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93B1 -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93B1
KR102247393B1 KR1020140029086A KR20140029086A KR102247393B1 KR 102247393 B1 KR102247393 B1 KR 102247393B1 KR 1020140029086 A KR1020140029086 A KR 1020140029086A KR 20140029086 A KR20140029086 A KR 20140029086A KR 102247393 B1 KR102247393 B1 KR 10224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electrode
charge
control switch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695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93B1/ko
Priority to US14/642,470 priority patent/US9917451B2/en
Publication of KR2015010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차단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이상 동작 시에도 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서,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 무정전 전원 장치(UPS)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도 활발하다.
배터리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와 함께 배터리 팩 형태로 제공되며,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충전 또는 방전하기 위하여 보호회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은 배터리(10)와 보호회로(20)를 포함한다. 보호회로(20)는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21)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22)를 포함한다.
배터리 관리부(21)는 방전 동작 동안 배터리 팩(1)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방전 제어 스위치(22A)를 오프하여 배터리(10)를 보호한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21)는 충전 동작 동안 배터리 팩(1)에 이상이 있는 경우, 충전 제어 스위치(220B)를 오프하여 배터리(100)를 보호한다.
그러나, 배터리 관리부(21)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를 제어할 수 없어 배터리(10)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의 이상 동작 시에도 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차단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차단부가 상기 차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차단부가 상기 차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는 제1 기생 다이오드 및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 제어 스위치 및 제2 기생 다이오드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링부 및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3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로부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제1 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4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4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4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로부터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제1 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4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 오프 시키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5 트랜지스터;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6 트랜지스터;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5 저항; 및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6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6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7 트랜지스터;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8 트랜지스터;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7 저항; 및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8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8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는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는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셀과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 및 차단부의 회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배터리 팩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배터리(100)와 보호회로(200)를 포함한다. 보호회로(200)는 배터리 관리부(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라고 한다)(210),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 모니터링부(230), 차단부(240) 및 단자부(250)를 포함한다.
배터리(100)는 전력을 저장하고, 배터리 팩(10)이 장착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충전기가 배터리 팩(10)에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100)는 외부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로는 충전 가능한 다양한 이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는 하나 이상의 니켈-카드뮴 전지(nickel-cadmium battery),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hydride battey), 리튬 이온 전지(lithium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MS(210)는 배터리(10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며, 보호회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BMS(210)는 전원 단자(VDD), 그라운드 단자(VSS), 전류 제어 단자(CC), 방전 제어 단자(DCG), 충전 제어 단자(CHG) 및 데이터 단자(DATA)등을 포함할 수 있다.
BMS(210)에는 전원 단자(VDD)와 그라운드 단자(VSS)를 통하여 전원 전압과 그라운드 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BMS(210)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모니터링부(230)에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BMS(210)는 방전 동작 동안 방전 제어 스위치(220A)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방전 제어 단자(DCG)를 통해 모니터링부(230)에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BMS(210)는 충전 동작 동안 충전 제어 스위치(220B)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충전 제어 단자(CHG)를 통해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BMS(210)는 데이터 단자(DATA)를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며, 출력한 데이터는 통신 단자(253)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된다. 그리고, BMS(210)는 통신 단자(253)로 인가된 데이터나 명령을 데이터 단자(DATA)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BMS(210)는 배터리(100)의 충전 상태 또는 방전 상태, 온도, 배터리 팩(10) 내부의 전류 흐름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한다. 또한 BMS(210)는 배터리 셀들 사이의 중간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BMS(210)는 모니터링 또는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배터리 셀의 셀 밸런싱, 배터리(1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BMS(210)는 중간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하거나, 충전 상태나 방전 상태 또는 전류의 흐름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단자들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BMS(210)가 배터리 팩(10) 내의 각 구성을 모두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BMS(210)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는 방전 제어 스위치(220A) 및 충전 제어 스위치(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제어 스위치(220A) 및 충전 제어 스위치(220B)는 대전류 경로 상에 형성되어 방전 전류 및 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방전 제어 스위치(220A)는 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며, 충전 제어 스위치(220B)는 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방전 제어 스위치(220A)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1 기생 다이오드(D1)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음극 단자(252)로부터 배터리(100) 또는 배터리(100)로부터 양극 단자(251)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도록 접속된다. 즉, 제1 트랜지스터(T1)를 사용하여 방전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제1 기생 다이오드(D1)을 통하여 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1 트랜지스터(T1)을 형성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접속 방향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접속 방향과 반대이다.
