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901B1 -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901B1
KR102246901B1 KR1020200110352A KR20200110352A KR102246901B1 KR 102246901 B1 KR102246901 B1 KR 102246901B1 KR 1020200110352 A KR1020200110352 A KR 1020200110352A KR 20200110352 A KR20200110352 A KR 20200110352A KR 102246901 B1 KR102246901 B1 KR 10224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strength
gain
valu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901B9 (ko
KR20200108262A (ko
Inventor
배효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ublication of KR2020010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901B1/ko
Publication of KR10224690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90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자동 이득 제어 장치가 수신 장치의 자동 이득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1 이득값을 이용하여 저잡음 증폭하여 제1 신호로 생성하면,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한다. 제1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2 신호로 생성하고,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한다.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토대로, 제1 이득값과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gain control}
본 발명은 주변 간섭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의 수신 장치가 자동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먼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준 신호 세기와 비교한다. 만약, RSSI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기준 신호 세기보다 크면 이득 값을 낮추고, RSSI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기준 신호 세기보다 크지 않으면 이득 값을 유지한다.
이러한 수신 장치의 자동 이득 제어 방법은 인 밴드(In-Band) 내의 수신 신호만을 탐지하여 원하는 레벨의 신호를 얻어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전계에 강한 간섭 신호가 있을 때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전계에 강한 신호가 있지만 내 신호가 약할 경우, RF 프론트 엔드 이득(Front-End Gain)을 과도하게 키움으로써 수신기의 포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 신호와 주변 간섭 신호의 세기를 구분하고 감지하여, 수신 장치의 자동 이득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수신 장치의 자동 이득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1 이득값을 이용하여 저잡음 증폭하여 제1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1 신호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2비트의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2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2 신호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2비트의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보다 세면, 상기 제1 이득값과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할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계값들은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그리고 제3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2비트는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00,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보다 크면 11로 출력된다.
상기 제1 신호는 아웃 밴드(Out-Band)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인 밴드(In-Band) 신호이며, 상기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정보는 2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자동 이득 제어 장치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변환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제1 이득값으로 저잡음 증폭하여 아웃 밴드(Out-Band) 신호인 제1 신호로 출력하는 저잡음 증폭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1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인 밴드(In-Band)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저역 통과 필터,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이득값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부, 상기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2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2 신호 세기 측정부, 그리고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아웃 밴드 신호인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여 생성된 인 밴드 신호인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보다 세면, 상기 제1 이득값과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계값들은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그리고 제3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세기 측정부와 제2 신호 세기 측정부는 각각,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00,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보다 크면 11로 제1 신호 세기 정보 또는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는, 상기 이득 오프셋의 변경을 결정하면, 상기 제1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은 줄이고 상기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은 증가시킬 수 있다.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국부 발진기에서 공급하는 주파수와 혼합하여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전달하는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이득값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해 전파 신호에 대한 내성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전파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기 때문에, 수신 장치의 간섭 신호에 대한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신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신호 세기 측정부가 출력하는 신호 세기 정보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수신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신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10)는 신호 수신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무선 신호가 입력되면, LNA(Low Noise Amplifier)(11)는 RF 신호를 증폭한다.
믹서(12)는 LNA(11)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RF 신호와 국부 발진부(도면 미도시)에서 공급하는 주파수를 혼합하여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한 후 LPF(Low Pass Filter)(13)로 전달한다. LPF(13)를 통과한 IF 신호는 PGA(Programmable Gain Controller)(14)에서 PGA 이득값을 이용하여 이득이 조정된다.
한편, LPF(13)를 통과한 IF 신호는 RSSI 지시부(15)를 거쳐 자동 이득 제어 블록(17)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PGA(14)에서 이득이 조정된 IF 신호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16)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자동 이득 제어 블록(17)으로 전달된다.
자동 이득 제어 블록(17)은 RSSI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LNA 이득값과 VGA 이득값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 수신 장치(10)에서 이득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인 밴드 내의 수신 신호만을 탐지하여 원하는 레벨의 신호를 얻기 때문에, 주변 전계에 강한 간섭 신호가 있을 때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LNA(11)는 수신 신호 세기가 클수록 출력 세기가 한계점에 도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호 변조로 인해 발생한 왜곡 신호인 상호 변조 왜곡의 크기도 점점 커져, 수신 장치(10)가 본래 갖는 선형성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섭 신호에 의한 수신 장치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인 밴드 신호의 수신 세기만을 사용하던 것에서 인 밴드(In-Band)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인 밴드 RSSI 이외에도 추가로 주변 간섭 신호의 세기도 감지할 수 있는 아웃 밴드 RSSI를 사용한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신 장치를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웃 밴드 수신 신호를 제1 신호라고 지칭하고, 인 밴드 수신 신호를 제2 신호라 지칭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아웃 밴드 수신 신호는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야 할 수신 신호와 주변의 간섭 신호를 포함한 신호로, 인 밴드 수신 신호는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야 할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저잡음 증폭부(110), 믹서(120), 저역 통과 필터(130),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140),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 제2 신호 세기 측정부(16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70) 및 자동 이득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 장치인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저잡음 증폭부(110)는 RF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믹서(120)는 저잡음 증폭부(110)에서 출력한 무선 신호와 국부 발진부(도면 미도시)에서 공급하는 주파수를 혼합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믹서(120)에서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130)와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로 입력된다. 저역 통과 필터(130)는 믹서(120)에서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한다. 저역 통과 필터(130)를 통과하여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 무선 신호는 PGA(140)로 입력되고, PGA(140)는 VGA 이득값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증폭한다.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는 믹서(120)로부터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인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이때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가 측정한 신호 세기는 아웃 밴드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가 측정된다.
