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33B1 -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33B1
KR102245333B1 KR1020200072481A KR20200072481A KR102245333B1 KR 102245333 B1 KR102245333 B1 KR 102245333B1 KR 1020200072481 A KR1020200072481 A KR 1020200072481A KR 20200072481 A KR20200072481 A KR 20200072481A KR 102245333 B1 KR102245333 B1 KR 10224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product
storage device
control system
delivery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최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filed Critical 최동호
Priority to KR102020007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은,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상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시스템;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상품 보관 장치; 및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기 위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배송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로를 탐색하여 탐색된 경로를 상기 배송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로봇이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건물 내 운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배송 로봇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이동하기 위해 건물 내 운반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DELIVERY SYSTEM USING DELIVERY ROBOT}
본 발명은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배송 서비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상품의 공급자가 고객 또는 상품을 수령하기로 한 수령인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서비스로서, 일반적으로는 배송자가 수령인의 거주지 또는 근무지에 방문하여 공급자로부터 전달받은 상품을 수령인에게 배송하고 있다. 그러나, 배송자가 방문하였을 때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를 대비하여 배송자에게 상품을 전달받기 위한 시간 약속을 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정해진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 배송자가 수령인을 재방문해야 하는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한 곳에 설치될 수 있어 무인으로 운영되는 상품 보관 장치가 개발되었다.
무인 상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의 배송 서비스는, 배송자가 상품을 수령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전에 약속을 하거나 재방문해야 할 필요가 없고, 수령인은 원하는 시간에 안전하게 상품을 수령할 수 있으며, 공급자는 상품의 배송 사고를 줄일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보관 장치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의 복수 개의 건물들을 포함하는 구역 또는 그 복수 개의 건물들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자는 고객으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할 수 있고 수령인이 상품 보관 장치에 접근하여 주문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품 보관 장치는 배송 거점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상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의 배송 서비스는 수령인이 거주지 또는 근무지에서 배송자로부터 상품을 전달받는 서비스에 비하여, 수령인이 상품 보관 장치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서 상품을 직접 수령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을 수 있고, 만일 수령인이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을 수령하지 않을 경우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의 배송 서비스에 있어서 상품 수령인인 사용자가 상품을 보다 편리하게 수령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의 배송 서비스에 있어서 상품 수령인인 사용자가 배송 로봇을 통해 상품을 보다 편리하게 수령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의 배송 서비스에 있어서 온도나 신선도 등 품질이 최상으로 유지된 상품을 배송 로봇을 통해 수령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건물 관제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배송 로봇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보다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을 갖는 배송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도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배송 로봇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최상의 품질이 유지된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배송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은,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상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시스템;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상품 보관 장치; 및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기 위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배송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로를 탐색하여 탐색된 경로를 상기 배송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로봇이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건물 내 운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은,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상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시스템;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상품 보관 장치; 및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기 위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배송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이동하기 위해 건물 내 운반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적지 및 배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배송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를 인지하기 위한 사용자 인지 정보를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지 정보에 기초하는 사용자 인증에 따른 배송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을 탑재한 후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배송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배송 로봇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품 보관 장치는,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은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는, 상기 상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관함별로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상품 보관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품 보관 장치의 작동 이상을 검출 또는 예측하는 경우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검출 또는 예측된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배송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건물 내 운반 수단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 상의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상품 보관 장치와 도킹하여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관제 시스템 및 상기 상품 보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배송 로봇에 탑재된 상품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온도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관리부는 상기 배송 로봇에 탑재된 상기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배송 로봇의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송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탑재된 상품 정보 및 상기 배송 로봇의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관리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배송 로봇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배송 로봇이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를 실행하여 주행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상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상품 보관 장치와의 도킹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센서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온도관리부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복잡한 제어 시스템의 별도 구비 없이 건물 관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배송 로봇을 통한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배송 로봇을 통해 최상의 품질이 유지된 상품을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원에 포함되며 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들은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예시하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에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명의 특징들을 설명하도록 작용한다.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보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에 의한 배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에 의한 배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가능한 어디에서든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도면들의 전반에 걸쳐 이용될 것이다. 