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82B1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 Google Patent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682B1
KR102246682B1 KR1020150017094A KR20150017094A KR102246682B1 KR 102246682 B1 KR102246682 B1 KR 102246682B1 KR 1020150017094 A KR1020150017094 A KR 1020150017094A KR 20150017094 A KR20150017094 A KR 20150017094A KR 102246682 B1 KR102246682 B1 KR 10224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vehicle
possibility
steering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5747A (en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82B1/en
Publication of KR2016009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60R2021/01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2Steer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토크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차량의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타차량의 상황에 기초하여 조향 토크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향 토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부와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부와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 및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steering torqu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steering torque based on the situation of another vehicle existing in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I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and a ra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Another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ther vehicles in the blind spot using (radar) or a lidar,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and a relative speed,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An apparatus and method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reduc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o provide.

Figure R1020150017094
Figure R1020150017094

Description

조향 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본 발명은 조향 토크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옆 차선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상황에 기초하여 조향 토크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steering torqu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steering torque based on a situation of a vehicle running in an adjacent lan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쉽게 차량을 조종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for the driver to easily manipulate the vehicle.

이러한 조향 토크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타기에 의해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차량을 인식하지 못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면 차량 사고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Such a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by a steering device operated by a driver. However, if a driver who does not recognize a vehicle existing in the blind spot changes lanes, there may be a risk of a vehicle accident.

또한, 사각지대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주변환경에 의해 운전자가 옆 차선의 차량을 인식하기 어려우면 차량 사고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present in the blind spot, if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vehicle in the next lane du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a risk of a vehicle accident may exist.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선변경을 하도록 조향 토크를 제어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to provide a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eering torque so that a driver of a vehicle can safely change lan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향 토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부와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부와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 및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nother vehicle for detecting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us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and other vehicles,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increases the assist amount and decreases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향 토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다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단계와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단계와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단계 및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using a camera, radar or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to detect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and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step and the relative spe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collision determination step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the amount of assist of the steering system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f determined, it provides a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including a control step of reduc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고,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함과 동시에 조향 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mag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o detect other vehicles in the blind spot,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and control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the lane can be safely controll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hang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속도 계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ing torqu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는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부와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부와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 및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to detect the 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and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and the relative speed,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system is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s reduc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ol unit for reduc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may be includ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100)는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an own vehicle to detect another vehicle in a blind spot. It may include a vehicle detection unit 110.

차량에는 카메라, 레이더 및 라이더 장치를 이용하여 사각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식 방법은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색상 정보를 구별하여 인식한다. 레이더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식 방법은 파장이 짧은 마이크로파를 발사하고, 사물에 반사되어 돌아온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사물의 존재를 인식한다. 또한, 라이더를 이용한 사물 인식 방법은 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레이저광선을 발사하고, 사물에 반사되어 돌아온 레이저광선을 이용하여 사물의 존재를 인식한다.Vehicles can detect blind spots using cameras, radar, and lidar devices. Briefly, the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a camera device measures color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a camera device, and recognizes the measured color information by distinguishing it.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a radar device emits a microwave with a short wavelength and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n object using the microwave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returned. 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a rider emits a laser beam having a property close to a radio wave, and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n object using the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return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100)는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120 that calculates a relative speed of another vehicle.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대속도 계산부(120)는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이용하여 시각별로 인식한 타차량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된 거리는 상대적인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먼저 측정한 거리(D1)에서 일정 시간(dt)이 지난 후, 측정한 거리(D2)의 차이를 계산한 후, dt로 나눗셈을 함으로써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In detail,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relative speed using a distance to another vehicle recognized for each time by using a camera, a radar, or a rider. Since it was measured using a camera, radar, or ride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the measured distance has a relative relationship. Therefor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distance (D2) after a certain time (dt) has passed from the first measured distance (D1), and then dividing by dt.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100)는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that determine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when a lane is changed based on a relative speed.

일 예로, 충돌 판단부(130)는 상대속도 계산부(120)에서 계산된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산된 상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임계값이 0으로 설정되면, 상대속도가 0 이하인 경우 자차량과 타차량의 거리는 유지되거나 또는 증가될 수 있는데, 이는 자차량과 타차량이 충돌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임계값은 실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t can be judged as. If the threshold value is set to 0, when the relative speed is less than 0,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may be maintained or increased, which means that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cannot collide. The above-described threshold value can be calculated by experiment.

이와 달리, 상대속도가 0을 초과하는 경우 자차량과 타차량의 거리는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자차량과 타차량이 충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contrast, when the relative speed exceeds 0,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may be reduced, which means that the own vehicle and another vehicle may collide.

