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918B1 -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918B1
KR102244918B1 KR1020140157306A KR20140157306A KR102244918B1 KR 102244918 B1 KR102244918 B1 KR 102244918B1 KR 1020140157306 A KR1020140157306 A KR 1020140157306A KR 20140157306 A KR20140157306 A KR 20140157306A KR 102244918 B1 KR102244918 B1 KR 10224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value
circuit
input displa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325A (ko
Inventor
양재호
왕먀오펑
신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96,808 priority Critical patent/US99226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0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포함된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는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서브-블록들로 나누는 블록 분리 회로와, 상기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을 계산하는 특성 값 계산 회로와, 계산된 특성 값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에 의해 생성된 서브-블록들의 개수와 크기는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CONTROLLER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SYSTEM HAVING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위 빛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인성(visibility)은 사람이 눈으로 보고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톤 매핑(tone mapping)은 제한된 동적 범위를 갖는 매체(medium)에서 높은 동적 범위 이미지들(high dynamic range images)의 모습(appearance)을 근사치로 계산하기(approximate) 위해 컬러들의 한 세트를 다른 세트로 매핑하는 이미지 처리와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톤 매핑 방식은 이미지 전체에 대해 오직 하나의 톤 매핑 연산자만을 사용하여 톤 매핑을 수행하는 글로벌 톤 매핑(global tone mapping)과,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을 해당 픽셀의 픽셀 값과 주변 픽셀들의 픽셀 값들에 따라 톤 매핑을 수행하는 로컬 톤 매핑(local tone mapping)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글로벌 톤 매핑 방식은 이미지의 동적 범위가 매우 클 때 톤 매핑된 이미지의 화질이 나빠지는 단점을 갖고, 상기 로컬 톤 매핑 방식은 톤 매핑 시 수행되는 연산량이 커서 실시간 처리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주위 빛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서, 상기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는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서브-블록들로 나누는 블록 분리 회로와, 상기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을 계산하는 특성 값 계산 회로와, 계산된 특성 값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에 의해 생성된 서브-블록들의 개수와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특성 값은 평균값, 중간값, 최소값, 및 최대값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상기 저장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서브-블록들 중에서 현재 픽셀의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의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하여 상기 픽셀의 조도 값을 생성하는 인터폴레이션 회로와, 가중값들 중에서 대응되는 가중값과 상기 조도 값을 이용하여 가중된 조도 값을 생성하는 가중 합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상기 평균값들을 인터폴레이팅을 할 때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한다.
상기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상기 서브-블록들 중에서 상기 현재 픽셀의 주위의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의 상기 특성 값들을 바이-리니어(bi-linear)하게 인터폴레이팅하여 상기 현재 픽셀의 상기 조도 값을 생성하고, 상기 특성값들은 평균값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주위 밝기 신호,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전력 절약 시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제1파라미터 값, 제2파라미터 값, 및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분석기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파라미터 값, 상기 제2파라미터 값, 및 사용자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지수 계수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글로벌 톤 매핑 회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중 값들 및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와,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저를 포함한다.
상기 주위 밝기 신호가 증가할 때,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이 증가할 때, 또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더 어두운 영역들이 존재할 때, 상기 분석기는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어두운 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파라미터 값을 조절하고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밝은 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파라미터 값을 조절한다.
상기 분석기는 상기 주위 밝기 신호가 증가할 때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이 증가할 때 또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기 더 어두운 영역들이 존재할 때,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감소시킨다.
상기 글로벌 톤 매핑 회로는 상기 제1파라미터 값과 사용자 제1설정 값을 이용하여 제1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1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제1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파라미터 값과 사용자 제2설정 값을 이용하여 제2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2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제2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제3설정 값,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지수 계수, 및 상기 제2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는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서브-블록들로 나누는 블록 분리 회로와, 상기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을 계산하는 특성 값 계산 회로와, 계산된 특성 값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에 의해 생성된 서브-블록들의 개수와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상기 저장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서브-블록들 중에서 현재 픽셀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의 평균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하여 상기 현재 픽셀의 조도 값을 생성하는 인터폴레이션 회로와, 상기 조도 값과 상기 가중 값들 중에서 대응되는 가중값을 이용하여 가중된 조도 값을 생성하는 가중 합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상기 평균값들을 인터폴레이팅을 할 때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한다.
