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63B1 -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63B1
KR102244063B1 KR1020190124472A KR20190124472A KR102244063B1 KR 102244063 B1 KR102244063 B1 KR 102244063B1 KR 1020190124472 A KR1020190124472 A KR 1020190124472A KR 20190124472 A KR20190124472 A KR 20190124472A KR 102244063 B1 KR102244063 B1 KR 10224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re earth
filter layer
wa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006A (en
Inventor
강오현
기상인
Original Assignee
(주)힐링123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힐링123 filed Critical (주)힐링123
Priority to KR102019012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6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0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희토류 성분에 의한 입자로 형성된 필터 층을 가진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는 유입되는 물의 여과를 위한 1 필터 층(12); 1 필터 층(12)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키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11); 및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2 필터 층(13)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 입자는 전체 입자 중량의 0.6 wt% 이상의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odule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module having a filter layer formed of particles by the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A filter module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include one filter layer 12 for filtering incoming water; 1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containing a rare earth component for filter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layer 12; And two filter layers 13 for filter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wherein the rare earth particles contain a rare earth component of 0.6 wt% or more of the total weight of the particles.

Description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희토류 성분에 의한 입자로 형성된 필터 층을 가진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odule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module having a filter layer formed of particles by the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산업 발전에 따른 환경오염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물은 정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물의 섭취를 위하여 주로 정수기가 사용되고, 정수기는 일차적으로 정수된 물을 다시 필터에 의하여 여과시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대량 식수 공급을 위한 식수 저장 장치 또는 정수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수 장치 또는 필터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40048호는 나노 기공을 가지는 세라믹 필터가 구비된 냉온 정수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55806호는 필터의 하우징 내부에 이온 교환 섬유가 부착된 필터에 대하여 개시한다. Water used for domestic or industrial purpos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or other causes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undergoes a purification process. In particular, a water purifier is mainly used for intake of water, and the water purifier has a function of supplying purified water by first filtering the purified water again by a filter. Various types of water purification devices or filter devices applied to drinking water storage devices or water purifiers for bulk drinking water supply ar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0048 discloses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eramic filter having nano pores,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5806 has an ion exchange fiber inside the filter housing. Disclosed is the attached filter.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세라믹 필터, 이온 교환 섬유 필터 또는 공지 기술에서 사용되는 활성탄 필터 또는 역-삼투압 필터의 경우 물에 포함된 유용한 성분이 함께 제거될 수 있고, 교환 주기가 짧다는 단점을 가진다. 필터 또는 정수 장치는 불순물 또는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면서 이와 동시에 유리한 성분을 그대로 유지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물의 특성을 유리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이와 같은 필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e ceramic filt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ion exchange fiber filter, or the activated carbon filter or reverse-osmotic filter used in the known art,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water can be removed together, and the exchange period is shor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ilter or water purifying device has a function of removing impurities or harmful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advantageous components as they are or changing properties of water into advantageous forms as necessary. However, prior art or known art does not disclose such a filter.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objec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55806호(위니아만도 주식회사, 2006년05월24일 공개)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이온 정수기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5806 (Winiamando Co., Ltd., published on May 24, 2006) Water purifier filter and ion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40048호(주식회사 웰코, 2015년12월15일 공개) 나노 기공을 갖는 세라믹 필터가 구비된 냉온 정수기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0048 (Welco Co., Ltd., published on December 15, 2015) Cold and hot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eramic filter with nano pores

