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06B1 -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06B1
KR102247306B1 KR1020190065629A KR20190065629A KR102247306B1 KR 102247306 B1 KR102247306 B1 KR 102247306B1 KR 1020190065629 A KR1020190065629 A KR 1020190065629A KR 20190065629 A KR20190065629 A KR 20190065629A KR 102247306 B1 KR102247306 B1 KR 10224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ccessory
portable terminal
cap
emit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9055A (en
Inventor
신종현
신성용
Original Assignee
(주)대성울트라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울트라소닉 filed Critical (주)대성울트라소닉
Priority to KR102019006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06B1/en
Priority to PCT/KR2019/006760 priority patent/WO2020246633A1/en
Publication of KR2020013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캡 부재가 일측에 배치된 액세서리 본체, 상기 캡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작동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한다.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ory body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a rear portion of a terminal cas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having a cap member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It provides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light emitt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cap member and emitting light by an interaction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Figure R1020190065629
Figure R1020190065629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portable terminal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장착되는 각종 액세서리 장치가 별도의 전원 없이도 발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light-emitting function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by various accessory devices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이 한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이동 중에 입력 조작을 수행 가능하게 만들어진 소형의 단말 장치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 등이 결합된 휴대형 정보기기로서, 노트북보다 작은 소형 컴퓨터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small terminal devic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carried by an individual with one hand so that an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moving. Recently, portable terminals ar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that combine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have a smaller computer function than a notebook computer.

휴대용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또는 휴대전화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부재나 소형 자판을 구비하고 있다. As portable terminals, smartphones, PDAs, tablet PCs, or mobile phones are typical.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lay member or a small keyboard capable of a touch input.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 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례로,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액세서리 장치로는, 휴대용 단말기에 씌우는 단말기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연결하여 별도의 추가 메모리로 사용하는 OTG USB(On-The-Go) 메모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젝에 결합되는 악세서리, 또는 휴대용 단말기나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에 도움을 주는 핸드 그랩(hand grab) 등이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is expanded, various types of accessory devices used in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spread. For example, recently widely used accessory devices include a terminal case that is placed on a portable terminal, a card case that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portable terminal, and an OTG USB (On- The-Go) Memory, an auxiliary battery that charges the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an accessory coupled to the earphone jack of a portable terminal, or a hand grab that helps to hold and hold a portable terminal by placing it on the back of a portable terminal or terminal case. hand grab).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 그랩은, 휴대용 단말기를 손에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휴대용 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거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핸드 그랩의 사용 편의성으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핸드 그랩은 링 형상, 블록 형상, 또는 스크랩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hand grab of the portable terminal helps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more stably in the hand, and helps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at a desired angle. Accordingly, due to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hand grab, the trend of using it in a portable terminal is increasing. Hand grabs are variously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a block shape, or a scrap shape.

한편, 최근에는 발광 기능 또는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악세서리 장치도 개발되는 추세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장치에 발광이나 조명 기능을 추가하여 액세서리 장치의 제품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Meanwhile, recently, an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or a lighting function is also being developed. That is, by adding light emission or lighting functions to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ductability and aesthetics of the accessory device are improved.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5333호(발명의 명칭: 휴대 단말기용 LED 조명 악세서리, 공개일: 2018.01.16)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 삽입부에 간단히 접속하여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서 흥미를 유발시켜 액세서리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의 기술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8-0005333 (invention title: LED lighting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s, publication date: January 16, 2018), simply connect to the earphone jack insert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echnical idea of a lighting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increase immersion in an accessory by causing interest in a user by turning on or blinking an LED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장착되는 각종의 액세서리 장치에 별도의 전원 없이도 발광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dding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to various accessory devices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or a rear portion of a terminal case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 그립에 발광 기능을 추가하여 핸드 그립의 상품성과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urther enhancing the marketability and aesthetics of the hand grip by add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to the hand grip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의 켜짐시 NFC 모듈의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켜짐 상태를 알리는 발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light-emitting signal indicating an on-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of an NFC modu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액세서리 캡이 일측에 배치된 액세서리 본체, 상기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작동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ory cap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or a rear portion of a terminal cas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ccessory body, and inside the accessory cap. It provides a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light-emitting means disposed and emitting light by interaction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액세서리 캡은, 상기 액세서리 본체의 일측면에 덮힘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된 캡 바디부, 상기 캡 바디부의 배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액세서리 본체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 연결부, 및 상기 캡 연결부 또는 상기 캡 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수단이 수용되는 발광 수단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ccessory cap is formed in a structure covered with one side of the accessory body and the fron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cap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ccessory body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and a light-emitting means receiving par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ap connection part or the cap body part and receiving the light-emitting means.