상기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는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에 의해 생성된 가중된 조도 값을 가산하고, 최종 조도 값을 생성하는 가산 회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최종 지수 계수, 및 상기 최종 조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머저는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의 곱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주위 밝기 신호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주위 밝기 신호,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전력 절약 시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제1파라미터 값, 제2파라미터 값, 및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분석기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파라미터 값, 상기 제2파라미터 값, 및 사용자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지수 계수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글로벌 톤 매핑 회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중 값들 및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와,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조절하고, 조절된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서로 다른 칩에 구현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작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관리 IC와, 상기 조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관리 IC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작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주위 빛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주변 밝기 신호, 전력 절약 시도 레벨,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제1파라미터 값을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주변 밝기 신호, 전력 절약 시도 레벨,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제2파라미터 값을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주변 밝기 신호, 전력 절약 시도 레벨,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글로벌 톤 매핑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글로벌 톤 매핑 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각 스케일에 포함된 블록 분리 회로의 작동과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다양한 전자 회로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분석기(analyzer; 110), 글로벌 톤 패핑 회로(global tone mapping circuit; 120),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local contrast enhancement circuit; 130), 및 머저(merger; 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주위 밝기 신호(ambient light signal; 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power saving attempt level; 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수신하고,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와 조도 제어 신호(luminance control signal; BL)를 생성한다.
주위 밝기 신호(AL)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디스플레이 모듈) 근처의 주위 밝기 레벨(ambient light level)을 나타낸다. 주위 밝기 신호(AL)는 주위 밝기 센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위 밝기 센서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전력 절약의 시도 레벨(attempt level)을 나타낸다.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A) 내부의 전력 정책(power policy)에 따라 소프트웨어 또는 별도의 설정 회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기 이미지는 2D(dimensional)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일 수 있다.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특정한 주위 밝기 아래에서 향상된 시인성(enhanced visibility)을 갖는 결과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BL)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갖는 제1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BL)는, 백라이트 유닛을 갖지 않는 제2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multiple 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은 RGB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은 YCbCR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은 RGB 데이터 또는 YCbCr 데이터 이외에 알파 블렌딩(alpha blending)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강도(intensity)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가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들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과 멀티플 조도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제1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00)는 상기 멀티플 조도 제어 신호들을 결합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최종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제2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기 전에,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멀티플 조도 제어 신호들을 사용한다. 즉,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는 상기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조절하고 조절된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Ii)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로부터 하나의 구성 요소(예컨대, 강도(intensity))를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처리하고,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하나의 구성 요소와 하나의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하나의 구성 요소(예컨대, 강도)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하나의 구성 요소(예컨대, 강도) 사이의 향상 비율(enhancement ratio)을 계산하고,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을 생성하기 위해, 계산된 향상 비율을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Ii)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에 적용할 수 있다.
분석기(110)는, 주위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이용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글로벌 톤 매핑을 결정하기 위한 2개의 파라미터 값들(TA와 TB)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도 제어 신호(BL)를 생성한다. 이때,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Ii)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제어 신호(BL)는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제1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하거나, 백라이트 유닛을 갖지 않는 제2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제1파라미터 값(TA)을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석기(110)는,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 (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예컨대, 히스토그램 분석)에 따라, 제1파라미터 값(TA)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파라미터 값(TA)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어두운 톤(dark tone)의 향상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밝기 신호(AL)가 증가(또는 감소)하면, 제1파라미터 값(TA)은 증가(또는 감소)한다.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이 증가(또는 감소)하면, 제1파라미터 값(TA)은 증가(또는 감소)한다.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포함된 영역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좀더 어두운 영역들이 있으면, 제1파라미터 값(TA)은 증가(또는 감소)한다.
도 3은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제2파라미터 값(TB)을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석기(110)는,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 (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예컨대, 히스토그램 분석)에 따라, 제2파라미터 값(TB)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파라미터 값(TB)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밝은 톤(bright tone)의 향상을 제어할 수 있다.
