130 for traction or fastening to the traction means ) Can be provided.

상기 본체유닛(10)은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연결된 견인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 등의 구동원으로 활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 is not specifically shown, but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connected traction means, the transmitte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folding unit 30, etc. It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 driving source of.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본체유닛(10)의 상부에서 마련되는 경사면부(200)와 평면부(210)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and a flat portion 210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unit 10.

상기 경사면부(200)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의 경사 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연하여 일정한 평면 이송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다.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forms an upward inclination gradient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the flat portion 210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to form a constant plane transfer section.

그리고 상기 평면부(210)는 상기 경사면부(2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수확물의 이송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200)의 후단에 수평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배추수확기의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부피가 줄도록 상기 경사면부(20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t portion 210 is hinge-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so as to be rotatable to maintain the posture in a horizontal state 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1 when the harvest is transferred. When moving or storing the cabbage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nd fold in a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art 200 so as to reduce the volume.

일례로, 상기 경사면부(200)에는 상기 평면부(210)와 대향하는 후단이 상기 평면부(210)의 선단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평면부(2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a rear end facing the flat portion 210 supports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lat portion 21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of the flat portion 210 (not shown). Poetry) can be further composed.

상기 절첩유닛(30)은 상기 경사면부(2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회동부(300)와, 상기 제 1회동부(30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300)의 상부면을 향하는 즉,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 2회동부(310)를 포함한다.The folding unit 30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and rotates from the transfer unit 2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3, and the first It includes a second pivoting portion 310 that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eastern part 300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ivoting part 300, that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명세서에 있어 수확지가 위치한 방향을 '선단' 또는 '선단측'(도 3에서 우측방향)이라 정의하고 상기 수집부(4)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단' 또는 '후단측'(도 3에서 좌측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rvest is located is defined as'the tip' or'the tip side' (the right direction in FIG. 3),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lection unit 4 is arranged is the'rear end' or the'rear end' (in FIG. 3). It will be described by defining it as the left direction).

상기 이송벨트(40)는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 1회동부(300) 및 제 2회동부(310)에 걸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한다. The transfer belt 40 is mounted over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the flat portion 210, the first rotating portion 300,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310 to perform orbital motion.

이때, 상기 이송벨트(40)는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되거나 또는 복수의 단위평판이 상호 힌지 연결된 구조로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의 회동에 따른 절첩 상태에서도 그 외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ransfer belt 40 is selected a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ductility, or a plurality of unit plate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even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unit 20 or the folding unit 30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s appearance is not deformed or damaged.

상기 경사면부(200), 평면부(210), 제 1회동부(300) 및 제 2회동부(310)는 각각 내부 공간과 양측벽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부호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40)의 안정적인 궤도 운동과 지지를 위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측판(부호 미도시)의 내측면에 상기 이송벨트(40)가 접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00, the flat portion 210, the first rotating portion 300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310 are a pair of si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n inner space and both side walls are formed, respectively (not shown)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rollers to which the transfer belt 40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each side plate (not sh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table orbital motion and support of the transfer belt 40 ( Not shown) can be mounted.

또한, 상기 이송벨트(40)는 일정 간격을 따라 수직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구획판(400)이 마련되어 수확물의 이송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수확물이 상기 경사면부(200)의 경사 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belt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400 vertically mounted along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transfer of harvests can proceed smoothly.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or leaving due to its own weight.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이송유닛(20) 또는 절첩유닛(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40)의 궤도 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한다.The driving means 50 is mounted on any one selected from the transfer unit 20 or the folding unit 30 and imparts a driving force to the orbital motion of the transfer belt 40.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5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평면부(2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면부(210)의 양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재(500) 및 상기 평면부(210)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그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벨트(4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means 5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driving mot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210, a driving shaft transversely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210, and the A power transmission member 500 that interconnects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driving shaft to transmit power, and the flat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and rotates integrally, and the transfer belt 40 is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 May include a drive gear configured to engage.

