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708B1 -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708B1
KR102245708B1 KR1020200086423A KR20200086423A KR102245708B1 KR 102245708 B1 KR102245708 B1 KR 102245708B1 KR 1020200086423 A KR1020200086423 A KR 1020200086423A KR 20200086423 A KR20200086423 A KR 20200086423A KR 102245708 B1 KR102245708 B1 KR 10224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ld
molding
mold par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7121A (en
Inventor
이병국
송희재
조경식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08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70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성형 방법과 용기 및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 성형 장치는, 열성형에 의해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의 성형을 위한 바닥 성형부와, 상기 바닥 성형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용기의 측면부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측면 성형부를 포함하고,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분리하여 취출하도록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용기를 가압하는, 제1 금형부와, 상기 제1 금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 container forming method, and a ready-to-eat food packag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n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by thermoforming,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bottom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n upwardly inclined extending from the bottom forming portion and forming a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A first mold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portion, 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portion to press the vessel by rising upward to separate and take out the molded vessel. It includes a second mold part for molding the remaining part.

Description

용기 성형 장치{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Container forming device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성형 방법에는 크게 블로우 공법과 사출 공법 및 열성형 공법이 있다. 이 중 열성형 공법은 열가소성 수지의 플라스틱 시트(Sheet)를 가열 및 연화하여 외력에 의해 변형시켜서 냉각 성형품을 만드는 공법이다. In general, plastic molding method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blow method, an injection method, and a thermoforming method. Among them, the thermoforming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a cooling molded product by heating and softening a plastic sheet of a thermoplastic resin to deform it by an external force.

열성형 공법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압공성형과, 진공에어를 이용하는 진공성형과, 압축공기와 진공에어를 모두 사용하는 압진공성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성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압공과 진공을 모두 사용하는 압진공성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rmoforming methods include pressure forming using compressed air, vacuum forming using vacuum air, and pressure vacuum forming using both compressed air and vacuum air.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molding, pressure vacuum molding using both pressure and vacuum has been generally used.

압진공성형은 성형과 동시에 커팅되어 금형에서 취출되고 고속성형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압진공성형 장치는 금형에서 이형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고, 냉각이 중요하다. 특히 얇은 시트를 성형하는 경우, 취출 시 찌그러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취출이 용이한 구조가 필요하다. Pressure vacuum molding is cut at the same time as molding, taken out of the mold, and proceeds to high-speed molding. Therefore, the pressure vacuum molding apparatus must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lease from the mold, and cooling is importa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a thin sheet, a structure that is easy to take out is required because problems such as crushing may occur when taking out.

