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50B1 - 바인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인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50B1
KR102247550B1 KR1020190085764A KR20190085764A KR102247550B1 KR 102247550 B1 KR102247550 B1 KR 102247550B1 KR 1020190085764 A KR1020190085764 A KR 1020190085764A KR 20190085764 A KR20190085764 A KR 20190085764A KR 102247550 B1 KR102247550 B1 KR 10224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esin
resin composition
acrylate
bisphenol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144A (ko
Inventor
박종민
정윤수
이재봉
황용현
이윤섭
Original Assignee
(주)켐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켐베이스 filed Critical (주)켐베이스
Priority to KR102019008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55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molecular-weight esters thereof
    • C08G59/1461Unsaturated monoacids
    • C08G59/1466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 C08G59/429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together with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물인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엣지 경화성이 우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인더 수지 조성물{Bind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엣지 경화성이 우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 휴대전화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이용되는 전자제품용 바인더는 빠르고 균일하게 경화가 진행되며, 수분투과도가 낮아 전자제품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전자제품용 바인더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이용한 광중합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광중합을 이용하는 경우 빠른 시간 안에 다른 전자재료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중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자제품의 구조 또는 설비 구조 등에 의해 광이 미처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는 중합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고, 광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도 균일한 중합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 개시제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열중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열중합은 통상적으로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 등의 중합으로 제조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재료로 하여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상술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하는 경우, 산소와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엣지)에서 경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경화를 수행한 후 테두리면을 잘라내는 추가적인 단계를 필연적으로 포함하며, 이는 곧 생산단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열경화에 따른 균일한 경화 효과를 도모하면서도, 산소와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에서도 균일한 경화가 가능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두리 부분에서도 균일한 경화가 가능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온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빠른 속도로 경화가 가능하고 고굴절률을 갖고 접착력, 특히 엣지 접착력이 우수한 중점도의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물인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는 비중이 1.15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저점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저점도 모노머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벤질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러로니트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라디칼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상기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0 중량부의 다관능 모노머,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저점도 모노머 및 0.1 내지 3 중량부의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점도(25℃)가 300 내지 500 cps 이고, 비중이 1.1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 경화물의 굴절률은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7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경화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경화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물인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테두리 부분에서도 균일한 경화가 수행되며, 상온안정성이 우수하고 경화 시 빠른 속도로 경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물인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기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엣지 경화성이 우수하고, 상온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바인더로 이용되던 에폭시를 열경화를 통해 경화하는 경우,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엣지 경화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미경화된 부분에서 수분투과도가 현저히 상승하고, 전자제품 등에 수분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경화된 테두리 부분을 잘라내는 경우 생산 단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에폭시 당량을 만족하며, 상온에서 고체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엣지 경화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미경화된 테두리 부분을 잘라내는 등의 추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는 말단에 에폭시기를 2개 포함하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의미하며, “상온”은 15 내지 35 ℃의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는 비중이 1.15 내지 1.20일 수 있으며, 나아가 연화점이 55 내지 75 ℃, 좋게는 60 내지 7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가 상술한 비중 및 연화점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해도 경화가 발생하지 않아 상온안정성이 우수하며, 경화를 위한 가열 시 빠른 속도로 경화가 진행되어 생산시간 단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에폭시가 상술한 에폭시 당량, 연화점 및 비중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열 개시제와 혼합 후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경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장기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물성을 만족하는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반응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 당 10 내지 30 중량부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혼합하고,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의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는 단계를 거쳐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혼합하고 촉매를 첨가한 뒤, 85 내지 130 ℃로 승온하여 4 내지 10시간동안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촉매는 Tri Phenyl Phosphine 또는 Tri Phenyl Stibine과 같은 