여기서,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는 상기 캡 연결부의 배면부에 상기 발광 수단을 삽입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는, 상기 발광 수단과 상기 액세서리 본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 수단의 두께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the accessory body.

그리고,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발광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light-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a release preventing jaw for preventing the light-emitting means from being separated may be provided.

상기와 다르게,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는 상기 캡 바디부와 상기 캡 연결부의 연결부 사이에 상기 발광 수단을 수용하는 공간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Differently from the above,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of a space between the cap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p connect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means.

상기 캡 바디부와 상기 캡 연결부의 연결부는, 상기 발광 수단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융착 또는 접착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cap body part and the cap connection part may be connected by either fusion bonding or bonding in order to secure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light-emitting means.

상기 캡 바디부는 광확산 및 UV 코팅이 가능한 확산 PC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캡 연결부는 일반 PC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cap body portion may be injection-molded from a diffusion PC material capable of light diffusion and UV coating. The cap connection part may be injection-molded from a general PC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은 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n NFC module.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 배치되는 PCB 기판, 상기 액세서리 캡의 전방으로 빛을 투과시키도록 상기 PCB 기판의 전면부에 마련된 발광부, 및 상기 NFC 모듈과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PCB 기판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 상기 NFC 모듈의 신호에 반응하는 NFC 안테나, 및 상기 NFC 안테나와 상기 발광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PCB 기판에 마련된 NFC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means includes a PCB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accessory cap, a light-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PCB substrate to transmit light to the front of the accessory cap, and the PCB substrate to be disposed to face the NFC module. It may include an NFC antenna that is provided in and reacts to a signal of the NFC module when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and an NFC chip provided on the PCB substrate to be connected to the NFC antenna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NFC 안테나는, 상기 PCB 기판의 후면부의 가장자리부에 나선형으로 둘레를 따라 다수 감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NFC antenna may be provided in a shape of a plurality of spirally wound around an edg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상기 NFC 안테나는, 상기 PCB 기판의 후면부에 증착 또는 식각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패턴닝될 수 있다.The NFC antenna may be integral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by either deposition or etching.

바람직하게, 상기 액세서리 본체는 핸드 그립, 단말기 거치대, 거치대 연결부, 단말기 홀더, 또는 카드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ccessory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nd grip, a terminal holder, a holder connection, a terminal holder, or a card storage case.

예를 들면, 상기 액세서리 본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고정되는 액세서리 고정부, 및 상기 액세서리 고정부에 후방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액세서리 캡에 전방단부가 연결되며 길이 조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ssory body may include an accessory fixing part fixed to a rear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or a rear part of the terminal case,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accessory fixing part,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accessory cap, and a length adjustable It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men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상기 길이 조절부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름부가 외주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part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a corrugated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while being folded or unfolded in an accordion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는, 액세서리 본체의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 발광 수단을 배치한 구조이므로, 발광 수단의 빛을 액세서리 캡을 통해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외부에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액세서리 장치의 기본 기능과 함께 발광 기능이 추가된 구조이므로, 핸드 그립이나 거치대 등과 같은 액세서리 장치의 상품성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arranged inside the accessory cap of the accessory body,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in various colors and patterns through the accessory cap. have. Accordingly, sinc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function is added along with the basic function of the accessory device, the marketability and aesthetics of the accessory device such as a hand grip or a cradl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켜짐시 작동되는 NFC 모듈의 작동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 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추가 전력의 소모 없이도 발광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위한 전력이 더 필요하지 않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켜짐을 발광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light emitting means by us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NFC module that is oper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without consuming additional power. In addition, power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required, and the power-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light emitt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는,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 발광 수단이 배치된 구조이므로, 발광 수단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발광 액세서리 장치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켜짐시 NFC 모듈의 신호에 대한 발광 수단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arranged inside the accessory cap,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by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cep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means for the signal of the NFC modu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는, NFC 모듈의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켜짐 상태를 사용자에게 발광 신호로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켜짐 여부를 더욱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light-emitting signal of the on-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from the NFC modul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turn on the portable terminal. I can confir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배치된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액세서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과 발광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발광 수단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과 발광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portable terminal.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4 is a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and light emitting means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shown in FIG. 4.
6 and 7 are views each show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shown in FIG. 3.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and light emitting means shown in FIG. 8.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배치된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116)와 발광 수단(1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116)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발광 수단(12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portable terminal 10, and FIG. 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116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116 shown in FIG. 4.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shown in FIG. 3,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은 액세서리 본체(110) 및 발광 수단(120)을 포함을 포함한다.1 to 3,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of a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ory body 110 and a light emitting means 120.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로는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게임기 또는 전자책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장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가 스마트폰인 것으로 설명한다.A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types of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a game console, or an e-book may be used. Explain that it is a phone.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품 보호, 미감 향상 또는 추가 기능 부여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 케이스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부에 직접 장착되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housed in various types of terminal cas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products, improving aesthetics, 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is direct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는 핸드 그립, 단말기 홀더, 단말기 거치대, 거치대 연결부, 또는 카드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가 핸드 그립인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nd grip, a terminal holder, a terminal holder, a holder connection part, or a card storage cas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hand grip.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광 수단(120)의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고, 휴대용 단말기(10)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emitting means 120 is set to be forward,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10 is set to the rear. It is set to and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 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서리 본체(110)는 핸드 그립, 단말기 거치대, 거치대 연결부, 단말기 홀더, 또는 카드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액세서리 본체(110)가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에 도움을 주는 핸드 그립인 것으로 설명한다.1 to 5, the accessory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described above, the accessory body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nd grip, a terminal cradle, a cradle connector, a terminal holder, or a card storage case, but hereinafter, the accessory body 110 grips and holds the portable terminal. Explain that it is a hand grip that is helpful for people.