종래 열성형을 위한 금형에서 성형품인 용기를 배출해주는 노크아웃 장치는, 용기의 바닥이 닿는 면에 작은 사이즈로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 방식에 의하면 연속생산 시에 용기의 취출이 용이하지 않고, 용기의 바닥면의 찌그러짐이 많이 발생하는 등 이형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A knock-out device for discharging a container, which is a molded product from a conventional mold for thermoforming,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on a surface wher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uches.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not easy to take out the container during continuous produ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mold release defect occurs, such as a lot of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취출 시에 용기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가압함으로써 취출을 용이하게 하고, 용기의 바닥면의 찌그러짐 발생 등의 이형불량을 개선하는 용기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provides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extraction by pressing including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at the time of extraction, and improving mold release defects such as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t aims to do.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측면부의 강도가 보강되어 용기의 수축 변형으로 인한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는 용기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that minimizes product defects due to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성형에 의해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 성형 장치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의 성형을 위한 바닥 성형부와, 상기 바닥 성형부에서 제1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용기의 측면부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측면 성형부를 포함하고,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분리하여 취출하도록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용기를 가압하는, 제1 금형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기울기를 가지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2 기울기를 가지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각도인 상기 바닥 성형부의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울기로 경사지고, 상기 측면 성형부와 함께 상기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 기울기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측면을 성형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제1 경사면 상의 위치에는, 상기 제2 금형부에 대해 시트를 밀착시키는 진공 흡인을 위한 진공 에어홀이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by thermofor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forming part for form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extending inclined upward at a first slope from the bottom forming part. A first mold part comprising a side molding part for molding a part of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and pressing the container by rising upward so as to separate and take out the molded container; And a second mold part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part and molding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part of the side part, and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extends inclined upwardly from the bottom part, and the bottom part of the bottom part A first side surface having the first inclination relative to a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and having a secon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mold part comprises: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is inclined at the first slo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floor forming part at the same angle as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first side surface together with the side forming par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the second inclination and forming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t a position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 sheet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ld part A vacuum air hole is formed for vacuum suction to contact the ai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방법은, 용기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대상인 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가열된 상기 시트를, 상기 용기의 바닥부와 측면부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제1 금형부와, 제1 금형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는 제2 금형부에 압입하고, 압축 공기 주입과 진공 흡인에 의해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에 밀착시켜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를 성형하는, 열성형단계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절단하는 커팅단계와, 상기 제1 금형부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상기 제2 금형부에서 분리시켜서 취출하는 취출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mo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step of heating a sheet to be molded into a container, a first mold part for molding a part of the bottom and side parts of the container, and the heated sheet. 1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old part and press-fits the second mold part to mold the rest of the side part except for the part, and makes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art by injection of compressed air and vacuum suction. A thermoforming step of forming the bottom part and the side part,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molded container, and the first mold part ascending upward to separate the molded container from the second mold part It includes a take-out step to take out by making 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플랜지가 마련된 상단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including a step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bottom portion and protruding stepwis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upper end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flange. Includ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 포장방법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즉석식품을 상기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플랜지가 마련된 상단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instant food packaging method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container, introducing the instant food into the container, sealing the container, and cool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including a step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protruding stepwis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upper end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flang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성형 방법은, 노크아웃 역할을 하는 제1 금형부가 용기의 바닥부뿐만 아니라 용기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성형하는 구조로 되어, 취출 시에 용기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를 취출 시에 가압력을 더욱 증대시켜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용기의 바닥면의 찌그러짐 발생 등의 이형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container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old part serving as a knock-out part includes not only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but also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when taking out. It can be pressurized.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is taken ou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ssing force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and to improve mold release defects such as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측면부에 단차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측면부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용기의 수축 변형으로 인한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truding a step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the strength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is reinforced, thereby minimizing product defects due to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 성형 장치의 취출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take-out opera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3.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6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성형 방법과 용기 및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 포장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xample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the container forming method and the instant food packag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 및 그 방법에 의해 성형 제작된 용기(10)가 도시되고,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가 도시되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의 비교예가 도시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방법의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1 and 2 show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iner 10 molded by the method, and FIGS. 3 to 6 show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는, 바닥부(20)와 측면부(30) 및 상단부(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20, a side portion 30, and an upper portion 40.

바닥부(2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바닥부(20)의 바닥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지면과 접촉되는 바닥면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사부분은 측면부(30)의 기울기와 구별되는 경우 바닥부(2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20)는 바닥면과 측면부(30)가 이어지는 부분에 미세하게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부분은 측면부(30)의 기울기와 대비되는 것으로 바닥부(2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The bottom portion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be seated on the ground. When the container 10 is placed on the grou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defined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 In addition, an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side and/or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but such an inclined portion may be included in the bottom portion 20 when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inclination of the side portion 30. For example, the bottom portion 20 may include a finely inclined portion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portion 30 connect, but this portion is in contrast to the slope of the side portion 30 and the bottom portion 20 Make up part of it.

측면부(30)는 바닥부(20)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단차부(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측면부(30)는 바닥부(20)에 연결되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이 될 수 있다. 측면부(30)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측면부(30)의 외주면을 따라 단차부(33)가 띠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33)는 바닥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3)가 측면부(30)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용기(10)의 측면부(3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30 includes a step portion 33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20 and protruding stepwi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30 may be a side wall tha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The side portion 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step portion 33 may protrude in a strip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ortion 30. Here, the step portion 33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20. Since the stepped portion 33 protrudes from the side portion 30, the rigidity of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may be reinforced.

상단부(40)는 측면부(30)의 상측에 구비되고 플랜지(4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단부(40)는 측면부(3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42)와 스커트(42)에 연결된 플랜지(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42)의 각도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측면부(30)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된다면 그 각도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스커트(42)는 바닥면을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에서 90°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94°내지 99°, 더욱 구체적으로 96° 내지 97°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end portion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30 and a flange 41 is provided.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40 may include a skirt 42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portion 30 and a flange 41 connected to the skirt 42. If the angle of the skirt 42 is form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at of the side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angle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skirt 42 may be 90° or more from an extension line extending the bottom surfac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specifically 94° to 99°, and more specifically 96° to 97°.