상기 동력전달부재(500)는 체인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기어는 적합한 회전비를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500 may be a chain, and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shaft may have a gear structure meshing with the chai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gear having an appropriate rotation ratio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the drive shaft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fer belt 40.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 다양한 모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가 적용될 경우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 및 유압라인의 경로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can be applied by selecting one of various motors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and when a hydraulic motor is applied, a hydraulic pump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ump, and the path setting of the hydraulic line, etc.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이송부(1)는, 상기 이송유닛(20)의 평면부(210)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40)를 통해 이동하는 객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fer unit 1 includes a sensor module 60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lat portion 210 of the transfer unit 20 and detects an object moving through the transfer belt 40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It may contain more.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센서모듈(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40)로 부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50 may receive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60 and selectively control a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transfer belt 40 according to the input.

이처럼 상기 이송부(1)는 컨베이어를 이송유닛(20)과 절첩유닛(30)을 분리 구성하면서 상기 절첩유닛(30)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수집장치의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상기 절첩유닛(30)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농작물의 수확 시에는 수확지에 컨베이어를 최대한 근접 배치시켜 수확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transfer unit 1 separates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folding unit 30 from the conveyor and allows the folding unit 30 to rotate selectively from the transfer unit 20, thereby moving or storing the collection device. At the time, the folding unit 30 is kept in a folded stat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when crops are harvested, the conveyor is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arvest area to further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harvest.

이하, 도면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llection unit 4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집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C)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collection unit 4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1 as shown in FIG. 1 and is configured to collect the harvest C that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

이러한 상기 수집부(4)는 결합프레임(41), 제 1완충부재(42), 제 2완충부재(43) 및 탄성줄(4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ection unit 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frame 41, a first buffer member 42, a second buffer member 43 and an elastic string 44.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의 일 구성인 평면부(210)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411)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The coupling frame 41 is rotated by a first hinge 411 in a state in which a pair is spaced side by side at the rear end of the flat portion 210,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1, as shown in Fig. 1 or 3 Combined into possible structures.

이때,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힌지(411)에는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상기 결합프레임(41)의 회전각 조절과 회전각을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회전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회전제어부(미도시)는 그 회전각 조절과 고정을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a rotation control unit (not shown) that adjusts and fixes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 angle of the coupling frame 41 from the flat part 210 to the first hinge 411. ) May be further provided, and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rotation angle may be applied to the rotation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41)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V'자의 뾰족한 절곡지점(412)이 상기 평면부(210)에 힌지결합되고 'V'자의 양단부인 제 1단(413) 및 제 2단(414)은 각각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 3 등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평면부(210)로부터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지속적으로 이하의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에 낙하하면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frame 4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V' as shown in Figs. 4 to 5, and the sharp bent point 412 of the'V' is hinged to the flat part 210 And the first end 413 and the second end 414, which are both ends of the'V' shape, are fixed at two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f the first frame 421, so that they are disposed at a certain height as in FIG.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by protecting the device from the shock transmitted while the harvest (C) having a relatively large load from the flat part 210 continuously falls on the following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42 and 43. There will be.

이때, 상기 제 1단(413)은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단(414)은 상기 제 1프레임(421)에 고정되되, 상기 제 1단(413)과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nd 413 may b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421, and the second end 414 may be fixed to the first frame 421, and the first end 413 ) And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 1완충부재(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421), 제 1완충판(422) 및 개구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buffer member 42 includes a first frame 421, a first buffer plate 422, and an opening 423 as shown in FIG. 4.

먼저, 상기 제 1프레임(421)은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상기 결합프레임(41)에 고정되는 것으로, 원호형태로 마련된다.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frame 421 is provided with a pair and is fixed to the coupling frame 41,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in an arc shape.

그리고 상기 제 1완충판(422)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 1프레임(421)의 상부영역을 마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423)는 상기 제 1프레임(421)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422)을 제외한 개구된 영역인 것으로, 상기 이송부(1)의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들은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수집부(4)가 취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완충판(422)을 거친 후 또는 거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부재(43)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And the first buffer plate 422 is configured to close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frame 4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pening 423 is the first buffer plate 422 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s 421 It is an open area except for, and the harvests C transferred from the flat part 210 of the transfer part 1 are the first buffer plate according to the angle taken by the collecting part 4 as shown in FIGS. 5A to 5C. After passing through 422 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423,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buffer member 43.

이때, 상기 제 1완충판(422)과 개구부(423)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원호 형태의 제 1프레임(421) 상에서 5:5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확물(C)의 종류 또는 무게 등에 따라 제 1완충판(422)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거나 또는 개구부(423)의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buffer plate 422 and the opening 423 may be 5:5 on the first frame 421 in the form of an arc, and the first The buffer plate 422 may have a larger area or the opening 423 may have a larger area.