특정 예들 및 구현예들에 대해 행해진 참조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한 것이고, 발명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 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의 개념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의 개념도는 관제 시스템 (110), 관제 시스템이 관제하는 건물 (BD) 이 소재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와 배송 로봇 (150), 상품 보관 장치 (140) 로 상품을 보관하는 공급자 (120), 및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배송 로봇 (150) 을 이용하여 상품을 수령하는 사용자 (1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공급자 (120) 는 간편식 또는 건강식을 배송하는 유기농 식품 업체, 음료 유통 업체, 또는 새벽 배송 업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130) 는 상기 공급자로부터 배송되는 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고객이 될 수 있다. 사용자 (130) 가 주문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자 (120) 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상품을 보관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은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상품을 꺼낸 후 탑재하여 사용자 (130) 측으로 이동한 후, 사용자 (130) 에게 상품을 전달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배송 시스템 (100) 의 관제 시스템 (110) 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공급자 (120), 사용자 (130), 건물 (BD) 의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배송 로봇 (150) 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은 관제 시스템 (110) 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 (110) 은 복수의 건물들 (BD-1, BD-2, … BD-n) 을 통합 관제할 수 있다. 복수의 건물들 각각은 그 건물 내에 개별 관제 시스템 (110a, 110b, … 110n) 을 구비할 수도 있고, 개별 관제 시스템 (110a, 110b, … 110n) 을 통해 복수의 건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운반 수단 (160) (예컨대, 엘리베이터 등) 을 개별적으로 관제할 수도 있다. 운반 수단 (160) 은 또한, 그 운반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별도의 제어 모듈을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건물들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개별 관제 시스템 (110a, 110b, … 110n) 은 복수의 건물들을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 (110) 에 의하여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건물들 (BD-1, BD-2, … BD-n) 의 각각은 통합 관제 시스템 (110) 또는 개별 관제 시스템 (110a, 110b, … 110n) 에 의해 관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관제 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통합 관제 시스템 (110) 및 개별 관제 시스템 (110a, 110b, … 110n) 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관제 시스템 (110) 으로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은 또한, 관제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120), 관제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사용자 (고객) 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130), 관제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이 사용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상품이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관제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송하기 위한 배송 로봇 (150)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의 공급자 단말기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배송 로봇 (150) 은 각각, 배송 시스템 (100) 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 1 의 공급자 (120), 사용자 (130),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배송 로봇 (150) 과 대응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 (110) 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관제 시스템 (110) 은 저장부 (111), 저장부에 커플링된 제어부 (112)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113) 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111) 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배송 로봇 (15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배송 또는 회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111) 는, 컴퓨터가 액세스하여 처리할 수 있는 각종 저장 장치 (예컨대, 메모리) 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 (111) 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 (112) 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의 변경 사항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에 대하여 수리가 요구되는 이상 사항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을 이용하는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또는 공급자의 인지 정보, 예컨대 주문자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인지하기 위하여 그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의 냉장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품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품 보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온도관리부 (예를 들어, 냉각부) 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건물 내 관제 시스템 (110) 및 운반 수단 (160) 과 연계되어 배송 로봇의 이동과 관련된 경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배송 로봇 (150) 이 실제 건물 내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것과 관련된 주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송 로봇 (150) 에 탑재되어 운반되는 상품의 온도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송 또는 회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및/또는 공급자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이름, 주소, 연락처 등), 주문과 관련된 데이터, 배송과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상품의 배송 개시 여부, 배송 중인 상품의 위치, 상품의 수령 여부, 배송 상황 알림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또는 회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주문자) 의 주문 정보로서 주문자 정보, 주문 일시, 배송 일시 및 주문 상품의 제품 표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공급자가 제공하는 제품 정보로서 해당 제품의 제조일, 유통 기간, 적정 유지 온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회수가 요청되는 배송인 경우 회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배송 로봇 (15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배송 또는 회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거나 저장되는 정보는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므로, 특정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전용으로 구축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부 (112) 는, 복수의 건물들 내의 운반 수단, 상품 보관 장치, 배송 로봇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거나 복수의 건물들 중 각각의 건물 내의 운반 수단, 상품 보관 장치, 배송 로봇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12) 는 복수 또는 개별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예컨대, 엘리베이터 등) 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12) 는 또한 운반 수단 (160) 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 (112) 는 관제 시스템 (110) 이 관제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상품 보관 장치 (140) 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 (112) 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보관된 상품의 종류, 크기, 온도, 패키징 수단, 입고 여부, 수령 여부, 회수 여부 및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작동 이상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일, 제어부 (112) 가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작동 이상을 검출한 경우 수리 요청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 (112) 는 또한 배송 로봇 (150) 의 상태 정보 및 배송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 로봇 (150) 의 상태 정보 및 배송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배송 로봇 (150) 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 로봇 (150) 의 상태 정보는, 로봇의 현재 위치, 배송 또는 대기 상태 여부 및 충전 상태와 같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배송 로봇 (150) 의 배송 관련 정보는, 배송 중인 로봇의 현재의 배송과 관련된 주문자 정보, 공급자 정보, 상품 정보, 상품의 출납/온도 정보 등과 같은 해당 주문 및 상품에 관하여 보유하고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12) 는 배송 로봇의 이동을 위해 건물 내 배송 경로 및 배송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 (112) 는 배송 로봇 (150) 이 자율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품 보관 장치 (140) 와 마찬가지로, 제어부 (112) 가 배송 로봇 (150) 의 작동 이상을 검출한 경우 수리 요청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 (112) 의 기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수단들 (예컨대, 프로세서들) 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수단들은 서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신부 (113) 는 제어부 (112) 에 의해 제어되어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시스템 (100) 은 공급자 단말기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배송 로봇 (150) 을 포함한다.