분석기(110)는 제1파라미터 값(TA)을 결정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2파라미터 값(TB)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파라미터 값(TB)의 변동은 제1파라미터 값(TA)의 변동보다 작다. 왜냐하면, 인간 시각계(human visual system)는 어두운 값의 변화보다 밝은 값의 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도 4는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S-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석기(110)는, 주변 밝기 신호(AL), 전력 절약 시도 레벨 (PSAL), 및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대한 통계적 분석(예컨대, 히스토그램 분석)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BL)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밝기 신호(AL)가 증가(또는 감소)하면, 조도 제어 신호(BL)는 증가(또는 감소)한다.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이 증가(또는 감소)하면, 조도 제어 신호(BL)는 감소(또는 증가)한다.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에 포함된 영역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좀더 어두운 영역들이 있으면, 조도 제어 신호(BL)는 감소(또는 증가)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톤 매핑 회로(120)는 분석기(110)에서 생성된 파라미터 값들(TA와 TB)과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하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수신하고, 도 5에 도시된 글로벌 톤 매핑 곡선을 이용(또는 적용)하여, 어두운 톤(dark tone) 또는 밝은 톤(bright tone)에서 향상된 시인성(enhanced visibility)을 갖고 중간-톤(mid-tone)에서 감소된 컨트라스트(contrast) 또는 감소된 디테일(detail)을 갖는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IG)를 생성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글로벌 톤 매핑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글로벌 톤 매핑 곡선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글로벌 톤 매핑 곡선(GC), 예컨대 G-곡선은 2개의 파라미터 값들(TA와 TB)과 3개의 사용자 설정 값들(PA, PB, 및 α)에 따라 생성(또는 결정)될 수 있다.
글로벌 톤 매핑을 위한 제1중간 곡선(AC), 예컨대 A-곡선은 수학식 1에 따라 제1파라미터 값(TA)과 사용자 제1설정 값(PA)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1
여기서, EA는 지수 계수(exponent coefficient)를 나타내고, IA는 제1중간 곡선(AC)의 출력 데이터를 나타내고, Ii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나타낸다.
글로벌 톤 매핑을 위한 제2중간 곡선(BC), 예컨대 B-곡선은 수학식 2에 따라 제2파라미터 값(TB)과 사용자 제2설정 값(PB)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2
여기서, EB는 지수 계수를 나타내고, IB는 제2중간 곡선(BC)의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다.
글로벌 톤 매핑 회로(120)는 수학식 3과 같이 사용자 제3설정 값(α)을 이용하여 제1중간 곡선(AC)과 제2중간 곡선(BC)을 결합하여 글로벌 톤 매핑을 제어할 수 있는 글로벌 톤 매핑 곡선(GC)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3
여기서, EG는 최종 지수 계수를 나타내고, IG는 글로벌 톤 매핑 곡선(GC)의 출력 데이터, 즉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나타낸다.
예컨대, 사용자 제1설정 값(PA)이 0.1이고, 사용자 제2설정 값(PB)이 0.9이고, 사용자 제3설정 값(α)이 2일 수 있다. 사용자 제3설정 값(α)은 어두운 톤과 밝은 톤 사이에서 비대칭 향상의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톤 매핑 곡선(GC)은 어두운 톤에 대해 제1중간 곡선(AC)에 가깝고, 글로벌 톤 매핑 곡선(GC)은 밝은 톤에 대해 제2중간 곡선(BC)에 가깝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130)에 포함된 스케일들(scales)의 개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스케일들(131, 133, 및 135)을 포함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130)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하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가중 값들(Wi), 및 글로벌 톤 매핑 곡선(예컨대, 도 5의 G-곡선(GC))에 대한 최종 지수 계수(EG)를 수신하고, 로컬 톤 튜닝 신호(IL)를 생성한다.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130)는 3개의 스케일들(131, 133, 및 135), 제1가산기(137), 제2가산기(139), 및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141)를 포함한다.
가중 합산 회로들(131-5, 133-5, 및 135-5), 가산기(137), 제2가산기(139), 및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141)는 멀티플 스케일들의 결과들(L1, L2, 및 L3)을 결합하고, 로컬 톤 튜닝 신호(IL)를 생성한다.