여기서, 제1 전극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소스 전극으로 설정되면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배터리(100)의 양극 단자(B+)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에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251)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251)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에 배터리(100)의 양극 단자(B+)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 제어 스위치(220B)는 제2 트랜지스터(T2)와 제2 기생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양극 단자(231)로부터 배터리(100) 또는 배터리(100)로부터 음극 단자(232)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도록 접속된다. 즉, 제2 트랜지스터(T2)를 사용하여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제2 기생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2 트랜지스터(T2)를 형성한다.
모니터링부(230)는 BMS(210)에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통해 BMS(210)의 동작 상태(정상 동작, 이상 동작)를 모니터링 하며, 그에 따른 동작 상태에 따라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30)는 동작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T)마다 레벨이 변화하는 도 3(a)와 같은 제1 동작 신호인 경우, BMS(210)가 정상 동작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모니터링부(230)는 동작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T) 이상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인 경우 BMS(210)가 이상 동작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오프로 제어한다.
BMS(210)가 정상 동작 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T) 마다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3(b)에서와 같이 BMS(210)에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BMS(210)는 동작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지 못하며, 이에 따라 특정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가 출력된다.
만약, 종래기술과 같이 BMS(210)에서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 BMS(210)가 이상 동작으로 인해 계속하여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의 온 제어 신호만을 출력한다면,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 시 배터리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모니터링부(230)는 BMS(210)로부터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BMS(210)가 이상 동작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오프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00)를 보호한다.
모니터링부(230)는 제1 모니터링부(230A) 및 제2 모니터링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니터링부(230A)는 배터리의 방전 동작 시 BMS(210)의 방전 제어 단자(DCG)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방전 제어 스위치(220A)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2 모니터링부(230B)는 배터리의 충전 동작 시 BMS(210)의 충전 제어 단자(CHG)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충전 제어 스위치(220B)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차단부(240A, 240B)는 BMS(210)에서 입력되는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오프 시킨다.
이때, 제1 차단부(240A)는 BMS(210)의 방전 제어 단자(DCG)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방전 제어 스위치(220A)를 오프 시킨다. 제2 차단부(240B)는 BMS(210)의 충전 제어 단자(CHG)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 스위치(220B)를 오프 시킨다.
BMS(210)는 충방전 동작 동안 배터리 팩(10)에 이상이 있는 경우,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모니터링부(230)에 출력하여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오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부(230)는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동작 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지를 모니터링 하여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제어한다. 즉,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온 상태에서 오프가 되도록 제어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지연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신속하게 오프 시키기 위한 차단부(240A, 240B)를 더 구비함으로써, 모니터링부(230)에 의한 지연동작 문제를 해결한다. 즉, 모니터링부(230)에 의해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차단부(240A, 240B)가 BMS(210) 로부터 차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단부(240A, 240B)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오프 시킨다.
단자부(250)는 배터리 팩(10)과 외부 장치를 연결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기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 혹은 충전기 등일 수 있다. 단자부(250)는 양극 단자(251), 음극 단자(252), 통신 단자(253) 등을 포함한다. 양극 단자(251)로는 충전 전류가 유입되고 방전 전류가 나간다. 반대로 음극 단자(252)로는 충전 전류가 나가고 방전 전류가 유입된다. 통신 단자(253)는 BMS(210)의 데이터 단자(DATA)와 연결되어 BMS(21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및 명령이 전달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 및 차단부의 회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배터리 팩의 회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모니터링부(230A), 제1 차단부(240A), 제2 모니터링부(230B), 제2 차단부(240B)의 회로 구성 및 구동 원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 모니터링부(230A)는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231A) 및 제3 트랜지스터(T3)를 포함한다.
