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25U -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 Google Patents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25U
KR20150003425U KR2020140001819U KR20140001819U KR20150003425U KR 20150003425 U KR20150003425 U KR 20150003425U KR 2020140001819 U KR2020140001819 U KR 2020140001819U KR 20140001819 U KR20140001819 U KR 20140001819U KR 20150003425 U KR20150003425 U KR 201500034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eaker
portable terminal
batter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8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준용
Original Assignee
심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용 filed Critical 심준용
Priority to KR202014000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25U/en
Publication of KR20150003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2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근거리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블루투스로 이용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고, 흡착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일단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음원방출부가 구비된 본체;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보호커버; 및 보호커버의 타단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와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 되도록 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되, 본체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로 충전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충전단자; 본체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음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스피커; 및 본체의 타단에 위치하고, 배터리에서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to be mounted by using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outside as a short range wirelessly as a Bluetooth speaker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ound source emitting unit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t one end; A protective cover which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is opened and has a concavo-convex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preventing slippage; And a suction uni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allow the portable terminal to be mounted there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side and fix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 charging terminal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on one side thereof; A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for emitting an original sound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witch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peaker.

Description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or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근거리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블루투스로 이용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고, 흡착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for allowing a sound source provided in short range wireless from the outside to be output to a speaker using Bluetooth as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스피커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 mp3 등의 외부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10W 정도의 소출력 앰프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좌측과 우측 사운드 스피커 장치로 구성된다.The speak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or an mp3 player. The speaker is generally composed of a left and right sound speaker device for adding a stereo function using a small output amplifier of about 10 W.

이와 같은 스피커는 좌,우측 스피커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는 스피커의 전원을 ON/OFF 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 조정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스피커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AC 입력 전원과,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잭이 구비되며, 좌, 우측 스피커에는 좌측과 우측 스피커 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 등이 구비된다.In such a speaker, at least one speaker housing of the left and right speaker devices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speaker and a volume adjusting switch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an AC input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ar side and a connection jack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left and right speakers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lines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peaker devices to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스피커는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고,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므로 한정된 공간에서만 사용가능하며, 전기선 등으로 인한 주변이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speaker is bulky and inconvenient to carry and requires a separate power source, it can be used only in a limited spa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roundings due to an electric wire or the like are dirt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64015호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In view of this, Korean Patent No. 10-1164015 entitled " Speaker Volume Extension Device for Smartphone Cradle "has been disclosed.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164015호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는 스마트폰을 충전을 위해 장착시키는 기능과 함께 스마트폰 작동시 스피커의 음량이 확대되어 외부로 출력됨으로써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에 있어서, 상면은 오목한 형태로 중앙으로 움폭 패인 형상을 구비한 공명베이스; 및 상기 공명베이스 상에 일체로 결합되며, 저면은 개방된 상태이고, 상면 일부에 다수개 천공된 소리노출공이 구비되며, 상면 중앙부 근처에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거치용 경사슬롯과, 상기 경사슬롯은 중앙부분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되, 스마트폰의 충전용잭 노출공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 스피커 노출공을 가지는 스마트폰 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명베이스 상에 안착되며, 상기 공명베이스로부터 반사되는 소리의 울림을 공명시키는 중공의 공간을 형성하는 거치대겸 울림통과, 상기 거치대겸 울림통의 스마트폰 스피커 노출공에는 스피커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스피커 노출공에 밀접하게 장착되는 탄성재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Korean Patent No. 10-1164015 entitled "Speaker Volume Expansion Device for Combining Smartphone Cradle" has a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phone for charging, and the volume of the speaker is enlarged during operation of the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dspeaker volume expander for a smartphone, which comprises: a resonance base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and a central depressed shape; And a mounting slope slot integrally coupled to the resonance base, the bottom surface being open, a sound exposing hol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a part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 tilting slot is formed on the resonance base, the tilting slot be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from above to below, the smartphone mount having a charging jack exposing hole of the smart phone and at least one smartphone speaker exposing hole, And a resilient pack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the speaker exposure hole so as to prevent speaker sound from leaking out from the smartphone speaker exposure hole of the cradle and the cradle, .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는 바닥 또는 책상 등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음량을 단순 확장시키는 것으로 스마트폰이 항상 거치되어 있어야하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speaker volume amplifying device for a smartphone can be used only on a floor or a desk, and the smartphone needs to be always mounted by simply extending the volume of the smartphon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또한, 한정된 스마트폰에만 거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 단말기 또는 전자기기들을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tore portable terminals or electronic devices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which can be mounted only on a limited smart phone.