여기서 측면부(30)는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31)은 바닥부(20)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바닥부(2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 기울기로 경사지고, 단차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35)은 제1 측면(31)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로 경사질 수 있다. Here, the side portion 30 may include a first side surface 31 and a second side surface 35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surface 31 extends upwardly inclined from the bottom portion 20 and is inclined at a first slope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 and a step portion 33 may be formed. The second side 35 extends upwardly inclined from the first side 31 and may be inclined with a second inclination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용기(10)는 열성형에 의해 제조된 용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압공 및/또는 진공에 의해 제조된 용기일 수 있다. 일례로 후술하는 용기 성형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조된 용기일 수 있다. The container 10 may be a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rmoforming, and specifically, may be a container manufactured by pressurization and/or vacuum. As an example, it may be a container manufactured using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는, 열성형에 의해 용기(10)를 성형하는 것을 기초로 하며,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는 열성형에 의해 용기를 제조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압진공 성형에 의해 용기를 성형할 수 있다. 즉 압축 공기 주입과 진공 흡인에 의해 시트를 제1 및 제2 금형부(200,300)에 밀착시켜서 성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성형 방법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압축 공기 주입과 진공 흡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성형할 수도 있다.3 to 6,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molding the container 10 by thermoforming, and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 Specifically,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anufacture a container by thermoforming, and more specifically, may form a container by pressure vacuum molding. That is, the sheet can be formed by intimat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mold parts 200 and 300 by injection of compressed air and vacuum suction. However, the thermoforming metho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ompressed air injection and vacuum suction.

제1 금형부(200)는, 용기(10)의 바닥부(20)의 성형을 위한 바닥 성형부(210)와, 바닥 성형부(210)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용기(10)의 측면부(30)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측면 성형부(230)를 포함하고, 성형이 완료된 용기(10)를 분리하여 취출하도록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용기(10)를 가압한다. The first mold part 200 includes a bottom molding part 210 for molding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and a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extending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molding part 210. ), and pressurizes the container 10 by rising upward so as to separate and take out the molded container 10.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금형부(200)는 바닥 성형부(210)와 측면 성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성형부(210)는 용기(10)의 바닥부(20)를 성형할 수 있고,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10)의 바닥부(20)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first mold part 200 may include a bottom molding part 210 and a side molding part 230. The bottom molding part 210 may form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and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to be formed.

측면 성형부(230)는, 용기(10)의 측면부(30)의 일부분인 하부를 성형할 수 있고, 바닥 성형부(210)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금형부(200)는 용기(10)의 바닥부(20)와 측면부(30)의 하부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The side molding part 230 may form a lower part of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and may extend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molding part 210. That is, the first mold part 200 may mold a lower part of the bottom part 20 and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금형부(200)는 상방향으로 상승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금형부(200)는 용기(1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용기(10)를 가압함으로써, 용기(10)를 제2 금형부(300)에서 분리하고 취출할 수 있다. 즉 제1 금형부(200)는 성형이 완료된 성형품을 배출(Eject)하는 노크아웃(Knockout)의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mold part 200 may be provided to rise upward. Specifically, when the molding of the container 10 is completed, the first mold part 200 rises upward and presses the container 10 to separate and take out the container 10 from the second mold part 300. I can. That is, the first mold part 200 may serve as a knockout for ejecting a molded product that has been molded.

제2 금형부(300)는, 제1 금형부(2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부(30)의 상기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한다. 여기서 제2 금형부(300)는 제1 금형부(200)와 함께 캐비티 금형이 될 수 있다. The second mold part 30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part 200 and molds the rest of the side part 30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part. Here,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be a cavity mold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part 200.