제1 바이브레이터(vibrator) 회로(231A)는 배터리 팩(10)의 방전 동작 동안 BMS(210)의 방전 제어 단자(DCG)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1 레벨 신호 또는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231A)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여기서,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231A)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single-shot multivibrator)일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접지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1 전극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 사이에는 제1 저항(R1)이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은 접지에 접속되며, 제어 전극은 제1 바이브레이터(231A)의 출력단과 접속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는 제2 저항(R2)이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어 전극에 입력되는 제1 레벨 신호에 의해 온 되고, 제2 레벨 신호에 의해 오프 된다.
제3 트랜지스터(T3)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1 노드(N1)가 제1 저항(R1) 및 접지와 접속되므로 제1 노드(N1)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고, 이로 인해 제1 트랜지스터(T1)는 온 된다.
제3 트랜지스터(T3)가 오프 되는 경우에는 제1 노드(N1)가 접지와 더 이상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1 노드(N1)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노드(N1) 전압이 배터리(100)의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된다.
제1 차단부(240A)는 BMS(210)의 방전 제어 단자(DCG)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방전 제어 스위치(220A)를 오프 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차단부(240A)는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1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며, 제어 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된다. 제5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및 제2 노드(N2) 사이에는 제5 저항(R5)이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5 트랜지스터(T5)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1 전극과 제2 노드(N2) 사이에는 제6 저항(R6)이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에는 접지가 접속되며, 제어 전극에는 방전 제어 단자(DCG)가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어 전극에 입력되는 차단 신호에 의해 온 되며, 차단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오프 된다.
제6 트랜지스터(T6)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2 노드(N2)가 제6 저항(R6) 및 접지와 접속되므로 제2 노드(N2)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고, 이로 인해 제5 트랜지스터(T5)는 온 된다.
제5 트랜지스터(T5)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1 노드(N1) 전압이 배터리(100)의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된다.
제6 트랜지스터(T6)가 오프 되는 경우에는 제2 노드(N2)가 접지와 더 이상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2 노드(N2)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노드(N2) 전압이 배터리(100)의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5 트랜지스터(T5)는 턴 오프 된다.
제2 모니터링부(230B)는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231B) 및 제4 트랜지스터(T4)를 포함한다.
제2 바이브레이터(vibrator) 회로(231B)는 배터리 팩(10)의 방전 동작 동안 BMS(210)의 충전 제어 단자(CHG)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1 레벨 신호 또는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231B)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231B)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single-shot multivibrator)일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접지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1 전극과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 사이에는 제3 저항(R3)이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2 전극은 접지에 접속되며, 제어 전극은 제2 바이브레이터(231B)의 출력단과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과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 사이에는 제4 저항(R4)이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어 전극에 입력되는 제1 레벨 신호에 의해 온 되고, 제2 레벨 신호에 의해 오프 된다.
제3 트랜지스터(T4)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3 노드(N3)가 제3 저항(R3) 및 접지와 접속되므로 제3 노드(N3)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고, 이로 인해 제2 트랜지스터(T2)는 온 된다.
제4 트랜지스터(T4)가 오프 되는 경우에는 제3 노드(N3)가 접지와 더 이상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3 노드(N1)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3 노드(N3) 전압이 배터리 팩(20)의 양극 단자(251)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 오프 된다.