한국등록특허 제10-1164015호 (2012년07월03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4015 (registered on July 03, 2012) 한국등록특허 제10-0679281호 (2007년01월30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79281 (registered on Jan. 30, 200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0-0468243호 (2013년07월25일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0-0468243 (Registered on July 25, 2013)

본 고안은 흡착판을 이용하여 컴퓨터, 냉장고, 책상 또는 거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을 사용함으로써, 연결선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puter, a refrigerator, a desk, a mirror, or the like using an attractor, and can be used as a holder of a portable terminal by attaching to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And a loudspeaker for preventing the surroundings from becoming dirty.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arious task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일단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음원방출부가 구비된 본체;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보호커버; 및 보호커버의 타단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와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 되도록 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되, 본체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로 충전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충전단자; 본체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음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스피커; 및 본체의 타단에 위치하고, 배터리에서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ound source emitting unit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t one end; A protective cover which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is opened and has a concavo-convex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preventing slippage; And a suction uni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allow the portable terminal to be mounted there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 charging terminal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on one side thereof; A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for emitting an original sound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witch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peaker.

본체는, 음원방출부와 스피커 사이에 위치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LED;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모기 또는 해충을 퇴치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 및 LED와 초음파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조작하는 슬라이딩스위치;를 포함하되, 음원방출부는, LED에서 발광하는 빛을 확산시켜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LEDs located between the sound source emitter and the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generates ultrasonic waves to eliminate mosquitoes or insects; And a sliding switch operable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ED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wherein the sound source emitter is formed as a light guide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to perform an illumination function.

본체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음원방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perfume generator which is installed inside and fixed to the body and discharges the perfum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ound emitting uni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체는, 외주면에 각 국가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세계지도가 표시되고, 세계지도에 표시된 각 국가의 수도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되, 광섬유는, 슬라이딩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 광원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n optical fiber which transmits light so that the world map of each country boundary line is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position of the capital of each country displayed on the world map is displayed. Or may be connected to a light source box that is blocked.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흡착판을 이용하여 컴퓨터, 냉장고, 책상 또는 거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을 사용함으로써, 연결선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 computer, a refrigerator, a desk or a mirror by using a suction plate, and can be used as a holder of a portable terminal by being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communication (Bluetooth),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eriphery from being dirty by the connecting line.

또한, 조명 LED를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곳을 밝히는 무드등 또는 조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using the illuminated L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as a mood illuminating a dark place or illumination.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세계지도가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portable terminal is attached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ld map is formed on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is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figure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right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세계지도가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orld map is formed on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고, 스마트폰, 아이패드 또는 노트북 등에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이 내장된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가능하며, 모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00), 보호커버(200) 및 흡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laying a sound source wirelessly anytime and anywhere, and can be used for a smart phone, an iPad, a notebook,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main body 100, a protective cover 200, and a suction unit 300, which can be used in electronic devices and can be used in all portable terminals.

본체(1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열기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 고정된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40)로 충전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발광다이오드(121)가 구비된 충전단자(120)와, 본체(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배터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원음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스피커(130) 및 본체(100)의 타단에 위치하고 배터리(140)에서 스피커(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t air balloon so as to be easily held by a user, and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120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121 on one sid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inside and fixed with the battery 140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 speaker 130 installed in the body 1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40 for emitting an original sound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o the outside by using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And a power switch 150 for turning on / of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40 to the speaker 130.