공급자 단말기 (120) 는, 판매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운영하는 단말기로서, 관제 시스템 (110) 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공급자 단말기 (120) 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관제 시스템 (110) 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는 관제 시스템 (110) 으로부터 고객 정보,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등을 공급자 단말기 (120) 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에는 공급자 단말기 (120) 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공급자 단말기가 관제 시스템 (110) 과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130) 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고객) 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제 시스템 (110) 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 (130) 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관제 시스템 (110) 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130) 를 통해 상품을 검색하여 주문하고, 주문에 관한 정보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하고, 배송 정보 및 상품 수령을 위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에는 사용자 단말기 (130) 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고객 단말기가 관제 시스템 (110) 에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공급자가 고객으로부터 주문 받은 상품을 보관하는 장치로서,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학교 등의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설치되어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달리,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공급자에 의해 고객에게 정기적으로 배송되는 상품이 있는 건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품 보관 장치 (140) 에는 고객에게 비정기적으로 배송되는 상품도 보관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보관 장치 (140) 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 (141) 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 (141) 은 크기 별로 분류되어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열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는 단위 보관함들 (141) 이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자들과의 계약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 (141) 이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에 할당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러한 단위 보관함들 (141) 에 대한 공급자 할당 사항은 저장부 (111) 의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보관함들 (141) 에 대한 공급자 할당 사항은 변경이 가능하다. 공급자 별로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 (141) 에 복수의 고객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품들이 보관된다.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 (141) 각각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개폐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도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관제 시스템 (110) 및 배송 로봇 (150) 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품 보관 장치 (140) 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제어부는, 날씨에 연동하여 상품별 (보관함별) 맞춤 온도관리를 위하여, 상품 보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일 예시로서 하이브리드 냉각 방식의 액티브/패시브 타입 온도 조절 장치일 수 있다.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제어부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단위 보관함들 (141) 과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구비될 수도 있는 냉각 수단, 입고 수단, 회수 수단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들을 점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단위 보관함들 (141) 과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구비될 수도 있는 냉각 수단, 입고 수단, 회수 수단의 동작 이상이 검출되거나 예측되는 경우,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제어부는 관제 시스템 (110) 의 저장부 (111) 로 해당 이상 사항을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상 수리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 또는 공급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제어부는,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식별하기 위해 QR 코드, 비밀번호, 스마트테크, 생체인식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회수가 요청되는 배송인 경우,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제어부는, 배송 로봇으로부터 회수된 패키지 용기 또는 물품을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회수된 패키지 용기 또는 물품의 현황을 관제 시스템 (110) 의 저장부 (111) 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의 기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수단들 (예컨대, 프로세서들) 에 의해 외부 장치와 연계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수단들은 서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로봇 (150) 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배송 로봇 (150) 은 제어부 (151), 구동부 (152), 충전부 (153), 센서부 (154), 온도관리부 (155) 및 통신부 (156) 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구동부 (152) 는 배송 로봇 (150) 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의 상품을 탑재하여 사용자에게 배송하기 위해 배송 로봇 (150) 의 주행에 필요한 모터 등의 