다른 일 예로, 거리 계산부가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하고, 충돌 판단부(130)는 거리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계산부(120)에서 계산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한다. 충돌시간은 상대거리를 상대속도로 나눗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충돌 판단부(130)는 계산된 충돌시간이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시간이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특정시간은 실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uses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and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120. Thus, the collision time it takes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is calculated. The collision time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relative distance by the relative speed. Whe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exceeds a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if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a specific time, 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specific time described above can be calculated by experimentation.

또 다른 일 예로, 거리 계산부가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하고, 속도 측정부가 자차량의 속도를 측정한 후, 충돌 판단부(130)는 거리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계산부(120)에서 계산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한다. 상기 충돌시간은 상대거리를 상대속도로 나눗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충돌 판단부(130)는 계산된 충돌시간이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충돌시간이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판단부(130)는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한 자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차선변경시간이 계산된 충돌시간보다 미만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추정된 차선변경시간이 계산된 충돌시간 이상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fter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and the speed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relative distance and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By using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speed calculation unit 120, a collision time required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is calculated. The collision time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relative distance by the relative spee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exceeds a specific time.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a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estimates the lane change time using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measured by the speed measurement unit, and if the estimated lane change time is less tha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s reduc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f the estimated lane change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100)는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ha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40 for reducing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일 예로,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ler 140 may increase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by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 unit 140 may reduce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by reduc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다른 일 예로,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충돌 판단부(130)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 unit 140 may increase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by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 unit 140 may reduce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by reduc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속도 계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상황은, 자차량(210)과 사각지대에 있는 타차량(220)이 도로에 주행중인 상황이다. (A)는, 자차량(210a)과 사각지대에 있는 타차량(220a)이 230a의 거리차이(D1)를 가지고 있다. (A)에서 일정 시간(dt)이 지난 후인 (B)는, 자차량(210a)과 사각지대에 있는 타차량(220b)이 230b의 거리차이(D2)를 가지고 있다.The situation of FIG. 2 is a situation in which the own vehicle 210 and the other vehicle 220 in the blind spot are driving on the road. In (A), the host vehicle 210a and the other vehicle 220a in the blind spot have a distance difference D1 of 230a. In (B)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t) in (A) has a distance difference (D2) of 230b between the own vehicle 210a and the other vehicle 220b in the blind spot.

도 2를 참조하면, 수학식1과 같이, 상대속도 계산부는 D1에서 D2의 차이를 계산하고, dt로 나눗셈을 계산함으로써,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s shown in Equation 1, the relative speed calculator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D1 and D2, and calculates the division by dt, thereby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Figure 112015011835637-pat00001
Figure 112015011835637-pat00001

이는, D1과 D2가 자차량에 구비된 장치에 의해 계산된 거리차이이므로 상대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절대 속도가 아닌 상대속도이다.This is a relative speed, not an absolute speed, because D1 and D2 are in a relative relationship because the distance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device provided in the host vehicle is in a relative relationship.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는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충돌 판단부는, 계산된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한다. 계산된 충돌시간이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돌시간이 상기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tanc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lative distance between another vehicle and an own vehicle,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includes the calculated relative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e speed is used to calculate the collision time it takes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Whe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exceeds a preset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the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타 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은 거리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대거리를 상대속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대속도를 나눔으로써, 충돌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특정시간은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으로,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과 실험 데이터의 분산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collision time taken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e specific time is a value that can be calculated by the experimental data, and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time it takes for the vehicle to change lanes and the variance of the experimental data.

즉, 충돌시간이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자차량과 타차량은 특정시간 이후에 만날 수 있는 것으로, 충돌하기 전에 자차량은 차선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llision time exceeds a specific time,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can meet after the specific time, and the own vehicle can complete the lane change before the collision.

반면, 충돌시간이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자차량과 타차량은 특정시간 이내에 만날 수 있는 것으로 자차량이 차선변경 중에 타차량과 충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a specific time,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can meet within a specific time, and the own vehicle may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during a lane chang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는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및 자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충돌 판단부는, 계산된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한다. 계산된 충돌시간이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충돌시간이 상기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한 속도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한다. 추정한 차선변경시간이 계산된 충돌시간보다 미만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추정한 차선변경시간이 계산된 충돌시간보다 이상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tanc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lative distance between an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and a speed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the calculation The collision time required to collide with other vehicles is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relative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by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Whe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the specific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estimates the lane change time using the speed measured by the speed measurement unit. If the estimated lane change time is less tha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f the estimated lane change time is longer than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타차량의 상대속도 나눔으로써 충돌시간을 계산한다(S300). 충돌 판단부는 계산한 충돌시간과 특정시간을 비교한다(S310). 특정시간은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으로,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과 실험 데이터의 분산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collision time by divid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by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S30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with a specific time (S310). The specific time is a value that can be calculated by the experimental data, and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time it takes for the vehicle to change lanes and the variance of the experimental data.