트리페닐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에폭시기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을 수행하는 촉매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외에 다른 아크릴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점도 모노머의 혼합으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얇게 도포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기재와의 결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저점도 모노머는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 또는 페녹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이드록시기 또는 페녹시기를 포함함으로써 기재와의 결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저점도 모노머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레이트, 페녹시페닐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벤질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저점도 모노머로 상술한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기재와의 결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굴절률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저점도 모노머와 함께 다관능 모노머를 더 수 있다. 이때 다관능 모노머는 아크릴기 및 메타크릴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한 화합물일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분자 내 방향족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방향족기로 플로오렌기를 포함하는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며, 플로오렌기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혼합하는 경우 배리어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brittle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열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개시제는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러로니트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상기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0 중량부의 다관능 모노머,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저점도 모노머 및 0.1 내지 3 중량부의 개시제, 좋게는 상기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25 내지 60 중량부의 다관능 모노머, 110 내지 160 중량부의 저점도 모노머, 0.5 내지 2.5중량부의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반응으로 인한 점도 변화 등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장기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상온에서 3주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점도 변화율이 5% 미만, 좋게는 3% 미만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개시제를 혼합하는 경우 보관 안정성이 현저히 낮아져 2액형의 바인더를 제조하고, 경화 직전 혼합하여 추가적인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점도(25℃)가 300 내지 500 cps로 중점도 범위에 속하고, 비중이 1.1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 경화물의 굴절률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7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엣지 경화성,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빠른 시간내에 경화가 가능하여 바인더, 충진제, 접착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된 경화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화물은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는 85 내지 110 ℃, 좋게는 87 내지 100 ℃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경화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술한 경화시간은 도포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제조
에폭시 당량이 450 g/eq이고, 연화점이 61 ℃이며, 비중이 약 1.16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28.826 g에 내열첨가제로 Dibutyl hydroxy toluene(BHT) 20.433g 및 저온중합지연제로 Methyl ethyl Hydroquinone(MEHQ) 23.224 g을 넣고 100℃로 승온한 뒤, 메타크릴산 4.61 g과 촉매를 Funnel을 이용하여 Dropping 시킨 후, 110 ℃로 승온하여 6시간동안 반응시켜 산가를 측정하였고, 3 이하의 산가에서 반응을 종결하여 투명한 액체형의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촉매는 Tri Phenyl Phosphine 0.125 g 및 Tri Phenyl Stibine 0.125 g을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2. 바인더 수지의 제조
1에서 제조된 비스페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35 g, 페녹시페닐아크릴레이트 12 g,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0 g,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 13 g 및 개시제로 과산화 벤조일 0.5 g을 혼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에폭시 당량이 500 g/eq이고, 연화점이 68 ℃이며, 비중이 약 1.19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이용하여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제조시 에폭시 당량이 560 g/eq이고, 연화점이 76 ℃이며, 비중이 약 1.18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와 메타크릴산을 이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제조시 에폭시 당량이 400 g/eq이고, 연화점이 57℃이며, 비중이 약 1.12인 액상의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이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제조시 에폭시 당량이 350 g/eq이고, 연화점이 57℃이며, 비중이 약 1.12인 액상의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이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제조시 에폭시 당량이 310 g/eq 이며, 비중이 1.18인 액상의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이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1에서 제조된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10 g 혼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1에서 제조된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100 g 혼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페녹시페닐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하고,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를 65g 첨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 50g, 페녹시페닐아크릴레이트 2g,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10g을 첨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 2g, 페녹시페닐아크릴레이트 20 g,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60 g을 첨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물성 확인
제조예에서 제조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조예 1 내지 10에서 25 ℃를 기준으로 한 점도의 경우 300 내지 500 cps이고, 비중이 1.1 내지 1.3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저장안정성 확인
제조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에서 제조된 각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대해 25 ℃ 기준 초기 점도를 각각 측정하고, 25±3℃에서 3주간 보관한 이후 25℃ 기준 점도를 각각 측정한 뒤,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점도 변화율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식 1]
(점도변화율, %)=[(3주간 보관한 이후의 점도)-(초기 점도)]/(초기 점도)×100
바인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경화물의 물성 확인
1.경화물 제조
가로×세로 20×20 ㎝, 두께 0.3 ㎝의 유리판에 제조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각각 10 ㎛두께로 도포한 뒤, 그 위에 50 ㎛ 두께의 PET필름으로 덮고 90℃ 온도에서 1시간동안 경화를 수행하여 경화물을 제조하였다.