동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충전부 (153) 는 상품 보관 장치 (140) 와의 자율 도킹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센서부 (154) 는 건물 내 시설물 (물체) 의 위치 및 내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 (154) 는 또한,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예컨대, 엘리베이터 등) 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추가로, 배송 로봇 (150) 의 온도관리부 (155) 는 상품별로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장 또는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품 보관 장치에 구비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장치일 수 있고, 일 예시로서 하이브리드 냉각 방식의 액티브/패시브 타입의 온도 조절 장치일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온도관리부 (155) 를 통해, 상품 보관 장치에서 온도가 적절하게 관리된 상품이 배송 로봇 (150) 으로 탑재되어도, 외부 환경 (예컨대, 날씨) 에 연동하여 마찬가지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온도관리부 (155) 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온도관리 데이터를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에 전송하거나, 또는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하거나, 공급자 (120) 또는 사용자 (130) 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품 보관 장치 (140) 및 배송 로봇 (150) 의 온도관리 기능을 통해, 상품의 특성상 온도가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되어야 하는 상품의 배송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배송 로봇 (150) 의 각 부를 포함하는 배송 로봇이,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배송 로봇 (150) 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배송 로봇 (150) 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건물 내 관제 시스템 (110) 과 연동하거나 건물 내 별도의 위치 확인 수단 (예컨대, 무선 송신기, 카메라, 스마트 태그 등) 과 연동하여 배송 로봇 (150) 의 위치 인식 (즉, 로컬리제이션)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상품의 목적지 및 배송 시간을 포함한 배송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관제 시스템 (110) 과 연계하여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에 의한 이동 경로들 중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자율 주행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상품 배송의 도중에 다른 경유 목적지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배송 로봇의 구동부 (152) (예컨대, 모터 등) 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구동부 (152) 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이상 검출 시에 관제 시스템 (110) 의 저장부 (111) 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배송 로봇 (150) 과 상품 보관 장치 (140) 와의 도킹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송 로봇의 충전 상태가 확인되면 순차적으로 충전이 제어될 수도 있다.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센서부 (154) 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온도관리부 (155) 로부터 획득된 온도관리 데이터, 충전부 (153) 로부터 획득된 충전관리 데이터, 구동부 (152) 의 이상검출 데이터 등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송 로봇 (150) 의 제어부 (151) 는 외부 온도 또는 환경에 맞게 상품의 온도를 상품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의 기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수단들 (예컨대, 프로세서들) 에 의해 외부 장치와 연계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수단들은 서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송 로봇 (150) 의 통신부 (156) 는 제어부 (151) 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 (156) 는 또한, 센서부 (154) 로부터의 센싱 데이터 및 온도관리부 (155) 로부터 획득된 온도관리 데이터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배송 로봇 (150) 의 통신부 (155) 는, 복수의 배송 로봇과 상품 보관 장치 (140) 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시스템에 의한 배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 의 배송 시스템에 의한 배송 방법은 상술한 시스템의 구성들의 기능과 연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 은 배송 로봇 (150) 이 건물 관제 시스템 (110) 과 연계하여 상품을 배송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7 은 배송 로봇 (150) 이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품을 배송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 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130) 를 통해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고 (S610), 이를 관제 시스템 (110) 과 공유하기 위해 관제 시스템 (110) 에 주문 정보를 제공한다.
관제 시스템 (110) 은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 (120) 에 전송하고 (S612), 이에 기초하여 공급자는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을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배송한다 (S614).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공급자가 배송한 상품이 도착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관제 시스템 (110) 은, 해당 메시지와 함께, 상품 수령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130) 에 전송한다 (S616). 상품 수령 방법은, 사용자가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직접 상품을 수령하는 방법과, 배송 로봇 (150) 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상품을 수령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송 로봇 (150) 을 통한 배송을 선택하는 경우, 상품의 목적지 및 배송 시간을 예약하거나 설정하여 상품 배송 지령을 생성하고 (S618), 이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한다.