이어서,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제 2프레임(432) 및 제 2완충판(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제 2프레임(432)은 도면에서와 같이 바형태로써, 그 일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421)의 하단과 제 2힌지(431)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Subsequently, the second buffer member 43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rame 432 and a second buffer plate 433, and first, the second frame 432 has a b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one end thereof An additional pair of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s 421 and the second hinges 431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otatable structure.

또한,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상기 제 2프레임(432)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buffer member 43 is configured to close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second frames 432.

한편, 상기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고무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buffer member 42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43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s an example, a rubber material may be applied.

이러한 상기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테두리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 1프레임(421) 및 제 2프레임(432) 사이를 마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완충부재(42) 및 제 2완충부재(43)는 그 재질에 의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1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으며, 그에 더하여 각 제 1프레임(421) 및 제 2프레임(432) 간 사이 공간에서 그 양측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낙하하는 수확물(C)에 대한 쿠션 작용을 통한 2차적 완충작용이 발현될 수 있는 바, 수확물(C)이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낙하할 때 그 완충 효과가 배가될 수 있어 수확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수확물(C)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buffer member 42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43 are eac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lose between the pair of first frames 421 and the second frame 432 forming an rim structure, The first buffer member 42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43 may exhibit a primary buffering action for the falling harvest (C) by the material thereof, and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frame 421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43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rame 432 are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s 432 so that a secondary buffering action can be expressed through a cushioning action for the falling harvest (C), and the harvest (C) is the flat part 210 ), the buffering effect can be doubled when falling from), so that the product value of the crop (C)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아울러, 상기 탄성줄(44)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42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432)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배추 또는 무 등 비교적 하중이 큰 수확물(C)이 상기 제 1완충부재(42)를 거쳐 제 2완충부재(43)로 낙하할 때 그 충격에 의해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가 도 3에서 화살표의 ①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다시 탄성줄(44)에 의해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가 도 4에서 화살표의 ②번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원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5, the elastic string 44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rame 421,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frame 432 so that the cabbage or When the harvest (C) having a relatively large load such as radish falls to the second buffer member 43 through the first buffer member 42, the second buffer member ( 4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① of the arrow in FIG. 3 to absorb the impact,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43 centers on the second hinge 431 by the elastic string 44 again. As i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②, the restoration can be performed repeatedly.

이때, 상기 탄성줄(44)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432)에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제 2힌지(431)로부터 이격된 그 대향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 2힌지(43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제 2완충부재(43)와 제 1완충부재(42) 간 회전반경을 확보하여 그 완충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tring 44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432, and is preferably fixed to the opposite side separated from the second hinge 431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hinge 431 By configuring so as to be spaced apart, a radius of rotation between the second buffer member 43 and the first buffer member 42 around the second hinge 431 is secured, so that the buffering effect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집부(4)에 수확물(C)이 수집될 수 있는 자루형태의 수거부재(451)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집부(4)를 감싸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수거부재(451)는 상기 이송부(1)의 본체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45)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member 451 in the form of a bag through which the harvest (C) can be collected may be applied to the collection unit 4 in a form surrounding the collection unit 4, as shown in FIG. The collection member 451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by a supporter 45 extending from the main unit of the transfer unit 1.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집부(4)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collection unit 4,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설명에 앞서,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상기 제 1힌지(4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집부(4)의 높이가 다르게 조절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에 따라 상기 수집부(4)의 적절한 회전각을 예시한 도면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FIGS. 5A to 5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eight of the collection unit 4 is adjusted differently by rotating based on the first hinge 411, respectively, and FIGS. 6A to 6C are views of the collection member ( 45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opriate rotation angle of the collection unit 4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harvest (C) collected inside.

먼저, 도 5a 및 도 6a의 경우 수거부재(451)의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비교적 적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 수집된 수확물(C)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수집부(4)로부터 수거부재(451)의 바닥면까지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므로, 수확물(C)이 낙하하면서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쌓여있는 다른 수확물(C)과 낙하충격에 의해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제 1힌지(411)를 기준으로 하측(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수거부재(451)의 바닥면에 인접 배치되어 낙하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First, in the case of FIGS. 5A and 6A, the amount of harvest C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on member 451 is relatively small, and the amount of harvest C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on member 451 is small. In the case, since the height from the collection unit 4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is formed relatively high, the harvest (C) falls while the other harvest (C)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llection unit 4 rotates downwar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411 to prevent this. 2 The buffer member 4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to minimize a drop impact.