본 발명의 목적은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필터 층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module including a filter layer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는 유입되는 물의 여과를 위한 1 필터 층; 1 필터 층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키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 및 희토류 필터 층을 통과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2 필터 층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 입자는 전체 입자 중량의 0.6 wt% 이상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module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include one filter layer for filtering incoming water; 1 A rare earth filter layer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for filter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layer; And two filter layers for filter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wherein the rare earth particles are at least 0.6 wt% of the total particle weight.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1 필터 층은 제올라이트 층 및 모래 입자 층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filter layer comprises a layer of zeolite and a layer of sand particle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1 필터 층의 위쪽에 형성되고, 0.01 내지 1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투과 홀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ramic filter formed above one filter layer and having a permeable ho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10.0 µm is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되는 물이 0.01 내지 0.5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투과 홀로 유도되도록 하는 세라믹 필터; 세라믹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전체 입자 중량의 0.6 wt% 이상이 되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으로 유도하는 필터 모듈; 및 필터 모듈을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탭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탭의 배출 경로에 니오븀 소재의 자성 유닛이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ramic filter to guide the incoming water into the permeate ho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0.5 ㎛; A filter module for guid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eramic filter to a rare earth filter layer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including a rare earth component that is 0.6 wt%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weight; And a discharge tab for discharg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odule, and a magnetic unit made of niobium is disposed in a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tab.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은 희토류 필터 층을 통과하는 물을 자기 특성을 변화시켜 인체가 유리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제올라이트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가 함께 적용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세균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의 알칼리 특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음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so that the human body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various types of bacteria or foreign substances to be removed by applying a zeolite filter or a ceramic filter together.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umed while maintaining the alkaline properties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if they are not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filter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필터 모듈은 유입되는 물의 여과를 위한 1 필터 층(12); 1 필터 층(12)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키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11); 및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2 필터 층(13)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 입자는 전체 입자 중량의 0.6 wt% 이상의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ilter module includes one filter layer 12 for filtering incoming water; 1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containing a rare earth component for filter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layer 12; And two filter layers 13 for filter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wherein the rare earth particles contain a rare earth component of 0.6 wt% or more of the total weight of the particles.

필터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정수기의 내부를 비롯하여 대량의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저장 탱크와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모듈(10)은 소형으로 만들어져 휴대용 식수통의 내부 또는 배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모듈(10)은 식수 공급 용도를 가진 다양한 컨테이너, 기기 또는 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 layer, and may be installed inside a water purifier and in a drinking water storage tank supplying a large amount of drinking water. In addition, the filter module 10 may be made small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or outlet of the portable drinking water container. As such, the filter module 1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containers, devices, or facilitie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1 필터 층(12)은 이물질, 불순물 또는 세균의 제거 기능을 가지거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필터, 제올라이트 필터, 역-삼투 필터, 탄소 필터, 모래 필터 또는 부직포 필터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필터 층(12)은 입자 형태의 이물질 제거 또는 탈취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1 필터 층(12)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희토류 필터 층(11)으로 유도될 수 있다. 1 The filter layer 12 may have a func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mpurities, or bacteria, or may have a function of generating anions. For example,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zeolite filter, a reverse osmosis filter, a carbon filter, a sand filter or a nonwoven fabri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uch as a filter. 1 The filter layer 12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ilters for removing or deodoriz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by the 1 filter layer 12 may be guided to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have.

희토류 필터 층(11)은 희토류 입자(RG)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희토류 입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거나,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희토류는 란탄 계열의 원소, 이트륨 또는 스칸듐을 포함할 수 있고, 희토류 입자는 적어도 하나의 이와 같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희토류 입자는 원석으로부터 제련이 되고, 분말 형태로 만들어지고, 바인더 또는 첨가물이 첨가되어 소성이 적절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적절한 형상은 예를 들어 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희토류 입자는 원석으로부터 제련이 되고, 임의의 형태로 분쇄가 될 수 있다. 희토류 광물은 바스트나사이트(bastnasite), 모자나이트(monazite), 크세노타임(xenotime) 또는 이온 흡착광의 형태로 채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석은 예를 들어 황산 용액, 염산 용액, 가성소다 또는 이와 유사한 용액에 침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희토류에 속하지 않는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적절한 수준으로 원석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면, 원석은 세척이 될 수 있고, 이후 500 내지 1200 ℃의 온도에서 소성이 될 수 있다. 이후 원석은 적절한 크기로 분쇄되어 임의의 형태의 입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y be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RG, and different rare earth particles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or may have an irregular shape. The rare earth may include a lanthanum-based element, yttrium or scandium, and the rare earth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such rare earth element. Rare earth particles are smelted from the gemstone, made into a powder form, and a binder or additive may be added to make the sintering have an appropriate shape. A suitable shape may be, for example, a spherical or simi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rare earth particles can be smelted from the gemstone and ground into any shape. Rare earth minerals can be mined in the form of bastnasite, monazite, xenotime or ion adsorption light. Such a gemstone may be immersed in, for example, a sulfuric acid solution, hydrochloric acid solution, caustic soda, or a similar solution, whereby components not included in the rare earth may be removed. When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gemstone to an appropriate level, the gemstone can be washed and then fired at a temperature of 500 to 1200°C. The gemstone can then be crushed to an appropriate size to form particles of any shape.