관제 시스템 (110) 은 생성된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사용자의 인지 정보를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전송한다 (S6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QR 코드, 비밀번호, 스마트테크, 생체인식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보관함을 열어서 상품을 배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사용자의 인지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배송 로봇 (150) 은 현재의 위치, 충전 상태, 배송 또는 대기 여부 등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한다 (S622).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을 통제하는 관제 시스템은, 배송 로봇 (150) 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상품을 목적지까지 배송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계획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배송 로봇 (150) 에 전송한다 (S624). 상기 배송 로봇 (150) 의 상태 정보도 이러한 탐색에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상품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 및 배송 승인을 배송 로봇 (150) 에 전송한다 (S626). 배송 로봇 (150) 은 관제 시스템 (110) 에 의해 탐색된 계획 경로를 따라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S628). 배송 로봇 (150) 은 상기 배송이 완료되면 관제 시스템 (110) 으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6 의 배송 시스템에 의한 배송 방법에 의하면,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을 통제하는 건물의 관제 시스템 (110) 을 통해서 배송 로봇 (150) 의 배송 경로 설정 및 주행이 가능하므로, 특별한 제어 시스템의 부가 없이도 배송 로봇 (150) 을 통한 효과적인 배송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130) 를 통해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고 (S710), 이를 관제 시스템 (110) 과 공유하기 위해 관제 시스템 (110) 에 주문 정보를 제공한다.
관제 시스템 (110) 은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관한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 (120) 에 전송하고 (S712), 공급자는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을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배송한다 (S714).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공급자가 배송한 상품이 도착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관제 시스템 (110) 은, 해당 메시지와 함께, 상품 수령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130) 에 전송한다 (S716). 상품 수령 방법은, 사용자가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직접 상품을 수령하는 방법과, 배송 로봇 (150) 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상품을 수령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송 로봇 (150) 을 통한 배송을 선택하는 경우, 상품의 목적지 및 배송 시간을 예약하거나 설정하여 상품 배송 지령을 생성하고 (S718), 이를 관제 시스템 (110) 에 전송한다.
관제 시스템 (110) 은 생성된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사용자의 인지 정보를 상품 보관 장치 (140) 에 전송한다 (S7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QR 코드, 비밀번호, 스마트테크, 생체인식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공급자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품 보관 장치 (140) 의 보관함을 열어서 상품을 배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사용자의 인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품 보관 장치 (140) 는 상품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및 배송 승인을 배송 로봇 (150) 에 전송한다 (S722).
배송 로봇 (150) 은 관제 시스템 (110) 으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저장되어 있는 건물에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건물 내 실내 지도) 에 기초하여, 상품 보관 장치 (140) 로부터 상품을 목적지까지 배송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그 계획 경로에 따라 이동하기 위해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S724). 즉, 배송 로봇 (150) 이 건물 내 운반 수단 (160) 과 개별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배송 로봇 (150) 은 도 6 의 실시예와는 달리, 건물 관제 시스템과 별도로 건물 내 개별 운반 수단 (160) 과의 상호 작용 (예컨대, 센싱, 동작 등) 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품을 배송할 수도 있다 (S726). 배송 로봇 (150) 은 상기 배송이 완료되면 관제 시스템 (110) 으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의 설명들 및 프로세스 흐름도들은 단지 예시적인 예들로서 제공되며 여러 실시형태들의 단계들이 제시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하거나 또는 암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가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들에서 단계들의 순서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 등과 같은 단어들은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려고 의도되지 않으며, 이들 단어들은 방법들의 설명을 통해서 독자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가지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적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하여, 이상에서는, 여러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을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본원에서 개시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여러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들은 데이터 저장 매체들과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희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상기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들에 대한 여러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른 실시형태들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나타낸 실시형태들에 한정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다음 청구범위에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 및 본원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을 부여받게 하려는 것이다.

Claims (7)

  1. 배송 시스템으로서,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상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제 시스템은 복수의 건물들 중 각각의 건물 내부에 있는 건물 내 운반 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관제 시스템;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보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건물들 중 각각의 건물에 설치되는 상품 보관 장치; 및
    상기 관제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도록 구성된 배송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 내 운반 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 시스템이 관제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의 입고 여부, 수령 여부 및 회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송 로봇의 현재 위치, 배송 여부 및 대기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송 로봇의 이동을 위해 상기 건물 내 운반 수단과 연계된 배송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 로봇이 상기 배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생성된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배송 로봇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건물들 중 각각의 건물에 설치되는 상품 보관 장치는,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은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는 또한,
    상기 상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관함별로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상품 보관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품 보관 장치의 상기 단위 보관함들과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구비되는 냉각 수단, 입고 수단, 회수 수단의 동작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검출된 동작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회수가 요청되는 배송인 경우 상기 배송 로봇으로부터 회수된 패키지 용기 또는 상품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회수된 패키지 용기 또는 상품의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배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적지 및 배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배송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배송 지령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를 인지하기 위한 사용자 인지 정보를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배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지 정보에 기초하는 사용자 인증에 따른 배송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을 탑재한 후 상기 배송 경로를 따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배송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배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배송 로봇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배송 시스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배송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배송 경로에 따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건물 내 운반 수단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배송 경로 상의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상품 보관 장치와 도킹하여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관제 시스템 및 상기 상품 보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배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로봇은,
    상기 배송 로봇에 탑재된 상품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온도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관리부는 상기 배송 로봇에 탑재된 상기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배송 로봇의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송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탑재된 상품 정보 및 상기 배송 로봇의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관리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배송 시스템.