한편, 액세서리 본체(110)의 일측에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액세서리 캡(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세서리 캡(116)는, 발광 수단(120)의 빛을 외측으로 확산시킬 수 있고, 발광 수단(1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Meanwhile, an accessory cap 116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ccessory body 110. The accessory cap 116 as described above can diffuse the light of the light-emitting means 120 to the outside, and can protect the light-emitting means 120 from external impact.

예를 들면, 액세서리 본체(110)는, 액세서리 고정부(112), 길이 조절부(114), 및 액세서리 캡(11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ssory body 110 may include an accessory fixing part 112, a length adjustment part 114, and an accessory cap 116.

액세서리 고정부(112)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액세서리 고정부(112)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세서리 고정부(112)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부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The accessory fixing part 112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accessory fixing part 11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accessory fixing part 112 as described above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ith at least one of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길이 조절부(114)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길이 조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부(114)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그랩 성능을 높이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14)의 후방단부는 액세서리 고정부(112)에 연결될 수 있고,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는 액세서리 캡(116)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may be formed in a length-adjustable shap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ccessory body 110. Accordingly,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may be extended to increase the grab performance of the accessory body 110. The rea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may be connected to the accessory fixing part 112, and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may be attached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ccessory cap 116.

일례로, 길이 조절부(114)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 조절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부(114)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수렴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조절부(114)가 전방으로 확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4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at is folded or unfolded in an accordion shape and is adjusted in length.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4 may be dispos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expanded toward the front, or may be dispos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converging toward the front.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4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orward.

여기서, 길이 조절부(114)는 고무 소재, 플라스틱 소재, 섬유 소재, 또는 금속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부(114)에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길이 조절시 길이 조절부(114)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기 위한 통기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4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rubber material, a plastic material, a fib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may be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114a) for freely passing ai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ccessory body 110.

또한,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에는 액세서리 캡(116)와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캡 장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캡 장착부(118)에는 후술하는 액세서리 캡(116)의 연결 돌기(136)가 결합되기 위한 연결홀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홀부(119)에서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까지의 높이를 제1 높이(H1)로 설정한다.In addition, a cap mounting portion 118 fo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accessory cap 116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For example, the cap mounting portion 118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portion 119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rotrusion 136 of the accessory cap 116 to be described later. The height from the connection hole portion 119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as described above is set as the first height H1.

또한, 길이 조절부(114)의 외주부에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주름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주름부(115)는 길이 조절부(11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15)가 길이 조절부(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2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주름부(115)는,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에 마련된 제1 주름부(115a), 및 길이 조절부(114)의 후방단부 및 제1 주름부(115a) 사이에 마련된 제2 주름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oldable or unfolded pleat 11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A plurality of wrinkles 115 may be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rrugated portion 115 is formed in two stag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4. That is, the corrugated part 115 of this embodiment is between the first corrugated part 115a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114, and the rear end and the first corrugated part 115a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114 It may include a second wrinkle portion (115b) provided in.