제1스케일(131), 또는 제1스케일 회로(131)는 제1블록 분리 회로(131-1), 제1계산 회로(131-2), 제1저장 장치(131-3), 제1인터폴레이션 회로(131-4), 및 제1가중 합산 회로(131-5)를 포함한다.
제1블록 분리 회로(131-1)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제1멀티플 서브-블록들로 나눈다.
제1계산 회로(131-2)는 제1블록 분리 회로(131-1)에 의해 분리된 제1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을 계산한다. 상기 특성 값은 평균값, 중앙값, 최소값, 또는 최대값일 수 있다.
제1저장 장치(131-3)는 이전 디스플레이 데이터(또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위해 제1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에 대한 특성 값을 저장한다.
제1인터폴레이션 회로(131-4)는 처리될 픽셀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에 대한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bilinearly interpolating)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예컨대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픽셀에 대한 제1조도 값(L1)을 계산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인터폴레이션 회로(131-4)는 상기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할 때 상기 처리될 픽셀(예컨대,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인터폴레이션 회로(131-4)는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처리될 픽셀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에 대한 특성 값들(예컨대, 평균 값들)을 바이-리니어하게 인터폴레이팅(bilinearly interpolating)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예컨대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픽셀에 대한 제1조도 값(L1)을 계산할 수 있다.
제1가중 합산 회로(131-5)는 제1조도 값(L1)과 제1가중 값(W1)을 연산, 예컨대 곱하여 제1가중 조도 값을 생성한다.
제2스케일(133), 또는 제2스케일 회로(133)는 제2블록 분리 회로(133-1), 제2계산 회로(133-2), 제2저장 장치(133-3), 제2인터폴레이션 회로(133-4), 및 제2가중 합산 회로(133-5)를 포함한다.
제2블록 분리 회로(133-1)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제2멀티플 서브-블록들로 나눈다.
제2계산 회로(133-2)는 제2블록 분리 회로(133-1)에 의해 분리된 제2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예컨대 평균값)을 계산한다.
제2저장 장치(133-3)는 이전 디스플레이 데이터(또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위해 제2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에 대한 특성 값(예컨대, 평균값)을 저장한다.
제2인터폴레이션 회로(133-4)는 처리될 픽셀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에 대한 특성 값들(예컨대, 평균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예컨대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픽셀에 대한 제2조도 값(L2)을 계산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2인터폴레이션 회로(133-4)는 상기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할 때 상기 처리될 픽셀(예컨대,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인터폴레이션 회로(133-4)는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가중 합산 회로(133-5)는 제2조도 값(L2)과 제2가중 값(W2)을 연산, 예컨대 곱하여 제2가중 조도 값을 생성한다.
제3스케일(135), 또는 제3스케일 회로(135)는 제3블록 분리 회로(135-1), 제3계산 회로(135-2), 제3저장 장치(135-3), 및 제3인터폴레이션 회로(135-4), 및 제3가중 합산 회로(135-5)를 포함한다.
각 저장 장치(131-3, 133-3, 및 135-3)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각 저장 장치(131-3, 133-3, 및 135-3)는 레지시터, 플립-플롭, 또는 래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3블록 분리 회로(135-1)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제3멀티플 서브-블록들로 나눈다.
제3계산 회로(135-2)는 제3블록 분리 회로(135-1)에 의해 분리된 제3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예컨대, 평균값)을 계산한다.
제3저장 장치(135-3)는 이전 디스플레이 데이터(또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위해 제3멀티플 서브-블록들 각각에 대한 특성 값(예컨대, 평균값)을 저장한다.
제3인터폴레이션 회로(135-4)는 처리될 픽셀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에 대한 특성 값들(예컨대, 평균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예컨대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픽셀에 대한 제3조도 값(L3)을 계산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3인터폴레이션 회로(135-4)는 상기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할 때 상기 처리될 픽셀(예컨대,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인터폴레이션 회로(135-4)는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제3가중 합산 회로(135-5)는 제3조도 값(L3)과 제3가중 값(W3)을 연산, 예컨대 곱하여 제3가중 조도 값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중 값들(Wi)은 제1가중 값(W1), 제2가중 값(W2), 및 제3가중 값(W3)을 포함한다.