제2 차단부(240B)는 BMS(210)의 충전 제어 단자(CHG)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 스위치(220B)를 오프 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차단부(240B)는 제7 트랜지스터(T7) 및 제8 트랜지스터(T8)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과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1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며, 제어 전극은 제4 노드(N4)에 접속된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1 전극 및 제4 노드(N4) 사이에는 제7 저항(R7)이 접속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제7 트랜지스터(T7)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제8 트랜지스터(T8)의 제1 전극과 제4 노드(N4) 사이에는 제8 저항(R8)이 접속된다. 제8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에는 접지가 접속되며, 제어 전극에는 충전 제어 단자(CHG)가 접속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제8 트랜지스터(T8)의 제어 전극에 입력되는 차단 신호에 의해 온 되며, 차단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오프 된다.
제8 트랜지스터(T8)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4 노드(N4)가 제8 저항(R8) 및 접지와 접속되므로 제4 노드(N2)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고, 이로 인해 제7 트랜지스터(T7)는 온 된다.
제7 트랜지스터(T7)가 온 되는 경우에는 제3 노드(N3) 전압이 배터리 팩(20)의 양극 단자(251)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 오프 된다.
제8 트랜지스터(T8)가 오프 되는 경우에는 제4 노드(N4)가 접지와 더 이상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4 노드(N1)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4 노드(N4) 전압이 배터리 팩(20)의 양극 단자(251) 전압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 오프 된다.
도 4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배터리(100)의 양극 단자(B+)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에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251)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251)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에 배터리(100)의 양극 단자(B+)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n 타입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 타입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제4, 제6, 제8 트랜지스터(T3, T4, T6, T8)은 N 형 접합형 트랜지스터(BJT)이며, 제5 및 제7 트랜지스터(T5, T7)는 P 형 접합형 트랜지스터(BJT)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제3 내지 제8 트랜지스터(T3~T8)의 제1 전극은 이미터(emitter) 전극 또는 콜렉터(collector) 전극,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다른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이미터 전극인 경우, 제2 전극은 콜렉터 전극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을 살펴본다.
첫 번째로, 단계(S100)에서 모니터링부(230)는 BMS(210)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05)에서 모니터링부(230)는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BMS(21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보다 상세하게, 모니터링부(230)는 동작 신호가 상기 제1 동작 신호인 경우 BMS(210)를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며, 동작 신호가 제2 동작 신호인 경우 BMS(210)를 이상 동작 상태로 판단한다.
이어서, 단계(S110)에서 모니터링 결과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부(230)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온으로 제어한다(S115). 또한, 단계(S110)에서 모니터링 결과가 이상 동작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부(230)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로 제어한다(S120)
단계(S125)에서 차단부(240)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BMS(210)로부터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130)에서 차단부(240)는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오프 시킨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BMS(210)의 동작 상태(정상 동작 상태 or 이상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BMS(210)가 이상 동작 상태인 경우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가 오프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00)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220)를 즉시 오프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차단부(240)를 구비함으로써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지연 동작 문제를 해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200: 보호회로 210: 배터리 관리부
220: 충방전 제어 스위치 220A: 방전 제어 스위치
220B: 충전 제어 스위치 230: 모니터링부
230A: 제1 모니터링부 230B: 제2 모니터링부
240: 차단부 240A: 제1 차단부
240B: 제2 차단부 250: 단자부

Claims (1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차단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제1 동작 신호인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를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동작 신호가 제2 동작 신호인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를 이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차단부가 상기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는 제1 기생 다이오드 및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 제어 스위치 및 제2 기생 다이오드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링부 및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3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브레이터 회로로부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제1 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4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4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4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브레이터 회로로부터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제1 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4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 오프 시키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5 트랜지스터;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6 트랜지스터;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5 저항; 및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6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6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7 트랜지스터;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8 트랜지스터;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7 저항; 및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상기 제8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8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8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상기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는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는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상기 배터리 팩의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는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셀과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신호는 레벨이 변화하는 제1 동작 신호 및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동작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제1 동작 신호인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를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동작 신호가 제2 동작 신호인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를 이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온으로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이상 동작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어방법.