액세서리 캡(116)는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캡 장착부(118)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세서리 캡(116)의 전면부는 외측에 노출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액세서리 캡(116)의 내부에는 발광 수단(1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수단(120)에서 발생된 빛은 액세서리 캡(116)를 통과하여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액세서리 캡(116)는 광확산 및 UV코팅을 위하여 확산 PC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캡(116)의 전면부에는 심미감과 상품성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UV 코팅된 상태이다.The accessory cap 116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mounting portion 118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The front portion of the accessory cap 116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ccessory cap 116,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may pass through the accessory cap 116 and be irradiated to the front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 On the other hand, the accessory cap 116 may be injection-molded of a diffusion PC material for light diffusion and UV coating. Accordingly, the front portion of the accessory cap 116 is in a UV-coated state with various designs for improving aesthetics and marketability.

예를 들면, 액세서리 캡(116)는 캡 바디부(130), 캡 연결부(132), 및 발광 수단 수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ssory cap 116 may include a cap body part 130, a cap connection part 132, and a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art 134.

캡 바디부(130)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일측면에 덮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 바디부(130)는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를 덮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캡 바디부(130)의 전면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ap body 1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vered with one side of the accessory body 110. That is, the cap body portion 13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vering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The front portion of the cap body 13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캡 연결부(132)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길이 조절부(114)의 캡 장착부(118)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캡 연결부(132)는 캡 바디부(130)의 배면부에 연결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캡 연결부(132)와 캡 바디부(130)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되, 캡 연결부(132)는 캡 바디부(130)의 배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부(114)의 캡 장착부(118)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캡 연결부(132)에는 캡 장착부(118)의 연결홀부(119)에 관통되게 삽입되기 위한 연결 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p connection part 132 may be attached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mounting part 118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of the accessory body 110. The cap connection part 132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part 130. As an example, the cap connection part 132 and the cap body part 130 are integrally injection-formed, and the cap connection part 132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rear part of the cap body part 130 to the rear,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part 114 )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p mounting portion 118. A connection protrusion 136 may be formed in the cap connection part 132 as described above to be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9 of the cap mounting part 118.

발광 수단 수용부(134)는 발광 수단(120)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캡 연결부(132) 또는 캡 바디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수단 수용부(134)가 캡 연결부(132)의 배면부에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 수단 수용부(134)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길이 조절부(114)의 길이 조절시 발광 수단(120)이 길이 조절부(114)와 간섭되지 않도록 발광 수단(120)을 완전히 삽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134 is a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132 or the cap body portion 130.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art 134 may be provided in a groove shape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 connection part 132.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134 as described above completely allows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4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4 of the accessory body 110.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o be inserted.

여기서, 발광 수단 수용부(134)는, 발광 수단(120)과 액세서리 본체(110)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발광 수단(120)의 두께(D1)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깊이는, 캡 연결부(132)의 후단부에서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바닥면까지의 제2 높이(H2)로서, 제2 높이(H2)가 발광 수단(120)의 두께(D1)보다 크게 형성되어 발광 수단(120)이 발광 수단 수용부(134)에서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캡 장착부(118)의 연결홀부(119)에서 길이 조절부(114)의 전방단부까지의 높이를 제1 높이(H1)로 설정하였는바,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와 동일하거나 제1 높이(H1)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and the accessory body 110. That is, the depth of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is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rear end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13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and the second height H2 emits ligh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means 120 to prevent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from being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from the connection hole portion 119 of the cap mounting portion 118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114 is set to the first height H1,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depth, the second height H2 is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H1.

한편,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내측벽에는, 발광 수단(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138)이 마련될 수 있다. 이탈 방지턱(138)는,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입구 측의 내측벽에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입구 측의 내측벽에 복수개가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돌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wall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134,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38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may be provide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138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id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134, or a plurality of it is predetermin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id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134 It can protrude spaced apart to the height of.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광 수단(120)은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 작동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 수단(120)은 액세서리 캡(116)의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1 to 5, the light-emitting means 120 of this embodiment emits light by interaction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 specific event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The light-emitting means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ght-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of the accessory cap 116.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 또는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로는 화면 켜짐, 전원 켜짐, 홈버튼 터치,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알람 작동, 또는 전원 연결 등이 있다.Here,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preset or changed by a user or a manufacturer. Specific ev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 turning on a screen, turning on power, touching a home button, receiving a message, receiving a call, operating an alarm, or connecting a power supply.