구체적으로 제2 금형부(300)는 제1 금형부(2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어 용기(10)의 측면부(30)를 성형할 수 있다. 즉 제2 금형부(300)는 제1 금형부(200)의 측면 성형부(230)와 함께 용기(10)의 측면부(30)를 성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측면 성형부(230)에 의해 성형된 측면부(30)의 하부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측면부(30)의 상부를 성형할 수 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인 H1, H2는, 시트를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에 밀착시키는 진공 흡인을 위한 진공 에어홀이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mold part 200 to form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That is,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mold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together with the side molding part 230 of the first mold part 20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30, which is a portion excluding a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30 formed by the side form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FIG. 3, reference numerals H1 and H2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denote vacuum air holes for vacuum suction for bringing the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100)는, 노크아웃 역할을 하는 제1 금형부(200)가 용기(10)의 바닥부(20)뿐만 아니라 용기(10)의 측면부(30)를 포함하여 성형하는 구조로 되어, 취출 시에 용기(10)의 측면부(30)를 포함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를 취출 시에 가압력을 더욱 증대시켜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용기(10)의 바닥면의 찌그러짐 발생 등의 이형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ld part 200 serving as a knock-out includes not only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but also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Thus, it has a structure to be molded, and can be pressurized by including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at the time of taking out.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10 is taken out, the pressing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and defects in mold release such as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비교예와 같이, 제1 금형부(200)가 용기(10)의 바닥부(20)만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용기(10)에 적절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취출이 어려울 수 있고, 용기(10)의 바닥면의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얇은 시트를 성형하는 경우 용기(10)의 바닥의 좁은 면에서 가압하는 경우 용기(10)의 바닥이 찌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받을 수 있는 측면부(30)를 가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금형부(200)가 용기(10)의 측면부(30)를 포함하여 가압함으로써 이러한 이형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mold part 200 is provided to pressurize only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the container 10 is not subjected to an appropriate pressing force, so that the extraction is performed. It may be difficult, and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may occu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a thin sheet, when pressing from a narrow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may be crushed. 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ss the side portion 30 that can receive a relatively larger force.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ld part 200 is pressed including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to improve such a mold release de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출 시에,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가 용기(10)의 측면부(30)에서 갈라짐으로써, 파팅라인(P)(도 1 및 도 2의 단차부(33) 참조)이 용기(10)의 측면부(30)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의 측면부(30)에 형성된 파팅라인(P)에는, 미세하게 돌출된 리브 형태인 단차부(33)가 형성되어 용기(10)의 측면부(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의 제품 포장 및 유통과정에서 용기(10)의 수축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ing out,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are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parting line P (FIGS. 1 and 2 The stepped portion 33 of) may be formed on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In the parting line P formed on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a step portion 33 in the form of a rib that protrudes finely is form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10 during the product packaging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e container 10.

구체적으로 특히 무균밥류 등의 식품을 포장하는 용기(10)는 뜨거운 상태에서 밀봉 포장하며 자연적 또는 강제적으로 냉각의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때 뜨거운 공기가 냉각되면서 공기의 수축이 발생하여,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 떨어지는 음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압이 가해지면 용기(10)의 얇은 부분이나 과도하게 힘을 받은 부분이 쉽게 수축 변형될 수 있는데, 특히 용기(10)의 측면부(30)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는, 용기(10)의 측면부(30)에 파팅라인(P)에 의한 리브(단차부)가 형성되어 용기(10)의 측면부(30)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이러한 수축 변형으로 인한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particular, the container 10 for packaging food such as sterile rice may be sealed and packaged in a hot state, and may undergo a process of cooling naturally or forcibly. At this time, as the hot air is cooled, air contraction occurs,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0 may become a negative pressure state that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side. When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in this way, a thin portion of the container 10 or a portion subjected to excessive force may be easily contracted and deformed, and particularly, a large number of occurrences occur in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ly, in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b (stepped portion) by a parting line P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Product defects due to such shrinkage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출 시에 용기(10)의 측면부(30)를 포함하여 가압함으로써, 취출 시에 상기한 스커트(42)의 각도에 의해 용기(10)의 바닥부(20)에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커트(42)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로 구성되어 역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취출 시에 많은 힘이 가해져서 특히 즉석식품의 용기와 같이 얇은 시트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해 바닥부(20)를 가압할 때 바닥부의 변형률이 높다. 그런데 취출 시에 용기(10)의 바닥부(20)의 작은 면적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응력이 집중되어 불량률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취출 시에 바닥부의 넓은 면적을 가압하고, 경사면을 포함한 측면부(30)를 가압하므로, 바닥부(20)에 가해지는 힘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얇은 시트를 이용하여 역테이퍼가 형성된 스커트(42)를 구비한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도, 바닥부(2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including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when taking out, it is generated on the bottom part 20 of the container 10 by the angle of the skirt 42 described above when taking out. Can minimize the defects. Specifically, the skirt 42 is formed at an angle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inverted tapered structure, and a lot of force is applied when it is taken ou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lding using a thin sheet such as a container for ready-to-eat food, due to this When pressing the bottom portion 20, the deformation rate of the bottom portion is high. However, when a small area of the bottom portion 20 of the container 10 is pressed during extraction, the stress may be concentrated and the defect rate may be high.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a large area of the bottom portion when taking out and presses the side portion 30 including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bottom portion 20 can be distributed over a large area. Even in the case of molding a container having the skirt 42 on which the inverted tape is formed by using, the deformation of the bottom part 20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측면부(30)는, 바닥부(20)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바닥부(2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 기울기를 가지는 제1 측면(31)과, 제1 측면(31)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2 기울기를 가지는 제2 측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extends upwardly inclined from the bottom portion 20 and has a first side surface 31 having a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 And, a second side surface 35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31 and having a secon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included.