KR1020200072481A 2020-06-15 2020-06-15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KR10224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81A KR102245333B1 (ko) 2020-06-15 2020-06-15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81A KR102245333B1 (ko) 2020-06-15 2020-06-15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09 Division 2019-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33B1 true KR102245333B1 (ko) 2021-04-27

Family

ID=7572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481A KR102245333B1 (ko) 2020-06-15 2020-06-15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3098A1 (en) * 2021-07-06 2023-01-12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robot
WO2023287657A1 (en) * 2021-07-15 2023-01-19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delivery using a robot
WO2023027238A1 (en) * 2021-08-24 2023-03-02 Lg Electronics Inc. Delivery system
KR20230057876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와트 무인 배송 시스템
WO2024063215A1 (ko) *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 트위니 로봇이 충전되는 스테이션을 거점으로 택배 배송을 제공하는 택배 배송 시스 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29A (ko) * 2013-04-29 2014-11-06 박형상 스마트 락커 서비스 수행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523268B1 (ko) * 2013-07-30 2015-05-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층간이동을 위한 모바일 로봇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로봇 시스템
KR101691329B1 (ko) * 2016-05-30 2016-12-3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배송시스템 및 무인배송방법
KR101855861B1 (ko) * 2016-09-19 2018-05-18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의 이동 제어방법
KR20190117417A (ko) * 2019-09-2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로봇에 의한 물품의 배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29A (ko) * 2013-04-29 2014-11-06 박형상 스마트 락커 서비스 수행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523268B1 (ko) * 2013-07-30 2015-05-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층간이동을 위한 모바일 로봇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로봇 시스템
KR101691329B1 (ko) * 2016-05-30 2016-12-3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배송시스템 및 무인배송방법
KR101855861B1 (ko) * 2016-09-19 2018-05-18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의 이동 제어방법
KR20190117417A (ko) * 2019-09-2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로봇에 의한 물품의 배송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3098A1 (en) * 2021-07-06 2023-01-12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robot
US11972387B2 (en) 2021-07-06 2024-04-30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robot
WO2023287657A1 (en) * 2021-07-15 2023-01-19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delivery using a robot
WO2023027238A1 (en) * 2021-08-24 2023-03-02 Lg Electronics Inc. Delivery system
KR20230057876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와트 무인 배송 시스템
KR102624415B1 (ko) * 2021-10-22 2024-01-15 주식회사 와트 무인 배송 시스템
WO2024063215A1 (ko) *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 트위니 로봇이 충전되는 스테이션을 거점으로 택배 배송을 제공하는 택배 배송 시스 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33B1 (ko) 배송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US10901418B2 (en) Autonomous ground vehicles receiving items from transportation vehicles for delivery
KR102204950B1 (ko) 맞춤화가능한 목표에 기초한 창고 레이아웃의 최적화
US10265871B2 (en) Collaborative inventory monitoring
KR102130457B1 (ko) 재고 관리
JP4617293B2 (ja) 自律可動式駆動ユニット及び移動可能在庫トレイを用いる物品操作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89586B2 (en) Job management system for a fleet of autonomous mobile robots
US11308444B2 (en) Systems, methods, computing platforms, and storage media for directing and controlling a supply chain control territory in an autonomou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EP3504135A1 (en) Autonomous condensing of pallets of items in a warehouse
KR20180109120A (ko) 매장 및 창고에서 로봇을 활용한 주문상품 자동 수집 방법과 시스템
Alιm et al. Smart warehouses in logistics 4.0
JP7224419B1 (ja) 物流管理システム
KR102327293B1 (ko) 자율주행 무인운반차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