이 경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상기 제 1완충부재(42)의 제 1완충판(422)으로 완충되어 전달되고,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 1완충판(422)의 구조에 의해 저속의 구름 방식에 의해 하측 개방구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A, the harvest C transferred from the flat portion 210 is buffered and delivered to the first buffer plate 422 of the first buffer member 42, and a first buffer plate configured in an arc shape Due to the structure of (422), it can be guided to the lower opening by a low-speed rolling method.

이후, 낙하하는 속도가 제어된 수확물(C)은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판(433)으로 전달되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 2완충판(433)은 제 2힌지(43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하면서 추가적인 완충작용이 발현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harvest (C) whose falling speed is controlled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buffer plate 433, and the second buffer plate 433 is centered on the second hinge 431 by the transmitted impact. As shown in the drawing, as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buffer plate 422 and the second buffer plate 433 is expanded by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 additional buffering action is expressed, so that the collection member 451 can fall inside.

이때, 상기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회전 각도가 확장함에 따라 상기 제 2완충판(433)의 끝단과 수거부재(451)의 바닥면 간 간격이 줄어들어 수확물(C)의 낙하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as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buffer plate 422 and the second buffer plate 433 expand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buffer plate 43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rop impact.

이후, 상기 탄성줄(44)의 작용에 의해 제 1완충판(422)과 제 2완충판(433) 간 화전 각도가 수축하여 추가적으로 이송되는 수확물(C)에 대해 일정한 완충작용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due to the action of the elastic string 44, the angle of hwajeon between the first buffer plate 422 and the second buffer plate 433 is contracted, so that a certain buffering ac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ly transported harvest (C). .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낙하하면서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위치에너지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원리가 작용하여 수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하충격으로부터 수확물(C)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품가치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harvest (C) transported while falling by the above structure acts on the principle that its potential energy is reduced step by step to protect the harvest (C) from the falling shock that occurs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thereby providing the best value for the product. You will be able to keep it in a state.

도 5b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6a 대비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보다 많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와 대비하여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도 6b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5B and 6B show a state in which more crops C are loaded inside the collection member 451 compared to FIGS. 5A and 6A.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4 is the first By further rotating clockwise around the hinge 411 in the drawing, the second buffer member 4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most end of the loaded harvest C, but higher than that, as shown in FIG. 6B.

이때, 상기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그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완충판(422)에 완충된 후 개구부(423)를 통과해 제 2완충판(433)에 완충되면서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는 바, 이때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그 후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물(C)은 제 2완충판(433)의 후단측으로 낙하하여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harvest (C) transferred from the flat portion 210 is buffered by the first buffer plate 422 disposed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and then passes through the opening 423 to be buffered by the second buffer plate 433 As shown, the second buffer member 43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so that the second buffer member 43 has an inclined surface with its rear end facing downward, so that the harvest C is direct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second buffer plate 433. It falls and is put into the collection member 451.

또한, 도 6b는 도 5b와 대비하여 수집부(4)가 상기 제 1힌지(411) 기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제 2완충부재(43)는 그 선단측이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수확물(C)은 제 2완충판(433)에 완충된 후 그 선단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llection unit 4 is further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hinge 411, compared to FIG. 5B. In this case, the second buffer member 43 has a front end side thereof. Since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e harvest (C) can be buffered in the second buffer plate 433 and then fall to the front end thereof.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집부(4)의 각도 조절에 따라 수확물(C)이 제 2완충부재(43)의 후단측 또는 선단측으로 낙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거부재(451) 내측에 적재되는 수확물(C)은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즉, 자동으로 수거부재(451) 내측에서 골고루 적재될 수 있어 인력의 최소화와 수집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harvest (C) to fall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uffer member 43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collection unit 4, the harvest (C) to be loaded inside the collection member 451 ) Is not biased toward one side, that is, it can be automatically loaded evenly from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member 451, thereby minimizing manpower and improving collection efficiency.