그리고, 제1 금형부(200)에 구비된 측면 성형부(230)는, 제1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molding part 230 provided in the first mold part 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first inclination.

여기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는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형부(200)는 용기(10)의 측면부(30) 중, 하부의 경사가 완만한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금형부(200)가 용기(10)의 측면을 가압하더라도, 용기(10)의 상단부(40)가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first slope and the second slop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lope may be provided more gently than the second slope. Accordingly, the first mold part 200 presses a portion of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with a gentle slope at the bottom. Therefore, even if the first mold part 200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end portion 40 of the container 10 is not damaged.

또한, 용기(10)의 측면부(30)의 경사 각도는 한정이 없으며, 예를 들어 바닥면에 대하여 약 15도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금형부(200)가 용기(10)를 가압할 때 상단부(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각도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is not limited, an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mold part 200 may be deformed at various angles if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part 40 when the container 10 is pressed.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금형부(300)는 제1 경사면(310)과 제2 경사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31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20.

제1 경사면(310)은 바닥면과 동일한 각도인 바닥 성형부(210)의 기준면에 대하여 제1 기울기로 경사지고, 측면 성형부(230)와 함께 제1 측면(31)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320)은 제1 경사면(310)에서 연장되고, 기준면에 대해 제2 기울기로 경사지고 제2 측면(35)을 성형할 수 있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0 is inclined at a first slo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floor molding part 210 at the same angle as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31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side molding part 230. 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0 may extend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0, inclined at a second slo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and may form the second side surface 35.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0)의 측면부(30)에 구비된 제1 측면(31)은, 제1 영역(31a)과 제2 영역(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1a)은 바닥부(20)에서 이어지는 영역이고, 제2 영역(31b)은 제1 영역(31a)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20)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도 2 참조), 제1 영역(31a)의 길이가 제2 영역(31b)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side surface 31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may include a first area 31a and a second area 31b. The first area 31a is an area that continues from the bottom part 20, and the second area 31b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area 31a. In addition,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20 (see FIG. 2 ),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31a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31b.

그리고, 제1 금형부(200)의 측면 성형부(230)는 제1 영역(31a)을 성형하고, 제2 금형부(300)의 제1 경사면(310)은 제2 영역(31b)을 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는, 취출 시에 제1 영역(31a)과 제2 영역(31b) 사이에서 갈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molding part 230 of the first mold part 200 forms the first region 31a,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0 of the second mold part 300 forms the second region 31b. can do. Accordingly,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be separated between the first region 31a and the second region 31b when taken out.

더욱 구체적으로 측면부(30)는 단차부(33)를 더 포함하고, 단차부(33)는 제1 영역(31a)과 제2 영역(31b)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측면(31)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33)는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가 갈라지는 파팅라인(P)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31a)의 길이가 제2 영역(31b)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단차부(33)는 바닥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30 further includes a stepped portion 33, the stepped portion 3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31a and the second area 31b,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ide 31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stepwi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stepped portion 33 may be formed on the parting line P where the first mold portion 200 and the second mold portion 300 are divided. Here,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31a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31b, the stepped portion 33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20.

한편 제2 금형부(300)는 제1 금형부(200)에서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경사면(310)은 측면 성형부(23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도 5 의 d 참조).Meanwhile,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from the first mold part 200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ide forming part 230 (see d of FIG. 5 ).

