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176B1 -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176B1
KR102246176B1 KR1020190067079A KR20190067079A KR102246176B1 KR 102246176 B1 KR102246176 B1 KR 102246176B1 KR 1020190067079 A KR1020190067079 A KR 1020190067079A KR 20190067079 A KR20190067079 A KR 20190067079A KR 102246176 B1 KR102246176 B1 KR 10224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pport
grip
longitudinal direction
close contact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470A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19006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30Adjustable handles with adjustable circumfer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페이스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어느 한쪽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시키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 퍼터{A 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시 정확한 스트로크를 방해하는 손목 꺽임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터(putter)는 골프 경기에서 그린(green) 위에 있는 골프공을 홀컵에 넣을 때 주로 사용되는 클럽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퍼터의 중요성은 그린 위에서의 타구가 골프 경기 전체에서 행해지는 타구의 약 40 ~ 6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퍼팅 형태로는 진자 스트로크, 손목 젖힘 스트로크, 손목 스트로크 등이 기본적이지만 실제로는 개인 취향에 따라 변형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퍼팅 형태가 있지만 대부분의 퍼팅의 경우 도 11을 참조할 수 있듯이 골퍼의 어깨와 같은 신체 일부에 회전 중심축을 형성시키고 그 축을 중심으로 골퍼의 팔, 퍼터(30)의 샤프트(31) 및 클럽헤드(32)로 이어지는 라인을 진자운동시키면서 스트로크를 구사하게 된다.
이때, 골퍼는 샤프트(31) 상단부에 형성된 그립(33)을 두 손으로 쥔 상태로 스트로크를 구사하게 되며, 퍼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클럽헤드(32)가 그리는 경로와 타격 순간 클럽헤드(32)의 타구면인 페이스의 각도(face angle)를 정확하게 유지하고자 노력을 기울인다. 이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헤드(32)가 퍼팅라인과 일치한 경로를 그리는 동시에 클럽헤드(32)의 페이스 각도가 정확하게 조준되지 않는다면 타격된 골프공이 홀컵을 향해 정확하게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마추어 골퍼들의 대부분은 퍼팅라인과 일치하게 스트로크를 구사하지 못하는 관계로 클럽헤드(32)의 경로 및 페이스 각도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였으며 퍼팅 성공률에서 참담한 결과를 얻곤 하였다. 이는 퍼팅 시 손목 꺽임에 의해 정확한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많은 골프 전문 지도자들은 퍼팅에 대해 지도할 때 손목을 꺽지 말라는 지도를 제일 많이 하며, 이는 퍼팅에 있어 지켜야 할 대원칙이기도 하다. 이에, 퍼팅 시 자주 발생되는 손목 꺽임을 방지하기 위해, 그립(33)을 잡은 손바닥과 그립(33) 사이에 골프공을 끼워서 연습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퍼팅을 연습하게 되면, 그립(33)을 잡은 왼손바닥(오른손잡이)의 손목부분이 골프공의 직경만큼 그립(33)과 떨어져 들리면서 손목이 고정되고, 그 결과, 퍼팅 시 손목이 꺽이지 않게 된다.
하지만, 골퍼들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퍼팅 연습을 하는 경우, 매번 골프공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자세 역시 매우 부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골프공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립(33)을 파지하고 있는 손바닥이나 손목이 흔들릴 경우 손바닥과 그립(33) 사이에 끼워져 있는 골프공이 자주 빠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퍼팅 연습을 장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제 라운딩 중에는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1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7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퍼팅 시 정확한 스트로크를 방해하는 손목 꺽임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페이스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어느 한쪽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시키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그립의 길이 방향 상단측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본체와, 상기 밀착지지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그립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착지지그립면을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하는 밀착지지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와 밀착지지그립부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와 밀착지지그립부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면의 길이 방향 상, 하로 각각 연장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 및 밀착지지그립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서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지지본체 측으로 내향 형성되는 체결홈이 두께 방향 내측면에 구비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홈과 마주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지지본체는 두께 방향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두께 방향 내측으로 내향 형성되는 슬라이딩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홈부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두께 방향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본체와,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그립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높이조절그립면을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하는 높이조절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그립의 길이 방향 일측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본체와, 상기 밀착지지본체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되는 밀착지지그립면을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그립면은 어느 한쪽 손의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하나의 손가락은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페이스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양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지지부의 단부는 어느 한쪽 팔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의 반경 방향 일측에 헤드의 페이스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손으로 그립을 쥘 때,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한쪽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퍼팅 시 정확한 스트로크를 방해하는 손목 꺽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안정된 퍼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움결합 방식으로 그립에 착탈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골프 퍼터의 그립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지지부의 돌출 높이를 더하는 착탈 가능한 높이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골프 퍼터로 예컨대, 손의 두께가 다른 남성 및 여성 골퍼 모두 퍼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종래의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는 샤프트(110)와, 헤드(120)와, 그립(130)과, 밀착지지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샤프트(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샤프트(110)는 헤드(120)가 지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놓여질 때 헤드(120)의 상단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15도 정도 내외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는 구조적인 안정을 위하여 길이 방향 하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120)는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된다. 헤드(120)는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헤드(120)에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121)가 일측면에 형성된다.
