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85B1 -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85B1
KR102243685B1 KR1020200006094A KR20200006094A KR102243685B1 KR 102243685 B1 KR102243685 B1 KR 102243685B1 KR 1020200006094 A KR1020200006094 A KR 1020200006094A KR 20200006094 A KR20200006094 A KR 20200006094A KR 102243685 B1 KR102243685 B1 KR 102243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afts
phase
gear
protru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철
양다혜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Priority to KR102020000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안테나에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는 제1 샤프트와, 제1 샤프트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제1 샤프트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 부재와 맞물려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Phase shifter multi-drive device and phase shif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상 가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 안테나에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업자는 기지국 안테나를 사용하여 적정한 커버리지를 확보하여야 한다.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는 일정한 예측을 통해 커버리지 및 통신 부하를 예측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틸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2G, 3G에 이어 4G LTE 시스템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사업자의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더욱 복잡하게 혼재됨에 따라 기지국 환경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증가되는 기지국 및 다양한 환경에서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틸팅이 필요하다.
안테나의 틸팅 방법은 크게 기계적 틸팅(Mechanical Tilting) 및 전기적 틸팅(Electronical Tilt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적 틸팅은 앵글 브라켓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틸팅하는 방법이다. 전기적 틸팅은 안테나 에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를 구비하여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 없이 위상을 가변시키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원격지에서 안테나의 빔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 전기적 틸팅(Remote Electronical Tilting, 이하 RET 라고 호칭함)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격 전기적 틸팅 시스템은 위상 가변기를 갖는 안테나, 위상 가변기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빔의 위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기적 모터(RCU, Remote Control Unit), 전기적 모터의 구동을 원격지에서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로 기본 구성된다.
그러나 원격 전기적 틸팅 시스템은 원격에서 전기적 모터를 제어하여 하나의 위상 가변기를 제어할 수는 있으나, 하나의 안테나에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구비하여 각각 연결된 안테나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는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3989호(2014.06.2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안테나에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 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각각은 회전을 위한 제2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기어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구동 기어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샤프트 각각은 일단부에 제3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3 샤프트 각각을 회전시키는 비상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동부는 상기 제3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제3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4 샤프트, 상기 복수의 제4 샤프트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샤프트 각각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3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3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위상 가변기의 위상 가변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 시스템은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 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를 구비하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3 샤프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3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각각 연결된 안테나 소자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가변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는 제1 샤프트와, 제1 샤프트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제1 샤프트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 부재와 맞물려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와,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기어와 제2 기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 시스템(600)은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 및 위상 가변기(200)를 포함한다.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는 위상 가변기(200)를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는 복수의 위상 가변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복수의 위상 가변기(200) 중 원하는 위상 가변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위상 가변기(200)는 후술할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의 제3 샤프트(도 3의 131)와 각각 연결되어, 제3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각각 연결된 안테나 소자(300)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복수의 위상 가변기(200) 중 하나가 동작하게 되고, 동작하는 위상 가변기(200)는 각각 연결된 안테나 소자(300)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 시스템(600)은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00) 및 구동 제어부(400)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리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400)는 후술할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의 제1 모터 및 제2 모터(도 3의 113, 11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위상 가변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500)는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구동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상 가변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안테나 소자(300)의 위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기어와 제2 기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는 구동부(110), 동력 전달부(120) 및 위상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제1 샤프트(111)와,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제1 샤프트(111)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111)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112)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111)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샤프트(111)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제1 기어(111a)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111a)는 제1 모터(113)의 회전축과 맞물려 제1 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며, 제1 기어(111a)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샤프트(111)가 회전할 수 있다.