이와 같이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가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취출 시에 제1 금형부(200)의 상승 동작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 사이의 간격(d)에 의해 파팅라인에 형성되는 단차부(33)의 크기가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용기(10)의 측면부(30)의 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brasion due to the raising operation of the first mold part 200 when taking out.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step portion 33 formed on the parting line may be further increased by the gap d between the first mold portion 200 and the second mold portion 300,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The strength of) can be further reinforced.

여기서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 사이의 간격(d)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0.3mm 정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 사이의 간격(d)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승 동작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크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Here,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may be variously applied, an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bout 0.3 mm. However,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sizes as long as it can prevent abrasion due to the lifting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은 구동부(미도시)와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and a guide unit 500.

구동부는 제1 금형부(200)를 상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금형부(20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캠부재나 공기압 등으로 제1 금형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driving unit may drive the first mold unit 200 upwar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driving unit as long as it can drive the first mold uni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mold part 200 may be driven by a cam member or pneumatic pressur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가이드부(500)는, 제1 금형부(2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도시된 일례와 같이 가이드샤프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guide part 500 ma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mold part 200. The guide part 50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guide shaft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3 금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old part 400.

제3 금형부(400)는, 스커트 성형부(420)와 플랜지 성형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금형부(400)는 커팅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mold part 400 may include a skirt molding part 420 and a flange molding part 410. In addition, the third mold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 cutting part 430.

스커트 성형부(420)는, 제2 금형부(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용기(10)의 스커트(42)를 성형할 수 있고, 플랜지 성형부(410)는 용기(10)의 플랜지(41)를 성형할 수 있다. The skirt molding part 4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ld part 300 to form the skirt 42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lange molding part 410 is the flange 41 of the container 10. ) Can be molded.

또한 커팅부(430)는, 성형이 완료된 용기(10)를 절단하도록, 플랜지 성형부(410)의 외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ting part 43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lange forming part 410 to cut the container 10 on which the molding is complet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용기 성형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nd 8.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방법은 가열단계(S110)와, 열성형단계(S130) 및, 취출단계(S170)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step (S110), a thermoforming step (S130), and a takeout step (S170).

가열단계(S110)는, 용기(10)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대상인 시트를 가열한다.In the heating step (S110), a sheet to be formed to be formed into the container 10 is heated.

열성형단계(S130)는, 가열된 시트를, 용기(10)의 바닥부(20)와 측면부(30)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제1 금형부(200)와, 제1 금형부(2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측면부(30)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는 제2 금형부(300)에 압입하고, 압축 공기 주입과 진공 흡인에 의해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에 밀착시켜서 바닥부(20)와 측면부(30)를 성형한다. In the thermoforming step (S130), the heated sheet is formed of a first mold part 200 for molding a part of the bottom part 20 and the side part 30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irst mold part 200.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are provided on the outside and press-fit into the second mold part 300 that molds the rest of the part except for a part of the side part 30, an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and vacuum suction. ) To form the bottom portion 20 and the side portion 30.

구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가 성형하기에 알맞은 온도로 가열되면, 플러그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시트를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에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시트를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진공 흡인에 의해 시트와, 제1 금형부(200) 및 제2 금형부(300) 사이를 진공으로 하여 시트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의 바닥부(20)와 측면부(30)가 성형될 수 있다. 열성형단계(S130)에서는 제3 금형부(400)를 통해 용기(10)의 상단부(40)를 성형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when a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molding, the sheet may be first pressed into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using a plug. In addition, by injecting compressed air, the sheet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art 200 and the second mold part 300. At this time, the sheet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heet by vacuum suction, by making a vacuum between the sheet and the first and second dies 200 and 300. Accordingly, the bottom portion 20 and the side portion 30 of the container 10 may be molded. In the thermoforming step (S130), the upper end portion 40 of the container 10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mold part 400.

커팅단계(S150)는, 성형이 완료된 용기(10)를 절단할 수 있다. 커팅단계(S150)는 취출단계(S170)의 전후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팅단계(S150)가 취출단계(S170)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취출단계(S170)의 이전이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e cutting step (S150), the container 10 in which the molding is completed may be cut. The cutting step (S150)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take-out step (S170).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cutting step S150 is performed before the take-out step S17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take-out step S170.

취출단계(S170)는, 제1 금형부(200)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용기(10)를 제2 금형부(300)에서 분리시켜서 취출한다. In the take-out step (S170), the first mold part 200 rises upward, and the container 10, which has been molde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mold part 300 and taken out.