S310 단계에서 충돌시간이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이 차선을 변경할 때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20). 이는, 차선 변경시 계산된 충돌 시각 전에 자차량의 차선변경이 완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If the collision time exceeds a specific time in step S31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the own vehicle changes lanes (S320). Since this means that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is completed before the calculated collision time when the lane is chang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만약, S310 단계에서 충돌시간이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한다(S330).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은, 차량이 차선변경을 하는 경우 이동거리에 대한 실험데이터의 평균값과 분산을 적용하여 차선변경시 이동거리를 추정하고, 추정한 이동거리를 자차량의 속도로 나눔으로써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If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a specific time in step S31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estimates the lane change time using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S330).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ane change time is by estimating the moving distance when changing lanes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and variance of the experimental data on the moving distance when the vehicle is changing lanes, and dividing the estimated moving distance by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The lane change time can be estimated.

충돌 판단부는 차선변경시간과 S300단계에서 계산한 충돌시간을 비교한다(S340). 차선변경시간이 충돌시간보다 미만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이 차선을 변경할 때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320). 이는, 자차량이 차선 변경을 완료한 후 충돌이 예상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S340단계에서 차선변경시간이 충돌시간 이상인 경우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이 차선을 변경할 때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50). 이는, 자차량이 차선 변경을 하는 도중 충돌이 예상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lane change time and the collision time calculated in step S300 (S340). If the lane change time is less than the collision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when the own vehicle changes lanes (S320). This means that a collision is expected after the host vehicle completes the lane change,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If the lane change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llision time in step S34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hen the own vehicle changes lanes (S350). This means that a collision is expected while the own vehicle is changing lanes, and thu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도 3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사각지대의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미리 설정된 특정시간 및 자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한다(S310, S340). 차선 변경시간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짧으면,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S320), 차선 변경시간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거나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면,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S350)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IG. 3 compares a time taken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in a blind spot, a preset specific time, and a time taken for the own vehicle to change lanes (S310 and S340). If the lane change time is shorter than the time taken to collid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of the own vehicle (S320), and if the lane change time takes the same or more time as the collision tim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f (S350) is shown.

반면,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사각지대의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만을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과 비교한다. 특정시간은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으로, 실험 데이터의 평균과 분산값을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S330 및 S340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차량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ompares only the time taken to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with a preset specific time. The specific time is a value that can be calculated by experimental data on the time it takes for the vehicle to change lanes, and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and variance values of the experimental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a vehicle collision without performing the steps S330 and S340.

이와 달리,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타차량과 자차량의 상대속도만을 미리 설정한 임계값과 비교한다. 임계값은 사각지대의 타차량과 충돌없이 자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상대속도이며, 이 임계값은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In contrast,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ares only the relative speeds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existing in the blind spot with a preset threshold. The threshold value is the relative speed required for the own vehicle to change lanes without colliding with other vehicles in the blind spot, and this threshold value can be calculated from experimental data.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는 S330 및 S340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충돌시간을 계산하는 S300 단계가 아닌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충돌시간을 특정시간과 비교하는 S310 단계가 아닌 계산된 상대속도와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perform the steps of S330 and S340, and calculates a relative speed other than the step S300 of calculating the collision time, and the calculated opponent other than the step S310 of comparing the collision time with a specific time. Comparing the speed and the threshold is performed.

충돌시간을 계산하는 S300 단계는 상대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대속도와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충돌시간을 계산하기 때문에,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보다 계산 단계가 많게 된다. 많아진 계산에 의해 S300단계는 계산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계산에 있어 에러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산출된 임계값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충돌 판단부의 충돌 가능성 판단에 오류를 범할 수 있다.Since the step S300 of calculating the collision time calculates the relative speed and calculates the collision time using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relative distance, there are more calculation steps tha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Due to the increased calculation, the calculation speed in step S300 may be slowed, and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calculation may increase. On the other hand, since it is highly dependent on the calculated threshold, an error may be made i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y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의 임계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때, 충돌 판단부가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선을 변경하는 자차량은 타차량과 충돌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충돌 판단부가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도, 차선을 변경하는 자차량은 타차량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자차량과 타차량간의 거리와 자차량의 차선 변경시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threshold value o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et to 0,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s determined. At this time,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host vehicle changing lanes does not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However, even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own vehicle that changes lanes may not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and the lane change time of the own vehicle are not consider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타각과 전자식조향장치(EPS)의 모터와의 관계를 보여준다.4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ring angle operated by the driver and the motor of the electronic steering system (EPS).