희토류 필터 층(11)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입자 또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입자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입자 형태의 희토류 입자는 0.6 wt% 이상의 희토류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6 wt% 내지 5.0 wt%의 희토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y be made of particles having various sizes, and may be made of particles having the same or similar shape or particles having an arbitrary shape. The rare earth particles in the form of particles may include 0.6 wt% or more of the rare earth compon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0.6 wt% to 5.0 wt% of the rare earth component.

불순물이 제거된 물이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하면서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토류 입자에 포함된 니오븀, 스칸듐, 이트륨 또는 이와 유사한 희토류 성분에 의하여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한 물은 2 필터 층(13)으로 유도될 수 있다. 2 필터 층(13)은 마그네슘 또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필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실리카 입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혼합이 되어 1.0 ㎛ 내지 5.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구형 입자로 만들어질 수 있다. 2 필터 층(13)은 20 내지 30 wt%의 마그네슘 입자와 70 내지 80 wt%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리카 입자는 다공성 실리카 입자가 될 수 있다. 2 필터 층(13)은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한 물의 알칼리 특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 필터 층(13)을 통과한 물의 pH는 7.2 내지 7.8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water from which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passes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may change. For example,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may be changed by niobium, scandium, yttrium, or similar rare earth components contained in the rare earth particles.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can be led to the second filter layer 13. 2 The filter layer 13 may be a filter including magnesium or silica particles. For example, the magnesium or silica particles may be independently or mixed with each other to form spherical partic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0 μm to 5.0 mm. 2 The filter layer 13 may be made of 20 to 30 wt% of magnesium particles and 70 to 80 wt% of silica particles, and the silica particles may be porous silica particles. 2 The filter layer 13 allows the alkali properties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to be improved. For example, the pH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wo filter layers 13 may be 7.2 to 7.8, but is not limited thereto.

희토류 필터 층(11)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층 구조 필터 모듈(10a)로 만들어지거나, 케이스 구조 필터 모듈(10b)로 만들어질 수 있다. 층 구조 필터 모듈(10a)은 도 1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희토류 필터 층(11)이 다른 필터 층(12, 13)과 함께 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은 유입 유닛(15)으로 유입되고, 이후 1 필터 층(12), 희토류 필터 층(11) 및 2 필터 층(13)을 통과하여 자화 유도 유닛(14)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자화 유도 유닛(14)은 니오븀 또는 이와 유사한 희토류 성분, 페라이트 금속 또는 맥반석과 같은 성분을 혼합하여 원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형상의 2 필터 층(13)의 아래쪽 부분이 중앙 부분에 고정 홀이 형성된 자화 유도 유닛(14)의 위쪽 부분에 아래쪽 부분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층 구조 필터 모듈(10a)은 예를 들어 정수기 또는 휴대용 물통과 같은 식수 공급 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y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layered filter module 10a or a case structured filter module 10b. In the layered filter module 10a, as shown in FIG. 1A,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y be formed in a layered structure together with other filter layers 12 and 13. The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unit 15 and then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layer 12,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and the second filter layer 13 and discharged through the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The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may be made into a disc shape by mixing niobium or a similar rare earth component, a ferrite metal, or a component such as elvan.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shaped two filter layers 13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in which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layered filter module 10a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installed in a drinking water supply means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portable bucket.