구체적으로, 취출단계(S170)는, 성형이 완료된 용기(10)가 절단되면, 용기(10)를 취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금형부(200)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용기(10)를 제2 금형부(3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용기(10)는 취출될 수 있다. 상기한 가열단계(S110)와, 열성형단계(S130)와, 커팅단계(S150) 및, 취출단계(S170)를 포함하는 일련의 열성형 단계는 단시간에 고속으로 진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take-out step (S170), when the molded container 10 is cut, the container 10 may be taken out. Referring to FIG. 4, as the first mold part 200 rises upward, the container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mold part 300, and the separated container 10 may be taken out. A series of thermoforming steps including the heating step (S110), the thermoforming step (S130), the cutting step (S150), and the takeout step (S170) may be performed at high speed in a short time.

한편, 열성형 단계는, 제1 금형부(200)와 제2 금형부(300)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측면부(30)에 단차지게 돌출되는 단차부(33)를 성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thermoforming step, the stepped portion 33 protruding stepwise from the side portion 30 through the spaced gap between the first mold portion 200 and the second mold portion 300 may be 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의 포장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ackaging instant food using a container,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의 포장방법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즉석식품을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와, 용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ackaging method of instant food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container, putting the instant food into the container, sealing the container, and cooling the container.

본 발명에 적용되는 즉석식품은, 포장과정에서 냉각이 필요한 식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즉석밥, 즉석국, 즉석죽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instant foo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type as long as it requires cooling in the packaging process, and may be, for example, instant rice, instant soup, or instant porrid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에서, 용기를 밀봉하는 수단과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재료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상단을 리드필름을 이용하여 실링하여 밀봉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sealing the container, the means and methods for sealing the container are not limited, and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top of the container may be sealed by using a lead film.

용기를 냉각하는 단계에서, 냉각 온도는, 즉석식품을 용기를 투입하는 단계에서의 즉석식품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cooling the container,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instant food in the step of putting the ready-to-eat food into the contain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성형 방법은, 노크아웃 역할을 하는 제1 금형부가 용기의 바닥부뿐만 아니라 용기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성형하는 구조로 되어, 취출 시에 용기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를 취출 시에 가압력을 더욱 증대시켜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용기의 바닥면의 찌그러짐 발생 등의 이형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container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old part serving as a knock-out part includes not only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but also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when taking out. It can be pressurized.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is taken ou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ssing force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and to improve mold release defects such as crush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측면부에 단차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측면부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용기의 수축 변형으로 인한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truding a step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the strength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is reinforced, thereby minimizing product defects due to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용기 20: 바닥부
30: 측면부 31: 제1 측면
31a: 제1 영역 31b: 제2 영역
33: 단차부 35: 제2 측면
40: 상단부 41: 플랜지
100: 용기 성형 장치 200: 제1 금형부
210: 바닥 성형부 230: 측면 성형부
300: 제2 금형부 310: 제1 경사면
320: 제2 경사면 400: 제3 금형부
410: 플랜지 성형부 420: 스커트 성형부
430: 커팅부 500: 가이드부
10: container 20: bottom
30: side portion 31: first side
31a: first area 31b: second area
33: step portion 35: second side
40: upper part 41: flange
100: container forming apparatus 200: first mold part
210: bottom molding 230: side molding
300: second mold part 310: first inclined surface
320: second inclined surface 400: third mold part
410: flange forming portion 420: skirt forming portion
430: cutting part 500: guide part

Claims (15)