그립(130)은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된다. 그립(130)은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그립(130)은 예컨대,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암수 결합방식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130)은 골퍼의 그립감 향상을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립(130)은 고무로 피복될 수도 있다.
밀착지지부(140)는 그립(1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밀착지지부(140)는 그립(13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될 수 있다. 밀착지지부(140)는 헤드(120)에 형성되는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지지부(1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오른손잡이 골퍼 기준)가 양손으로 그립(130)을 쥘 때, 밀착지지부(140)는 왼손 손가락들에 의해 감싸진다. 즉, 왼손 손가락들은 밀착지지부(140)에 의해 그립(130)으로부터 오른쪽 손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동시에, 밀착지지부(140)를 감싸는 왼손 손가락들은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밀착지지부(140)에 의해 왼손 손가락들이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면,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가 왼손 손가락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로 퍼팅을 하게 되면, 정확한 스트로크를 방해하는 손목 꺽임 현상이 방지되고, 그 결과, 퍼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오른손잡이 골퍼를 기준으로, 왼손 손가락들을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말착시키는 높이를 갖는 밀착지지부(140)는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를 포함한다.
밀착지지본체(141)는 그립(130)의 길이 방향 상단측 외주면에 배치된다. 밀착지지본체(141)는 그립(130)의 길이 방향 상단부보다 길이 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밀착지지본체(141)는 밀착지지그립부(142) 형성을 위해 소정의 부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밀착지지본체(14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그립(1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밀착지지본체(141)의 일측면은 그립(1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목한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진다.
밀착지지그립부(142)는 밀착지지본체(141)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밀착지지그립부(142)는 그립(130)의 길이 방향 상단부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밀착지지그립부(142)는 밀착지지본체(141)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다. 밀착지지그립부(142)는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착지지그립면(142a)을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한다. 이러한 밀착지지그립부(142)는 예컨대, 오른손잡이 골퍼의 왼손에 의해 감싸지고, 밀착지지그립면(142a)에는 른손잡이 골퍼의 왼손 손가락들이 위치한다. 그러므로, 밀착지지그립면(142a)은 오른손잡이 골퍼가 밀착지지그립부(142)를 포함하여 그립(130)을 쥘 때, 왼손 손가락들이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도록, 손가락들의 배열에 상응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밀착지지부(140)는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와 결합부(14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결합부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합부(146)는 착탈 가능하게 그립(130)에 결합된다. 결합부(146)는 그립(130)에 결합되어 그립(3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를 위치시킨다. 결합부(146)는 그립(130)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46)는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결합부(146)는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면에서, 이의 길이 방향 상, 하로 각각 연장된다. 이러한 결합부(146)는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그립(130)은 길이 방향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이에 결합되는 결합부(146) 또한 이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46)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그립(130)의 길이 방향 하단부 측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146)를 통해 밀착지지부(140)가 그립(13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면, 여러 골프 퍼터에 적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때, 결합부(146)의 일측 길이 방향, 보다 상세하게,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가 형성된 쪽과 반대되는 쪽 길이 방향으로 슬릿(146b)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46b)은 결합부(146)의 길이 방향 상, 하단 개구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146)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슬릿(146b)이 형성되면,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골프 퍼터의 그립(13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밀착지지부(140)는 중공부(143)와 체결돌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43)는 밀착지지본체(141) 및 밀착지지그립부(142)와 결합부(146) 사이에 구비된다. 중공부(143)는 밀착지지본체(141) 및 밀착지지그립부(142)와 결합부(146) 사이에서 이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중공부(14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밀착지지본체(141) 및 밀착지지그립부(142)의 변형 공간을 제공한다.
체결돌기(144)는 중공부(143)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된다. 체결돌기(144)는 중공부(143)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서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체결돌기(144)의 두께 방향 내측면에는 밀착지지본체(141) 측으로 내향 형성되는 체결홈(145)이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결합부(146)는 체결공(146a)을 구비한다. 체결공(146a)은 중공부(143)를 사이에 두고 체결홈(145)과 마주하게 결합부(146)에 관통 형성된다. 체결공(146a)은 체결부재(147)에 의해 체결홈(145)과 연결된다.