제1가산기(137)는 제2가중 조도 값과 제3가중 조도 값을 가산한다. 제2가산기(139)는 제1가산기(137)의 출력 값과 제1가중 조도 값을 가산하고, 최종 조도 값 (L)을 생성한다.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141)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하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 최종 조도 값(L), 및 글로벌 톤 매핑 곡선(예컨대, 도 5의 G-곡선(GC))에 대한 최종 지수 계수(EG)를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IL)를 생성한다.
스케일들(131, 133, 및 135) 각각에 의해 생성되는 멀티플 서브-블록들의 개수 및/또는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7은 각 스케일에 포함된 블록 분리 회로의 작동과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개념도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각 스케일(131, 133, 및 135)에 의해 생성되는 멀티플 서브-블록들의 개수 및/또는 크기는 실시 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제1스케일(131)의 제1블록 분리 회로(131-1)에 의해 1*1 서브 블록으로 나누어지고(도 7의 (a)),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제2스케일(133)의 제2블록 분리 회로(133-1)에 의해 3*3 서브 블록들로 나누어지고(도 7의 (b)),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제3스케일(135)의 제3블록 분리 회로(135-1)에 의해 5*5 서브 블록들로 나누어진다(도 7의 (c))고 가정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4개의 모서리들 각각에 위치하는 4개의 서브 블록들(SB1, SB3, SB7, 및 SB9) 각각은 가장 작은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4개의 모서리들에 위치하는 4개의 서브 블록들 (SB1, SB3, SB7, 및 SB9)을 제외하고,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 경계들 각각에 위치하는 서브-블록들(SB4, SB6, SB2, 및 SB8) 각각은 중간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나머지 블록(SB5)은 가장 큰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4개의 모서리들 각각에 위치하는 4개의 서브 블록들 각각은 가장 작은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4개의 모서리들에 위치하는 4개의 서브 블록들을 제외하고,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 경계들 각각에 위치하는 12개의 서브-블록들 각각은 중간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나머지 9개의 블록들 각각은 가장 큰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각 계산 회로(131-2, 133-2, 및 135-2)는 각 서브-블록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 값들의 특성 값을 계산한다. 상기 특성 값은 평균값, 중앙값, 최소값, 또는 최대값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특성 값은 상기 평균 값이라고 가정한다.
4개의 모서리 서브-블록들에 대해, 각 평균값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의 4개의 모서리 픽셀 각각 내에 위치한다.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 경계 서브-블록들에 대해, 각 평균값은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 경계를 따라 각 서브-블록의 중간에 위치한다. 나머지 블록들 각각에 대해, 각 평균값은 각 서브-블록의 중앙에 위치한다.
각 인터폴레이션 회로(131-4, 133-4, 및 135-4)가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로 구현될 때, 상기 각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수학식 4에 따라 각 현재 픽셀(예컨대, V1~V8)의 주위의 4개의 이웃 서브-블록들의 평균값들을 바이-리니어하게 인터폴레이팅하여 각 조도 값(L1, L2, 및 L3)을 계산할 수 있다.
각 인터폴레이션 회로(131-4, 133-4, 및 135-4)는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이외에 다양한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이 존재하므로, 제1스케일(131)은 인터폴레이션을 하지 않는다.
[수학식4]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4
최종 조도 신호(L)는 각 스케일(131, 133, 및 135)로부터 출력된 각 조도 신호(L1, L2, 및 L3), 즉 수학식 4에 따라 계산된 각 조도 신호(L1, L2, 및 L3)에 대한 가중 합산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수학식5]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5
여기서, Wi는 고정된 값 또는 내용-적응(content-adaptive) 값일 수 있다.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141)는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IL)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6
여기서, β는 로컬 톤 튜닝 신호(IL)의 강도(strength)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제1파라미터를 나타내고, EG는 최종 지수 계수를 나타내고, γ는 로컬 톤 튜닝 신호(IL)의 방향(direction)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제2파라미터를 나타내고, EL은 로컬 톤 튜닝 신호(IL)에 대한 지수 계수를 나타낸다. γ는 고정된 값 또는 내용-적응 값일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머저(140)는 글로벌 톤 매핑 회로(120)로부터 출력된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IG)와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130)로부터 출력된 로컬 톤 튜닝 신호(IL)를 수신하고, 수학식 7에 따라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생성한다.