도 4를 참조하면, 조타감지센서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타각을 인식한다. 하지만 조타감지센서의 감지범위의 제한 또는 구조적인 이유에 의해, 조타감지센서는 조타각을 직접 받지 않고 게인(gain)값을 통과한 게인값을 받는다. 예를 들어, 조타감지센서가 -180도 내지 180도의 인식 범위를 갖는다면, 사용자가 조타각을 -200도로 조작하면 조타감지센서는 -180도로 인식하거나 또는 조타감지센서가 고장이 생길 수 있다. 사용자가 조타각을 200도로 조작하면 위와 같이 비슷하게 180도로 인식하거나 또는 조타감지센서가 고장이 생길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recognizes a steering angle manipulated by a driver.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structural reasons,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does not directly receive the steering angle and receives a gain value passing through the gain value. For example, i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has a recognition range of -180 degrees to 180 degrees, if the user manipulates a steering angle of -200 degrees,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recognizes -180 degrees or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may malfunction. If the user manipulates the steering angle of 200 degrees, similarly as above, it may be recognized as 180 degrees or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may malfunction.

이와 같은 에러는 게인을 사용함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위와 동일한 조타감지센서가 -180도에서 180도의 인식 범위를 갖는 상황에서 게인값을 0.5로 설정하면, 조타감지센서는 -360도에서 360도의 조타각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조타감지센서의 출력값을 2배로 증폭시키거나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인식한 컨트롤러의 입력값에 2배를 적용하여 제어에 적용할 수 있다.Such an error can be prevented by using the gain. In a situation where the same steering detection sensor as above has a recognition range of -180 degrees to 180 degrees, if the gain value is set to 0.5,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can recognize a steering angle of -360 degrees to 360 degrees. However, in such a case, it can be applied to control by amplify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by 2 times or by applying 2 times to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at recognizes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예를 들어, 사용자가 360도로 조타기를 조작하면 0.5게인에 의해 조타 감지 센서는 180도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2배로 증폭하거나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2배 하면, 사용자가 조작한 360도를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manipulates the steering wheel at 360 degrees, the steering sensor detects it at 180 degrees by 0.5 gain. Therefore, if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is doubled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is doubled, the 360 degree manipulated by the user can be recognized.

전술한 바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조타각에 따른 조타감지센서 출력값을 이용하여 컨트롤러(MCU)에서 파워단을 조작하는 신호를 만든다. 결국 파워단은 컨트롤러에 해당되는 어시스트 전류를 만들어 내고, 이 어시스트 전류만큼 EPS 모터가 동작하여 사용자가 조타기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Applying the above, the controller (MCU) generates a signal for manipulating the power stage by u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manipulated by the user. Eventually, the power stage generates an assist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and the EPS motor operates as much as this assist current, allowing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steering wheel.

전술한 시스템에서, 게인값은 유지하되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2배로 증폭시키거나, 컨트롤러의 입력값에 2배를 적용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이 2배가 되어 차선변경을 빨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인값은 유지하되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0.5배로 증가시키거나, 컨트롤러의 입력값에 0.5배를 적용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이 0.5배가 되어 차선변경을 느리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ystem, if the gain value is maintained but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is doubled, or when double is applied to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e assist curren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doubled, so that lane change can be quickly performed. . On the other hand, if the gain value is maintained but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is increased by 0.5 times or 0.5 times is applied to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e assist curren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by 0.5 times, so that lane change can be performed slowl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충돌 판단부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상기 조타 감지 센서의 상기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apparatus by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On the contrary, if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 unit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ereby reduc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전술한 시스템에서, 게인값을 2배로 하고,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및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유지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이 2배가 되어 차선변경을 빨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인값을 0.5배로 하고,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및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유지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 전류량이 0.5배가 되어 차선변경을 느리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ystem, if the gain value is doubled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and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are maintained, the amount of assist current of the steering device is doubled, so that lane change can be quick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gain value is 0.5 tim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and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are maintained, the assist curren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0.5 times, so that lane change can be performed slowl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판단부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by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control unit By reduc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위의 설명에서, 게인값을 조절하면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이 조절되기 때문에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 조절과 게인값 조절은 효과적인 측면에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ince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is adjusted when the gain value is adjusted, it can be said that the input value adjustment and the gain value adjustment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are effective in terms of the sa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타차량 검출부가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한다(S500).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타차량을 포함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The other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us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S500). By install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to detect a blind spot that is not visible to the driver, an object including other vehicles existing in the blind spot can be detected.