그리고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는 측정한 신호 세기에 따른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 00, 01, 10, 11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신호 세기 측정부가 출력하는 신호 세기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세기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내지 제3 임계값들을 토대로, 제1 임계값 보다 신호 세기가 작으면 00으로,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 이상이면 1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임계값 내지 제3 임계값의 수치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도 2의 저역 통과 필터(130)를 통과한 기저대역 신호는 제2 신호 세기 측정부(160)와 PGA(140)로 입력된다. PGA(140)는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 기저대역 신호를 이득 값에 따라 증폭시키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70)는 증폭된 기저대역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 이득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2 신호 세기 측정부(160)는 저역 통과 필터(130)를 통과한 기저대역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신호 세기에 따른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 00, 01, 10, 11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신호 세기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내지 제3 임계값들을 토대로, 제1 임계값 보다 신호 세기가 작으면 00으로,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 이상이면 11로 출력하며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임계값 내지 제3 임계값의 수치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자동 이득 제어부(180)는 제1 신호 세기 측정부(150)에서 출력된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측정부(160)에서 출력된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토대로, 저잡음 증폭기(110)와 PGA(140)의 오프셋(offset)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오프셋 조절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저잡음 증폭기(110)와 PGA(140)의 이득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자동 이득 제어부(180)는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10 또는 11이면서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00 또는 01인 경우, 저잡음 증폭기(110)와 PGA(150)의 오프셋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를 통해 자동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수신 신호로부터 제1 신호 세기와 제2 신호 세기를 각각 측정한다(S100). 이를 위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수신 신호의 잡음 부분을 낮추고 무선 신호 부분을 증폭시켜 1차 증폭 신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1차 증폭 신호와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의 기저대역 신호로 생성한다.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기저대역 신호인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 00, 01, 10, 11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기저대역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한 후,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 기저대역 신호인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에 따라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 00, 01, 10, 11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S100 단계에서 설명한 무선 신호 증폭 절차나 주파수 혼합 절차 등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S100 단계에서 측정한 제1 신호 세기와 제2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생성된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제1 그룹에 해당하는지 제2 그룹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101). 여기서 제1 그룹은 신호 세기 정보가 00 또는 01일 경우를 의미하고, 제2 그룹은 10 또는 11일 경우를 의미한다.
만약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제2 그룹에 해당하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제1 그룹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102). 만약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제1 그룹에 해당하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LNA에는 마이너스 이득 오프셋을, PGA에는 플러스 이득 오프셋을 반영할 것으로 결정한다(S103).