[수학식 7]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7
하나의 구성 요소, 예컨대 강도(intensity)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로부터 추출된다면,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에 의해 생성된다.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모든 구성 요소를 얻기 위해서, 향상 비율 (Io/Ii)이 계산되고, 향상 비율(Io/Ii)이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예컨대, Ri, Gi, 및 Bi)에 수학식 8과 같이 적용되면,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예컨대, Ro, Go, 및 Bo)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생성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14109061466-pat00008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A)은 조도 센서(310), 프로세서(320A), 및 디스플레이 모듈(330A)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20A)와 디스플레이 모듈(330A)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시리얼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DSI))일 수도 있고 eDP(embedded displayPort)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일 수도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BL)와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330A)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신호 전송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부터 도 11에 도시된 각 디스플레이 시스템(300A, 300B, 300C, 또는 300D)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00A, 300B, 300C, 또는 300D)은 TV, DTV(digital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inal computer),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웨어러블 컴퓨터,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IoE)) 장치, 또는 e-북(e-boo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 센서(31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00A)의 주위 밝기를 감지하고, 주위 밝기 신호(AL)를 생성한다.
프로세서(320A)는 디스플레이 모듈(330A)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세서(320A)는 집적 회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모바일 A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A)는 호스트로 불릴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A)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 처리 회로(321), 이미지 처리 회로(322), 및 CPU(3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는 도 1부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 회로(321)는 조도 센서(310)에 의해 생성된 주위 밝기 신호(AL)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주위 밝기 신호(AL)로 처리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도 센서(310)에 의해 생성된 주위 밝기 신호(AL)와 처리 회로(321)에 의해 생성된 주위 밝기 신호(AL)를 동일하게 표시하나, 실시 예들에 따라 조도 센서(310)에 의해 생성된 주위 밝기 신호(AL)와 처리 회로(321)에 의해 생성된 주위 밝기 신호(AL)는 서로 다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처리 회로(322)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회로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미지 처리 회로(322)는 카메라 인터페이스, 코덱(codec), 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CPU(324)는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의 설정 및/또는 가중 값들(Wi)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CPU(321)는 각 구성 요소(321, 322, 및 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0A)은 디스플레이 패널(331)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DDI); 335A)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330A)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포함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331)은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1)을 구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A)는,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B)은 조도 센서 (310), 프로세서(320A), 및 디스플레이 모듈(330B)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20A)와 디스플레이 모듈(330B)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는 DSI, eDP 인터페이스, 또는 HDMI일 수도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조도 제어 신호(BL)와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330B)로 전송될 수 있다.
조도 센서(31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00B)의 주위 밝기를 감지하고, 주위 밝기 신호(AL)를 생성한다.
도 9의 프로세서(320A)의 구조와 작동은 도 8의 프로세서(320A)의 구조와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디스플레이 모듈(330B)은 디스플레이 패널(331), 백라이트 유닛(33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A), 및 전력 관리 IC(power management IC(PMIC); 33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31)은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33)은 PMIC(337)로부터 출력되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BLUi)에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335A)는,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PMIC(33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PMIC(337)는,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33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BLUi)를 백라이트 유닛(33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C)은 조도 센서 (310), 프로세서(320B), 및 디스플레이 모듈(330C)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20B)와 디스플레이 모듈(330C)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는 DSI, eDP 인터페이스, 또는 HDMI일 수도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주위 밝기 신호(AL)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330C)로 전송될 수 있다.
조도 센서(31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00C)의 주위 밝기를 감지하고, 주위 밝기 신호(AL)를 생성한다.
프로세서(320B)는 디스플레이 모듈(330C)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세서(320B)는 집적 회로, SoC, AP, 또는 모바일 A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B)는 처리 회로(321), 이미지 처리 회로(322), 및 CPU(324)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321)는 주위 밝기 신호(AL) 또는 주위 밝기 신호(AL)에 관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330C)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로 출력한다.