그리고,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은 NFC 모듈(20), 블루투스, 또는 RF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은 NFC 모듈(20)인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ny one of an NFC module 20, a Bluetooth, or an RF module.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as being the NFC module 20.

예를 들면, 발광 수단(120)은 PCB 기판(122), 발광부(124), 및 전자기 유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emitting means 120 may include a PCB substrate 122, a light-emitting part 124,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art 126.

PCB 기판(122)은 액세서리 캡(116)의 발광 수단 수용부(1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PCB 기판(122)에는 발광 수단(120)의 작동을 위한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PCB substrate 1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of the accessory cap 116. A circuit for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may be provided on the PCB substrate 122.

발광부(124)는 액세서리 캡(116)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발광부(124)는 PCB 기판(122)의 전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부(124)는, PCB 기판(122)의 전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24a), 및 전자기 유도부(126)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콘덴서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24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front of the accessory cap 116. The light emitting part 124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122. As an example, the light-emitting unit 124 includes at least one light-emitting element 124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CB substrate 122, and a condenser unit 124b that stores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unit 126 can do.

여기서, 발광 소자(124a)는 적은 전력으로도 고휘도의 빛을 생성하는 LED 소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설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light-emitting element 124a may be formed of an LED element that generates high-intensity light with little power,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may be set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그리고, 콘덴서부(124b)는 발광 소자(124a)와 전자기 유도부(12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덴서부(124b)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전원 켜짐시 전자기 유도부(126)에서 제공되는 불균일한 전력을 일시 저장해서 발광 소자(124a)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콘덴서부(124b)는 발광 소자(124a)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part 124b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4a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art 126. When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turned on, the condenser unit 124b may temporarily store uneven power provid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unit 126 and stably provide it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4a. Accordingly, the capacitor portions 124b may be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124a, respectively.

전자기 유도부(126)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 NFC 모듈(2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켜 발광부(124)의 콘덴서부(124b)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기 유도부는 NFC 안테나(126a) 및 NFC 칩(126b)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unit 126 may generate power by interacting with the NFC module 20 when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operated and supply it to the condenser unit 124b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4. Fo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unit may include an NFC antenna 126a and an NFC chip 126b.

여기서, NFC 안테나(126a)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 NFC 모듈(20)의 신호에 반응하여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FC 안테나(126a)는 NFC 모듈(20)과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PCB 기판(122)의 후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NFC 안테나(126a)는, 길이 조절부(114)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기(10)의 NFC 모듈(20)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NFC 모듈(20)과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NFC antenna 126a may caus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NFC module 20 when a specific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operated. The NFC antenna 126a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122 so as to be disposed to face the NFC module 20. Accordingly, the NFC antenna 126a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NFC module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4, and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NFC module 20 Can be placed.

상기와 같은 NFC 안테나(126a)는 PCB 기판(122)의 후면부의 가장자리부에 나선형으로 둘레를 따라 다수 감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안테나(126a)는 PCB 기판(122)의 후면부에 증착 또는 식각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패턴닝될 수 있다. 따라서, NFC 안테나(126a)는 특정 면적의 PCB 기판(122)에 최대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NFC 모듈(20)의 신호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유도 전력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The NFC antenna 126a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shape of a plurality of spirally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rear portion of the PCB substrate 122. For example, the NFC antenna 126a may be integral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122 by either deposition or etching. Accordingly, since the NFC antenna 126a may be formed as long as possible on the PCB substrate 122 of a specific area, the induced power may be stably secured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by the signal of the NFC module 20.

NFC 칩(126b)은 NFC 안테나(126a)에 발생되는 유도 전력을 전달 받아서 발광부(124)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FC 칩(126b)은 NFC 안테나(126a)와 발광부(124)에 연결되도록 PCB 기판(122)의 전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NFC 칩(126b)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에 대한 설정값 및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NFC 칩(126b)은 그 설정값과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 발광부(124)에 전달하는 전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NFC chip 126b may receive the induced power generated by the NFC antenna 126a and transmit it to the light emitting unit 124. The NFC chip 126b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122 to be connected to the NFC antenna 126a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24. Meanwhile, in the NFC chip 126b, set values and operation programs for specific ev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re stored. The NFC chip 126b as described above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power deliver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24 according to the set value and the operation program.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휴대용 단말기(10)가 특정 이벤트 작동되면,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NFC 모듈(20)이 작동한다. First,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operated for a specific event, the NFC module 20 built into the portable terminal 10 is operated.