타차량 검출부에서 검출한 타차량을 포함하는 물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검출하여 타차량을 포함하는 물체와 자차량과의 상대속도를 계산한다(S510). 타차량 검출부에서 검출한 타차량이 자차량을 기준으로 D1의 거리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dt)후에 타차량 검출부에서 검출한 타차량이 자차량을 기준으로 D2의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The object including the other vehicle detected by the other vehicle detection unit is det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object including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is calculated (S510). When the other vehicle detected by the other vehicle detection unit is located at a distance of D1 based on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detected by the other vehicle detection unit after a certain time (dt) is located at a distance of D2 based on the own vehicle, Equation 1 Can be applied to calculate the relative speed.

계산된 상대속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S520). 임계값은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이다. 임계값이 0으로 산출되었다면, S520 단계에서 충돌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자차량과 타차량은 충돌하는 경우는 없다.The probability of collis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with a preset threshold (S520). The threshold value is a value that can be calculated by experimental data. If the threshold value is calculated as 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520, the host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do not collide.

하지만, S5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황에 따라서 자차량과 타차량이 충돌하지 않은 수 있다. 이는 자차량과 타차량과의 거리관계 및 상대속도에 의한 시간관계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길 수 있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520,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may not colli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may occur because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and the time relationship due to the relative speed are not applied.

타차량과 자차량이 충돌하지 않지만, S5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에러를 줄이기 위해서 임계값은 0이 아닌 음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분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lthough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do not collide,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to a negative value other than 0 in order to reduce an error of determin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520. This can be established by data analysis.

S5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킨다(S530).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어시스트량이 감소 됨으로써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느리게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520,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assist amount (S530). A method of reducing the assist amount may be that the control unit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decrease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By reducing the amount of assist, it is possible to slow down the lane change of the own vehicle.

S5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킨다(S540).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가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어시스트량이 증가됨으로써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빠르게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520,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assist amount (S540).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assist amount may be that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increase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ssist, it is possible to quickly change lanes of the own vehicl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S600 단계와 S610 단계는 도 5의 S500 단계와 S510 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대거리 계산부가 S600 단계에서 검출된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한다(S620). S600 단계에서 레이더를 사용한 경우, 상대거리 계산부는 발사한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정보와 반사된 후 수신까지 걸린 시간을 이용하여 상대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S600 단계에서 라이더를 사용한 경우, 상대거리 계산부는 발사한 레이져 광선의 이동 정보와 반사된 후 수신까지 걸린 시간을 이용하여 상대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600 단계에서 카메라를 사용한 경우, 상대거리 계산부는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영상 내의 미리 거리를 알고 있는 지점을 기초하여 거리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상대거리 계산부는 거리를 알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계산한 상대속도와 S620 단계에서 계산한 상대거리 정보를 취합하여 충돌 판단부는 자차량과 타차량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S630). 충돌 판단부는 상대거리를 상대속도로 나눔으로써 충돌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S630단계에서 계산한 충돌시간과 미리 입력된 특정시간을 비교하여 충돌 판단부는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S640). 예를 들어, 미리 입력한 특정시간은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 데이터를 기초하여 평균과 분산을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5개의 시간 데이터인 A가 {10, 11, 9, 8, 12}인 경우 평균값은 10, 분산은 2이 된다. 또 다른 5개의 시간 데이터인 B가 {10, 8, 12, 14, 6}인 경우 평균값은 10, 분산은 8이 된다. A의 경우 특정시간은 11로 되고, B의 경우 특정시간은 14가 될 수 있다. 앞서 계산한 특정시간은 평균시간에 분산의 0.5배를 합하여 계산한 값이다. 특정시간을 산출하는 규칙은 연구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다만, 특정시간은 평균값과 분산에 각각 비례관계에 존재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6, steps S600 and S610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steps S500 and S510 of FIG. 5.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detected in step S600 (S620). When the radar is used in step S600,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relative distance using information of the wavelength of the emitted microwave and the time taken to receive after being reflected. When the rider is used in step S600,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relative distance by using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emitted laser beam and the time taken until reception after being reflected. In contrast, when the camera is used in step S600,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or may measure the distance using the captured image. The relative distance calculator may know the distance by using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of the distance based on a point in the image that has known the distance in advance. By collecting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in step S610 and the relativ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in step S62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a collision time required for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to collide (S630).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can calculate the collision time by dividing the relative distance by the relative spee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y comparing the collision time calculated in step S630 with a specific time previously input (S640). For example, a specific time input in advance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an average and a variance based on time data for the vehicle to change lanes. In detail, when A, which is five pieces of time data, is {10, 11, 9, 8, 12}, the average value is 10 and the variance is 2. If B, which is another five time data, is {10, 8, 12, 14, 6}, the average value is 10 and the variance is 8. In the case of A, the specific time can be 11, and in the case of B, the specific time can be 14. The specific time calculated previously is a value calculated by adding 0.5 times the variance to the average time. The rules for calculating a specific time can be determined by research. However, the specific time must exist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the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respectively.