한편, 휴대 단말기(10)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을 이용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제거되고,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으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수신부는 스피커(130)로 통해 음원이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사실인 바, 본 고안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used, the sound source reproduc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removed and the wireless receiver receiv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a known fact.

본체(10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일단에 다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음원방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sound emitting portion 11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at one end thereof.

통공(111)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130)에서 재생되는 음원(음악) 등이 외부로 확산 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to diffuse a sound source or the like reproduced from the speaker 1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충전단자(120)는 USB 포트가 구비되어 USB 단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이 용이하고, 언제 어디서든 충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충전단자(120)에 연결되는 USB 단자는 휴대 단말기(10)에 사용되는 충전기 또는 노트북에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하다.The charging terminal 120 is provided with a USB port so that charging of the battery using the USB terminal is easy and charging can be performed anytime and anywhere. Meanwhile, the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by being connected to a charger or notebook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발광다이오드(121)는 충전중일 때는 붉은색의 빛이 발광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붉은색의 빛이 꺼지며, 배터리가 없을 시에는 붉은색의 빛이 깜빡거려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ght emitting diode 121 emits red light when being charged, and the red light is turned off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re is no battery, the red light is blink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ate of charge .

또한, 발광다이오드(121)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찾고 있을 때에는 녹색의 빛이 빠르게 깜빡거리고,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찾을 시에는 녹색의 빛이 천천히 깜빡거려 사용자가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에서 송신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121 is looking f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the green light quickly flickers. When searching f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the green light slowly flickers This allows the user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user is transmitting i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스피커(130)는 무선 수신부와 연결되어 무선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30)에서 재생되는 음량은 휴대 단말기(10)에서 조절이 가능하고 고출력 사운드를 제공한다.The speaker 130 may be provided to reproduce a sound source connected to the radio receiver and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In addition, the volume reproduced by the speaker 130 is adjustable by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provides a high output sound.

전원스위치(150)는 무선 수신부 및 스피커(1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약 3초간 길게 누르면 딩동하는 소리와 함께 배터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수신부 및 스피커(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을 오프(off) 시에는 다시 전원스위치(150)를 약 3초간 길게 누르면 딩동 소리와 함께 배터리(140)에서 전원이 차단되어 무선 수신부 및 스피커(13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The power switch 150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and the speaker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40 together with the sound of dinging for a long time for about three seconds to operate the wireless receiving unit and the speaker 130 . On the contrary,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power switch 150 is again pressed for about 3 seconds, the power of the battery 140 is cut off together with the sound of the ding dong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ceiving unit and the speaker 130 is stopped.

본체(100)는 LED(410) 및 초음파발생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00 may include an LED 410 and an ultrasonic generator 500.

LED(410)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설치되고, 음원방출부(110)와 스피커(130) 사이에 위치하며, 배터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방출부(110)는 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을 확산시켜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The LED 410 is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ound emitting unit 110 and the speaker 1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40 to emit light. Here, the sound source emitting unit 110 may be formed as a light guide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410 to perform an illumination function.

즉, 야간에 불빛이 필요한 경우 플래쉬(flash)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LED(410)가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슬라이딩스위치(600)에 의해 온(of)/오프(off)될 수 있다.That is, when light is needed at night, a plurality of LEDs 41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140 so as to be used as a flash, and may be turned on / off by the sliding switch 600 have.

초음파발생기(500)는 배터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스위치(600)에 의해 작동되며 초음파를 발생시켜 모기 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사실인 바, 본 고안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ltrasonic generator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40 and operated by the sliding switch 600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to eliminate mosquitoes or insect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500 is well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즉, 여름철에 모기 또는 해충들 때문에 잠을 설치거나 모기에 물리는 자국에 의해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주변에 놓고 음원을 재생시키면서 동시에 초음파를 작동시켜 모기 또는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from mosquitoes or pests by operating the ultrasonic wave simultaneously while restoring the sound source by placing it around the user because the mosquitoes or pests may cause sleep in the summer or may be hurt by the mosquito bite.