상기와 같이 NFC 모듈(20)이 작동하면, NFC 모듈(20)이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NFC 모듈(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배치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에도 전달된다.When the NFC module 2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NFC module 20 transmit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the NFC module 20 is also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이때, NFC 모듈(20)의 신호가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액세서리 캡(116)의 발광 수단 수용부(134)에 수용된 발광 수단(120)으로 전송되면, 발광 수단(120)의 NFC 안테나(126a)에서 NFC 모듈(20)의 신호에 따라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NFC 안테나(126a)에는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인해 유도 전력이 생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signal of the NFC module 20 is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accommodat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134 of the accessory cap 116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the NFC antenna of the light emitting means 120 ( In 126a),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ccurs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NFC module 20. Accordingly, induction power is generated in the NFC antenna 126a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NFC 안테나(126a)에서 생성된 유도 전력은 NFC 칩(126b)에 전달되고, NFC 칩(126b)은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마다 발광부(124)의 콘덴서부(124b)에 전달한다. 발광부(124)의 콘덴서부(124b)는 NFC 칩(126b)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한 후 발광 소자(124a)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만을 적절하게 제공한다.The induced power generated by the NFC antenna 126a is transmitted to the NFC chip 126b, and the NFC chip 126b is transmitted to the condenser unit 124b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4 at each specific event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condenser part 124b of the light-emitting part 124 stor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NFC chip 126b and then appropriately provides on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24a.

상기와 같은 발광 소자(124a)는 설정 시간동안 특정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124a as described above may emit light in a specific pattern for a set time.

이때, 발광 소자(124a)의 빛은 다양한 디자인이 UV 코팅된 액세서리 캡(116)의 캡 바디부(130)를 투과하면서 확산되므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발광 소자(124a)의 빛에 의한 사용자의 심미감이 고취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ight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24a is diffu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ap body 130 of the accessory cap 116 having various designs of UV coating, the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124a of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The aesthetics of the user can be enhanc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에서 특정 이벤트 작동에 따른 특정 발광 효과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상품성 및 심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의 발광 동작에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event is activated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may provide a specific light emission effect according to a specific event oper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and aesthetics of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energy source is not required for the light-emitting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200)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액세서리 캡(116)와 발광 수단(220)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200 of a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ccessory cap 116 and light emitting means 220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도 8 내지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In Figs. 8 to 9,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7 denote the same member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different points from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7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발광 액세서리 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액세서리 본체(210)의 액세서리 캡(216)에서 발광 수단 수용부(236)가 발광 수단(220)을 수용하는 공간 형상으로 마련된다는 점이 상이하다.8 to 9,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100 shown in FIGS. 1 to 7. The difference is that in the accessory cap 216 of the main body 210, the light-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6 is provided in a space shape to accommodate the light-emitting means 220.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수단(220)이 발광 수단 수용부(234)의 내부에 외부와 차단된 구조로 배치되므로, 발광 수단(220)의 방수 효과를 새롭게 확보할 수 있고, 발광 수단의 보관 성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발광 수단(22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발광 수단(120)과 비교하여 배치 구조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발광 수단(12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ght-emitting means 220 is disposed in a structure that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inside the light-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light-emitting means 220 can be newly secured, and storage of the light-emitting means.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further. On the other hand, the light-emitting means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compared to the light-emitting means 120 shown in FIGS. 1 to 7, and other components are the light-emitting means 120 shown in FIGS. 1 to 7. It is configured the same as ).

여기서, 발광 수단 수용부(236)는 캡 바디부(230)와 캡 연결부(232)의 연결부(238) 사이에 밀폐된 공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수단 수용부(236)가 캡 바디부(230)와 캡 연결부(232)의 연결부(238)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액세서리 장치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art 236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sealed space between the cap body part 230 and the connection part 238 of the cap connection part 232.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6 is formed as a closed space formed between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238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sign of the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예를 들면, 발광 수단 수용부(234)는 캡 바디부(230)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캡 연결부(232)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발광 수단 수용부(234)가 캡 연결부(232)의 내부에 형성되면, 캡 연결부(232)도 캡 바디부(230)와 같이 확산 PC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액세서리 캡(216)의 제조 비용이 상승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may be formed inside the cap body portion 230 or inside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However, when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art 234 is formed inside the cap connection part 232, the cap connection part 232 must also be formed of a diffused PC material like the cap body part 230, s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ccessory cap 216 There is a fear that this will rise.