S650 단계 및 S660 단계는 도 5의 S530 단계와 S540 단계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제어부가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Steps S650 and S660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steps S530 and S540 of FIG. 5, so that the control unit may decrease or increase the assist amount.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의 S700 단계 내지 S740 단계 동작은 도 6의 S600 단계 내지 S640 단계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다만, S74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속도 측정부가 자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S760). 자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자차량에 존재하는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또는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고정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고정물체와의 관계와 일정 시간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t0시각에 차량의 측방 카메라로 나무를 측정하여 차량과 나무와의 거리값(D0)을 얻고, dt시간이 지난 t1시각에 동일한 측방 카메라로 동일한 나무를 측정하여 차량과 나무와의 거리값(D1)을 얻는다. 속도 측정부가 D0-D1을 dt로 나누어 차량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물론 D0와 D1은 차량 측면에 있는 나무와의 거리이기 때문에 속도 측정부는 D0거리선 및 D1거리선이 이루는 각도를 적용하여 계산해야 정확한 속도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S760 단계에서 계산한 자차량 속도와 추정된 차선변경거리를 이용하여 충돌 판단부가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한다(S770). 차선변경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은 차선 변경 시간에 대한 실험데이터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특정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S770 단계에서 추정된 차선변경시간과 충돌시간을 비교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지 한번 더 판단한다(S780). 차선변경시간이 충돌시간보다 미만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선변경시간이 충돌시간 이상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operations S700 to S740 o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operations S600 to S640 of FIG. 6.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740, the speed measuring unit measures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S760).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is to measure using a speed sensor present in the own vehicle, or by detecting a fixed object at regular time intervals using a camera, radar, or ride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and the detected fixed object. The speed can be measured us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and a certain amount of time. Briefly, a tree is measured with the vehicle's side camera at time t0 to obtain the distance value (D0) between the vehicle and the tree, and the same tree is measured with the same side camera at time t1 after dt time. The distance value (D1) is obtained. The speed measurement unit can calculate the vehicle speed by dividing D0-D1 by dt. Of course, since D0 and D1 are the distances to the trees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speed measurement unit must calculate the angle formed by the D0 distance line and the D1 distance line to calculate the correct speed.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estimates the lane change time using the vehicle speed calculated in step S760 and the estimated lane change distance (S770).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ane change distance can be estimated by experimental data on the lane change time. As an exampl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alculating a specific time may be applied. It is determined once mor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y comparing the estimated lane change time and the collision time in step S770 (S780). If the lane change time is less than the collisio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and if the lane change time is more than the collision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S780 단계는 S74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도 S740 단계에서 참조한 특정시간에 따라 충돌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S780단계는 충돌 가능성이 있지만 S74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걸러내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In step S780,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740,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collision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referenced in step S740. Step S780 may be a step for filtering out a case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740.

단 S740 단계에서 참조한 특정 시간에 따라 S760 내지 S780 단계가 S740 단계와 S750 단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However, steps S760 to S780 may be performed between steps S740 and S750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referenced in step S740.

자세히 설명하면, {10, 11, 9, 8, 12}인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시간을 11로 설정한 상태에서, S730 단계에서 충돌시간이 12으로 계산되었다면 S740 단계에서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자차량 속도가 낮아 차선변경시간이 13이 되면 차선 변경시 타차량과 충돌할 것이다. 즉, S760 내지 S780 단계는 S740 단계에서 NO로 판정되었을 때 수행되어야 한다.In detail, if the specific time is set to 11 using the experimental data of {10, 11, 9, 8, 12} and the collision time is calculated as 12 in step S73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740. do. However, when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is low and the lane change time reaches 13, it will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when changing lanes. That is, steps S760 to S780 should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740.

이와 달리, S730 단계에서 충돌 시간이 10으로 계산되었다면 S740 단계에서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하지만, 자차량 속도가 빨라 차선변경시간이 9가 되면 차선을 변경하는 자차량은 사각지대의 타차량과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즉, S760 내지 S780 단계는 S740 단계에서 YES로 판정되었을 때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In contrast, if the collision time is calculated as 10 in step S730, it will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n step S740. However, when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is high and the lane change time reaches 9, the own vehicle that changes lanes will not collide with other vehicles in the blind spot. That is, steps S760 to S780 should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7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입력한 신호에 의해 타차량 검출부, 상대속도 계산부, 충돌 판단부 및 제어부의 동작을 켜거나 끌 수 있다.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urn on or off operations of another vehicle detection unit,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a driver.