돌출 부재(112)는 제1 샤프트(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하며,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한 방향 즉, 제2 샤프트(1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출 부재(112)는 제1 샤프트(11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샤프트(111)를 따라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제2 샤프트(121)와 맞물려 제2 샤프트(121)를 이동시킨다. 이때, 돌출 부재(112)는 제1 샤프트(111)와 평행하게 형성된 케이스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 홈에 의해 제1 샤프트(111)가 회전하더라도, 제1 샤프트(111)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돌출 부재(112)는 제1 샤프트(111)가 회전하게 되면, 제1 샤프트(111)를 축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돌출 부재(112)는 단부가 양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샤프트(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샤프트(121)와 접촉하게 되면 경사면을 따라 제2 샤프트(121)가 이동하면서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20)는 복수의 제2 샤프트(121)와, 복수의 제2 샤프트(121)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샤프트(121)는 제1 샤프트(111)를 따라,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샤프트(121)는 돌출 부재(112)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샤프트(121)는 돌출 부재(112)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돌출 부재(112)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 부재(112)와 맞물려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샤프트(121) 각각은 회전을 위한 제2 기어(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어(121a)는 구동 기어(122)와 맞물리도록 제2 샤프트(1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121)는 돌출 부재(112)와 맞물리는 일단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샤프트(121)는 단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 부재(1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3 샤프트(13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121)는 돌출 부재(112)와 맞물리는 일단부와 대향하는 타단부가 제3 샤프트(131)의 걸림홈(13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샤프트(121) 중 돌출 부재(112)에 의해 제3 샤프트(131)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샤프트(121)가, 제3 샤프트(131)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31a)에 결합하게 된다. 이후 구동 기어(122)에 의해 제2 샤프트(121)가 회전하게 되고, 제2 샤프트(121)와 결합된 제3 샤프트(131)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 기어(122)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샤프트(121) 각각에 형성된 제2 기어(121a)의 하부에서 복수의 제2 기어(121a) 전체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구동 기어(122) 중 하나는 구동부(110)의 제2 모터(114)의 축에 맞물려 제2 모터(11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복수의 구동 기어(122)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 기어(12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14)에 의해 복수의 구동 기어(122) 전체가 동작하게 되고, 복수의 구동 기어(122)와 전체가 맞물린 각각의 제2 기어(121a)는 제2 모터(114)가 회전함에 따라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22)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두개의 제2 기어(121a)와 맞물리는 제1 구동 기어(122a)와, 제1 구동 기어(122a)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구동 기어(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 기어(122a)가 실질적으로 제2 기어(121a)와 맞물려 제2 기어(121a)를 회전시키고, 제1 구동 기어(122a)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구동 기어(122b)에 의해 제1 구동 기어(122a) 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위상 제어부(130)는 제2 샤프트(121)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샤프트(121) 중 이동된 제2 샤프트(121)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131)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3 샤프트(131)는 단부에 제2 샤프트(121)와 결합되는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돌출 부재(112)에 의해 선택된 제2 샤프트(121)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3 샤프트(131) 각각의 외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제어부(130)는 복수의 제3 샤프트(131) 각각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제3 샤프트(131)가 회전하게 되면, 제3 샤프트(131)를 따라 이동하여 위상 가변기의 위상 가변량을 나타낸 인디케이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티케이터(132)는 제3 샤프트(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제3 샤프트(131)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거치부(132a)와, 거치부(132a)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계측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거치부(132a)와 계측부(132b)는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132a)는 제3 샤프트(131)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샤프트(131)가 회전하게 되면, 제3 샤프트(131)를 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측부(132b)는 외부에 노출되는 길이가 달라지게 되며, 이를 통해 조작자는 위상 가변량을 측정할 수 있다. 더하여 계측부(132b)의 끝단부에 눈금을 표시하여 위상 가변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3 샤프트(131) 각각은 일단부에 제3 기어(131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기어(131b)는 걸림홈(131a)이 위치하는 제3 샤프트(13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는 제3 기어(131b)와 맞물려 제3 샤프트(131) 각각을 회전시키는 비상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구동부(140)는 제3 샤프트(1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3 기어(131b)와 맞물리는 제4 기어(141a)가 형성되어 제3 샤프트(131)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4 샤프트(141)와, 복수의 제4 샤프트(141)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파지부(142)를 포함한다.