체결부재(147)가 예컨대, 볼트 결합 방식으로 체결공(146a)을 통해 체결홈(145)에 체결될 때, 체결부재(147)가 체결홈(145)에 체결될수록, 체결돌기(144)는 두께 방향 내측으로 당겨진다. 즉, 체결돌기(144)는 중공부(143) 내에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지지본체(141) 및 밀착지지그립부(142)도 두께 방향 내측으로 당겨져, 결국, 밀착지지부(140)는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 즉, 두께 방향 내측으로 수축 변형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147)의 체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부(140)의 돌출 정도를 원하는 두께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오른손잡이 골퍼의 왼손에 의해 밀착지지부(140)가 감싸질 때,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밀착지지부(140)는 골퍼의 왼손 압력에 의해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 즉, 두께 방향 내측으로 수축 변형된다. 이때, 골퍼의 왼손 손가락은 오른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는데, 수축 변형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밀착지지부(140)의 복원력에 의해 오른손 손목 부위에 대한 왼손 손가락의 밀착력은 더욱 증가되고, 그 결과, 손목 꺽임 현상은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에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밀착지지부(140)는 밀착지지본체(141)와, 밀착지지그립부(142)와, 결합부(146)와, 높이조절부(14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높이조절부가 추가되고, 이에 따라, 밀착지지본체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지지본체(141)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를 구비한다. 슬라이딩결합홈부(141a)는 밀착지지본체(141)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슬라이딩결함홈부(141a)는 밀착지지본체(141)의 두께 방향 내측으로 내향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결합홈부(141a)는 "┤"형상의 두께 방향 횡단면을 갖는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에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돌기(148b)의 두께 방향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48)는 높이조절본체(148a)와 높이조절그립부(148c)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본체(148a)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를 구비한다.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는 높이조절본체(148a)의 두께 방향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에 암수 결합 형태로 슬라이딩결합되기 위해,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는 "┤"형상의 두께 방향 횡단면을 갖는다. 이때,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와 슬라이딩결합돌기(148b)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높이조절본체(148a)는 밀착지지본체(141)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밀착된다. 높이조절그립부(148c)는 높이조절본체(148a)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된다. 높이조절그립부(148c)는 높이조절본체(148a)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다. 높이조절그립부(148c)는 밀착지지그립부(142)의 두께 방향 외측면, 즉, 밀착지지그립면(142a)에 밀착된다. 높이조절그립부(148c)는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높이조절그립면(148d)을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한다. 높이조절그립면(148d)은 밀착지지그립면(142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48)는 예컨대, 손의 두께가 얇은 여성 골퍼가 사용하는 골프 퍼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골프 퍼터를 남, 여 골퍼가 같이 사용할 때, 남성 골퍼인 경우에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로부터 슬라이딩결합돌기(148b)를 끼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밀착지지본체(141)로부터 높이조절부(148)를 제거하여 사용하고, 여성 골퍼인 경우에는 슬라이딩결합홈부(141a)와 슬라이딩결합돌기(148b)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밀착지지본체(141)에 높이조절부(148)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는 샤프트(110)와, 헤드(120)와, 그립(130)과, 밀착지지부(2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밀착지지부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지지부(240)는 밀착지지본체(241)와 밀착지지그립면(241a)을 포함한다. 밀착지지본체(241)는 그립(130)의 길이 방향 일측 외주면에 구비된다. 밀착지지본체(241)는 그립(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밀착지지본체(241)는 헤드(120)에 형성되는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밀착지지그립면(241a)은 밀착지지본체(241)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된다. 밀착지지그립면(241a)은 손가락 하나가 놓일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골퍼(오른손잡이 골퍼 기준)가 양손으로 그립(130)을 쥘 때, 밀착지지부(240)는 왼손의 검지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밀착지지그립면(241a) 상에는 왼손의 검지 손가락이 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밀착지지그립면(241a) 상에 위치하는 왼손의 검지 손가락은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밀착지지부(240)에 의해 왼손의 검지 손가락이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면, 오른쪽 손의 손목 부위가 왼손의 검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로 퍼팅을 하게 되면, 손목 꺽임 현상이 방지되고, 그 결과, 퍼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밀착지지부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그립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터는 샤프트(110)와, 헤드(120)와, 그립(130)과, 밀착지지부(5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밀착지지부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지지부(540)는 밀착지지본체(541)와 밀착지지그립면(541a)을 포함한다. 밀착지지본체(541)는 그립(130)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 상단측에 구비된다. 밀착지지본체(541)는 그립(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밀착지지본체(541)는 헤드(120)에 형성되는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밀착지지그립면(541a)은 밀착지지본체(541)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골퍼(오른손잡이 골퍼 기준)가 양손으로 그립(130)을 쥘 때, 밀착지지본체(541)의 단부, 즉, 밀착지지그립면(541a)은 오른쪽 팔 부위에 밀착된다. 밀착지지본체(541)의 밀착지지그립면(541a)에 의해 오른쪽 팔이 지지된 상태로 퍼팅을 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퍼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골프 퍼터 110; 샤프트