차선 변경을 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장치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는 평소와 다른 조타감을 느낄 수 있다. 운전자에 따라서 전술한 다른 조타감은 불쾌감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동일한 조타감을 느끼고 싶은 운전자는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향 토크 제어 장치를 끌 수 있다. 이와 달리, 평소와 다른 조타감을 느끼더라도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원하는 운전자는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여 본 발명의 조향 토크 제어 장치를 켤 수 있다.When changing lanes, the driver of the vehicle may feel a steering feeling different from usual by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driver, the above-described other steering feeling may be unpleasant. A driver who wants to feel the same steering feel in any situation can turn off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a signal using a button switch. In contrast, a driver who wants to safely change lanes even though he feels a different steering feeling than usual can turn o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a signal using a button switch.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 조향 토크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steering torque, which is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ing tor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은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다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00).I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vehicl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other vehicle in a blind spot may be performed us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host vehicle (S800).

예를 들면, 타차량 검출단계에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타차량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가 촬영한 영상에 검정색과 빨강색이 있다면, 카메라 장치는 빨강색이 차량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예시일 뿐이며, 차량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적인 색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amera is used in the detection of another vehicle, the other vehicle may be detected using color information of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f there are black and red colors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can detect the red color as a vehicle. This is only a simple example, and additional color information may be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ehicle detection.

타차량 검출 단계에서 레이더를 이용하는 경우, 파장이 3[m/wave] 주기가 2[s/wave]인 빔을 발사하였고 6초 후에 발사한 빔을 받았다면 4.5m 거리에 타차량이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예시일 뿐이며, 차량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수의 받은 빔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라이더를 이용하는 경우, 레이더를 이용한 경우와 비슷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만, 라이더는 마이크로파가 아닌 레이져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장 및 주기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When using a radar in the detection stage of another vehicle, a beam with a wavelength of 3 [m/wave] and a period of 2 [s/wave] is fired, and if the beam is received after 6 seconds,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nother vehicle at a distance of 4.5m. can do. This is only a simple example, and in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received beams may be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ehicle detection. When using a rider, it can be detected similarly to when using a radar. However, since the rider uses laser light rather than microwave, there is only a difference according to wavelength and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은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10).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of another vehicle (S810).

예를 들면, 타차량 검출 단계에서 카메라를 사용한 경우, t0시각에서 빨강색의 차량이 자차량기준으로 후방 3m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출되었고, 1초의 시간이 지난 t1시각에 동일한 빨강색의 차량이 자차량 기준으로 후방 1m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출되었다면, 수학식 1을 적용하면 타차량의 상대속도는 2[m/s]으로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amera was used in the detection stage of another vehicle, it was detected that a red vehicle was located at a distance of 3m from the rear of the own vehicle at time t0, and the same red vehicle was detected at the time t1 after 1 second. If it is detected that it is located at a distance of 1m from the rear of the own vehicle, applying Equation 1,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can be calculated as 2 [m/s].

카메라 장치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미리 거리값을 알고 있는 영상의 한 점과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using a camera device can measure the distance by us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a point in the image for which the distance value is known in advance.