도 1의 (나)를 참조하면, 케이스 구조 필터 모듈(10b)은 속이 박스 형상 또는 실린더 형상의 희토류 필터 층(11a)을 가질 수 있고, 희토류 필터 층(11a)은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정제된 희토류 입자(RG)가 배치될 수 있다. 희토류 필터 층(11a)의 내부에 서로 다른 크기 및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희토류 입자(RG)가 수용되고, 희토류 필터 층(11a)의 위쪽에 다수 개의 유입 기공(151)이 형성된 유입 덮개(15a)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유입 덮개(15a)는 분리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입 기공(151)은 1.0 ㎛ 내지 2.0 ㎜의 크기를 가지면서 유입 덮개(15a)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균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희토류 필터 층(11a)의 바닥 면에 자화 유도 유닛(14)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진 자기 배출 유닛(14a)이 결합될 수 있다. 자기 배출 유닛(14a)은 유입 덮개(15a)에 형성된 유입 기공(151)과 유사한 배출 공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 the case structure filter module 10b may have a rare earth filter layer 11a having a hollow box shape or a cylinder shape, and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a is a purified Rare earth particles RG may be disposed. Inlet cover 15a in which rare earth particles RG having different sizes and arbitrary shape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a, and a plurality of inlet pores 151 are formed above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a It can be sealed by The inlet cover 15a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and for example, the inlet pores 151 may have a size of 1.0 μm to 2.0 mm and may be made uniformly in a shape penetrating the inlet cover 15a. In addition, a magnetic discharge unit 14a made of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a. The magnetic discharge unit 14a may have a discharge hole similar to the inlet hole 151 formed in the inlet cover 15a.

케이스 구조 필터 모듈(10b)은 예를 들어 정수 탱크와 같은 곳에 배치될 수 있고, 정수 탱크 내부의 물은 지속적으로 희토류 필터 층(11a)의 내부로 유입되어 자화가 된 이후 배출이 될 수 있다. 이후 자화가 된 물은 저장 탱크로부터 식수 배출 수단을 통하여 배출되어 음용될 수 있다. 케이스 구조 필터 모듈(10b)은 저장 탱크와 같이 물이 저장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수 공급 설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ase structure filter module 10b may be disposed in, for example, a water purification tank, and water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may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a and discharged after being magnetized. Afterwards, the magnetiz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through a drinking water discharge means and can be consumed. The case structure filter module 10b may be disposed in an area where water is stored, such as a storage tan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in various drinking water supply facilities.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10)은 기본적으로 희토류 필터 층(11, 11a)을 포함하고, 희토류 필터 층(11, 11a)과 함께 불순물 또는 세균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유용한 성분의 생성을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 또는 성분이 필터 모듈(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the rare earth filter layers 11 and 11a, and may include various filters for removing impurities or bacteria together with the rare earth filter layers 11 and 11a. Filters may be included for the generation of useful components. Filters or components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disposed in the filter module 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1 필터 층(12)은 제올라이트 층(231) 및 모래 입자 층(23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one filter layer 12 may include a zeolite layer 231 and a sand particle layer 232.

1 필터 층(12)은 예를 들어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의 층 배치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층 배치 케이스(21)의 위쪽 부분에 유입 유닛(15)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층 배치 케이스(21)에 활성 카본 층(24), 제올라이트 층(231) 및 모래 입자 층(232)이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고, 모래 입자 층(232)의 아래쪽에 희토류 필터 층(1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희토류 필터 층(11)의 아래쪽에 마그네슘과 실리카의 입자를 포함하는 2 필터 층(13)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층(24, 231, 232, 11, 13)은 천정 면과 바닥 면에 유입 기공과 배출 기공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는 층 배치 케이스(21)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필터 케이스에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필터 성분이 배치될 수 있다.1 The filter layer 12 may be disposed inside the layer arrangement case 21 having a hollow cylinder shape, for example, and the inlet unit 1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ayer arrangement case 21. In addition, the activated carbon layer 24, the zeolite layer 231, and the sand particle layer 232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layer arrangement case 21, and a rare earth filter layer 11 under the sand particle layer 232 Can be placed. In addition, two filter layers 13 including magnesium and silica particles may be disposed under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Each of the layers (24, 231, 232, 11, 13) may be formed in a filter case in which inlet and outlet pores are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lter case forming each layer is a layer arrangement case (21). )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each filter component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each filter case.