120; 헤드 130; 그립
140, 240; 밀착지지부

Claims (7)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121)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헤드(120)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130)과, 상기 그립(1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그립(130)의 길이 방향 일측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본체와, 상기 밀착지지본체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되는 밀착지지그립면을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130)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그립면은 어느 한쪽 손의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하나의 손가락은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본체는 상기 그립(130)의 길이 방향 상단측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밀착지지부는 밀착지지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지지그립면은 밀착지지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지지그립부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되어, 어느 한쪽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밀착지지부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은 다른쪽 손의 손목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와 밀착지지그립부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130)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와 밀착지지그립부의 두께 방향 내측 단부면의 길이 방향 상, 하로 각각 연장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며 단면이 원호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밀착지지본체 및 밀착지지그립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두께 방향 외측면에서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지지본체 측으로 내향 형성되는 체결홈이 두께 방향 내측면에 구비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홈과 마주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본체는 두께 방향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두께 방향 내측으로 내향 형성되는 슬라이딩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홈부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두께 방향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본체와,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그립(1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높이조절그립면을 두께 방향 외측면에 구비하는 높이조절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100).
  6. 삭제
  7.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하단에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121)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헤드(120)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130); 및
    상기 그립(1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페이스(12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지지부(540);
    를 포함하고,
    양손으로 상기 그립(130)을 쥘 때, 상기 밀착지지부(540)는 양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지지부(540)의 단부는 어느 한쪽 팔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KR1020190067079A 2019-06-07 2019-06-07 골프 퍼터 KR10224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079A KR102246176B1 (ko) 2019-06-07 2019-06-07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079A KR102246176B1 (ko) 2019-06-07 2019-06-07 골프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470A KR20200140470A (ko) 2020-12-16
KR102246176B1 true KR102246176B1 (ko) 2021-04-28

Family

ID=7404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079A KR102246176B1 (ko) 2019-06-07 2019-06-07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424B2 (ja) * 1990-12-27 2000-04-24 エクソン・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200437769Y1 (ko) * 2006-12-19 2007-12-26 음정진 스윙용 보조기구 및 골프클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424U (ja) * 1996-11-01 1997-05-16 悟 馬場 ゴルフアプローチショットのグリップ矯正具
KR200368128Y1 (ko) 2004-08-02 2004-11-17 진성인 골프 퍼터
KR20120128794A (ko) 2011-05-18 2012-11-28 (주)엘코프로메이드 골프 퍼터용 그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424B2 (ja) * 1990-12-27 2000-04-24 エクソン・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200437769Y1 (ko) * 2006-12-19 2007-12-26 음정진 스윙용 보조기구 및 골프클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470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663B2 (en) Adjustable golf putter
JP3139308U (ja) ゴルフクラブグリップ
US7033282B1 (en) Golf training device
US20180290033A1 (en) Weighted Golf Grip
US7758447B2 (en) Golf club grip
US7476159B2 (en) P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US6110054A (en) Golf club grip and swing stabilizer
US5830082A (en) Golf chipper club construction
KR100907302B1 (ko) 골프클럽용 그립
US20050107181A1 (en) Golf putter shaft and grip and method for gripping golf club
KR102246176B1 (ko) 골프 퍼터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50026715A1 (en) Golf putter head
KR101184046B1 (ko) 퍼팅 능력 향상을 위한 샤프트 구조를 가진 골프 퍼터
US6743115B2 (en) Golf club and golf club grip assembly
US20210316196A1 (en) Anti-slice golf tee
KR100895408B1 (ko) 라이각과 헤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102404633B1 (ko) 유동 방지형 골프 퍼터
KR20120042125A (ko) 골프 퍼팅 장갑
KR10075800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형성을 위한 클립 장착 구조
US20030195057A1 (en) Golf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KR200386999Y1 (ko) 골프클럽의 그립 장착용 착용보조구
KR200197137Y1 (ko) 골프의 퍼팅그립 교정구
KR200323520Y1 (ko) 퍼팅용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