그러나, S1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제1 그룹에 해당하거나, S103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제2 그룹에 해당하면, 상기 도 2의 저잡음 증폭부(110)와 PGA(140)의 이득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04). 여기서,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정보에 따른 이득 변경 값에 대해 표 1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2 신호 세기 정보
00 01 10 11
제1 신호 세기 정보 00 이득 유지 이득 유지 이득 유지 이득 유지
01 이득 유지 이득 유지 이득 유지 이득 유지
10 LNA - Offset
PGA + Offset
LNA - Offset
PGA + Offset
이득 유지 이득 유지
11 LNA - Offset
PGA + Offset
LNA - Offset
PGA + Offset
이득 유지 이득 유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제2 그룹에 해당하고,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제1 그룹에 해당할 경우에만 이득 오프셋 값을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신호 수신 장치인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로 전송되어야 할 신호의 세기가 주변 간섭 신호의 세기보다 약할 경우,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간섭 신호가 크게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저잡음 증폭부(110)와 PGA(140)의 이득 오프셋 값을 보정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선형성 성능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정될 이득 오프셋 값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S103단계에서 이득 오프셋 값을 보정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S104 단계에 따라 LNA/PGA 이득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하면,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보정된 이득 오프셋으로 제1 저잡음 증폭부(110)와 PGA(150)가 이득 오프셋을 보정하도록, 또는 이득 오프셋이 보정 없이 유지됨을 알리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5). 제어 신호를 토대로 제1 저잡음 증폭부(110)와 PGA(150)가 이득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는 미리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S106). 미리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시간 종료 직전에 결정한 이득으로 LNA/PGA 이득이 유지되도록 하며 자동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이득을 계산하는 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나, 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S100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가 방해 전파 신호인 간섭 신호의 세기를 감지함으로써, 자동 이득 제어 장치(100)인 수신 장치의 간섭 신호에 대한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수신 장치의 자동 이득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1 이득값을 이용하여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되어야 할 신호와 주변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아웃 밴드(Out-Band) 신호인 제1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1 신호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2비트의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인 상기 주변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되어야 할 신호만을 포함하는 인 밴드(In-Band)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2 신호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2비트의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보다 세면, 상기 제1 이득값과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할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계값들은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그리고 제3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2비트는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00,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보다 크면 11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상기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00 또는 01 중 어느 하나일 때, 상기 제1 신호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보다 세면 상기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제2 신호 세기 정보는 2비트로 표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
  3. 자동 이득 제어 장치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변환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제1 이득값으로 저잡음 증폭하여 아웃 밴드(Out-Band) 신호인 제1 신호로 출력하는 저잡음 증폭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제1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1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제1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인 밴드(In-Band)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저역 통과 필터,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이득값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부,
    상기 제2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2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2비트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2 신호 세기 측정부, 그리고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아웃 밴드 신호인 제1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여 생성된 인 밴드 신호인 제2 신호 세기 정보가 표시된 구간의 신호 세기보다 세면, 상기 제1 이득값과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 변경을 결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계값들은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그리고 제3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세기 측정부와 제2 신호 세기 측정부는 각각,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00,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면 01,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이면 10, 제3 임계값보다 크면 11로 제1 신호 세기 정보 또는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되어야 할 수신 신호와 주변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아웃 밴드(Out-Band)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수신 신호를 포함하는 인 밴드(In-Band) 신호인 자동 이득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는,
    상기 이득 오프셋의 변경을 결정하면, 상기 제1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은 줄이고 상기 제2 이득값의 이득 오프셋은 증가시키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저잡음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국부 발진기에서 공급하는 주파수와 혼합하여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전달하는 믹서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이득값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KR1020200110352A 2017-11-15 2020-08-3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46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2240 2017-11-15
KR1020170152240 2017-11-15
KR1020180140307A KR20190055765A (ko) 2017-11-15 2018-11-14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7A Division KR20190055765A (ko) 2017-11-15 2018-11-14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62A KR20200108262A (ko) 2020-09-17
KR102246901B1 true KR102246901B1 (ko) 2021-04-30
KR102246901B9 KR102246901B9 (ko) 2021-09-17

Family

ID=666812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7A KR20190055765A (ko) 2017-11-15 2018-11-14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00110352A KR102246901B1 (ko) 2017-11-15 2020-08-3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7A KR20190055765A (ko) 2017-11-15 2018-11-14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557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5855B (zh) * 2020-09-25 2022-09-30 锐迪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47B1 (ko) * 2006-03-30 200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27450A (ko) * 2009-05-26 2010-12-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수신기의 자동이득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65A (ko) 2019-05-23
KR102246901B9 (ko) 2021-09-17
KR20200108262A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1938A1 (en) Predistortion type distortion compensation apparatus
CA2723058A1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architecture
US9667212B2 (en) Gain control method, module, and wireless signal receiver using the same
KR20060068730A (ko) 전력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
KR102242997B1 (ko) Sdr 무전기의 적응형 자동이득제어장치 및 방법
US20070042736A1 (en)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adjusting dectection circuit
US201203294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KR102246901B1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039066B2 (en)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7684772B2 (en) Tuner for compensating for take-over point depending on temperature
KR20050032810A (ko) 자동 이득 제어 루프를 위한 온도 보상 장치
JP2005160082A (ja) 自動利得制御方式(agc)を備えた受信端の受信率改善装置及び方法
US8095100B2 (en) Receiver with sigma-delta structure
US20040038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ortion reduction and optimizing current consumption via adjusting amplifier linearity
KR101660708B1 (ko) 출력 변화 조정 가능한 자동레벨보상 회로
KR20060115417A (ko) 영상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134917A (ja) 自動利得制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CN101501987A (zh) 针对或涉及无线电装置的自动增益控制的改进
JP4170081B2 (ja) 干渉波検出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100438551B1 (ko)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 및 방법
JP4404742B2 (ja) 混変調および相互変調によるひずみに対応する自動利得制御システム
JP5407596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信号強度の測定方法
KR100592946B1 (ko) 기지국 수신단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 개선 방법 및 그수신기
JP2004304568A (ja) 受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移動無線受信機
US20160087661A1 (en) Radio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