본체(100)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음원방출부(110)에 형성된 통공(111)을 통해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발생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perfume generator 700 installed inside and fixed to the main body 100 to discharge the perfume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formed in the sound emitting unit 1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향기발생기(700)는 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를 충전한 상태에서 본체(100)내부에 설치고정되고, 사용자가 본체(100)를 잡고 흔들게 되면 내부에 충전된 향기가 천천히 퍼지도록 하는 구조이다.The perfume generator 700 is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main bod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desired perfume is filled therein. When the user holds the main body 100, the fragrance charged therein slowly spreads.

즉, 사용자가 본체(100)를 흔들어 향기발생기(700)에서 향기가 나오게 하고, 향기발생기(700)에서 나온 향기는 본체(100)의 내부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스피커(130)를 작동시키면 스피커(130)의 진동에 의해 향기가 통공(111)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shakes the main body 100, the perfume is emitted from the perfume generator 700, and the perfume emitted from the perfume generator 700 is collected inside the main body 100. When the speaker 130 is operated, 130 so that the perfum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through hole 111. [

본체(100)는 외주면에 각 국가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세계지도(800)가 표시되고, 세계지도(800)에 표시된 각 국가의 수도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8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n optical fiber 810 that transmits light so that the world map 800 having the boundary line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is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apital position of each country displayed on the world map 800 can be identified. have.

광섬유(810)는 슬라이딩스위치(600)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 광원박스(9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810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box 900 through which the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by operating the sliding switch 600.

한편, 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계지도(800)는 광섬유(810)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광섬유(810)와 연결된 광원박스(9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광섬유(810)를 통해 빛이 확산되어 세계지도(800)에 형성된 각 나라의 경계선들이 빛을 내도록 할 수 있다.A world map 80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using an optical fiber 81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optical source box 900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810, The light can be diffused so that the boundaries of each country formed on the world map 800 can emit light.

즉, 세계지도(800) 및 각 국가의 수도에 설치된 광섬유(810)는 광원박스(900)에 의해 빛을 전달받아 빛을 낼 수 있고, 그 빛을 이용하여 무드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커버(200)는 투명재질의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광섬유(810)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optical fiber 810 installed in the world map 800 and the capital of each country can receive light by receiving the light by the light source box 900, and can be used as a mood lighting using the light. Here, the protective cover 2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made of transparent silicon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810 is transmitted.

보호커버(200)는 본체(100)에 형성된 음원방출부(110)를 제외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력 또는 낙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비독성 고품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들이 입에 넣어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사용자가 잡을 시 그립감 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요철(210)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200 may be formed of a non-toxic and high-quality silicone material so as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sound source emitter 110 except for the sound source emitter 11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nd to absorb an external force or drop impact. Especially, it can be formed of natural resin harmless to the human body even when infants or children are put into their mouths. The protective cover 2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210 in order to prevent gripping or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the protective cover 200.

흡착부(300)는 보호커버(200)의 타단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10)와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10)가 거치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흡착부(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예로 들면, 주방에서 조리 또는 설거지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냉장고에 부착되거나, 공부 또는 업무 중일 때 책상이나 파티션 또는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화장대 또는 화장실 등의 거울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200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10 thereon. The suction unit 300 may be attached to a refrigerator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while cooking or washing dishes in a desired place, for example, in a kitchen, attached to a desk, partition, or wall while studying or working, And can be attached to a mirror so that the user can reproduce the sound source at a desired loc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휴대 단말기 100; 본체
110; 음원방출부 111; 통공
120; 충전단자 121; 발광다이오드
130; 스피커 140; 배터리
150; 전원스위치 200; 보호커버
210; 요철 300; 흡착부
400; 인쇄회로기판 410; LED
500; 초음파발생기 600; 슬라이딩스위치
700; 향기발생기 800; 세계지도
810; 광섬유 900; 광원박스
10; A portable terminal 100; main body
110; A sound source emitting unit 111; Passage
120; Charging terminal 121; Light emitting diode
130; A speaker 140; battery
150; Power switch 200; Protective cover
210; Uneven 300; Absorption portion
400; A printed circuit board 410; LED
500; An ultrasonic generator 600; Sliding Switches
700; Perfume generator 800; world map
810; Optical fiber 900; Light source box