이미지 처리 회로(322)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를 생성할 수 있는 회로를 의미한다. CPU(324)는 전력 절약 시도 레벨(PSAL) 및/또는 가중 값들(Wi)을 디스플레이 모듈(330C)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의 레지스터에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0C)은 디스플레이 패널(331)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335B)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330C)은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는 디스플레이 패널(331)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o)의 멀티플 구성 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D)은 조도 센서(310), 프로세서(320B), 및 디스플레이 모듈(330D)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320B)와 디스플레이 모듈(330D)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는 DSI, eDP 인터페이스, 또는 HDMI일 수도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주위 밝기 신호(AL)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Ii)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330D)로 전송될 수 있다.
조도 센서(31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00D)의 주위 밝기를 감지하고, 주위 밝기 신호(AL)를 생성한다.
도 11의 프로세서(320B)의 구조와 작동은 도 10의 프로세서(320B)의 구조와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디스플레이 모듈(330D)은 디스플레이 패널(331), 백라이트 유닛(33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 및 PMIC(33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는 디스플레이 패널(331)을 구동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33)은 PMIC(337)로부터 출력되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 (BLUi)에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5B)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PMIC(33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PMIC(337)는, 조도 제어 신호(BL)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33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BLUi)를 백라이트 유닛(33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10; 분석기
120; 글로벌 톤 매핑 회로
130;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
140; 머저
131, 133, 및 135; 스케일 또는 스케일 회로
131-1, 133-1, 135-1; 블록 분리 회로
131-2, 133-2, 135-2; 평균 값 계산 회로
131-3, 133-3, 135-3; 메모리/레지스터
131-4, 133-4, 135-4; 바이-리니어 인터폴레이션 회로
131-5, 133-5, 135-5; 가중 합산 회로
137, 139; 가산기
141; 로컬 톤 튜닝 계산 회로

Claims (10)

  1. 주위 밝기 신호,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주위 밝기 신호,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제1파라미터 값, 제2파라미터 값, 및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또는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분석기; 및
    상기 제1파라미터 값 및 상기 제2파라미터 값에 의해 결정되는 최종 지수 계수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을 포함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서브-블록들로 나누는 블록 분리 회로, 상기 서브-블록들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값을 계산하는 특성 값 계산 회로 및 계산된 상기 특성 값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에 의해 생성된 서브-블록들의 개수와 크기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값은 평균값, 중간값, 최소값, 및 최대값 중에서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케일 회로들 각각은,
    상기 저장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서브-블록들 중에서 현재 픽셀의 주위의 이웃 서브-블록들의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하여 상기 픽셀의 조도 값을 생성하는 인터폴레이션 회로; 및
    가중값들 중에서 대응되는 가중값과 상기 조도 값을 이용하여 가중된 조도 값을 생성하는 가중 합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상기 특성 값들을 인터폴레이팅을 할 때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폴레이션 회로는 상기 서브-블록들 중에서 상기 현재 픽셀의 주위의 상기 이웃 서브-블록들의 상기 특성 값들을 바이-리니어(bi-linear)하게 인터폴레이팅하여 상기 현재 픽셀의 상기 조도 값을 생성하고,
    상기 특성 값들은 평균값들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5. 주위 밝기 신호,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주위 밝기 신호,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제1파라미터 값, 제2파라미터 값, 및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또는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분석기;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파라미터 값, 상기 제2파라미터 값, 및 사용자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지수 계수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글로벌 톤 매핑 회로;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중 값들, 및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 및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밝기 신호가 증가할 때,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이 증가할 때, 또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더 어두운 영역들이 존재할 때,
    상기 분석기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어두운 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파라미터 값을 조절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밝은 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파라미터 값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주위 밝기 신호가 증가할 때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이 증가할 때 또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기 더 어두운 영역들이 존재할 때,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톤 매핑 회로는,
    상기 제1파라미터 값과 사용자 제1설정 값을 이용하여 제1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1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제1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파라미터 값과 사용자 제2설정 값을 이용하여 제2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2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제2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제3설정 값,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지수 계수, 및 상기 제2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9. 주위 밝기 신호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주위 밝기 신호,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전력 절약 시도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주위 밝기 신호,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전력 절약 시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제1파라미터 값, 제2파라미터 값, 및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또는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분석기;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상기 제1파라미터 값, 상기 제2파라미터 값, 및 사용자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최종 지수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지수 계수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글로벌 톤 매핑 회로;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중 값들, 및 상기 최종 지수 계수를 이용하여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컨트라스트 향상 회로; 및