2. 굴절률 확인
제조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물에 대해 굴절률을 측정하였으며, 굴절률은 1.55 내지 1.65사이에서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2. 엣지 경화성 확인
1에서 제조된 경화물의 테두리 부분을 만져보고, 바인더 수지 조성물이 묻어나는지 여부를 3점 척도(3점:전혀 묻어나지 않음~1점:바인더 수지 조성물이 많이 묻어남)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3. 엣지 박리강도 확인
1에서 제조된 경화물의 테두리 부분을 긴 변으로 하여 1×10cm로 절단하여 엣지 시험편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시험편에 대해 박리강도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박리강도는 180°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300 mm/min속도로 PET 필름을 당기면서 수행하고, 각 샘플당 2회 수행 후 평균값을 측정된 박리강도로 하였다.
4. 중심부 박리강도 확인
1에서 제조된 경화물에서 테두리에서 두께 1cm부분을 제외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1×10cm 선택하여 중심부 시험편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3과 같은 방법으로 박리강도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점도변화율(%) 엣지 경화성 엣지 박리강도
(gf/25mm)
중심부 박리강도
(gf/25mm)
제조예 1 1.0 3 459 473
제조예 2 1.1 3 461 481
제조예 3 2.8 2 238 452
제조예 4 3.1 1 225 413
제조예 5 3.5 1 197 412
제조예 6 4.1 1 186 396
제조예 7 4.2 1 192 401
제조예 8 2.7 2 305 428
제조예 9 4.5 1 209 306
제조예 10 3.7 2 310 392
제조예 11 2.7 2 307 388
표 1을 살펴보면,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고, 연화점이 60 내지 70 ℃이며, 비중이 1.15 내지 1.20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를 이용하여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인 제조예 1 및 2의 경우 상온에서 장기간 안정하며, 엣지 부분과 중심부의 박리강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에폭시 당량, 연화점 및 비중을 만족하지 않는 제조예 3 내지 6의 경우 엣지 부분과 중심부의 박리강도 차이가 심하며, 경화후에도 테두리 부분에서 일정부분 묻어나, 산소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일부 미경화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정한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 모노머 또는 아크릴 올리고머의 함량비를 만족하지 못하는 제조예 7 내지 11의 경우 중심부의 경우에도 박리강도가 낮아지거나, 중심부와 엣지의 박리강도 차이가 일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에폭시 당량이 450 내지 500 g/eq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물인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모노머 및 저점도 모노머를 포함하며,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0 중량부의 다관능 모노머,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저점도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비스페놀플로오렌(메타)디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저점도 모노머는 저점도 모노머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벤질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는 비중이 1.15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러로니트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라디칼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190085764A 2019-07-16 2019-07-16 바인더 수지 조성물 KR10224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64A KR102247550B1 (ko) 2019-07-16 2019-07-16 바인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64A KR102247550B1 (ko) 2019-07-16 2019-07-16 바인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44A KR20210009144A (ko) 2021-01-26
KR102247550B1 true KR102247550B1 (ko) 2021-05-03

Family

ID=743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64A KR102247550B1 (ko) 2019-07-16 2019-07-16 바인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6225B2 (en) * 2003-04-30 2010-08-31 Dic Corpor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44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9006C (zh) 一种用于键盘硅橡胶部件粘接的光固化粘合剂及其制法
CN1995252B (zh) 一种光固化氰基丙烯酸酯粘合剂
CN108218440A (zh) 光固化树脂基陶瓷复合材料及陶瓷胚体脱脂方法
KR101749414B1 (ko)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CN110437792A (zh) 适用于曲面聚碳酸酯板材贴合的光学胶及其制备方法
TW201129590A (en) Ultraviolet ray curing typ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optical disc and its cured article
CN109251683B (zh) 单组份热固化丙烯酸酯类结构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2247550B1 (ko) 바인더 수지 조성물
KR102242753B1 (ko) 고점도 바인더 수지 조성물
KR20120056175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212260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102099538B1 (ko)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KR102351925B1 (ko) 광경화성 조성물
KR102423152B1 (ko) 저탄소 배출 공정을 이용한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제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141094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광학 재료용 조성물
KR10207611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JPH04159317A (ja) 光ディスク金属製センターハブとポリカーボネート製基板接着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
US6765037B2 (en) Photopolymerizable epoxy composition
KR102139334B1 (ko) 실란 개질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5753B1 (ko)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아크릴계 중합체
KR102304638B1 (ko)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KR102664447B1 (ko) 속경화 아크릴 시럽 제조방법 및 아크릴 시럽 조성물
CN111925767B (zh) 一种可见光固化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EP3815899B1 (en) Polymer composition for stereolith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