예를 들어 카본 필터 케이스, 제올라이트 필터 케이스, 모래 필터 케이스, 희토류 필터 케이스 및 2 필터 케이스에 카본 필터, 제올라이트 입자, 모래 입자, 희토류 입자 및 마그네슘/실리카 입자가 수용되어 필터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활성 카본 층(24)은 카본 섬유 필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탈취, 화학 성분 제거 또는 다양한 형태의 유기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올라이트 필터의 제올라이트 입자 또는 맥반석 입자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입자 또는 맥반석 입자는 다공성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입자는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표면적이 500 내지 1,000 ㎡/g, 기공 면적이 0.8 내지 1.6 ㎤/g 그리고 기공의 평균 직경이 30 내지 60 옹스트롬이 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 입자는 항균 또는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활성 카본 층(24)에서 제거되지 않은 세균 또는 화학 성분이 제거되도록 하면서 물 분자가 희토류 필터 층(11)에서 자화가 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위하여 유리하다. 제시된 구조를 벗어나면 물의 배출 속력이 낮아지도록 하거나, 희토류 성분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기 어렵게 된다.For example, carbon filter, zeolite particles, sand particles, rare earth particles, and magnesium/silica particl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rbon filter case, zeolite filter case, sand filter case, rare earth filter case and 2 filter case to have a filter function. have. The activated carbon layer 24 may be the same as a carbon fiber filter, and may have a function of deodorizing, removing chemical components, or removing various types of organic components. It may be formed of zeolite particles or elvanite particles of the zeolite filter, for example, the zeolite particles or elvanite particles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 example, the zeolite particles may have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specifically, the surface area is 500 to 1,000 m2/g, a pore area of 0.8 to 1.6 cm3/g, and an average pore diameter of 30 to 60 angstroms. The zeolite particles may have an antibacterial or deodorizing function, and in the case of having the suggested structure, water molecules may be magnetized in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while allowing bacteria or chemical components not removed from the activated carbon layer 24 to be removed. It is advantageous to become a structure. If the structure deviates from the suggested structure, the speed of water discharge is lowered, or the effect of the rare earth component becomes difficult to sufficiently appear.

모래 입자 층(232)은 0.02 내지 0.002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1 모래 입자 및 0.02 내지 2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2 모래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1 모래 입자와 2 모래 입자는 중량 비율로 10 : 20 내지 50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모래 입자 층(232)은 희토류 필터 층(11)으로 유입되는 물의 속력을 조절하면서 병원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희토류 필터 층(11)은 도 1에 제시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and particle layer 232 may be made of 1 sand partic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2 to 0.002 mm and 2 sand partic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2 to 2 mm, and 1 sand particle and 2 sand particles are 10 by weight ratio: It may be mixed in a ratio of 20 to 50. The sand particle layer 232 may have a function of removing pathogens while controlling the speed of water flowing into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In addition,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y be formed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2 필터 층(13)은 마그네슘과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2 필터 층(13)은 마그네슘 또는 규산염 광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규산염 광물은 SiO2, Fe, Ca, K, Mg 또는 Al을 포함하는 광물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2 필터 층(13)의 아래쪽에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원판 형상의 자기 유도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자기 유도 유닛은 원판 자성 판(22)이 될 수 있고, 원판 자성 판(22)은 니오븀 및 규사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오븀은 원판 자성 판(22)의 전체 중량의 0.1 내지 1.5 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원판 자성 판(22)은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하면서 변화된 물의 전기 또는 자기 특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원판 자성 판(22)은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판이 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판 자성 판(22)의 관통 홀에 2 필터 층(13)의 아래쪽 부분이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원판 자성 판(22)은 희토류 필터 층(1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원판 자성 판(22)이 해당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원판 자성 판(2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two filter layers 13 may be made of magnesium and silica particles. Alternatively, the two filter layer 13 may be made of magnesium or silicate mineral, and the silicate mineral may be in the form of a mineral including SiO 2, Fe, Ca, K, Mg or Al. And, as described above, a magnetic induction unit in the shape of a disc may be coupled under the two filter layers 13. The magnetic induction unit may be a disc magnetic plate 22, and the disc magnetic plate 22 may be made of a mixture of niobium and silica sand. Niobium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5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magnetic plate 22. The disc magnetic plate 22 may function to enhance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of the chang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The disc magnetic plate 22 may be made in a structure that becomes a disc as a whole whi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layer 13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disc magnetic plate 22 so that the disc magnetic plate 22 is positioned under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And by such a structure, the magnetic plate 22 may have a corresponding function. The disc magnetic plate 22 may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필터 모듈(10)은 1 필터 층(12)의 위쪽에 형성되고, 0.01 내지 1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투과 홀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10 may include a ceramic filter 31 formed above one filter layer 12 and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10.0 µm.