    상기 중간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로컬 톤 튜닝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조절하고, 조절된 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40157306A 2014-07-11 2014-11-12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4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96,808 US9922616B2 (en) 2014-07-11 2015-07-10 Display controller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3408P 2014-07-11 2014-07-11
US62/023,408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25A KR20160007325A (ko) 2016-01-20
KR102244918B1 true KR102244918B1 (ko) 2021-04-27

Family

ID=5530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06A KR102244918B1 (ko) 2014-07-11 2014-11-12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2616B2 (ko)
KR (1) KR102244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7359B1 (en) * 2020-06-24 2021-06-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al-time rendering stylized passthrough images
KR20230174779A (ko) * 2022-06-21 2023-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콘트라스트 증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239B1 (ko) * 2006-06-27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0748D0 (en) 2001-05-02 2001-06-27 Apical Ltd Image enhancement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JP4372747B2 (ja) * 2005-01-25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輝度レベル変換装置、輝度レベル変換方法、固体撮像装置、輝度レベル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31322B2 (en) 2007-05-03 2014-05-20 Mtekvision Co., Ltd. Image brightnes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303665B1 (ko) * 2007-06-13 2013-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트라스트 향상 방법 및 장치
EP2048616A1 (en) 2007-10-08 2009-04-15 Agfa HealthCare NV Method of generating a multiscale contrast enhanced image
US8363131B2 (en) 2009-01-15 2013-01-29 Aptina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 contrast enhanced tone mapping
KR101330396B1 (ko) * 2010-06-25 2013-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콘트라스트 향상 방법
CN102959583B (zh) 2010-06-25 2016-08-03 汤姆森特许公司 色调映射高动态范围视频的图形用户界面
GB201020983D0 (en) 2010-12-10 2011-01-26 Apical Ltd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system
TWI538473B (zh) 2011-03-15 2016-06-1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影像資料轉換的方法與設備
WO2012127904A1 (ja) 2011-03-24 2012-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9451225B2 (en) 2011-08-12 2016-09-2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Color augmented local area contrast enhancement
US9105078B2 (en) 2012-05-31 2015-08-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 tone mapping
KR101389930B1 (ko) 2012-08-17 2014-04-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톤 매핑 장치 및 방법
KR101767094B1 (ko) * 2012-12-03 2017-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40169669A1 (en) 2012-12-19 2014-06-19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Tone mapping method of high dynamic range image/vide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239B1 (ko) * 2006-06-27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3248A1 (en) 2016-06-09
KR20160007325A (ko) 2016-01-20
US9922616B2 (en)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4313B2 (en) Adaptive tone map to a region of interest to yield a low dynamic range image
US966129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3493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olor adjustment of pixels on a color display
US20050254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the dynamic range of an image
WO2018072270A1 (zh) 一种图像显示增强方法及装置
JP6315931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の動作を制御する、SoC、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セッサ、及び携帯用電子装置
CN107993616A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装置
KR102465313B1 (ko)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US98588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60335948A1 (en) Local pixel luminance adjustments
KR1025893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hang et al. SSIM-based quality-on-demand energy-saving schemes for OLED displays
KR20070074590A (ko) 2차원 이미지의 원근 변환
KR20190001466A (ko)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1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WO2020098624A1 (zh) 显示方法、装置、vr显示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44918B1 (ko)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767278A (zh) 基于非均匀大气光先验的图像去雾方法及相关设备
JP6739257B2 (ja)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25688A1 (en) Method for enhancing contrast of color image displayed on displa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US9911399B2 (en) Method of image processing, image process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image processor
US20190012772A1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ynamic range expansion of digital image
US9401124B2 (en) Rendering method
US20090284543A1 (en) Compu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US10204538B2 (e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