Claims (4)

일단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음원방출부가 구비된 본체;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보호커버;
보호커버의 타단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와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 되도록 하는 흡착부;
본체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로 충전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충전단자;
본체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음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스피커; 및
본체의 타단에 위치하고, 배터리에서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 main body having a sound emiss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one end thereof;
A protective cover which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is opened and has a concavo-convex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preventing slippage;
A suction unit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A charging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on one sid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for emitting an original sound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power switch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peaker.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는,
음원방출부와 스피커 사이에 위치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LED;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모기 또는 해충을 퇴치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 및
LED와 초음파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조작하는 슬라이딩스위치;를 포함하되,
음원방출부는,
LED에서 발광하는 빛을 확산시켜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One or more LEDs located between the sound source emitter and the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generates ultrasonic waves to eliminate mosquitoes or insects; And
And a sliding switch for operating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ED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sound-
And a light guide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to perform an illumination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는,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음원방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And a perfume generator tha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ase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erfum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ound emitting uni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 2항에 있어서,
본체는,
외주면에 각 국가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세계지도가 표시되고, 세계지도에 표시된 각 국가의 수도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및
슬라이딩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발광하고, 발광된 빛이 광섬유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광원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main body,
An optical fiber that displays a world map of the boundaries of each country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identifies the capital location of each country displayed on the world map; And
And a light source box that emits light when powered by a sliding switch operation and transmits the emitted light to the optical fiber.
KR2020140001819U 2014-03-06 2014-03-06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KR2015000342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9U KR20150003425U (en) 2014-03-06 2014-03-06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9U KR20150003425U (en) 2014-03-06 2014-03-06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25U true KR20150003425U (en) 2015-09-16

Family

ID=5434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819U KR20150003425U (en) 2014-03-06 2014-03-06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25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2Y1 (en) *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Holding r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WO2019004490A1 (en) *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Mobile holder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KR102074158B1 (en) 2019-05-22 2020-02-06 메가브로스 주식회사 Hanger of smart phone for vehicle
WO2020246633A1 (en) * 2019-06-03 2020-12-10 (주)대성울트라소닉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2Y1 (en) *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Holding r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WO2019004490A1 (en) *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Mobile holder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KR102074158B1 (en) 2019-05-22 2020-02-06 메가브로스 주식회사 Hanger of smart phone for vehicle
WO2020246633A1 (en) * 2019-06-03 2020-12-10 (주)대성울트라소닉 Light emitting accesso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248B2 (en) Battery powered electronic candle with speaker
US7997772B2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KR20150003425U (en) Speaker is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US10753599B1 (en) Multifunctional lamp that is adapted to function as acoustics lamp and ground insert lamp
US10823392B1 (en) Multifunctional sound lamp
US20170013337A1 (en) Plant speaker
JP3185412U (en) Earphone device that blinks as sound waves change
KR101710379B1 (en) Bluetooth speaker
CN105451106A (en) Waterproof sound box
JP3224843U (en) Multifunctional stereo light and multifunctional stereo garden spike light
KR101874752B1 (en) form-shaped speaker corresponding to sound
US8744114B1 (en) Surface sound speaker
CN206196053U (en) Loudspeaking device
CN216490947U (en) Light-emitting structure and microphone
CN203775359U (en) Folding type Bluetooth sound box lighting device
KR20130085574A (en) Multi accessory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CN209472748U (en) Has the mobile speaker of light variation
CN219611849U (en) Protective housing
CN207603724U (en) A kind of mobile microphone
CN216134585U (en) Hand warmer
US11187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cases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CN217875451U (en) Multifunctional stereo set layer frame floor lamp
CN206789304U (en) A kind of Bluetooth player with light projection
KR101892810B1 (en) Multifunctional tray
JP3082729U (en) Mobile phone simple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