아울러, 도 5c 및 도 6c는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 내측에 가득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집부(4)는 상기 실시 예 대비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완충부재(43)가 도 5c에서와 같이 적재된 수확물(C)의 최상단에 인접하되 그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igures 5c and 6c show a state in which the harvest (C) is fully loaded inside the collection member 451,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4 is centered on the first hinge 411 compared to the embodiment. By further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econd buffer member 4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most end of the loaded harvest C, but higher than that, as shown in FIG. 5C.

이때, 평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수확물(C)은 도 5c에서와 같이 개구부(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완충판(433)에 바로 낙하한 후 제 2완충부재(43)의 선단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수거부재(451)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harvest (C) transferred from the flat portion 210 passes through the opening 423 as shown in FIG. 5C and immediately falls on the second buffer plate 433, and the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uffer member 43.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member 451.

또한, 도 6c에서와 같이 수확물(C)이 수거부재(451)에 가득 적재되는 경우 수집부(4)가 도 5c 대비 제 1힌지(411)를 중심으로 더 많이 회전함으로써 수확물(C)이 수집부(4)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거부재(451)로 투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c, when the harvest (C) is fully loaded on the collection member 451, the collection unit 4 rotates more around the first hinge 411 compared to Figure 5c, so that the harvest (C) is collect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so that it is put into the collection member 45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art 4.

상기 실시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4)는 단계적인 회전제어가 아닌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높이 제어가 가능하므로 수확물(C)의 종류 및 크기 등 작업환경에 따라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우수한 범용성과 최상의 작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llection unit 4 is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height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rather than stepwise rotation control, so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crop C. It will be able to provide versatility and the best work efficiency.

상기 카운팅부(70)는 상기 이송부(1)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의 갯수를 카운팅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counting unit 70 is configured in the transfer unit 1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counting the number of harvest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

상기 카운팅부(7)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부(1)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71)과, 상기 측면프레임(7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72)과, 상기 측면프레임(71)의 횡방향에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바(73)와, 상기 회전바(73)에서 일체로 연동하며 이송되는 수확물에 의해 회전바(73)를 회전연동시키는 복수의 연동바(74)와, 상기 연동바(74)에서 상기 회전바(73)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연동바(74)와 일체로 연동하는 타격바(75)와, 상기 측면프레임(71)에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75)의 타격횟수를 센싱하는 센서(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nting part 7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71 protruding from the transfer part 1 as shown in FIG. 1, an upper frame 72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71, and the side frame A rotation bar 73 fixed to enable rotational interlock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71), and a plurality of interlocking bars for rotationally interlocking the rotational bar 73 by the harvested products that are integrally interlocked and transported from the rotational bar 73 (74), a striking bar (75) which is attach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bar (73) in the interlocking bar (74) and integrally interlocks with the interlocking bar (74), and the side frame (71) It is configured i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76 for sensing the number of hits of the hitting bar (75).

상기 측면프레임(71)은 상기 이송부(1)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ide frame 71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transfer unit 1,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s preferably adjusted. Since various known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is adjust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회전바(73)는 상기 측면프레임(71)의 상단부에 횡방향 즉 상기 측면프레임(71)과 직교하면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rotation bar 73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71 in a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orthogonal to the side frame 71 to enable rotational interlocking.

상기 연동바(74)는 상기 회전바(73)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바(73)와 일체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1)에서 이송되는 수확물이 측면프레임(71) 사이를 통과할 시에 상기 연동바(74)를 밀면서 통과하게 되는 것이며 통과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연동바(74)가 복귀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기작을 통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타격바(75)가 센서(76)를 타격하여 측면프레임(71) 사이를 통과하는 수확물의 개수가 카운팅이 되는 것이다. The interlocking bar 74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otating bar 73, and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bar 73, and the crops conveyed from the conveying unit 1 are side frames 71 When passing through the interlocking bar 74 is pushed through and the interlocking bar 7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is operation mechanism, the striking bar 75 The number of crops passing between the side frames 71 by hitting the sensor 76 is counted.