유입 유닛(15)의 위쪽에 결합 부분이 형성되고, 세라믹 필터(31)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결합 부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세라믹 필터(31)는 아래쪽 부분에 결합 부위가 형성된 필터 케이스(311); 필터 케이스(311)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313); 및 돔 형상을 가지면서 베이스 유닛(313)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는 필터 몸체(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유닛(313)은 위에서 설명된 자기 유도 유닛과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터 몸체(312)는 베이스 유닛(313)에 결합되면서 실린더 형상이 되는 결합 부위 및 실린더 부위의 위쪽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유입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몸체(312)는 다공질 알루미나세라믹, 무기질 세라믹, 파인 세라믹과 같은 세라믹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0.01 내지 10.0 ㎛의 평균 직경, 바람직하게 0.1 내지 2.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가 될 수 있고, 기공 비율은 30 내지 60 %가 될 수 있다. 필터 몸체(312)는 세라믹, 규소 또는 실리카(SiO2)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900 내지 1,500 ℃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규소 또는 실리카는 세라믹 소재를 결합시키면서 기공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above the inlet unit 15, and the ceramic filter 31 may be made independent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e ceramic filter 31 includes a filter case 311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ase unit 313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311; And a filter body 312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313 while having a dome shape. The base unit 313 may be made in a similar structure to the magnetic induction unit described above, and the filter body 312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bove the cylinder-shaped coupling portion and the cylinder por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base unit 313 It can be made of an inlet site. The filter body 312 may be made of a ceramic material such as porous alumina ceramic, inorganic ceramic, and fine ceramic, and may have a porous structur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10.0 µm, preferably 0.1 to 2.0 µm, and , The porosity ratio may be 30 to 60%. The filter body 312 may be made of a mixture of ceramic, silicon, or silica (SiO 2 ), and may be made, for example, by firing a mixture in the form of a powder at a temperature of 900 to 1,500°C. Silicon or silica may hav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size of pores while bonding the ceramic material.

세라믹 필터(31)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eramic filter 31 may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희토류 필터 층을 포함하는 정수기(40)는 유입되는 물이 0.01 내지 1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투과 홀로 유도되도록 하는 세라믹 필터(31); 세라믹 필터(31)를 통과한 물이 전체 입자 중량의 0.6 wt% 이상이 되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11)으로 유도하는 필터 모듈(10); 및 필터 모듈(10)을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탭(41)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탭(41)의 배출 경로에 니오븀 소재의 자성 유닛(413)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a water purifier 40 including a rare earth filter layer includes a ceramic filter 31 for guiding incoming water into a permeable ho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10.0 µm; A filter module 10 for guid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eramic filter 31 to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containing a rare earth component that is 0.6 wt%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weight; And a discharge tab 41 for discharg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odule 10, and a magnetic unit 413 made of niobium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tab 41.

세라믹 필터(31)의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고, 세라믹 필터(31)는 위에서 설명이 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출 탭(41)의 작동에 의하여 세라믹 필터(31)에 저장된 물이 필터 모듈(10)을 경유하여 배출 탭(41)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은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희토류 필터 층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 모듈(10)을 경유하여 여과가 된 물은 배출 관(42)을 통하여 배출 탭(41)으로 유도될 수 있다. Water may be stored in the ceramic filter 31, and the ceramic filter 31 may be made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ater stored in the ceramic filter 31 may be guided to the discharge tap 41 via the filter module 10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tap 41. The filter module 10 may include a rare earth filter layer, as described above, and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module 10 may be guided to the discharge tap 41 through the discharge pipe 42. .