한편, 액세서리 캡(216)는, 액세서리 본체(110)의 일측면에 덮힘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된 캡 바디부(230),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에 연결되고 액세서리 본체(110)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 연결부(232), 및 캡 연결부(232)와 캡 바디부(230)의 연결부(238)에 공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광 수단(220)이 수용되는 발광 수단 수용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ory cap 216 is formed in a structure covered with one side of the accessory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cap body portion 230 with the fron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is connected to the accessory body. Light-emitting means formed in a space shape at the cap connection part 232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110 and the connection part 238 of the cap connection part 232 and the cap body part 230 and accommodates the light-emitting means 220 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34.

캡 바디부(230)는 확산 PC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캡 연결부(232)는 일반 PC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The cap body part 230 may be injection-molded from a diffused PC material, and the cap connection part 232 may be injection-molded from a general PC material.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 또는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광 수단 수용부(234)를 형성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 수단 수용부(234)를 형성하기 위한 홈부는,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에만 형성되거나,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에만 형성되거나,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 및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or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may have a groove portion for forming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That is, the groove portion for forming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is formed only on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or formed only on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or the cap body portion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rear portion 283a of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상기와 같은 발광 수단 수용부(234)를 형성하기 위한 홈부에 발광 수단(220)을 삽입한 상테에서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과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과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는 융착 또는 접착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과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가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2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forming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are Connect. For example,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may be connected by either fusion bonding or bonding.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are connected by ultrasonic welding.