상기 타격바(75)는 상기 연동바(74)에서 상기 회전바(73)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수확물 통과후 연동바(74)가 복귀하면서 일체로 연동하는 타격바(75)에 의해 센서(76)가 타격이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타격바(75)가 복수의 연동바(74) 하단에서 부착이 되어 복수의 연동바(74)가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riking bar 75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ar 73 from the interlocking bar 74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interlocking bar 74 returns after passing the harvest by a striking bar 75 that is integral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nsor 76 is hit. In addition, the striking bar 75 is attach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interlocking bars 74 so that the plurality of interlocking bars 74 are integrally interlocked.

상기 센서(76)는 상기 측면프레임(71)에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75)의 타격횟수를 센싱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76)는 상기 제어부(80)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76)에서 센싱한 값이 상기 제어부(80)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76)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nsor 76 is configured on the side frame 71 to sense the number of hits of the hitting bar 75, and the sensor 7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by wire or wirelessly, so that the sensor The value sensed at (7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 Here, since various known technologies may be applied to the sensor 76,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운팅부(70)에서 카운팅 되는 수확물의 갯수가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0)에는 모니터부(81)가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부(81)는 일 예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number of crop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70. For this purpose, a monitor unit 81 is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80, and the monitor unit 81 is touched as an example. It can be composed of a screen.

이에 더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수단(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어부(80)를 통해 구동수단(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80)에 의해 이송되는 수확물의 개수가 모니터링 되는 것에 더하여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8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50 through the control unit 80. That is, in addition to monitoring the number of crops transferred by the control unit 80, the operation of the system can be controll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 이송부 4 : 수집부
10 : 본체유닛 20 : 이송유닛
30 : 절첩유닛 40 : 이송벨트
41 : 결합프레임 42 : 제 1완충부재
43 : 제 2완충부재 44 : 탄성줄
45 : 지지대 50 : 구동수단
70 : 카운팅부 80 : 제어부
200 : 경사면부 210 : 평면부
300 : 제 1회동부 310 : 제 2회동부
1: transfer unit 4: collection unit
10: main unit 20: transfer unit
30: folding unit 40: transfer belt
41: coupling frame 42: first buffer member
43: second buffer member 44: elastic string
45: support 50: drive means
70: counting unit 80: control unit
200: inclined surface portion 210: flat portion
300: 1st eastern part 310: 2nd eastern part

Claims (8)

수확물을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이송부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확물의 갯수를 카운팅 하는 카운팅부;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 되는 수확물의 갯수가 모니터링 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부는 이송부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횡방향에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서 일체로 연동하며 이송되는 수확물에 의해 회전바를 연동시키는 복수의 연동바와, 상기 연동바에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연동바와 일체로 연동하는 타격바와, 상기 측면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의 타격횟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견인수단에 견인 또는 체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후단에 연하여 평면 구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경사면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동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제 1회동부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 1회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유닛;
상기 경사면부, 평면부, 제 1회동부 및 제 2회동부 간을 따라 장착되어 궤도운동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유닛 또는 절첩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평면부의 후단에 한 쌍이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제 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상부영역을 마감하는 제 1완충판; 및 상기 제 1프레임 간 간격에서 상기 제 1완충판을 제외한 개구된 하부영역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완충부재;
한 쌍의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단에 제 2힌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바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간 이격된 간격을 마감하는 제 2완충판;을 포함하는 제 2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에,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완충부재 및 제 2완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수확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harvested product from the front end side to the rear end side;
A collection unit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to collect harvest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 counting unit configured in the transfer unit and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harvest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 control unit for monitoring the number of crop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Including,
The counting unit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protruding from the conveying unit, an upper frame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side frame, a rotating bar fixed to enable rotational interlock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ide frame, and integrally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bar. A plurality of interlocking bars interlocking the rotating bar by the conveyed harvest, a striking bar attach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ar in the interlocking bar and integrally interlocking with the interlocking bar, and a striking bar configured in the side frame It includes a sensor that senses the number of times,
The transfer unit
A body unit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for traction or fastening to the traction means;
A transfer unit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mounte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gradien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unit, and a flat portion mounted to form a flat section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 folding unit including a first pivoting unit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rotat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a second pivoting unit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pivo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pivoting unit. ;
A transfer belt moun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the flat portion,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to perform orbital movement; And
A driving means mounted on any one selected from the transfer unit or the folding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orbital motion of the transfer belt;
Including,
The collection unit
A coupling frame rotatably coupled by a first hinge in a state in which a pair is spaced side by side at the rear end of the flat portion;
A pair of first frames each fixed to the coupling frame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A first buffer plate for closing the spaced upper area of the first frame; And an opening that is an open lower area excluding the first buffer plate a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s;
A pair of second frames each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air of first frames by a second hinge and provided in a bar shape; And a second buffer plate for closing the spaced apart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frames; And
A pair of elastic string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fram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Collection-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cabbage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제 1힌지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수확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on unit
The collecting-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cabbage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ed while the combining frame rotates forward or backward around the first hin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수확물은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수확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 collection 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cabbage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ves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 end side or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oll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의 일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줄의 타단은 상기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수확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elastic string is fix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fram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tring is a collection 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cabbage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fix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of the second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V'자 형태로 마련되며, 'V'자의 절곡된 지점이 상기 평면부에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의 이격된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수확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집형 배추수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frame is provided in a'V' shape, and a bent point of a'V' shape is coupled to the flat portion,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are fixed to two spaced points of the first frame, respectively. A collection-type cabbage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cabbage harvesting.
KR1020200153142A 2020-11-16 2020-11-16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KR102247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142A KR102247648B1 (en) 2020-11-16 2020-11-16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142A KR102247648B1 (en) 2020-11-16 2020-11-16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648B1 true KR102247648B1 (en) 2021-05-04