열성형에 의해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의 성형을 위한 바닥 성형부와, 상기 바닥 성형부에서 제1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용기의 측면부의 일부분을 성형하는 측면 성형부를 포함하고,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분리하여 취출하도록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용기를 가압하는, 제1 금형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기울기를 가지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2 기울기를 가지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각도인 상기 바닥 성형부의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울기로 경사지고, 상기 측면 성형부와 함께 상기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 기울기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측면을 성형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제1 경사면 상의 위치에는, 상기 제2 금형부에 대해 시트를 밀착시키는 진공 흡인을 위한 진공 에어홀이 형성되는 용기 성형 장치.
In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by thermoforming,
A bottom molding part for shap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a side molding part extending upwardly inclined at a first slope from the bottom molding part and shaping a part of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and separating and taking out the molded container A first mold portion rising upward to pressurize the container; And,
And a second mold part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part and molding the rest of the side part except for the part,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may include a first side that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bottom and has the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and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first side, and is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Comprising a second side having a second slope,
The second mold part is inclined at the first slo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floor molding part at the same angle as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first sloped surface and the first sloped surface forming the first side surface together with the side molding part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and inclined at the secon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and forming the second side surface,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vacuum air hole for vacuum su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 intimate contact with the sheet to the second mold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구비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nclination is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that is provided more gently than the second inclin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바닥부에서 이어지는 영역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의 길이가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고,
상기 제1 금형부의 상기 측면 성형부는 상기 제1 영역을 성형하고, 상기 제2 금형부의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2 영역을 성형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 surface includes a first area that is an area continuing from the bottom and a second area located above the first area, and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the length of the first area is It is provid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of the first mold part, wherein the side molding part molds the first region,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molds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금형부에서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second mold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ld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 성형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ep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formed to protrude stepwi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provid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forming portion to form the stepp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부를 상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first mold part upward; And,
Container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mol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스커트를 성형하는 스커트 성형부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플랜지 성형부를 구비하는 제3 금형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tainer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third mold part provided above the second mold part and including a skirt molding part for molding a skirt of the container, and a flange molding part for molding a flange of the contai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형부는, 성형이 완료된 상기 용기를 절단하도록, 상기 플랜지 성형부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커팅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mold unit further comprises a cutting unit provided outside the flange forming unit so as to cut the container on which the molding has been comple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86423A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KR102245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23A KR102245708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23A KR102245708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14A Division KR102142055B1 (en) 2018-07-09 2018-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and container and method for packing instant fo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121A KR20200087121A (en) 2020-07-20
KR102245708B1 true KR102245708B1 (en) 2021-04-28

Family

ID=7183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23A KR102245708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7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552B1 (en) * 2021-08-30 2022-09-15 주식회사 에스지엠 Vacumm forming device for forming hollow b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17A (en) 2000-02-22 2001-08-28 Nippon Dekishii:Kk Sealable paper-made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6315687A (en) 2005-05-10 2006-11-24 Sato Isamu Food stori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US20070252307A1 (en) * 2001-04-27 2007-11-01 Borst Rodney D Thermoformed container with inwardly extending cut lip
JP2011218663A (en) 2010-04-09 2011-11-04 Isamu Sato Irregular mold for manufacturing food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140U (en) * 2013-09-06 2015-03-16 씨제이제일제당 (주) Container for Fo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17A (en) 2000-02-22 2001-08-28 Nippon Dekishii:Kk Sealable paper-made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70252307A1 (en) * 2001-04-27 2007-11-01 Borst Rodney D Thermoformed container with inwardly extending cut lip
JP2006315687A (en) 2005-05-10 2006-11-24 Sato Isamu Food stori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JP2011218663A (en) 2010-04-09 2011-11-04 Isamu Sato Irregular mold for manufacturing food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121A (en)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0418A (en) Method and mold for making thinwalled containers
US3173174A (en) Molding apparatus for rim structure of thin wall plastic container
US2002002730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from a thermoplastic plastic film, and molding tool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1420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and container and method for packing instant food using the same
KR2010010352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tainers made of thermoplastic and containers so produced
CN101918204A (en) A method for forming a package and a package
KR102245708B1 (en)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
US394904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US2965932A (en) Method of making a plastic container cap
JP4220023B2 (en) Thermoforming equipment for plastic containers
GB207966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ynthestic plastic beakers
US20190329934A1 (en) Packaging container
JPH0710543B2 (en) Direct gate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JPH0691745A (en) Vacuum forming die device
CN104943072A (en) Plastic injection mold for forming deep-rib products
KR101801977B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JP6919805B2 (en) Molding mold,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dical rubber stoppers
KR102253744B1 (en) Injection molding mold, preform molding method and hollow body manufacturing method
KR101041478B1 (en) Transfer Mold Included a Compound Core
KR200340024Y1 (en) Solid phase pressure forming apparatus for food package
CN215921174U (en) Automatic demoulding device of sole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15203415U (en) Blow molding mold for plastic bottle
KR1021126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and container
CN214820480U (en) Injection mold of dark chamber plastic product
CN214353951U (en) Compression injection mold for producing automobile central contro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