상기와 같이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과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가 일체로 연결되면, 발광 수단 수용부(234)가 캡 바디부(230)와 캡 연결부(232)의 연결부(238)에 캡 바디부(230)의 배면부(283a)과 캡 연결부(232)의 전면부(238b)에 의해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234 is connected to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cap connection portion ( The connection portion 238 of the 232 may be formed in a sealed shape by the rear portion 283a of the cap body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8b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23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10: 휴대용 단말기
20: NFC 모듈
100, 200: 발광 액세서리 장치
110, 210: 액세서리 본체
116, 216: 액세서리 캡
120: 발광 수단
130, 230: 캡 바디부
132, 232: 캡 연결부
134, 234: 발광 수단 수용부
10: portable terminal
20: NFC module
100, 200: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110, 210: accessory body
116, 216: accessory cap
120: light emitting means
130, 230: cap body portion
132, 232: cap connection
134, 234: light 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Claims (13)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액세서리 캡이 일측에 배치된 액세서리 본체;
상기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작동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서리 본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부 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고정되는 액세서리 고정부; 및 상기 액세서리 고정부에 후방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액세서리 캡에 전방단부가 연결되며, 길이 조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 캡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전방단부를 덮는 구조로 마련되되,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된 캡 바디부; 상기 캡 바디부의 배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 연결부; 및 상기 발광 수단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액세서리 캡의 내부에서 상기 캡 바디부와 상기 캡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수단을 수용하는 발광 수단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부는 광확산 및 UV 코팅이 가능한 소재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캡 바디부의 전면부에는 심미감과 상품성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UV 코팅 처리되며, 상기 발광 수단의 빛이 다양한 디자인이 UV 코팅 처리된 상기 캡 바디부의 전면부를 투과하여 상기 액세서리 캡의 전방으로 확산되고,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는, 상기 길이 조절부의 길이 조절시 상기 발광 수단이 상기 길이 조절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 수단의 두께보다 더 깊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수단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길이 조절부에 대하여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은 NF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에 배치되는 PCB 기판; 상기 액세서리 캡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상기 PCB 기판의 전면부에 마련된 발광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NFC 모듈의 신호에 대한 수신 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PCB 기판의 후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NFC 모듈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작동시 상기 NFC 모듈의 신호에 반응하는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An accessory body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on a rear portion of a terminal cas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having an accessory cap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disposed on one side;
A light emitt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accessory cap and emitting light by interaction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vent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ccessory body may include an accessory fixing portion fixed to a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a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And a rea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accessory fixing portion, a fron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accessory cap, and a length adjustment portion formed in a length-adjustable shape; and
The accessory cap is provided in a structure covering a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the cap body portion having the fron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 cap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par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ing part; And a light-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cap body part and the cap connection part in the accessory cap so as to protect the light-emitting means from external impacts, and accommodating the light-emitting means,
The cap body portion is injection-molded from a material capable of light diffusion and UV coating, and various designs for improving aesthetics and marketability are UV coa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ap body, and various designs of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are UV coated. It passes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processed cap body and diffuses to the front of the accessory cap,
The light-emitting means receiving portion is formed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ght-emitting means so that the light-emitting mean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ength-adjusting portion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adjusting portion is adjusted. Space is secure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n NFC module,
The light emitting means may include a PCB substrate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ortion;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to irradiate light to the front of the accessory cap; And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so as to improve the reception efficiency of the signal of the NFC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NFC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NFC antenna 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NFC module when a specific event is activ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발광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erein a separation bump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light-emitting means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ight-emitting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부와 상기 캡 연결부의 연결부는, 상기 발광 수단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융착 또는 접착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cap body part and the cap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by either fusion bonding or bonding in order to secure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light-emit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부는 광확산 및 UV 코팅이 가능한 확산 PC 소재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캡 연결부는 일반 PC 소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body portion is injection-molded from a diffusion PC material capable of light diffusion and UV coating,
The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connection part is injection-molded from a general PC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안테나는, 상기 PCB 기판의 후면부의 가장자리부에 나선형으로 둘레를 따라 다수 감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PCB 기판의 후면부에 증착 또는 식각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패턴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FC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pirals are woun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and are integral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by any one method of deposition or etching. Light-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본체는 핸드 그립, 단말기 거치대, 거치대 연결부, 단말기 홀더, 또는 카드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essory body includes at least one of a hand grip, a terminal holder, a holder connection, a terminal holder, or a card storage c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름부가 외주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액세서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adjustment unit is a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 por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while being folded or unfolded in an accordion shap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KR1020190065629A 2019-06-03 2019-06-03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2247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629A KR102247306B1 (en) 2019-06-03 2019-06-03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PCT/KR2019/006760 WO2020246633A1 (en) 2019-06-03 2019-06-04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629A KR102247306B1 (en) 2019-06-03 2019-06-03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55A KR20200139055A (en) 2020-12-11
KR102247306B1 true KR102247306B1 (en) 2021-05-03

Family

ID=7365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629A KR102247306B1 (en) 2019-06-03 2019-06-03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7306B1 (en)
WO (1) WO20202466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5443B (en) * 2021-08-23 2024-03-19 广东夏野日用电器有限公司 Vision protection accesso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8B1 (en)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JP6054147B2 (en) * 2012-11-09 2016-12-27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ase for high-function mobile terminal and label for terminal function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4147B2 (en) * 1977-05-09 1985-11-28 株式会社東芝 How to attach movable parts
KR20150003425U (en) * 2014-03-06 2015-09-16 심준용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US10124653B2 (en) * 2014-08-19 2018-11-13 Alfred Esses Mobile device holder and air freshener
KR20190013328A (en) * 2017-08-01 2019-02-11 김기현 Phone Crad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4147B2 (en) * 2012-11-09 2016-12-27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ase for high-function mobile terminal and label for terminal function display
KR101502738B1 (en)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55A (en) 2020-12-11
WO2020246633A1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1259B2 (en) Mobile terminal
KR20130001651A (en) Mobile terminal
KR20130043841A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d as stylus pen
CN112803145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JP5180351B2 (en) Mobile terminal accessories
US11233422B2 (en) Cover comprising relay coil for wireless charging, o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5358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stylus pen thereof
US20210218129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36653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KR20210028001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iral antenna
KR102247306B1 (en) Light emitting accessor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20140079240A1 (en) Bluetooth headset
CN113411473A (en) Terminal
KR20130076450A (en) Mobile terminal
KR100943031B1 (en)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KR20200100929A (en)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andwriting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70334B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200034349A (en) Electronic device disposeing flexible antenna
KR1006426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scroll wheel
CN114153334B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2471650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CN107132657B (en) VR all-in-one, cell-phone and VR all-in-one suit
CN212259053U (en) Protective shell
JP2013251879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273075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 antenn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