즉 비상 구동부(140)는 제1 및 제2 모터(113, 114)가 작동을 하지 않거나, 구동부(110) 또는 동력 전달부(120)에 문제가 발생 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작업자가 파지부(142)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제4 샤프트(141)가 회전하게 되고, 제4 샤프트(141)의 회전에 의해 제3 샤프트(131)가 회전하게 되면서 위상 가변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100)는 제1 샤프트(111)와,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제1 샤프트(111)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111)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112)를 구비하는 구동부(110)와, 제1 샤프트(111)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돌출 부재(112)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 부재(112)와 맞물려 제1 샤프트(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121)와, 복수의 제2 샤프트(121)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122)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120)와, 제2 샤프트(121)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샤프트(121) 중 이동된 제2 샤프트(121)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131)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위상 가변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110 : 구동부
111 : 제1 샤프트 111a : 제1 기어
112 : 돌출 부재 113 : 제1 모터
114 : 제2 모터 120 : 동력 전달부
121 : 제2 샤프트 121a : 제2 기어
122 : 구동 기어 122a : 제1 구동 기어
122b : 제2 구동 기어 130 : 위상 제어부
131 : 제3 샤프트 131a : 걸림홈
131b : 제3 기어 132 : 인디케이터
132a : 거치부 132b : 계측부
140 : 비상 구동부 141 : 제4 샤프트
141a : 제4 기어 142 : 파지부
200 : 위상 가변기 300 : 안테나 소자
400 : 구동 제어부 500 : 관리 서버

Claims (9)

  1.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 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여, 각각 연결된 위상 가변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 좌우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각각은 제2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기어와 맞물려 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구동 기어 중 하나와 맞물려 복수의 상기 구동 기어 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샤프트 각각은 일단부에 제3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3 샤프트 각각을 회전시키는 비상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동부는,
    상기 제3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제3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4 샤프트;
    상기 복수의 제4 샤프트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샤프트 각각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3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3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위상 가변기의 위상 가변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9.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제1 샤프트를 따라 복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 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제2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일 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중 이동된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제3 샤프트를 구비하는 위상 제어부를 구비하는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3 샤프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3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각각 연결된 안테나 소자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가변기; 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 좌우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샤프트 각각은 제2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기어와 맞물려 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구동 기어 중 하나와 맞물려 복수의 상기 구동 기어 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샤프트 각각은 일단부에 제3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3 샤프트 각각을 회전시키는 비상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 시스템.
KR1020200006094A 2020-01-16 2020-01-16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KR10224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94A KR102243685B1 (ko) 2020-01-16 2020-01-16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94A KR102243685B1 (ko) 2020-01-16 2020-01-16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685B1 true KR102243685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94A KR102243685B1 (ko) 2020-01-16 2020-01-16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6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89B1 (ko) 2014-05-01 2014-08-0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축 위상 변위기
KR101600832B1 (ko) *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6811A1 (en) * 2016-05-13 2017-11-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Actuator gearbox with selectable linkag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89B1 (ko) 2014-05-01 2014-08-0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축 위상 변위기
KR101600832B1 (ko) *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6811A1 (en) * 2016-05-13 2017-11-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Actuator gearbox with selectable link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1191B1 (en) Phase shift equipment and antenna system thereof
US11264716B2 (en) Actuator gearbox with selectable linkages
CN101057367B (zh) 天线控制系统
EP1239535B1 (en) Cellular base st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an antenna control arrangement and antenna control arrangement
EP2969351B1 (en) Welding system component with conformal antenna
CN107438918B (zh) 可独立调整方位角的多频带天线固定件、固定设备及系统
CN106505319B (zh) 一种模块化传动装置及多频天线
CN102185180B (zh) 移相器、天线系统及移相方法
CN109687146A (zh) 电调天线的下倾角调节装置及电调天线
CN107994339B (zh) 角度指示器及电调天线下倾角指示装置
US20110267231A1 (en) Cellular Antenna Phase Shifter Positioning Using Motorized Torque Lever
US20130169495A1 (en) Multi-point driving device for general purpose base station antenna
KR102243685B1 (ko) 위상 가변기 멀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상 가변 시스템
KR20230117305A (ko) 위상변환장치
CN113972493A (zh) 移相器、电调系统和基站天线
CN216818579U (zh) 移相组件
EP2159874A1 (en) Antenna having distributed phase shift mechanism
CN114221130A (zh) 多频天线及其选频移相装置
US20120127060A1 (en) Dove tail device in an antenna
CN208970757U (zh) 基站天线的空间立体移相器
WO2006122681A1 (en) Antenna assembly
KR20110012319A (ko) 수직형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의 방사특성 측정 장치
US10749250B2 (en) Multi-layer phase shifter driving device and related remote electronic tilt systems and antennas
KR20020013682A (ko) 다중 전송선로용 위상천이 및 감쇄를 위한 신호처리 장치
CN218275074U (zh) 客户前置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