KR1020140029086A 2014-03-12 2014-03-12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4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86A KR102247393B1 (ko) 2014-03-12 2014-03-12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US14/642,470 US9917451B2 (en) 2014-03-12 2015-03-09 Battery pack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86A KR102247393B1 (ko) 2014-03-12 2014-03-12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95A KR20150106695A (ko) 2015-09-22
KR102247393B1 true KR102247393B1 (ko) 2021-05-03

Family

ID=5407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86A KR102247393B1 (ko) 2014-03-12 2014-03-12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7451B2 (ko)
KR (1) KR102247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827B1 (fr) * 2015-09-24 2019-09-13 Saft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nnexion/deconnexion pour batterie a haute-tension et procede associe
CN106058955A (zh) * 2016-05-18 2016-10-26 深圳天邦达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平衡车锂电池组管理系统
CN106026244B (zh) * 2016-06-12 2019-03-12 深圳市德朗能电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充放电保护电路及锂离子电池系统
KR102222119B1 (ko) * 2016-08-11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184369B1 (ko) * 2016-12-09 2020-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133691B2 (en) * 2017-04-18 2021-09-28 Sony Corporation Power feed unit and power feeding method
CN110832732B (zh) * 2017-07-19 2024-01-16 松下新能源株式会社 电池的保护电路和具备该保护电路的电源装置
CA3051214A1 (en) 2018-08-06 2020-02-06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enabl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KR102656482B1 (ko) * 2018-09-19 2024-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이 장착된 이동 수단
WO2020111899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970882A (zh) 2018-12-24 2020-04-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电路及电池管理系统
CN110148986B (zh) * 2019-06-03 2024-04-09 长沙优力电驱动系统有限公司 电芯充放电控制模块和电芯保护装置
KR20210137624A (ko) 2020-05-11 2021-11-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관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71A (ja) * 1999-08-30 2001-03-1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1128A (en) * 1993-11-26 1995-11-28 Motorola, Inc. Battery and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the battery
US6037750A (en) * 1998-09-17 2000-03-14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pack controller
KR20010054188A (ko) 1999-12-03 2001-07-02 박종섭 일정 구동 시간 제어방식을 이용한 전원 장치
US6501248B2 (en) * 2000-09-28 2002-12-31 Ricoh Company, Ltd. Charg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having a charge-state overcurrent det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6548996B2 (en) 2001-06-01 2003-04-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mized on/off control circuit
JP4254227B2 (ja) * 2002-11-28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7518341B2 (en) * 2004-12-23 2009-04-14 Dell Product L.P. Method for verifying smart battery failures by measuring input charging voltage and associated systems
KR100899425B1 (ko) * 2007-08-30 2009-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JP5326517B2 (ja) * 2008-11-21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KR101097262B1 (ko) * 2009-12-28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이의 충전방법
KR20130048869A (ko) 2011-11-03 2013-05-13 박길선 멀리 뛰기 기록 확인용 매트
KR20130066462A (ko) 2011-12-12 2013-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71A (ja) * 1999-08-30 2001-03-1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7451B2 (en) 2018-03-13
US20150263559A1 (en) 2015-09-17
KR20150106695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393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56601B1 (ko) Bms 웨이크업 장치, 이를 포함하는 bms 및 배터리팩
US11381094B2 (en) Battery control apparatus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same
US9484763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753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40888B1 (ko) 배터리 보호 회로
US8981725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including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fuse-blowing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994333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13478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5259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8698459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73766B1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102254471B1 (ko) 2차 보호 ic, 2차 보호 ic의 제어 방법, 보호 모듈 및 전지 팩
KR20120078842A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팩
KR102443667B1 (ko) 밸런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US9018915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03977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電力システム
US20120032639A1 (en) Battery pack, charger, and charging system
KR102358435B1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102284481B1 (ko) 배터리 팩
KR102332335B1 (ko) 배터리 팩
KR101863092B1 (ko)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팩
EP2221940B1 (en) Self-discharge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610878B1 (ko)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33425A (ko) 보조 충전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