Family

ID=7591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142A KR102247648B1 (en) 2020-11-16 2020-11-16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39A1 (en)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아이온텍 Feed transport amount measuring apparatus using sensor
KR102636290B1 (en) * 2023-05-18 2024-02-14 김준희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80A (en) 1999-09-28 2000-01-15 신윤호 Multi-step connecting conveyer for carrying agricultural products to truck
KR100496009B1 (en) *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of heading leaf vegetables harvester
KR20100093863A (en) * 2009-02-17 201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for pallets deposit
KR101880947B1 (en) * 2017-10-20 2018-07-26 창녕군 Transferring Apparatus Harvester
JP2018164437A (en) * 2017-03-28 2018-10-25 ヤンマー株式会社 Crop yield meas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80A (en) 1999-09-28 2000-01-15 신윤호 Multi-step connecting conveyer for carrying agricultural products to truck
KR100496009B1 (en) * 2002-08-21 2005-06-16 대한민국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of heading leaf vegetables harvester
KR20100093863A (en) * 2009-02-17 201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for pallets deposit
JP2018164437A (en) * 2017-03-28 2018-10-25 ヤンマー株式会社 Crop yield measuring apparatus
KR101880947B1 (en) * 2017-10-20 2018-07-26 창녕군 Transferring Apparatus Harv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39A1 (en)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아이온텍 Feed transport amount measuring apparatus using sensor
KR102636290B1 (en) * 2023-05-18 2024-02-14 김준희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648B1 (en)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ing system with a yield monitoring function
KR102247649B1 (en) Collection type Chinese cabbage harvester
US7470180B2 (en) Rock trap for combine header
US5816037A (en) Tree-shaking and harvesting apparatus
KR101771239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US2531379A (en) Harvester for onions and the like
BR102019008401A2 (en) ROW CULTIVATION BOWL AND CULTIVATION DIVIDER FOR AN AGRICULTURAL MACHINE, AND, COMBINED
JP2021520222A (en) Sorting belt unit for harvesters, attached flap unit
KR102048005B1 (en) Underground crop harvesting device with soil separation function
EA024561B1 (en) Harvesting machine for harvesting of potatoes, roots and similar row crops
US2788141A (en) Tobacco cropping machine
CN207022504U (en) Harvester for peanut
US3070939A (en) Corn picker
US6938403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telescoping boom and related methods
US4493601A (en) High capacity, self-unloading forage hopper
US2835098A (en) Harvester for pumpkins and similar crops
EP3797572B1 (en) Root crop harvester comprising an elevator for lifting root crops
KR102603772B1 (en) Cabbage collection unit with loading device
US6945022B2 (en) Fruit harvester including pivotable fruit deflector and associated methods
US3543495A (en) Harvesting mechanism
RU2420055C1 (en) Frontal picker-loader of melons and gourds
JP4194170B2 (en) Walking type vegetable harvester
US3034635A (en) Harvesting apparatus
JP7078224B2 (en) Crop harvester
JP5477021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