타차량 검출 단계에서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사용한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계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When a radar or a rider is used in the other vehicle detection step, the relative speed can be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th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using a camer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은 S810 단계에서 계산한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20). 계산한 상대속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충돌 판단단계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상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판단단계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임계값이 0으로 미리 설정되었다면, 상대속도가 0이하인 경우 타차량과 자차량은 충돌할 수가 없다. 또한 상대속도가 0을 초과하는 경우 타차량과 자차량은 충돌할 수 있다.I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relative speed calculated in step S810, a collis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when a lane is changed may be performed (S820). Whe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is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 relative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If the relative speed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If the threshold is set to 0 in advance,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cannot collide if the relative speed is less than 0. Also, if the relative speed exceeds 0,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may coll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은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amount of assis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amount of assist of the steering devic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trol step that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S8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단계(S830)에서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켜 자차량의 차선변경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820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단계(S830)에서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켜 자차량의 차선변경을 느리게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collision in step S820,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may be increased in the control step S830 to speed up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in step S820,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may be reduced in the control step S830 to slow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제어단계(S830)에서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조타 감지 센서의 상기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는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켜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단계에서 조타 감지 센서의 상기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감소시키면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 specific method of increasing the assist amount in the control step S830 is to increase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Alternatively, the assist amount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In contrast, in the control step, the amount of assist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or by reduc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sensor.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조향 토크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조향 토크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l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teering torqu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7.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combined to operat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radar) 또는 라이더(lidar)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부;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부;
상기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상기 타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 및
상기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빠르게하도록,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느리게하도록,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Another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us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when a lane is changed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to speed up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the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ducing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so as to slow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입력한 신호에 의해 상기 타차량 검출부, 상기 상대속도 계산부, 상기 충돌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를 켜거나 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urning on or off the other vehicle detection unit, the relative speed calculation unit,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a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판단부는,
상기 상대속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대속도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When the relative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when the relative speed exceeds th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차량과 자차량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판단부는,
상기 상대거리와 상기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타차량과 충돌하는데 걸리는 충돌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충돌시간이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돌시간이 상기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The collision time taken to collide with the other vehicle is calculated using the relative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When the collision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the specific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판단부는,
상기 충돌시간이 상기 특정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속도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차선변경시간이 상기 충돌시간보다 미만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선변경시간이 상기 충돌시간 이상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pee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host vehicl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When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the specific time,
Use the speed to estimate the lane change time,
When the lane change time is less than the collisio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when the lane change time is greater than the collisio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조타 감지 센서의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타 감지 센서의 상기 출력값 또는 컨트롤러의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y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by reducing the out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or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ler,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reduc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조타 감지 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타 감지 센서의 상기 입력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y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an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by reducing the input value of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reduced.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 감지 센서는,
조향각 센서 또는 토크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토크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or 7,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Steering torqu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ring angle sensor or torque sensor.
자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다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타차량을 검출하는 타차량 검출단계;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상대속도 계산단계;
상기 상대속도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시 상기 타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단계; 및
상기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빠르게하도록,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차량의 차선 변경을 느리게하도록, 조향장치의 어시스트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향 토크 제어 방법.
Another vehicl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other vehicle in the blind spot using a camera, a radar, or a lidar provided in the own vehicle;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A collis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when a lane is changed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assist amount of the steering device is increased to speed up the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And a control step of reducing an assist amount of a steering device so as to slow a lane change of the host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KR1020150017094A 2015-02-04 2015-02-04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KR102246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094A KR102246682B1 (en) 2015-02-04 2015-02-04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094A KR102246682B1 (en) 2015-02-04 2015-02-04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747A KR20160095747A (en) 2016-08-12
KR102246682B1 true KR102246682B1 (en) 2021-04-30

Family

ID=567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094A KR102246682B1 (en) 2015-02-04 2015-02-04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6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735A (en) 2007-09-27 2009-04-16 Hitachi Ltd Drive supporting apparatus
WO2012160590A1 (en) 2011-05-20 2012-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Lane change assistant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676B2 (en) * 1994-06-23 2001-02-05 光洋精工株式会社 Vehicle steering system
KR101062713B1 (en) * 2004-10-21 2011-09-06 주식회사 만도 Vehicle anti-collision system
KR20060035880A (en) * 2004-10-21 2006-04-27 주식회사 만도 Collision avoidance method of car in eps
KR20120045596A (en) * 2010-10-29 2012-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ad side area vehicle collapse preventing device and safety method thereof
KR20120078783A (en) * 2011-01-03 2012-07-11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ruis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86466B1 (en) * 2011-08-24 2013-07-23 주식회사 만도 Adaptive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87636B1 (en) * 2012-11-09 2019-09-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of vehicle and Apparatus for collision avoidance of vehicle implementing the same
KR101428216B1 (en) * 2012-11-22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escaping collis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735A (en) 2007-09-27 2009-04-16 Hitachi Ltd Drive supporting apparatus
WO2012160590A1 (en) 2011-05-20 2012-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Lane change assistant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747A (en)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473B2 (en)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nd collision preventing method
US9457809B2 (en)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apparatus, drive assist apparatus,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gram
US10571564B2 (en) Method for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in a surrounding area of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US9731728B2 (en) Sensor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US10661803B2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device
JP5711721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control device
US9623869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control apparatus
JP6407431B2 (en) In order to give a warning to the driver of the host vehicle or to autonomously control the host vehicle in response to the output indicating the vehicle approaching suddenly from the rear or the output indicating the vehicle approaching extremely rapidly from the rear Lane assist system and method
US8862382B2 (en) Collision monitoring for a motor vehicle
KR101401399B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and Parking Assist Method and Parking Assist System Using the Same
KR1014701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 of Vehicle
EP34513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rking assistance
US20210034925A1 (en) Obstacle recognition assistance device, obstacle recognition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517380B1 (en)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9018788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193177B2 (en) Motion support system and object recognition device
JP6663622B2 (en) Imaging device
KR1025295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JP5049853B2 (en) Vehicle object detection device
KR102246682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eering torque
JP7056379B2 (en)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JP2004110346A (en) Vehicle driving operation assist device, vehicle driving operation assist method, and vehicle applying the method
EP4170384B1 (en) Targe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202302785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collision based on occupant position
KR102570060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