배출 탭(41)은 배출 유로(411); 및 배출 유로(411)의 끝 부분에 형성된 배출 팁(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 팁(412)의 외부 둘레 면 또는 내부 둘레 면을 따라 자성 유닛(413)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성 유닛(413)은 예를 들어 니오븀과 같은 자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100 내지 2,000 가우스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자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성 유닛(413)은 터널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배출 팁(412)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자성 유닛(413)은 배출 팁(412)의 내부 둘레 면 또는 외부 둘레 면에 코팅이 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discharge tab 41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411; And a discharge tip 412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411, and the magnetic unit 413 may be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ip 412. The magnetic unit 413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niobium, for example,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gnetic materials that generate a magnetic flux of 100 to 2,000 Gauss. The magnetic unit 413 may be formed in a tunnel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tip 412 in a detachable structure. Alternatively, the magnetic unit 413 may be made in such a way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ip 412 is coated.

배출 팁(412)에 결합되거나, 형성되는 자성 유닛(413)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magnetic unit 413 coupled to or formed on the discharge tip 412 can be made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은 희토류 필터 층을 통과하는 물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켜 인체가 유리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제올라이트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가 함께 적용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세균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의 알칼리 특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음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magnetic properties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so that the human body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various types of bacteria or foreign substances to be removed by applying a zeolite filter or a ceramic filter together.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umed while maintaining the alkaline properties of water.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is field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appended below.

10: 필터 모듈 10a: 층 구조 필터 모듈
10b: 케이스 구조 필터 모듈 11, 11a: 희토류 필터 층
12: 1 필터 층 13: 2 필터 층
14: 자화 유도 유닛 14a: 자기 배출 유닛
15: 유입 유닛 15a: 유입 덮개
21: 층 배치 케이스 22: 원판 자성 판
24: 활성 카본 층 31: 세라믹 필터
40: 정수기 41: 배출 탭
42: 배출 관 151: 유입 기공
231: 제올라이트 층 232: 모래 입자 층
311: 필터 케이스 312: 필터 몸체
313: 베이스 유닛 411: 배출 유로
412: 배출 팁 413: 자성 유닛
RG: 희토류 입자
10: filter module 10a: layer structure filter module
10b: case structure filter module 11, 11a: rare earth filter layer
12: 1 filter layer 13: 2 filter layer
14: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a: magnetic discharge unit
15: inlet unit 15a: inlet cover
21: layer arrangement case 22: disc magnetic plate
24: activated carbon layer 31: ceramic filter
40: water purifier 41: discharge tap
42: discharge pipe 151: inlet pore
231: zeolite layer 232: sand particle layer
311: filter case 312: filter body
313: base unit 411: discharge passage
412: discharge tip 413: magnetic unit
RG: rare earth particles

Claims (1)

유입되는 물의 여과를 위한 1 필터 층(12);
1 필터 층(12)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키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희토류 입자로 이루어진 희토류 필터 층(11);
희토류 필터 층(11)을 통과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2 필터 층(13);
1 필터 층(12)의 위쪽에 형성되고, 0.01 내지 1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투과 홀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31); 및
2 필터층(13)을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니오븀 또는 희토류 성분이 포함되어 원판 형상으로 만들어진 자화 유도 유닛(14)을 포함하고,
실린더 형상의 2 필터 층(13)의 아래쪽 부분이, 중앙 부분에 고정 홀이 형성된 자화 유도 유닛(14)의 위쪽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1 필터 층(12)은 제올라이트 층(231) 및 모래 입자 층(232)을 포함하고, 2 필터 층(13)은 마그네슘 또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필터이고,
세라믹 필터(31)는 아래쪽 부분에 결합 부위가 형성된 필터 케이스(311); 필터 케이스(311)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313); 및 돔 형상을 가지면서 베이스 유닛(313)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는 필터 몸체(3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

1 filter layer 12 for filtering incoming water;
1 Rare earth filter layer 11 made of rare earth particles containing a rare earth component for filter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layer 12;
2 filter layers 13 for filter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are earth filter layer 11;
1 ceramic filter 31 formed above the filter layer 12 and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01 to 10.0 µm; And
2 It includes a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made in a disc shape by containing niobium or a rare earth component to discharg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layer 13,
The lower portion of the two cylindrical filter layers 13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zation induction unit 14 having a fixing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one filter layer 12 is a zeolite layer 231 and sand. The particle layer 232 is included, and the 2 filter layer 13 is a filter including magnesium or silica particles,
The ceramic filter 31 includes a filter case 311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ase unit 313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311; And a filter body 312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313 while having a dome shape.

KR1020190124472A 2019-10-08 2019-10-08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KR102244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72A KR102244063B1 (en) 2019-10-08 2019-10-08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72A KR102244063B1 (en) 2019-10-08 2019-10-08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522A Division KR20180137188A (en) 2017-06-16 2017-06-16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006A KR20190119006A (en) 2019-10-21
KR102244063B1 true KR102244063B1 (en) 2021-04-23

Family

ID=6846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472A KR102244063B1 (en) 2019-10-08 2019-10-08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01Y1 (en) 2002-06-07 2002-10-09 실버레이 주식회사 Multistage filter type a water purifier
KR100798852B1 (en) * 2007-08-20 2008-01-29 이병걸 Functional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high capacity
KR101449925B1 (en) * 2014-04-29 2014-10-13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Water purifier utilizing ultrasonic wa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64B1 (en) 2004-11-19 2006-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ter and ion-purifier using the same
KR20100018986A (en) * 2008-08-08 2010-02-18 김완수 Travelling water purifier for large cookroom
KR101600387B1 (en) 2014-06-05 2016-03-07 주식회사 웰코 Cold and Warm Water Purifier having a Ceramic Filter with Nanopo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01Y1 (en) 2002-06-07 2002-10-09 실버레이 주식회사 Multistage filter type a water purifier
KR100798852B1 (en) * 2007-08-20 2008-01-29 이병걸 Functional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high capacity
KR101449925B1 (en) * 2014-04-29 2014-10-13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Water purifier utilizing ultrasonic 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006A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25B2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arsenic free water
Wang et al. High value-added applications of coal fly ash in the form of porous materials: A review
Tehrani-Bagha et al. The sorption of cationic dyes onto kaolin: Kinetic, isotherm and thermodynamic studies
US6054059A (en) Use of a ceramic metal oxide filter whose selection depends upon the Ph of the feed liquid and subsequent backwash using a liquid having a different Ph
Iaich et al. Low-cost ceramic microfiltration membranes made from Moroccan clay for domestic wastewater and Congo Red dye treatment
KR101780424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water
JPH11310481A (en) Porous ceramic for producing alkali ion water, production of the porous ceramic, and alkali ion producing device
JP2009136795A (en) Composit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dsorption material, purific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KR102244063B1 (en)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KR101668474B1 (en) Porous filter composi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water
ES2301798T3 (en) FILTER ELEMENT.
Talidi et al. Manufa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flat microfiltration membrane based on Moroccan pyrophyllite clay for pretreatment of raw seawater for desalination
KR20180137188A (en) A Filter Module with a Rare Earth Component and a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RU102195U1 (en) FILTER MATERIAL AND FILTER FOR WATER TREATMENT
JP2014057920A (en) Water treatment method
CN106311129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the efficient material removal of sediment interstitial water phosphate and application
JP4774223B2 (en) Strainer system
KR20090028253A (en) A filter complex conposed of a yellow earth soil ceramic filter and an active carbon filter and the water purifier using said filter complex
JP5808945B2 (en) Equipment for removing radioactive pollutants
Zhang et al. Study on removal and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ediment using modified clinoptilolite
JPH05285471A (en) Structure of water purifying and activating device
Jahanfarnia et al. Synthesis of a polymeric nanocomposite based on magnetic sepiolite functionalized with an ionic liquid for the adsorption of aromatic pollutants from aqueous solution
CN108640322A (en) A kind of ceramic membrane filter absorption processing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JP6377130B2 (en) Adsorbent for water treatment, production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device, cartridge for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Hassanzadeh et al. Recovery of binary-component textile wastewater contaminated by reactive dyes through adsorption onto magnetic separable MgO nanoparticles produced from solid waste of ductile cast iron industry, process identifications, characterization and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